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595A -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4595A KR20210044595A KR1020190127962A KR20190127962A KR20210044595A KR 20210044595 A KR20210044595 A KR 20210044595A KR 1020190127962 A KR1020190127962 A KR 1020190127962A KR 20190127962 A KR20190127962 A KR 20190127962A KR 20210044595 A KR20210044595 A KR 202100445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user device
- service providing
- camera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VFWZNCVPCJQOP-UHFFFAOYSA-N chloralodol Chemical compound CC(O)(C)CC(C)OC(O)C(Cl)(Cl)Cl QVFWZNCVPCJQO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4 troubleshoo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by monitoring network traffic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3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 H04L63/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intercepting packet switched data communications, e.g. Web, Internet or IMS commun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건물의 실내에 몰래 카메라의 검출을 위한 건물 내 네트워크에 접속된 중계 장치를 구성하고, 해당 중계 장치에 접속한 몰래 카메라의 접속 상태를 분석하여 몰래 카메라를 용이하게 검출한 후 해당 몰래 카메라의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몰래 카메라에 해당하는 사용자 장치가 건물 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접속 상태를 필요 이상 유지하는 경우 또는 비정상적인 대량의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경우 해당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 검출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건물 내부를 협소한 탐지 범위로 일일이 세밀하게 관찰이 필요하고 몰래 카메라의 설치 예상 범위를 한정하기도 어려운 적외선 방식 및 RF 방식의 비효율적인 탐지 방식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동시에 용이하게 몰래 카메라가 설치된 것으로 의심되는 영역을 특정하고 해당 영역에 대한 집중적인 탐지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여 몰래 카메라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건물의 실내에 몰래 카메라의 검출을 위한 건물 내 네트워크에 접속된 중계 장치를 구성하고, 해당 중계 장치에 접속한 몰래 카메라의 접속 상태를 분석하여 몰래 카메라를 용이하게 검출한 후 해당 몰래 카메라의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불법으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몰래 카메라의 설치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몰래 카메라는 실내에 설치시 육안으로 검출하기 어려울 정도로 소형화된 상태에서도 높은 품질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을 정도로 품질과 성능이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몰래 카메라를 통해 불법으로 촬영되어 유통되고 있는 숙박업소 객실내 영상은 피해자에게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줄 뿐만 아니라 숙박 관련 산업계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몰래 카메라의 탐지를 위해 다양한 탐지 방법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몰래 카메라의 탐지 방법에 대한 일례로 강한 불빛을 조사하여 몰래 카메라의 렌즈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불빛을 검출하는 적외선 방식과 전자기파 검출장비를 몰래 카메라의 설치가 의심되는 위치에 접근시킨 후 전자기파 세기를 측정하여 검출하는 RF방식이 있다.
그러나, 적외선 방식은 몰래 카메라의 렌즈가 코팅된 경우 몰래 카메라의 검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몰래 카메라에서 방출하는 RF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몰래 카메라를 검출하는 RF방식은 탐지 안테나를 의심 위치에 일일이 가깝게 가져다 대어야 하는데 전자 장비가 가득한 주위 환경으로 인해 식별 능력이 떨어지며 탐지 범위도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즉, 기존의 탐지 방법은 탐지 가능 범위가 협소하여 몰래 카메라의 탐지를 위한 장비를 수작업으로 상기 탐지 가능 범위 단위로 일일이 정밀하게 탐지하여야 하는 불편이 존재하며 정확도 역시 높지 않아 몰래 카메라의 검출에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이로 인해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숙박업을 위한 건물의 경우 적어도 몇 십 개의 객실을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몰래 카메라 검출을 위해 모든 객실마다 협소한 지점 단위로 일일이 세밀하게 관찰하고 탐지해야 하는 상기 적외선 방식과 RF방식 모두 현실성이 낮은 방식인데, 아직 이 방식들 이외에 몰카를 탐지하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은 구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된 몰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건물에 구성된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몰래 카메라의 접속 정보를 분석하여 용이하게 몰래 카메라를 검출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몰래 카메라의 탐지를 위한 장비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탐지하는 수고를 감수하면서도 정확도가 떨어지는 기존의 탐지 방식에 비해 몰래 카메라의 검출에 대한 편의성 및 정확도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몰래 카메라의 접속 정보에 따라 몰래 카메라를 검출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숙박업이 운영되는 건물에 구성된 다수의 객실을 대상으로 몰래 카메라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실내에 배치되어 통신망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중계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와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탐지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수집하는 수집 단계와, 상기 탐지 정보에 따른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건물에 대해 몰래 카메라가 아닌 장치로서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예외 장치별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상기 예외 장치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예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집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집된 상기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 또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한 후 몰래 카메라 검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판단 기준에 적용하여 판단 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검출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인 경우 상기 중계 장치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중계 장치는 게이트 웨이 또는 AP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중계 장치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어 설정된 설정 시간과 상기 수집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집된 상기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인지 여부를 검출하거나 상기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에 포함된 트래픽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평균 트래픽을 산출한 후 상기 평균 트래픽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의 몰래 카메라 해당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건물은 숙박업을 위한 복수의 객실이 구비된 건물이며, 상기 복수의 객실과 각각 일대일로 매칭되며 서로 상이한 접속 인증을 위한 고유 비밀번호가 설정된 복수의 서로 다른 중계 장치가 상기 건물의 실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중계 장치 중 상기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특정 중계 장치에 해당되는 상기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에 상기 복수의 객실 중 상기 특정 중계 장치가 배치된 특정 객실의 식별자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탐지 정보에 포함된 상기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상기 특정 중계 장치가 배치된 특정 객실의 식별자를 상기 특정 중계 장치에 대응되는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를 기초로 식별하며, 상기 몰래 카메라 검출시 상기 탐지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상기 특정 객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건물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는 대여 종류별 대여 시간이 미리 설정되고,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객실 중 상기 특정 객실에 투숙한 고객의 대여 종류에 따른 대여 시간을 상기 설정 시간으로 하여, 상기 접속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최초 접속 시간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이 상기 대여 시간 초과 시 상기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 검출하거나 상기 특정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특정 중계 장치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접속 장치별 탐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탐지 정보 수신시마다 상기 탐지 정보에 포함된 접속 정보에 따른 접속 시간을 누적 카운트하여 산출한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이 상기 대여 시간 초과 시 상기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건물에 설치된 키오스크 장치이거나 상기 건물의 관리자에 대응되는 관리자 단말이며, 상기 수집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가 특정 객실에 대해 상기 외부 장치에서 고객이 투숙시 입력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대여 정보나 상기 고객의 고객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생성한 객실 예약을 위한 예약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시 상기 대여 정보 또는 예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 종류에 따른 대여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수집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객실별로 상기 대여 정보와 객실에 매칭되는 중계 장치에 접속한 접속 장치별 접속 정보가 포함된 객실 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객실 현황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실내에 배치되어 통신망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중계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와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탐지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수집하는 수집 단계와, 상기 탐지 정보에 따른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건물에 대해 몰래 카메라가 아닌 장치로서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예외 장치별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상기 예외 장치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예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집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집된 상기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 또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트래픽 또는 접속 유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한 몰래 카메라 여부의 판단을 위한 검출 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로 전송하는 알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실내에 배치되어 통신망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중계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와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탐지 정보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상기 탐지 정보에 따른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건물에 대해 몰래 카메라가 아닌 장치로서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예외 장치별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상기 예외 장치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예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수집된 상기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 또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한 후 몰래 카메라 검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판단 기준에 적용하여 판단 결과를 산출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실내에 배치되어 통신망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중계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와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탐지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수집부와, 상기 탐지 정보에 따른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건물에 대해 몰래 카메라가 아닌 장치로서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예외 장치별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상기 예외 장치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예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집된 상기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이나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을 산출한 후 미리 설정된 판단 기준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를 통해 몰래 카메라로 검출된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상기 중계 장치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몰래 카메라에 해당하는 사용자 장치가 건물 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접속 상태를 필요 이상 유지하는 경우 또는 비정상적인 대량의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경우 해당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 검출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건물 내부를 협소한 탐지 범위로 일일이 세밀하게 관찰이 필요하고 몰래 카메라의 설치 예상 범위를 한정하기도 어려운 적외선 방식 및 RF 방식의 비효율적인 탐지 방식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동시에 용이하게 몰래 카메라가 설치된 것으로 의심되는 영역을 특정하고 해당 영역에 대한 집중적인 탐지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여 몰래 카메라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내 중계 장치에 접속한 몰래 카메라로 검출된 사용자 장치의 통신망 접속을 자동 차단하여 몰래 카메라의 영상 전송을 차단함으로써 몰래 카메라를 자동으로 무력화시킬 수 있어 몰래 카메라의 사전 차단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객실 대여 형태에 따라 사용자의 객실 대여 시간을 판단하고, 해당 객실 대여 시간을 초과하여 사용자 장치가 건물 내 객실의 특정 중계 장치에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를 건물 내 대여 객실에 방치한 상태로 건물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고, 객실 대여 시간을 초과하여 객실 내 방치된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객실 대여 형태에 따른 대여 시간이 종료되는 즉시 몰래 카메라를 검출한 후 자동 차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몰래 카메라에 의한 범죄를 사전 차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몰래 카메라가 접속한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몰래 카메라에 대한 탐지 정보를 기초로 건물을 구성하는 복수의 객실 중 몰래 카메라가 배치된 장소를 특정 객실로 한정하여 특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자가 건물 내 모든 객실을 조사할 필요 없이 몰래 카메라에 대한 조사 범위를 하나의 객실로 한정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몰래 카메라에 대한 탐지에 대한 수고와 비용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숙박업을 운영하는 건물에 대한 몰래 카메라 검출 관련 동작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숙박업을 운영하는 건물에 대한 몰래 카메라 검출 관련 동작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중계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 장치와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구성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건물의 관리자에 해당되는 관리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이때, 관리자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텔레비전(Television), 3D 텔레비전, 홈 시어터(Home Theater) 시스템,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통신망은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 통신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5G 이동통신 서비스, 블루투스(Bluetooth), LoRa(Long Rang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통신망은 건물 내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중계 장치로 구성된 내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외부 네트워크 및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건물 내 특정 중계 장치와 상술한 건물 내 내부 네트워크와 건물 외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현재 통신망의 발전과 더불어 몰래 카메라를 이용한 불법 촬영은 대부분 몰래 카메라를 건물 내에 구성된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시켜 몰래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 정보를 건물 내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해당 내부 네트워크와 인터넷망을 연결하는 중계 장치를 통해 외부에 미리 지정된 기기로 전송하는 방식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건물 내에 설치되어 건물 내에 위치하며 건물 외부의 인터넷망과 건물 내 내부 네트워크를 통신 연결하거나 해당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는 타 AP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된 중계 장치에 건물 내에 몰래 카메라를 설치한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가 접속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장치의 접속 상태에 따른 접속 정보를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중계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해당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건물을 방문한 사용자가 건물 내에서의 용무가 종료된 이후에도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장치의 중계 장치에 대한 접속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가 몰래 카메라로 의심되는 사용자 장치를 건물 내에 설치한 것으로 검출하도록 동작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건물 내에 설치된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중계 장치에서 제공하는 탐지 정보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트래픽(데이터량)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비정상적인 데이터량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 의심되는 장치로서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이러한 몰래 카메라의 검출시 몰래 카메라로 의심되는 해당 사용자 장치가 현재 접속 중인 중계 장치를 제어하여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차단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몰래 카메라로 의심되는 사용자 장치에서 원격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차단하여 몰래 카메라를 방지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에서 접속할 수 있는 중계 장치를 특정하여 해당 특정 중계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로 검출시 해당 특정 중계 장치에 대응되는 건물 내 특정 영역을 자동 식별하고, 몰래 카메라 검출과 아울러 몰래 카메라가 현재 접속중인 특정 중계 장치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건물 내 특정 영역에 대한 정보를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제공하거나 다수의 서로 다른 건물을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관리하는 서비스 운영자에게 제공하여 관리자 또는 서비스 운영자에 의해 해당 특정 영역이 집중 탐색되도록 지원함으로써, 해당 몰래 카메라에 대한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통해, 본 발명은 몰래 카메라에 해당하는 사용자 장치가 건물 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접속 상태를 필요 이상 유지하거나 필요 이상의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경우 해당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 검출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건물 내부를 협소한 탐지 범위로 일일이 세밀하게 관찰이 필요하고 몰래 카메라의 설치 예상 범위를 한정하기도 어려운 적외선 방식 및 RF 방식의 비효율적인 탐지 방식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동시에 용이하게 몰래 카메라가 설치된 것으로 의심되는 영역을 특정하고 해당 영역에 대한 집중적인 탐지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여 몰래 카메라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중계 장치의 상세 동작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부(110), 판단부(120), 검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14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구성된 구성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구성부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수집부(110), 판단부(120) 및 검출부(130)가 제어부(14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건물의 실내에 배치되어 통신망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건물 내 중계 장치와 통신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수집부(110)는 특정 중계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와 해당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탐지 정보를 해당 특정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수집할 수 있다.
즉, 건물 내 구성된 중계 장치는 자신에게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시 해당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탐지 정보를 해당 사용자 장치의 접속 시점부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건물 내에는 하나 이상의 중계 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중계 장치는 게이트웨이(Gateway) 또는 AP(Access Point)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계 장치는 건물 내에 구성된 타 중계 장치를 통해 통신망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탐지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는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는 특정 중계 장치에서 식별되는 사용자 장치의 ID 또는 사용자 장치의 MAC 정보(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는 사용자 장치의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접속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중계 장치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한 탐지 정보에 포함되는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중계 장치의 ID, IP 주소, MAC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는 BSSID일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판단부(120)는 특정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된 탐지 정보에 따른 접속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건물에 대해 몰래 카메라가 아닌 장치로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예외 장치별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장치에 대해 예외 장치의 해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는 특정 건물에 대해 몰래 카메라가 아닌 기기인 예외 장치별 등록 정보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건물에 대한 건물 정보를 저장하는 DB(1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DB(101)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건물에 대한 건물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해당 건물 정보는 건물 식별정보와, 하나 이상의 예외 장치별 등록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예외 장치는 건물에 배치된 중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서로 다른 건물별로 상기 DB에 저장된 건물 정보는 서로 상이한 건물 식별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외 장치별 등록 정보는 해당 예외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해당 예외 장치의 식별정보는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예외 장치의 ID, 해당 예외 장치의 MAC 정보, IP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물 정보에 포함된 예외 장치별 등록 정보에는 건물 내에서 예외 장치의 배치 영역(배치 장소)에 대한 배치 정보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 정보는 건물을 구성하는 특정 영역(장소)에 대한 영역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치 정보에 상기 특정 영역의 이용 가능한 시간에 대한 설정 시간이 더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영역 식별 정보는 건물에 복수의 방이 구성된 경우 각 방에 해당되는 객실이나 호실 관련 식별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객실이나 호실 관련 식별자는 객실 번호(호실 번호)이거나 객실 명칭(호실 명칭)일 수 있다.
또한, 중계 장치는 탐지 정보 전송시 자신에 미리 설정된 해당 건물에 대한 건물 식별정보를 해당 탐지 정보에 포함시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건물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탐지 정보를 전송하는 중계 장치에 대응되는 건물에 대한 건물 정보를 DB(101)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장치는 건물 내의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타 중계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해당 타 중계 장치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자신이 생성한 탐지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판단부(120)는 탐지 정보에 포함된 건물 식별 정보를 기초로 탐지 정보에 대응되는 미리 저장된 건물 정보를 식별하고, 해당 건물 정보에 포함된 예외 장치별 등록정보와 탐지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식별 정보가 포함된) 예외 장치의 등록정보가 없는 경우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 검출 대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탐지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장치가 예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탐지 정보를 전송한 중계 장치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어 설정된 설정 시간과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수집부(110)를 통해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집된 하나 이상의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 장치의 중계 장치(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접속 유지 시간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례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사용자 장치가 예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수집부(110)를 통해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특정 중계 장치로부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수집부(110)와 연동하여 해당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가 포함된 탐지 정보를 DB(101)에 저장된 건물 정보와 매칭하여 누적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사용자 장치가 예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해당 탐지 정보에 대응되는 건물 정보에 포함된 예외 장치별 등록 정보 중 탐지 정보에 따른 중계 장치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포함된 특정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와 매칭하여 DB(10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예외 장치가 아닌 사용자 장치가 판단부(120)에 의해 판단된 경우 해당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어 수집부(110)를 통해 수신된 탐지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특정 중계 장치를 탐지 정보에 포함된 중계 장치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탐지 정보에 포함된 건물 식별 정보나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해당 탐지 정보와 매칭되는 건물 정보를 DB(101)에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탐지 정보에 대응되어 DB(101)에서 식별된 건물 정보에서 탐지 정보에 따른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를 식별하고, 해당 등록 정보에서 특정 중계 장치에 대응되어 설정된 설정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DB(101)에 건물 정보와 매칭되어 누적 저장된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특정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탐지정보별 접속 정보를 기초로 최초 접속 시간과 가장 나중에 수신된 탐지 정보에 따른 최근 접속 시간을 식별하고, 해당 최초 접속 시간과 최근 접속 시간을 기초로 사용자 장치의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수집부(110)와 연동하여 특정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1분 또는 30초 간격) 수신되는 상기 특정 중계 장치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접속 장치별 탐지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탐지 정보 수신시마다 탐지 정보에 포함된 접속 정보에 따른 접속 시간을 누적 카운트하여, 상기 누적 카운트의 결과인 상기 특정 사용자 장치에 대한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중계 장치(특정 중계 장치)는 주기적으로 자신에 접속한 서로 다른 접속 장치별 탐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 장치별 탐지 정보 중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탐지 정보 수신시마다 상기 탐지 정보에 포함된 접속 정보에 따른 접속 시간을 지속하여 누적 카운트하고, 상기 접속 시간의 누적 카운트에 따른 모든 접속 시간을 합산한 접속 유지 시간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어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해당 접속 유지 시간이 탐지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특정 중계 장치의 배치 정보에 따른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특정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 검출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중계 장치가 배치된 건물의 특정 영역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해당 특정 영역의 이용 가능 시간인 설정 시간을 초과하여 사용자 장치의 접속이 유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특정 영역에 더 이상 머무를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를 회수하지 않고 해당 특정 영역에 사용자 장치를 그대로 배치한 상태로 특정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몰래 카메라로 의심되는 사용자 장치를 해당 특정 영역에 배치한(남겨둔)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건물에 구성된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 또는 해당 특정 중계 장치에 대응되며 건물 내에 위치한 특정 방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 또는 특정 방의 식별자에 대응되어 설정된 설정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해당 설정 정보를 기초로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정보 또는 특정 방의 식별자가 포함되는 예외 장치의 등록정보에 포함된 배치 정보에 따른 제 1 설정 시간을 상기 설정 정보에 따른 제 2 설정 시간으로 변경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통신망을 통해 건물의 실내에서 해당 특정 중계 장치가 배치된 특정 영역의 이용 가능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건물의 관리자에 대응되는 관리자 단말이나 건물에 구성된 키오스크(KIOSK)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설정 정보와 매칭되는 건물 정보를 DB(101)에서 식별하고, 상기 건물 정보에 포함된 예외 장치별 등록 정보 중 설정 정보에 따른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 또는 특정 방의 식별자와 매칭되는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에 설정된 설정 시간을 상기 설정 정보에 따른 설정 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설정 정보는 대응되는 건물의 건물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어 DB(101)에 수집된 탐지 정보에 따른 접속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장치의 최초 접속 시간을 식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어 DB(101)에 수집된 하나 이상의 탐지 정보별로 포함된 접속 정보를 기초로 최초 접속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수집부(110)와 연동하여 중계 장치로부터 사용자 장치에 대한 탐지 정보가 수신되어 DB(101)에 저장시마다 해당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어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수집부(110)와 연동하여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중계 장치에 접속한 접속 장치별 탐지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탐지 정보 수신시마다 탐지 정보에 포함된 접속 정보에 따른 접속 시간을 누적 카운트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한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탐지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치가 접속 중인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를 DB(101)에서 식별하고, 해당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에 포함된 배치 정보에 따른 설정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어 접속 유지 시간 산출시마다 사용자 장치가 접속 중인 특정 중계 장치에 대응되는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에 설정된 설정 시간과 해당 접속 유지 시간을 비교하여 접속 유지 시간이 설정 시간 초과시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에 해당하는 장치인 것으로 판단 및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상기 중계 장치는 자신에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데이터량)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탐지 정보에 포함된 접속 정보에 포함시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수집부(110)는 해당 탐지 정보를 DB(101)에 건물 정보와 매칭하여 누적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예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특정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어 DB(101)에 누적 저장된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누적 저장된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에 포함된 트래픽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평균 트래픽을 확인(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해당 평균 트래픽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사용자 장치를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는 영상을 지속적으로 전송하는 몰래 카메라에 해당하는(또는 몰래 카메라로 의심되는) 장치인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어 산출된 접속 유지 시간이나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한 몰래 카메라 여부의 판단을 위한 검출 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40)가 상기 검출부(130)와 연동하여 상기 검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검출 정보의 수신 대상인 상기 단말은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중계 장치가 설치된 건물의 관리자에 대응되는 관리자 단말이거나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운영하는 서비스 운영자에 대응되는 운영자 단말일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이나 발생 트래픽량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상태에 대한 검출 정보를 건물 관리자 또는 복수의 건물을 관리하는 서비스 운영자에게 제공하여 건물 관리자 또는 서비스 운영자가 검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장치에 대한 몰래 카메라 해당 여부를 직접 판단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출부(130)와 연동하여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로 검출된 경우 DB(101)에서 해당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탐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장치가 접속 중인 특정 중계 장치를 식별하고, 해당 탐지 정보에 포함된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와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 후 해당 특정 중계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한 특정 중계 장치는 제어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자신에 접속 중인 사용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 장치의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접속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때, 건물 관리자 또는 서비스 운영자가 검출 정보 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알람 정보를 기초로 몰래 카메라에 해당되는 사용자 장치를 확인한 경우 해당 건물 관리자 또는 서비스 운영자가 직접 몰래 카메라에 해당되는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중계 장치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조작하거나 직접 중계 장치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차단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건물의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인터넷망으로의 통신을 중계하는 특정 중계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 장치가 접속 중인 해당 특정 중계 장치에서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파악하여 전송하는 탐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가 이용 중인 건물 내 특정 영역을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특정 영역에 대해서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시간을 해당 특정 영역에 대해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을 기초로 식별하고, 지속적으로 특정 중계 장치에서 사용자 장치에 대해 전송하는 탐지 정보를 기초로 해당 설정 시간을 초과하여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접속 상태가 유지되는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몰래 카메라로 검출된 사용자 장치의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접속을 강제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건물 내에서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하나의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해서만 사용자 장치를 접속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러한 건물의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해 사용자의 이용 가능한 시간이 종료되어 사용자가 특정 영역에 머무를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회수하지 않고 건물 내에 남겨둔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서 검출하여 몰래 카메라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는 특정 중계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 장치에 의해 특정 중계 장치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기초로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몰래 카메라로 검출된 사용자 장치의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접속을 강제 차단하여 몰래 카메라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적용 사례를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건물은 숙박업을 위한 건물이며, 건물에는 복수의 객실이 구성(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객실 각각에는 중계 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중계 장치는 인터넷망과 직접 연결되거나 타 중계 장치를 통해 인터넷망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중계 장치는 해당 중계 장치로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인증을 위한 고유 비밀번호가 미리 설정되어 자신에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로 고유 비밀번호의 수신을 위한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해당 고유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인증된 사용자 장치에 한해서만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이때, 객실마다 구성되는 중계 장치는 Wi-Fi AP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서로 다른 중계 장치 상호 간 서로 상이한 고유 비밀번호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는 Wi-Fi 활성화시 건물에 구성된 복수의 객실 중 사용자가 투숙하는 특정 객실 내에 구성된 특정 중계 장치와 특정 객실 외부에 구성된 중계 장치 각각의 Wi-Fi ID 또는 BSSID를 확인할 수 있으며, 건물의 관리자는 사용자에게 해당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고유 비밀번호만을 제공하여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가 투숙한 특정 객실 내에 구성된 특정 중계 장치를 통해서만 건물 내의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인터넷망을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건물에 대한 건물 정보가 저장된 DB(1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건물 정보는 건물 내에 배치된 복수의 중계 장치가 각각 상술한 예외 장치로 설정된 예외 장치별 등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예외 장치별 등록 정보 중에서 특정 객실 내에 배치된 중계 장치에 해당되는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에는 해당 특정 객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영역 식별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즉, 객실 내에 배치된 중계 장치별로 중계 장치가 배치된 객실에 대한 식별자가 중계 장치에 대응되는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예외 장치별 등록 정보는 예외 장치에 해당되는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는 중계 장치의 Wi-Fi ID(BSSID), MAC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중계 장치에 대응되는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에는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와 특정 중계 장치가 배치된 객실의 식별자가 상호 매칭되어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사용자가 자신이 투숙한 특정 객실 내에 몰래 카메라를 배치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투숙한 객실 내에 배치된 특정 중계 장치의 고유 비밀번호만을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장치는 오직 해당 특정 객실 내에 배치된 특정 중계 장치에 접속하여 건물 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투숙한 특정 객실 내에 배치된 특정 중계 장치는 몰래 카메라인 사용자 장치가 해당 특정 중계 장치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 장치에 인증 요청을 위한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사용자 장치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중계 장치는 자신에 미리 설정된 고유 비밀번호와 인증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를 인증하고,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허용한다.
또한, 특정 중계 장치는 건물 내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해당 특정 중계 장치로 접속한 사용자 장치에 인터넷망으로의 연결을 중계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중계 장치는 해당 사용자 장치와 널리 알려진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중계 장치는 해당 사용자 장치 접속시 해당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탐지 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건물 내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중계 장치는 직접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해당 탐지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도 있으며, 타 중계 장치를 통해 해당 탐지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중계 장치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탐지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탐지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탐지 정보에 포함된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정보 또는 건물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포함된 건물 정보를 DB(101)에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건물 정보에 포함된 예외 장치별 등록정보를 해당 탐지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 장치가 건물 내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상시 허용되는 예외 장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탐지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건물 정보에서 탐지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설정된 예외 장치의 등록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사용자 장치를 예외 장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탐지 정보에 포함되며 예외 장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특정 중계 장치를 식별하고, 해당 특정 중계 장치에 대응되며 사용자가 투숙중인 특정 객실을 특정 중계 장치에 대응되는 특정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에 포함된 특정 객실의 식별자를 기초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특정 객실의 식별자는 객실 번호 또는 객실 호수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특정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에 미리 설정되며 해당 특정 객실에 대해 이용 가능한 이용 가능 시간인 설정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탐지 정보를 탐지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건물 정보와 매칭하여 DB(101)에 저장하거나 건물 정보에 포함된 예외 장치별 등록 정보 중 탐지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와 매칭하여 DB(101)에 누적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DB(101)에 누적 저장된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탐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장치의 최초 접속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DB(101)에 누적 저장된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탐지 정보를 기초로 해당 최초 접속 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 장치의 해당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와 관련된 탐지 정보 수신시마다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탐지 정보 수신시마다 최초 접속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 시간과 접속 유지 시간을 상호 비교하여 접속 유지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중계 장치에 접속한 접속 장치별 탐지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탐지 정보 수신시마다 탐지 정보에 포함된 접속 정보에 따른 접속 시간을 누적 카운트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한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접속 유지 시간 산출시마다 상기 설정 시간에 대한 초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에 대해 산출된 접속 유지 시간이 사용자 장치에 대해 확인된 특정 객실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 초과시 사용자의 특정 객실에 대한 이용이 종료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를 회수하지 않고 해당 특정 객실에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몰래 카메라로 검출된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신된 탐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와 해당 사용자 장치가 접속 중인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해당 특정 중계 장치에서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차단시키도록 해당 특정 중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특정 중계 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는 특정 중계 장치에서 사용자 장치가 제공하는 Wi-Fi ID 또는 MAC 정보일 수 있으며, 해당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정보는 특정 중계 장치의 IP 주소, Wi-Fi ID(BSSID), MAC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제어 정보를 수신한 특정 중계 장치는 제어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자신에 접속한 사용자 장치를 식별하고, 몰래 카메라로 의심되는 해당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차단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특정 객실에 대한 대여가 종료된 이후에도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몰래 카메라로 의심되는 사용자 관련 사용자 장치의 해당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접속을 차단하여, 기존과 같은 몰래 카메라 검출을 위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한 탐지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용이하게 몰래 카메라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몰래 카메라에 대한 검출 과정을 통해 몰래 카메라로 검출된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신된 상기 탐지 정보를 DB(101)에서 식별하고, 해당 탐지 정보에 포함된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상기 특정 중계 장치가 배치된 특정 객실의 식별자를 상기 특정 중계 장치에 대응되는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를 기초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몰래 카메라 검출시 탐지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상기 특정 객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알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특정 중계 장치가 위치하는 건물의 상기 건물 정보에 미리 설정된 관리자 단말의 연락처를 식별한 후 해당 연락처에 대응되는 관리자 단말로 해당 알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몰래 카메라로 의심되는 사용자 장치 검출시 해당 몰래 카메라로 의심되는 사용자 장치가 배치된 건물 내 특정 객실을 특정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통지함으로써, 관리자가 해당 특정 객실을 조사하여 몰래 카메라를 용이하게 발견하여 제거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탐지 정보를 기초로 건물을 구성하는 복수의 객실 중 몰래 카메라가 배치된 장소를 특정 객실로 한정하여 특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자가 건물 내 모든 객실을 조사할 필요 없이 몰래 카메라에 대한 조사 범위를 하나의 객실로 한정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몰래 카메라에 대한 탐지에 대한 수고와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몰래 카메라로 의심되는 사용자 장치 검출시 상기 알람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서비스 운영자에 대응되는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상기 서비스 운영자를 통해 상기 관리자에게 몰래 카메라로 의심되는 사용자 장치에 대한 통지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특정 객실 대여에 따른 대여 종류(대여 형태)를 포함하는 대여 정보 또는 해당 대여 종류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객실에 대한 객실 예약을 위한 예약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대여 종류에 따라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과 비교 대상인 설정 시간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사용자 장치의 몰래 카메라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데, 이를 도 5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대여 종류가 설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로 다른 대여 종류 상호 간 서로 상이한 대여 시간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서로 다른 대여 종류는 대실 및 숙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는 대실에 대응되는 제 1 대여 종류에 대응되어 4시간이 대여 시간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숙박에 대응되는 제 2 대여 종류에 대응되어 24시간이 대여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는 숙박에 대응되는 제 2 대여 종류에 대응되어 당일을 기준으로 다음날의 미리 설정된 퇴실 시간이 대여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숙박에 대응되는 제 2 대여 종류에 대응되어 다음날 오전 11시가 대여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해당 외부 장치는 건물 내 구성된 중계 장치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해당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건물 내 구성된(설치된) 키오스크(KIOSK) 장치일 수 있으며, 해당 키오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특정 객실 투숙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특정 객실에 대한 대여 종류 및 객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대여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건물 내 복수의 객실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일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특정 객실 투숙시 상술한 대여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에서 생성하는 대여 정보는 대여 대상인 특정 객실이 속한 건물에 대한 건물 식별 정보(건물 ID, 건물 명칭, 건물 주소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객실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성명, 연락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객실을 이용한 고객인 사용자의 고객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객실 예약을 위한 예약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예약 정보 역시 건물 식별정보, 사용자 정보, 대여 종류, 객실 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는 특정 객실에 대해 사용자에 해당하는 고객이 투숙시 입력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대여 정보나 상기 고객의 고객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생성한 객실 예약을 위한 예약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대여 정보 또는 예약 정보 수신시 DB(101)에서 해당 대여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건물 정보를 대여 정보를 기초로 식별할 수 있으며, 특정 건물 정보에 포함된 예외 장치별 등록 정보 중에서 대여 정보 또는 예약 정보에 설정된 객실의 식별자와 일치하는 식별자가 설정된 특정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를 식별한 후 해당 특정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와 매칭하여 대여 정보 또는 예약 정보를 DB(101)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특정 건물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객실별로 상기 대여 정보와 객실에 매칭되는 중계 장치에 접속한 접속 장치별 접속 정보가 포함된 객실 현황 정보를 상기 특정 건물 정보에 대응되어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객실 현황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객실 현황 정보에 상기 특정 건물 정보에 포함된 건물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객실별 대여 현황과 상기 객실별로 구성된 중계 장치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접속 장치에 대한 현황에 대한 상기 객실 현황 정보를 하나의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관리하는 서비스 운영자가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건물별로 객실별 대여 현황과 객실별로 구성된 중계 장치에 접속한 접속 장치들의 현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중계 장치로부터 탐지 정보 수신시 해당 탐지 정보와 예외 장치별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탐지 정보에 따른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특정 중계 장치의 등록 정보(특정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를 식별하고, 해당 특정 중계 장치의 등록 정보에 매칭되는 대여 정보 또는 예약 정보가 DB(101)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특정 중계 장치의 등록 정보에 매칭되어 DB(101)에 저장된 대여 정보 또는 예약 정보가 존재하고 해당 사용자 장치가 예외 장치가 아닌 경우(S1)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집된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에 따른 접속 유지 시간과 설정 시간 비교시(S2, S3) 접속 유지 시간과 비교 대상인 설정 시간을 대여 정보 또는 예약 정보에 포함된 대여 종류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대여 시간으로 변경하여 사용자 장치에 대해 탐지 정보 수신시마다 산출되는 접속 유지 시간과 비교할 수 있다(S4, S5).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에 대해 산출된 접속 유지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특정 중계 장치로부터 탐지 정보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치의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접속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건물 내 특정 객실에 배치된 특정 중계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 장치에 대해 특정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를 기초로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하고, 특정 객실에 대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대여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특정 객실의 대여 종류를 '대실'로 선택한 경우(S3) '대실'인 대여 종류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 1 대여 시간인 4시간을 접속 유지 시간과의 비교 대상인 설정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S4).
이때, 해당 특정 객실에 대응되는 특정 중계 장치인 특정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에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이 24시간인 경우에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가 '대실'에 대응되는 대여 종류로 특정 객실을 대여하므로, 해당 특정 객실에 대해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가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해 접속이 허용되는 설정 시간을 24시간에서 4시간으로 변경하여 사용자 장치에 대해 산출된 접속 유지 시간과 비교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건물 내 특정 객실에 배치된 특정 중계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 장치에 대해 특정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를 기초로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하고, 특정 객실에 대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대여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특정 객실의 대여 종류를 '숙박'으로 선택한 경우(S3) '숙박'인 대여 종류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 2 대여 시간인 24시간을 접속 유지 시간과의 비교 대상인 설정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S5).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여 정보 또는 예약 정보에 따른 대여 시간으로 변경된 설정 시간과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집된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를 기초로 산출한 접속 유지 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 장치의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접속이 유지 중인 상태에서 접속 유지 시간이 설정 시간(대여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S4, S5) 해당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 검출하고(S6), 특정 중계 장치에 몰래 카메라로 검출된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몰래 카메라로 검출된 사용자 장치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집된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치가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해 접속이 종료된 이후 재연결된 경우를 식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의 연결 종료 시점 부터 재연결 시점 까지의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접속 유지 시간의 시작 시점을 연결 종료 시점 이전에 수신된 탐지 정보 중 가장 먼저 수신된 탐지 정보에 포함된 접속 정보에 따른 최초 접속 시점(최초 접속 시간)을 기준으로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몰래 카메라인 사용자 장치가 특정 중계 장치와의 연결이 일시적인 문제로 인해 실패한 이후 재부팅 등의 문제 해결을 통해 재연결된 경우 사용자 장치의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연결 실패 시점부터 재연결 시점까지의 시간을 접속이 유지된 상태로 간주하여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중계 장치에 접속한 접속 장치별 탐지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탐지 정보 수신시마다 탐지 정보에 포함된 접속 정보에 따른 접속 시간을 누적 카운트하여 일시적인 연결 실패 시간까지 반영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객실 대여 형태에 따라 사용자의 객실 대여 시간을 판단하고, 해당 객실 대여 시간을 초과하여 사용자 장치가 건물 내 객실의 특정 중계 장치에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를 건물 내 대여 객실에 방치한 상태로 건물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고, 객실 대여 시간을 초과하여 객실 내 방치된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객실 대여 형태에 따른 대여 시간이 종료되는 즉시 몰래 카메라를 검출한 후 자동 차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몰래 카메라에 의한 범죄를 사전 차단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내 중계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 장치가 비정상적인 대량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경우 영상을 지속적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몰래 카메라인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 차단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숙박업소는 현재 네트워크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몰래 카메라를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신규 숙박업소는 기존 네트워크 구성과 동일한 형태로 숙박업소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몰래 카메라를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내 중계 장치에 접속한 몰래 카메라로 검출된 사용자 장치의 통신망 접속을 자동 차단하여 몰래 카메라의 영상 전송을 차단함으로써 몰래 카메라를 자동으로 무력화시킬 수 있어 몰래 카메라의 사전 차단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몰래 카메라가 설치된 것으로 의심되는 객실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해당 객실에 대한 집중 탐색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함으로써, 탐색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탐색에 소요되는 수고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몰래 카메라가 접속할 수 있는 중계 장치를 특정 객실의 특정 중계 장치로 한정하여, 몰래 카메라의 설치 시점과 몰래 카메라를 설치한 범인을 특정 객실의 이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몰래 카메라의 설치에 따른 범죄를 저지른 범인을 검거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으로 몰카 범죄를 감소시키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실내에 배치되어 통신망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중계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탐지 정보를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수집할 수 있다(S11).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탐지 정보에 따른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건물에 대해 몰래 카메라가 아닌 장치로서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예외 장치별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상기 예외 장치의 해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예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집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집된 상기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 또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한 후 몰래 카메라 검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판단 기준에 적용하여 판단 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례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예외 장치의 해당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예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중계 장치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어 설정된 설정 시간과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집된 상기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을 확인하고(S13, S14), 해당 설정 시간 및 접속 유지 시간을 비교하여(S15) 상기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16).
이때, 설정 시간은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중계 장치에 대응되는 객실에 대해 미리 설정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설정된 대여 시간일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탐지정보별 접속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히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된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에 포함된 트래픽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평균 트래픽을 산출한 후 상기 평균 트래픽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의 몰래 카메라 해당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로 검출된 경우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중계 장치로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7).
이상에서 설명된 사용자 장치, 중계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중계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 중계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는 각각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중계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 중계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사용자 장치, 중계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사용자 장치, 중계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중계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계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서비스 제공 장치
110: 수집부
120: 판단부 130: 검출부
140: 제어부
120: 판단부 130: 검출부
140: 제어부
Claims (13)
- 건물의 실내에 배치되어 통신망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와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탐지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수집하는 수집 단계;
상기 탐지 정보에 따른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건물에 대해 몰래 카메라가 아닌 장치로서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예외 장치별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상기 예외 장치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예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집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집된 상기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 또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한 후 몰래 카메라 검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판단 기준에 적용하여 판단 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인 경우 상기 중계 장치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게이트 웨이 또는 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중계 장치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어 설정된 설정 시간과 상기 수집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집된 상기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인지 여부를 검출하거나 상기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에 포함된 트래픽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평균 트래픽을 산출한 후 상기 평균 트래픽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의 몰래 카메라 해당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건물은 숙박업을 위한 복수의 객실이 구비된 건물이며,
상기 복수의 객실과 각각 일대일로 매칭되며 서로 상이한 접속 인증을 위한 고유 비밀번호가 설정된 복수의 서로 다른 중계 장치가 상기 건물의 실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중계 장치 중 상기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특정 중계 장치에 해당되는 상기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에 상기 복수의 객실 중 상기 특정 중계 장치가 배치된 특정 객실의 식별자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탐지 정보에 포함된 상기 특정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가 접속한 상기 특정 중계 장치가 배치된 특정 객실의 식별자를 상기 특정 중계 장치에 대응되는 예외 장치의 등록 정보를 기초로 식별하며, 상기 몰래 카메라 검출시 상기 탐지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상기 특정 객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건물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는 대여 종류별 대여 시간이 미리 설정되고,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객실 중 상기 특정 객실에 투숙한 고객의 대여 종류에 따른 대여 시간을 상기 설정 시간으로 하여, 상기 접속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특정 중계 장치에 대한 최초 접속 시간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이 상기 대여 시간 초과 시 상기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 검출하거나 상기 특정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특정 중계 장치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접속 장치별 탐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탐지 정보 수신시마다 상기 탐지 정보에 포함된 접속 정보에 따른 접속 시간을 누적 카운트하여 산출한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이 상기 대여 시간 초과 시 상기 사용자 장치를 몰래 카메라로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건물에 설치된 키오스크 장치이거나 상기 건물의 관리자에 대응되는 관리자 단말이며,
상기 수집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가 특정 객실에 대해 상기 외부 장치에서 고객이 투숙시 입력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대여 정보나 상기 고객의 고객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생성한 객실 예약을 위한 예약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시 상기 대여 정보 또는 예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 종류에 따른 대여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집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객실별로 상기 대여 정보와 객실에 매칭되는 중계 장치에 접속한 접속 장치별 접속 정보가 포함된 객실 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객실 현황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 건물의 실내에 배치되어 통신망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와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탐지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수집하는 수집 단계;
상기 탐지 정보에 따른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건물에 대해 몰래 카메라가 아닌 장치로서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예외 장치별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상기 예외 장치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예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집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집된 상기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 또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트래픽 또는 접속 유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한 몰래 카메라 여부의 판단을 위한 검출 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로 전송하는 알림 단계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
- 건물의 실내에 배치되어 통신망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와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탐지 정보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중계 장치; 및
상기 탐지 정보에 따른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건물에 대해 몰래 카메라가 아닌 장치로서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예외 장치별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상기 예외 장치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예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수집된 상기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 또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을 산출한 후 몰래 카메라 검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판단 기준에 적용하여 판단 결과를 산출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건물의 실내에 배치되어 통신망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정보와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탐지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수집부;
상기 탐지 정보에 따른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건물에 대해 몰래 카메라가 아닌 장치로서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예외 장치별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상기 예외 장치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예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수집된 상기 탐지 정보별 접속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 유지 시간이나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을 산출한 후 미리 설정된 판단 기준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가 몰래 카메라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를 통해 몰래 카메라로 검출된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상기 중계 장치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7962A KR102720623B1 (ko) | 2019-10-15 |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 |
US16/945,230 US11381459B2 (en) | 2019-08-05 | 2020-07-31 |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hidden camer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7962A KR102720623B1 (ko) | 2019-10-15 |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4595A true KR20210044595A (ko) | 2021-04-23 |
KR102720623B1 KR102720623B1 (ko) | 2024-10-23 |
Family
I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11150A (zh) * | 2022-04-26 | 2022-08-16 | 鄢立恒 | 一种红外物体探测器 |
WO2022231252A1 (ko) * | 2021-04-27 | 2022-11-0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비디오 스트림 감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KR102578877B1 (ko) * | 2022-11-30 | 2023-09-15 | (주)세이프티랩 | IoT메인컨트롤러와 112 비상벨을 이용한 재난안전 및 범죄예방을 위한 감시시스템 |
KR102684161B1 (ko) * | 2023-04-21 | 2024-07-17 | (주)세이프티랩 | 상시형 몰래카메라 탐지모듈이 내장된 메인컨트롤러와 비상벨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7505A (ko) | 2016-11-22 | 2018-05-30 | 주식회사 케이엠티글로벌 | 몰래 카메라 방지장치 |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7505A (ko) | 2016-11-22 | 2018-05-30 | 주식회사 케이엠티글로벌 | 몰래 카메라 방지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31252A1 (ko) * | 2021-04-27 | 2022-11-0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비디오 스트림 감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CN114911150A (zh) * | 2022-04-26 | 2022-08-16 | 鄢立恒 | 一种红外物体探测器 |
KR102578877B1 (ko) * | 2022-11-30 | 2023-09-15 | (주)세이프티랩 | IoT메인컨트롤러와 112 비상벨을 이용한 재난안전 및 범죄예방을 위한 감시시스템 |
KR102684161B1 (ko) * | 2023-04-21 | 2024-07-17 | (주)세이프티랩 | 상시형 몰래카메라 탐지모듈이 내장된 메인컨트롤러와 비상벨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81459B2 (en) |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hidden camer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 |
US9922510B2 (en) | Alert based on detection of unexpected wireless device | |
US20140218517A1 (en) | Hom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 |
CN108055455B (zh) | 家庭监控的隐私保护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KR20150018037A (ko) | 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제 방법 | |
KR101498985B1 (ko) |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 |
CA3052352C (en) | Bridge device supporting alarm format | |
US20130215903A1 (en) | Dual communication-interface facilit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JP5830729B1 (ja) | 携帯通信端末を所持するユーザーを自動もしくは手動にて撮影する撮影及び映像配信システム | |
JP2023015140A (ja) | 監視カメラ、監視システム、監視カメラ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WO2015183161A1 (en) | Method for setting up a sensor system | |
US20150181432A1 (en) | Remote configuration of digital video surveillance system elements | |
US10542200B2 (en) | Surveillance camera system | |
KR102296974B1 (ko) |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 |
KR20120044821A (ko) |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의 영상 제어 방법 및 네트워크 카메라 | |
KR102199209B1 (ko) |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 |
KR20210044595A (ko) |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 |
KR102720623B1 (ko) |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 |
KR101622610B1 (ko) | Uwb 센서를 이용한 홈 무선 네트워크 카메라 스마트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 |
KR101932420B1 (ko) | 네트워크 감시카메라 시스템 | |
JP2002165211A (ja) | 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防犯監視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に防犯監視システムの基本機能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 | |
KR101494884B1 (ko) |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
KR101375240B1 (ko) |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
EP3236442A1 (en) | Anti-theft method and device | |
KR20100009296A (ko) | 네트워크 카메라의 무선 접속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