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194B1 -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194B1
KR102088194B1 KR1020190112268A KR20190112268A KR102088194B1 KR 102088194 B1 KR102088194 B1 KR 102088194B1 KR 1020190112268 A KR1020190112268 A KR 1020190112268A KR 20190112268 A KR20190112268 A KR 20190112268A KR 102088194 B1 KR102088194 B1 KR 102088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broadcast
streaming data
output device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원
손정균
백승호
Original Assignee
(주)진명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명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진명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11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4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comprising emergency war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재난현장에 각각 위치하는 IoT 기반의 디바이스에서 화재 등과 같은 재난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각 IoT 기반의 디바이스에서 실시간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해 즉각적인 재난알림 방송을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송자가 직접 재난현장에 있는 중앙의 방송 시스템에서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하는 위험성을 방지하고, 상기 재난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REMOTE SITE DISASTER NOTIFICATION THROUGH AUDIO STREAMING BASED ON IoT}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재난현장에 각각 위치하는 IoT 기반의 디바이스에서 화재 등과 같은 재난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각 IoT 기반의 디바이스에서 실시간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해 즉각적인 재난알림 방송을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송자가 직접 재난현장에 있는 중앙의 방송 시스템에서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하는 위험성을 방지하고, 상기 재난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기술과 건축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함에 따라 대부분의 건물들이 고밀도화되고 고층화되면서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재난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재산피해, 인명피해가 급격하게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교, 지하철, 관공서, 백화점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이동하거나 밀집되는 지역에서는 재난상황을 긴급하게 전파하기 위한 방송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종래의 방송장치는, 방송자가 특정 장소에 위치하는 방송장치를 직접적으로 제어하여 복수의 방송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특정 음원이나 방송자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방송구역에 필요한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종래의 방송장치는, 상기 방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방송자가 상기 방송장치가 위치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상기 방송장치를 직접적으로 조작해야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방송장치를 통해 재난발생에 따른 긴급방송을 수행하고자 할 때, 필수적으로 방송자가 해당 방송장치가 위치하는 장소로 이동해야만 하기 때문에 긴급대피가 필요한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방송자의 안전이나 긴급방송에 대한 신속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방송장치는, 해당 방송장치와 복수의 방송구역에 설치된 재난방송출력장치 사이의 신호 경로가 상호 연결되어야 하며, 특정 방송구역에 특정 음원이나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송출하기 위해서는 수동적으로 상기 연결을 재구성해야 되고, 오디오 증폭정도(즉, 소리 크기)를 설정해야 된다.
즉, 종래의 방송장치는, 수동제어를 통해 오디오 증폭정도를 설정하고 재난방송출력장치 스위칭을 수행하여 특정 방송구역에 위치하는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상기 오디오를 송출해야 된다. 수동제어의 경우 숙달된 사람이 아닌 경우에는 조작이 어려워 방송장치의 설정값을 변경하려다 오동작을 발생시킬 수 있어 재난상황이 발생한 경우 제대로 된 긴급방송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방송자의 안정성 확보 및 방송장치의 오동작을 최소화고 신속하게 재난상황에 대한 긴급방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원격에서 상기 긴급방송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능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재난현장에 각각 설치외어 화재, 지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을 감지하는 재난감지 디텍터(detector)를 IoT 기반의 디바이스로 구현하여, 상기 재난현장에서 상기 재난상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목적지 주소를 설정한 재난 메시지에 대한 오디오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설정한 목적지 주소에 따라 상기 생성한 오디오 스트림이 중앙의 통합 방송장치에 스위칭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재난 감지 디텍터가 원격의 재난형장에서 재난알림 방송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알림 방송을 위해 방송자가 대기해야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상기 재난상황으로 인한 재산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588446호(2016.01.19.)는 원격 방송이 가능한 비상방송 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상 상황 발생시, 관리자 단말이나 서브 관리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비상 상황 발생 지점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비상 방송 관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방송이 가능한 비상방송 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비상상황이 발생된 경우 관리자나 서브 관리자가 해당 비상상황이 발생된 지점으로 이동한 후, 해당 지점의 영상을 촬영한 후 비상방송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비상방송 관제 시스템에서 상기 촬영한 지점의 영상을 사용자 단말이나 구내에 위치하는 TV등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에 본 발명은, 복수의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재난상황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한 결과에 따라 재난 메시지를 포함하는 오디오 스트림을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오디오 스트림을 중앙의 통합 방송장치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가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재난알림 방송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상기 재난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처와 방송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343128호(2013.12.12.)는 통합 원격 비상방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재수신반으로부터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저장장치에 저장된 안내방송 멘트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안내방송 멘트를 모니터, 재난방송출력장치 또는 사전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원격으로 자동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원격 비상방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단순히 화재수신반에서 화재감지결과에 대한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한 안내방송 멘트를 통합 원격 비상방송 장치에서 송출하는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복수의 재난현장에 설치되는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재난상황에 대한 감지결과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을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것도 아니며,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중앙의 통합 방송장치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트리밍함으로써,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자체적으로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전혀 기재하고 있지 않아, 상기 선행기술과 본 발명은 서로 상이한 기술적 특징을 가진 것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 된 것으로서, 복수의 재난현장 및 복수의 방송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재난감지 디텍터 및 재난방송출력장치, 일반 방송이나 비상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통합 방송장치를 인터넷에 연결하여,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가 재난상황을 감지한 경우,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 자체적으로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재난알림 방송을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재난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 자체에서 상기 감지 결과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와 재난 메시지에 대한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주소에 따라 상기 통합 방송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트리밍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가 원격의 상기 재난현장에서 재난알림 방송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스트리밍되고 있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추가 삽입하거나,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정하여 새로운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트리밍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재난상황에 따른 사람들의 정확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방송이나 재난방송을 포함하는 방송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혹은 프로그램을 방송자에게 제공하고,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단말을 통해 방송을 위한 음원이나 음성을 상기 통합 방송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트리밍하도록 함으로서, 원격에서 상기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유무선 통신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의 선택, 증폭값 등을 포함하는 방송 설정값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방송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현장에서 재난상황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결과에 따라 재난알림 방송을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감지 디텍터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구역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을 통해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생성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트리밍함으로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가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상기 재난알림 방송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IoT 기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감지한 재난상황에 따른 재난 메시지를 포함하는 오디오 스트림,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 해당 재난감지 디텍터의 위치정보, 및 상기 감지한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상황 등급정보는,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진행정도, 발생강도, 대피경로, 또는 재난상황 대처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트리밍되도록 상기 스위칭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주소가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주소와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를 매칭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은,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로부터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재난상황 등급정보 제공부 및 상기 스트리밍되고 있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삽입하거나, 상기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스트리밍되고 있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정한, 새로운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재난방송 메시지 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감지 디텍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동작을 감시하거나 제어하는 장치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관리부,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의 재난상황 감지 성능이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네트워크 주소나 재난 메시지를 설정하며,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출력의 세기를 포함한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네트워크 주소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알림 방송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현장에서 재난상황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결과에 따라 재난알림 방송을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감지 디텍터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구역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위칭하는 스위칭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을 통해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생성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트리밍함으로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가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상기 재난알림 방송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IoT 기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알림 방송 방법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 단계는,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트리밍되도록 상기 스위칭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주소가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주소와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를 매칭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알림 방송 방법은,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로부터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재난상황 등급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되고 있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삽입하거나, 상기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스트리밍되고 있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정한, 새로운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재난방송 메시지 수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알림 방송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감지 디텍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동작을 감시하거나 제어하는 장치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관리 단계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의 재난상황 감지 성능이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네트워크 주소나 재난 메시지를 설정하며,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출력의 세기를 포함한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네트워크 주소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화재, 지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재난상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자체적으로 재난알림 방송을 즉각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하고 상기 재난상황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의 위치정보와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상황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 및 재난 메시지에 대한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통합 방송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통합 방송장치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를 토대로 재난방송출력장치 선로를 스위칭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함으로써, 상기 디텍터에서 자체적으로 재난알림 방송을 원격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감지 디텍터가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감지 디텍터와 통합 방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원격으로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일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 되어 있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이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이라 칭함)(10)은, 복수의 방송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재난방송출력장치(200)와 상기 복수의 재난현장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재난현장에서 화재, 지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을 감지하는 재난감지 디텍터(300),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를 통해 복수의 방송구역에 대한 일반방송 또는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방송장치(100)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 재난방송출력장치(200) 및 재난감지 디텍터(300)는 유무선 통신기능을 구비하여, 인터넷에 연결됨으로서, 재난알림 방송이나 일반 방송을 위한 관련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는, 특정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통해 일반방송이나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송서버(110)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복수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송서버(110)는, 상기 스위칭부(120)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도록 하여, 상기 일반방송 또는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상기 방송구역은, 학교, 지하철, 관공서, 공공기간, 아파트 등과 같이 건물 내의 특정 구역을 포함하여 실내외에서 방송을 위한 복수의 구역을 의미하며,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100)는 재난방송출력장치, 디스플레이(예: TV 모니터, PC 모니터, 안내용 모니터, ATM 기기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는, 상기 복수의 재난현장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재난현장에서 발생되는 화재, 지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온도센서(화재감지센서), 지진감지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유무선 통신기능을 내장함으로서, IoT 기반의 디바이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재난현장은 상기 방송구역과 중첩되거나 별도의 구역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난현장은 이미 재난이 발생한 현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가 설치되어 재난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특정 구역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는, 상기 재난현장과 인접한 방송구역에 설치되는 재난방송출력장치(200)의 네트워크 주소(즉, IP주소)와 상기 감지한 결과에 따른 재난 메시지를 포함하는 음원(예: 사이렌)을 사전에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는, 해당 재난현장에서 재난상황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저장한 재난 메시지에 대한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한 재난알림 방송을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재난알림 방송을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스트림 이외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즉,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출력할 목적지 주소), 해당 재난감지 디텍터(300)의 위치정보, 및 상기 감지한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난상황 등급정보는,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진행정도, 발생강도, 대피경로, 또는 상기 감지한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상황 대처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진행정도는, 화재발생에 대한 진행정도를 의미하며,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에서 감지한 온도값이 증가되어 미리 설정한 온도값에 근접(예: 10도 이내로 근접하여 화재가 발생하기 직전)하는 경우, 상기 진행정도는 초기로 설정되며, 상기 감지한 온도값이 미리 설정한 온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진행정도는 중기(즉, 화재발생)로 설정되며, 상기 감지한 온도값이 미리 설정한 온도값을 이상으로 감지된 후 미리 설정한 또 다른 온도값 미만으로 감지되는 경우(예: 화재 진압이나 자연적으로 화재가 진화된 경우)에는 상기 진행정도는 말기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설정한 온도값이 700도이고, 해당 재난현장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증가되어 690도를 초과하는 경우, 700도 이상인 경우, 700도 이상으로 감지된 후 100도 미만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진행정도는 초기, 중기 및 말기로 각각 설정된다.
또한 상기 발생강도는 지진발생에 대한 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에서 감지한 진도값이 1 내지 3인 경우, 상기 발생강도는 약으로 설정되며, 4 내지 5인 경우, 중으로 설정되며, 6이상인 경우에는 강으로 설정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진행정도 및 발생강도는 해당 재난현장의 환경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는, 상기 생성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즉, 실시간 스트리밍)함으로써,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 주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를 통해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가 디스플레이인 경우에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오디오 스트림 이외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상기 사전에 저장된 재난 메시지에 대한 텍스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로부터 수신되는 재난알림 방송을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즉, 목적지 주소)로 스위칭하여,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를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되도록 함으로써, 재상상황에 대한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10)은,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나 지진감지센서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수집한 센싱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다.
즉, 상기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10)은, 복수의 재난현장에 각각 설치되는 재난감지 디텍터(300)에서 재난감지 결과에 따라 재난알림 방송을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실시간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가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상기 재난알림 방송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재난감지 결과에 따라 즉각적인 재난알림 방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난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와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인명피해와 재산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재난알림 방송을 위해 방송자가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는, 상기 재난상황의 발생을 감지하여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하고 있는 도중, 상기 감지한 재난상황이 종료된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재난알림 방송을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의 생성 및 재난알림 방송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재난상황 해제 메시지를 포함하는 음원을 토대로 재난상황 해제를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여, 재난상황 해제 방송을 원격에서 수행함으로써, 상기 재난상황 종료를 사람들에게 실시간으로 알리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상기 관리자가 구비한 관리자 단말(400)로 제공하며, 상기 재난상황정보를 확인한 관리자의 선택 또는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에서 상기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수행되고 있는 재난알림 방송을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에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자체적으로 추가하여 삽입하거나, 상기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토대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정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새로운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스트리밍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재난상황정보의 진행정도가 초기인 경우에는 "특정 비상구로 신속하게 대피"라는 재난방송 메시지에 대한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삽입할 수 있으며, 말기인 경우에는 "현재 화재가 진압되고 있음"이라는 재난방송 메시지에 대한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삽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재난상황정보의 발생강도가 약인 경우에는 "책상이나 의자 밑으로 피신하여 낙하물로부터 신체를 보호"라는 재난방송 메시지에 대한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삽입할 수 있으며, 강인 경우에는 "승강기를 사용하지 말고 계단을 이용하여 건물 외로 신속하게 대피"하라는 재난방송 메시지를 삽입할 수 있다.
즉,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는, 상기 재난상황 등급정보에 따라 최적의 재난 메시지를 선택하여,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삽입하거나,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정함으로써, 새로운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트리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사람들의 정확한 대처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관리자는 상기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에 접속하여,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재난방송 메시지를 상기 확인한 재난상황 등급정보에 따라 상기 재난방송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한 재난방송 메시지에 따라 상기 새로운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는, 상기 재난현장에 각각 설치되는 재난감지 디텍터(300), 상기 방송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동작을 감시하고, 상기 각 재난감지 디텍터(300) 및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를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상기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감시 및 제어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400)을 통해 음성이나 음원을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로 전송하여 원격에서 비상방송이나 일반 방송을 포함하는 통합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관리자는, 스마트폰, 데스크톱 P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로부터 상기 통합 방송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의 선택 및 음원이나 음성에 대한 증폭값 등과 같은 방송 설정값을 원격에서 선택하고, 상기 음원이나 음성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로 제공함으로서, 원격에서 상기 통합 방송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감지 디텍터가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감지 디텍터(300)가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재난알림 방송을 직접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는, 상기 재난현장에서 화재, 지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을 감지한다(①).
또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는, 상기 재난현장에서 상기 재난상황이 감지된 경우, 상기 감지한 결과에 따라 재난알림 방송을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한다(②).
이후,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는 상기 생성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통합 방송장치(100)로 전송함으로서, 상기 생성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한다.
또한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는, 상기 수신되는 스트리밍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여, 상기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와 상기 참조한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를 매칭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는, 상기 재난상황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재난상황정보에 따라 사전에 설정한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에 대한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삽입하거나, 또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에 대한 오디오 스트림으로 대체하여,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정함으로서, 새로운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새로운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스트리밍하여 재난상황에 따른 사람들의 대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는, 관리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포함된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자 단말(400)로 제공하며, 상기 관리자는 상기 제공받은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토대로 현재 수행되고 있는 재난알림 방송에 추가할 재난방송 메시지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복수의 재난방송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400)로 안내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관리자는 상기 재난상황 등급정보에 따라 최적합한 재난방송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선택하여 사람들이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정확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10)은, 재난상황을 감지한 재난감지 디텍터(300)에서 자체적으로 재난알림을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에서 스위칭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스트리밍되도록 함으로서, 재난감지 디텍터(300)가 재난알림 방송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포함된 재난상황 등급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재난알림 방송구역을 확장, 축소 또는 변경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를 추가, 삭제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난상황정보가 중(즉, 화재 발생)이거나, 상기 재난상황정보가 강(즉, 진도값이 6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통합 방송장치(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를 추가 선택하여 상기 추가 선택한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위칭하도록 하여 상기 재난알림 방송구역을 확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포함된 재난감지 디텍터(300)의 위치정보와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출력할 재난방송출력장치(200)가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의 위치와 인접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를 삭제 또는 변경하여 보다 정확한 방송구역에 대한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감지 디텍터와 통합 방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감지 디텍터(300)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가 설치된 재난현장에 대한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310), 해당 재난현장에 대한 지진발생을 감지하는 지진 감지부(320), 상기 감지한 화재발생, 상기 감지한 지진발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에 대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트리밍 데이터 생성부(330) 및 메모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화재 감지부(310)는, 온도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값을 토대로 해당 재난현장에서의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진 감지부(320)는 지진감지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진도값을 토대로 해당 재난현장에서의 지진발생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 생성부(330)는, 상기 화재 감지부(310), 지진 감지부(320)에서 감지한 결과에 따라 복수의 방송구역에 설치되는 재난방송출력장치(200)를 통해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는, 상기 감지한 재난상황에 따른 재난 메시지를 포함하는 오디오 스트림,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 해당 재난감지 디텍터의 위치정보, 및 상기 감지한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상황 등급정보는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진행정도, 발생강도, 대피경로, 또는 재난상황 대처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 생성부(330)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화재발생에 대한 재난 메시지를 포함하는 오디오 스트림,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의 위치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의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감지한 화재발생에 대한 진행정도(즉, 화재발생 초기, 중기, 말기), 대피경로, 또는 화재발생에 대한 대처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 생성부(330)는,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지진발생에 대한 재난 메시지를 포함하는 오디오 스트림,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의 위치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의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감지한 지진발생에 대한 발생강도(즉, 약, 중, 강), 대피경로, 또는 지진발생에 대한 대처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재난 메시지를 포함하는 오디오 스트림은, 메모리(340)에 저장된 화재발생 또는 지진발생에 대한 경고 메시지에 대한 음원(예: 사이렌)을 토대로 생성되며,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3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는, 상기 메모리(340)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네트워크 주소는 해당 재난감지 디텍터(300)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이다.
또한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는,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300)가 디스플레이인 경우에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오디오 스트림 이외에 재난 메시지에 대한 텍스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재난 메시지에 대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 생성부(330)는, 화재, 지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재난알림을 위한 오디오 스트림,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의 위치정보, 상기 감지한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로 제공하여 상기 네트워크 주소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스위칭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재난상황을 감지한 재난감지 디텍터(300)에서 자체적으로 상기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는, 방송 서버(110) 및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구역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송 서버(110)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부(111),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칭부(120)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112),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포함된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관리자 단말(400)로 제공하는 재난상황 등급정보 제공부(113),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삽입하거나, 상기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정하여 새로운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는 재난방송 메시지 수정부(114) 및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와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를 관리하는 장치관리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부(111)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로부터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어 전송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칭부(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를 통해 스위칭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112)는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스트리밍되도록 상기 스위칭부(120)에 대한 스위칭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스위칭 제어부(112)는, 상기 참조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와 상기 네트워크 주소에 따른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를 상호 매칭시켜 상기 스위칭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스위칭되어 스트리밍되도록 상기 스위칭부(120)를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위칭 제어부(112)는,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난상황정보를 참조하여, 재난알림 방송에 대한 방송구역을 확장, 축소 또는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복수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를 추가 선택하여, 상기 추가 선택한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에 따라 상기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재난알림 방송에 대한 방송구역을 확장하도록 하거나,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를 삭제 또는 변경하여 상기 삭제 또는 변경한 네트워크 주소에 따라 상기 스위칭을 제어하여 상기 재난알림 방송에 대한 방송구역을 보다 정확하게 지정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스위칭 제어부(112)는, 상기 재난상황 등급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참조한 재난상황 등급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주소를 추가, 삭제 또는 변경하여 상기 네트워크 주소와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를 상호 매칭함으로써, 상기 스위칭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재난상황 등급정보 제공부(113)는,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로부터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관리자 단말(4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재난방송 메시지 수정부(114)는, 상기 재난상황 등급정보와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재난상황 등급정보와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의 위치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상기 스트리밍되고 있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삽입하거나,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정하여 새로운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주소에 따라 생성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는, 상기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확인한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선택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재난방송 메시지는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재난상황 등급정보에 따라 대피경로, 재난상황 대처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상기 재난방송 메시지 수정부(114)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 및 재난상황 등급정보에 따라 적합한 재난방송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스트리밍되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재난상황에 대한 사람들의 정확한 대처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재난방송 메시지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포함된 재난 메시지(즉, 오디오 스트림)와 교차하여 스트리밍되도록 삽입되거나, 상기 재난 메시지가 미리 설정한 횟수만큼 스트리밍된 후 상기 삽입되는 재난방송 메시지가 스트리밍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장치관리부(115)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감지 디텍터(300)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감지 디텍터(300)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동작을 감시하거나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동작을 감시하는 기능은,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의 재난상황 감지 성능이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것과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출력의 세기를 포함한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의 재난상황 감지성능을 감시하는 것은, 사전에 설정한 재난상황 시나리오(예: 특정 온도값 이상의 화재발생, 특정 진도값 이상의 지진발생)에 대한 테스트 신호를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로 전송하여, 상기 재난상황 시나리오에 따라 스트리밍 데이터를 정확하게 생성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되며,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것은, 상기 재난 감지 디텍터(300)의 온오프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로 전송하여 이에 대한 응답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재난 감지 디텍터(300)의 온오프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출력의 세기를 포함한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것은,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의 출력 세기에 대한 요청 및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의 온오프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전송하여 이에 대한 응답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의 출력세기 및 온오프를 확인함으로서, 수행된다.
또한 상기 장치관리부(115)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의 네트워크 주소나 상기 재난상황에 따른 재난 메시지를 설정하여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설정한 네트워크 주소와, 상기 설정한 재난상황에 따른 재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장치관리부(115)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 및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의 동작을 위해 상기 각 재난감지 디텍터(300) 및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또는 펌웨어)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최신의 소프트웨어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 및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원격으로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10)을 통해 재난감지 디텍터(300)가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재난알림 방송을 직접 수행하는 절차는 우선,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에서 재난상황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10).
다음으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는, 해당 방송구역에서 상기 재난발생이 감지된 경우, 해당 재난발생에 대한 재난알림 방송을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생성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통합 방송방치(100)로 전송한다(S120).
다음으로, 통합 방송장치(100)에서,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로부터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스트리밍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가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상기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130).
이때,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는,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가 상기 각 재난방송출력장치(200)로 스트리밍되도록 상기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위칭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스위칭 제어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난상황 등급정보 및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재난알림 방송에 대한 방송구역을 확장하거나, 축소하거나 또는 변경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재난방송출력장치(200)를 추가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추가적으로 선택한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위칭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삭제 또는 변경하여 상기 삭제 또는 변경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위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는, 현재 스트리밍되고 있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삽입하거나, 상기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정하여 새로운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S140), 상기 생성한 새로운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위칭하여 스트리밍하도록 한다(S150).
상기 새로운 스트리밍 데이터는,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에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난상황 등급정보 및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삽입하거나,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스트림(즉, 재난 메시지)을 상기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로 대체함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상기 재난방송 메시지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의 위치정보와 상기 재난상황 등급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되며, 상기 관리자는, 상기 위치정보와 재난상황 등급정보에 따라 재난방송 메시지를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함으로써,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통합 방송장치(100)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 및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동작을 감시하거나 제어하는 장치관리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에 대한 재난상황 감지성능이나 동작상태 및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재난알림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300) 및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동작을 감시하거나 제어하는 것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재난현장에 설치되는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재난상황의 감지결과에 따라 재난알림 방송을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통합 방송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실시간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가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상기 재난알림 방송을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인명 피해나 재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100 : 통합 방송장치 110 : 방송 서버
111 :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부 112 : 스위칭 제어부
113 : 재난상황 등급정보 제공부 114 : 재난방송 메시지 수정부
115 : 장치관리부 120 : 스위칭부
200 : 재난방송출력장치 300 : 재난감지 디텍터
310 : 화재 감지부 320 : 지진 감지부
330 : 스트리밍 데이터 생성부 340 : 메모리
400 : 관리자 단말 5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현장에서 재난상황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재난상황의 발생에 따른 재난알림 방송을 스트리밍 데이터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구역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실시간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감지 디텍터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재난상황별 재난 메시지를 포함하는 오디오 스트림,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의 위치정보와 네트워크 주소, 및 진행정도, 발생강도, 대피경로, 또는 재난상황 대처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재난알림 방송에 대한 방송구역을 확장, 축소 또는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확장, 축소 또는 변경할 재난방송출력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재난방송출력장치의 네트워크를 주소에 따라 상기 스위칭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을 통해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생성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가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IoT 기반 오디오 스트리밍으로 상기 재난알림 방송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네트워크 주소가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주소와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를 매칭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은,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재난상황 등급정보 제공부; 및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삽입하거나,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재난방송 메시지 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감지 디텍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동작을 감시하거나 제어하는 장치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관리부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의 재난상황 감지 성능이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네트워크 주소나 재난 메시지를 설정하며,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며,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출력의 세기를 포함한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네트워크 주소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현장에서 재난상황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재난상황의 발생에 따른 재난알림 방송을 스트리밍 데이터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구역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실시간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감지 디텍터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 단계; 및
    상기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재난상황별 재난 메시지를 포함하는 오디오 스트림,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의 위치정보와 네트워크 주소, 및 진행정도, 발생강도, 대피경로, 또는 재난상황 대처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 단계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재난알림 방송에 대한 방송구역을 확장, 축소 또는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확장, 축소 또는 변경할 재난방송출력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재난방송출력장치의 네트워크를 주소에 따라 상기 스위칭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을 통해서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에서 생성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가 원격의 재난현장에서 IoT 기반 오디오 스트리밍으로 상기 재난알림 방송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알림 방송 방법.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 단계는,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네트워크 주소가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주소와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를 매칭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알림 방송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재난알림 방송 방법은,
    상기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난상황 등급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재난상황 등급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특정 재난방송 메시지를 삽입하거나,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로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재난방송 메시지 수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알림 방송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재난알림 방송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감지 디텍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동작을 감시하거나 제어하는 장치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관리 단계는,
    상기 재난감지 디텍터의 재난상황 감지 성능이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네트워크 주소나 재난 메시지를 설정하며,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며,
    상기 재난방송출력장치에 대한 출력의 세기를 포함한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네트워크 주소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알림 방송 방법.
KR1020190112268A 2019-09-10 2019-09-10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8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68A KR102088194B1 (ko) 2019-09-10 2019-09-10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68A KR102088194B1 (ko) 2019-09-10 2019-09-10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194B1 true KR102088194B1 (ko) 2020-03-12

Family

ID=6980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268A KR102088194B1 (ko) 2019-09-10 2019-09-10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1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5722A1 (en) 2021-12-13 2023-06-14 Active D&C Co., Ltd.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notification contents
KR102557534B1 (ko) * 2022-12-05 2023-07-20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IoT 기반의 환경 적응형 다목적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KR20240057202A (ko) 2022-10-24 2024-05-02 주식회사 액티브디앤씨 재난 알림 콘텐츠 제공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729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넥토마이닝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융복합기술 기반의 카메라와 센서 네트워크와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한 인명지킴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729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넥토마이닝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융복합기술 기반의 카메라와 센서 네트워크와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한 인명지킴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5722A1 (en) 2021-12-13 2023-06-14 Active D&C Co., Ltd.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notification contents
KR20230089102A (ko) 2021-12-13 2023-06-20 주식회사 액티브디앤씨 재난 알림 콘텐츠 제공시스템
KR20240057202A (ko) 2022-10-24 2024-05-02 주식회사 액티브디앤씨 재난 알림 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2557534B1 (ko) * 2022-12-05 2023-07-20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IoT 기반의 환경 적응형 다목적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194B1 (ko)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101775463B1 (ko)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KR101844472B1 (ko) 원격 방재 시스템
KR102152123B1 (ko) 상가 화재를 감지 제어하는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지능형 휴대 단말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1778130B1 (ko) 화재 및 지진에 대비한 원터치 멀티타입 통합방송 시스템
JP2014056368A (ja) 非常放送設備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KR101604554B1 (ko)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8124954A (ja) 防災システム
KR102315704B1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007319B1 (ko) 화재지역 통지용 방송 장치
KR20210061712A (ko) 객실 재난관리 시스템
TWI567697B (zh) 智慧型疏散系統及其控制方法
KR102119894B1 (ko) 사용자 이동단말을 이용한 화재 무선 제어 시스템
KR101815842B1 (ko) 재난대피 방송 방법 및 시스템
KR101087290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 무선제어 시스템
JP6733204B2 (ja) 監視装置、監視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633023B1 (ko) 센서 네트워크 및 케이블 방송망을 이용한 화재 경보시스템 및 방법
KR101345721B1 (ko) 건물의 재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JP693207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情報伝送装置および通報制御方法
JP6105341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装置および情報通信端末
JP7104560B2 (ja) 防災システム及び非常用放送装置
KR101522661B1 (ko) 음성안내 기능을 갖춘 방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방법
JP2016072835A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