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430A - 효과적인 무이경비 시스템 - Google Patents

효과적인 무이경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430A
KR20230144430A KR1020220043673A KR20220043673A KR20230144430A KR 20230144430 A KR20230144430 A KR 20230144430A KR 1020220043673 A KR1020220043673 A KR 1020220043673A KR 20220043673 A KR20220043673 A KR 20220043673A KR 20230144430 A KR20230144430 A KR 20230144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e prevention
door
terminal
window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홍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코리아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코리아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코리아통신
Priority to KR1020220043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430A/ko
Publication of KR20230144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43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경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문과 창문의 개폐 여부 및 실내 침입자 또는 화재 발생 등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경보를 발령하고 사고 발생을 원격지에 통보함으로써 건물 등 일정한 장소의 방범 및 방재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무인 경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경비 시스템은, 경비 개시 후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여,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출입문을 통한 무단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도어방범단말기와; 경비 개시 후 창문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여, 창문이 개방되는 경우 창문을 통한 무단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창문 방범단말기와; 실내 다수의 위치에 설치된 방범방재센서모듈 및 상기 도어방범단말기와 창문방범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비상 신호를 수신받아 경보를 발령함과 아울러, 유무선전화망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방범방재기관 또는
특정인에게 비상 상황 발생을 알리며, 상기 도어방범단말기 및 창문방범단말기의 작동을 중앙 제어하는 실내방범 방재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효과적인 무이경비 시스템{UNMANNED GUARD SYSTEM}
본 발명은 무인 경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문과 창문의 개폐 여부 및 실내 침입자 또는 화재 발생 등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경보를 발령하고 사고 발생을 원격지에 통보함으로써 건 물 등 일정한 장소의 방범 및 방재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무인 경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주택, 사무실 등 건물이나 기타 일정한 공간을 갖는 장소의 방범을 위하여 무인 경비 시스 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 경비 시스템은, 건물이나 실내 곳곳에 센서를 설치한 후, 출입구 부근에 제어단말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경비 개시 설정을 하면 센서에 의해 불법 침입자가 감지되는 경우 경보가 울리 고 경비 업체에서 경비원이 출동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191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2831호 및 10-0440660 호 등에는 출입문 도어락과 연계된 무인 경비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런데, 이러한 통상의 무인 경비 시스템의 경우, 센서가 경비 개시후 단순히 사물의 움직임만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센서의 갯수도 한정되어 있어서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오동작이 빈번하여 방범 효과를 거두기 어려울 뿐 만 아니라, 비상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하고 경보를 발령할 수 있는 단말장치가 단지 1개에 불과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고장나거나 침입자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경비 시스템의 작동이 마비되며, 침입자가 감지되는 경우 대부 분 부져와 같은 단순한 방법으로 경보를 발령하고, 비상 신호가 계약된 경비 업체에만 통보되기 때문에 경비 업 체의 늦장 출동으로 인한 방범 효과 저하 문제 등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설비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시 전원이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설치와 관리가 까다롭고 전기세 등 유지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존재한 다. 그리고, 이러한 경비 시스템은 경비 목적만으로 특화되어 있을 뿐, 화재나 가스 누출 등의 방재 목적을 위 해서는 별도의 방재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무인 경비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기존에 실내에 배 치되었던 움직임 감지 센서 이외에도 출입문 및 창문의 개폐 여부와 실내 화재 또는 가스 누출 여부 등을 종합 적으로 감지하여 방범 및 방재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다수의 단말기를 통하여 비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호간 무선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각 단말기들이 독립적으로 감지 및 경보 발생, 비상 상황 전파 등을 수행할 수 있어 방범 사각 지대를 해소하고 효과적인 방범 및 방재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비상 상황을 전파할 수 있는 무인 경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정한 조건 하에서만 단말이 작동하 도록 하여 전기료 등 유지비를 줄일 수 있는 무인 경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경비 시스템은, 경비 개시 후 출입문의 개폐 여부 를 확인하여,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출입문을 통한 무단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도 어방범단말기와; 경비 개시 후 창문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여, 창문이 개방되는 경우 창문을 통한 무단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창문방범단말기와; 실내 다수의 위치에 설치된 방범방재센서모듈 및 상기 도어방범단말기와 창문방범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비상 신호를 수신받아 경보를 발령함과 아울러, 유무선 전화망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방범방재기관 또는 특정인에게 비상 상황 발생을 알리며, 상기 도어방범단말기 및 창문방범단말기의 작동을 중앙 제어하는 실내방범방재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방범단말기는, 상기 도어방범단말기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도어단말제어부 와; 상기 도어방범단말기의 작동 및 해제를 설정하고, 전원모드 및 기타 필요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부와; 상기 도어방범단말기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출입문이 문틀로부터 일정 간격 이상 이탈되는 것 을 감지하여 출입문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는 도어개방감지부와; 상기 창문방범단말기 및 실내방범방재단말기와 상호간 무선으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도어방범단말기의 작동 내역 등의 데이터 를 외부에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통신부와; 상기 도어개방감지부로부터 출입문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창문방범단말기 및 실내방범방재단말기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발생부와; 카메라를 구비하여 출입문이 열리는 경우 출입문 부근의 상황 및 침입자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저장하는 영상촬영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도어개방감지부에서 출입문이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만 도어단말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창문방범단말기는, 상기 창문방범단말기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창문단 말제어부와; 상기 창문방범단말기의 작동 및 해제를 설정하고, 전원모드 및 기타 필요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 정부와; 상기 창문방범단말기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창문이 창문틀로부터 일정 간격 이상 이탈 되는 것을 감지하여 창문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는 창문개방감지부와; 상기 도어방범단말기 및 실내방범방재단말 기와 상호간 무선으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창문방범단말기의 작동 내역 등의 데 이터를 외부에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통신부와; 상기 창문개방감지부로부터 창문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및 상기 도어방범단말기와 실내방범방재단말기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 우 스피커를 통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발생부와; 카메라를 구비하여 창문이 열리는 경우 창문 부근의 상 황 및 침입자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저장하는 영상촬영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는,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의 전체 작동 및 창문방범단말기와 도어방범단말 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내단말제어부와;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 도어방범단말기 및 창문방범단말기의 작동 및 해제를 설정하고, 전원모드 및 기타 필요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부와; 상기 실내 방범방재단말기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도어방범단말기 및 창문방범단말기와 상호간 무선 으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창문방범단말기의 작동 내역 등의 데이터를 외부에 송 신하고, 외부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통신부와; 상기 방범방재센서모듈, 상기 도어방범단 말기 및 창문방범단말기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발생부와; 마이크와 녹음기를 포함하여, 미리 경보 멘트를 음성으로 녹음하여 저장하기 위한 음성입력부와; 비상 신호 수 신시 해당 비상 상황에 상응하는 미리 저장된 경보 멘트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와; 비 상 상황 발생 여부를 통보할 미리 정해진 방범방재기관 또는 특정인의 전화번호를 입력 저장하고, 비상 상황 발 생시, 유무선망을 이용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인터넷을 통하여 외 부 컴퓨터에 경보를 발령하는 네트워크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실내에 배치되었던 움직임 감지 센서 이외에도 출입문 및 창문의 개폐 여부와 실내 화재 또는 가스 누출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감지하여 방범 및 방재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다수의 단말기를 통하여 비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호간 무선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각 단말기들이 독립적으 로 감지 및 경보 발생, 비상 상황 전파 등을 수행할 수 있어 방범 사각 지대를 해소하고 효과적인 방범 및 방재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정한 조건 하에서만 단말이 작동하도록 하여 전기료 등 유지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 을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경비 시스템의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경비 시스템의 도어방범단말기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경비 시스템의 창문방범단말기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경비 시스템의 실내방범방재단말기 블록도,
도 5 는 실내방범방재단말기의 네트워크통신부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경비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 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경비 시스템은 도어방범단말기(100), 창문방범단말기(200), 실 내방범방재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방범단말기(100)는 건물이나 사무실 등의 주 출입문 개폐 여부를 확인하여 경비 개시 후 출입문을 통 한 무단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출입문 자체 또는 문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에는 이 러한 도어방범단말기(100)의 구성이 블록도로 표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방범단말기(100)는 도어단말제어부(110), 설정부(120), 전원공급부(130), 도어개방감지부(140), 무선송수신부(150), 데이터통신부 (160), 경보음발생부(170) 및 영상촬영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단말제어부(110)는 마이컴과 메모리로 구성되며, 후술하는 도어방범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설정부(120)는 도어방범단말기(100)의 작동 및 해제를 설정하고, 전원모드나 기타 필요한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부분으로 버튼 입력 방식 또는 스위치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부(130)는 도어단말제어부(110) 및 기타 도어방범단말기(100)의 다른 구성부에 작동 전원을 공급 하는 부분으로, 상용전원 또는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도어방범단말기(100)에는 전원이 항시 인 가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도어개방감지부(140)에서 출입문이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만 비로소 전 원공급부(130)로부터 도어단말제어부(11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개방감지부(140)는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사무실이나 건물 주 출입문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출입문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적외선센서나 근접센서, 자기센서 등을 이용하여 출입문이 문틀로부터 일정 간격 이상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거나, 가속도센서나 자이로센서 등을 이용하여 출입문의 진동이나 위치 변동 등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에 의해 출입문의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 다. 이러한 도어개방감지부(140)에서 출입문의 개방 여부가 확인되는 경우, 전원공급부(130)에서 도어단말제어 부(110) 및 기타 구성부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며, 이에 따라, 항시 전원이 인가되는 시스템에 비해 전기료가 절 감되는 초절전 운전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선송수신부(150)는 후술하는 창문방범단말기(200) 및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와 상호간 무선으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무선송수신부(150)는 출입문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비상 신호 를 창문방범단말기(200) 및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로 전송하여 각 단말기에서 모두 경보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창문방범단말기(200) 및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로부터 비상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후술하는 경보 음발생부(170)로 하여금 자체 경보를 울리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통신부(160)는 도어방범단말기(100)의 작동 내역 등의 데이터를 외부에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필요 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로서, RS-232C 통신규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보음발생부(170)는 도어개방감지부(140)로부터 출입문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또는 타 단말기로부터 비 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하여 부져음 등 경보음을 출력하는 부분이다.
상기 영상촬영부(180)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출입문이 열리는 경우 카메라로 출입문 부근의 상황, 해당 침입자의 얼굴이나 행동 등을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저장한다.
상기 창문방범단말기(200)는 건물이나 사무실 등의 창문 개폐 여부를 확인하여 경비 개시 후 창문을 통한 무단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창문이나 창문틀 기타 창문 주변 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건물이나 사 무실 내에 다수개의 창문이 존재하는 경우 각 창문마다 하나씩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이러한 창문방범단말기(200)의 구성이 블록도로 표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문방범단말기(20 0)는 창문단말제어부(210), 설정부(220), 전원공급부(230), 창문개방감지부(240), 무선송수신부(250), 데이터통 신부(260), 경보음발생부(270) 및 영상촬영부(280)를 포함한다.
상기 창문단말제어부(210)는 마이컴과 메모리로 구성되며, 후술하는 창문방범단말기(2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설정부(220)는 창문방범단말기(200)의 작동 및 해제, 기동 시간 예약 등을 설정하고, 전원모드나 기타 필 요한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부분으로 버튼 입력 방식 또는 스위치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부(230)는 창문단말제어부(210) 및 기타 창문방범단말기(200)의 다른 구성부에 작동 전원을 공급 하는 부분으로, 상용전원 또는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230)는 배터리 전원 동작을 위 한 저전력 절전제어 회로를 접목하여 어떠한 상황에서도 장치의 전원 부족으로 인한 방범 기능 상실을 방지하기 위한 초절전 회로를 포함하며, 상용전원을 이용하는 평상시에는 배터리에 충전을 하도록 하고, 정전시를 대비하 여 상용전원과 배터리를 병렬로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문개방감지부(240)는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사무실이나 건물의 창문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부분 이다. 창문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적외선센서나 근접센서, 자기센서 등을 이 용하여 창문이 창문틀로부터 일정 간격 이상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거나, 가속도센서나 자이로센서 등을 이용하 여 창문의 진동이나 위치 변동 등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에 의해 창문의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무선송수신부(250)는 도어방범단말기(100) 및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와 상호간, 그리고 다수의 창문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창문방범단말기(200) 상호간 무선으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창문을 통한 무단 침입이 발생하는 경우 비상 신호를 도어방범단말기(100) 및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또한, 각 창문마다 설치된 창문방범단말기(200) 상호간 이상 신호를 송수신하여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서 비상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모든 단말기에서 경보가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통신부(260)는 창문방범단말기(200)의 작동 내역 등의 데이터를 외부에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필요 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로서, RS-232C 통신규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보음발생부(270)는 창문개방감지부(240)로부터 창문의 개방이 감지되거나 타 단말기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하여 부져음 등 경보음을 출력하는 부분이다.
상기 영상촬영부(280)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창문이 열리는 경우 카메라로 창문 부근의 상황, 해당 침입자의 얼 굴이나 행동 등을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저장한다.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는 건물 또는 사무실 등의 실내에서 침입자의 움직임이나 화재, 가스 누출 여부 등의 비상 상황을 감지하고 경보를 발령함과 아울러 상기 도어방범단말기(100)와 창문방범단말기(200)로부터 비 상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경보를 발령하고 상기 도어방범단말기(100) 및 창문방범단말기(200)를 중앙 제어 하는 단말기로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다수의 위치에 설치된 방범방재센서모듈(20) 및 상기 도어방 범단말기(100)와 창문방범단말기(200)로부터 무선으로 비상 신호를 제공받아 경보를 발령하거나 외부에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방범방재센서모듈(20)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침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나, 화재 발생시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연기 또는 가스 감지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 실내 곳곳에 다수개가 설치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는 실내단말제어부(310), 전원공급부(340), 설정부 (305), 음성입력부(320), 전화번호입력부(330), 화재감지부(350), 무선송수신부(360), 데이터통신부(370), 음성 출력부(380), 네트워크통신부(390), 경보음발생부(398)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단말제어부(310)는 마이컴과 메모리로 구성되며,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부(305)는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의 작동 및 해 제를 설정하고, 전원모드나 기타 필요한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부분으로 버튼 입력 방식 또는 스위치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어방범단말기(100)와 창문방범단말기(200)를 중앙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므로, 사용자가 설정부(305)에서 경비 개시 및 해제를 선택 하면 도어방범단말기(100) 및 창문방범단말기(200)의 경비 개시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송수신부(360)는 도어방범단말기(100), 창문방범단말기(200), 방범방재센서모듈(20)과 상호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수단이며, 데이터통신부(370)는 RS-232C 규격으로 외부의 컴퓨터 등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이다. 전원공급부(340)는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상용전원 또는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고, 경보음발생부(398)는 비상 상황 감지시 부져음 등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은 이미 도어방범단말기(100)와 창문방범단말기(200) 구성 설명시 상세한 설명한 것들로 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는 부져음 형태의 경보음 뿐만 아니라, 사람의 음성을 경보음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는 스피커 역할을 하는 음성출력부(380)를 구비하여 미 리 녹음하여 놓은 음성 멘트를 실내에 송출하여 침입자 및 주변 사람들이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 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는 음성입력부(320)를 구비한다. 상기 음성입력부(320)는 마이크와 녹음기 등으로 구성되어 무단 침입자가 실내 침입했음을 주변에 알리기 위한 멘트라던가 침입자를 위협하거나 자수를 권유하는 등의 멘트를 미리 녹음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 상황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상황에 맞는 멘트를 음성출력부(380)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한다.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는 도어방범단말기(100), 창문방범 단말기(200) 및 복수의 방범방재센서모듈(20)의 번호와 위치 및 기능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특 정 단말기 또는 센서에서 비상 상황이 감지되어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신호가 (최초) 전송된 단말기 또는 센서를 식별한 후 해당 단말기 또는 센서에서 감지한 비상 상황에 상응하는 멘트를 선택하여 음성출력부(380)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는 네트워크통신부(390)를 구비하여 유선전화망, 무선전화망 및 인터넷망을 통하여 인근의 경찰서, 소방서, 병원등과 같은 방범방재센터에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통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 이를 위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입력부(330)를 더 포함하며, 키패드 형식으로 구성된 전화 번호입력부(330)를 통하여 인근의 경찰서, 소방서, 병원 등의 전화번호를 입력 저장하고, 비상 상황 발생시, 해 당 비상 상황 종류와 관련된 기관의 유선전화(40) 또는 특정인의 무선전화(30)에 자동으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 메시지를 보낸다. 그리고, 반대로 외부에서 해당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로 전화를 걸어서 특정 키를 입력함에 따라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와 도어방범단말기(100), 창문방범단말기(200)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외부에서 전화를 받은 기관 또는 특정인이 침입자에게 직접 음성으로 경고 멘트를 하거나 침입자와 통화를 시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원격컴퓨터(50)에 비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통신부의 세부 구성이 도 5 에 도시된다.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300)가 휴대폰 또는 유선전화, 인터넷 등으로 외부 기관이나 특정 개인과 양방향 통신 이 가능하도록, 상기 네트워크통신부(390)는 DTMF변환부(394a), DTMF송신부(394b) 그리고 DTMF수신부(394c)를 포함한다.
상기 DTMF변환부(394a)는 비상 상황 발생시, 메모리에 미리 입력 저장된 외부 기관 또는 특정인의 전화번호를 다이얼톤으로 변환하고, 상기 DTMF송신부(394b)는 DTMF변환부(394a)에서 변환된 다이얼톤을 송출하여 외부 기관 또는 특정인에게 전화를 건다. 외부에서 전화를 받으면 실내단말제어부(310)에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멘트를 출력함으로써 외부에 비상 상황 발생 내용을 전달한다. 전화를 받은 외부 기관 또는 특정인은 멘트 청취 후 현 장에 긴급 출동 등의 조치를 취하고, 키패드를 통하여 특정코드를 입력하여 멘트를 중단시키거나 원격으로 다른
방범 장치들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침입자와 직접 통화를 시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특정코드의 식별을 위해, 상기 통신모듈부는 DTMF수신부(394c)를 더 구비한다. 상기 DTMF수신부 (394c)는 외부 기관 또는 특정인의 전화기 또는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특정코드에 해당하는 다이얼톤을 수신하여 DTMF변환부(394a)로 전달한다. DTMF변환부(394a)에서는 전달된 다이얼톤을 그에 대응되는 특정 숫자데이터로 변 환하고 이를 실내단말제어부(310)로 전송한다. 실내단말제어부(310)에서는 특정 숫자데이터를 수신하고, 미리 입력되어 있는 특정 숫자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멘트의 중지 또는 기타 원격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문자전송부(392)는 SMS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부분으로, 비상 상황 발생시 미리 입력된 외부 기관이나 특 정인의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통신부는 모뎀 또는 랜카드(396)를 추가로 구비 함에 따라 인터넷 망을 통하여 외부 기관 또는 특정인에게 인터넷을 통하여 비상 발생 내용 등을 실시간으로 전 송할 수 있고, 외부 기관과 특정인은 인터넷과 연결된 별도의 방범방재시스템이나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등 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비상 발생 상황을 통보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 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 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0 : 방범방재센서모듈 30 : 무선전화
40 : 유선전화 50 : 원격컴퓨터
100 : 도어방범단말기 200 : 창문방범단말기
300 : 실내방범방재단말기

Claims (5)

  1. 경비 개시 후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여,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출입문을 통한 무단 침입이 발생한 것으 로 감지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도어방범단말기와;
    경비 개시 후 창문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여, 창문이 개방되는 경우 창문을 통한 무단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감 지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창문방범단말기와;
    실내 다수의 위치에 설치된 방범방재센서모듈 및 상기 도어방범단말기와 창문방범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비상 신호를 수신받아 경보를 발령함과 아울러, 유무선전화망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방범방재기관 또는 특정인에게 비상 상황 발생을 알리며, 상기 도어방범단말기 및 창문방범단말기의 작동을 중앙 제어하는 실내방범방재단말기 를 포함하는 무인 경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방범단말기는,
    상기 도어방범단말기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도어단말제어부와;
    상기 도어방범단말기의 작동 및 해제를 설정하고, 전원모드 및 기타 필요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부와; 상기 도어방범단말기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출입문이 문틀로부터 일정 간격 이상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출입문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는 도어개방감지부와;
    상기 창문방범단말기 및 실내방범방재단말기와 상호간 무선으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도어방범단말기의 작동 내역 등의 데이터를 외부에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통신부와;
    상기 도어개방감지부로부터 출입문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창문방범단말기 및 실내방범방재단말기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발생부와;
    카메라를 구비하여 출입문이 열리는 경우 출입문 부근의 상황 및 침입자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저장 하는 영상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경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도어개방감지부에서 출입문이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만 도어단말제어부에 전원을 공 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경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방범단말기는,
    상기 창문방범단말기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창문단말제어부와;
    상기 창문방범단말기의 작동 및 해제를 설정하고, 전원모드 및 기타 필요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부와; 상기 창문방범단말기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창문이 창문틀로부터 일정 간격 이상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창문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는 창문개방감지부와; 상기 도어방범단말기 및 실내방범방재단말기와 상호간 무선으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창문방범단말기의 작동 내역 등의 데이터를 외부에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통신부와;
    상기 창문개방감지부로부터 창문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및 상기 도어방범단말기와 실내방범방재단말기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발생부와;
    카메라를 구비하여 창문이 열리는 경우 창문 부근의 상황 및 침입자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저장하는 영상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경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는,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의 전체 작동 및 창문방범단말기와 도어방범단말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내단말제어부와;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 도어방범단말기 및 창문방범단말기의 작동 및 해제를 설정하고, 전원모드 및 기타 필 요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부와;
    상기 실내방범방재단말기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도어방범단말기 및 창문방범단말기와 상호간 무선으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창문방범단말기의 작동 내역 등의 데이터를 외부에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통신부와;
    상기 방범방재센서모듈, 상기 도어방범단말기 및 창문방범단말기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 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발생부와;
    마이크와 녹음기를 포함하여, 미리 경보 멘트를 음성으로 녹음하여 저장하기 위한 음성입력부와;
    비상 신호 수신시 해당 비상 상황에 상응하는 미리 저장된 경보 멘트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와;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통보할 미리 정해진 방범방재기관 또는 특정인의 전화번호를 입력 저장하고, 비상 상황 발생시, 유무선망을 이용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컴퓨터에 경보를 발령하는 네트워크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인 경비 시스템.
KR1020220043673A 2022-04-07 2022-04-07 효과적인 무이경비 시스템 KR20230144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673A KR20230144430A (ko) 2022-04-07 2022-04-07 효과적인 무이경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673A KR20230144430A (ko) 2022-04-07 2022-04-07 효과적인 무이경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430A true KR20230144430A (ko) 2023-10-16

Family

ID=8850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673A KR20230144430A (ko) 2022-04-07 2022-04-07 효과적인 무이경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44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547B1 (ko) 감시 시스템
KR101072593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경비시스템, 무인경비서비스의 제공방법 및 무인경비시스템의 설정방법
US72481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ecurity systems
KR20050093052A (ko) 무인 경비 시스템용 휴대폰 및 이를 이용한 방범 방법
KR20080084127A (ko) 주택 출입 현관의 통합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감시방법
KR101272492B1 (ko) 방문자를 인식하여 상황에 따라 조치할 수 있도록 휴대전화로 연결되는 인터폰
KR20070014647A (ko)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RU2554549C2 (ru) Интерактивный домофон
KR20130097258A (ko) 무인 경비 시스템
KR200188880Y1 (ko) 영상 전송용 보안 시스템
KR101914813B1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624381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230144430A (ko) 효과적인 무이경비 시스템
KR100685651B1 (ko) 공동 경비 비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05208878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RU72560U1 (ru) Домофон "мобифон"
KR100360684B1 (ko) 홈 오토메이션 장치 및 방법
KR20030012950A (ko) 인터넷-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네트워크 출입통제시스템
KR200463408Y1 (ko) 긴급 구조 알림 장치
RU2303289C1 (ru) Система для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охраны недвижимого имущества
KR20050005139A (ko) 양방향통신 시큐리티시스템
KR200332862Y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사무실 원격감시장치
KR20200094315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경비시스템 및 무인경비시스템의 설정방법
KR20150107456A (ko) 상황등급을 이용한 관제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
KR20150102536A (ko) 융복합 솔루션을 통한 보안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