KR101658344B1 -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344B1
KR101658344B1 KR1020150007847A KR20150007847A KR101658344B1 KR 101658344 B1 KR101658344 B1 KR 101658344B1 KR 1020150007847 A KR1020150007847 A KR 1020150007847A KR 20150007847 A KR20150007847 A KR 20150007847A KR 101658344 B1 KR101658344 B1 KR 101658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mergency exit
zone
building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8975A (ko
Inventor
손웅희
황정구
이인수
김민선
박은영
유제민
이다훈
이재환
전성환
정필재
이승주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0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3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8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Abstract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은, 건물의 출입구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건물 내부에 출입하는 인원의 통계에 대한 정보인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 상기 건물 내부의 제 1 구역 및 상기 제 1 구역과 이격된 제 2 구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구역 및 상기 제 2 구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 상기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인원 통계 정보 및 상기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구역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에 위치한 비상 탈출구 중 최적의 비상 탈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인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비상 탈출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 바닥에 점등을 수행함으로써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EXIT INFORMATION}
본 발명은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에 출입하는 인구를 산출하고, 건물 내부의 구역마다의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산출된 인원과 화재 발생 위치를 고려하여 가장 안전한 비상 탈출구를 제공해주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큰 규모의 다용도 복합 건물들이 신축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건물은 복잡해지고 대형화되며 건물 자재가 다양화되고 있다. 따라서, 화재와 같은 재난이 건물 내에서 발생한 경우 진화를 하기 위하여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으며 인명 피해가 증가할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예방하고자 여러 국가에서 엄격한 소방 방재법을 통하여 화재를 대비한 다양한 시스템이 반드시 건물 내에 구비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재와 같은 재난은 예방 및/또는 조기 진화가 가장 중요하기에, 소방 방재법에 의하여 센서 및 이에 연동하는 스프링쿨러의 설치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스프링쿨러에 의한 조기 진화가 실패한 경우에도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추가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 중 하나는 건물 내의 인원에게 화재 발생 여부 등을 안내하는 건물 내 재난 안내 시스템이다. 기존의 건물 내 재난 안내 시스템은 인력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어, 건물 내에 다수의 CCTV가 설치되고, 해당 화면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관제실에 관리자가 상주하면서, 화재 발생시 모니터 화면을 보고 육안으로 판단하여, 건물 내 방송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재난 발생을 안내하는 시스템이 있었다. 그러나 CCTV로 촬영되는 화면만을 보고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부정확하며, CCTV의 사각지대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최근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 재난 안내 시스템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즉, 건물 내에 마련된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다양한 정보를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하거나 자동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재난 안내 시스템에서 안내되는 내용은 화재 발생 여부 정도에 불과하기에, 대량 인명 피해 방지 효과가 예상외로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여부를 알게 된 경우에도, 건물 내에 존재하는 사람들은 화재 연기로 인하여 비상 탈출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건물에 출입하는 인구를 산출하고, 건물 내부의 구역마다의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산출된 인원과 화재 발생 위치를 고려하여 가장 안전한 비상 탈출구를 제공해주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기술로는 미국공개특허 2007-0194922호 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에 출입하는 인구를 산출하고, 건물 내부의 구역마다의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산출된 인원과 화재 발생 위치를 고려하여 가장 안전한 비상 탈출구를 제공해주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은, 건물화재 발생시 비상 탈출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의 출입구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건물 내부에 출입하는 인원의 통계에 대한 정보인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 상기 건물 내부의 제 1 구역 및 상기 제 1 구역과 이격된 제 2 구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구역 및 상기 제 2 구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 상기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인원 통계 정보 및 상기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구역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에 위치한 비상 탈출구 중 최적의 비상 탈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인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비상 탈출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 바닥에 점등을 수행함으로써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는, 촬영된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을 추출함으로써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는,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 대한 실시간 온도 정보인 구역별 실시간 온도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서의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인 구역별 온도 변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는, 건물 내부의 구역 별 정상 온도 및 상기 건물 내부의 구역별 정상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구역 별 정상 온도와 상기 구역별 실시간 온도 정보를 대비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화재 발생 판단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구역 별 정상 온도 변화와 상기 구역별 온도 변화 정보를 대비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화재 발생 판단부, 상기 제 1 판단부 또는 상기 제 2 판단부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원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구역을 고려한 최적의 비상 탈출구를 선정하는 비상 탈출구 선정부 및 상기 비상 탈출구 선정부로부터 선정된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기 위한 점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에 전송하는 점등 신호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는, 상기 건물 바닥에 화살표 형태의 점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는, 기정해진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건물 바닥에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정된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기 위한 점등 신호는, 상기 건물 바닥에 위치한 복수개의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 중 선정된 비상 탈출구를 향한 경로에 대응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만을 점등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은, 건물화재 발생시 비상 탈출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의 출입구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건물 내부에 출입하는 인원의 통계에 대한 정보인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 상기 건물 내부의 제 1 구역 및 상기 제 1 구역과 이격된 제 2 구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구역 및 상기 제 2 구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 상기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인원 통계 정보 및 상기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구역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에 위치한 비상 탈출구 중 최적의 비상 탈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인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는,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에 기등록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는, 촬영된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을 추출함으로써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는,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 대한 실시간 온도 정보인 구역별 실시간 온도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서의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인 구역별 온도 변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는, 건물 내부의 구역 별 정상 온도 및 상기 건물 내부의 구역별 정상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구역 별 정상 온도와 상기 구역별 실시간 온도 정보를 대비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화재 발생 판단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구역 별 정상 온도 변화와 상기 구역별 온도 변화 정보를 대비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화재 발생 판단부, 상기 제 1 판단부 또는 상기 제 2 판단부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원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구역을 고려한 최적의 비상 탈출구를 선정하는 비상 탈출구 선정부 및 상기 비상 탈출구 선정부로부터 선정된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기 위한 비상 탈출구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전송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은, 건물화재 발생시 비상 탈출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건물 내부에 출입하는 인원의 통계에 대한 정보인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건물 내부의 제 1 구역 및 상기 제 1 구역과 이격된 제 2 구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인원 통계 정보 및 상기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구역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에 위치한 비상 탈출구 중 최적의 비상 탈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인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에 의하여,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비상 탈출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 바닥에 점등을 수행함으로써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은, 건물화재 발생시 비상 탈출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건물 내부에 출입하는 인원의 통계에 대한 정보인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건물 내부의 제 1 구역 및 상기 제 1 구역과 이격된 제 2 구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에 의하여, 상기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인원 통계 정보 및 상기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구역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에 위치한 비상 탈출구 중 최적의 비상 탈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인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에 의하여,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에 기등록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에 출입하는 인구를 산출하고, 건물 내부의 구역마다의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산출된 인원과 화재 발생 위치를 고려하여 가장 안전한 비상 탈출구를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서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서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서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110),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120),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130) 및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110)는, 건물의 출입구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건물 내부에 출입하는 인원의 통계에 대한 정보인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원 통계 정보라 함은,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인원, 건물 외부로 나가는 인원,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인원과 건물 외부로 나가는 인원을 종합하여 현재 건물 내에 존재하는 인원에 대한 통계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110)는 출입구가 복수개인 건물에 있어서는 각 출입구 마다 존재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각 출입구에 위치하는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110)에서의 통계 정보를 합산하는 방식이 지원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110)는 카메라 및 제어부 등으로 구성되어 촬영된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을 추출함으로써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로, 사람의 얼굴 형상, 피부 톤 등을 기반으로 인원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120)는, 상기 건물 내부의 제 1 구역 및 상기 제 1 구역과 이격된 제 2 구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구역 및 상기 제 2 구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구역이라 함은, 건물 내부의 어느 한 구역을 의미하고, 상기 제 2 구역이라 함은 상기 제 1 구역과 다른 건물 내부의 구역을 의미한다.
즉, 건물의 대형화에 따라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 대하여 각 구역마다 온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온도 센서, 열감지 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역 온도 정보는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 대한 실시간 온도 정보인 구역별 실시간 온도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서의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인 구역별 온도 변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역 별로 현재의 온도를 알아야 화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현재의 온도는 높지 않더라도, 기정해진 시간(예로 5분) 동안 온도 변화가 크게 일어난 경우라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온도와,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130)는, 상기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인원 통계 정보 및 상기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120)로부터 제공받은 구역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에 위치한 비상 탈출구 중 최적의 비상 탈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인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131), 제 1 화재 발생 판단부(132), 제 2 화재 발생 판단부(133), 비상 탈출구 선정부(134) 및 점등 신호 전송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13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메모리부(131)는 건물 내부의 구역 별 정상 온도 및 상기 건물 내부의 구역별 정상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의 발생 여부는 현재의 온도 및/또는 최근 온도의 변화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메모리부(131)는 화재 여부의 판단을 수행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서 건물 내부의 구역 별 정상 온도와 상기 건물 내부의 구역별 정상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건물 내부에는 건물의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정상 온도가 마련될 수 있다. 예로, 냉동고가 위치한 건물의 구역에는 정상 온도가 비교적 낮게 기록될 것이다. 또한, 층수 별로 서로 다른 정상 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화재 발생 판단부(132)는, 상기 메모리부(131)에 저장된 구역 별 정상 온도와 상기 구역별 실시간 온도 정보를 대비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 2 화재 발생 판단부(133)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구역 별 정상 온도 변화와 상기 구역별 온도 변화 정보를 대비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화재 발생 판단부(132)와 상기 제 2 화재 발생 판단부(133)는 실시예에 따라 보충 또는 대체 구성으로서 화재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비상 탈출구 선정부(134)는, 상기 제 1 화재 판단부(132) 및/또는 상기 제 2 화재 판단부(133)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원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구역을 고려한 최적의 비상 탈출구를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건물 내부에는 복수개의 비상 탈출구가 있으나, 화재의 발생 장소와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들의 인원을 기반으로 최적의 비상 탈출구를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점등 신호 전송부(135)는, 상기 비상 탈출구 선정부(134)로부터 선정된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기 위한 점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14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140)는,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130)로부터 제공받은 비상 탈출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 바닥에 점등을 수행함으로써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140)는, 상기 건물 바닥에 화살표 형태의 점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정해진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건물 바닥에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에 갇힌 사람들은 바닥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 등의 점등을 확인하여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점등의 주체로는 LED 점등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선정된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기 위한 점등 신호는, 상기 건물 바닥에 위치한 복수개의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 중 선정된 비상 탈출구를 향한 경로에 대응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만을 점등하기 위한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서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기술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210),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220),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230) 및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4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4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이 탑재될 수 있으며,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230)이 등록되어 연동될 수 있고,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230)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40)의 위치를 확인하게 되어,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2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230)는, 메모리부(231), 제 1 화재 발생 판단부(232), 제 2 화재 발생 판단부(233), 비상 탈출구 선정부(234) 및 비상 탈출구 정보 전송부(2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š, 상기 메모리부(231)는, 건물 내부의 구역 별 정상 온도 및 상기 건물 내부의 구역별 정상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화재 발생 판단부(232)는. 상기 메모리부(231)에 저장된 구역 별 정상 온도와 상기 구역별 실시간 온도 정보를 대비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 2 화재 발생 판단부(233)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구역 별 정상 온도 변화와 상기 구역별 온도 변화 정보를 대비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화재 발생 판단부(232)와 상기 제 2 화재 발생 판단부(233)는 상호 간에 보완 또는 대체하여 화재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탈출구 선정부(234)는, 상기 제 1 화재 판단부(232) 및/또는 상기 제 2 화재 판단부(233)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원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구역을 고려한 최적의 비상 탈출구를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전송부(235)는 상기 비상 탈출구 선정부로(234)부터 선정된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기 위한 비상 탈출구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4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100,200)과 중복되는 기술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제 1 실시예)은, 건물화재 발생시 비상 탈출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건물 내부에 출입하는 인원의 통계에 대한 정보인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0),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건물 내부의 제 1 구역 및 상기 제 1 구역과 이격된 제 2 구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0)에서 생성된 인원 통계 정보 및 상기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에서 생성된 구역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에 위치한 비상 탈출구 중 최적의 비상 탈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인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 및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에 의하여,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에서 생성된 비상 탈출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 바닥에 점등을 수행함으로써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제 2 실시예)는 건물화재 발생시 비상 탈출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건물 내부에 출입하는 인원의 통계에 대한 정보인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00),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건물 내부의 제 1 구역 및 상기 제 1 구역과 이격된 제 2 구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10),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에 의하여, 상기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00)에서 생성된 인원 통계 정보 및 상기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10)에서 생성된 구역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에 위치한 비상 탈출구 중 최적의 비상 탈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인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2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20) 이후에,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에 의하여,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에 기등록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100,200) 및 방법은 건물에 출입하는 인구를 산출하고, 건물 내부의 구역마다의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산출된 인원과 화재 발생 위치를 고려하여 가장 안전한 비상 탈출구를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대형 건물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가 발생한 것을 판단해주는 것 뿐만 아니라, 자욱한 연기 속에서 바닥면 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을 통하여 건물 내에 존재하는 사람과 화재 발생 구역에 따른 최적화된 비상 탈출구에 대한 경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대여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200: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110,210: 인원 통게 정보 생성부
120,220: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
130: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
230: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
140: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
240: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131.231: 메모리부
132,232: 제 1 화재 발생 판단부
133,233: 제 2 화재 발생 판단부
134,234: 비상 탈출구 선정부
135: 점등 신호 전송부
235: 비상 탈출구 정보 전송부

Claims (14)

  1. 건물화재 발생시 비상 탈출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의 출입구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건물 내부에 출입하는 인원의 통계에 대한 정보인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
    상기 건물 내부의 제 1 구역 및 상기 제 1 구역과 이격된 제 2 구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구역 및 상기 제 2 구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
    상기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인원 통계 정보 및 상기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구역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에 위치한 비상 탈출구 중 최적의 비상 탈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인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비상 탈출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 바닥에 점등을 수행함으로써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역 온도 정보는,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 대한 실시간 온도 정보인 구역별 실시간 온도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서의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인 구역별 온도 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는,
    촬영된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을 추출함으로써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는,
    건물 내부의 구역 별 정상 온도 및 상기 건물 내부의 구역별 정상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구역 별 정상 온도와 상기 구역별 실시간 온도 정보를 대비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화재 발생 판단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구역 별 정상 온도 변화와 상기 구역별 온도 변화 정보를 대비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화재 발생 판단부;
    상기 제 1 화재 판단부 또는 상기 제 2 화재 판단부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원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구역을 고려한 최적의 비상 탈출구를 선정하는 비상 탈출구 선정부; 및
    상기 비상 탈출구 선정부로부터 선정된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기 위한 점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에 전송하는 점등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는,
    상기 건물 바닥에 화살표 형태의 점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는,
    기정해진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건물 바닥에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기 위한 점등 신호는,
    상기 건물 바닥에 위치한 복수개의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 중 선정된 비상 탈출구를 향한 경로에 대응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만을 점등하기 위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8. 건물화재 발생시 비상 탈출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의 출입구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건물 내부에 출입하는 인원의 통계에 대한 정보인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
    상기 건물 내부의 제 1 구역 및 상기 제 1 구역과 이격된 제 2 구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구역 및 상기 제 2 구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
    상기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인원 통계 정보 및 상기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구역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에 위치한 비상 탈출구 중 최적의 비상 탈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인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는,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에 기등록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역 온도 정보는,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 대한 실시간 온도 정보인 구역별 실시간 온도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서의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인 구역별 온도 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는,
    촬영된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을 추출함으로써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10. 삭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는,
    건물 내부의 구역 별 정상 온도 및 상기 건물 내부의 구역별 정상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구역 별 정상 온도와 상기 구역별 실시간 온도 정보를 대비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화재 발생 판단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구역 별 정상 온도 변화와 상기 구역별 온도 변화 정보를 대비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화재 발생 판단부;
    상기 제 1 화재 판단부 또는 상기 제 2 화재 판단부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원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구역을 고려한 최적의 비상 탈출구를 선정하는 비상 탈출구 선정부; 및
    상기 비상 탈출구 선정부로부터 선정된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기 위한 비상 탈출구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전송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12. 건물화재 발생시 비상 탈출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건물 내부에 출입하는 인원의 통계에 대한 정보인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건물 내부의 제 1 구역 및 상기 제 1 구역과 이격된 제 2 구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인원 통계 정보 및 상기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구역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에 위치한 비상 탈출구 중 최적의 비상 탈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인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비상 탈출구 정보 출력부에 의하여,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비상 탈출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 바닥에 점등을 수행함으로써 비상 탈출구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역 온도 정보는,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 대한 실시간 온도 정보인 구역별 실시간 온도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서의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인 구역별 온도 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
  13. 건물화재 발생시 비상 탈출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원 통계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건물 내부에 출입하는 인원의 통계에 대한 정보인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구역 온도 정보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건물 내부의 제 1 구역 및 상기 제 1 구역과 이격된 제 2 구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에 의하여, 상기 인원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인원 통계 정보 및 상기 구역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구역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에 위치한 비상 탈출구 중 최적의 비상 탈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인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역 온도 정보는,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 대한 실시간 온도 정보인 구역별 실시간 온도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구역 각각에서의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인 구역별 온도 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에 의하여,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 생성 서버에 기등록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상기 비상 탈출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방법.
KR1020150007847A 2015-01-16 2015-01-16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58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847A KR101658344B1 (ko) 2015-01-16 2015-01-16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847A KR101658344B1 (ko) 2015-01-16 2015-01-16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975A KR20160088975A (ko) 2016-07-27
KR101658344B1 true KR101658344B1 (ko) 2016-09-23

Family

ID=5661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847A KR101658344B1 (ko) 2015-01-16 2015-01-16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382B1 (ko) * 2018-07-13 2019-09-25 이하나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709B1 (ko) * 2017-12-14 2018-08-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대피용량을 고려한 재난 대피 시스템 및 방법
KR102190269B1 (ko) * 2018-11-27 2020-12-1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중 전력구 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025B1 (ko) * 2010-02-04 2010-10-08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다중 온도구현 및 비상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604B1 (ko) * 2005-03-28 2006-12-05 이효성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1475134B1 (ko) * 2013-01-10 2014-12-23 (주)스마트테크놀로지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025B1 (ko) * 2010-02-04 2010-10-08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다중 온도구현 및 비상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382B1 (ko) * 2018-07-13 2019-09-25 이하나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975A (ko)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10976B (zh) 动态逃生路线生成方法、服务器、及系统
CN105561492B (zh) 人的行为统计信息动态获取终端、疏散系统和方法
KR101775463B1 (ko)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EP3696624A1 (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20047083A1 (en) Fire Situation Awareness And Evacuation Support
JP5551886B2 (ja) 端末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船員位置管理システム
US20170109981A1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a fire spread forecast and bim to guide occupants using smart signs
KR102322427B1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US20080067006A1 (en) Elevator System
CN112044006A (zh) 一种楼宇用监控消防系统
KR102108963B1 (ko)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KR101658344B1 (ko)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5608814A (zh) 火灾提示方法、火灾提示系统、服务器和终端
KR100637708B1 (ko) 실시간 소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소방 정보 제공 단말장치
KR101185405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245887B1 (ko)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EP1689344B1 (en) Fire location detection and estimation of fire spread through image processing based analysis of detector activation
KR20190082692A (ko)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22715B2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KR102464640B1 (ko)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WO2018232892A1 (zh) 一种智能监控、预测电梯故障的方法及装置
KR101773898B1 (ko) 보호객체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CN108460963B (zh) 远程消防监控平台
KR100744554B1 (ko) 소방 현장 지원 장치 및 방법
CN107560672B (zh) 一种智能提示器及方法及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