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635A - 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635A
KR19990073635A KR1019980006696A KR19980006696A KR19990073635A KR 19990073635 A KR19990073635 A KR 19990073635A KR 1019980006696 A KR1019980006696 A KR 1019980006696A KR 19980006696 A KR19980006696 A KR 19980006696A KR 19990073635 A KR19990073635 A KR 19990073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larm
microcomputer
user
alarm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1522B1 (ko
Inventor
박형식
Original Assignee
박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식 filed Critical 박형식
Priority to KR101998000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522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1Alarm cancelling procedures or alarm forwarding decisions, e.g. based on absence of alarm confi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2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recorded signals, e.g. spee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6Monitoring of the line circuits, e.g. signalling of line fau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4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houses needing emergency help, e.g. with a flashing light or s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경보시스템은 다양한 비상상황에 대해 본 시스템을 채용한 다수의 가입주택에 일괄 경보가능토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일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경보기유니트를 구비하며, 각 경보기유니트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 다수의 가입주택들을 일렬로 연결하여 상호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각종 비상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사용자의 원격조정을 위한 리모콘수신부, 사용자의 수동조정을 위한 버튼부, 가입주택간의 식별을 위해 부여되는 자신의 아이디(ID) 설정 및 연결된 가입주택의 총수 설정을 위한 ID설정부, 다수의 전화연락가능한 번호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비상상황이 발생한 가입주택을 타가입주택에 발광표시로 경보하기 위한 LED표시부, 음성발생으로 경보하기 위한 음성발생부, 저장된 번호로 자동전화걸기하여 경보하기 위한 전화호출부, 가입주택 내·외부의 적정위치에 설치되어 발생되는 경보음성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는 스피커, 비상상황을 녹음·녹화하여 감시하기 위한 카메라와 VTR, 및 비상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외부기기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입주택 모두에게 어디에서 비상이 발생했는 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확실하게 동시에 경보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서로 연결된 이웃 가입주택끼리 각종 비상상황에 대하여 신속하게 공동대처할 수 있으므로 집단적인 자율방범체제의 구축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보시스템
본 발명은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주택을 상호 연결하여 어느 한주택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연결된 나머지 주택에 동시에 경보하며, 다양한 비상상황에 대해 모두 경보가능하도록 한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증권회사등의 금융기관이나 공공단체에서는 불의의 사고에 대비하여 이를 감시하여 경보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추고 있다. 일예로,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원하는 감시장소를 촬영 및 녹화할 수 있도록 한다. 차츰, 각 가정에서도 방범 및 방재등의 비상상황에 대한 대비가 요구되어 졌다. 그래서, 각 가정마다 온도센서, 가스누설센서, 침입검지기등을 사용하여 주택의 안전을 확보하는 방재·방범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하나하나가 독립하여 기능을 발휘하고 있어 일어날 수 있는 모든 비상상황에 대해 모두 대처하려면 비용 및 설치면에서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본 주택내에만 경보발생되므로, 거주자가 없거나 있더라도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주거·가정의 안전확보는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양한 비상상황에 대해 모두 경보가능하며, 다수의 주택들을 상호 연결하여 어느 한 주택에서 바상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연결된 나머지 주택 모두에게 동시에 경보하여 도움을 청하거나 이웃에 거주하는 연결주택 모두가 신속하게 집단적으로 공동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경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보시스템의 가입주택간의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시스템을 나타내는 경보기유니트의 구성도,
도 3은 도 2 경보시스템을 나타내는 경보기유니트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통신부 22,22′: LED구동제어부
23 : LED표시부 24 : 리모콘수신부
25 : ID설정부 26 : 감지부
27 : 버튼부 28 : 입력부
29 : 마이크로컴퓨터(CPU) 30 : 번호입력부
31 : 전원부 32 : 어댑터
33 : 출력부 34 : 카메라
35 : VTR 36 : 메모리부
37 : 전화호출부 38 : 단말기
39 : 음성발생부 40,40′:증폭부
41,41′: 스피커 42 : 상태표시부
43 : 외부기기제어부 44 : 외부기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보시스템은, 방범·방재등의 다양한 비상상황의 경보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일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경보기유니트를 구비하며, 각 경보기유니트는, 경보발신 및 취소, 그리고 감지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조정부와, 발생가능한 여러가지 비상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가입주택들을 일렬로 연결하여 상호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호 연결된 가입주택간의 식별을 위해 부여되는 자기 아이디(ID) 및 연결된 가입주택의 총수를 설정하기 위한 ID설정부와, 상기 사용자조정부의 선택,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 그리고 상기 통신부에 의해 연결된 타가입주택으로부터의 전송신호에 따라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 및 연결된 가입주택의 총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발광소자(LED)로 조합되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하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가입주택의 ID에 대응하는 발광소자를 발광표시하여 경보하기 위한 발광표시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보시스템의 가입주택간의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시스템을 나타내는 경보기유니트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낸 경보시스템의 경보기유니트는 인접한 주택에 채용된 동일 구성의 경보기유니트와 일렬로 연결하여 상호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21), 상호 연결된 주택총수에 대응되는 수의 발광소자(LED)로 된 LED표시부(23)와 이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LED구동제어부(22,22′), 및 사용자의 원격조정을 위한 리모콘수신부(24)를 구비한다. 도 2의 경보시스템은 또한, 본 주택에 부여된 자기 아이디(ID)와 연결주택의 총수를 나타내는 최종 아이디(ID)를 각각 설정하기 위한 ID설정부(25), 다양한 비상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감지기들로 된 감지부(26), 및 버튼부(27)를 구비한다. 한편, 도 2의 경보시스템은 감지부(26)와 버튼부(2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28),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CPU)(29), 및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번호입력부(30)를 구비한다. 마이크로컴퓨터(29)에는 콘센트에 꽂힌 플러그를 통한 공급전원을 필요한 메인전원으로 얻어내는 어댑터(32)와 배터리(battery)의 전원을 각 구성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며, 그 전원을 정전대비하여 유지하고 있는 전원부(31)가 연결된다. 마이크로컴퓨터(29)는 출력부(33)가 연결되어 경보발생시 적정위치에 설치된 카메라(34)와 VTR(35)를 구동제어하여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로컴퓨터(29)는 또한, 번호입력부(30)를 통해 입력받은 연락가능한 번호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36), 메모리부(36)에 기저장된 번호에 대해 자동전화걸기를 수행하기 위해 전화라인잭에 연결되는 전화호출부(37)와 단말기(38)가 연결된다. 한편, 마이크로컴퓨터(29)는 비상상황 발생을 음성경보하기 위한 음성발생부(39)가 연결되며, 음성발생부(39)에는 경보음성을 적정크기로 증폭하여 내·외부의 적정위치에 설치된 스피커들(41,41′)에 송출하기 위한 증폭부(40,40′)가 연결된다. 마이크로컴퓨터(29)는 비상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기기(44)들 즉, 조명기기(441), 가스발사기(442), 소화기(443), 기타기기(444)등을 구동제어하는 외부기기제어부(43)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 2 경보시스템의 보다 상세한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도 2의 경보기유니트가 설치된 다수의 주택들이 통신부(21)를 통해 일렬로 상호 연결되어 통신가능토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64개 주택까지 연결하며, 그 이상의 확장도 가능하다. 여기서, 64개 모두 일반 주택끼리 연결할 수도 있으며, 그중 일부는 관리본부와 인근파출소 및 경찰서와도 연결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가입주택이라 총칭한다. 상호 연결된 가입주택마다 식별할 수 있는 일련의 아이디(Identification; ID)가 부여된다. 사용자는 ID설정부(24)의 제 1ID설정기(241)를 통해 자기 ID를 설정한다. 그리고, 제 2ID설정기(241′)를 통해 시스템에 연결된 가입주택의 총수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ID설정기(241′)는 가입주택의 총수로 "64"를 설정한다. ID설정기(241,241′)는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IC와 같은 고정피치를 지니고 데이터의 반고정 설정등에 사용되는 딥스위치(DIP Switch)를 각각 사용한다. 제 1 및 제 2ID설정기(241,241′)에 대응되게 연결된 74HC244와 같은 집적회로(242,242′)를 이용하여 설정된 자신의 ID 및 연결주택총수가 마이크로컴퓨터(29)에 전달된다. 도 3를 보면 또한, 하나의 발광소자(LED)로 된 상태표시부(42)가 마련되어 있다. 상태표시부(42)는 본 시스템의 각 구성들이 정상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해, 마이크로컴퓨터(29)의 제어하에 평상시 발광소자를 지속으로 발광시키다가 경보발생시 꺼지게 된다.
우선, 침입자가 발생하는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다른 가입주택에 경보발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시스템상에 설치된 버튼부(27)의 경보버튼(271)을 직접 누르거나 리모콘(미도시)을 통해 원격조정한다. 74HC244와 같은 집적회로로 된 입력부(28)는 경보버튼(271)이 눌러진 경우 그에 대응 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29)에 전달한다. 리모콘수신부(24)는 리모콘(미도시)으로부터 전파형태로 전송되는 원격조정신호를 수신받아 마이크로컴퓨터(29)에 전달한다. 마이크로컴퓨터(29)는 입력부(28) 또는 리모콘수신부(24)를 통해 경보발신신호가 입력되면, 통신부(21)를 통해 연결된 타가입주택의 시스템에 이를 알린다. 통신부(21)를 통해 연결된 타가입주택의 경보발신신호가 수신되면, 마이크로컴퓨터(29)는 자신과 연결된 또 다른 가입주택의 시스템에 이를 전송하여 거의 동시다발에 가깝게 순차적으로 모두 알린다. 가입주택의 시스템으로부터 경보발신을 전달받은 마이크로컴퓨터(29)는 일정시간경과후 LED구동제어부(22,22′)를 통해 LED표시부(23)를 구동제어하여 LED표시부(23)상에 조합된 발광소자(LED)들중 비상상황이 발생한 가입주택의 ID에 해당하는 발광소자(LED)를 발광시킨다. 여기서, 일정시간경과후부터 LED표시부(23)를 구동시킴은 사용자의 오동작을 감안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LED표시부(23)상에는 64개의 LED가 조합되어 있다. LED표시부(23)상에 발광상태를 보고 어느 가입주택에 비상상황이 발생했는 지를 알 수 있는 사용자는 그에 따른 적절한 조취를 취해주게 된다. 경보발신한 시스템의 경보기유니트에서는 경보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여 침입자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한다. 대신, 마이크로컴퓨터(29)는 출력부(33)를 통해 카메라(34)와 VTR(35)를 작동시켜 그 상황을 녹화·녹음하도록 하여 차후 침입자를 잡는 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보발신한 유니트의 마이크로컴퓨터(29)는 발생한 비상상황에 맞게 외부기기제어부(43)를 작동시켜, 야간에 주변을 더욱 밝게 해줄 수 있는 조명기기(441), 범인을 일시적으로 마취시킬 수 있는 가스발사기(442), 화재시 사용되는 소화기(443), 기타기기(444)등의 외부기기(44)를 적절히 선택하여 작동시켜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를 보면, 외부기기제어부(43)는 외부기기(44)내의 조명기기(441), 가스발사기(442), 소화기(443), 기타기기(444)와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되며,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가 외부기기(44) 작동여부를 선택가능하다. 경보발신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번호입력부(30)를 통해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를 사용하거나 버튼부(27)의 취소버튼(272) 또는 리모콘(미도시)을 통해 선택하면 된다.
다음, 사용자의 경보발신뿐 만 아니라 인체감지, 열감지, 및 가스감지기등을 연결하여 그 밖의 비상상황에 대한 경보에 대해 설명한다.
외출시 사용자는 버튼부(27)의 감지작동버튼(273) 또는 리모콘(미도시)을 통해 감지부(26) 작동모드를 선택하면, 마이크로컴퓨터(29)는 내장된 타이머(미도시)를 통해 일정시간이 경과된 시점부터 감지작동모드로 전환한다. 주택내부의 적정위치에 설치된 제 1인체감지기(261)는 주택내부에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입력부(28)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29)에 입력한다. 마이크로컴퓨터(29)는 제 1인체감지기(261)에서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경보버튼(271)을 누르거나 리모콘수신부(24)를 통해 경보발신신호가 입력된 경우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29)는 출력부(33)를 통해 카메라(34)와 VTR(35)를 작동시켜 주택내부의 상황을 녹화·녹음하고, 타가입주택들로 경보발신을 한다. 주택외부의 적정위치에 설치된 제 2인체감지기(262)는 타가입주택들에게는 경보발신을 하지 않지만 사용자의 주택내부 또는 주택외부에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입력부(28)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29)에 입력한다. 마이크로컴퓨터(29)는 제 2인체감지기(262)에서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본 주택내에서만 방문벨(미도시)을 울리도록 한다. 열감지기(263) 및 가스감지기(264)도 인체감지기(261,262)와 마찬가지로 화재 및 가스누출을 감지하여 입력부(28)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29)에 알린다. 마이크로컴퓨터(29)는 화재 및 가스누출로 감지되면 경보버튼(271)을 누른 경우와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한편, 인체감지 경보시 침입자에 의한 경보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번호입력부(30)를 통해 비밀번호(password)를 입력하여 미리 설정한다. 그래서, 마이크로컴퓨터(29)는 정확한 비밀번호가 입력될 때까지 경보해제를 하지 않는다. 물론, 마이크로컴퓨터(29)를 프로그램 변형시켜 사용자가 비밀번호입력에 의하여 경보를 해제하지 않더라도 일정시간(약 5분) 경과하면 자동으로 경보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버튼부(27)의 확인버튼(274)은 LED표시부(23)상의 LED들에 대한 평상시 "온(ON)/오프(OFF)"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LED표시로 경보를 발생할 뿐 만 아니라 음성으로도 이를 알릴 수 있다. 즉,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경보발신이 수신되면 마이크로컴퓨터(29)는 음성경보를 위해 음성발생부(39)를 제어한다. 음성발생부(39)는 마이크로컴퓨터(29)의 제어하에 몇번 ID의 가입주택에서 어떠한 비상상황이 발생했는 지를 경보하는 음성메세지를 발생하고, 발생된 음성메세지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증폭부(40,40′)로 출력한다. 증폭부(40,40′)는 입력된 음성메세지를 일정크기로 증폭한 후 주택내부 및 외부의 적정위치에 설치된 스피커(41,41′)로 송출하여 음성경보한다. 여기서, 외부스피커(40′)는 가입주택마다 그 외부에 설치하지 않고 몇집 걸러 하나씩만 설치해도 무방하다. 이 밖에도,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상대방에게 알려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전에 번호입력부(30)를 통해 연락가능한 번호(예를 들어, 유무선전화번호, 무선호출번호, 핸드폰번호, 관리본부전화번호, 파출소 및 경찰서전화번호등)를 메모리부(36)에 저장시켜 놓는다. 여기서, 메모리부(36)는 저장내용이 지워지지 않도록 EEPROM과 같은 비휘발성메모리를 사용한다. 마이크로컴퓨터(29)는 연결된 가입주택에 경보발신뿐 만 아니라 메모리부(36)에 저장해놓은 전화번호를 차례로 읽어내어 그에 대응하는 다이얼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다이얼신호를 전화호출부(37)로 출력한다. 전화호출부(37)는 다이얼신호를 이중톤다중주파수(DTMF)신호의 형태로 변환시켜 단말기(38)로 출력한다. 단말기(38)는 DTMF신호를 전화라인잭을 통하여 지정된 상대가입자측으로 전송하고, 지정된 상대가입자측과 연결되면, 음성발생부(39)에서 발생되는 경보음성을 연결된 전화기(미도시)로 송출하여 알린다.
한편, 가입주택간의 연결이 절선되면, 마이크로컴퓨터(29)는 몇번 ID의 가입주택간의 연결이 절선되었는 지를 인식하고, 이를 통신부(21)를 통해 절선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는 다른 가입주택들에 알린다. 몇번 ID의 가입주택이 절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통신부(21)를 통해 수신되면, 마이크로컴퓨터(29)는 LED구동제어부(22,22′)를 통해 LED표시부(23)를 구동제어한다. LED표시부(23)는 LED구동제어부(22,22′)의 구동제어에 따라 절선된 ID의 가입주택에 대응하는 LED를 발광표시한다. 이때, 절선과 경보를 구별하기 위해 LED의 발광속도를 다르게 한다. 여기서, 절선되어 고립된 시스템은 LED표시부(23)상의 LED가 모두 발광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자신의 시스템이 절선되어 고립되었음을 인식시킨다.
전원부(31)는 시스템의 각 구성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즉, 어댑터(32)는 콘센트에 꽂힌 플러그를 통해 통상 220볼트(V)의 전원이 공급되면, 이를 필요한 메인전원, 통상 18볼트로 얻어내어 전원부(31)에 공급한다. 전원부(31)는 어댑터(32)에서 공급되는 18V 전원과 배터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통상 12V의 전원을 입력받아 각 구성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31)는 아울러, 정전대비를 위해 전원을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정전이 되어도 본 경보시스템은 일정시간 작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보시스템은 본 시스템의 가입주택 다수간에 상호 연결하여 한 가입주택으로부터 경보발신시 서로간에 연결된 나머지 모든 가입주택에 발광표시, 및 음성으로 자신의 주택에 비상상황이 발생했음을 경보해줄 수 있다. 아울러, 인체감지기, 열감지기, 가스감지기와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며, 비상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녹음·녹화를 수행하여 보다 확실한 경보를 수행하고, 자동전화걸기를 통해 알릴 수도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날로 빈번해지고 있는 각종 범죄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음은 물론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웃에 거주하는 가입주택끼리 집단적인 자율방범체제가 구축되므로 상황이 발생함과 동시에 현장에서 신속하게 공동대처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0)

  1. 방범·방재등의 다양한 비상상황의 경보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일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경보기유니트를 구비하며,
    각 경보기유니트는,
    경보발신 및 취소, 그리고 감지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조정부;
    발생가능한 여러가지 비상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경보기유니트를 설치한 가입주택들을 일렬로 연결하여 상호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호 연결된 가입주택간의 식별을 위해 부여되는 자기 아이디(ID) 및 연결된 가입주택의 총수를 설정하기 위한 ID설정부;
    상기 사용자조정부의 선택,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 그리고 상기 통신부에 의해 연결된 타가입주택으로부터의 전송신호에 따라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 및
    연결된 가입주택의 총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발광소자(LED)로 조합되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하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가입주택의 ID에 대응하는 발광소자를 발광표시하여 경보하기 위한 발광표시부를 포함하는 경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조정부에 의하거나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로부터 경보발신이 있으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하에 발생한 비상상황을 감시하기 위해 녹음 및 녹화를 수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경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사용자조정부에 의하거나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로부터 경보발신이 있는 경우 이를 제 3자가 임의적으로 취소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사전 설정하여 정확한 비밀번호가 입력될 경우에만 취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조정부는
    원격조정을 위한 리모콘수신부; 및
    직접조정을 위한 버튼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D설정부는 자기 ID 설정 및 연결된 가입주택의 총수를 설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딥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사용자조정부에 의하거나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로부터 경보발신이 있으면 자기를 제외한 나머지 연결된 타가입주택에서 일괄 경보발생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타가입주택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타가입주택으로부터 경보발신이 전달되면, 상기 LED표시부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하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가입주택에 대해 음성경보하기 위한 음성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경보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경보부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하에 음성메세지를 발생하기 위한 음성발생부;
    상기 발생된 음성메세지를 일정크기로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 및
    주택내부 및 외부의 적정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증폭된 음성메세지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송출하는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가입주택간의 연결이 절선되면, 상기 LED표시부와 상기 음성경보부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켜 절선을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비상상황과 절선에 의한 경보를 구별하기 위해, 상기 LED표시부의 발광속도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조정부에 의하거나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로부터 경보발신이 있으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하에 자동전화걸기를 수행하여 전화로 상대방에게 경보발생하는 전화걸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경보시스템.
  13. 제 9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걸기수단은
    전화로 연락가능한 번호들을 입력하기 위한 번호입력부;
    상기 번호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번호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하에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읽혀지는 번호에 대응하는 다이얼신호를 이중톤다중주파수(DTMF)신호로 발생하는 전화호출부; 및
    전화라인잭과 연결되어 상기 발생된 DTMF신호를 지정된 상대가입자측으로 전송하여 전화연결하며, 상기 음성발생부에서 발생된 음성메세지를 전화연결된 상대방에게 송출하기 위한 단말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주택내부 및 외부의 적정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인체감지기;
    화재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기; 및
    가스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가스감지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사용자조정부에 의해 감지작동이 선택되면, 일정시간 경과후 상기 인체감지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일정시간내에 상기 사용자조정부를 통해 취소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취소하면, 상기 인체감지기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복수개의 인체감지기중 하나의 인체감지기에 의해 특정장소에서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방문벨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조정부에 의하거나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로부터 경보발신이 있으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하에 발생한 비상상황에 적합하게 대처하기 위한 외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경보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수단은
    발생한 비상상황에 적절한 대처를 위한 다수의 외부기기; 및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하에 상기 다수의 외부기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외부기기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
  20. 제 1항에 있어서, 각 구성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정전대비를 위해 전원을 유지하고 있는 전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경보시스템.
KR1019980006696A 1998-03-02 1998-03-02 경보시스템 KR100281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696A KR100281522B1 (ko) 1998-03-02 1998-03-02 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696A KR100281522B1 (ko) 1998-03-02 1998-03-02 경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635A true KR19990073635A (ko) 1999-10-05
KR100281522B1 KR100281522B1 (ko) 2001-02-15

Family

ID=6589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696A KR100281522B1 (ko) 1998-03-02 1998-03-02 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52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71A (ko) * 2001-08-28 2001-09-29 류제원 최첨단 방범 시스템
KR20030041074A (ko) * 2001-11-19 2003-05-23 시스트로닉스 주식회사 음성경보중계기 및 그 방법
KR20040045077A (ko) * 2002-11-22 2004-06-01 (주) 라이테크 가스 경보 장치
KR100587527B1 (ko) * 2001-11-08 2006-06-08 주식회사 메닉스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
KR100602197B1 (ko) * 2004-02-20 2006-07-19 노성왕 캔통신을 이용한 화재 감지시스템
KR101064699B1 (ko) * 2010-04-20 2011-09-15 정현오 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20120038694A (ko) * 2010-10-14 2012-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안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
KR101221490B1 (ko) * 2011-03-23 2013-01-11 송문석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71A (ko) * 2001-08-28 2001-09-29 류제원 최첨단 방범 시스템
KR100587527B1 (ko) * 2001-11-08 2006-06-08 주식회사 메닉스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
KR20030041074A (ko) * 2001-11-19 2003-05-23 시스트로닉스 주식회사 음성경보중계기 및 그 방법
KR20040045077A (ko) * 2002-11-22 2004-06-01 (주) 라이테크 가스 경보 장치
KR100602197B1 (ko) * 2004-02-20 2006-07-19 노성왕 캔통신을 이용한 화재 감지시스템
KR101064699B1 (ko) * 2010-04-20 2011-09-15 정현오 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20120038694A (ko) * 2010-10-14 2012-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안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
KR101221490B1 (ko) * 2011-03-23 2013-01-11 송문석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1522B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853B1 (ko) 화재경보 무선 송수신장치
KR100660155B1 (ko) 자가진단 기능이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
JP2009218707A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KR100281522B1 (ko) 경보시스템
JP200624381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163322Y1 (ko) 도난및각종위험상황대비다기능경보장치
KR19980062968U (ko) 경계 경보 장치
JP4789528B2 (ja) 共同住宅用火災報知システム
KR100685651B1 (ko) 공동 경비 비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4095408B2 (ja) 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0463408Y1 (ko) 긴급 구조 알림 장치
JP2006042070A (ja) 集合住宅用通話・監視統合システム
KR100291199B1 (ko) 경비 시스템의 단말장치
KR20010088971A (ko) 최첨단 방범 시스템
JP2004038761A (ja) 家庭用ロボット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80112546A (ko) 방범 로봇
KR102349423B1 (ko) 소방용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JP2011203786A (ja)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JPH09190588A (ja) 火災通報システム
JP6473030B2 (ja) 警報システム
JP5474325B2 (ja) 監視用ダミーカメラシステム
RU2385497C1 (ru) Аварийный тревожный сигнализатор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и объектов недвижимости
KR20230144430A (ko) 효과적인 무이경비 시스템
JP6378975B2 (ja) 集合住宅火災報知システム
JP2002279566A (ja) 集合住宅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