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527B1 -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527B1
KR100587527B1 KR1020010069347A KR20010069347A KR100587527B1 KR 100587527 B1 KR100587527 B1 KR 100587527B1 KR 1020010069347 A KR1020010069347 A KR 1020010069347A KR 20010069347 A KR20010069347 A KR 20010069347A KR 100587527 B1 KR100587527 B1 KR 100587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radio
monitoring area
sensor unit
alarm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970A (ko
Inventor
이상수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닉스
유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닉스, 유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닉스
Priority to KR102001006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527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부재중에는 물론 사람이 상주하는 중에도 발생되는 각종 비상사태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사태 발생 시 경찰서나 소방소 등의 유관기관에 비상사태를 통보하는 것과는 별도로 상기 감시지역을 통합·관리하는 인근의 관리자들에게 비상사태 발생을 무선으로 통보하여 이들이 초동단계에서 서로 협업하여 사태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는, 감시지역 내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감시지역 내에서의 이상상황 발생여부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를 자신의 위치정보와 결합하여 무선경보수신기에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무선경보송신기와; 상기 무선경보송신기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감시지역 내에서의 이상상황 발생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무선경보수신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침입감지센서, 화재감지센서, 무선리모콘, 무선경보송신기, 무선경보수신기

Description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WIRELESS TYPE SECURITY SYSTEM}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경보송신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본체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경보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리모콘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경보수신기의 LCD표시창에 표시되는 각종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0...무선경보수신기, 110...LCD표시창,
120...경보음출력스피커, 130...경광램프,
140,240...메모리, 150...무선수신부,
160,220...제어부, 170...리얼타임클럭발생기,
180...입력수단, 200...무선경보송신기,
210...본체, 230...수신증폭부,
250...무선송신부, 300...무선리모콘,
310...무장버튼, 320...해제버튼,
330...비상버튼.
본 발명은 교실이나 사무실, 주택, 상점과 같은 감시지역 내에 설치하여 사람이 부재중인 때에는 물론이거니와 상주하는 중에도 발생되는 비상사태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사태 발생 시, 경찰서나 소방소 등의 유관기관에 비상사태를 통보하는 것과는 별도로 감시지역을 통합·관리하는 관리자들에게 비상사태의 발생사실을 무선으로 통보하여 초동 단계에서 사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종래의 기술로서, 신호 발신지와 신호수신지 사이를 공중전화망으로 연결하여 관리하거나 또는 모뎀 등의 통신기기를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하여 관리하는 보안시스템이 다수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보안 시스템-즉, 방범·방재 시스템-에 따르면, 신호발신지와 신호수신지 사이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허다하여, 긴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안 시스템은 신호발신지와 신호수신지 사이의 연락이 유선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유선이 단락된 경우, 외부와 연락을 취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유선연락방식은 일반 국선이나 전용선을 빌려 써야 함으로, 가입자가 적지 않은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경제적 불이익이 있었다.
특히, 종래 보안시스템은 사람의 부재중에 작동되기 때문에, 사람이 상주하고 있는 중에 일어난 비상사태에 대해서는 적절히 대처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보안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람의 부재중은 물론 사람이 상주하고 있는 중에라도 감시지역 내에서 이상상황이 발생된 경우, 그 사실을 인접시설(신호수신지)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들에게 무선으로 신속히 전달하여 상기 관리자들이 초동 단계에서 서로 협동하여 사태를 수습할 수 있도록 한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호발신지와 신호수신지 사이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함으로써, 가입자가 별도의 통신요금을 부담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외부와 항상 연락이 가능하도록 한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감시지역 내에서의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를 자신의 위치정보와 결합하여 외부(무선경보수신기)에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무선경보송신기와, 무선경보송신기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감시지역 내에서의 이상상황 발생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 무선경보수신기와, 상기 무선경보송신기 및/또는 상기 무선경보수신기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무선리모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무선리모콘에는, 본 발명의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 전체를 구동하는 무장버튼과, 센서부의 일부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는 해제버튼과, 침입자 발견이나 응급구호요청이 필요한 경우-예컨대, 노약자 등이 감시지역 내에 쓰러져 있거나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학교폭력사태의 발생 시-에 이를 발견한 순찰요원이나 선생님 등의 관리자가 외부의 또 다른 관리자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무선경보송신기는, 감시지역 내에서의 이상상황을 체크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전송되어 온 신호에 자신의 위치정보를 결합하여 외부에 무선으로 재 전송하는 본체; 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센서부와 본체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감시영역의 확대를 위해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외부침입을 감시하기 위한 침입감지센서와; 화재발생을 감시하기 위한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 가스누출을 감시하는 가스누출감지센서가 추가로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가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독립형(외장형) 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인 경우, 상기 독립형 센서는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상기 본체는, 센서부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는 수신증폭부와; 센서부의 위치정보 및 신호특성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수신증폭부와 센서부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수신증폭부가 수신한 무선신호를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정보 및 신호특성정보와 비교하여 감시지역 내에서의 이상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부의 판단결과를 무선경보수신기에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무선경보송신기와 함께 본 발명의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를 구성하는 무선경보수신기는, 상기 무선송신부에서 발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와; 센서부 및/또는 무선경보송신기의 위치정보와 함께 센서부의 신호특성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무선수신부가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무선경보송신기 및/또는 상기 센서부의 위치정보와 감시지역 내부의 이상상황 발생여부에 대한 정보를 얻고 그 결과를 알림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위치정보를 메모리에 입력하는 입력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경보송신기 및/또는 무선경보수신기가 무선리모콘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경보송신기와 무선경보수신기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후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용이한 설계변경적 사항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경보수신기를 나타내며, 부호 200은 상기 무선경보수신기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경보송신기를 나타내고, 부호 300은 무선경보수신기 및/또는 무선경보송신기를 구동하는 무선리모콘을 나타낸다.
도시된 무선경보송신기(200)는, 예를 들면 사무실 출입문 쪽이나 창문 쪽에 설치되며, 무선리모콘(300)에 의해 온-오프 된다.
도면에는 각각의 무선경보송신기(200)마다 무선리모콘(300)이 하나씩 할당되어 있지만, 사용 주파수를 통일하면 하나의 무선리모콘으로도 무선경보송신기 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주파수로는 RF통신에서 사용하는 단파가 채용되었다.
상기 무선경보송신기(20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무선경보수신기(100)는, 다수의 감시지역을 하나의 섹터로 설정하여 관리하는 관리통제시실-예컨대, 빌딩 관리실이나 교무실 등-에 설치된다.
도면에서, 상기 무선경보수신기(100)에는, 감시지역 내에서 이상상황이 발생된 경우 그 사실을 관리자가 알아챌 수 있도록 관리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경광램 프(130)와 경보음출력스피커(120), 그리고 이상상황 발생지역을 표시하는 LCD표시창(11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가 사람의 부재중에는 무인 방범·방재 장치로 활용되면서 수업시간이나 영업시간과 같이 사람이 상주하는 시간대에는 무선리모콘과 호응하여 비상연락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경보송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센서부와 본체(210)가 분리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의 센서부는 독립형 센서(291~295)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호 300으로 표시된 무선리모콘에 의해 센서들과 본체(210)가 구동된다.
도3은 상기 본체(21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로서, 상기 본체는, 본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통제함과 동시에 센서부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해석하여 감시지역 내에서의 이상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20)와; 독립형 센서(291~295) 및 무선리모콘(300)에서 송신된 신호(전파)를 수신하여 증폭시키는 수신증폭부(230)와; 상기 독립형 센서(291~295)들이 설치되어 있는 설치위치의 정보와 함께 각각의 센서가 발신하는 신호의 특성이 신호특성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240)와; 독립형 센서 중 일부가 파손되어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감시지역 내에서의 이상상황을 체크하는 내장형 센서(261,262)와; 제어부의 판단결과를 무선경보수신기에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25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에 스피커를 추가로 설치하여 외부 침입 등이 있는 경우 무 선경보수신기를 통하여 침입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침입자의 신분을 나중에라도 확인할 수 있도록 침입현장을 촬영하여 메모리(240)에 저장하거나 원격지의 기억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지털카메라요소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경보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무선경보수신기는, 상기 무선송신부(250)에서 발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150)와; 상기 무선경보송신기(200)의 위치정보와 함께 센서부를 구성하는 각 센서의 위치정보 및 신호특성정보가 저장된 메모리(140)와; 상기 무선수신부(150)가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무선경보송신기 및/또는 상기 센서부의 위치정보와 감시지역 내부의 이상상황 발생여부에 대한 정보를 얻고 그 결과를 알림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어부(160)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입력하는 입력수단(180)과; 알림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입력수단으로는 예컨대 키 패드나 키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알림수단으로서, 이상상황발생을 감지하여 무선신호로 발신한 무선경보송신기의 위치정보 및 이상상황이 발생된 시간을 표시하는 LCD표시창(110)과, 관리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경보음출력스피커(120), 그리고 경광램프(130)를 채용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무선경보수신기가 LCD표시창(110)을 구비하는 경우, 도4에 도시된 것처럼 현재시간에 대한 정보를 발생/기억하는 리얼타임클럭발생기(170)가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도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선리모콘(30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무선리모콘에는, 보안시스템 전체를 구동하는 무장버튼(310)과, 센서부의 일부 기능을 정지시키는 해제버튼(320)과, 순찰요원이 침입자를 발견하였거나 혹은 감시지역 내에 사람이 쓰러져 있는 것을 발견한 경우와 같이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는 비상버튼(33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람의 출입이 잦은 낮 시간대에는 상기 무선리모콘(300)으로 일부 센서의 작동을 정지시켜 오작동에 의한 혼란을 피할 수 있음은 물론 혼자서는 수습할 수 없는 비상사태의 발생 시-예컨대, 수업 중 또는 매점 영업중에 일어난 폭력사태나 강도침입과 같은 비상사태의 발생 시-에 무선리모콘으로 다른 관리자에게 도움을 요청함으로써 서로 협조하여 초동단계에서 사태를 수습할 수 있으며, 야간 시간대에는 정지시킨 센서의 기능을 다시 복원하여 무인 방범·방재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선리모콘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호주머니 등에 소지해 다니기가 수월할 뿐 아니라, 침입자 몰래 다른 관리자에게 비상신호를 보내어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6은 무선경보수신기의 LCD표시창에 표시되는 각종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상단에 표시된 화면은 초기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중간에 표시된 화면은 현재시각을 년-월-일 및 시간으로 입력하는 현재시각 설정입력상태를 나타 내고 있고, 하단에 표시된 화면은 무선경보송신기의 위치정보와 신호특성정보(전파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현재시각의 설정과 무선경보송신기의 위치정보 및 신호특성정보의 입력은, 키 패드 등의 입력수단(18)을 통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1 내지 도6과 본 발명 장치의 동작 흐름도가 도시된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가 학교에 설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무선경보수신기(100)는 교무실이나 방재실 또는 수위실에 설치되고, 무선경보송신기(200)는 각 교실에 설치된다.
이때, 교실 내에 설치되는 무선경보송신기의 형태가 분리형이라면, 외부침입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화재감지센서는 실내를 내려다 볼 수 있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창문과 출입문에는 도어센서가 설치될 것이다. 그리고, 본체(210)는 무선신호의 송수신에 방해를 받지 않을 곳-예컨대, 교사용 책상이나 교탁 위에 설치될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구성요소가 지정장소에 설치된 상태에서, 시스템 전체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제일 먼저 무선경보수신기(100)에 탑재된 제어부(160)가 메모리 등에 기억·저장된 OS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시스템의 운전상태를 판별하게 된다(도7의 STEP1).
판별 결과, 시스템의 운전상태가 설정입력상태이면, 현재시각 및 무선경보송신기(200)의 위치정보와 같은 각종 정보를 입력받게 된다(STEP2). 상기 각종 정보의 입력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입력수단(180)을 통해 수행하게 되며, 입력내용은 LCD표시창(11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이후, 입력이 완료되면, 처음의 상태로 되돌아가서 시스템의 운전상태를 다시 판별하게 된다.
한편, STEP1에서의 판별결과가 초기운전상태이면, 무선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STEP3).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경보송신기(200)에서 발신된 무선신호가 무선수신부(150)에 수신되면, 수신결과가 상기 무선경보수신기의 LCD표시창(11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무선경보수신기에 내장된 제어부(160)가 수신된 무선신호를 해석하게 된다. 무선신호의 해석결과, 감시지역 내에 이상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60)가 알림수단-예컨대, 경광램프(130)나 경보음출력스피커(120)-을 제어하여 관리자나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STEP4).
이후, 상황보고를 받은 관리자가 LCD표시창(110)에 표시된 감시지역으로 출동하여 주변상황을 확인한 후 발생상황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면, 전체 시스템은 초기운전상태로 복귀하게 된다(STEP5).
한편, 감시지역으로 순찰을 나간 관리자가 해결할 수 없는 긴급한 상황인 경우-예를 들면, 침입자를 목격한 경우-에는 소지하고 있는 무선리모콘(300)의 비상버튼(330)을 눌러, 대기중인 다른 관리자나 경찰 등의 외부인을 감시지역으로 호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지역 내에서 이상상황이 발생된 경우, 그 사실이 인접시설(신호수신지)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에게 무선으로 신속히 전달되어 상기 관리자가 적절한 대응을 초동단계에서 취할 수 있다.
또한, 감시지역과 관리자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됨으로써, 시스템 유지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양자가 항상 연락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는 무선리모콘의 조작에 의해서 시스템의 전체 또는 일부가 온-오프 됨으로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이 무선리모콘을 이용하여 다른 관리자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어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는 일도 다른 사람과의 협업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Claims (5)

  1. 감시지역 내에서의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무선신호로 발신하는 다수의 독립형 또는 내장형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센서부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수신증폭부와, 센서부의 위치정보/신호특성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수신증폭부와 센서부의 작동을 제어하며 수신증폭부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신호특성정보와 비교하여 감시지역 내에서의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를 외부에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로 이루어진 무선경보송신기 ;
    상기 무선경보송신기의 무선송신부에서 발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경보송신기의 센서부에 대한 위치정보/신호특성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무선수신부에 수신된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무선경보송신기나 상기 센서부의 위치정보와 감시지역 내에서의 이상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얻어 그 결과를 알림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센서부의 위치정보를 메모리에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 이루어진 무선경보수신기 ;
    상기 무선경보송신기 또는 상기 무선경보수신기를 구동하는 무장버튼기능과, 상기 센서부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정지시키는 해제버튼기능과, 상기 무선경보수신기에 도움요청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비상버튼기능을 구비한 무선리모컨 ;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10069347A 2001-11-08 2001-11-08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 KR100587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347A KR100587527B1 (ko) 2001-11-08 2001-11-08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347A KR100587527B1 (ko) 2001-11-08 2001-11-08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970A KR20030037970A (ko) 2003-05-16
KR100587527B1 true KR100587527B1 (ko) 2006-06-08

Family

ID=2956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347A KR100587527B1 (ko) 2001-11-08 2001-11-08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5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968U (ko) * 1997-04-08 1998-11-16 윤석암 경계 경보 장치
KR19990073635A (ko) * 1998-03-02 1999-10-05 박형식 경보시스템
KR20000018245A (ko) * 2000-01-25 2000-04-06 변기식 무선통신을 이용한 인텔리전트 화재감지 시스템
JP2000182169A (ja) * 1998-12-15 2000-06-30 Fujitsu Denso Ltd 監視・警備用送信端末装置
KR20010088971A (ko) * 2001-08-28 2001-09-29 류제원 최첨단 방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968U (ko) * 1997-04-08 1998-11-16 윤석암 경계 경보 장치
KR19990073635A (ko) * 1998-03-02 1999-10-05 박형식 경보시스템
JP2000182169A (ja) * 1998-12-15 2000-06-30 Fujitsu Denso Ltd 監視・警備用送信端末装置
KR20000018245A (ko) * 2000-01-25 2000-04-06 변기식 무선통신을 이용한 인텔리전트 화재감지 시스템
KR20010088971A (ko) * 2001-08-28 2001-09-29 류제원 최첨단 방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970A (ko) 200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7959T3 (es) Disposición y método de supervisión de seguridad usando un campo de visión común
US20110140868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exchanging information
JP4771815B2 (ja) アクティブrfidタグおよび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WO2004109618A1 (ja) 機械警備システム、制御装置、リモート報知器、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90059062A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비상벨 장치
KR20130097258A (ko) 무인 경비 시스템
KR100587527B1 (ko) 무선형 긴급 통보장치
KR101441507B1 (ko) 두 종류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무선 방범 방재시스템과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KR100281522B1 (ko) 경보시스템
KR102336259B1 (ko) 절전기능을 갖는 비상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93215B1 (ko) 자가 설치 및 운용 가능한 무인경비시스템을 위한 통합센서관제장치 및 방법
KR100585377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락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57770B1 (ko) 지하주차장용 경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95706B1 (ko)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KR200332862Y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사무실 원격감시장치
KR20050005139A (ko) 양방향통신 시큐리티시스템
KR100555406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방범 상황 통보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44430A (ko) 효과적인 무이경비 시스템
JP3228938U (ja) スマートフォンを用いた防犯システム
KR200186166Y1 (ko)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KR101663071B1 (ko) 출입통제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EP4092643B1 (en) A security monitoring system
KR102055360B1 (ko) IoT 적용 전국 공동주택 원격점검용 수신기 및 수신기 관제시스템
EP2390854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arming and disarming
KR20100048823A (ko) 터미널형 유/무선 다기능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