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832B1 -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 Google Patents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832B1
KR102206832B1 KR1020200114577A KR20200114577A KR102206832B1 KR 102206832 B1 KR102206832 B1 KR 102206832B1 KR 1020200114577 A KR1020200114577 A KR 1020200114577A KR 20200114577 A KR20200114577 A KR 20200114577A KR 102206832 B1 KR102206832 B1 KR 102206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management target
target facility
management
sensing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지혜
박종화
윤상병
김영수
이용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탠스
Priority to KR102020011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832B1/ko
Priority to KR1020210006479A priority patent/KR20220032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이 차단된 내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관리대상설비의 상태를 센싱하여 센싱결과를 제공하는 센서로부터 센싱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결과를 기초로 제1 지역에 배치된 상기 관리대상설비의 이상여부를 관리하는 설비관리서버와, 상기 관리대상설비를 촬영하여 상기 관리대상설비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영상을 촬영영상에 표시하고, 상기 설비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센싱결과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 커넥터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센싱결과를 종합하여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대상설비가 위치한 상기 제1 지역을 포함하는 지역들 각각의 크래들에 의해 생성된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이용하여 각 관리대상설비를 감시하는 종합관제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FACILITY}
본 발명은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현실 공간의 구성물들의 이미지와 가상의 이미지가 결합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 주는 기술이다. 이러한 증강현실은 실제 환경에 가상의 정보를 결합하여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증강 현실은 혼합 현실(mixed reality)로도 불리며, 실제 환경에 가상의 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게임, 가상 교육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산업현장에서는 시설이나 장비의 모니터링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는 관리자가 현장에 상주해야하는 불편을 덜어주며, 중앙 제어실에서 전반적인 현장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한 산업 관리는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전반적인 상황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개별적인 시설이나 장비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우며, 직접 현장에 방문하더라도 개별적인 시설이나 장비의 상태를 직접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즉각적으로 관리대상설비의 점검, 수리, 및 교체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현장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관리대상설비의 상태에 관한 증강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관리대상설비와 동일하게 복제된 디지털 트윈 3D 영상을 이용하여 관리대상설비의 현재 상태 및 미래 상태를 판단하는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이 차단된 내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관리대상설비의 상태를 센싱하여 센싱결과를 제공하는 센서로부터 센싱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결과를 기초로 제1 지역에 배치된 상기 관리대상설비의 이상여부를 관리하는 설비관리서버와, 상기 관리대상설비를 촬영하여 상기 관리대상설비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영상을 촬영영상에 표시하고, 상기 설비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내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센싱결과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 커넥터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센싱결과를 종합하여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대상설비가 위치한 상기 제1 지역을 포함하는 지역들 각각의 크래들에 의해 생성된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이용하여 각 관리대상설비를 감시하는 종합관제서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촬영영상 내 포함된 관리대상설비를 인식하고, 인식된 관리대상설비에 대응하는 센싱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증강현실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촬영영상 내 포함된 관리대상설비를 인식하고, 인식된 관리대상설비에 대응하는 설비분해영상을 리드하여 상기 증강현실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크래들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연결 커넥터에 연결될 때마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센싱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갱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크래들은, 기설정된 주기 이내에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가 새롭게 생성되거나 상기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가 갱신되지 않는 경우, 별도의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알림등을 점멸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종합관제서버는, 상기 각 관리대상설비에 대응하는 디지털 트윈 3D 영상을 로드하고, 상기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에 포함된 센싱결과를 매칭하여 상기 디지털 트윈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지털 트윈 3D 영상은 상기 관리대상설비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와, 미래 시점에서 상기 관리대상설비에 발생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에 의하면, 관리자가 직접 현장에 방문하여 증강현실 영상을 통해 관리대상설비의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즉각적으로 관리대상설비의 점검, 수리, 및 교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에 의하면, 종합관제서버가 각 지역의 관리대상설비와 동일하게 복제된 디지털 트윈 3D 영상을 이용하여 관리대상설비의 현재 상태 및 미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촬영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의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10)은 관리자 단말기(100), 설비관리서버(200), 크래들(300), 및 종합관제서버(400)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기(100)는 공장, 발전소 등 산업현장에 배치된 관리대상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증강현실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설비관리서버(200)로부터 각 관리대상설비의 상태값을 포함하는 센싱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기(100)는 내부 네트워크 통신망(NET1)을 통해 설비관리서버(200)로부터 각 관리대상설비의 상태를 센싱한 센싱결과를 수신할 수 있는데, 내부 네트워크 통신망(NET1)은 외부 네트워크 통신망(NET2)과의 연결이 차단되어 외부의 사용자는 설비관리서버(200)에 접속할 수 없다.
관리자 단말기(100)는 센싱결과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영상과, 각 관리대상설비의 형상을 3D 영상으로 구현된 증강현실 영상을 저장하고 있으며, 현장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영상을 통해 각 관리대상설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거나, 설비분해영상을 통해 관리대상설비의 조립과정, 관리대상설비 내부 구조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100)는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인터넷 태블릿, IoT(internet of things) 장치, IoE(internet of everything) 장치, 데스크 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laptop)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및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네트워크 통신망(NET1)은 서버와 단말들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을 의미할 수 있고, 외부 네트워크 통신망(NET2)은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00)는 영상촬영부(110), 영상편집부(120), 통신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촬영부(110)는 산업현장에 배치된 관리대상설비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촬영부(110)는 관리자 단말기(100)에 구비된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영상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은 실시간으로 표시부(140)에 표시될 수 있다.
영상편집부(120)는 영상촬영부(110)에 의해 생성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내 포함된 관리대상설비를 인식할 수 있다. 영상 편집부는 촬영영상에 포함된 관리대상설비의 기하학적 형상, 특징점을 기초로 기저장된 설비 이미지와 비교하여 관리대상설비를 인식할 수 있다.
영상편집부(120)는 인식된 관리대상설비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영상을 리드할 수 있는데, 여기서 증강현실 영상은 관리대상설비를 사전에 3D 영상으로 생성하여 저장한 것으로서, 각 관리대상설비마다 대응하는 증강현실 영상이 별도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영상편집부(120)는 인식된 관리대상설비에 대응하는 센싱결과를 추출하고, 추출된 센싱결과에 대응하는 증강형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결과는 각 관리대상설비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센싱값을 의미하며, 센싱값은 설비관리서버(200)에서 센싱결과로 누적되어 저장된다. 영상편집부(120)는 센싱결과를 분석하여 관리대상설비의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싱값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센싱값을 기초로 증강현실 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영상편집부(120)는 촬영영상 내 증강현실 영상을 촬영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는데, 촬영영상 내 관리대상설비의 위치 상에 증강현실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내부 네트워크 통신망(NET1)을 통해 설비관리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설비관리서버(200)로부터 센싱결과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영상촬영부(110)에 의해 생성된 촬영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영상편집부(120)의 제어에 대응하여 촬영영상에 증강현실 영상을 중첩하여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영상편집부(120)가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인식한 관리대상설비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설비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센싱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는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100)의 다른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관리자 단말기(100)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설비관리서버(200)는 외부 네트워크 통신망(NET2)과 연결이 차단된 내부 네트워크 통신망(NET1)을 통해 센서들로부터 센싱결과를 수신하고, 센싱결과를 기초로 설비관리서버(200)가 배치된 지역의 관리대상설비의 이상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센서는 관리대상설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관리대상설비에 제공하며, 설비관리서버(200)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관리대상설비의 상태를 누적하여 센싱결과로 저장할 수 있다.
크래들(300)은 관리자 단말기(100)를 거치하여 지지하는 거치부와, 관리자 단말기(100)에 전력을 공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연결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00)가 크래들(300)의 연결 커넥터에 연결되면, 크래들(300)은 관리자 단말기(100)의 통신부(13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센싱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크래들(300)은 센싱결과를 기초로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는데,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는 설비관리서버(200)가 관리하는 관리대상설비들 각각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태를 저장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크래들(300)은 관리자 단말기(100)가 연결 커넥터에 연결될 때마다 센싱결과를 수신하여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300)은 외부 네트워크 통신망(NET2)을 통해 종합관제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종합관제서버(400)에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기설정된 주기에 새롭게 생성 또는 갱신된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크래들(300)은 별도의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알림등을 점멸시켜서,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의 생성을 위한 센싱결과가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종합관제서버(400)는 외부 네트워크 통신망(NET2을 통해 각 지역을 담당하는 크래들(300)로부터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수신할 수 있다. 종합관제서버(400)는 각 크래들(300)로부터 수신된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이용하여 전지역에 배치된 관리대상설비의 상태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종합관제서버(400)는 각 지역에 배치된 관리대상설비들 각각에 대응하는 디지털 트윈 3D 영상을 로드하여, 종합관제서버(400)의 시스템 관리자에게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에 포함된 센싱결과를 매칭한 디지털 트윈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트윈 3D 영상은 관리대상설비의 외관과 동일한 형상으로 생성된 3D 모델을 의미하며, 각 지역에 배치된 관리대상설비에 대응하는 디지털 트윈 3D 영상은 기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 또는 종합관제서버(400)에 저장될 수 있다.
종합관제서버(400)는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기초로 관리대상설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센싱결과의 누적결과를 기초로 관리대상설비의 미래 상태까지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합관제서버(400)의 시스템 관리자는 직접 해당 지역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디지털 트윈 3D 영상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관리대상설비의 직접적인 상태 확인이 가능하며, 종합관제서버(400)에 의해 판단된 관리대상설비의 현재 상태 및 미래 상태까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10)은 현장 관리자에게 증강현실 영상을 통해 관리대상설비의 현재상태정보를 현장에서 직접 표시할 수 있으며, 관리대상설비에 대응하는 디지털 트윈 3D 영상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종합관제서버(400)의 시스템 관리자에게도 관리대상설비의 현재상태정보 및 미래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촬영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과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100)는 내부 네트워크 통신망(NET1)을 통해 설비관리서버(200)로부터 각 관리대상설비(MA)의 상태를 센싱한 센싱결과를 수신할 수 있는데, 센싱결과는 각 관리대상설비(MA)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센싱값을 의미하며, 센싱값은 설비관리서버(200)에서 센싱결과로 누적되어 저장된 것이다.
현장 관리자(US)는 관리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관리대상설비(MA)를 촬영하여 촬영영상(IM)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00)는 촬영영상(IM) 내 관리대상설비(MA)의 기하학적 형상, 특징점을 기초로 기저장된 설비 이미지와 비교하여 관리대상설비(MA)를 인식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00)는 인식된 관리대상설비(MA)와 대응하는 증강현실 영상(AG_IM)을 리드할 수 있으며, 현장 관리자(US)는 관리자 단말기(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영상(AG_IM)을 통해 관리대상설비(MA)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100)가 촬영한 촬영영상(IM)에 증강현실 영상(AG_IM)이 중첩되어 표시되는 영상이 제공된다. 상기 영상은 촬영영상 내 관리대상설비(MA)와, 관리대상설비(MA)의 위치에 중첩하여 표시된 증강현실 영상(AG_IM)을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기(100)는 설비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센싱결과를 현장 관리자에게 즉각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센싱결과를 수치로 표현하여 증강현실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장 관리자(US)는 관리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관리대상설비(MA)의 상태를 현장에서 직접 판단할 수 있으며, 만약 관리대상설비(MA)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증강현실 영상(AG_IM)으로 구현된 설비분해영상을 로드하여 해당 관리대상설비(MA)의 조립과정, 관리대상설비(MA) 내부 구조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크래들(300)은 각 지역에 위치한 설비관리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센싱결과를 기초로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데, 관리자 단말기(100)가 연결 커넥터에 연결될 때마다 센싱결과를 수신하여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갱신할 수 있다. 크래들(300)은 외부 네트워크 통신망(NET2)을 통해 종합관제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종합관제서버(400)에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다.
종합관제서버(400)는 외부 네트워크 통신망(NET2)을 통해 각 지역을 담당하는 크래들(300a 내지 300n)로부터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수신할 수 있다. 종합관제서버(400)는 각 크래들(300a 내지 300n)로부터 수신된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이용하여 전지역에 배치된 관리대상설비(MA)의 상태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종합관제서버(400)는 각 지역에 배치된 관리대상설비(MA)들 각각에 대응하는 디지털 트윈 3D 영상(3D_IM1 내지 3D_IMn)을 로드하여, 종합관제서버(400)의 시스템 관리자에게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에 포함된 센싱결과를 매칭한 디지털 트윈 3D 영상(3D_IM1 내지 3D_IMn)을 표시할 수 있다. 종합관제서버(400)는 각 지역의 위치한 관리대상설비(MA)들에 대응하는 모든 디지털 트윈 3D 영상(3D_IM1 내지 3D_IMn)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관리자는 현장에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디지털 트윈 3D 영상(3D_IM1 내지 3D_IMn)을 통해 관리대상설비(MA)들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관리자 단말기
110: 영상촬영부
120: 영상편집부
130: 통신부
140: 표시부
150: 저장부
160: 입출력 인터페이스
200: 설비관리서버
300: 크래들
400: 종합관제서버

Claims (7)

  1.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이 차단된 내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관리대상설비의 상태를 센싱하여 센싱결과를 제공하는 센서로부터 센싱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결과를 기초로 제1 지역에 배치된 상기 관리대상설비의 이상여부를 관리하는 설비관리서버;
    상기 관리대상설비를 촬영하여 상기 관리대상설비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영상을 촬영영상에 표시하고, 상기 설비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내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센싱결과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기;
    연결 커넥터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센싱결과를 종합하여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크래들; 및
    상기 크래들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대상설비가 위치한 상기 제1 지역을 포함하는 지역들 각각의 크래들에 의해 생성된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이용하여 각 관리대상설비를 감시하는 종합관제서버를 포함하는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촬영영상 내 포함된 관리대상설비를 인식하고, 인식된 관리대상설비에 대응하는 센싱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증강현실 영상으로 표시하는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촬영영상 내 포함된 관리대상설비를 인식하고, 인식된 관리대상설비에 대응하는 설비분해영상을 리드하여 상기 증강현실 영상으로 표시하는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연결 커넥터에 연결될 때마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센싱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를 갱신하는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기설정된 주기 이내에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가 새롭게 생성되거나 상기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가 갱신되지 않는 경우, 별도의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알림등을 점멸시키는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관제서버는,
    상기 각 관리대상설비에 대응하는 디지털 트윈 3D 영상을 로드하고, 상기 관리대상설비 상태보고서에 포함된 센싱결과를 매칭하여 상기 디지털 트윈 3D 영상을 표시하는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트윈 3D 영상은 상기 관리대상설비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와, 미래 시점에서 상기 관리대상설비에 발생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KR1020200114577A 2020-09-08 2020-09-08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KR102206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577A KR102206832B1 (ko) 2020-09-08 2020-09-08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KR1020210006479A KR20220032997A (ko) 2020-09-08 2021-01-18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577A KR102206832B1 (ko) 2020-09-08 2020-09-08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479A Division KR20220032997A (ko) 2020-09-08 2021-01-18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832B1 true KR102206832B1 (ko) 2021-01-25

Family

ID=742379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577A KR102206832B1 (ko) 2020-09-08 2020-09-08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KR1020210006479A KR20220032997A (ko) 2020-09-08 2021-01-18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479A KR20220032997A (ko) 2020-09-08 2021-01-18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068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866A (ko) 2022-10-25 2024-05-07 디씨테크 주식회사 무선센서 및 메타버스를 이용한 통합 설비 감시 시스템
KR102704109B1 (ko) * 2024-02-21 2024-09-09 로지시스템(주) 영상으로 인식된 제어반 데이터 값을 이용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빌딩 자동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650B1 (ko) * 2023-03-06 2023-10-13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의 전기설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120A (ko)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아이엠알 사물인터넷 기반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시스템
KR20190077898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아프로스 관리 대상 설비 이상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80803A (ko) * 2018-12-27 2020-07-0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 시설하우스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120A (ko)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아이엠알 사물인터넷 기반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시스템
KR20190077898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아프로스 관리 대상 설비 이상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80803A (ko) * 2018-12-27 2020-07-0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 시설하우스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866A (ko) 2022-10-25 2024-05-07 디씨테크 주식회사 무선센서 및 메타버스를 이용한 통합 설비 감시 시스템
KR102704109B1 (ko) * 2024-02-21 2024-09-09 로지시스템(주) 영상으로 인식된 제어반 데이터 값을 이용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빌딩 자동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997A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832B1 (ko)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US9557807B2 (en) Using augmented reality to create an interface for datacenter and systems management
JP5267782B2 (ja) セキュリティ装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カメラ、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操作方法、セキュリティ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1266487A (ja) インテリジェント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CN107071297A (zh) 一种用于电力信通机房展示的虚拟现实系统
JP201119802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0796754A (zh) 一种基于图像处理技术的机房巡检方法
CN114254055A (zh) 机房设备的故障分析方法、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
CN113627005A (zh) 一种智能视觉监控方法
CN117830568A (zh) 一种电力元宇宙模型建模系统及其远程维护指导方法
Namdeo et al. Smart Automated Surveillance System using Raspberry Pi
CN101015212B (zh) 监控能量分配设备至少一个部件的方法和自动化系统
WO2013122139A1 (ja) 作業画像監視システム
TWI714931B (zh) 設備資訊的數位化系統及方法
JP7368937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
JP2008283485A (ja) 監視システム
US20140176721A1 (en) Mobile command system and mobile terminal thereof
CN112272285B (zh) 一种智能运维系统、软件设备及装置
KR101058349B1 (ko)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와 연동하는 실시간 동영상 관리 시스템
CN103780884A (zh) 视频监控工程项目监理系统及方法
CN114237135A (zh) 基于数字孪生技术的信息通信机房3d可视化方法及系统
KR101966401B1 (ko) 통합 센서 및 원격 솔루션을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CN207557737U (zh) 一种工业远程监控系统
KR200492429Y1 (ko) 통합관제서버
CN113495910A (zh) 数据管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