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740B1 - 화재경보장치 및 화재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경보장치 및 화재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740B1
KR100696740B1 KR1020007004469A KR20007004469A KR100696740B1 KR 100696740 B1 KR100696740 B1 KR 100696740B1 KR 1020007004469 A KR1020007004469 A KR 1020007004469A KR 20007004469 A KR20007004469 A KR 20007004469A KR 100696740 B1 KR100696740 B1 KR 100696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alarm
fire
evacuation
detector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1437A (ko
Inventor
제랄드엠. 코르다스코
디에터 비저
Original Assignee
지멘스 빌딩 테크놀로지스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빌딩 테크놀로지스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빌딩 테크놀로지스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10031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183Single detectors using dual technolog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대피경로 감지기(F)는 화재특성(fire characteristic)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센서(sensor, 6,14,15)와, 각각의 화재특성에 의해서 미리 결정된 제 1 수치가 초과되어질 때 경보장치가 작동되는 평가회로(evaluating circuit, 7)를 포함한다. 각각의 화재특성의 더 높은 제 2 수치는 하나이상의 센서(6,14,15)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모니터(monitor)되어지며, 만일 상기 제 2 수치가 초과되어진다면 각각의 대피경로의 불사용성(unusability)을 표시하는 경보 신호가 작동되어진다.
화재 경보 시스템(fire alarm system)은 대피경로 감지기(F)가 연결된 제어센터(control center, 12)와 그리고 조절가능한 표시장치(13,13')를 가진 대피경로 표시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대피경로 감지기(F)로 불리는 생명을 위협하는 수치들을 위한 화재특성을 추가적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화재경보장치들과, 각각의 대피경로 내에서 사람들의 유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 P)로 불리는 수단들이 대피경로의 영역 내에서 제공되어진다. 표시장치(13,13')들은 상기 추가적인 모니터링에 의해서 제어되어진다.

Description

화재경보장치 및 화재경보시스템{FIRE ALARM AND FIRE ALARM SYSTEM}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화재특성(fire characteristic)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센서(sensor)를 가지며, 각각의 화재특성에 의해서 미리 정해지 제 1 수치(value)가 초과되어질 때 경보작용(alarm)이 이루어지는 수단에 의한 평가회로(evaluating circuit)를 가진, 화재 경보장치(fire alarm)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감지이론에는 관계없이, 상기한 타입의 공지된 화재 경보장치(fire alarm)는 허용될 수 없는 오 경보(false alarm)는 발생하지 않으면서, 가능한 낮은 화재특성의 수치에서 경보(alarm)가 작동되도록 설계되어진다. 최근에 이루어진, 센서 신호의 처리 및 평가기능과 그리고 센서들과 관련된 개선 덕분에, 일부 타입의 화재 경보장치는 상기 두개의 요구조건들이 완전히 만족되는 기준(standard)을 달성하게 되었으며, 예를 들어 EP-A-0 654 770호, EP-A-0 654 771호, EP-A-0 660 282호, EP-A-0 718 814호, EP-A-0 821 330호 그리고 WO-A-98/15931호에서 경보장치들이 기술되어진다.
만일 경보장치가 자동 소화장치를 작동시키지 못한다면 화재 경보장치의 작동은 일반적으로 화재의 진행을 방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종종 화재중인 건물은 대피(evacuated, 소개)되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대피되어지는 사람들이 안전한 대피경로가 무엇인지 어디인지 알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소방대원의 소방대장(commander)이 이러한 정보를 인식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만일 호텔 투숙객들이 안전한 대피경로의 유무 또는 대피경로가 여전히 안전한지에 대하여 동시에 인식시키지 않고서 그의 방에서 가능한 대피경로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면, 소용이 없거나 또는 제한적으로만 유용할 뿐이다.
소위 음성 시스템(voice system)으로써, 화재중인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음향 대피명령을 듣지만, 그러나 소방대장(commander)과 같이 각각의 명령을 제공하는 사람들은 어떠한 대피경로가 여전히 안전한지 신속하고 신뢰성있게 확인할 수 없다.
화재의 전파(propagation)에 대한 예측이 이루어지는 시뮬레이션 시스템(simulation system)이 현재 이용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이 모든 필요한 센서(sensor)들을 가지며, 플로어 덮개(floor covering), 가구 그리고 방 및 복도 등의 종이 및 판지(cardboard)와 같은 가연성 재료의 존재와 같은 빌딩의 모든 주요한 매개변수에 대한 지식을 가지더라도, 여전히 대피경로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신뢰할 만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DE-A-196 44 127호는 각각의 위험에 대해 적응되어질 수 있는 대피경로에 대한 다양한 방향신호를 가진 대피 시스템(evacuation system)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대피시스템은 위험의 인식 및 위치파악을 위한 감지기들(detectors), 대피 시스템의 자동적인 작동을 위한 중앙 감지수단(central detection means) 및 대피경로 신호의 위험 자동제어장치(risk-orientated automatic control)로 구성되지만, 상기 시스템에 대한 실제적인 실시에 대한 정확한 설명은 없다. 비록,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위험 잠재성이 온라인(on line)으로 결정되고 최적의 대피계획이 정해지는 것으로 언급하고 있지만, 소위 모듈(module)식 인명구조 전문가 시스템에 대한 언급을 제외하고, 어떻게 위험 잠재성이 신뢰성있게 결정되어지는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없다. 최적의 대피 계획에 대해서도, 화재가 어디에서 발생하는지, 이러한 화재가 어떻게 전파될 것인지, 요구되어지는 대피경로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이고 단순 계산되지 않은 정보를 알기에는 불충분하다.
인간의 생명은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의 계산에 의존할 수는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면서, 본 발명은 상당히 다른 출발점을 가지며, 잘못된 경보(false system)로부터 상당히 보호되는 화재 특성의 낮은 수치(value)를 인식하는 정상적인 기능이외에도, 대피경로의 상태에 대한 신뢰할 만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재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이상의 센서(sensor) 덕분에 각각의 화재특성의 제 2 의, 더 높은 수치(value)가 추가적으로 감시(monitor)되어지며, 상기 제 2 수치가 초과되어질 때, 각각의 대피경로(escape route)의 불사용성(unusability)을 표시하는 경보신호(alarm signal)가 작동되어지는 점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조장치의 선호적인 제 1 실시예는, 상기한 화재특성(fire characteristic)의 제 2 수치(value)는 인명을 위협하는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fire alarm)는, 각각의 화재 특성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 2 임계치(threshold value)를 가지며, 상기 임계치가 초과되어질 때, 각각의 대피경로를 통과할 수 없음(unusability, 불사용성)을 나타내는 경보신호(alarm signal)를 작동시킨다. 화재특성에 의존하여, 상기 제 2 임계치(threshold value)는 예를 들어 연기가스(smoke gas) 또는 일산화탄소 응축물(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또는 생명위헙적인 온도 또는 생명위협적인 방사압력(radiation pressure)이 될 수도 있으며, 화재 경보장치는 대응되는 센서(sensor)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제 2 수치 또는 제 2 임계치가 초과되어지자마자, 제어센터(control center) 또는 호출기(pager)와 같은 특수한 장치가 해당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소방대장(commander)은 각각의 대피경로가 이용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며, 따라서 이러한 대피경로를 차단시킬 기회를 가지게 된다.
제 2 임계치(threshold value)는 예비-경보(pre-alarm)에 해당하는, 다소 작은 제 3 임계치가 할당되어질 수 있어서, 제어센터는 어떤 대피경로가 앞으로 이용불가능하게 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장치(fire alarm)의 선호적인 제 2 실시예는, 경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질 수 있는 광학 및 음향표시장치, 광학표시장치, 음향표시장치 또는 경보수단(alarm means), 또는 상기 표시장치 및 경보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들은 경보장치 자체 상에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예를 들어 복도 또는 계단(stairwell)으로의 입구와 같이, 경보장치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적절한 지점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장치의 또 다른 선호적인 실시예는, 경보장치를 둘러싸는 공간(즉, 측면입구 및 계단)을 감시(monitoring)하기 위한 카메라(camera)와, 그리고 화재 경보시스템의 제어센터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선호되는 중앙 평가 및 관찰 스테이션(또는 중앙 평가 스테이션, 중앙 관찰 스테이션)으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기록된 각각의 영상(image)들의 제어되게 전송하기 위한 수단(means)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에서, 정보(information)는 경보장치(alarm)로부터 제어센터(control center)로의 방향으로만 흐르고 제어센터 또는 제어센터의 소방대장(commander)은 정보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카메라가 장착된 화재 경보장치(fire alarm)는 소방대장이 의도적으로 특정한 공간 또는 특정한 대피경로를 광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 경보장치의 센서들과 같은 것에 의해서 감지될 수 없는 가능한 위험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대피경로가 안전하게 사용되기에 여전히 충분하게 구조적으로/기계적으로 안전한지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부상자 또는 무의식상태의 사람이 발견하고 이들을 구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어센터(control center)와, 상기 제어센터에 연결된 화재 경보장치(fire alarm)들과, 조절가능한 디스플레이 수단(display means)을 가진 대피경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가진, 화재 경보 시스템(fire alarm system)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fire alarm system)은, 대피 경로(escape route)의 영역 내에 이하에서는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로 불리는 화재 경보장치(fire alarm)들이 제공되어지며, 상기 화재 경보장치들에 의해서 화재 특성들은 생명을 위협하는 수치들에 대해서 감시(monitor)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추가적인 감시(monitoring)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수단은 제어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display means)은 현재 일반화된 화살표(arrow)의 형태로 된 간단한 디스플레이(display) 또는 빌딩전체 또는 건물의 일부분을 위한 복잡한 디스플레이 판넬(display panel)이 될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수단은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상에서 직접적으로 제공되어지며, 따라서 사용될 수 없는 대피경로(escape route)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감시(monitoring)에 의해서 표시되어진다.
호텔 객실 내에서, 대피경로는 예를 들어 전자 디스플레이 판넬(electronic display panel)에 의해서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판넬 상에서 자유로운 대피경로는 녹색 화살표로 표시되어지고, 차단된 대피경로는 적색으로 표시된 녹색화살표로 표시되어진다. 또한, 다음에는 사용될 수 없는 대피경로(escape route)는 적절한 경고심볼(warning symbol)에 의해서 표시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선호적인 제 1 실시예는, 대피경로의 영역에서, 이하에서는 인원 계수기(people counter)라고 불리는 수단(means)이 사람들의 유동을 모니터하기 위하여 각각의 대피경로 내에 제공되어지고, 디스플레이 수단은 이러한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서 제어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시스템이 대피경로 내에서 사람의 유동에 대한 신뢰할만한 정보를 제공하고, 따라서 초과된 대피경로들이 차단되어지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선호적인 제 2 실시예는, 대피 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또는 인원 계수기(people counter) 또는 대피 경로 감지기 및 인원계수기들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수단(display means)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국부적인 대피 경로 제어기능이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복도 내에 설치된 대피 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또는 인원 계수기(people counter) 또는 대피 경로 감지기 및 인원계수기들은 상기 복도로의 입구에 배치된 디스플레이(display)에 연결되어진다. 계단(stairwell) 또는 메인 복도 내에 설치된 대피 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또는 인원 계수기(people counter) 또는 대피 경로 감지기 및 인원계수기들은 계단 또는 메인 복도로의 입구 또는 측면 입구 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display)에 유사하게 연결되어져서, 상기 입구 또는 측면 입구들이 이용불가능한 것으로 표시되어질 수 있다.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또는 인원 계수기(people counter) 또는 대피경로 감지기 및 인원계수기들은 디스플레이 수단(display means)으로의 연결은 제어센터(control center)를 경유하게 확장될 수 있고, 대피경로가 국부적으로 제어되어진다면, 고장의 경우에 대한 대비와 같은 특별한 상황하에서 유용하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선호적인 제 3 실시예는,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가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속으로 일체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선호적인 또 다른 실시예는, 모든 화재경보장치 및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들이 연결되어지며 현재의 화재 및 대피 경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특징으로 하며, 경보 발생시에 상기 컴퓨터에 의해서 가장 적합한 대피경로가 계산되어지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어진다. 화재 경보장치(일반적인 화재 경보장치 및 대피경로 감지기) 및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 및 디스플레이 요소들에 의해서, 해당 소프트웨어를 가진 컴퓨터는 구조 시스템(evacuation system)을 형성한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경보발생이 없는 상태에서의 심각한 경우를 시뮬레이션(simulation)할 수 있는 화재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것은 특히 공간의 새로운 사용 또는 특별한 사용의 경우에, 시스템과 대피경로를 계획하는데 아주 유용하게 된다. 이러한 화재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의해서, 예를 들어 시스템(대피경로 감지기 및 인원계수기 및 디스플레이 요소)의 기능은 건물의 주어진 인원밀도와 주어진 위험상황에 대해서 운영될 수 있고, 시스템은 테스트되어지고 최적화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경보발생시 구조작업(evacuation)은 시뮬레이터된 화재의 이론적인 모델(model)에 근거하지 않아야만 하며, 대피경보 및 인원계수기 데이터에 의해 제공된 실제적인 조건들을 참고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시스템(evacuation system)은 어떠한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또는 인원 계수기(people counter) 또는 대피경로 감지기 및 인원계수기들도 연결되지 않은 모든 시뮬레이터된 화재 또는 구조작업 모델(evacuation model)로부터 실제적으로 다르다.
나아가, 구조 시스템(evacuation system)은 국부적인 위협 및 건물에 관한 그래픽 도해(graphic illustration)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소방대장(commander)에게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fire alarm system)은 음성 시스템(voice system)에 연결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선호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는 광 차단기(light barrier) 또는 광 커튼(light curtain)의 형태로 설계되어지며, 감지영역을 지나가는 인원을 계수(counting)하기 위한 제공되어진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사람들은 예를 들어 CMOS 기술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처리 기능에 의해서 계수(counter)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다음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fire alarm system)의 제 1 상세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 2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재경보장치 2 : 카메라
3 : 경보인서트 5 : 연기유입개구
6 : 광학모듈 7 : 전자평가유닛
8 : 광원 9 : 광수신기
11 : 출력부 12 : 제어센터
13 : 대피경로표시장치 15 : 온도센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fire alarm system)은, 제어센터(control center, 12)와 대피경로 표시장치(escape route display, 13)에 연결된,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 및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 P)를 도시한다. 대피경로 감지기(F)는 예를 들어 화재특성을 위한 추가적인 센서(sensor)들에 의해서 확대되어진 산란광(scattered light) 또는 포인트 소화 감지기(point extinction detector)와 같은, 광학 화재경보장치(optical fire alarm, 1)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적인 센서(sensor)들은 대피경로 감지기(F)의 실제 핵심을 형성하는 CO 센서(14) 및 온도센서(temperature sensor, 15)이다. (도시되지 않은) 방사 압력 센서(radiation pressure sensor)는 선택적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CO 센서는 핵심(core)으로서 기술되어지는데, 지금까지 화재의 경우에 가장 치명적인 것은 CO 중독이기 때문이다. 적합한 CO 센서는 EP-B-0 612 408호에서 기술되어지며(EP-A-0 803 850호 참조), NTC 써미스터(Thermistor)가 온도 센서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AlgoRex 화재경보 시스템의 PolyRex 연기경보; 여기서 PolyRex 및 AlgoRex는 Cerberus AG의 등록상표들이다).
화재 경보장치(fire alarm, 1)와 유사한 광학 경보장치(optical alarm)는 공지된 것으로 여겨지므로, 여기서는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의 특허출원 EP-A-0 616 305호, EP-A-0 813 178호, EP-A-0 821 330호 및 EP-A-0 776 252호가 참조되어진다. 선택적으로,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는 화재 경보장치(1) 뿐만 아니라 카메라(camera, 2)를 포함한다. 도시된 화재 경보장치(1)는, 공지된 방법으로 (도시되지 않은) 기저부(base)에 고정가능한 경보 인서트(alarm insert, 3)로 구성되고, 상기 경보 인서트(3)에 걸쳐서 미끄러질 수 있고 천장영역(crest region)에서 연기 유입개구부(smoke inlet orifice, 5)가 제공된 경보캡(alarm cap, 4)으로 구성된다. 경보 인서트(3)는 광학 모듈(optical module, 6)과 전자 평가유닛(electronic evaluation unit, 7)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산란광 경보장치(scattered light alarm)의 경우에 있어서, 광학모듈(optical module, 6)은 광원(light source, 8)과 광수신기(light receiver, 9)를 포함하는 측정챔버(measurement chamber, 10)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며, 도시되지 않은 수단(means)에 의해서 외부의 외부광(external light)으로부터 보호되어진다. 적외선 또는 적색 또는 청색 발광다이오드(IRED 또는 LED)에 의해 형성된 광원(8)과 광 수신기(9)의 광학적 축(optical axes)들은 서로를 향하여 비틀려져 있고, 이러한 경로 및 차단기(shutter)들은 광원(8)으로부터 광수신기(9)로 광선이 직접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광원(8)은 짧고 강도가 높은 광펄스를 분산챔버(scatter chamber)로서 기술된 측정챔버(measurement chamber, 10)의 중심부분 속으로 전달하며, 광수신기(9)는 분산챔버를 “감지(seeing)”하지만 광원(8)은 감지하지 않는다.
광원(light source, 8)으로부터의 광(light)은 분산챔버 속으로 침투하는 연기에 의해서 분산되어지고, 이러한 분산된 빛의 부분(proportion)이 광수신기(9) 상에서 충돌한다. 따라서, 발생된 수신기 신호는 전자 평가유닛(electronic evaluation unit, 7)에 의해서 처리되어진다. 처리과정 동안, 수신기 신호는 공지된 방법으로 경보 임계치(alarm threshold) 및 하나이상의 예비-경보 임계치(pre-alarm threshold)와 비교되어지고, 이하에서 화재 경보 임계치(fire alarm threshold)라고 불리는 경보 임계치(alarm threshold)가 수신기 신호에 의해 초과되어질 때, 전자 평가유닛(7)은 출력부(output, 11)에서 경보 신호를 보낸다. 예를 들어, 퍼지 로직(fuzzy logic) 또는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하는 지능형 신호 처리방법은, 허용될 수 없는 오작동 경보는 발생시키지는 않지만, 가능한 낮은 연기 수치(smoke value)에서 경보 신호는 방출되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임계치(threshold) 이외에도, 전자 평가유닛(electronic evaluation unit, 7)은 이하에서 대피경로 감지기 임계치(escape route detector threshold)라고 불리는 또 다른 경보 임계치(alarm threshold)를 포함하는데, 상기 대피경로 감지기 임계치는 화재경보 임계치보다 상당히 높으며, 예를 들어 미터당 10%의 생명위험 연기농도에 상응한다. 전자 평가유닛(7)은 상당한 동적 영역(dynamic range)이 처리되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져야만 한다. 따라서 도시된 연기경보(smoke alarm)로써, 심지어 화재 경보가 작동된 이후에도 수신기 신호(receiver signal)는 여전히 관찰되어지며, 수신기 신호가 대피경로 감지기 임계치(escape route detector threshold)를 초과하였는지 여부가 조사되어진다. 신호경향(signal trend)에 의존하여, 예를 들어 간단한 실시예에서, “대피경로 안전(escape route safe)” 또는 “대피경로 불안전(escape route unsafe)”(위험)에 대한 단일의 추가적인 비트(bit)가 출력부(output, 11)를 통해서 전달되어지고, “대피경로 불안전”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비트(bit)는 각각의 대피경로는 통과할 수 없음을 나타난다. 상기 비트(bit)는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센터(control center, 12)에 전달되어지며, 선택적으로는 각각의 화재 경보장치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서 제어되어지는 조절가능한 대피경로 표시장치(escape route display, 13)에 연결되어지며, 각각의 화재 경보장치에 의해 모니터된 대피경로(escape route)가 제어센터(12)에 의해서 또는 경보장치에 연결된 대피경로 표시장치(13)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차단되어지도록 한다. 표시장치(display)는 예를 들어 통과가능한 경우에는 녹색으로, 통과불가능한 경우에는 적색으로 발광하는 비상구(emergency exit)를 위한 통상적인 조명된 표시장치들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색채들은 해당 픽토그램(pictogram)에 의해서 표시되어질 수 있다. “대피경로 불안전” 정보는 원격 전송장치(remote transmission)에 의해서 접근하는 소방대원에게 전달되어질 수 있다.
전자 평가유닛(electronic evaluation unit, 7)은 또한 화재 경보 임계치와, CO 센서(14) 및 온도센서(15)를 위한 추가적인 대피경로 감지기 임계치, 예를 들어 1,000 내지 1,500 ppm의 CO에 해당하는 CO 센서(14)의 대피경로 감지기 임계치 및 예를 들어 약 60℃에 대한 온도 센서(15)의 대피경로 감지기 임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기밀도(smoke density)에서와 같이, 전자 평가유닛(7)은 CO센서(14) 및 온도센서(15)의 수신기 신호를 모니터하고, 각각의 대피경로 감지기 임계치가 초과되어질 때 해당 신호를 출력부(output, 11)로 전달하여, “대피경로 비어있음(escape route free)” 또는 “대피경로 불안전(escape route unsafe)”을 위한 추가적인 비트(bit)가 경보장치에 연결된 대피경로 표시장치(13) 또는 제어센터(control center, 12)로 전달되어지고, “대피경로 불안전”의 경우에 대피경로가 차단되어지도록 한다.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 P)는 광 차단기(light barrier) 또는 광 커튼(light curtain)의 형태로 설계되어지며, 예를 들어 능동광원(active light source)과 그리고 전자평가 유닛을 가진 수신기(receiver)를 각각 포함하는 두개의 능동 적외선 경보장치(active infrared alarm)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는 예를 들어 EP-A-0 845 765호에서 기술되어진다.
직접적으로 또는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를 통해서 대피경로 표시장치(13) 및 제어센터(12)에 연결된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 P)는 각각의 대피경로에서 사람의 유동(flow)을 계수(counter)한다. 인원계수기(P) 또는 대피경로 감지기(F) 내에서 또는 선택적으로는 제어센터(12) 내에서 제공된 측정치(measured value)는, 해당 전자 평가유닛에서 경보 임계치와 비교되어지며, 측정치가 경보 임계치를 초과할 때 대피경로 표시장치(13)는 각각의 대피경로가 차단되어지도록 작동되어진다. 인원계수기(P)는 대피경로 감지기(F) 속으로 일체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대피경로 감지기(F)로부터 분리되게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카메라(camera, 2)는 화재 경보장치(1)에 연결된 캐리어 부품(carrier part, 16)에 배치되어지는 것이 선호되며, 상기 캐리어 부품은 화재 경보장치 상으로 작동되어지며, 출력부(output)가 전자 평가유닛(7)에 연결된 카메라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스테이지(stage)를 포함한다. 카메라(2)는 항상 촬영할 준지가 되어있지만, 제어센터(12)에 모니터된 공간에 관한 화면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는 제어센터(12)로부터 해당명령에 기초해서만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에서, 소방대장(commander)은 원격제어에 의해서 대피경로를 점검할 수 있고, 만일 대피경로들이 더 이상 안전하지 못하다고 판단되면 대피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소방대장은 대피경로 내부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어서, 부상자 또는 무의식상태의 사람들이 즉시 구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원을 계수(counting)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카메라(2)는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 또는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 P)의 대피경로 임계치를 초과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작동되어질 수도 있고, 제어센터(12)로 영상(image)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장치(alarm, 1)와 제어센터(12) 사이의 데이터 버스(data bus)에 의해서 형성된 연결부(connection)가 경보단계(alarm stage)에서 카메라(2)로부터의 영상신호들에 의해서 차단되어지지 않아서, 경보신호들이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제어센터(12)로 어떠한 시간에도 지연됨이 없이 통과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센서가 응답하고 화재경보장치가 이미 작동되어지거나 또는 대피경로 경보 임계치가 초과된 순간에, 인명구조의 가능성이 이러한 방법에서 극적으로 개선되기 때문에 소방대장이 대피경로를 모니터할 수 있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
카메라(2)는 경보장치(1)에 구조적으로 연결되어질 필요가 없지만, 경보장치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배열되어질 수 있지만, 이는 선(wiring) 배열을 위한 추가적인 비용을 필요로 하는 것은 분명하다. 카메라(2)는 CMOS 기술 카메라가 선호되며, 경보장치(1)의 프로세서(processor)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들을 압축해서, 1분당 약 5개의 픽쳐(picture)의 주파수(frequency)에서 통상적인 데이터 버스(data bus)를 통해서 전달되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전송속도는 데이터 버스의 점유상태(occupancy)에 의존한다.
제어센터(12)는 시스템의 모든 화재 경보장치 및 모든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 P)와,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와 “일반적인” 화재 경보기가 연결되어진 적합한 소개 소프트웨어(evacuation software)를 가진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소프트웨어 툴(software tool)은 “엑소더스(exodus)”로서 알려져 있다. 경보가 발생한 경우에, 화재 경보장치들은 현재와 화재와 대피경로 데이터를 컴퓨터에 제공하며, 인원계수기(P) 또한 현재의 대피경로 데이터를 컴퓨터에 제공하고, 컴퓨터는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해서 가장 최적의 대피경로를 계산하며 이에 따라서 대피경로 표시장치(13)를 전환(switch)한다.
컴퓨터 및 연결된 주변장치들을 가진 제어센터(12)는 화재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보완된 대피 시스템(evacuation system)을 형성한다. 화재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는 화재가 없을 때 심각한 경우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고, 이는 시스템과 대피경로 또는 공간의 새로운 사용 또는 특별한 사용을 계획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도 2는 4개의 측면 입구(side entrance, G)들이 개방된 직사각형 계단(stairwell, S)에 대한 개략도이다. 상기 계단(S)은 도어(door, T)에 의해서 각각의 측면입구(G)에서 닫히며, 도어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의 대피경로 표시장치(13)가 배치되어진다. 각각의 경우에서 측면입구-측면 대피경로 표시장치는 도면부호 (13)로 표시되어지고, 계단 측면 대피경로 표시장치는 도면부호 (13')에 의해서 표시되어진다. 또한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는 계단(S)과 측면입구(G) 내에 설치되어지며, 계단(S) 내의 대피경로 감지기(들)는 측면입구-측면 대피경로 표시장치(13)에 연결되어진다. 측면입구(G) 내의 각각의 대피경로 감지기(F)는, 각각의 측면입구를 폐쇄하는 도어(T)의 계단측면 상에서 배치된 대피경로 표시장치(13')에 연결되어진다.
각각의 측면입구(G)를 폐쇄하는 도어(T)의 계단측면 상에서 배치된 대피경로 표시장치(13')에 직접적으로 또는 근접하게 배치된 대피경로 감지기(F)를 통해서 연결된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 P)는 측면입구(G)에 배치되어진다. 또한 인원계수기(P)는 계단(S) 내에 배치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계단(S)내의 사람의 유동은 계단(S)으로 개방되고 이로부터 분기되어 구성된 측면입구(G)의 데이터(date)로부터 계산되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만일 대피경로 경보 임계치가 초과되어진 것을 계단(stairwell, S)내의 대피경로 감지기(들)가 감지하거나 또는 계단(S)이 과도하게 채워진 것을 인원계수기(P) 수치들이 표시한다면, 모든 관련된 측면입구-측면 대피경로 표시장치(13)는 통과할 수 없도록 전환(switch)되어져서, 측면입구(G)로부터 계단(S)으로의 접근이 차단되어지도록 한다. 만일 대피경로 경보 임계치가 초과되어진 것을 측면입구(G) 내의 대피경로 감지기(F) 또는 인원계수기(P)가 감지한다면, 측면입구를 폐쇄하는 도어(T)의 계단측면 상의 대피경로 표시장치(13')는 통과할 수 없도록 전환(switch)되어지고, 따라서 이러한 측면입구로의 접근은 차단되어진다.
도 2의 대피경로 감지기 및 인원계수기들을 구비한 화재 경보 시스템의 작동모드를 주로 도시하도록 사용된 실례는 비제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한편으로는 인원계수기(P)들과 다른 한편으로는 대피경로 표시장치(13,13')와 대피경로 감지기(F) 사이의 전송작용(communication)이 도시된 직접 연결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달성되어질 수 있는 것은 당업자들에게 자명하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전송작용(communication)은 (도 1의) 제어센터(12)를 통해서 유효하게 되고, 추가적으로 소방대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전송작용(communication)은 데이터 버스(date bus)에 제한되지 않으며, 무선(wirelessly)으로 또는 소위 하이브리드 시스템(hybrid system)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도 자명하다.
또한, 전체 건물 또는 건물의 개별적인 층 또는 부속건물 내의 대피경로 표시장치들을 상호 연결하고 따라서 대피경로를 차단하기 위한 명령(command)이 대피경로 표시장치로부터 다른 대피경로 표시장치로 릴레이(relay)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대피경로에 대한 표시장치가 각각의 경우에서 현재상태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장점이 된다.

Claims (31)

  1. 사전결정된 제 1 수치(value)가 각각의 화재특성(fire characteristic)에 의해서 초과되어질 때 경보장치(alarm)가 작동되어지는 전자 평가유닛(7)과 하나 또는 복수의 화재특성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센서(sensor, 6,14,15)를 가진 화재 경보장치(fire alarm)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센서(sensor, 6,14,15)들에 의해서 각각의 화재특성(fire characteristic)의 더 높은 제 2 수치가 추가적으로 감시(monitor) 되어지고, 상기 제 2 수치가 초과되어질 때, 각각의 대피경로(escape route)의 불사용성(unusableness)을 표시하는 경보신호(alarm signal)가 작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광학적(optical) 및 음향적(acoustic) 표시장치(13,13') 또는 경보수단은 상기 경보신호(alarm signal)에 의해서 작동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광학적(optical) 또는 음향적(acoustic) 표시장치(13,13') 또는 경보수단은 상기 경보신호(alarm signal)에 의해서 작동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13,13') 또는 경보수단은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 상에서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13,13') 또는 경보수단은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 상에서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13,13') 또는 경보수단은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로부터 거리를 두고 설치된 대피경로 표시장치(escape route display)에 의해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13,13') 또는 경보수단은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로부터 거리를 두고 설치된 대피경로 표시장치(escape route display)에 의해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대피경로 감지기(F)를 둘러싸는 측면입구(G)와 계단(S)을 감시(monitoring)하기 위한 카메라(camera, 2)와, 그리고 상기 카메라(2)에 의해 기록된 각각의 영상(image)들을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센터(control center, 12)의 일부를 형성하는 중앙 평가 및 관찰 스테이션으로 제어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대피경로 감지기(F)를 둘러싸는 측면입구(G)와 계단(S)을 감지(monitoring)하기 위한 카메라(camera, 2)와, 그리고 상기 카메라(2)에 의해 기록된 각각의 영상(image)들을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센터(control center, 12)의 일부를 형성하는 중앙 평가 스테이션 또는 중앙 관찰 스테이션으로 제어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센서(sensor)들은 연기 또는 연소가스 센서(6 또는 14)에 의해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센서(sensor)는 광학적 연기센서(6, 광학모듈)에 의해서 형성되어지고, 대피경로 감지기(F)는 CO 센서(14) 및 온도센서(temperature sensor, 15) 및 방사압력(radiation pressure)을 위한 센서(sens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센서(sensor)는 광학적 연기센서(6, 광학모듈)에 의해서 형성되어지고, 대피경로 감지기(F)는 CO 센서(14) 또는 온도센서(temperature sensor, 15) 그리고 방사압력(radiation pressure)을 위한 센서(sens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장치
  14.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센서(sensor)는 광학적 연기센서(6, 광학모듈)에 의해서 형성되어지고, 대피경로 감지기(F)는 CO 센서(14) 또는 온도센서(temperature sensor, 15) 그리고 방사압력(radiation pressure)을 위한 센서(sens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장치
  15.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센서(sensor)는 광학적 연기센서(6, 광학모듈)에 의해서 형성되어지고, 대피경로 감지기(F)는 CO 센서(14) 또는 온도센서(temperature sensor, 15) 또는 방사압력(radiation pressure)을 위한 센서(sens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장치
  16.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카메라(camera, 2)는 화재 경보장치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캐리어 부품(carrier, 16) 내부에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장치
  17.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카메라(camera, 2)는 화재 경보장치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된 캐리어 부품 내부에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장치
  18. 삭제
  19. 제어센터(control center, 12)를 가지며, 상기 제어센터에 연결된 화재 경보장치들을 가지며, 조절가능한 표시장치(13,13')를 가진 대피경로 표시 시스템(escape route display system)을 가지는, 화재 경보 시스템(fire alarm system)에 있어서,
    대피경로(escape route)의 영역 내에는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가 제공되어지며, 대피경로(escape route)의 영역 내에는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 P)가 사람들의 유동(flow)을 모니터링(monitor)하기 위하여 각각의 대피경로 내에 제공되어지며, 표시장치(13,13')들은 상기 모니터링(monitoring)에 의해서 제어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 및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 P)들은 각각의 표시장치(display means)에 직접적으로(directly)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21. 제 19 항에 있어서,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 또는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 P)들은 각각의 표시장치(display means)에 직접적으로(directly)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인원계수기(P)들은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 속으로 일체구성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23. 제 19 항에 있어서,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detector, F)들은 감시(monitor)되어지는 측면입구(G)와 계단(S)의 비디오 모니터링(video monitoring)을 위한 카메라(camera, 2)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카메라(camera, 2)는 대피경로 감지기(F)에 연결된 침입경보 장치(intrusion alarm)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25.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 P)들은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alarm, F)에 연결되어지며, 인원계수기(P)로부터 발생한 신호들은 대피경로 감지기(F)로 전송되어지고, 상기 대피경로 감지기(F)로부터 표시장치(display means, 13,13') 및 제어센터(control center, 12)에 전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26.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인원계수기(people counter, P)들은 대피경로 감지기(escape route alarm, F)에 연결되어지며, 인원계수기(P)로부터 발생한 신호들은 대피경로 감지기(F)로 전송되어지고, 상기 대피경로 감지기(F)로부터 표시장치(display means, 13,13') 또는 제어센터(control center, 12)에 전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27. 제 19 항에 있어서, 모든 대피경로 감지기(F) 및 인원계수기(P)가 연결되어지며 현재의 화재 및 대피경로 데이터가 제공되는 컴퓨터(computer)가 구성되어지며, 경보 발생시에 상기 컴퓨터에 의해서 가장 바람직한 대피경로가 계산되어지며 표시장치(13,13')들이 작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개 경보 시스템
  28.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인원계수기(P)들은 광 차단기(light barrier) 또는 광 커튼(light curtain)의 방식으로 설계되어지고 감지영역을 통과하는 사람들을 계수(counting)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인원계수기(P)들은 상호 마주보는 벽(wall)들 위에서 장착된 두개의 능동 적외선 경보장치(active infrared alarm)에 의해서 각각 형성되어지며, 전가 평가유닛(electronic evaluating unit)을 가진 수신장치(receiver)와 능동 광원(active light source)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30. 제 28 항에 있어서, 인원계수기(P)들은 천장(ceiling)에 장착된 능동 적외선 경보장치(active infrared alarm)에 의해서 각각 형성되어지며, 전가 평가유닛(electronic evaluating unit)을 가진 수신장치(receiver)와 능동 광원(active light source)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31.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영상처리(image processing)에 의해서 인원은 계수(counter)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KR1020007004469A 1998-09-09 1999-09-07 화재경보장치 및 화재경보시스템 KR100696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117034 1998-09-09
EP98117034.3 1998-09-09
CH2467/98 1998-12-11
CH246798 1998-12-11
PCT/CH1999/000413 WO2000014693A1 (de) 1998-09-09 1999-09-07 Brandmelder und brandmelde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437A KR20010031437A (ko) 2001-04-16
KR100696740B1 true KR100696740B1 (ko) 2007-03-19

Family

ID=25690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469A KR100696740B1 (ko) 1998-09-09 1999-09-07 화재경보장치 및 화재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046146B1 (ko)
KR (1) KR100696740B1 (ko)
CN (1) CN1125417C (ko)
AT (1) ATE239280T1 (ko)
AU (1) AU764012B2 (ko)
CZ (1) CZ300492B6 (ko)
DE (1) DE59905313D1 (ko)
ES (1) ES2198939T3 (ko)
HU (1) HU224146B1 (ko)
NO (1) NO317973B1 (ko)
PL (1) PL195861B1 (ko)
WO (1) WO20000146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659A (ko) 2019-03-29 2020-10-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작동 저감 자동화재속보설비 시스템
KR20230070658A (ko) * 2021-11-15 2023-05-23 휴먼릭스 주식회사 열상카메라 내장형 피플카운터 및 이를 이용한 산업현장 화재감지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6033B4 (de) 2002-10-02 2006-02-23 Novar Gmbh Fluchtleitsystem
DK1477948T3 (da) * 2003-05-12 2008-06-23 Siemens Ag Meldeanlæg med billedgivende sensor
EP1510988B1 (de) 2003-08-18 2009-03-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Übertragungsnetzwerk für die Übertragung mehrerer Informationsströme sowie Gefahrenmeldeanlage
WO2005069240A2 (en) * 2003-12-22 2005-07-28 Dunstan Walter Runciman Fire detector
JP4344269B2 (ja) * 2004-03-30 2009-10-14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感知器およびその状態情報取得システム
US7567182B2 (en) * 2004-06-03 2009-07-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coustic fire sensing system
US20070035255A1 (en) * 2005-08-09 2007-02-15 James Shuster LED strobe for hazard protection systems
HU3556U (en) 2008-04-09 2009-03-30 Laszlo Seboe Extingvisher for air-ducts and sanitary-ducts of multi-storey buildings
DE102008001391B4 (de) * 2008-04-25 2017-06-01 Robert Bosch Gmbh Brandmelde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Branddetektion
US9082275B2 (en) * 2011-02-18 2015-07-14 Lyndon Frederick Baker Alarm device for alerting hazardous conditions
CN103377536B (zh) * 2012-04-25 2015-07-01 深圳市中智盛安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消防应急疏散方法及系统
CN102682562A (zh) * 2012-05-29 2012-09-19 公安部上海消防研究所 一种在线式火灾烟气探测装置
EP2690610A1 (de) * 2012-07-26 2014-01-29 Hekatron Vertrieb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luchtwegelenkung
DE102013200815A1 (de) * 2013-01-18 2014-07-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Dynamische Fluchtwegkennzeichnung
CN104683741B (zh) * 2013-11-29 2018-01-19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基于周边环境动态控制云台和监控前端
CN103996261A (zh) * 2014-01-16 2014-08-20 公安消防部队昆明指挥学校 一种火灾报警信息采集系统
CN104056372B (zh) * 2014-02-11 2016-11-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供电公司 一种紧急警示照明装置
CN104990198B (zh) * 2015-05-18 2017-10-3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器及其火灾检测控制方法和系统
TWI547908B (zh) * 2015-07-16 2016-09-01 國立中興大學 外顯式即時救災警示系統之裝置與方法
CN105723427A (zh) * 2016-01-06 2016-06-29 冯旋宇 智能城市的火警控制方法及系统
US10557752B2 (en) * 2016-01-15 2020-02-11 General Monitors, Inc. Flame detector coverage verification system for flame detectors and having a hub structure for temporary attachment to the detectors
DE102016212346A1 (de) * 2016-07-06 2018-01-11 Dmw Schwarze Gmbh & Co. Industrietore Kg Türsystem sowie Tür als Bestandteil eines derartigen Türsystems
CN105931415A (zh) * 2016-07-11 2016-09-07 安徽升隆电气有限公司 一体化多功能电气火灾监控探测器
CN106781207A (zh) * 2017-01-24 2017-05-31 桂林师范高等专科学校 火灾报警系统
KR101967645B1 (ko) 2017-03-16 2019-08-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퍼지로직과 딥러닝 통합 기반의 화재 감지 장치 및 방법
US10726713B1 (en) 2019-04-01 2020-07-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issioning a security system
US11194460B2 (en) 2019-04-01 2021-12-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issioning a security system
EP3836101A1 (en) 2019-12-11 2021-06-16 Carrier Corporation A method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safe evacuation paths
KR102470166B1 (ko) * 2020-11-10 2022-11-23 휴먼릭스 주식회사 피플카운터가 내장된 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시스템
KR102616075B1 (ko) * 2021-11-11 2023-12-20 휴먼릭스 주식회사 안내장치를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6018A (en) * 1986-05-26 1989-01-03 Hockiki Corp. Exit guid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225A (en) * 1975-05-09 1978-02-14 Engleway Corporation Emergency detection alarm and evacuation system
GB2223871A (en) * 1988-09-29 1990-04-18 Colt Int Ltd Escape route indication system
GB8912559D0 (en) * 1989-06-01 1989-07-19 Emi Plc Thor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ersonnel safety arrangements
EP0476562A3 (en) * 1990-09-19 1993-02-10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ing body and facilities
FR2686177B1 (fr) * 1992-01-13 2002-12-06 Cerberus Guinard Systeme d'evacuation dynamique pour locaux et procede d'evacuation.
DK169931B1 (da) * 1992-11-20 1995-04-03 Scansafe International Evakueringssystem
DE4241862C2 (de) * 1992-12-11 2001-03-01 Ceag Sicherheitstechnik Gmbh Sicherheitssystem sowie Verfahren, mit dem das Sicherheitssystem betrieben wird
CH685409A5 (de) * 1993-03-19 1995-06-30 Cerberus Ag Brandmelder.
CH686913A5 (de) * 1993-11-22 1996-07-31 Cerberus Ag Anordnung zur Frueherkennung von Braenden.
WO1996025729A1 (en) * 1995-02-17 1996-08-22 Rijlaarsdam Design Holding B.V. Escape route indication system
FI952559A (fi) * 1995-05-26 1996-11-27 Leo Hatjasalo Menetelmä kulunohjaukseen ja kulunohjausjärjestelmä
DE19644127B4 (de) * 1996-10-23 2004-03-25 Klingsch, Wolfram, Prof. Dr.-Ing. Evakuierungs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6018A (en) * 1986-05-26 1989-01-03 Hockiki Corp. Exit guid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659A (ko) 2019-03-29 2020-10-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작동 저감 자동화재속보설비 시스템
KR20230070658A (ko) * 2021-11-15 2023-05-23 휴먼릭스 주식회사 열상카메라 내장형 피플카운터 및 이를 이용한 산업현장 화재감지시스템
KR102657015B1 (ko) * 2021-11-15 2024-04-12 휴먼릭스 주식회사 열상카메라 내장형 피플카운터 및 이를 이용한 산업현장 화재감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417C (zh) 2003-10-22
CN1277704A (zh) 2000-12-20
NO317973B1 (no) 2005-01-17
KR20010031437A (ko) 2001-04-16
WO2000014693A1 (de) 2000-03-16
DE59905313D1 (de) 2003-06-05
HU224146B1 (hu) 2005-05-30
NO20002271L (no) 2000-05-08
EP1046146A1 (de) 2000-10-25
HUP0004233A3 (en) 2003-08-28
HUP0004233A2 (en) 2001-03-28
CZ20001674A3 (en) 2001-05-16
EP1046146B1 (de) 2003-05-02
AU5404699A (en) 2000-03-27
PL195861B1 (pl) 2007-10-31
CZ300492B6 (cs) 2009-06-03
NO20002271D0 (no) 2000-04-28
ATE239280T1 (de) 2003-05-15
ES2198939T3 (es) 2004-02-01
PL340408A1 (en) 2001-01-29
AU764012B2 (en) 200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740B1 (ko) 화재경보장치 및 화재경보시스템
RU25447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и указатель пути эвакуации для него
US6873256B2 (en) Intelligent building alarm
US7026947B2 (en) Building emergency path finding systems and method
US10614687B2 (en) Active intruder mitigation system and method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CN100470597C (zh) 安防监控系统
KR102580356B1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04908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기능을 갖는 스마트 비상등 시스템
WO2017065689A1 (en) A rapid warning &amp; evacuation system (rawes)
KR20210050457A (ko) 적응적 화재 감지
KR102103786B1 (ko) 지능형 화재 대피 유도시스템
WO2009017628A2 (en) Programmable, progressive guid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722090B1 (ko) 전기밀폐공간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H0214400A (ja) 警報装置
CN109785567B (zh) 防火门集中提示装置与防火门系统
EP1290660B1 (en) A system and an arrangement to determine the level of hazard in a hazardous situation
JP6463923B2 (ja) 避難設備
KR20170079165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560195B1 (ko) 소방 비상구 유도표시판
KR102673334B1 (ko) 지능형 피난안내도
KR20240037566A (ko) 수신기 연동 비상 유도 시스템
KR102266482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감지 시스템
JPH1049775A (ja) 防災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