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260B1 -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260B1
KR101841260B1 KR1020160158409A KR20160158409A KR101841260B1 KR 101841260 B1 KR101841260 B1 KR 101841260B1 KR 1020160158409 A KR1020160158409 A KR 1020160158409A KR 20160158409 A KR20160158409 A KR 20160158409A KR 101841260 B1 KR101841260 B1 KR 101841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eans
main body
earthquake
disaste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영
Original Assignee
정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영 filed Critical 정미영
Priority to KR102016015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V1/00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1Measuring or predicting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phys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상황에서 대피하기 위한 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판(10), 지지대(11), 다리(12)의 결합체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지진, 가스, 화재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감지수단(30); 및 상기 감지수단(30)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시청각 경보를 송수신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빈도가 낮은 강한 지진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 외부로 탈출하지 못한 대피자들을 위한 안전한 피난 공간을 확보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Table apparatus for escape from disaster}
본 발명은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진을 비롯한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 대피자들을 위한 피난 공간을 유지하는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지진을 비롯한 각종 재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현장을 이탈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무리하게 탈출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실내 공간에 비치되는 테이블을 임시 피난처로 활용하면서 중요한 비상용 물품을 확보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의 일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9263호는 지진, 테러, 외부의 침입자 발생 시 안전공간으로 대피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자신을 보호하거나, 기타 위험한 환경에 접할 경우 대처가 용이한 효과를 기대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7156호는 시약장의 전면이 개구되어 시약병을 보관하는 공간이 형성된 시약실; 상기 시약장의 시약실을 개폐하는 문; 상기 시약실의 내부에 시약병이 삽입되어 보관되는 보관함; 및 상기 시약장의 상측에 지진을 감지하여 지진경보를 알리는 지진경보장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44536호는 지진을 포함한 재해 시에는 생존 삼각형으로 변형되는 탁자부; 상기 탁자부에 설치되며, 비상 약품과 비상 식량을 보관해 주는 대피 상자부; 상기 탁자부에 설치되며, 상기 대피자가 외부의 구조요원과 통신하도록 해주는 통신 기기부;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국내에서 비교적 접하기 어려운 강진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로 탈출할 여건을 갖추지 못한 대피자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미흡하여 개선의 여지가 크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9263호 "재난 대피용 안전 책상" (공개일자 : 2006.06.16.)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7156호 "지진경보장치가 구비된 시약장" (공개일자 : 2012.10.02.)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44536호 "지진 대피용 탁자 조립체" (공개일자 : 2013.05.02.)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빈도가 낮은 강한 지진과 같은 재난 상황에 대비하여 외부로 탈출하지 못한 대피자들을 위한 안전한 피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난 상황에서 대피하기 위한 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판, 지지대, 다리의 결합체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지진, 가스, 화재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시청각 경보를 송수신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는 지지대 상에 수납함을 구비하고, 다리 상에 완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본체는 로크핀을 개재하여 낙하 가능하게 상판에 결합되는 차단대를 더 구비하고, 낙하된 차단대는 보호시트와 함께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인출 가능한 램프, 외부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충전 가능한 구조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유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는 통신기 및 공중파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라디오수신기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빈도가 낮은 강한 지진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 외부로 탈출하지 못한 대피자들을 위한 안전한 피난 공간을 확보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변형예를 부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변형예에 의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 회로 연결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재난 상황에서 대피하기 위한 테이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재난 상황은 지진, 특히 국내에서 비교적 접하기 어려운 강진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화재와 같은 여타의 비상사태도 포함한다. 테이블은 평상시 회의, 식사 등을 위한 기본적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가 상판(10), 지지대(11), 다리(12)의 결합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본체는 상판(10)과 다리(12)를 직결하는 구조, 지지대(11)를 개재하여 상판(10)과 다리(12)를 결합하는 구조 등을 포함한다. 어느 경우에나 본체는 지진, 화재에 대비하여 기계적 강도, 내충격성, 내열성 등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는 지지대(11) 상에 수납함(13)을 구비하고, 다리(12) 상에 완충기(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납함(13)은 비상식량, 의약품 등을 보관하는 상자형 구조로서 지지대(11) 상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다. 다리(12)의 상단이나 하단에 설치되는 완충기(15)는 공압방식과 탄성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상판(10)으로 충돌하는 사물의 충격을 완화하여 파손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본체는 로크핀(22)을 개재하여 낙하 가능하게 상판(10)에 결합되는 차단대(20)를 더 구비하고, 낙하된 차단대(20)는 보호시트(24)와 함께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진이 발생하는 경우 건물의 파손과 더불어 많은 파편과 분진이 발생하므로 설사 테이블 본체의 상판(10) 하측으로 대피하더라도 안전성을 보장하기 곤란하다. 도 2는 테이블의 저면에서 나타내는 것으로서 장방형 차단대(20)가 장방형 지지대(11)의 외측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차단대(20)는 로크핀(22)을 이용하여 상판(10)이나 지지대(11)에 고정되며, 로크핀(22)은 지진의 충격이나 사람의 수동작에 의하여 파단 또는 분리된다. 테이블 본체와 차단대(20) 사이에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난연성, 투명성을 지닌 보호시트(24)를 연결하는 것이 좋다.
도 3을 참조하면, 설정된 조건에서 로크핀(22)이 파단 또는 분리되는 경우 차단대(20)가 낙하되어 바닥면에 닿는 동시에 보호시트(24)가 내려져 밀폐공간을 형성하므로 파편과 분진으로부터 보호된다. 물론 보호시트(24) 상에 다수의 필터(26)를 형성하면 대피자의 안전한 호흡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보호시트(24)는 대피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지퍼가 달린 출입구를 4방향으로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수단(30)이 상기 본체 상에 지진, 가스, 화재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도 2 및 도 4에서 감지수단(30)은 지진감지기(31), 가스감지기(33), 화재감지기(35)로 예시한다. 지진감지기(31)는 P파, S파 등의 지진파 종류와 충격 강도 구분하여 검출하는 방식이 선호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스감지기(33)는 대상 건물에서 사용되는 가스와 더불어 지진으로 유발되는 가스를 검출하는 방식을 택한다. 화재감지기(35)는 화재에 의하여 유발되는 온도와 연기를 검출하는 방식을 택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40)이 상기 감지수단(30)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시청각 경보를 송수신하는 구조를 지닌다. 제어수단(4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인터페이스를 탑재한 제어기(45)를 기반으로 한다. 제어기(45)는 본체의 상판(10)이나 지지대(11) 상에 단열재를 개재하여 설치된다. 재난 대피를 위한 제어기(45)의 알고리즘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갱신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40)은 인출 가능한 램프(41), 외부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42), 충전 가능한 구조의 배터리(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램프(41)는 테이블 본체의 지지대(11) 상에 설치되어 평상시 상판(10)의 상측으로 인출되어 조명 역할을 하고 비상시 상판(10) 하측의 대비 공간으로 인출되어 정전에 따른 시야를 확보한다. 스피커(42)는 평상시에는 음악이나 방송을 청취 가능하지만 비상시에는 안전한 대피를 유도하거나 외부에 구조음을 발신한다. 배터리(47)는 평상시 항상 충전 상태를 유지하고 비상시 제어수단(40)의 전원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40)은 유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는 통신기(43) 및 공중파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라디오수신기(44)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기(43)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핸드폰 피어링 등의 유무선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라디오수신기(44)는 평상시 음악 등을 출력하고 비상시 재난 방송을 송출하며 스피커(42)와 연계될 수 있다. 통신기(43)와 라디오수신기(44)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 가능하지만 제어기(45)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자동으로 온오프된다.
이외에, 제어수단(40)은 다수의 테이블 상으로 다양한 전원선 및 신호선을 연결하기 위한 멀티탭, usb 커넥터, 전원(aux) 단자, 과부하 차단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하나의 건물에 배치된 다양한 테이블 간에 전력, 통신 등을 교환하거나 대피 공간을 확대하여 재난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작동의 일예로서, 제어수단(40)의 제어기(45)가 대피가 필요한 정도의 지진이나 화재를 감지하면 스피커(42)를 통하여 경보를 출력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차단대(20)와 보호시트(24)를 작동하여 밀폐공간을 확보하고, 통신기(43)와 라디오수신기(44)를 작동하여 재난에 대응한 정보를 송수신하며, 강진으로 피해가 큰 경우에는 스피커(42)와 통신기(43)로 외부에 구조 신호를 송출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상판 11: 지지대
12: 다리 13: 수납함
15: 완충기 20: 차단대
22: 로크핀 24: 보호시트
26: 필터 30: 감지수단
31: 지진감지기 33: 가스감지기
35: 화재감지기 40: 제어수단
41: 램프 42: 스피커
43: 통신기 44: 라디오수신기
45: 제어기 47: 배터리

Claims (5)

  1. 재난 상황에서 대피하기 위한 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판(10), 지지대(11), 다리(12)의 결합체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지진, 가스, 화재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감지수단(30); 및
    상기 감지수단(30)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시청각 경보를 송수신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지지대(11) 상에 수납함(13)을 구비하고, 다리(12) 상단에 공압방식과 탄성방식의 완충기(15)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로크핀(22)을 개재하여 낙하 가능하게 상판(10)에 결합되는 차단대(20)를 더 구비하고, 낙하된 차단대(20)는 필터(26)를 지닌 보호시트(24)와 함께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판(1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인출 가능한 램프(4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40)은 외부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42), 충전 가능한 구조의 배터리(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40)은 유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는 통신기(43) 및 공중파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라디오수신기(44)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
KR1020160158409A 2016-11-25 2016-11-25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 KR101841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09A KR101841260B1 (ko) 2016-11-25 2016-11-25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09A KR101841260B1 (ko) 2016-11-25 2016-11-25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260B1 true KR101841260B1 (ko) 2018-03-23

Family

ID=6191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409A KR101841260B1 (ko) 2016-11-25 2016-11-25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2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581B2 (ja) * 1992-09-18 2001-03-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椅子用自動走行装置
JP3179495B2 (ja) * 1992-08-28 2001-06-25 ボーン ケア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1α,24(S)−ジヒドロキシビタミンD▲下2▼の調製及び使用方法
JP2010042213A (ja) * 2008-08-18 2010-02-25 Kokoro:Kk 地震対策用テーブル
JP2014057677A (ja) * 2012-09-14 2014-04-03 Sharp Corp テーブ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495B2 (ja) * 1992-08-28 2001-06-25 ボーン ケア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1α,24(S)−ジヒドロキシビタミンD▲下2▼の調製及び使用方法
JP3139581B2 (ja) * 1992-09-18 2001-03-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椅子用自動走行装置
JP2010042213A (ja) * 2008-08-18 2010-02-25 Kokoro:Kk 地震対策用テーブル
JP2014057677A (ja) * 2012-09-14 2014-04-03 Sharp Corp テーブ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923B1 (ko)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
KR101926746B1 (ko)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안전시스템
ES2938349T3 (es) Sistema de automatización de seguridad
ES2784882T3 (es) Sistema de automatización de seguridad
US10424190B2 (en) Safety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20180211512A1 (en) Safety automation system
JP5908160B2 (ja) 救助信号発信装置
KR101881137B1 (ko) 공공장소용 양방향의 화재경보시스템
KR102018988B1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JP2011040047A (ja) Plc対応危険自動通報システム
US11232690B2 (en) Multipurpose alert system for smoke, fire, natural gas, and/or carbon monoxide
KR101774897B1 (ko) 화재 신호의 휴대폰 통보 및 화재수신반의 리셋 시스템
JP5350705B2 (ja) コントローラ装置
JP3929058B2 (ja) 防災システム
CN104503251A (zh) 智能家居安全管理系统
KR101841260B1 (ko) 재난 대피용 테이블 장치
JP5111765B2 (ja) 建物内状況確認システム
CN107784775A (zh) 一种新型智能检测火灾的联动报警器
KR20200007756A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WO2015036633A1 (es) Sistema autónomo, inalámbrico para prevención y detección de caídas, y monitorización de personas
JP2014021637A (ja) 報知システム及び報知方法
JP2015135539A (ja) 自動火災報知設備
KR200463408Y1 (ko) 긴급 구조 알림 장치
KR102261496B1 (ko) 방범감지시스템 중심의 재난관제센터에 탑재된 화재 신고시스템
CN206021489U (zh) 一种新型智能检测火灾的联动报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