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480A -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480A
KR20150083480A KR1020140002944A KR20140002944A KR20150083480A KR 20150083480 A KR20150083480 A KR 20150083480A KR 1020140002944 A KR1020140002944 A KR 1020140002944A KR 20140002944 A KR20140002944 A KR 20140002944A KR 20150083480 A KR20150083480 A KR 20150083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mobile terminal
information
centr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도성
신상용
Original Assignee
프리모케이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모케이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리모케이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2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3480A/ko
Publication of KR2015008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하여, 설비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설비에 대한 현장의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하며, 이동 단말기로부터 현장의 정보를 수신하며, 설비에 대한 통합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 관제 시스템을 포함하여, 현장에 근무하는 작업자는 해당 설비의 통합 정보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중앙 관제 시스템에서는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원격으로 설비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BY USING 3D STEREOSCOPIC IMAGES}
본 발명은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하여, 설비의 통합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 관제 시스템에서는 작업자의 이동 단말기 혹은 고정 단말기를 통하여, 해당 설비의 원격 모니터링과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작업자 입장에서는 해당 설비의 통합 정보와 3D 입체 영상을 활용하여, 해당 설비의 수리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공장과 같이 다양한 설비들이 갖추어진 산업 현장에서는 각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전문 작업자들에 의해 설비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해당 전문가가 상시로 근무하며, 해당 설비들을 교대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 근로자의 인력 확충 등을 위한 설비 관리 비용의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복잡 다단하게 이루어진 각 설비들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설비의 관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존재하고, 이들 관리의 이력 정보 역시 작업자 사이에서 정보 교환이 필요하다. 또한, 해당 설비의 전문가가 부재중인 경우, 해당 설비의 비전문가가 해당 설비의 간이한 수리 또는 보수를 위한 최소한의 정보라도 실시간으로 제공할 필요성 역시 존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설비의 통합 관리를 위한 종래 기술로는 "3차원 가상공간을 이용하여 건물 설비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출원 번호 제10-2007-0100842호,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종래기술1은 건물 내 설치되는 설비의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서 관리자 컴퓨터 및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관리자 컴퓨터는 건물 설비들이 각각의 아이콘의 형태로 표출된 건물 내부를 표현한 3차원 가상공간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하며, 입력 수단을 통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건물 설비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건물 설비들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는 해당 설비의 상태를 화면에 출력하면, 통합 관리 서버는 관리자 컴퓨터 및 건물 설비들 각각에 연결되어 관리자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해당 건물 설비로 전달하거나 또는 건물 설비들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 신호를 관리자 컴퓨터로 전달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현장의 작업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화면 정보를 중앙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중앙 관제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연락을 하면서 해당 설비를 보수하도록 할 수 없으며, 해당 설비가 위치한 공간에 작업자가 해당 설비를 분해하지 않고도 해당 설비의 내부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여, 용이하게 이들 설비를 보수하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여, 효율적이고 직접적인 시설 보수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설비가 위치한 작업 현장에 근무하는 작업자에게 설비들에 대한 통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설비가 위치한 작업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도, 설비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현장에 근무하는 작업자와 교신하여, 설비의 원격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해당 설비에 비전문가인 작업자도, 해당 설비의 통합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설비에 대한 설비 보수 및 관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은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하여, 설비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설비에 대한 현장의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현장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설비에 대한 통합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 관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설비들에 대한 상기 통합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현장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비를 촬영하여, 상기 설비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 촬영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장에서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이동 촬영부가 수집한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통합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 통신부; 및 상기 이동 촬영부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중앙 광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통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비의 현장에서의 설비 상태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비에 부착된 태그 인식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태그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설비를 인식시키는 전자 태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의 상기 전자 태그부는, NFC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상기 태그 인식부와 태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의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설비의 종류, 상기 설비의 작동 방법, 상기 설비의 도면, 상기 설비의 이력, 상기 설비의 고장 종류 및 상기 설비의 고장 종류별 처리 요령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 일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의 상기 설비 상태는, 상기 설비의 고장 유형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고정 유형들의 일부를 선택하여, 입력받는 상기 설비 상태를 정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의 상기 위치 인식부는, 상기 이동 촬영부의 촬영하는 각도를 센싱하는 각도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의 상기 도면은, 상기 설비의 사시도, 육면도 및 분해 사시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의 상기 도면은, 3차원 입체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과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음성 통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설비의 일 측에 고정되어, 상기 설비의 현장의 정보를 촬영하고,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으로 상기 현장의 정보를 송신하는 고정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의 상기 고정 단말기는, 상기 설비의 현장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가 수집한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의 상기 고정 단말기는, 상기 고정 단말기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중앙 관제 시스템에서는 직접 현장에 가지 않고도, 현장의 고정 단말기나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현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중앙 관제 시스템에서는 현장의 설비에 위치하는 작업자를 통하여, 설비의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현장에 위치한 작업자는 전체적인 공정에 대한 정보와 해당 설비에 대한 통합 정보를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받아, 해당 설비에 대한 이력 정보 등을 열람할 수 있는바, 현장에서 효율적인 설비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현장에 위치한 작업자가 해당 설비에 대한 비전문가인 경우에도, 해당 설비의 3차원 정보를 입수하도록 하고, 해당 설비를 보수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산업 설비들에 작업자가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을 도시한 평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도 2(a))와, 이에 대한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도 2(b))이다.
도 3은 이동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를 통하여, 공정 별로 설비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작업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설비를 촬영한 것, 혹은 고정 단말기가 촬영한 것이 중앙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해당 설비에 대한, 통합 정보를 도시한 예시 화면이다.
도 6은 해당 설비에 대한, 통합 정보를 도시한 제 2 예시 화면이다.
도 7은 주요 설비에 대한 3D 입체 영상이 제공되는 화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해당 설비가 전체 공정 설비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도시한 예시 화면이다.
도 9는 도 7에서 해당 설비가 전체 공정 설비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도시한 제 2 예시 화면이다.
도 10은 해당 설비의 3D 입체 영상을 제공하고, 통합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다.
도 11은 해당 설비의 수리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의 3D 입체 영상이 도시된 화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산업 설비들에 작업자가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을 도시한 평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도 2(a))와, 이에 대한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도 2(b))이다. 도 3은 이동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를 통하여, 공정 별로 설비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작업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설비를 촬영한 것, 혹은 고정 단말기가 촬영한 것이 중앙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해당 설비에 대한, 통합 정보를 도시한 예시 화면이다. 도 6은 해당 설비에 대한, 통합 정보를 도시한 제 2 예시 화면이다. 도 7은 주요 설비에 대한 3D 입체 영상이 제공되는 화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해당 설비가 전체 공정 설비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도시한 예시 화면이다. 도 9는 도 7에서 해당 설비가 전체 공정 설비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도시한 제 2 예시 화면이다. 도 10은 해당 설비의 3D 입체 영상을 제공하고, 통합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다. 도 11은 해당 설비의 수리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의 3D 입체 영상이 도시된 화면이다.
본 발명은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하여, 설비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동 단말기(100); 및 중앙 관제 시스템(2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 등의 현장에 위치한 설비(10)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며 배치된다. 이러한, 설비(10)들의 통합 관리에는 작업자의 상시적인 관리 감독이 필요하게 되는데, 관리·감독하고자 하는 설비(10)들은 대부분 해당 설비(10)의 전문적 지식을 갖춘 작업자만이 설비 보수가 가능한 상황이다.
현장의 작업자는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휴대하면서 현장의 설비(10) 등을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신의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wearable smart device)처럼 작업자가 몸에 휴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2에서는 구글의 구글 글래스(Google Glass)와 같은 디바이스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예시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설비(10) 등이 포함된 현장의 촬영하여 영상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고, 단말기 자체의 위치 인식 기능이 존재하며, 타 기기의 데이터 통신 등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기능이 추가 및 소정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장치이면 족하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2의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스마트폰일 수도 있다. 예컨데, 애플(Apple Inc.)의 아이폰5s(iPhone 5s)나 주식회사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 Inc.)의 갤럭시S 시리즈 등도 가능할 것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들 기능이 한데 통합된 디바이스(device)인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기능들을 독립적으로 갖추어진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중앙 관제 시스템(200)과 음성 통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통화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음성 통화 방식은 일반 전화와 같은 경우뿐만 아니라, VoIP와 같은 방식으로 음성 교신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바, 음성 교신의 데이터 통신의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의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데, 현장의 정보는 주로 현장에 설치된 설비(10)의 영상 정보이며, 설비(10)의 소리 이상 유무를 위해서 소리 정보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현장에 존재하는 좌표 센서(11) 등을 센싱하여, 공장 내부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후술하게 되는 중앙 관제 시스템(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좌표 센서(11)는 개별적으로 자신의 고유 ID가 존재하는바, 이동 단말기(100)가 좌표 센서(11)를 센싱하면, 해당 좌표 센서(11)의 고유 ID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동 단말기(100)는 현장의 정보 예컨데, 현장에서 설비(10)의 상태 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데이터 통신을 통해 중앙 관제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중앙 관제 시스템(200)은 이러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와 영상 등을 포함하는 현장의 정보를 수신하여, 중앙 관제 시스템(200)의 관리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노출시키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중앙 관제 시스템(200)이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각 현장의 영상 정보를 수신한 것이다.
중앙 관제 시스템(200)은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 통신하여,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현장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 외에도, 설비(10)들에 대한 통합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통합 정보는, 설비(10)의 종류, 설비의 작동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 설비의 2차원적 도면과 설비의 보수 등에 대한 이력 정보를 포함하며, 설비에서 전형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의 종류, 그리고 이러한 고장의 종류별로 처리 요령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통합 정보는 도면 등의 영상 정보 뿐만 아니라, 도면에 나타난 설비(10)나 장치 등의 각 부위별 명칭과 기능 그리고, 이들의 기타 정보를 총 망라하게 되는 것이다.
현장에 근무하거나 관리 감독하는 작업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휴대하면서,중앙 관제 시스템(200)으로부터 통합 정보를 제공받아, 상술한 바와 같은 설비(10)의 디테일한 정보를 접하게 되며, 당직 중인 작업자가 해당 설비(10)에 대한 문외한인 경우에도 해당 설비의 통합 정보를 바탕으로 손쉽게 설비의 이상 유무의 진단과 간이한 수리 보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작업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통합 정보를 습득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장의 정보를 중앙 관제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는바, 중앙 관제 시스템(200)의 작업자는 현장의 작업자와 네트워크를 통해 교신하여, 구체적인 정보 교환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중앙 관제 시스템(2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통합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현장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베이스(2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촬영부(110); 위치 인식부(120); 이동 통신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동 촬영부(110)는 이동 단말기(100)가 설비(10)에 대한 현장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2와 같이, 이동 촬영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카메라 혹은 캠코더와 같은 것일 수 있으며, 만약, 이동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소형 카메라 및 이를 구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한다.
위치 인식부(120)는 이동 단말기(100)가 현장에서의 위치를 인식하는 구성이다.
예컨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장에는 도 1과 같이 좌표 센서(11)가 현장 각각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좌표 센서(11)는 각기 다른 ID number를 가지면서, 적외선 등으로 이동 단말기(100)와 교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하면서 이들 좌표 센서(11)를 인식하면, 이 좌표 센서(11)의 위치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좌표 센서(11)는 적외선 등의 신호를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마다 전방위적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그 신호의 감도는 1~2m 정도의 단거리에만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위치 인식부(120)는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된 GPS 수신기를 활용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일반 GPS 수신기는 오차가 최소 수미터 정도에 해당하며, GPS 신호는 GPS 위성과 Line of sight를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는바, 설비 현장에서의 적용은 어려운 측면이 있다.
위치 인식부(12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각도와 회전을 인식할 수 있는 각도 인식부(12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각도 인식부(121)는 이동 단말기(100) 내부에 회전과 기울임을 인식하는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임과 회전을 인식하여, 이동 촬영부(110)의 촬영하는 각도를 센싱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부(130)는 중앙 관제 시스템(200)과 데이터 통신하여, 이동 촬영부(110)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송신하고, 중앙 관제 시스템(200)으로부터 통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동 통신부(130)는 현장에 구비된 WiFi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이나, 기존의 셀룰러 통신 방식 등으로 중앙 관제 시스템(200)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바, 통신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다만, 현장의 정보 즉, 이동 촬영부(110)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중앙 관제 시스템(200)으로 실시간으로 데이터 통신할 수 있어야 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구성으로서, 이동 촬영부(110)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중앙 관제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 통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관제 시스템(200)은 이동 단말기(100)로 설비(10)들의 통합 정보를 전송하며,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40)가 이러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한다.
통합 정보에 포함되는 도면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2차원적인 도면 뿐만 아니라, 도 7과 같이 해당 설비(10)의 거시적인 형태를 3차원적으로 도시할 수 있도록 하며, 도 8 및 도 9와 같이 해당 설비가 전체 생산 라인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그 기능을 3차원적으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은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사시도 및 육면도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며, 분해 사시도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해당 설비(10)를 분해하지 않고도 내부의 구조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도 11과 같이, 분해된 사시도는 3차원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되어, 작업자가 여러 각도에서 해당 설비(10)의 부품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디테일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접한 작업자는 해당 설비(10)에 대해 문외한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수리 및 보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동 단말기(100)을 이용하여, 중앙 관제 시스템(200)으로 해당 설비(10)에 대한 현재 상태에 대한 교신을 통해 더욱 더 상세하게 작업, 보수, 수리 등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입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설비의 현장에서의 설비 상태를 입력받는다. 즉, 현재 설비(10)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기록을 입력받으며, 설비(10)에서 발생하는 소음발생 여부, 파손 발생 여부, 오동작 발생 여부 그리고 불량 제품 양산 여부 등에 대한 데이터를 작업자로부터 입력받는 구성이다.
이동 단말기(100)가 아이패드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입력부(150)는 이들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키패드 등일 수 있으며, 음성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는 보이스 레코딩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설비의 상태는 설비의 고장의 유형들에 대한 정보를 미리 포함하고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이러한 고장의 유형들을 단순히 선택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즉, 입력받는 설비의 상태를 정형화하여, 작업자는 이러한 정형화된 패턴들 중에서 선택만하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동 단말기(100)는 전자 태그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태그부(160)는 설비(10)에 부착된 태그 인식부(12)에 이동 단말기(100)를 태그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설비(10)를 인식시키는 것이다.
전자 태그부(160)가 설비(10)를 인식하는 경우, 해당 설비(10)에 대한 정보 즉, 도 5 내지 도 11의 통합 정보가 이동 단말기(100) 상에 제공된다.
전자 태그부(160)는 최근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설비(10)에 간단히 태그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은 고정 단말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단말기(300)는 설비(10)의 일측, 예컨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10)의 각각의 위치에 배치되어, 설비(10)의 현장의 정보를 촬영하며, 이를 중앙 관제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고정 단말기(300)는 일종의 CCTV(closed-circuit television)와 유사한 것이나, 이는 공장의 설비(10)를 모니터링하며, 중앙 관제 시스템(200)에서 이들 설비(10)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인바, 이동 단말기(100)의 보조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중앙 관제 시스템(200)의 입장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된 현장의 정보와 병합하여, 유기적으로 정보를 통합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 단말기(300)는 모니터링부(310); 및 통신부(32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부(310)는 설비(10)에 대한 현장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서, 이는 일반적인 카메라 영상 장치와 유사하다.
그리고, 통신부(320)는 모니터링부(310)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중앙 관제 시스템(200)으로 송신하는 구성으로서, 이동 단말기(100)와는 다르게 유선 데이터 통신이 허용되는 것이다.
고정 단말기(300)는 고정 단말기(300)의 고유 ID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유 ID는 각기 고정 단말기(300)가 설치된 위치 정보까지 포함해서 중앙 관제 시스템(200)에 등록되어 있는바, 중앙 관제 시스템(200)은 이러한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고정 단말기(300)에 의해 모니터링 되는 설비(10)를 이동 단말기(100)와 유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설비
11: 좌표 센서
12: 태그 인식부
100: 이동 단말기
11: 이동 촬영부
120: 위치 인식부
121: 각도 인식부
130: 이동 통신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입력부
160: 전자 태그부
200: 중앙 관제 시스템
210: 데이터 베이스
300: 고정 단말기
310: 모니터링부
320: 통신부

Claims (15)

  1.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하여, 설비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비에 대한 현장의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현장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설비에 대한 통합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 관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은,
    상기 설비들에 대한 상기 통합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현장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비를 촬영하여, 상기 설비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 촬영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장에서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이동 촬영부가 수집한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통합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 통신부; 및
    상기 이동 촬영부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중앙 광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통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비의 현장에서의 설비 상태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비에 부착된 태그 인식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태그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설비를 인식시키는 전자 태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태그부는,
    NFC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상기 태그 인식부와 태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설비의 종류, 상기 설비의 작동 방법, 상기 설비의 도면, 상기 설비의 이력, 상기 설비의 고장 종류 및 상기 설비의 고장 종류별 처리 요령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 일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상태는,
    상기 설비의 고장 유형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고정 유형들의 일부를 선택하여, 입력받는 상기 설비 상태를 정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부는,
    상기 이동 촬영부의 촬영하는 각도를 센싱하는 각도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은,
    상기 설비의 사시도, 육면도 및 분해 사시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은,
    3차원 입체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과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음성 통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설비의 일 측에 고정되어, 상기 설비의 현장의 정보를 촬영하고,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으로 상기 현장의 정보를 송신하는 고정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말기는,
    상기 설비의 현장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가 수집한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말기는,
    상기 고정 단말기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140002944A 2014-01-09 2014-01-09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50083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944A KR20150083480A (ko) 2014-01-09 2014-01-09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944A KR20150083480A (ko) 2014-01-09 2014-01-09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480A true KR20150083480A (ko) 2015-07-20

Family

ID=5387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944A KR20150083480A (ko) 2014-01-09 2014-01-09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348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475B1 (ko) * 2016-05-31 2016-10-21 주식회사 코엔텍 수질관리시설의 현장 작업자용 가상시뮬레이션 안내 및 조치관리 방법
KR101683277B1 (ko) * 2016-04-07 2016-12-06 주식회사 코엔텍 수질관리시설의 현장 작업자용 가상시뮬레이션 안내 및 조치관리 시스템
WO2017100654A1 (en) * 2015-12-11 2017-06-15 Daqri, Llc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KR102074924B1 (ko) * 2019-08-08 2020-02-07 주식회사 글로벌제조혁신네트웍 스마트팩토리 원격협업 cms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WO2020054905A1 (ko) * 2018-09-13 2020-03-19 주식회사 이엠아이티 스마트글라스를 활용한 증강현실 설비 조립 가이드 시스템
KR20200078597A (ko) * 2017-11-28 2020-07-0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설비 관리 시스템
KR102183115B1 (ko) 2019-10-01 2020-11-25 주식회사 코탁스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실 공간 가상화를 통한 오브젝트 오버래핑 시스템
KR20220039143A (ko) *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팩앤롤 지능형 생산공정 관리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0654A1 (en) * 2015-12-11 2017-06-15 Daqri, Llc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US9824437B2 (en) 2015-12-11 2017-11-21 Daqri, Llc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US10217209B2 (en) 2015-12-11 2019-02-26 Daqri, Llc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US10679337B2 (en) 2015-12-11 2020-06-09 Daqri, Llc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KR101683277B1 (ko) * 2016-04-07 2016-12-06 주식회사 코엔텍 수질관리시설의 현장 작업자용 가상시뮬레이션 안내 및 조치관리 시스템
KR101668475B1 (ko) * 2016-05-31 2016-10-21 주식회사 코엔텍 수질관리시설의 현장 작업자용 가상시뮬레이션 안내 및 조치관리 방법
KR20200078597A (ko) * 2017-11-28 2020-07-0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설비 관리 시스템
US11308376B2 (en) 2017-11-28 2022-04-19 Jfe Steel Corporatio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WO2020054905A1 (ko) * 2018-09-13 2020-03-19 주식회사 이엠아이티 스마트글라스를 활용한 증강현실 설비 조립 가이드 시스템
KR102074924B1 (ko) * 2019-08-08 2020-02-07 주식회사 글로벌제조혁신네트웍 스마트팩토리 원격협업 cms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183115B1 (ko) 2019-10-01 2020-11-25 주식회사 코탁스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실 공간 가상화를 통한 오브젝트 오버래핑 시스템
KR20220039143A (ko) *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팩앤롤 지능형 생산공정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3480A (ko)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73135B1 (ko) 관리 대상 설비 이상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JP6339173B2 (ja) 測定データの遠隔共有
JP6583384B2 (ja) プラント設備の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KR101199290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플랜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5852737B2 (ja) 製造設備の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US9578465B2 (en) Autonomous wireless field monitor
KR102289745B1 (ko) 실시간 현장 작업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07203196B (zh) 工业设备检测系统及方法
EP3147738B1 (en) Inspection work support device, inspection work support system, and inspection work support method
KR101431424B1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플랜트 운전/정비 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106249707B (zh) 信息收集系统以及信息收集方法
JP6725063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
KR101386591B1 (ko) 감시카메라 통합관리시스템
CN102483618A (zh) 具有图像和/或声音捕捉的本质安全的手持现场维护工具
JP2012155403A (ja) フィールド機器監視システム
JP6508323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情報収集端末装置、情報収集サーバ装置、及び情報収集方法
JP6248985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情報検索方法
JP6373217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提供方法
KR102206832B1 (ko)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JP2016162334A (ja) 設備点検システム
JP7368937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
JP5780978B2 (ja) プラントの保守点検システム
KR20190135860A (ko) 단말기와의 연계를 통한 영상 관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JP6921550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