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519A -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그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그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519A
KR20090098519A KR1020080023960A KR20080023960A KR20090098519A KR 20090098519 A KR20090098519 A KR 20090098519A KR 1020080023960 A KR1020080023960 A KR 1020080023960A KR 20080023960 A KR20080023960 A KR 20080023960A KR 20090098519 A KR20090098519 A KR 20090098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wireless
construction site
central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1654B1 (ko
Inventor
금병엽
Original Assignee
금병엽
강경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병엽, 강경인 filed Critical 금병엽
Priority to KR1020080023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6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 설치되어 작업자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인력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 그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시스템은 건설현장의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와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감지센서부(112)로 이루어진 복합형 센서감지부(110)와, 감지된 물체를 촬영하는 화상촬영장치(113)와, 그 송출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녹화장치(114)를 포함하는 영상부(120)와, 상기 복합형 센서감지부(110)와 상기 영상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접근에 따라 미리 경고음을 발생시키며 해당 상황을 중앙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부(111)로 감지된 물체에 조명을 비추어 주는 광원(180)과, 해당 위험지역에 적합한 경고음을 녹음하기 위한 음성녹음부(141)와 상기 녹음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음성출력부(142)로 이루어져 접근하는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위험안내부(140)가 설치된 콘트롤 유닛(150)과; 상기 콘트롤 유닛(150)에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 또는 충전가능한 전원부(170)로 이루어지는 모바일 디텍터(100)와, 상기 모바일 디텍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적외선 감지센서부(191)과 알림 스위치(192)로 이루어진 비상호출수단(190)과,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무선영상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영상 송수신부(160)와, 상기 무선영상 송수신부(160)에서 송출된 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130)에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건설현장 관리사무소(200)의 중앙 컴퓨터(210);를 포함하며, 일정 거리 내의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작업자에게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위험안내부(140)를 통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하면서, 상기 영상부(120)를 작동하여 녹화된 영상을 상기 중앙 컴퓨터(210)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건설현장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은 손쉽게 건설현장의 위험지역에 설치되어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경보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며, 이를 영상으로 관리사무소의 중앙 컴퓨터(210)에 송출함으로써 위험지역에 작업자가 아닌 동물이 접근시 관리자가 불필요한 통제나 관리로 인력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위험지역 내에 작업중이던 작업자가 사고를 위험지역 내에 설치된 비상호출수단(190)을 작동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며, 만일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에서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며, 위험지역 내에 작업자가 비상호출수단(190)에 구비된 적외선 감지센서부(191)로 감지되면 경고음의 발생과 함께 관리자를 긴급호출하고, 또는 위험지역 내에 작업중인 작업자가 상기 비상호출수단(190) 내에 구비된 알림 스위치(192)를 작동함으로써 경고음의 발생 및 관리자의 긴급호출을 중단하고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에서 감지되어 무선영상 송수신부(160)에서 이미 중앙 컴퓨터(210) 송출된 자료를 삭제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인력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위험지역에 대한 안전 및 인력관리의 필요성이 제거된 후에도 손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개인통신기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현장관리를 가능하게 하 는 효과가 있다.
안전, 인력관리, 무선영상, 이동형

Description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 그이용 방법{THE MOVABLE CONRTROL SYSTEM FOR THE CONSTRUCTION SITE HAVING WIRELESS IMAGE CAPTURE DEVICE AND THE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현장 내의 위험지역에 접근하는 작업자에 대한 안전 및 인력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 분포되어 있는 다양한 분야의 작업자들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이러한 작업자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인력관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건설현장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 그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은 다양한 공정과 수많은 인력이 투입되어 여러 작업이 동시에 진행 되며, 현장 자체에 내재 되어있는 다양한 환경으로 기인한 위험성 및 투입된 작업자의 부 주위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으로 귀중한 인적자원이 손실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현장의 통제와 관리가 소수의 현장 관리자에 의해서 이루어 짐으로써 투입된 인력에 대한 안전사고나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문제가 항 시 노출되어 있어 전체적인 공시비의 상승과 생산성 저하 그리고 예상하던 공사기간의 연장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건설현장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먼저 무선인식기술이 적용되어 졌으나, 이러한 인식장비는 작업자가 아닌 태그 자체만을 인식하며, 정해진 리더기에 의하여서만 인식하기 때문에 이동과 움직임이 많은 건설현장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고정형 건설현장 안전 관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고정형 경보장치(1)가 적용되었지만 그 설치에 있어서 반드시 층간 슬래브의 위험지역(2)의 중앙에 맞추어서 직상층의 슬래브 바닥에만 설치 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경보장치를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위험한 문제점과 위험지역의 중앙에서 약간 이라도 어긋나게 된다면 경보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다는 문제점 그리고 접근자에게만 경보음으로서 통지되고 현장 관리자에게는 통지되지 않기 때문에, 만일 접근자가 위험에 빠지거나 경보를 무시하고 계속 머무르고 있는 경우에도 현장 관리자가 이를 제대로 통제 및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건설현장의 해당지역에 대한 위험요소가 해결된 이후에 다른 장소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어 버리게 되어 자원낭비 및 비용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중앙전력이 닿지 않는 곳에서도 용이하게 건설현장의 위험지역에 설치할 수 있으며 다른 필요지역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 그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해당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보다 정확히 감지하고 경보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영상으로 촬영 및 저장하여 건설현장 관리사무소의 중앙 컴퓨터에 송출함으로써 위험지역에 작업자가 아닌 동물이 접근시 관리자가 불필요한 통제나 관리로 인력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부상당한 작업자가 위험지역 내에 설치된 비상호출수단을 작동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며, 만일 적외선 감지센서부에서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며, 위험지역 내에 작업자가 비상호출수단에 구비된 적외선 감지센서부로 감지되면 경고음의 발생과 함께 관리자를 긴급호출하고, 또는 위험지역 내에 작업중인 작업자가 상기 비상호출수단 내에 구비된 알림 스위치를 작동함으로써 경고음의 발생 및 관리자의 긴급호출을 중단하고 적외선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어 무선영상 송수신부에서 이미 중앙 컴퓨터 송출된 자료를 삭제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인력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초음파 센서 감지부를 구비하여 감지된 물체와의 정확한 거리 측정이 이루어 짐으로써 근접중인 물체에 보다 강한 경고신호를 보냄으로써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유발시킬 수 있으 며, 위험지역에 접근한 물체가 경고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해당지역 주위에 머무를 경우에 구비된 화상촬영장치와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녹화장치를 작동하여 영상을 관리사무소에 송출함으로써 현장 관리자가 현지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용이하게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은 건설현장의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작업자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 적외선 감지센서부와 그리고 위험지역으로부터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를 초음파에 의하여 측정하는 초음파 감지센서부로 이루어진 복합형 센서감지부와, 감지된 작업자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영상부와, 상기 복합형 센서감지부와 상기 영상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접근에 따라 미리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며 작업자의 접근상황을 중앙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부로 감지된 물체에 빛을 비추어 주는 광원과, 해당 위험지역에 적합한 경고음을 녹음하기 위한 음성녹음부와 상기 녹음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음성출력부로 이루어져 위험지역에 접근하는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위험안내부로 이루어지는 콘트롤 유닛과; 상기 콘트롤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 또는 충전가능한 전원부로 이루어지는 모바일 디텍터와; 상기 모바일 디텍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비상호출수단과,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무선영상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영상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영상 송수신부에서 송출된 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에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건설현장 관리사무소의 중앙 컴퓨터를 포함하며, 일정거리 내의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작업자에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험안내부를 통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하면서, 상기 영상부를 작동하여 영상을 촬영 및 저장하여 상기 중앙 컴퓨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부는 건설현장의 위험지역으로 작업자가 접근시 감지된 물체를 촬영하는 화상촬영장치와, 상기 화상촬영장치로 부터 송출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녹화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호출수단은 건설현장의 위험지역에 추락하거나 작업중인 작업자를 감지하는 물체 적외선 감지센서부와 위험지역 내에 작업중임을 알리는 알림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따르는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물체의 접근상황에 적외선 감지센서부와 초음파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면 단계별에 따라 저음의 경고음향만 발생시키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의 경고음향보다 높은 데시벨의 경고음향의 발생과 함께 관리자에게 문자 메세지를 송신하는 제 2 단계와, 제 2 단계의 경고음향보다 더욱 강한 데시벨의 경고음향의 발생과 동시에 관리자에게 문자 메세지 송신 및 상기 영상부에 녹화된 영상을 상기 무선영상 송수신부에서 건설현장 관리사무소의 중앙 컴퓨터 송출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따르는 제 1 단계와 제 2 단계는 경고음에도 불구하고 복합형 센서감지부에 감지된 물체가 해당지역에 지속적으로 머무를 경우에 상기 영상부에 녹화된 영상을 상기 무선영상 송수신부에서 건설현장 관리사무소의 중앙 컴퓨터로 송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적외선 감지센서부에서 더 감지되지 않으며, 위험지역 내에 작업자가 비상호출수단에 구비된 적외선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면 경고음의 발생과 함께 관리자를 긴급호출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제 4 단계는 위험지역 내에 작업중인 작업자가 상기 비상호출수단 내에 구비된 알림 스위치을 작동함으로써 경고음의 발생 및 관리자의 긴급호출을 중단하고,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어 무선영상 송수신부에서 이미 중앙 컴퓨터로 송출된 자료를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 그이용방법은 손쉽게 건설현장의 위험지역에 설치되어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경보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며, 이를 영상으로 관리사무소의 중앙 컴퓨터(210)에 송출함으로써 위험지역에 작업자가 아닌 동물이 접근시 관리자가 불필요한 통제나 관리로 인력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부상당한 작업자가 위험지역 내에 설치된 비상호출수단(190)을 작동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며, 만일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에서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며, 위험지역 내에 작업자가 비상호출수단(190)에 구비된 적외선 감지센서부(191)로 감지되면 경고음의 발생과 함께 관리자를 긴급호출하고, 또 는 위험지역 내에 작업중인 작업자가 상기 비상호출수단(190) 내에 구비된 알림 스위치(192)를 작동함으로써 경고음의 발생 및 관리자의 긴급호출을 중단하고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에서 감지되어 무선영상 송수신부(160)에서 이미 중앙 컴퓨터(210) 송출된 자료를 삭제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인력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위험지역에 대한 안전 및 인력관리의 필요성이 제거된 후에도 손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개인통신기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현장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건설현장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건설현장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은 건설현장의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작업자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와 감지된 인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감지센서부(112)로 이루어진 복합형 센서감지부(110)와;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에서 감지된 물체를 촬영하는 화상촬영장치(113)과 상기 화상촬영장치(113)로부터 송출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녹화장치(114)를 포함하는 감지된 물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영상부(120)와; 상기 복합형 센서감지부(110)와 상기 영상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근하는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며 작업자의 접근상황을 중앙 컴퓨터(210)로 전송하는 제어 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부(111)로 감지된 물체에 빛을 비추어 주는 광원(180)과; 해당 위험지역에 적합한 경고음을 녹음하기 위한 음성녹음부(141)와 상기 녹음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음성출력부(142)로 이루어진 위험안내부(140);로 구성된 콘트롤 유닛(150)과; 상기 콘트롤 유닛(150)에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 또는 충전가능한 전원부(170)로 이루어지는 모바일 디텍터(100)와; 상기 모바일 디텍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위험지역에서의 작업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191)와 위험지역 내의 작업중임을 알리는 알림 스위치(192)로 이루어진 비상호출수단(190)과; 상기 제어부(130)에 연결되어 무선영상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영상 송수신부(160)와, 상기 무선영상 송수신부(160)에서 송출된 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130)에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건설현장 관리사무소(200)의 중앙 컴퓨터(2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센서감지부(110)는 살아있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와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 감지센서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부(111)는 그 감지수단으로써 유효거리 내의 물체를 식별 가능한 PIr(Pyroelectic Infra-red) 기술을 이용하며, 센서의 유효반경이 좌우로 약 102도 정도, 상하로는 약 90도 정도인 상기 감지수단은 실외에서 4~5m의 감지기능이 가능하며, 8~14 m의 적외선을 발산하여 유효거리 내의 인체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초음파 감지센서부(112)는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부(111)로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를 계산식(1/2[전파속도(㎜/μs)*Pulse왕복시간(μs)]을 이용해 측정하고, 급전된 물체의 거리에 맞는 위험경고의 수준을 단계적으로 수행 하도록 하는 기술적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부(120)는 감지된 작업자를 촬영하는 화상촬영장치(113)와, 상기 화상촬영장치(113)로 부터 송출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녹화장치(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상촬영장치(113)는 소형 무선카메라와 같은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녹화장치(114)는 상기 화상촬영장치(113)를 구비한 단말기와 연결 단자를 제공하여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는 인터페이스부(도면;미도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술적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영상부(120)는 촬영 및 녹음된 영상을 관리사무소의 중앙 컴퓨터(210)에 송출함으로써 위험지역에 작업자가 아닌 동물이 접근시 관리자가 불필요한 통제나 관리로 인력 낭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위험지역에 접근한 물체가 상기 음성출력부(142)에서 발생된 경고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해당지역에 머물러 있는 경우에도 녹화된 영상을 관리사무소(200)의 중앙 컴퓨터(210)에 송출함으로써 현장 관리자가 현지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고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관리의 효율성의 증대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상기 복합형 센서감지부(110)와 상기 영상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위험지역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서 각 단계별로 미리 저장된 경고음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상황을 현장 관리사무소의 중앙 컴퓨터(210)에 전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원(180)은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부(111)로 감지된 물체에 조명을 비추어 근접하는 물체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키고, 상기 화상촬영장치(113)으로 촬영하는 동안 조명을 비추어 줌으로써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광원(180)은 위험지역에 모바일 디텍터(100)를 설치할 때 간단하게 상기 모바일 디텍더(100)로 부터 돌출하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험안내부(140)는 위험지역에 적합한 경고음을 녹음하기 위한 음성녹음부(141)와 상기 음성녹음부(141)에 저장된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성출력부(14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현장 관리자는 해당 위험지역에 적합한 경고음을 선택하여 마이크 및 녹음버튼과 같은 수단을 구비하여 현장에서 직접 녹음하거나, 경고음이 저장된 녹음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리사무소의 중앙 컴퓨터(210)로부터 사전에 저장하거나 노트북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위험안내부(140)은 음성적 경보장치 이외에도 야간이나 어둠속에서 식별이 용이하도록 시각적 경보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출력부(142)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발생장치 구비될 수 있으며, 위험지역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에게 단계별로 미리 저장된 경고음을 발생하여 정확한 위험상황 및 관리상황을 인식시켜 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영상 송수신부(160)는 상기 제어부(130)와 관리사무소(200)의 중앙 컴퓨터(210)와의 사이에서 무선영상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무선영상 송수신부(160)는 위험지역 내에 감지된 작업자의 정확한 위치와 해당 모바일 디텍터(100)의 제품ID 및 상기 영상녹화장치(114)에 녹화된 영상을 중앙 컴퓨터(210)로 무선전송하며, 전송된 무선영상신호는 현장사무소(200)에 설치된 RF 수신장치에 도달하고 RS485 방식으로 중앙 컴퓨터(210)로 데이터(Data)를 전송한다. 무선영상 송신부(160)는 내장형 및 외장형 RF 안테나(16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부(17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이루어진 전원부로 구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바일 디텍터(100)는 중앙 전력원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현장위치의 제약 없이 설치될 수 있는 우수한 휴대성과 이동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체적외선 감지센서부(111)와 초음파 감지센서부(112)의 감지펄스(sensing pulse)를 조절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70)는 상기 충전식 배터리와 함께 DC 5V 내지 12V의 어댑터를 병용하여 사용함으로써 그 이동성이 최대로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텍터(100)는 어댑터를 사용하여 전력원에 연결되면 한번 충전으로 약 한달 정도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텍터(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건설현장 관리사무소(200)의 중앙 컴퓨터(210)에 연결되기 때문에, 관리사무소에 상주하는 관리자가 현장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현장 작업원의 안전관리 및 인력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 컴퓨터(210)는 각각의 모바일 디텍터(100)에 부여된 고유 ID번호를 001 내지 999까지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디텍터는 제품의 표면에 ID 표시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건설현장의 위험지역 또는 관리지역에 설치된 모바일 디텍터(100)로부터 위험상황이 전송되면, 중앙 컴퓨터(210)는 해당 모바일 디텍터의 고유 ID번호와 그 위치를 파악하여 미리 저장된 관리자의 PDA와 같은 휴대용 통신장치(300)로 각 단계별 상황을 문자로 송신하여, 이러한 상황을 수신한 관리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작업자가 미리 규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비상호출수단(190)이 활성화 될 때, 미리 저장된 현장 관리자의 휴대용 통신장치(300)로 무선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SMS 전송장치 및 소프트웨어(22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호출수단(190)는 모바일 디텍터(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위험지역 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비상호출수단(190)은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모바일 디텍터(100)의 비상호출수단(190) 연결부에 유선으로 연결된 리모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건설현장의 위험지역에 추락하거나 해당 지역에서 작업하고자하는 작업자를 감지하는 물체 적외선 감지센서부(191)와 위험지역 내에 작업중임을 알리는 알림 스위치(192)를 포함하며, 상기 알림 스위치(192)는 상기 제어부(130)를 통해 중앙 컴퓨터(210)에 이미 송출된 자료의 삭제 명령을 상기 중앙 컴퓨터(210)로 송출한다. 따라서 추락사고 위험이 높은 위험지역에 설치된 모바일 디텍터(100)는 추락될 위치에 비상호출수단(19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됨으로써, 만일 작업중인 작업자가 사고를 당해 구조가 필요한 상황에 처한 경우, 해당 작업자는 비상호출수단(190)을 작동시킴으로써 현장관리자 및 작업관련자들에게 구조신호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보낼 수 있다. 즉, 위험에 빠진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텍터와 연결되고 아래층 슬래브 또는 지하 정화조 바닥이나 벽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며 야광 또는 발광재료로 이루어진 비상호출수단(190)을 작동시키면, 상부층 슬래브 또는 지하 정화조 외부에 설치된 모바일 디텍터(100)는 중앙 컴퓨터(210)로 이러한 비상상황을 전송하고, 중앙 컴퓨터는 관리자를 긴급호출하여 이러한 긴급상황에 대처하도록 하다. 나아가,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에서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며, 위험지역 내에 작업자가 비상호출수단(190)에 구비된 적외선 감지센서부(191)로 감지되면 추락으로 간주하여 경고음의 발생과 함께 관리자를 긴급호출한다. 또한, 위험지역 내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상기 비상호출수단(190) 내에 구비된 알림 스위치(192)을 작동함으로써 경고음의 발생 및 관리자의 긴급호출을 중단 신호를 보내고, 상기 감지센서부(111)에서 감지되어 무선영상 송수신부(160)에서 이미 중앙 컴퓨터(210)로 송출된 자료를 삭제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호출수단(190)은 야간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하여 야광 또는 발광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화조 등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텍터(Mobile Detector, MD, 100)는 가로 17cm × 세로 10cm × 높이 3.5cm로 구성된 플라스틱 케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디텍터(100)의 전면부는 미리 저장된 경보음향 또는 경보음성이 출력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가로형 긴 홈(일반적 스피커 홈)이 형성되어지며, 관리자의 경보음성의 녹음을 위한 녹음버튼 및 마이크 그리고 인체적외선 감지센서 및 초음파 감지센서가 구비되어진다. 모바일 디텍터(100)의 후면부는 착탈식 연결고리, 각각의 모서리에 배치된 벽면 부착용 고무자석(172) 그리고 배터리 교체용 뚜껑이 구비되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텍터(100)의 측면부에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어댑터 연결부와 비상호출수단(190) 연결부, 그리고 전원 스위치가 제공되어 지며, 상부에는 중앙 컴퓨터(210)로 RF 전송을 위한 RF 안테나(161)가 설치되어 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건설현장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이 사용되는 바람직한 일 실례를 첨부된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건설현장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텍터(mobile detector, 100)는 예를 들어 슬래브의 개구부, 지하의 정화조 등과 같이 작업자가 실족하여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는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지역 또는/및 작업인력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인력관리가 필요한 인력관리지역에 설치되어 진다. 이때 접근하는 작업자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지면에서 1m 내지 1.5m 정도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텍터(Mobile Detector, MD, 100)를 이격시킨다. 이러한 설치높이(H)는 위험지역 상황에 따라서 수정되어 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텍터(100)는 선호적으로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충분히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바일 디텍터(100)는 해당 위험지역 또는 관리지역의 상황에 맞추어서 현장 관리자가 작업자에게 경고해 주어야 할 주의사항이 녹음된다. 상기 모바일 디텍터(100)로의 주의 및 경고사항 녹음은 현장에서 녹음버튼 및 마이크를 누름으로써 관리자의 음성으로 녹음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음성녹음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현장 사무소의 중앙 컴퓨터 또는 이동 가능한 노트북을 이용하여 미리 녹음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건설현장의 위치별 다양한 상황에 대해서 여러 가지 음성경고가 입력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녹음버튼 을 이용하여 녹음하는 방식이 선호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된 모바일 디텍터(100)는 인체적외선 감지센서부(111) 및 초음파 감지센서부(112)로 이루어진 복합형 센서감지부(110)를 통해서 인력을 움직임과 접근거리를 정확하게 감지한다.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작업자에게 미리 녹음된 상기 경보음향 또는 경보음성을 각각의 접근 단계별로 발생시킨다. 이와 동시에, 모바일 디텍터(100)는 무선영상 송수신부(160)를 통해서 건설현장 관리사무소(200)의 중앙 컴퓨터(210)로 작업자의 접근이 감지된 위험지역 또는 관리지역의 정확한 위치와 해당 모바일 디텍터(100)의 제품ID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건설현장 관리사무소(200)의 중앙 컴퓨터(210)는 작업자의 접근내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하며, 작업자의 접근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사전에 정한 한계범위 이내로 계속적으로 접근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현장 관리자의 휴대폰 또는 PDA 등 휴대용 통신장치(300)로 위험상황을 문자메시지로 전송하게 된다(SMS 통지기능).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모니터링 단계는 해당 위험지역 또는 관리지역으로 작업자가 접근하는 정도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먼저, 해당 위험지역 또는 관리지역으로부터 작업자까지의 거리가 충분히 먼 경우이지만 작업자의 접근이 예상되면,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와 초음파 감지센서부(112)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물체의 접근상황에 따른 단계별에 따라 저음의 경고음향만 발생시키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의 경고음향보다 높은 데시벨의 경고음향의 발생과 함께 관리자에게 문자 메세지를 송신하는 제 2 단계와, 제 2 단계의 경고음향보다 더욱 강한 데시벨의 경고음향의 발생과 동시에 관리자에게 문자 메세지 송신 및 상기 영상부(120)에 녹화된 영상을 상기 무선영상 송수신부(160)에서 건설현장 관리사무소(200)의 중앙 컴퓨터(210) 송출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에서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며, 작업자가 위험지역 내에 비상호출수단(190)에 구비된 적외선 감지센서부(191)에 감지되면 경고음의 발생과 함께 관리자를 긴급호출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위험지역 내에 작업하려는 작업자가 상기 비상호출수단(190) 내에 구비된 알림 스위치(192)을 작동함으로써 경고음의 발생 및 관리자의 긴급호출을 중단하고, 상기 감지센서부(111)에서 감지되어 무선영상 송수신부(160)에서 이미 중앙 컴퓨터(210)로 송출된 자료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설현장 위험지역 및 관리지역에 대하여 목적한 관리상황이 종료되면, 해당 위험지역 및 관리지역에 설치된 모바일 디텍터(100)를 다른 위험지역 또는 관리지역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동시켜서 지속적인 감지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고정형 건설현장 안전 관리장치를 도시한 모습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건설현장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습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텍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위험지역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습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건설현장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모바일 디텍터 110 : 복합형 센서감지부
111 : 적외선 감지센서부 112 : 초음파 감지센서부
113 : 화상찰영장치 114 : 영상녹화장치
120 : 영상부 130 : 제어부
140 : 위험안내부 141 : 음성녹음부
142 : 음성출력부 150 : 콘트롤 유닛
160 : 무선영상 송수신부 190 : 비상호출수단
191 : 적외선 감지센서부 192 : 알림 스위치
200 : 관리 사무소 210 : 중앙 컴퓨터
220 : SMS 전송장치 및 소프트웨어 300 : 휴대용 통신장치

Claims (7)

  1. 건설현장의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작업자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와 그리고 위험지역으로부터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를 초음파에 의하여 측정하는 초음파 감지센서부(112)로 이루어진 복합형 센서감지부(110)와, 감지된 작업자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영상부(120)와, 상기 복합형 센서감지부(110)와 상기 영상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접근에 따라 미리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며 작업자의 접근상황을 중앙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부(111)로 감지된 물체에 빛을 비추어 주는 광원(180)과, 해당 위험지역에 적합한 경고음을 녹음하기 위한 음성녹음부(141)와 상기 녹음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음성출력부(142)로 이루어져 위험지역에 접근하는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위험안내부(140)로 이루어지는 콘트롤 유닛(150)과; 상기 콘트롤 유닛(150)에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 또는 충전가능한 전원부(170)로 이루어지는 모바일 디텍터(100)와; 상기 모바일 디텍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비상호출수단(190)과, 상기 제어부(130)에 연결되어 무선영상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영상 송수신부(160)와, 상기 무선영상 송수신부(160)에서 송출된 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130)에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건설현장 관리사무소(200)의 중앙 컴퓨터(210);를 포함하며,
    일정거리내의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작업자에게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위험안내부(140)를 통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하면서, 상기 영상부(120)를 작동하여 영상을 촬영 및 저장하여 상기 중앙 컴퓨터(210)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120)는
    건설현장의 위험지역으로 작업자가 접근시 감지된 물체를 촬영하는 화상촬영장치(113)와, 상기 화상촬영장치(113)로 부터 송출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녹화장치(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호출수단(190)은
    건설현장의 위험지역에 추락하거나 작업중인 작업자를 감지하는 물체 적외선 감지센서부(191)와 위험지역 내에 작업중임을 알리는 알림 스위치(1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물체의 접근상황에 따라 초음파 감지센서부(112)와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에서 감지되면 단계별에 따라 저음의 경고음향만 발생시키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의 경고음향보다 높은 데시벨의 경고음향의 발생과 함께 관리자에게 문자 메세지를 송신하는 제 2 단계와, 제 2 단계의 경고음향보다 더욱 강한 데시벨의 경고음향의 발생과 동시에 관리자에게 문자 메세지 송신 및 상기 영상부(120)에 녹화된 영상을 상기 무선영상 송수신부(160)에서 건설현장 관리사무소(200)의 중앙 컴퓨터(210) 송출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와 제 2 단계는
    경고음에도 불구하고 복합형 센서감지부(110)에 감지된 물체가 해당지역에 지속적으로 머무를 경우에 상기 영상부(120)에 녹화된 영상을 상기 무선영상 송수신부(160)에서 건설현장 관리사무소(200)의 중앙 컴퓨터(210)로 송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에서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며, 위험지역 내에 작업자가 비상호출자수단(190)에 구비된 적외선 감지센서부(191)로 감지되면 경고음의 발생과 함께 관리자를 긴급 호출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4 단계는
    위험지역 내에 작업중인 작업자가 상기 비상호출수단(190) 내에 구비된 알림 스위치(192)을 작동함으로써 경고음의 발생 및 관리자의 긴급호출을 중단하고,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부(111)에서 감지되어 무선영상 송수신부(160)에서 이미 중앙 컴퓨터(210)로 송출된 자료를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KR1020080023960A 2008-03-14 2008-03-14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그이용 방법 KR100981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960A KR100981654B1 (ko) 2008-03-14 2008-03-14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그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960A KR100981654B1 (ko) 2008-03-14 2008-03-14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그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519A true KR20090098519A (ko) 2009-09-17
KR100981654B1 KR100981654B1 (ko) 2010-09-10

Family

ID=4135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960A KR100981654B1 (ko) 2008-03-14 2008-03-14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그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65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9217A (zh) * 2012-07-20 2012-11-21 艾沃瑞克(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远程监控安全保障系统
KR101250774B1 (ko) * 2011-02-22 2013-04-03 윤영기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CN106548578A (zh) * 2015-09-23 2017-03-29 国家电网公司 一种声光报警装置
KR20200123939A (ko) * 2019-04-23 2020-11-02 이원만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CN107678386B (zh) * 2017-10-11 2024-03-22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防过载防倾斜的卸料平台
CN117975635A (zh) * 2024-03-28 2024-05-03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临朐县供电公司 一种电力安全影像语音提示报警装置及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8582B1 (en) 2021-07-07 2022-05-10 T-Mobile Usa, Inc. Enhanced hazard detection device configured with security and communications capabiliti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1194B2 (ja) * 1990-11-09 1997-12-17 オーテック電子株式会社 監視装置
JPH08149645A (ja) * 1994-11-25 1996-06-07 Puretsukusu Kk 工事車の点検かごの安全管理装置
JPH1091877A (ja) * 1996-09-18 1998-04-10 Toenec Corp 非常用警報装置
KR100238007B1 (ko) * 1997-12-03 2000-01-15 김헌출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774B1 (ko) * 2011-02-22 2013-04-03 윤영기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CN102789217A (zh) * 2012-07-20 2012-11-21 艾沃瑞克(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远程监控安全保障系统
CN106548578A (zh) * 2015-09-23 2017-03-29 国家电网公司 一种声光报警装置
CN107678386B (zh) * 2017-10-11 2024-03-22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防过载防倾斜的卸料平台
KR20200123939A (ko) * 2019-04-23 2020-11-02 이원만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CN117975635A (zh) * 2024-03-28 2024-05-03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临朐县供电公司 一种电力安全影像语音提示报警装置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654B1 (ko)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654B1 (ko)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그이용 방법
KR100928028B1 (ko) 건설현장 안전관리방법
KR101914228B1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1886158B1 (ko) IoT기반의 현장안전관리시스템
KR100966892B1 (ko)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EP283002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upervising baggage items
KR101385211B1 (ko) 스마트형 통합 안전 지킴 시스템
KR101038913B1 (ko) 도난예방 알림 및 위치추적 시스템
JP2014519092A (ja) 消音ボタンを備える民生用警報器
KR101867923B1 (ko)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
JP4752854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制御ノード、固定ノード、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150435A (ja) 通信システム
JP2007164474A (ja) 侵入警戒システム
CN202093636U (zh) 防盗报警装置
CN108898815A (zh) 提升医疗设备遥控安全性的方法及控制装置、医疗系统
KR101161267B1 (ko) 엘리베이터 범죄예방 시스템
JP2014102586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機検出プログラム
CN204926374U (zh) 一种老人用的智能安防装置及智能机器人
JP2005031831A (ja) 工事現場防犯システム
JP5137519B2 (ja) 工事現場防犯システム
KR101265548B1 (ko)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JP6769821B2 (ja) 作業現場監視装置
CN215340347U (zh) 核辐射监测系统
KR101416076B1 (ko) 감시카메라 비상호출 시스템
JP6550233B2 (ja) 手荷物品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