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860B1 -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860B1
KR101439860B1 KR1020130071413A KR20130071413A KR101439860B1 KR 101439860 B1 KR101439860 B1 KR 101439860B1 KR 1020130071413 A KR1020130071413 A KR 1020130071413A KR 20130071413 A KR20130071413 A KR 20130071413A KR 101439860 B1 KR101439860 B1 KR 101439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extinguisher
detect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상
정회경
Original Assignee
최진상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상,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최진상
Priority to KR1020130071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꽃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들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지부(100), 상기 화재 감지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화재 발생을 인지할 경우,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감지한 화재에 의한 연소 가스를 분석하여, 화재 원인 물질을 판단하는 가스 분석부(200) 및 상기 화재 감지부(100) 및 상기 가스 분석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화재 발생을 인지할 경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가스 분석부(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에 따라, 소화기 또는 스프링클러(sprinkler)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관제 서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소화기는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 소화기 및 청정약제 소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in realtime}
본 발명은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시 발생하는 연소 가스를 분석하여 화재 원인 물질을 판단하는 가스 분석부를 구비함으로써, 발화 장소를 판단하고 연소 가스의 이동 방향을 예측하여 이에 알맞은 화재 경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화재 원인 물질에 알맞은 소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단위 주거공간, 아파트, 공동 주택 등과 같이 다수의 세대가 밀집해서 거주하는 형태의 거주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실제 화재가 발생한 세대 또는 각 세내 실내가 아닌, 복도에 있는 별도의 음향 장치에 의한 경보의 소리로 화재 여부를 알리는 형태이다. 이러한 경보 음량은 부착된 음향 장치를 중심으로 1미터 떨어진 위치에서 90dB 이상이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화재 발생을 경보하는 자동 화재 탐지 장치에는 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중계기, 표시등, 유도등, 음향장치 및 시각경보기 등이 있다.
수신기는 P형, R형, GP형, GR형 및 M형으로 구분되며, 감지기와 연결되어 화재가 발생된 곳을 탐지하는 설비를 의미하며, 감지기는 열, 연기, 화염 및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기로 구분되며, 작동 방식에 따라서 차동식, 정온식, 보상식, 열식, 이온화식 및 연기식 등으로 구분되고 감지 성능에 따라서 특종, 1종, 2종 및 3종 등으로 구분된다.
발신기는 화재를 발견한 사람이 수동으로 스위치를 조작하여 화재 통보 신호가 수신기 또는 중계기로 발신되도록 하는 설비를 의미하며, 기능에 따라서 P형, T형 및 M형으로 구분되며, 설치 장소에 따라서는 옥외형 및 옥내형으로 구분한다.
중계기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M형 발신기 제외) 작동에 의한 신호 또는, 가스 누설 경보기의 탐지부로부터 가스 누설 신호를 입력받은 후, 이를 수신기(M형 수신기 제외), 가스 누설 경보기 등 또는, 이와 유사한 경보 설비에 제어 신호를 발신하고, 자각각의 감지기나, 발신기 또는, 가스 누설 경보기의 탐지부의 신호를 회선마다 고유의 신호로 변환시켜 전달한다.
표시등 및 유도등은 화재 발생 시 인명의 안전을 위하여 비상 탈출구 또는 피난을 위한 설비까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등화나 표지등을 이용한 피난기구이며, 음향장치는 화재 경부를 음향으로 알려주는 설비로써,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1m 떨어진 위치에서 90dB 이상이 되며, 감지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시각경보기는 빛의 점멸에 의하여 화재 발생을 안내하는 장치이다.
통상의 소방 관리에 사용되는 화재 수신기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신호를 직, 간접적으로 관리자 또는 소방 관제 센터로 화재 경보를 알리게 된다. 이 때, 화재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옥내외의 소화 설비인 스프링클러를 제어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화재 수신기는 소방 시설이 설치된 건물의 내외에 다수의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이들 화재 수신기 간에 상호 통신이 불가능하여 건물 이용자에게 신속한 화재 정보를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화재의 최초 발생 시간 및 발화 장소가 전달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일반적인 화재 수신기는 화재 감지 및 화재 경보에만 국한되어 있어 다른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상호적으로 작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704018호("유/무선 재난 자동 감시 시스템",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저전력 무선 재난 감지 센서와 유/무선이 혼합된 중계 장치는 재난 감시 주장치와 통신하여 재난 발생 정보를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재난 감시 주장치와 외부로 전보를 전송하는 유선 선로의 유실로 인하여, 화재 등이 진행 중인 집합 건물 내의 화재의 진로를 예측할 수 없을 때, 비상 무선 재난 감시 장치를 두어, 빌딩 내에 설치된 중계 장치와 직접 무선 통신하여, 유실되지 않은 무선 재난 감지 센서의 정보를 파악하여 화재 등의 재난 진행 경로를 파악할 수 있는 재난 자동 감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을 통해서도 화재 원인 물질에 알맞은 소화 장치를 실시간으로 동작 제어하여 신속하게 화재 진압하기 위한 구성에 대한 언급은 전혀 되지 않고 있다.
국내 등록 특허 제10-0704018호 (등록일자 2007.03.2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시 발생하는 연소 가스를 분석하여 화재 원인 물질을 판단할 수 있는 가스 분석부를 이용하여 발화 장소 및 연소 가스의 이동 방향을 예측하고, 이에 알맞은 화재 경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화재 원인 물질에 알맞은 소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은, 불꽃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들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지부(100), 상기 화재 감지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화재 발생을 인지할 경우,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감지한 화재에 의한 연소 가스를 분석하여, 화재 원인 물질을 판단하는 가스 분석부(200) 및 상기 화재 감지부(100) 및 상기 가스 분석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화재 발생을 인지할 경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관제 서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상기 가스 분석부(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에 따라, 소화기 또는 스프링클러(sprinkler)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소화기는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 소화기 및 청정약제 소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 및 상기 가스 분석부(200)가 구비된 건물별 연소 가능 물질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부(3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연소 가능 물질과 상기 가스 분석부(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을 비교하여, 발화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 제어 정보,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 제어 정보 및 발화 위치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외부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서,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을 강제 제어하거나,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을 강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화재 감지 방법은, 불꽃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재 감지부에서 상기 센서들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발생 판단 단계(S100), 상기 화재 발생 판단 단계(S1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경우, 가스 분석부에서 화재에 의한 연소 가스를 분석하여, 화재 원인 물질을 판단하는 가스 분석 단계(S200) 및 중앙 관제 서버부에서 화재 경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가스 분석 단계(S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에 따라 소화기 또는 스프링클러(sprinkler)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진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소화기는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 소화기 및 청정약제 소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실시간 화재 감지 방법은 상기 가스 분석 단계(S200)를 수행한 후, 상기 화재 발생 판단 단계(S100)에서 판단한 화재 발생 정보 및 상기 가스 분석 단계(S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외부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하는 정보 전달 단계(S2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간 화재 감지 방법은 상기 정보 전달 단계(S210)를 수행한 후, 외부에서 상기 화재 경보 장치의 동작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소화 장치의 동작 제어 신호가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로 전달되는지 판단하는 강제 신호 판단 단계(S220) 및 상기 강제 신호 판단 단계(S2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화재 경보 장치의 동작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소화 장치의 동작 제어 신호가 전달될 경우,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에서 상기 화재 경보 장치의 동작을 강제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소화 장치의 동작을 강제 제어하는 강제 진화 단계(S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은 화재 시 발생하는 연소 가스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에 따른 화재 원인 물질을 정확히 판단하여, 발화 장소 및 연소 가스의 이동 방향을 예측한 후, 이에 알맞은 화재 경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원인 물질에 알맞은 소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발화 장소 및 화재 원인 물질 등의 화재 관련 정보를 외부에 있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이에 따라서 화재 경보 장치 및 소화 장치를 강제 제어함으로써 화재에 의한 시스템 자체의 오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화재 감지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화재 감지 방법에 대한 또다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에 대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감지부(100), 가스 분석부(200) 및 중앙 관제 서버부(300)로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화재 감지부(100)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 포함되어 있는 불꽃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가스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지부(100)는 상기 불꽃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들을 모두 구비하고 있는 경우, 가장 민감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분석부(2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상기 센서들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인지한 경우,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감지한 화재에 의한 연소 가스를 분석하여 화재 원인 물질을 판단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화재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A급, B급, C급 및 D급으로 나뉘어지며,
A급 화재는 일반화재로 연소 후 재를 남기를 화재를 의미하며, 가장 일반적인 화재로 목재, 종이, 섬유 등의 가연물 화재를 의미한다.
B급 화재는 유류 화재로 재를 남기지 않는 화재를 의미하며, 유류, 가스 화재로 가연성 액체나 기체의 화재를 의미한다.
C급 화재는 전기 화재로 전기의 누전, 수변전 설비의 화재를 의미하고,
D급 화재는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및 지르코늄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분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가스 분석부(200)는 화재에 의한 연소 가스를 분석하여,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감지한 화재에 대한 원인 물질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 및 상기 가스 분석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실시간으로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소화 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화재 발생을 인지한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을 온(On) 시킴으로써, 음향장치, 표시등 및 음향 장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화재 감지부(100) 및 상기 가스 분석부(200)가 구비되어 있는 건물에 화재 여부를 빠르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분석부(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에 따라서,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을 온(On) 시킴으로써, 신속하게 화재가 진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화 장치로는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 소화기, 청정약제 소화기 및 스프링클러(sprinkler)를 의미한다.
상기 분말 소화기는 A급, B급 및 C급 화재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성능이 좋지만 소화 후 분말이 남는 단점이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상기 분말 소화기와 마찬가지로, A급, B급 및 C급 화재에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소화 후 잔유물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가격이 비싸고 사용 시 동사의 위험성이 있다.
상기 할론 소화기는 A급, B급 및 C급 화재에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소화 후 잔유물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고가이며 프레온 가스와 같이 오존층을 파괴하므로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청정약제 소화기는 상기 할론 소화기를 대체할 수 소화기이다.
또한, 상기 스크링클러는 물을 분무상으로 방사시키는 소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1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 및 상기 가스 분석부(200)가 구비된 건물별 연소 가능 물질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화재를 감지한 후, 상기 가스 분석부(200)에서 연소 가스를 분석하여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연소 가능 물질을 비교하여, 화재의 정확한 발화 위치를 예측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신속한 화재 진압 뿐만 아니라, 화재 및 연소 가스의 이동 방향까지 예측하여 통보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판단한 화재 발생 여부에 따른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 제어 정보, 상기 가스 분석부(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에 따른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 제어 정보 및 발화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관리자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 제어 정보,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 제어 정보 및 발화 위치 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을 강제 제어하기 위한 신호 또는,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을 강제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에서 판단한 제어 신호보다 우선적으로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 또는,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을 강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화재 진압을 위해서 건물 내로 진입해야 하는 소방관과 협동 작업을 통해서 인명 피해의 최소화와 신속한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화재 감지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화재 감지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화재 감지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발생 판단 단계(S100), 가스 분석 단계(S200) 및 진화 단계(S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단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화재 발생 판단 단계(S100)는 상기 불꽃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상기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화재 감지부(100)가 구비된 건물 등의 화재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분석 단계(S200)는 상기 화재 발생 판단 단계(S1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화재 감지부(100) 및 상기 가스 분석부(200)가 구비된 건물 등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기 가스 분석부(200)에서 화재에 의한 연소 가스를 분석하여 화재 원인 물질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진화 단계(S300)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에서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가스 분석 단계(S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에 따라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화 장치로는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 소화기, 청정약제 소화기 및 스프링클러(sprinkler)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진화 단계(S3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화재 발생을 인지한 경우,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실시간으로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을 온(On) 시킴으로써, 음향장치, 표시등 및 음향 장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화재 감지부(100) 및 상기 가스 분석부(200)가 구비되어 있는 건물에 화재 여부를 빠르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분석부(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에 따라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을 온(On) 시킴으로써, 신속하게 화재가 진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진화 단계(S300)는 상술한 다양한 소화 장치 중에서 상기 가스 분석부(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에 따른 화재를 가장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소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분석 단계(S200)를 수행한 후, 정보 전달 단계(S21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전달 단계(S210)는 상기 화재 발생 판단 단계(S100에서 판단한 화재 발생 정보 및 상기 가스 분석 단계(S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외부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실시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단계(S210)를 수행한 후, 강제 신호 판단 단계(S220) 및 강제 진화 단계(S4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강제 신호 판단 단계(S220)는 상기 정보 전달 단계(S210)를 수행한 후, 외부에서 관리자로부터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로 상기 화재 경보 장치의 동작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 제어 신호가 전달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관리자는 상기 정보 전달 단계(S210)에 의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 제어 정보,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 제어 정보 및 발화 위치 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을 강제 제어하기 위한 신호 또는,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을 강제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강제 진화 단계(S400)는 상기 강제 신호 판단 단계(S2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의 관리자로부터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 제어 신호가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로 전달된 경우,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에서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을 강제 제어하거나,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을 강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강제 진화 단계(S400)는 상기 진화 단계(S300)에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에서의 판단에 의한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 제어 및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 제어보다 우선적으로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 및 상기 소화 장치(20)가 강제 제어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화재 진압을 위해서 건물 내로 진입해야 하는 소방관과 협동 작업을 통해서 인명 피해의 최소화와 신속한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 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화재 경보 장치 20 : 소화 장치
100 : 화재 감지부
200 : 가스 분석부
300 : 중앙 관제 서버부
310 :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8)

  1. 불꽃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들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지부(100);
    상기 화재 감지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화재 발생을 인지할 경우,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감지한 화재에 의한 연소 가스를 분석하여, 화재 원인 물질을 판단하는 가스 분석부(200); 및
    상기 화재 감지부(100) 및 상기 가스 분석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화재 발생을 인지할 경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관제 서버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상기 가스 분석부(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에 따라, 소화기 또는 스프링클러(sprinkler)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소화기는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 소화기 및 청정약제 소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 및 상기 가스 분석부(200)가 구비된 건물별 연소 가능 물질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부(3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연소 가능 물질과 상기 가스 분석부(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을 비교하여, 발화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 제어 정보,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 제어 정보 및 발화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외부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30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서,
    상기 화재 경보 장치(10)의 동작을 강제 제어하거나, 상기 소화 장치(20)의 동작을 강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6. 불꽃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재 감지부에서 상기 센서들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발생 판단 단계(S100);
    상기 화재 발생 판단 단계(S1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경우,
    가스 분석부에서 화재에 의한 연소 가스를 분석하여, 화재 원인 물질을 판단하는 가스 분석 단계(S200); 및
    중앙 관제 서버부에서 화재 경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가스 분석 단계(S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에 따라 소화기 또는 스프링클러(sprinkler)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진화 단계(S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소화기는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 소화기 및 청정약제 소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화재 감지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화재 감지 방법은
    상기 가스 분석 단계(S200)를 수행한 후,
    상기 화재 발생 판단 단계(S100)에서 판단한 화재 발생 정보 및 상기 가스 분석 단계(S200)에서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 정보를 실시간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외부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하는 정보 전달 단계(S21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화재 감지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화재 감지 방법은
    상기 정보 전달 단계(S210)를 수행한 후,
    외부에서 상기 화재 경보 장치의 동작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소화 장치의 동작 제어 신호가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로 전달되는지 판단하는 강제 신호 판단 단계(S220); 및
    상기 강제 신호 판단 단계(S2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화재 경보 장치의 동작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소화 장치의 동작 제어 신호가 전달될 경우,
    상기 중앙 관제 서버부에서 상기 화재 경보 장치의 동작을 강제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소화 장치의 동작을 강제 제어하는 강제 진화 단계(S40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화재 감지 방법.
KR1020130071413A 2013-06-21 2013-06-21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KR101439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413A KR101439860B1 (ko) 2013-06-21 2013-06-21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413A KR101439860B1 (ko) 2013-06-21 2013-06-21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860B1 true KR101439860B1 (ko) 2014-09-16

Family

ID=5175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413A KR101439860B1 (ko) 2013-06-21 2013-06-21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86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491B1 (ko) * 2015-06-19 2016-09-09 윤종근 스프링클러의 원격 제어 장치
CN106652310A (zh) * 2015-11-04 2017-05-10 国网山东高密市供电公司 一种变电站烟感报警系统
KR101745887B1 (ko) * 2015-05-21 2017-06-12 최낙훈 화재 경보 장치
KR20170071755A (ko) 2015-12-16 2017-06-26 전자부품연구원 위험도 추정 기능을 구비한 화재 감지 장치
CN109801483A (zh) * 2018-12-27 2019-05-24 佛山市禅信通科技有限公司 一种节省流量的空气质量检测方法及装置
KR20190098811A (ko) 2018-01-31 2019-08-23 에이엘 주식회사 화재 조기감지와 화재 유형파악이 가능한 종합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
KR20200100348A (ko) * 2019-02-18 2020-08-26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KR102169181B1 (ko) * 2019-08-28 2020-10-23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KR102275994B1 (ko) * 2020-09-10 2021-07-1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비화재보를 예방할 수 있는 화재감지 시스템
KR102329774B1 (ko) * 2021-03-12 2021-11-22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무선으로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가스감지 시스템
KR102492453B1 (ko) 2022-11-01 2023-01-27 (주) 원창설비 화재 수신기 및 소화 통합 관제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550A (ko) * 2003-06-25 2005-01-07 양한규 디지털 무선통신을 이용한 방재시스템
KR100592624B1 (ko) 2003-09-09 2006-06-23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다종의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판별 추론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7061519A (ja) 2005-09-02 2007-03-15 Nohmi Bosai Ltd 水素製造・貯蔵装置の防災設備
KR101154521B1 (ko) 2010-09-10 2012-06-13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550A (ko) * 2003-06-25 2005-01-07 양한규 디지털 무선통신을 이용한 방재시스템
KR100592624B1 (ko) 2003-09-09 2006-06-23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다종의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판별 추론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7061519A (ja) 2005-09-02 2007-03-15 Nohmi Bosai Ltd 水素製造・貯蔵装置の防災設備
KR101154521B1 (ko) 2010-09-10 2012-06-13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887B1 (ko) * 2015-05-21 2017-06-12 최낙훈 화재 경보 장치
KR101656491B1 (ko) * 2015-06-19 2016-09-09 윤종근 스프링클러의 원격 제어 장치
CN106652310A (zh) * 2015-11-04 2017-05-10 国网山东高密市供电公司 一种变电站烟感报警系统
KR20170071755A (ko) 2015-12-16 2017-06-26 전자부품연구원 위험도 추정 기능을 구비한 화재 감지 장치
KR20190098811A (ko) 2018-01-31 2019-08-23 에이엘 주식회사 화재 조기감지와 화재 유형파악이 가능한 종합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
CN109801483A (zh) * 2018-12-27 2019-05-24 佛山市禅信通科技有限公司 一种节省流量的空气质量检测方法及装置
KR20200100348A (ko) * 2019-02-18 2020-08-26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KR102158840B1 (ko) * 2019-02-18 2020-09-22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KR102169181B1 (ko) * 2019-08-28 2020-10-23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KR102275994B1 (ko) * 2020-09-10 2021-07-1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비화재보를 예방할 수 있는 화재감지 시스템
KR102329774B1 (ko) * 2021-03-12 2021-11-22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무선으로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가스감지 시스템
KR102492453B1 (ko) 2022-11-01 2023-01-27 (주) 원창설비 화재 수신기 및 소화 통합 관제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86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JP6472574B2 (ja) Led照明モジュールを用いた非常感知及び対処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EP3407315B1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KR101175202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25774B1 (ko) 스마트 소방 대피 시스템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76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KR102275989B1 (ko) 화재 및 화재의 예상 전개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화재예측 시스템
JP2018060578A (ja) 火災時現場対応支援システム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KR10215884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CN103218892B (zh) 可视频监视记录火灾及进行公共安全监控的火灾探测系统
KR101583184B1 (ko) 재난 감지 시스템
CN213049122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消防控制系统
KR20220144642A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CN109741563B (zh) 一种灾情监控方法及灾情监控装置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090082800A (ko) 화재 감지 시스템
KR100632445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 지점 및 대피 경로 모니터링시스템
KR101527725B1 (ko)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JP6193769B2 (ja) 自動火災報知設備
KR20130040372A (ko) 화재감지기 연동 유도등 시스템 및 유도등의 화재감지기 연동방법
KR20100123351A (ko) 실시간 화재감지용 수신기,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감지방법
CN212302701U (zh) 一种火灾监测系统
KR20100053128A (ko)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