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079B1 -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079B1
KR101685079B1 KR1020160066298A KR20160066298A KR101685079B1 KR 101685079 B1 KR101685079 B1 KR 101685079B1 KR 1020160066298 A KR1020160066298 A KR 1020160066298A KR 20160066298 A KR20160066298 A KR 20160066298A KR 101685079 B1 KR101685079 B1 KR 101685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nt
fire
fire hydrant
sta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흥태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66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Abstract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은, 고유한 식별번호가 기록된 RFID 태그가 각각 내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화전; 상기 소화전의 RFID 태그를 읽어 상기 소화전을 식별하며, 식별된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 상기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는 소화전 관리서버; 상기 소화전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며, 출동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실시간으로 전자지도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출동차량의 운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위치확인 서버; 및 상기 자동위치확인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전자지도상에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가능한 소화전의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위치확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RFID-based management system of fire hydrants}
본 발명은 소화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RFID 태그를 통해 식별된 소화전의 점검상태가 화재를 진압하는 출동차량 및 출동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는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출동차량 ,즉 소방차와 구급차에 화재가 발생한 위치가 실시간으로 전달되고 있다.
한편, 대형화재를 초기 진압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소화전으로부터 소방용수를 공급받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소방용수를 제공하는 소화전이 겨울철에 동결되거나, 수리중이거나, 사용 불가한 경우가 있어, 화재현장에 소방용수 공급이 지연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즉, 현장에 출동한 소방관이 소화전의 사용가능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어서, 소방용수 공급의 지연으로 초기 화재 진압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50408호, 공동 주택 단지 또는 빌딩의 원격 소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는 공동 주택 단지 또는 빌딩에 기 포설된 쌍가닥의 디지털 예비선을 이용하여 소방 설비를 실시간으로 점검하는 방식이므로, 노후화된 건물의 경우 포설된 예비선이 누수 등으로 인해 노이즈가 유입되어 오작동할 가능성이 높아 신뢰성이 떨어진다.
KR 10-2014-005040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재난현장 소방출동대에게 소화전 점검상태와 위치정보 등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유한 식별번호가 기록된 RFID 태그가 각각 내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화전; 상기 소화전의 RFID 태그를 읽어 상기 소화전을 식별하며, 식별된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 상기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는 소화전 관리서버; 상기 소화전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며, 출동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실시간으로 전자지도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출동차량의 운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위치확인 서버; 및 상기 자동위치확인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전자지도상에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가능한 소화전의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위치확인 단말기;를 포함하는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소화전 관리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위치확인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저장하는 소화전의 점검상태는, 표지판 상태, 외관 상태, 배수 상태, 출수압력 상태, 스핀들 상태, 제수변 상태 및 고장수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은, 재난현장 소방출동대에게 소화전 점검상태와, 위치정보 등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은, 소화전의 상태관리를 강화하고 업무 프로세스의 전산화로 신속, 정확한 소화전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운영 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현장과 직원 중심의 행정구현과, 화재발생 초기 진압시 리스크를 사전에 제거하여 인명, 재산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휴대용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화전의 RFID 태그를 스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화전을 검색하고 영상촬영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기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화전의 RFID 태그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5는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에서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에 소화전의 점검상태가 지도상에 표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은, 소화전(100)과, 휴대용 단말기(200)와,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와, 소화전 관리서버(400)와, 관제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화전(100)은 화재가 일어났을 때 긴급하게 소방용수를 사용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며, 옥내 소화전과 옥외 소화전으로 구분된다.
특히 옥외 소화전은 소방차 등과 같은 출동차량이 소방용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되고 있으며, 소화전의 위치는 위성위치정보(GPS정보)를 기반으로 관리되고 있다.
또한, 소화전(100)은 고유한 식별번호가 기록된 RFID 태그가 각각 내장되어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용 단말기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전용 단말기(200)는 860MHz ~ 960MHz 대역, 즉 UHF 대역을 이용하는 RFID 리더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소화전(100)의 RFID 태그를 읽어 각각의 소화전을 식별하며, 식별된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소화전의 점검상태는, 표지판 상태, 외관 상태, 배수 상태, 출수압력 상태, 스핀들 상태, 제수변 상태 및 고장수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6000 ~ 8500mAh 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USB 단자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860MHz ~ 960MHz 대역의 PCB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어 세라믹 안테나와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크기와 무게가 감소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카메라 모듈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탈부착 가능한 외장 메모리가 포함되어 있으며, 유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방식의 로컬 무선통신방식과, LTE 또는 3G 방식의 광대역 무선통신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저장된 소화전(100)의 점검상태를 전송받아 표시한다.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스마트 패드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화전 관리서버(400)는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로부터 소화전(100)의 점검상태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관제센터는 소화전 관리서버(4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한다.
특히, 관제센터는 출동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실시간으로 전자지도에 표시함으로써 출동차량의 운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관제센터는 전자지도상에 소화전(100)의 점검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가능한 소화전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1), 소화전(100)과, 휴대용 단말기(200)와,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와, 소화전 관리서버(400)와,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와,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화전(100)은 거리의 각 구역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각 소화전에는 고유한 식별번호가 기록된 RFID 태그가 각각 내장되어 있다.
소화전(100)은 화재가 일어났을 때 긴급하게 소방용수를 사용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며, 옥내 소화전과 옥외 소화전으로 구분된다.
특히 옥외 소화전(100)은 소방차 등과 같은 출동차량이 소방용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되고 있으며, 소화전의 위치는 위성위치정보(GPS정보)를 기반으로 관리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소화전(100)의 RFID 태그를 읽어 각각의 소화전을 식별하며, 식별된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저장한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용 단말기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전용 단말기(200)는 860MHz ~ 960MHz 대역, 즉 UHF 대역을 이용하는 리더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소화전(100)의 RFID 태그를 읽어 각각의 소화전을 식별하며, 식별된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소화전의 점검상태는, 표지판 상태, 외관 상태, 배수 상태, 출수압력 상태, 스핀들 상태, 제수변 상태 및 고장수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6000 ~ 8500mAh 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USB 단자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860MHz ~ 960MHz 대역의 PCB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어 세라믹 안테나와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크기와 무게가 감소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탈부착 가능한 외장 메모리가 포함되어 있으며, 유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방식의 로컬 무선통신방식과, LTE 또는 3G 방식의 광대역 무선통신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저장된 소화전(100)의 점검상태를 전송받아 표시한다.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스마트 패드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와 휴대용 단말기(200)는 USB 단자로 연결되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데이터 교환시에는 데이터가 상호간에 동기화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화전 관리서버(400)는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로부터 소화전(100)의 점검상태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소화전 관리서버(400)와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이더넷 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소화전 관리서버(400)와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 사이에는 방화벽이 구축될 수 있다.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소화전 관리서버(400)와 이더넷 방식으로 데이터를 상호 교환한다. 즉, 소화전 관리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소화전의 점검상태가 자동위치확인 서버(600)에 제공된다.
참고적으로,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출동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실시간으로 전자지도에 표시함으로써 출동차량의 운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일종의 자동위치확인시스템(AVL- Automatic Vehicle Location)을 서비스하기 위한 서버이며, 소방본부는 이를 통해 첨단 정보통신시스템을 활용한 현장출동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즉, 이동 중인 차량의 위치 및 상태를 추적하여 실시간으로 전자지도에 표시해 차량의 운행상황을 파악하는 서비스인 AVL시스템은, 출동차량에 GPS안테나를 장착해 인공위성으로 부터 받은 출동차량의 좌표 데이터를 전송해주면 전자지도에 운행 중인 각 출동차량의 주행경로 등이 표시되므로, 출동차량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다.
즉,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상황 발생시 출동하는 소방차, 구급차 등의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로 재난지점 좌표값을 전송하여 최단거리 출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에 네비게이션 안내를 통하여 출동대가 가장 빠른 시간 안에 현장에 도착하여 소방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는 자동위치확인 서버(6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전자지도상에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가능한 소화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는 소방차, 구급차 등의 출동차량에 설치된 컴퓨터와, 출동한 소방관이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는 각각의 출동차량 위치정보 뿐만 아니라 소방대상물 정보, 소방용수, 기타 현장상황이나 추가 변동정보를 신속히 전송받을 수 있다.
참고적으로, 출동차량이 출동한 지역의 소화전이 점검상태에 있을 경우, 소화전을 점검하고 있는 업무자의 휴대용 단말기(200)와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가 USB 단자로 연결되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데이터 교환시에는 데이터가 상호간에 동기화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에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와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는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때 교환되는 데이터는 소화전의 점검상태이며, 소화전의 점검상태는 표지판 상태, 외관 상태, 배수 상태, 출수압력 상태, 스핀들 상태, 제수변 상태 및 고장수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는 자동위치확인 서버(600)에 접속할 필요없이, 휴대용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전자지도상에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가능한 소화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2)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2)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2), 소화전(100)과, 휴대용 단말기(200)와,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와, 소화전 관리서버(400)와,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와,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2)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화전(100)은 거리의 각 구역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각 소화전에는 고유한 식별번호가 기록된 RFID 태그가 각각 내장되어 있다.
소화전(100)은 화재가 일어났을 때 긴급하게 소방용수를 사용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며, 옥내 소화전과 옥외 소화전으로 구분된다.
특히 옥외 소화전은 소방차 등과 같은 출동차량이 소방용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되고 있으며, 소화전의 위치는 위성위치정보(GPS정보)를 기반으로 관리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소화전(100)의 RFID 태그를 읽어 각각의 소화전을 식별하며, 식별된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저장한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용 단말기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전용 단말기(200)는 860MHz ~ 960MHz 대역, 즉 UHF 대역을 이용하는 리더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소화전(100)의 RFID 태그를 읽어 각각의 소화전을 식별하며, 식별된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소화전의 점검상태는, 표지판 상태, 외관 상태, 배수 상태, 출수압력 상태, 스핀들 상태, 제수변 상태 및 고장수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6000 ~ 8500mAh 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USB 단자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860MHz ~ 960MHz 대역의 PCB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어 세라믹 안테나와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크기와 무게가 감소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탈부착 가능한 외장 메모리가 포함되어 있으며, 유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방식의 로컬 무선통신방식과, LTE 또는 3G 방식의 광대역 무선통신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저장된 소화전(100)의 점검상태를 전송받아 표시한다.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스마트 패드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와 휴대용 단말기(200)는 USB 단자로 연결되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교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데이터 교환시에는 데이터가 상호간에 동기화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화전 관리서버(400)는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로부터 소화전(100)의 점검상태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소화전 관리서버(400)와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이더넷 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소화전 관리서버(400)와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 사이에는 방화벽이 구축될 수 있다.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소화전 관리서버(400)와 이더넷 방식으로 데이터를 상호 교환한다. 즉, 소화전 관리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소화전의 점검상태가 자동위치확인 서버(600)에 제공된다.
참고적으로,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출동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실시간으로 전자지도에 표시함으로써 출동차량의 운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일종의 자동위치확인시스템(AVL- Automatic Vehicle Location)을 서비스하기 위한 서버이며, 소방본부는 이를 통해 첨단 정보통신시스템을 활용한 현장출동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즉, 이동 중인 차량의 위치 및 상태를 추적하여 실시간으로 전자지도에 표시해 차량의 운행상황을 파악하는 서비스인 AVL시스템은, 출동차량에 GPS안테나를 장착해 인공위성으로 부터 받은 출동차량의 좌표 데이터를 전송해주면 전자지도에 운행 중인 각 출동차량의 주행경로 등이 표시되므로, 출동차량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다.
즉,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상황 발생시 출동하는 소방차, 구급차 등의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로 재난지점 좌표값을 전송하여 최단거리 출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에 네비게이션 안내를 통하여 출동대가 가장 빠른 시간 안에 현장에 도착하여 소방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는 자동위치확인 서버(6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전자지도상에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가능한 소화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는 소방차, 구급차 등의 출동차량에 설치된 컴퓨터와, 출동한 소방관이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는 각각의 출동차량 위치정보 뿐만 아니라 소방대상물 정보, 소방용수, 기타 현장상황이나 추가 변동정보를 신속히 전송받을 수 있다.
참고적으로, 출동차량이 출동한 지역의 소화전이 점검상태에 있을 경우, 소화전을 점검하고 있는 업무자의 휴대용 단말기(200)와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가 USB 단자로 연결되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교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데이터 교환시에는 데이터가 상호간에 동기화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에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와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는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때 교환되는 데이터는 소화전의 점검상태이며, 소화전의 점검상태는 표지판 상태, 외관 상태, 배수 상태, 출수압력 상태, 스핀들 상태, 제수변 상태 및 고장수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는 자동위치확인 서버(600)에 접속할 필요없이, 휴대용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전자지도상에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가능한 소화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휴대용 단말기(200)에는 무선통신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소화전 관리서버(400)는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와 소화전 관리서버(400) 사이의 이더넷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소화전 관리서버(400)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소화전 점검상태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소화전(100)의 점검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위치확인 서버(600)와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 사이의 이더넷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소화전 점검상태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참고적으로, 소화전(100)은 소방용수의 동결상태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소방용수의 동결상태 및 그 동결상태의 일시는, RFID 태그에 연속적으로 저장되고, 휴대용 단말기(200)가 소화전(100)의 RFID 태그를 읽을 때 해당 정보가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휴대용 단말기(200)에 저장된 소방용수의 동결상태 및 그 동결상태의 일시는, 소화전 관리서버(400) 및 자동위치확인 서버(600)에 전달되므로,
출동차량의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는 전자지도상에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표시할 때, 해당 소화전(100)의 소방용수 동결상태 및 그 동결상태의 일시를 전달받아, 소방용수 사용에 참고할 수 있다.
한편,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각 소화전 소방용수의 동결상태 및 그 동결상태의 일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에 해당 정보를 단순히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상청 서버의 날씨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동결예상정보를 산출한 후, 그 동결예상정보를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자동위치확인 서버(600)에 제공된 각 소화전 소방용수의 동결상태 및 그 동결상태의 일시는, 실시간 정보가 아니므로 출동차량이 출동하는 때, 단순히 참조정보로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각 소화전 소방용수의 동결상태 및 그 동결상태의 일시를 수신할 때, 자동으로 기상청 서버에 접속해서 그 동결상태의 일시에 대한 온도정보를 다운로드한다.
즉,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소화전(100)이 위치한 지역의 온도정보를 다운로드 받아서 소화전의 소방용수가 동결상태에 도달하는 온도조건을 산출한 후, 온도조건을 토대로 소화전(100)의 동결예상정보를 도출한다. 이러한 동결예상정보는 확률정보로 표시되어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에 제공될 수 있다.
자동위치확인 서버(600)는 각 소화전 소방용수의 동결상태 및 그 동결상태의 일시가 제공될 때마다, 그 정보를 누적해서 저장한 후 기상청 서버의 날씨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동결예상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 및 소화전 관리서버(400)는, 소화전(100)의 RFID 태그에 저장된 고유한 식별번호와 위성위치정보 및 주소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하고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200)는, 소화전(100)의 RFID 태그에 저장된 고유한 식별번호를 인식했을 경우, 소화전(100)에 할당된 위성위치정보 및 주소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촬영버튼을 선택하여 소화전의 현재상태를 영상 촬영 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소화전(100)이 배치된 주변영역을 영상촬영하여 보조 위치정보로써 이용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복수의 소화전을 점검할 때,
지도에 표시되는 위성위치정보 및 주소정보를 참고하여, 소화전의 위치로 이동하는데,
위성위치정보의 수신이 불량할 경우나 주소정보의 오류가 있을 경우, 이전에 촬영된 소화전 주변영역의 영상을 참조하여 보조 위치정보로써 활용할 수 있다.
즉, 보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소화전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소화전이 배치된 주변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미리 지정한 후, 그 영역을 영상촬영해서 저장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그 영역을 다시 촬영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는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비교한 후, 유사성을 토대로 동일한 소화전인지 여부를 확률형태로 표시하여 보조 위치정보로써 제공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휴대용 단말기(200)는, 복수의 소화전 사이의 이동거리 및 점검시간을 동시에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점검 최단거리를 추천할 수 있다. 즉, 고장이력에 따른 점검시간과, 각 소화전 사이의 이동거리를 고려한 후 근무시간 내에 가장 많은 소화전을 점검할 수 있는 점검 최단거리를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소화전의 고장이력을 고려할 때 점검시간이 너무 길어질 것으로 산출될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는 그 소화전이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더라도 근무시간을 고려하여 가장 후순위의 점검순서로 정렬한다.
참고적으로 각 소화전의 점검우선 순위가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소화전의 점검우선 순위가 지정되어 있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는 소화전의 이동거리, 점검시간 및 점검우선 순위를 모두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점검 최단거리를 추천할 수 있다. 이때는 소화전의 점검우선 순위가 가장 최우선으로 고려되도록 설정된다.
도 4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로그인 화면이 표시되며, 로그인이 완료되면 소화전정보, 점검관리, 고장수리관리, 시스템관리를 선택할 수 있는 메인화면이 표시된다.
소화전정보는 소화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이고, 점검관리는 정기점검 해야 될 소화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이고, 고장수리는 정기점검 완료된 목록을 확인 할 수 있는 메뉴이며, 시스템관리는 정기점검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RFID 태그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뉴이다.
소화전관리를 선택할 경우, 다운로드 받은 소화전 목록이 나타나며,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소화전을 검색할 수 있다. 상세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소화전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종료 버튼을 클릭하면 메인화면으로 이동한다.
도 5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화전의 RFID 태그를 스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RFID 스캔 버튼을 누른 후 소화전(100)의 RFID 태그에 근접하면, 해당 소화전(100)의 RFID 태그 정보를 리딩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때, 스캔 중 상태, 스캔 성공, 스캔 실패 상태가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된다. 스캔이 성공할 경우, 해당 소화전(100)의 상세정보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도 6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화전을 검색하고 영상촬영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RFID 스캔 버튼을 눌러 소화전(100)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스캔하고, 스캔이 성공할 경우 리스트에 있는 소화전(100)일 경우, 상세정보를 표시하고 리스트에 없는 소화전일 경우 알림 메세지를 표시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20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촬영버튼을 선택하여 소화전의 현재상태를 영상 촬영 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소화전(100)이 배치된 주변영역을 영상촬영하여 보조 위치정보로써 이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기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점검관리를 선택할 경우, 점검해야 될 소화전 목록이 표시된다. 또한, 점검 버튼을 클릭하면 RFID 태그를 스캔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고, 스캔에 성공할 경우 해당 RFID 태그의 번호가 잠시 표시되다가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
즉, 표지판 상태, 외관 상태, 배수 상태, 출수압력 상태, 스핀들 상태, 제수변 상태 및 고장수리 상태를 각각 체크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며, 각 점검상태는 양호, 사용가능, 수리가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력관리 버튼을 클릭하면 소화전(100)의 이전 점검 이력을 일시 및 시간별로 확인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화전의 RFID 태그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시스템관리에서 새로운 소화전을 등록하거나 데이터를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 및 자동위치확인 단말기(500) 등과 같은 외부 단말기에 업로드 할 수 있는 저장버튼이 표시된다. 이때 쓰기버튼을 선택하면 RFID 태그에 새로운 일련번호를 쓰기할 수 있다.
RFID 태그에 새로운 일련번호를 쓰기하는 과정, 즉 쓰기 상태, 쓰기성공 및 쓰기실패 과정은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된다.
도 11 내지 도 15는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에서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300)의 소화전 관리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소화전의 점검상태, 즉 표지판 상태, 외관 상태, 배수 상태, 출수압력 상태, 스핀들 상태, 제수변 상태, 고장수리 상태 및 점검이력을 각 소화전 별로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
즉 검색조건, 목록, 상세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며, 자동위치확인 서버(600)의 소화전 관리 데이터와 동기화될 수 있는 선택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소화전의 점검상태 및 이력정보가 월별로 차트화 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은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에 소화전의 점검상태가 지도상에 표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지도상에서 소화전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소화전 정보는 지도 옆에 목록형태로 표시되며, 빨간색 아이콘은 사용 가능한 소화전을 의미하고, 검은색 아이콘은 사용 불가한 소화전을 의미하도록 표시된다.
상술한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소화전 설치 및 관리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소화전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RFID 기술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코드관리가 가능하고, 위치기반을 이용한 소화전의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제공이 가능하다.
즉, 소화전의 점검, 수리 이력 정보 관리, 소화전의 고장유형, 고장원인 관리, 소화전의 기본정보 관리, 소화전의 점검절차 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고, 기간별 분류 통계 기능, 조회된 소화전에 대한 리포트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과의 데이터베이스 연계를 통한 실시간 설비 현황 모니터링 지원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은, 재난현장 소방출동대에게 소화전 점검상태와, 위치정보 등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은, 소화전의 상태관리를 강화하고 업무 프로세스의 전산화로 신속, 정확한 소화전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운영 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현장과 직원 중심의 행정구현과, 화재발생 초기 진압시 리스크를 사전에 제거하여 인명, 재산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소화전
200 : 휴대용 단말기
300 :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
400 : 소화전 관리서버
500 : 자동위치확인 단말기
600 : 자동위치확인 서버

Claims (5)

  1. 고유한 식별번호가 기록된 RFID 태그가 각각 내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화전;
    상기 소화전의 RFID 태그를 읽어 상기 소화전을 식별하며, 식별된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
    상기 소화전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는 소화전 관리서버;
    상기 소화전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며, 출동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실시간으로 전자지도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출동차량의 운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위치확인 서버; 및
    상기 자동위치확인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전자지도상에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가능한 소화전의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위치확인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전은 소방용수의 동결상태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소방용수의 동결상태 및 그 동결상태의 일시는, 상기 RFID 태그에 연속적으로 저장되고, 소방용수의 동결상태 및 그 동결상태의 일시는 상기 자동위치확인 서버에 전달되며,
    상기 자동위치확인 서버는, 각 소화전 소방용수의 동결상태 및 그 동결상태의 일시를 수신할 때, 자동으로 기상청 서버에 접속해서 그 동결상태의 일시에 대한 온도정보 - 소화전이 위치한 지역의 온도정보임 - 를 다운로드하여, 소화전의 소방용수가 동결상태에 도달하는 온도조건을 산출한 후, 온도조건을 토대로 소화전의 동결예상정보를 도출하며,
    상기 동결예상정보는 확률정보로 표시되어 상기 자동위치확인 단말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관리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위치확인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소화전의 점검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저장하는 소화전의 점검상태는, 표지판 상태, 외관 상태, 배수 상태, 출수압력 상태, 스핀들 상태, 제수변 상태 및 고장수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5. 삭제
KR1020160066298A 2016-05-30 2016-05-30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KR101685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298A KR101685079B1 (ko) 2016-05-30 2016-05-30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298A KR101685079B1 (ko) 2016-05-30 2016-05-30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079B1 true KR101685079B1 (ko) 2016-12-09

Family

ID=5757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298A KR101685079B1 (ko) 2016-05-30 2016-05-30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07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03399A (zh) * 2017-07-28 2017-12-22 福建天广消防有限公司 一种室外消火栓的防盗水监测系统
KR101867923B1 (ko) * 2017-10-12 2018-06-18 (주)한국유닉스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
KR20190091757A (ko) *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하나안전소방 소방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011342B1 (ko) * 2018-11-12 2019-08-14 주식회사 리퓨어유니맥스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102291693B1 (ko) 2020-11-12 2021-08-19 박민종 소화전의 모니터링 방법
WO2022249531A1 (ja) * 2021-05-28 2022-12-01 日本電気株式会社 記録媒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910A (ko) * 2009-03-27 2010-10-06 (주)인타운 전자태그를 이용한 소화기 관리시스템
KR101244452B1 (ko) * 2012-07-17 2013-04-08 중경기술주식회사 동파 방지 소방 기구
KR20140050408A (ko) 2012-10-19 2014-04-29 윤상호 공동 주택 단지 또는 빌딩의 원격 소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910A (ko) * 2009-03-27 2010-10-06 (주)인타운 전자태그를 이용한 소화기 관리시스템
KR101244452B1 (ko) * 2012-07-17 2013-04-08 중경기술주식회사 동파 방지 소방 기구
KR20140050408A (ko) 2012-10-19 2014-04-29 윤상호 공동 주택 단지 또는 빌딩의 원격 소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03399A (zh) * 2017-07-28 2017-12-22 福建天广消防有限公司 一种室外消火栓的防盗水监测系统
KR101867923B1 (ko) * 2017-10-12 2018-06-18 (주)한국유닉스 소화기에 부착된 화재경보시스템
KR20190091757A (ko) *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하나안전소방 소방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042585B1 (ko) * 2018-01-29 2019-11-11 주식회사 하나안전소방 소방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011342B1 (ko) * 2018-11-12 2019-08-14 주식회사 리퓨어유니맥스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102291693B1 (ko) 2020-11-12 2021-08-19 박민종 소화전의 모니터링 방법
WO2022249531A1 (ja) * 2021-05-28 2022-12-01 日本電気株式会社 記録媒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079B1 (ko)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KR101149141B1 (ko) 증강현실 기반의 배전설비 관리시스템 및 상기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CA2888038C (en) Asset safety mobile notification system
CN104779551B (zh) 便携式多功能智能巡线仪和电力巡线系统
US20120315877A1 (en) GPS Pathfinder Cell Phone And Method
US20040059539A1 (en) Cable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ble core wir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and programs thereof
CN105931311B (zh) 一种设备巡检系统及其巡检方法
KR101483393B1 (ko) 무선 통신 태그 커넥터를 이용한 시설물 유지 관리 및 사회 안전망 구축 시스템
KR101657046B1 (ko) 스마트 벨 제어장치
WO2013188762A1 (en) Gps pathfinder cell phone and method
CN101848419A (zh) 一种井下/巷道移动对象定位及跟踪系统
CN104199050A (zh) 救灾现场人员运动轨迹精确跟踪监测系统、装置及跟踪监测方法
CN104574215A (zh) 一种水、电、气、热能行业的营销移动作业智能终端与管理系统
US10826763B2 (en) Portable outdoor construction site data center
WO2013023283A1 (en) Audit tool for smartphone devices
KR20150098702A (ko)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순찰 관리 시스템
CN106249707A (zh) 信息收集系统、信息收集终端装置、信息收集服务器装置以及信息收集方法
KR20150083480A (ko)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480784B1 (ko)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EP2546815B1 (en) System and method of alarm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
US20180114176A1 (en) Work planning system, work planning method,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CN109064084B (zh) 基于物联网的行李管控方法和系统
CN114419752A (zh) 一种消防设施巡查系统、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02290318A (ja) データ通信作業支援方法及びデータ通信装置
CN104657902A (zh) 用于装备的综合保障智能终端系统及其实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