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923B1 -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923B1
KR101867923B1 KR1020170132376A KR20170132376A KR101867923B1 KR 101867923 B1 KR101867923 B1 KR 101867923B1 KR 1020170132376 A KR1020170132376 A KR 1020170132376A KR 20170132376 A KR20170132376 A KR 20170132376A KR 101867923 B1 KR101867923 B1 KR 101867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ntroller
individual
fire extinguisher
extingu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배
김종삼
배상훈
Original Assignee
(주)한국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유닉스 filed Critical (주)한국유닉스
Priority to KR1020170132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물 및 생활공간의 곳곳에 비치되어 있는 개별 소화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한 개별소화기에 각각 설치되고, 통신부를 지닌 신고수단; 상기 신고수단과 함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화재발생의 신고수단을 입력하거나 터치하는 즉시 소방서 등지로 신고를 동시에 수행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와 유ㆍ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재발생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보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신고수단은 버튼식이나 터치식 형태의 전자 스위치 또는 전자 태그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고, 바코드 QR코드 IC 칩 등으로 구성된 인식칩이 내장되며, 개별 소화기의 종류 제조자 제조일자 일련번호 등의 다양한 정보가 탑재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말소화기 등과 같은 개별 소화기에 제어기를 비롯하여 버튼식 및 터치식 형태의 전자 스위치나 전자 태그(예; RFID) 등과 같은 신고수단을 부착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진화와 동시에 관할소방서에 화재발생 신고를 즉시 수행토록 하여 사전에 대형화재 및 큰 불로의 번짐을 예방함은 물론, 화재발화지점 주변으로 바로 알려주고 울려 퍼지는 화재경보를 통해 모든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유도하여 화재피해를 가장 최소화하게끔 지능화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Bidirectional alarm system on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말소화기 등과 같은 개별 소화기에 제어기를 비롯하여 버튼식 및 터치식 형태의 전자 스위치나 전자 태그(예; RFID) 등과 같은 신고수단을 부착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진화와 동시에 관할소방서에 화재발생 신고를 즉시 수행토록 하여 사전에 대형화재 및 큰 불로의 번짐을 예방함은 물론, 화재발화지점 주변으로 바로 알려주고 울려 퍼지는 화재경보를 통해 모든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유도하여 화재피해를 가장 최소화하게끔 지능화시킨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각종의 생활주거지 사무실 공장 지하철 내 식당가 등의 다중 이용시설이나 개인생활 공간과 같이 다수의 사람이나 개인이 생활하는 공간에서는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및 물적 피해 등을 줄이기 위한 개별 소화기가 필수적으로 비치되고 있다. 그런데 개별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불끄기가 바쁘거나 소방서로 신고하는데 시간을 허비하는 바람에 화재를 더욱 키우는 경향이 있고, 더욱이 경황이 없다보니 주변 사람들이 대피했는지 조차 모를 정도여서 안타까운 피해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사정이 이렇기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개별 소화기를 드는 순간부터 소방서 신고 및 주변인들에게 즉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에도 아직까지는 이에 대한 개발이 거의 전무하기에 이의 개발이 요긴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상기 실정과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9885호(선행문헌 1),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4569(선행문헌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3765호(선행문헌 3)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둥근 원통형으로 바닥면보다 몸체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하부(300), 상기 하부의 상향에 수직으로 뻗어 형성된 중부(200), 상기 중부의 상향에 집게모양으로 형성된 상부(100), 상기의 상부(100),중부(200),하부(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1); 사각평판의 상면 일측에 쏟아 소화기를 지지하는 지지대(40), 상기 지지대의 바닥면과 결합된 보관함(400), 상기 보관함은 사각평판으로 외면의 일측에 불빛이 깜빡이는 등이 형성된 경광등(44), 상기 보관함의 상면 중앙부에 신고수단을 작동시키는 스위치 역할을 담당하는 비상버튼(43), 상기 보관함의 상면 일측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광버튼(42)와 전원버튼(41)을 구비한 소화기 보관함체(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장치가 내장된 소화기 보관함을 제시한다.
선행문헌 2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마련되어 소화기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마련된 지지판과, 지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판의 하부 전방에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금속재질의 보강바가 인서트 사출된 사출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거치대를 제시한다.
선행문헌 3은 소화기 본체(10)에는; 화재 시 소화기의 위치를 알려주되,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장치(21), 화재신호 수신시 화재발생을 알리는 LED점멸등(22) 및 스피커(23)가 일체로 포함되어 구성된 제품 본체(20)가 더 구비되고, 제품 본체(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24)가 더 구비되고, 제품 본체(20)와 배터리팩(24)는 웨빙 재질의 끈(29)과 연결되어 소화기 본체(10)에 고정되며, 상기 LED 점멸등(22) 및 스피커(23)은 무선장치(21)에서 서버(40)의 화재신호를 전송받았을 경우에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알림 소화기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에 의하면, 단순히 소화기의 위치파악이나 주변에 화재를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용도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자칫하다가는 잘못된 초기 대응으로 인해 화재진압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더욱이 주변 사람들에게 화재발생 사실을 빨리 전달하는 것도 어렵거니와 화재진압을 하면서 소방서에 화재발생 사실을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조차 힘들기 때문에 대형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한 폐단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9885호 “경보장치가 내장된 소화기 보관함”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4-0004569호 “소화기 거치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3765호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위치 알림 소화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말소화기 등과 같은 개별 소화기에 제어기를 비롯하여 버튼식 및 터치식 형태의 전자 스위치나 전자 태그(예; RFID) 등과 같은 신고수단을 부착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진화와 동시에 관할소방서에 화재발생 신고를 즉시 수행토록 하여 사전에 대형화재 및 큰 불로의 번짐을 예방함은 물론, 화재발화지점 주변으로 바로 알려주고 울려 퍼지는 화재경보를 통해 모든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유도하여 화재피해를 가장 최소화하게끔 지능화시킨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건물 및 생활공간의 곳곳에 비치되어 있는 개별 소화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개별소화기에 각각 설치되고, 통신부를 지니면서 버튼식이나 터치식 형태의 전자 스위치 또는 전자 태그(예; RFID)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며, 바코드, QR코드, IC 칩으로 구성된 인식칩이 내장되고, 개별 소화기의 종류, 제조자, 제조일자, 일련번호의 정보가 탑재되는 신고수단; 상기 신고수단과 함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불꽃검출기ㆍ연기검출기ㆍ온도검출기ㆍ자동 제세동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감지하면서 부저와 알람램프 및 음성스피커를 통하여 화재발생 주변지역으로 경보를 발생하며, 화재발생의 신고수단을 입력하거나 터치하는 즉시 소방서로 신고를 동시에 수행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와 유ㆍ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재발생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도록 CCD 카메라를 기반으로 하고, 선택적으로 열화상 카메라를 탑재한 카메라모듈을 더 구비하는 보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한 개별 소화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화재발생을 감지하거나 신고할 수 있도록 마이컴 회로로 구성되는 제어부,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입ㆍ출력부, 유ㆍ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부, 충전형 배터리를 구비하는 비상전원부,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말소화기 등과 같은 개별 소화기에 제어기를 비롯하여 버튼식 및 터치식 형태의 전자 스위치나 전자 태그(예; RFID) 등과 같은 신고수단을 부착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진화와 동시에 관할소방서에 화재발생 신고를 즉시 수행토록 하여 사전에 대형화재 및 큰 불로의 번짐을 예방함은 물론, 화재발화지점 주변으로 바로 알려주고 울려 퍼지는 화재경보를 통해 모든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유도하여 화재피해를 가장 최소화하게끔 지능화시킨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시스템의 설치상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시스템의 회로연결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소화기 및 감지기의 각층별 배치 및 교신상태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의 곳곳에 비치된 개별 소화기 및 감지기 등에 관련된다. 특히, 분말소화기 등과 같은 개별 소화기에 제어기를 비롯하여 버튼식 및 터치식 형태의 전자 스위치나 전자 태그(예; RFID) 등과 같은 신고수단을 부착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진화와 동시에 관할소방서에 화재발생 신고를 즉시 수행토록 하여 사전에 미리 대형화재를 예방하는 화재경보시스템에 관하여 제안한다.
또한, 아파트나 각종의 생활주거지, 사무실, 공장, 지하철 내 식당가 등의 다중 이용시설이나 개인생활 공간과 같이 다수의 사람이나 개인이 생활하는 공간에서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한 개별 소화기가 필수적으로 비치된 곳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부(15)를 지닌 신고수단(10)이 상기한 개별소화기(1)에 각각 설치된다. 사람이 생활하는 각종 건물 및 생활공간의 곳곳에 비치되어 있는 개별소화기(1)는 초기 화재를 진압하는 용도를 수행하는 동시에 소방서에 화재 발생 신고를 수행하는 구성을 지닌다.(도 1 및 도 3 참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별소화기(1)에 신고수단(10)이 설치되고, 신고수단(10) 상에는 통신부(15)를 지닌다. 통신부(15)는 화재발생 신고를 후술하는 제어기(20)에 제공한다. 즉, 도 1 및 도 3에서처럼 신고수단(10)과 통신부(15)가 부착된 개별소화기(1)가 제어기(20) 부착의 개별소화기(1)에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호를 보내고, 이어 제어기(20)가 소방서 등지로 자동 신고함과 동시에 부저, 알람램프, 음성스피커 등을 통하여 화재발생 주변지역으로 경보를 발생한다. 다시 말해, 개별소화기(1)에 적용된 신고수단(10)을 누르게 되면, 통신부(15)에서 iot 통신방식으로 제어기(20)와 같은 게이트웨이에 전송할 수 있다. 덧붙여, 개별소화기(1)에는 신고수단(10) 및 통신부(15)만이 부착되거나 또는 제어기(20)가 함께 부착된 2종류가 있는데, 이 때 신고수단(10) 및 통신부(15)만 부착된 다수의 개별소화기(1)와, 신고수단(10)과 통신부(15) 및 제어기(20)가 함께 부착된 1개의 개별소화기(1)를 유 무선 등의 형태로 상호 연결시켜 교신될 수 있도록 한다.(예: 건물의 각층마다 1~5개 내외의 제어기를 가진 개별소화기에 신고수단 및 통신부를 가진 수십 내지 수백 개의 개별소화기를 연결해서 교신 가능토록 함) 또한 신고수단(10) 및 통신부(15)만 부착된 개별소화기(1)에는 별도의 중계기(미 도시)를 덧붙여서 하나의 신고신호가 발생했을 때 제어기(20)까지 해당 신호가 순조롭게 이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신고수단(10)은 버튼식이나 터치식 형태의 전자 스위치 또는 전자 태그(예; RFID)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고수단(10)은 개별소화기(1)에 부착되는데, 이러한 형태는 버튼식 또는 터치식 또는 전자 태그(예; RFI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이를 병용해서 부착된다. 이러한 신고수단(10)은 최초 화재를 인식하는 사람이 이를 눌러 통신부(15)를 통하여 제어기(20)를 전송됨과 함께 제어기(20)는 가까운 소방서에 화재발생 신고를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신고수단(10)에는 바코드, QR코드, IC 칩으로 구성된 인식칩이 내장되고, 개별소화기(1)의 종류, 제조자, 제조일자, 일련번호 등의 다양한 정보가 탑재된다. 신고수단(10)은 인식칩이 내장되는데, 이러한 인식 칩은 바코드, QR코드, IC 칩 등으로 구성되어 개별소화기(1)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용기면에 긴밀하게 부착된다. 인식 칩 상에는 개별소화기(1)의 종류, 제조자, 제조일자, 일련번호 등 소화기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가 탑재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특히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중요한 정보로 활용된다.
이외에도,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신고수단(10)은 점검 안내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신고수단(10)의 일 측에 점검램프를 설치하고 이에 의해 ON/OFF 표시되어 점검 시 점검램프가 표시되고, 점검이 완료되면 점검램프를 종료된다. 이러한 점검 자료는 원격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된다. 물론 이러한 점검은 담당자에게 스마트폰 등을 통한 점검정보의 송수신도 처리 가능하다할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발생의 신고수단을 입력하거나 터치하는 즉시 소방서 신고를 동시에 수행하는 제어기(20)가 상기 신고수단(10)과 함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어기(20)는 사람이 생활하는 각종 건물 및 생활공간의 곳곳에 비치되어 있는 개별소화기(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데, 즉, 이러한 개별소화기(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면서 다른 각각의 개별소화기(1)를 통합적으로 제어 가능하지만 장소 및 구조에 따라 복수로 분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기(20)는 화재 발생 시 신고수단(10)의 작동 또는 터치에 의해 소방서에 신고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후술하는 제어기(20)의 통신부(25)는 각각의 개별소화기(1)에 설치된 신고수단(10)의 통신부(15)와 양방향 통신을 구현한다. 이러한 제어기(20)는 신고수단(10)의 작동에 따른 소방서 신고를 수행함과 함께 후술하는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29)에 의해 단독으로 행하여 소방서 신고를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기(20)는 상기한 개별소화기(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화재발생을 감지하거나 신고할 수 있도록 마이컴 회로로 구성되는 제어부(21),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입ㆍ출력부(23), 유ㆍ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부(25), 충전형 배터리를 구비하는 비상전원부(27),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2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20)는 상기한 개별소화기(1)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된다. 즉 전술한 바처럼(도 1 및 도 3 참조), 건물의 각 층마다 여러 개의 개별소화기(1)가 비치되어 있지만, 특정한 개별소화기(1)에 제어기(20) 및 신고수단(10)과 통신부(15)를 지니고, 다른 개별소화기(1)에는 신고수단(10)과 통신부(15)만을 지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기(20)의 제어부(21)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각종 메모리를 탑재한 마이컴 회로이고, 입ㆍ출력부(23)는 제어부(21)의 입출력 신호를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통신부(25)는 신고수단(10)의 통신부(15)에 의해 iot 통신방식으로 전용망 및 공중망을 통해 소방서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통신부(25)는 스마트폰을 통한 정보의 송수신도 처리한다. 비상전원부(27)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충전되는 배터리를 구비하며, 관련법 규정을 만족하는 가동시간을 초과하는 용량 및 방수/방폭형으로 설치된다. 감지부(29)는 개별소화기(1)의 신고수단(10)과는 별도로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소방서에 신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후술하는 사람이 생활하는 각종 건물 및 생활공간의 곳곳에 비치된 불꽃검출기(31), 연기검출기(32), 온도검출기(33) 등에 의해 소방서로 화재발생 신고를 수행하고, 자동 제세동기(34)의 사용에 의해 소방서의 인명구조 출동신고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기(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기(20)가 설치되지 않은 다수의 개별소화기(1) 및 다수의 감지부(29)를 통해 통합적으로 화재경보시스템을 관리하는 동시에 소방서 신고를 위한 정보(그림, 영상, 음성 등)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이외에 서브루틴 프로그램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장비 작동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부구성으로서 상기 제어기(20)는 불꽃검출기(31)ㆍ연기검출기(32)ㆍ온도검출기(33)ㆍ자동 제세동기(34)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감지하고, 부저(35)와 알람램프(37) 및 음성스피커(38) 등을 통하여 화재발생 주변지역으로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불꽃검출기(31)는 광학기술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범위가 넓으면서 오동작(비화재보)의 가능성을 줄인다. 연기검출기(32)와 온도검출기(33)는 불꽃검출기(31)의 보조적 수단이면서 불꽃검출기(31)에서 감지되지 않은 화재의 전초적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부저(35)와 알람램프(37) 및 음성스피커(38)는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의 상황을 고려하여 동시에 또는 이시(異時) 다발적으로 작동하여 화재경보를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수단이 상기 제어기(20)와 유ㆍ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재발생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보조수단은 개별소화기(1)의 신고수단(10)을 보조하여 화재발생을 검출하고, 소방서 신고를 유발한다. 이러한 보조수단은 제어기(20)의 감지부(29)와는 별도로, 개별소화기(1)의 신고수단(10)이 각종 건물 및 생활공간의 곳곳에 비치되는 반면, 보조수단은 여러 활동공간을 동시에 관찰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물론, 보조수단은 제어기(20)에 유ㆍ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재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소방서에 화재발생 신고를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보조수단은 CCD 카메라를 기반으로 하고, 선택적으로 열화상 카메라를 탑재한 카메라모듈(39)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조수단의 CCD 카메라는 사용자의 안전과 도난 방지를 위해 통상적인 활동상황을 감시하도록 설치된다. 적외선용 열화상 카메라는 화재가 발생하는 상황은 물론, 대피자의 이동상황도 감시할 수 있다. 활동공간의 규모가 커질수록 카메라모듈(39)에 CCD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를 동시에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보조수단에 대해 좀 더 보충 설명하면, 마이커, 스피커, CCD 카메라를 기반으로 하고 선택적으로 열화상 카메라를 탑재한 카메라모듈(39)을 더 구비한 상태에서,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을 통해 신고를 하게 되면, 소방서(119 상황실 포함)에서는 화재경보시스템과 자동으로 원격 접속하여 골든타임 시간(사건 발생시점~대략 10분 내외)에서부터, 구조대원이 도착 할 시점까지 화재상황을 확인하면서 실시간 영상 및 음성통화 등으로 주민대피 안내 및 응급조치 등을 지시하거나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람이 생활하는 각종 건물 및 생활공간의 특정 활동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여 동작순서를 예시한다.
일예로, 도 3처럼 1층(1F)에서 최초 화재를 감지한 해당 사용자가 각종 건물 및 생활공간의 곳곳에 비치되는 개별소화기(1) 중, 제어기(20)가 설치되었거나 설치되어 있지 않은 개별소화기(1)의 신고수단(10)을 누르게 되면, 즉시 특정 개별소화기(1)에 설치된 제어기(20)로 화재가 일어난 상태를 수신하는 동시에 화재신고를 소방서와 119(경우에 따라서는 경찰서 및 주변 관공서) 등으로 송신하여 소방관 및 관계자들의 출동을 유도한다. 그리고 특정한 개별소화기(1)의 제어기(20)로부터 화재발생 상태를 부저(35), 알람램프(37) 및 음성스피커(38)로 동시에 작동시켜 각각의 경보가 발생되도록 한다.
이 때, 예를 들어 1층에서 화재가 일어났음을 감지하더라도 각 층(지하 2층 3층 등)마다 비치된 특정의 개별소화기(1)에 설치된 제어기(20)에서 화재발생 상태를 수신한 뒤, 부저(35)와 알람램프(37) 및 음성스피커(38)가 동시에 작동하여 각층마다 각각의 경보가 발생한다. 이는 각층마다 비치된 특정한 개별소화기(1)의 제어기(20)가 주변 상황들을 상호 송수신하여 상호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어되기 때문이다.
미 설명의 도면부호 41은 건물의 바닥면을, 도면부호 45는 건물의 천정을 의미한다.
한편 또 다른 예로서, 제어기(20)의 불꽃검출기(31), 연기검출기(32), 온도검출기(33)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화재발생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한 작동처럼 화재발생 상태를 특정한 개별소화기(1)의 제어기(20)에 송신하는 동시에 제어기(20)가 소방서와 119 등지에 신고하여 소방관 및 관계자들의 출동을 유도하고, 또한 여타의 각층마다 비치된 특정한 개별소화기(1)의 제어기(20)에서 부저(35), 알람램프(37) 및 음성스피커(38) 등으로 각각의 경보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화재진압이 완료된 후에는 제어기(20)를 수동 또는 원격으로 리셋(re-set)한다.
이밖에도, 자동 제세동기(34)의 사용에 의해 즉시 특정한 개별소화기(1)의 제어기(20)로 이러한 상태를 수신하는 동시에 이런 상황을 재송신하여 소방서와 119 등지로 신고함으로써 소방서 및 관계기관의 인명구조 출동신고를 구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말소화기 등과 같은 개별 소화기에 제어기를 비롯하여 버튼식 및 터치식 형태의 전자 스위치나 전자 태그(예; RFID) 등과 같은 신고수단을 부착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진화와 동시에 관할소방서에 화재발생 신고를 즉시 수행토록 하여 사전에 대형화재 및 큰 불로의 번짐을 예방함은 물론, 화재발화지점 주변으로 바로 알려주고 울려 퍼지는 화재경보를 통해 모든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유도하여 화재피해를 가장 최소화하게끔 지능화시킨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개별 소화기 10: 신고수단
15: 통신부 20: 제어기
21: 제어부 23: 입ㆍ출력부
25: 통신부 27: 비상전원부
29: 감지부 31: 불꽃검출기
32: 연기검출기 33: 온도검출기
34: 자동 제세동기 35: 부저
37: 알람램프 38: 음성스피커
39: 카메라모듈 41: 건물 바닥면
45: 건물 천정

Claims (6)

  1. 각종 건물 및 생활공간의 곳곳에 비치되어 있는 개별 소화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개별소화기(1)에 각각 설치되고, 통신부(15)를 지니면서 버튼식이나 터치식 형태의 전자 스위치 또는 전자 태그(예; RFID)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며, 바코드, QR코드, IC 칩으로 구성된 인식칩이 내장되고, 개별 소화기(1)의 종류, 제조자, 제조일자, 일련번호의 정보가 탑재되는 신고수단(10);
    상기 신고수단(10)과 함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불꽃검출기(31)ㆍ연기검출기(32)ㆍ온도검출기(33)ㆍ자동 제세동기(34)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감지하면서 부저(35)와 알람램프(37) 및 음성스피커(38)를 통하여 화재발생 주변지역으로 경보를 발생하며, 화재발생의 신고수단(10)을 입력하거나 터치하는 즉시 소방서로 신고를 동시에 수행하는 제어기(20); 및
    상기 제어기(20)와 유ㆍ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재발생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도록 CCD 카메라를 기반으로 하고, 선택적으로 열화상 카메라를 탑재한 카메라모듈(39)을 더 구비하는 보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20)는 상기한 개별소화기(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화재발생을 감지하거나 신고할 수 있도록 마이컴 회로로 구성되는 제어부(21),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입ㆍ출력부(23), 유ㆍ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부(25), 충전형 배터리를 구비하는 비상전원부(27),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2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32376A 2017-10-12 2017-10-12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 KR101867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376A KR101867923B1 (ko) 2017-10-12 2017-10-12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376A KR101867923B1 (ko) 2017-10-12 2017-10-12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923B1 true KR101867923B1 (ko) 2018-06-18

Family

ID=6276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376A KR101867923B1 (ko) 2017-10-12 2017-10-12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9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491B1 (ko) * 2018-11-27 2019-08-09 조연규 차량용 화재 진압장치
KR20210079514A (ko) 2019-12-20 2021-06-30 조민지 발광형 안내 장치를 구비한 화재 진압용 소화기
CN114699683A (zh) * 2021-12-01 2022-07-05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乐清市供电公司 一种变电站消防设备数字化管理装置
KR20230010924A (ko) 2021-07-13 2023-01-20 정주일 소화기
GB2609519A (en) * 2021-08-07 2023-02-08 Leslie Kelly Andrew An intelligent fire and occupant safety system and method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3781A (ko) * 2004-03-30 2006-05-15 오종환 자가진단 기능이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
KR20110119885A (ko) 2010-04-28 2011-11-03 최명수 경보장치가 내장된 소화기 보관함
KR101178927B1 (ko) * 2012-01-13 2012-08-31 주식회사 가윤시스템 영상감시 소화시스템
KR20140004569A (ko) 2012-06-29 2014-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융합 가입자 망의 분리형 기지국 및 동작 방법
KR101674575B1 (ko) * 2015-05-21 2016-11-09 광명통신안전주식회사 무인화상폴대 및 이를 이용한 조기 화재 예방 시스템
KR101685079B1 (ko) * 2016-05-30 2016-12-09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KR20170069647A (ko) * 2015-12-11 2017-06-21 진동용 소화기 받침대
KR20170093765A (ko) 2017-07-26 2017-08-16 정택준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위치 알림 소화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3781A (ko) * 2004-03-30 2006-05-15 오종환 자가진단 기능이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
KR20110119885A (ko) 2010-04-28 2011-11-03 최명수 경보장치가 내장된 소화기 보관함
KR101178927B1 (ko) * 2012-01-13 2012-08-31 주식회사 가윤시스템 영상감시 소화시스템
KR20140004569A (ko) 2012-06-29 2014-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융합 가입자 망의 분리형 기지국 및 동작 방법
KR101674575B1 (ko) * 2015-05-21 2016-11-09 광명통신안전주식회사 무인화상폴대 및 이를 이용한 조기 화재 예방 시스템
KR20170069647A (ko) * 2015-12-11 2017-06-21 진동용 소화기 받침대
KR101685079B1 (ko) * 2016-05-30 2016-12-09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KR20170093765A (ko) 2017-07-26 2017-08-16 정택준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위치 알림 소화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491B1 (ko) * 2018-11-27 2019-08-09 조연규 차량용 화재 진압장치
KR20210079514A (ko) 2019-12-20 2021-06-30 조민지 발광형 안내 장치를 구비한 화재 진압용 소화기
KR20230010924A (ko) 2021-07-13 2023-01-20 정주일 소화기
GB2609519A (en) * 2021-08-07 2023-02-08 Leslie Kelly Andrew An intelligent fire and occupant safety system and method
CN114699683A (zh) * 2021-12-01 2022-07-05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乐清市供电公司 一种变电站消防设备数字化管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923B1 (ko)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
KR101634207B1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비상 탈출 시스템
KR101827733B1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US7034690B2 (en) Inf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385211B1 (ko) 스마트형 통합 안전 지킴 시스템
KR101581247B1 (ko)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CN107924607A (zh) 安全自动化系统
KR1016440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
KR102018988B1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JP2017016609A (ja) 独居者等の監視警備連絡装置
US11232690B2 (en) Multipurpose alert system for smoke, fire, natural gas, and/or carbon monoxide
JP4752854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制御ノード、固定ノード、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881137B1 (ko) 공공장소용 양방향의 화재경보시스템
JP2006323490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KR20150040571A (ko) 위급 상황 판별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JP5111765B2 (ja) 建物内状況確認システム
KR102513984B1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ES2542316B1 (es) Sistema autónomo, inalámbrico para prevención y detección de caídas, y monitorización
JP2014021637A (ja) 報知システム及び報知方法
KR20180043227A (ko) Sms 팝업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 징후 차단 및 구조 신호 통보 시스템
KR20140109521A (ko) 세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63408Y1 (ko) 긴급 구조 알림 장치
KR101841260B1 (ko)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
JP2021085197A (ja) 災害時避難支援システム
GB2534919A (en)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