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141B1 - 증강현실 기반의 배전설비 관리시스템 및 상기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반의 배전설비 관리시스템 및 상기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9141B1 KR101149141B1 KR1020100088348A KR20100088348A KR101149141B1 KR 101149141 B1 KR101149141 B1 KR 101149141B1 KR 1020100088348 A KR1020100088348 A KR 1020100088348A KR 20100088348 A KR20100088348 A KR 20100088348A KR 101149141 B1 KR101149141 B1 KR 1011491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augmented reality
- power distribution
- management
- management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8—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의 배전설비 관리시스템 및 상기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전설비에 대한 가상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배전설비를 포함하여 촬영된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로부터 상기 배전설비를 식별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저장된 가상정보와 상기 식별된 배전설비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증강현실 기반의 배전설비 관리시스템 및 상기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공/지중의 배전설비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기 위해,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관리 하는데 있어 기존 텍스트나 가공된 가상의 2D/3D 이미지 기반의 지원에서 벗어나, 현장의 실시간 실 세계 뷰(View) 정보를 가상의 정보와 혼합하여 실시간 실 상황 정보가 중심이 되는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가공/지중 배전설비들을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상정보와 실시간 실사 정보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로 정합하여 가시화된 정보를 작업자 및 운영자/관리자(이하 운영자라 통칭함)에게 제공하거나, 작업자에게 관리해야 할 배전설비의 위치를 알리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도시의 환경개선과 유비쿼터스 기반의 인프라 확충, 그리고 신도시 및 기획도시의 증가 등으로 인해 기존 시스템이나 관리 환경에서의 가공/지중의 배전설비에 대한 관리에 대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가공/지중 배전설비의 운영에 대한 효율성의 저하로 장애/재해/고장부터 관리/운영/허가/수금 등 다양한 누수발생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는 등에 따른 대처의 한계로 막대한 피해가 발생 될 수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사용자 환경과 신기술이 적용된 시스템과 매체의 확보 방안이 필요하다.
다양한 환경에 많은 가공/지중 배전설비가 설치되어, 시스템을 통해 관리 되고 있으나 대부분은 현장과 센터(사무실, 운영실 등) 간의 정보 이해 격차가 생길 수 있다.
즉, 센터에서는 현장의 정확한 현실 정보확보가 어려워 현장 방문확인이나 추가적인 보고/전달 확인이 불가피하고, 현장에서는 생생한 현장의 실 정보의 생성과 전달이 어렵다.
따라서, 센터 시스템에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서비스 받는데 한계가 있어 정확하고 효율적인 관리와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은 배전설비에 대한 가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배전설비를 포함하여 촬영된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부,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로부터 상기 배전설비를 식별하는 배전설비 식별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저장된 가상정보와 상기 식별된 배전설비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하는 증강현실 브라우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은 배전설비에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위치식별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저장된 위치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의 대응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에 상기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요청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는 상기 수신된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상기 위치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배전설비에 대한 마커 정보 및 가상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배전설비를 포함하여 촬영된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로부터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마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마커로부터 상기 배전설비의 종류 및 상기 마커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판독된 마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배전설비에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위치식별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위치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의 대응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에 상기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는 상기 수신된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상기 위치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하고 다양한 환경의 장소, 예를 들어 지하, 지상, 도시, 농촌, 산업지역 등에 설치되어있는 가공/지중 형태의 배전설비를 관리하는데 현실 세계의 가시성 확보로 운영자와 작업자의 몰입도를 높여 업무처리와 운영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기술이 접목된 UI(User Interface) 서비스를 지원하고, 현장 작업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위한 현장 사용자 기기를 통한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과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영자와 작업자에게 실시간 업무지원과 정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정확하고 안정적인 배전설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상황 관제와 통제가 가능하여 관리와 운영의 품질을 개선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에게 스마트폰, 넷패드, 노트북 등의 기타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기반 증강현실 기반 하에서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관리하는데 있어, 현황관리, 시공관리, 보수관리, 조치관리, 순시관리, 점검관리, 공가관리, 정액등관리, 이력관리, 보고관리, 관로관리, 관제상황관리, 통제관리 등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터의 운영자에게 현장의 실제 뷰(View)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센터의 운영자와 현장의 작업자간 상황 정보에 대한 이해 격차를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터의 운영자와 현장의 작업자간 이해 격차를 없앰으로써, 불필요한 현장 방문을 없앨 수 있고, 불필요한 현장 방문을 없앰으로써, 관리 및 운영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관리 및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거시(Legacy) 시스템들과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정보의 확보와 데이터의 이중 관리를 피하고, 중복개발의 막대한 비용투자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운영상황, 상태, 품질과 수요량 등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확인과 추론/예측이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인 전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이 적용된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브라우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 하에서 작업자가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가공/지중 배전설비들에 대한 장애나 고장부터 고객의 신등 등에 따른 다양한 상황에 대한 복구/조치 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순시/점검관리 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현장 작업자의 GPS를 통해 실시간 위치관제를 처리하고, 이를 통해 현장 작업자의 통제/제어를 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관리 시스템과 연계된 레거시(Legacy)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가공/지중 설비의 시공관리 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지중 관로에 대한 관리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전주 공가에 대한 관리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정액등에 대한 관리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브라우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 하에서 작업자가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가공/지중 배전설비들에 대한 장애나 고장부터 고객의 신등 등에 따른 다양한 상황에 대한 복구/조치 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순시/점검관리 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현장 작업자의 GPS를 통해 실시간 위치관제를 처리하고, 이를 통해 현장 작업자의 통제/제어를 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관리 시스템과 연계된 레거시(Legacy)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가공/지중 설비의 시공관리 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지중 관로에 대한 관리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전주 공가에 대한 관리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정액등에 대한 관리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이 적용된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100)은 복잡하고 다양한 환경의 장소, 예를 들어 지하, 지상, 도시, 농촌, 산업지역 등에 설치되어있는 가공/지중 형태의 배전설비(130)를 관리하는데, 현실 세계의 가시성 확보로 운영자와 작업자의 몰입도를 높여 업무처리와 운영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가공/지중 형태의 배전설비(130)는 전주, 전등, 계폐기, 스위치, 맨홀, 관로, 및 변압기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100)은 운영자와 작업자에게 실시간 업무지원과 정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정확하고 안정적인 배전설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상황 관제와 통제가 가능하여 관리와 운영의 품질을 개선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100)은 현장에 위치하는 배전설비(130)에 대한 현장 이미지에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는 센터의 운영자와 현장의 작업자가 공유할 수 있어, 센터와 현장 간의 이해 격차를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센터의 운영자와 현장의 작업자에게 현장의 실제 실 세계 뷰(View)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현실감을 높임으로써, 센터의 운영자나 현장의 작업자간 상황 정보에 대한 이해 격차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운영자는 신속한 의사결정에 의한 통제와 제어를 함으로써 조치와 대응에 대한 시간 절감과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장의 작업자는 자신의 현장 사용자 기기(120)를 이용하여 배전설비(130)를 촬영하여 현장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현장 사용자 기기(120)는 촬영장치가 내장되거나, 촬영장치와 연동하는 기기로서,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폰, 넷패드, 넷북, 노트북, 휴대용 모바일 기기, 및 데스크탑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사용자 기기(120)는 네트워크 시스템(140)을 통해 센서의 전력량계 관리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한 송/수신모듈(121), 가상정보가 반영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22), 및 배전설비를 포함하는 현장 이미지를 촬영하는 영상입력장치(123)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사용자 기기(120)가 생성한 현장 이미지는 네트워크 시스템(140)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은 현장 사용자 기기(120)와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증강현실 브라우져(111), 인터페이싱을 위한 송/수신모듈(112), 전력량계 데이터베이스(113) 및 2D/3D 데이터 및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114)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40)은 배전설비(130)에 대한 업무지원과 정보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지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반 유선 네트워크부터, WIFI(wireless lan), 주파수공용통신시스템(TRS, Trunked Radio System), CDMA, B-CDMA,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3G/4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의 증강현실 브라우져(111)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유지하는 가상정보와, 상기 수신한 현장 이미지를 정합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
이에, 운영자 및 작업자는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황관리, 시공관리, 복구/조치관리, 순시/점검관리, 관로관리, 공가관리, 정액등관리, 관제/통제관리, 이력/보고관리 등을 처리할 수 있다.
가공/지중 형태의 배전설비(130)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은 현장 사용자 기기(120)가 전송하는 현장 이미지로부터 배전설비(130)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은 현장 사용자 기기(120)가 전송하는 현장 이미지로부터 배전설비(130)의 위치, 크기, 종류, 및 상태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을 확인하는 센터의 운영자는 상기 식별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전설비(130)에 대한 관리 명령을 생성하여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12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상정보는 배전설비(130)에 대한 현황 정보, 이력 정보, 운전 정보, 계통 정보, 구성 정보, 기록 정보, 수용가 정보, 사용량 정보, 실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통해서, 운영자는 정확한 현장상황의 관리와 운영으로 공가설비의 인허가부터 수금조치, 또한 정액등설비(통신중계기, 케이블방송사 증폭기, 가로등, 보안등, 교통신호등)의 정확한 공급현황 파악 등으로 관리의 미비로 인한 무단사용 및 무단증설 설비에 대한 공가설비와 정액등의 판매수익 누수 등을 줄 일 수 있도록 전등설비의 정상적 계약사용, 무단증설, 무단사용, 고객번호, 설비용량, GPS위치, 인입주정보 등의 관리를 할 수 있고, 이러한 관리를 위해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한 증강현실 기반 환경하에서 공가설비와 정액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비용 누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는 센터의 운영자와 현장의 작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원격지의 레거시 시스템(150)에 제공되어 다양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은 단독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운영되고 있는 레거시 시스템(150)들과 상호 연계되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거시 시스템(150)은 배전설비 운영관리시스템, 종합계량정보시스템, 영업정보관리시스템, 지능형계량시스템(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신배전정보시스템(NDIS, 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Smart place, 그룹웨어,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은 레거시 시스템(150)과의 연동을 통해 배전설비(130)에 대한 다양한 운영상황에 대한 정보들, 예를 들어 전력사용량 정보, 계통정보 정보, 수용가 정보,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정보 등을 별도의 구축 없이 실시간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은 레거시 시스템(150)과의 연동함으로써, 다양한 정보의 확보와 데이터관리의 이중을 피하고, 중복개발의 막대한 비용투자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력 운영상황, 상태, 품질과 수요량 등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확인과 추론/예측이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인 전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은 데이터베이스에 배전설비(130)에 대한 관리 스케쥴 정보를 저장하고, 배전설비(130)의 인근에 작업자가 위치하는 경우 관리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은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120)에 관리 요청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위치로부터 관리해야 할 배전설비(130)의 위치까지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현장 사용자 기기(120)는 해당 지역과 위치의 GIS를 뷰어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의 관할 지역에 있는 대상 가공/지중 배전설비 들을 검색하고, 또한 가공/지중 배전설비(130)의 위치 검색과 경로확인과 추적(Navig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은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배전설비(130)의 위치검색과 작업자에게 검색된 배전설비(130)로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은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12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은 사전에 배전설비(130)에 대한 위치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독출하여 현장 사용자 기기(120)에 제공할 수 있다.
현장 사용자 기기(120)는 배전설비(130)에 대한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지도데이터 및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상에 배전설비(130)로 이동하는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표시되는 경로를 확인하여, 관리를 요하는 배전설비(130)를 찾을 수 있다.
이때, 현장 사용자 기기(120)는 로드뷰 뷰어 형태로 상기 경로를 표시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0)을 이용하면, 운영자와 작업자에게 실시간 업무지원과 정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정확하고 안정적인 배전설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상황 관제와 통제가 가능하여 관리와 운영의 품질을 개선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센터의 운영자에게 현장의 실제 뷰(View)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센터의 운영자와 현장의 작업자간 상황 정보에 대한 이해 격차를 없앨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200)을 참조하면, 센터의 운영자나 현장의 작업자에게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210), 이미지 수신부(220), 배전설비 식별부(230), 증강현실 브라우져(240), 및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 송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10)는 배전설비의 가상정보가 저장된 배전설비 데이터베이스(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수신부(220)는 상기 배전설비를 포함하여 촬영된 상기 배전설비의 현장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이미지는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에서 촬영되거나 촬영장치를 통해 촬영되어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에 전달될 수 있다.
이미지 수신부(220)는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며, 입력되는 이미지 파일과 추후 가상정보의 정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미지 스트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배전설비 식별부(230)는 상기 현장 이미지로부터 배전설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식별부(230)는 배전설비의 위치, 크기, 종류, 및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전설비 식별부(230)는 현장 이미지 속의 마커(Marker)와 GPS를 통한 위치 값 등을 통해 해당 가공/지중 배전설비의 관리번호 또는 일련번호를 확보하여 가공/지중 배전설비 및 데이터베이스(210)와 연계되어 해당하는 다양한 정보 서비스와 업무지원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식별부(230)는 현장 이미지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배전설비 중에서 해당하는 배전설비를 식별할 수 있다.
증강현실 브라우져(240)는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와 상기 저장된 가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운영자는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확인하여, 현장의 작업자와 마찬가지로 배전설비에 대한 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는 가상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현장의 작업자로 하여금 배전설비에 대한 관리 히스토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전설비 관리시스템(200)은 상기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 송신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전설비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되는 가상정보는 배전설비에 대한 현황 정보, 이력 정보, 운전 정보, 계통 정보, 구성 정보, 기록 정보, 수용가 정보, 사용량 정보, 실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데이터베이스(211)는 상기 가상정보와 위치 식별정보를 연관지어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운영자 및 작업자는 가공/지중 배전설비의 현황관리, 시공관리, 보수/조치, 순시/점검, 공가관리, 정액등관리, 관로관리, 관제상황/통제관리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10)는 2D/3D 데이터 및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데이터베이스(211)는 복수의 배전설비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정보들에 대해서 수신된 현장 이미지에 대응하는 특정 가상정보를 결정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200)은 마커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10)는 복수의 가상정보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마커 정보들과, 상기 복수의 마커 정보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정보들을 연관지어 저장하는 2D/3D 데이터 및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브라우져(240)는 수신되는 현장 이미지로부터 마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마커로부터 마커 정보를 판독해야만 한다.
이에, 증강현실 브라우져(240)는 상기 생성된 현장 이미지로부터 상기 배전설비의 마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마커로부터 상기 배전설비의 종류 및 상기 마커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브라우져(240)는 상기 판독한 마커 정보를 이용하여 2D/3D 데이터 및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212)로부터 해당 마커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마커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200)을 이용하면,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관리하는데 있어 가공/지중 배전설비의 실시간 현실 영상이미지 위에 가상의 정보를 정합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환경의 사용자들이 현장과 사무실, 운영센터 등에서 휴대/보유하고 있는 단말장치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시스템에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하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200)은 기존의 레거시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거시 시스템과 통신하는 레거시 연동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200)은 레거시 연동 처리부를 통해, 레거시 시스템들로부터 배전설비에 대한 다양한 운영상황에 대한 정보들, 예를 들어 전력사용량 정보, 계통정보 정보, 수용가 정보,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정보 등을 별도의 구축 없이 실시간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200)은 레거시 시스템과 연계하는데 있어, 각 연계 대상 레거시 시스템 별로 독립된 연계 처리 구축 작업을 하지 않고, ESB(Enterprise Service BUS)을 통해 SOA/XML 방식을 적용하여 표준 플랫폼화를 통한 연계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거나, 미들웨어(Middle Ware)를 구성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증강현실 브라우져(240)는 도 3을 통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브라우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브라우져(300)는 트래킹 처리부(310), 렌더링 처리부(320), 및 측정 처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트래킹 처리부(310)는 상기 생성된 현장 이미지로부터 배전설비의 마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마커로부터 상기 마커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배전설비 관리를 위해서는, 배전설비의 정확한 정보 추출과 검색 및 업무처리를 위해 실 세계 뷰(View) 이미지로부터 해당 배전설비의 정확한 식별번호나 관리번호를 찾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트래킹 처리부(310)는 배전설비의 정확한 식별번호나 관리번호를 찾아 인식할 수 있는데, 마커를 이용한다.
이를 위해 활용하는 것으로는 배전설비(300)의 이미지 자체나 1차원/2차원/3차원 바코드, 표찰의 시리얼번호, 설비관리 번호나 ID, 설비명칭, 장소, 연락처, 담당자 명, 및 관리번호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마커를 분석하여 처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마커는 상기 배전설비에 표시되는 이미지, 바코드, 표찰, 및 관리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최초,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를 통해서 배전설비를 포함하는 실 세계 뷰(View) 정보가 촬영되면, 확보된 영상 이미지를 입력 받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수신된 현장 이미지에 대해서, 트래킹 처리부(310)는 가상물체의 생성 기준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 바코드, 표찰, 관리번호 등의 마커들을 추적하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트래킹 처리부(310)는 현장 이미지에 대한 파라미터의 조정과 마커 사이즈, 패턴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에 상기 저장된 가상정보를 오버랩하여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렌더링 처리부(32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판독된 마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렌더링 처리부(320)는 측정된 현장 이미지와 포즈 추정을 통해, 가상 물체의 생성과 제거, 이동을 처리하고, 배전설비와 현장 뷰어에 대해 로드/언로드, 번역, 회전, 스케일링 처리, 및 3D 모델링 등의 렌더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측정 처리부(330)는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와 상기 독출된 가상정보의 충돌 처리를 수행하여, 거리 측정 검사 및 간섭 검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측정 처리부(330)는 조정된 정보와 가상의 오브젝트를 통해 처리된 증강 이미지를 측정(정합, 3D 포인트)과 충돌처리에 의한 오브젝트정보를 통해 가상물체간의 거리 측정 및 간섭을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현실의 현장 이미지와 가상정보가 정합된 결과인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200)은 작업자에게 배전설비가 위치하는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에게 배전설비의 위치를 제공하는 구성은 도 4의 실시예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4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400)은 배전설비의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410), 위치정보 수신부(420), 및 관리 요청 처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410)는 배전설비에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위치식별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수신부(420)는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및 기지국 셀 정보 등으로 해석될 수 있고, 현장 사용자 기기의 위치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작업자의 위치와 현장 사용자 기기의 위치를 동일한 위치로 해석할 수 있다.
작업자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휴대하고 있는 기기에서 현재의 좌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좌표정보를 기준으로 배전설비가 위치하는 지점에 대한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가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위치기반서비스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현장 사용자 기기가 현재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위치 정보는 현장 사용자 기기가 현재 위치한 지점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및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현장 사용자 기기는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현장 사용자 기기가 현재 위치한 지점에 대한 정보이고, 작업자가 위치한 지점에 대한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작업자의 위치로 해석할 수 있다.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이어, 작업자가 이동해야 할 배전설비에 대한 위치를 확인해야만 경로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요청 처리부(430)는 상기 저장된 위치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의 대응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대응되는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요청 처리부(430)는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에 상기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리 요청 처리부(430)는 관리가 필요한 배전설비에 인접한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에 관리 스케쥴에 기초하여 관리될 수 있도록 관리 스케쥴 정보와 함께, 해당 배전설비에 대한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이에,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는 상기 수신된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상기 위치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스케쥴 정보가 배전설비들에 대한 관리의 우선순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동경로는 가장 시급하게 관리가 필요한 배전설비부터 다소 시급하지 않은 배전설비까지의 경로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가공/지중 형태의 배전설비에 대한 현황관리, 시공관리, 순시/점검, 보수/조치, 공가관리, 정액등관리, 관로관리 등을 하는데 있어 가공/지중 배전설비의 설치장소 위치와 경로를 쉽게 찾아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현장 사용자 기기를 통해 관할 지역의 전주와 이를 통한 공가에 대한 관리와 운영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현장 사용자 기기를 통해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요청 처리부(430)가 제공하는 관리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위치의 지역에 대해 영역의 전주들을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다.
작업자는 선택한 전주에 대한 이동경로를 확인하고, 전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전주 주변의 상황에 대한 실 세계 뷰(View) 정보를 촬영하여 배전설비 관리시스템(400)로 전송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하고, 전주의 계통/구성정보, 현황/실시정보/이력 등의 공가정보, 및 현장상황에 대한 기록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전주 공가에 대한 실사상황 정보나 조치내역 등에 대한 결과를 현장 사용자 기기에 입력하여 배전설비 관리시스템(400)에 전송함으로써, 운영자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밖에도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400)를 이용하여 관할 지역의 지중 관로, 관할 지역의 정액등에 대한 공급현황이나 무단사용 또는 무단증설 정액등에 대한 정액누수 상황 등에 대한 관리와 운영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요청 처리부(430)는 가공/지중 배전설비에 대한 장애/고장의 복구나 조치에 대한 접수나 민원신고에 따라, 작업자에게 복구/조치에 대한 내용을 통보하거나 지시하는 등의 관리 요청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해당 작업자는 관리 요청을 확인하여 적절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관리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는 작업자의 관리 작업과 동시에, 작업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센터로 보내 작업자 위치관제와 통제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기는 기저장된 지도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로딩된 지도데이터에 상기 수신된 위치식별정보를 표시하여, 작업자가 이동해야 할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기는 로드뷰 형태로 상기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작업자는 표시되는 경로를 기반으로 해당 위치나 주변, 관할 관리지역의 배전설비를 검색하고, 검색된 배전설비를 리스트 형태 또는 GIS상의 해당 위치에 이미지로 표시하는 형태로 배전설비를 뷰어로써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기는 배전설비의 위치를 레이어나 범례 등, 다양한 형태의 UI(User Interface)로 표시할 수도 있고, 작업자는 표시되는 배전설비의 위치를 통해 해당 배전설비에 대한 현황관리, 복구/조치관리, 공가관리, 정액등관리, 관로관리, 설치/시공관리, 순시/점검관리, 장애/고장관리, 이력/보고관리, 관제상황/통제관리 등의 업무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의 관리에 대한 정확성에 따라, 비용 누수를 줄이고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데, 이중에서 공가관리나 정액등 관리를 하는데 있어 아직까지 현장 작업자나 검침 요원 및 운영자가 현장에서 정확한 해당 전주나 정액등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과 장치의 지원이 미비하다. 그러나,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이용하면, 작업자는 수시로 센터로부터 정확한 지시와 관리 요청을 수집하여 관리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기를 이용하여 현장의 실 세계 상황 뷰를 촬영하여 현장 이미지를 생성하여 배전설비 관리시스템(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가상정보와 함께 증강현실 기반으로 정합되는 현장 이미지를 통해, 운영자 및 작업자는 가시화된 정합정보를 확인하고, 배전설비의 정보확인과 순시/점검 또는 장애/고장 등에 대한 작업과 초치에 대한 결과를 기록하고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400)은 작업자의 이동경로를 모니터링 하면서, 작업자가 관리가 필요한 배전설비의 근처에 위치하면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에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400)은 이동경로 모니터링부(440)와 알림 신호 전송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경로 모니터링부(440)는 상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의 이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알림 신호 전송부(450)는 상기 수신되는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식별정보가 소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에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관리가 필요한 인근의 배전설비를 확인하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410)는 상기 위치식별정보와 연관지어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가상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알림 신호 전송부(450)는 상기 알림 신호와 함께 가상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인근의 배전 설비에 어떠한 관리가 필요한지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해당 배전설비를 포함하는 현장을 촬영하여 현장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현장 이미지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400)은 이미지 수신부(460)와 증강현실 브라우져(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수신부(460)는 상기 배전설비를 포함하여 촬영된 현장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고, 증강현실 브라우져(470)는 상기 가상정보와 상기 현장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증강현실 브라우져(470)는 상기 생성된 현장 이미지로부터 배전설비의 마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마커로부터 상기 마커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즉, 증강현실 브라우져(470)는 가상물체의 생성 기준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 바코드, 표찰, 관리번호 등의 마커들을 추적하고 인식할 수 있고, 현장 이미지에 대한 파라미터의 조정과 마커 사이즈, 패턴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에 상기 저장된 가상정보를 오버랩하여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통해 작업자에게 스마트폰, 넷패드, 노트북 등의 기타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기반 증강현실 기반 하에서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관리하는데 있어, 현황관리, 시공관리, 보수관리, 조치관리, 순시관리, 점검관리, 공가관리, 정액등관리, 이력관리, 보고관리, 관로관리, 관제상황관리, 통제관리 등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브라우져(470)는, 상기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에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400)은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와 함께,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한 위치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하고 다양한 환경의 장소, 예를 들어 지하, 지상, 도시, 농촌, 산업지역 등에 설치되어있는 가공/지중 형태의 배전설비를 관리하는데 현실 세계의 가시성 확보로 운영자와 작업자의 몰입도를 높여 업무처리와 운영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기술이 접목된 UI(User Interface) 서비스를 지원하고, 현장 작업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위한 현장 사용자 기기를 통한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과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운영자와 작업자에게 실시간 업무지원과 정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정확하고 안정적인 배전설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상황 관제와 통제가 가능하여 관리와 운영의 품질을 개선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센터의 운영자에게 현장의 실제 뷰(View)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센터의 운영자와 현장의 작업자간 상황 정보에 대한 이해 격차를 없앨 수 있어, 가공/지중 형태의 배전설비를 관리하는데 운영자와 작업자의 몰입도를 높여 업무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에서 배전설비를 포함하는 현장을 촬영하여 현장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501).
도 5에서는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가 배전설비를 촬영하여 현장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는 선정된 촬영 장치가 촬영한 현장 이미지를 전달 받을 수도 있다.
이에,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는 상기 생성한 현장 이미지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502).
이때,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와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은 일반 유선 네트워크부터, WIFI(wireless LAN), 주파수공용통신시스템(TRS, Trunked Radio System), CDMA, B-CDMA,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Wibro(Wireless Broadband), 3G/4G 네트워크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가 전송하는 상기 현장 이미지와 가상의 정보를 정합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단계 503).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배전설비를 고유 식별할 수 있는 마커 정보와 상기 마커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가상정보는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설치/시공가상정보, 현황가상정보, 장애/고장가상정보, 순시/점검가상정보, 관제/통제가상정보, 및 이력/보고가상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현장 이미지로부터 상기 배전설비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현장 이미지에서 상기 마커 정보 및 상기 배전설비의 종류를 판독할 수 있다.
상기 배전설비의 식별을 위한 마커는 상기 배전설비의 자체 이미지, 1차원/2차원/3차원 바코드, 표찰의 시리얼번호, 설비관리 번호나 ID, 설비명칭, 장소, 연락처, 담당자 명, 및 관리번호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마커 정보는 상기 마커로부터 획득되는 기록 및 판독 가능한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먼저 해당 이미지 상에서 마커의 사이즈, 영역, 종류 등을 트래킹하고, 트래킹된 마커로부터 식별을 위한 마커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전설비의 종류는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판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판독된 마커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단계 505).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판독된 마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506).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의 기술을 통해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가상 환경과 실제 환경에 대한 명확한 구분 없이 두 환경을 접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과 실제 환경을 서로 접목하여 만들어낸 세상을 '복합현실(Mixed Reality)'이라고 하며, 그 기반이 현실인가 또는 가상인가에 따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과 '증강가상(Augmented Virtuality)'으로 구분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하나 증강가상 기반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실제 환경에서는 제공되지 못하는 정보들을 컴퓨터 기술을 이용한 가상의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가상정보를 가상의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센터의 운영자나 현장의 작업자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에 기초하여, 보다 가시화된 정보를 통해 배전설비의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생성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전송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단계 507).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설비를 관리 및 운영하는데 있어, 현실 세계의 가시성 확보로 운영자와 작업자의 몰입도를 높여 업무처리와 운영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고, 운영자와 작업자에게 실시간 업무지원과 정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정확하고 안정적인 배전설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거시(Legacy) 시스템들과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정보의 확보와 데이터관리의 이중을 피하고, 중복개발의 막대한 비용투자를 줄일 수 있고, 전력 운영상황, 상태, 품질과 수요량 등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확인과 추론/예측이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인 전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작업자에게 배전설비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601).
예를 들어,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및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정보를 통해 현재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위치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는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602).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수신되는 위치정보로부터 배전설비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위치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단계 603).
또한, 상기 위치식별정보는 배전설비를 고유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위치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관리 스케쥴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단계 604),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위치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605).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위치식별정보가 대응되는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식별정보 및 상기 관리 스케쥴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606).
이에,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는 상기 수신된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상기 위치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607).
예를 들어, 상기 작업자는 상기 관리 스케쥴 정보를 확인하여 지도상에 표시되는 배전설비들을 선택적으로 찾아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식별정보와 상기 가상정보를 수신한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는 미리 저장된 지도에 상기 위치식별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배전설비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상기 표시되는 이동 경로를 통해서 작업이 요구되는 배전설비를 찾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는 상기 위치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지도상에 여러 개의 위치식별정보(배전설비의 위치)가 표시되고, 각각의 배전설비에 대한 가상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작업자는 복수의 배전설비들에 대해서 작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 작업자는 휴대하는 현장 사용자 기기의 GPS를 통해 현재의 좌표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위치의 지도를 뷰어한 후, 지도 상에서 장애/고장 대상 배전설비를 검색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는 검색된 장애/고장 배전설비를 리스트 형태 또는 GIS상에 출력하고, 작업자는 표시된 장애/고장 배전설비를 선택하여 해당 배전설비가 설치되어있는 위치와 경로의 확인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는 현재의 위치정보를 좌표의 형태로 실시간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에 전송하여 작업자의 실시간 위치를 관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운영자나 작업자는 선택된 배전설비의 장애/고장 정보의 확인과 함께, 배전설비의 기본정보나 이력정보, 수용가정보, 전력사용량 정보 등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기를 통해서 장애/고장 배전설비의 현장 실사 뷰 정보를 촬영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에 제공하여, 증강현실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작업자는 이러한 절차와 서비스들을 통해 확인 후 장애와 고장에 대해 관리한 후 관리 내역과 결과에 대해 휴대용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기록/관리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의 이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수신되는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식별정보가 소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에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배전설비에 대한 가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상기 배전설비를 포함하여 촬영된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가상정보와 상기 현장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결국, 작업자는 휴대하고 있는 기기를 통해 관할 지역의 배전설비에 대한 순시/점검에 대한 스케쥴(Schedule)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순시/점검 스케쥴(Schedule)에 있는 순시/점검 대상 배전설비를 확인하고, 순시/점검 경로를 GIS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 하에서 작업자가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현장 사용자 기기의 GPS를 통해 좌표정보를 수신(701)하고, 현장 사용자 기기는 수신된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지도를 뷰어(702)할 수 있다.
이때, 현장 사용자 기기는 필요시 로드뷰 형태로 전환(703)하여 로드뷰 뷰어(704) 상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작업자는 로드뷰를 기반으로 하여 해당 위치나 주변, 관할 관리지역의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검색(705)하고, 검색된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리스트 형태 또는 GIS상의 해당 위치에 이미지로 표시하는 형태로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뷰어(706)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는 현장 사용자 기기를 통해 레이어나 범례 등의 설정(707)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UI(User Interface)로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택한 가공/지중 배전설비에 대한 경로의 확인 및 추적(708)을 하여 해당 가공/지중 배전설비가 있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이동후에 현장 사용자 기기를 이용하여, 현장의 실 세계 상황 뷰어(View)를 촬영하여 전송(709)하면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증강현실처리(710)를 엔진을 통해 정합된 증강현실화 기반의 배전설비나 현장 상황 정보를 디스플레이(710)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영자 및 작업자는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황관리(712), 시공관리(713), 순시/점검관리(714), 복구/조치관리(715), 이력/보고관리(716), 공가관리(717), 정액등관리(718), 관제상황/통제관리(719), 관로관리(720) 등의 업무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리들에 대한 결과들을 기록하고 입력(721)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가공/지중 배전설비들에 대한 장애나 고장부터 고객의 신등 등에 따른 다양한 상황에 대한 복구/조치 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공/지중 배전설비에 대한 장애/고장의 복구나조치에 대한 요청/지시/신고 등의 접수나 민원신고 등과 같은 접수가 확인(801)되면, 운영자는 이에 따른 해당 작업자에게 복구/조치에 대한 내용을 통보하거나 지시(802)하고 해당 작업자는 이에 대한 통보/지시 내용을 확인/접수(803)한 후 현장 사용자 기기의 GPS를 통해 현재의 좌표정보를 수신(804)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현장 사용자 기기는 수신한 현재의 좌표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현재 위치의 지도를 뷰어(805)한 후 복구/조치 대상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검색(806)하고, 검색된 복구/조치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리스트 형태 또는 GIS상에 표시/출력하고, 작업자로부터 표시된 복구/조치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선택(807)받을 수 있다.
작업자는 현장 사용자 기기를 통해 해당 가공/지중 배전설비가 설치되 있는 위치와 경로의 확인과 추적(815)을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현장 사용자 기기는 좌표정보(816)를 실시간으로 센터의 시스템에 전송하여 작업자의 실시간 위치를 관제될 수 있게 관제/통제관리시스템을 통해 작업자 관제정보를 디스플레이(817)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복구/조치 대상 가공/지중 배전설비의 확인(808)과 가공/지중 배전설비의 기본정보나 이력정보, 계통정보 등(811)을 추가로 볼 수 있다. 또한, 필요시 복구/조치 가공/지중 배전설비의 현장 실사 뷰(812) 정보를 촬영하여 증강현실처리(813)를 통해 정합된 가시화 정보를 디스플레이(814)하여 증강현실 기반 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작업자는 이러한 절차와 서비스들을 통해 확인 후 장애와 고장 등에 대해 복구/조치(809)를 한 후 결과에 대해 현장에서 현장 사용자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즉시 입력(810)하여, 운영센터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에서 기록/관리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순시/점검관리 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현장 사용자 기기를 통해 관할 지역의 가공/지중 배전설비에 대한 순시/점검에 대한 스케쥴을 확인(901)하고, 해당 순시/점검 스케쥴에 있는 순시/점검 대상 가공/지중 배전설비를 확인(902)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순시/점검 경로(903)를 GIS상에서 확인하고, GPS를 통해 실시간 확보된 좌표정보을 통한 순시/점검 경로에 대한 추적과 이동(904)할 수 있다.
이에, 현장 사용자 기기는 경로상 순시/점검 대상 가공/지중 배전설비가 설치된 위치에 도착시 작업자에게 알려(905)주고,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면, 현장 사용자 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순시/점검 대상 가공/지중 배전설비의 실 세계 뷰(View) 정보를 입력(906)한 후,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증강현실처리엔진인 증강현실 브라우져(Argumented Reality Browser)를 통해 인식/정합(907) 처리한 후 작업자의 휴대용 기기에 정합된 가시화 정보를 디스플레이(908)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는 필요시 가공/지중 배전설비의 기본정보나 이력정보, 수용가정보, 전력사용량 정보 등(914)을 추가로 볼 수 있다.
작업자는 순시/점검에 대한 결과 내역을 휴대용 기기를 통해 즉시 입력하여 운영센터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에 전송(909)하여 기록/관리 될 수 있도록 하며, 순시/점검 시의 작업자 정보와 일자와 시간에 대한 정보도 동시에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다음 순시/점검 대상 가공/지중 배전설비가 있는 곳으로 이동(910)한 후 모든 순시/점검 대상 가공/지중 배전설비의 순시/점검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또는 작업자에 의해 중지할 때까지 경로의 추적과 이동(904)을 하여 처리 할 수 있다.
동시에 순시/점검자의 좌표정보(912)에 대해 실시간으로 센터 시스템의 관제/통제관리시스템에 전송하여 작업자의 실시간 현 위치에 대해 관제될 수 있게 관제관리시스템을 통해 작업자 관제정보를 디스플레이(913)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현장 작업자의 GPS를 통해 실시간 위치관제를 처리하고, 이를 통해 현장 작업자의 통제/제어를 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장 작업자의 휴대용 기기의 GPS를 통해 현재의 좌표정보를 수신(1001) 받아 확보된 좌표정보를 운영센터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에 전송(1002)하여 관제/상황 디스플레이 장치에 GIS(1003) UI(User Interface) 하에 작업자의 실시간 위치를 표시(1004)할 수 있다.
필요시 운영자는 GIS 상에서 작업자를 선택(1005)하여 작업자와 작업 상황에 대한 정보를 확인(1006)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작업자를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통제/제어하고, 이때 통제/제어에 대한 지시와 메시지를 전송(1008)하고, 이를 해당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를 통해 원격지나 감독의 통제/제어에 대한 지시와 메시지를 수신(1009)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정확한 작업 상황의 관리와 통제/제어, 또한 현장 작업자의 정확하고 효율적인 작업 지원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관리 시스템과 연계된 레거시(Legacy)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10)은 운영되고 있는 관련 레거시 시스템(1130)인 가공/지중 배전설비운영관리시스템, 종합계량정보시스템, 영업정보관리시스템, AMR, NDIS, Smart place, 그룹웨어, ERP 등의 시스템들과 연계되어 다양한 업무지원 처리와 정보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1110)은 레거시 시스템(1130)과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각 연계 대상 레거시 시스템(1130) 별로 독립된 연계 처리 구축 작업을 하지 않고, ESP(Enterprise Service BUS, 1120)을 통해 SOA/XML 방식을 적용하여 표준 플랫폼화를 통한 연계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구성하거나, 미들웨어(Middle Ware)를 구성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가공/지중 설비의 시공관리 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현장 사용자 기기를 통해 관할 지역의 가공/지중 배전설비의 시공관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현장 사용자 기기는 해당 시공지역의 좌표정보를 수신 받아(1201)에 이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위치의 지역에 대해 GIS로 뷰어(1202)할 수 있다.
이에, 현장 사용자 기기는 작업자가 원하는 가공/지중 설비들에 대한 배전설비 정보와 계통정보를 레거시 시스템의 NDIS부터 받아 경로를 추적하고 이동(1203)하고, 해당 시공지역과 상황에 대한 실 세계 뷰 정보를 촬영하여 입력(1204)한 후 전송(1204)할 수 있다.
센터의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은 이를 증강현실 기술을 통한 인식과 정합(1205)을 하여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1206)하면, 운영자 및 작업자는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가공/지중 배전설비의 관로정보(계통/구성/심도/이격/이력 등)(1207)나 시공자정보(1208), 시공상황에 대한 기록정보(영상이미지)(1209) 등을 볼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시공상황에 대한 내용과 결과들을 입력(1210) 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작업자는 좌표정보(1211)에 대해 실시간으로 센터의 관제/통제관리시스템에 전송하여 실시간 현 위치에 대해 관제될 수 있도록, 관제관리시스템을 통해 작업자 관제정보가 디스플레이(1212) 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지중 관로에 대한 관리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현장 사용자 기기를 통해 관할 지역의 지중 관로에 대한 관리와 운영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현장 사용자 기기의 GPS를 통해 좌표정보를 수신 받아(1301)에 이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위치의 지역에 대해 GIS로 뷰어(1302)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해당 위치나 영역의 관로를 검색 하고 선택(1303) 한 후 선택한 관로에 대한 경로의 추적과 이동(1304)을 한 후 해당 위치의 상황에 대한 실 세계 뷰(View) 정보를 촬영하여 입력한 후 전송(1305)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증강현실 기술을 통한 인식과 정합(1306)을 하여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1307) 한 후 이를 기반으로 하여 지중 관로의 계통/구성정보(1308)나 현황/이력/운전 등의 관로정보(1309)나 시공상황에 대한 기록정보(1310) 등을 볼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한 관로에 대한 점검/조치 등에 대한 결과를 입력(1311) 할 수 있다.
동시에 작업자는 좌표정보(1312)에 대해 실시간으로 센터의 관제/통제관리시스템에 전송하여 작업자의 실시간 현 위치에 대해 관제될 수 있게 관제관리시스템을 통해 작업자 관제정보를 디스플레이(1313) 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전주 공가에 대한 관리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현장 사용자 기기를 통해 관할 지역의 전주와 이를 통한 공가에 대한 관리와 운영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현장 사용자 기기의 GPS를 통해 좌표정보를 수신 받아(1401)에 이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위치의 지역에 대해 GIS로 뷰어(1402)한 후 해당 위치나 영역의 전주들을 검색 하고 선택(1403) 한 후 선택한 전주에 대한 경로의 추적과 이동(1404)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현장 사용자 기기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의 상황에 대한 실 세계 뷰(View) 정보를 촬영하여 입력(1405)한 후 센터에 전송(1405)할 수 있다.
센터에서는 이를 증강현실 기술을 통한 인식과 정합(1406)을 하여 전주와 공과에 대한 정합된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1407)할 수 있으며, 운영자 및 작업자는 이를 기반으로 하여 전주의 계통/구성정보(1408)나 현황/실시정보/이력 등의 공가정보(1409)나 현장상황에 대한 기록정보(1410)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전주 공가에 대한 실사상황 정보나 조치내역 등에 대한 결과를 입력(1409) 할 수 있다. 동시에 작업자는 좌표정보(1412)에 대해 실시간으로 센터 시스템의 관제/통제관리시스템에 전송하여 실시간 현 위치에 대해 관제될 수 있게 관제관리시스템을 통해 작업자 관제정보를 디스플레이(1413) 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공/지중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을 통해 정액등에 대한 관리업무를 지원하고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현장 사용자 기기를 통해 관할 지역의 정액등에 대한 공급현황이나 무산사용 또는 무단증설 정액등에 대한 정액누수 상황 등에 대한 관리와 운영을 지원할 수 있다.
작업자는 현장 사용자 기기의 GPS를 통해 좌표정보를 수신 받아(1501)에 이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위치의 지역에 대해 GIS로 뷰어(1502)한 후 해당 위치나 영역의 정액등들을 검색 하고 선택(1503) 한 후 선택한 정액등에 대한 경로의 추적과 이동(1504)을 한 후 해당 위치의 상황에 대한 실 세계 뷰(View) 정보를 촬영하여 입력(1505)할 수 있다.
이에, 촬영한 데이터를 센터로 전송(1505)하여 이를 증강현실 기술을 통한 인식과 정합(1506)을 하여 정액등에 대한 정합된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1507) 한 후 이를 기반으로 하여 정액등의 계통이나 구성정보(1508)나 현황/실시정보/이력 등의 정액등정보(1409)을 통한 해당 정액등에 대한 전등설비의 정상적 계약사용, 무단증설, 무단사용, 고객번호, 설비용량, GPS위치, 인입주정보 등을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는 현장상황에 대한 기록정보(1510) 등을 볼 수 있으며, 정액등에 대한 실사상황에 대한 정보확인을 통한 계약에 따른 정상적인 사용여부나, 요금납부 상황 등에 대한 조치(1511)와 누락된 정액등에 대한 고객정보나 계약/인입주 등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동시에 작업자의 좌표정보(1512)에 대해 실시간으로 센터 시스템의 관제/통제관리시스템에 전송하여 작업자의 실시간 현 위치에 대해 관제될 수 있게 관제관리시스템을 통해 작업자 관제정보를 디스플레이(1513)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배전설비 관리시스템 210: 데이터베이스
211: 배전설비 데이터베이스
212: 2D/3D 데이터 및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
220: 이미지 수신부 230: 배전설비 식별부
240: 증강현실 브라우져 250: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 송신부
211: 배전설비 데이터베이스
212: 2D/3D 데이터 및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
220: 이미지 수신부 230: 배전설비 식별부
240: 증강현실 브라우져 250: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 송신부
Claims (27)
- 현장 이미지를 촬영하는 현장 사용자 기기;
상기 촬영된 현장 이미지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전송되는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에서 배전설비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배전설비를 기반으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하는 배전설비 관리시스템; 및
상기 배전설비 관리시스템과 연동하여, 업무지원 처리와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레거시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는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가공/지중 배전설비관리, 현황관리, 시공관리, 복구/조치관리, 순시/점검관리, 공가관리, 정액등관리, 관제/통제관리, 이력/보고관리, 및 관로관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시스템은,
배전설비 운영관리시스템, 종합계량정보시스템, 영업정보관리시스템, 지능형계량시스템(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신배전정보시스템(NDIS, 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Smart place, 그룹웨어,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은,
배전설비에 대한 가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배전설비를 포함하여 촬영된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부;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로부터 상기 배전설비를 식별하는 배전설비 식별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저장된 가상정보와 상기 식별된 배전설비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하는 증강현실 브라우져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설비 식별부는,
상기 현장 이미지에서 상기 배전설비의 위치, 이미지, 종류,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마커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가상정보와 상기 마커 정보를 연관지어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위치 식별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가상정보와 상기 위치 식별정보를 연관지어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정보는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현황 정보, 이력 정보, 운전 정보, 계통 정보, 구성 정보, 기록 정보, 수용가 정보, 사용량 정보, 위치정보, 시공정보, 점검/유지관리 정보, 관로정보, 및 정액등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브라우져는,
상기 생성된 현장 이미지로부터 상기 배전설비의 마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마커로부터 상기 배전설비의 종류 및 상기 마커 정보를 판독하는 트래킹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브라우져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판독된 마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하는 렌더링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와 상기 독출된 가상정보의 충돌 처리를 수행하여, 거리 측정 검사 및 간섭 검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측정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배전설비에 표시되는 이미지, 바코드, 표찰, 및 관리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브라우져는,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에 상기 저장된 가상정보를 오버랩하여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 송신부
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거시 시스템과 통신하는 레거시 연동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은,
상기 배전설비의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위치식별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저장된 위치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의 대응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대응되는 경우,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에 상기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요청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는 상기 수신된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상기 위치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이동경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및 기지국 셀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이동경로 모니터링부; 및
상기 수신되는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식별정보가 소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알림 신호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위치식별정보와 연관지어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가상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설비를 포함하여 촬영된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부; 및
상기 가상정보와 상기 현장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하는 증강현실 브라우져
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브라우져는,
상기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에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관리시스템. - 배전설비에 대한 마커 정보 및 가상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배전설비를 포함하여 촬영된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로부터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마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마커로부터 상기 배전설비의 종류 및 상기 마커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판독된 마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 삭제
- 배전설비에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위치식별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위치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의 대응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현장 사용자 기기에 상기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는 상기 수신된 관리 스케쥴 정보 및 상기 위치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전설비에 대한 이동경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식별정보가 소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현장 사용자 기기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배전설비에 대한 가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배전설비를 포함하여 촬영된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정보와 상기 현장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 제22항 및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8348A KR101149141B1 (ko) | 2010-09-09 | 2010-09-09 | 증강현실 기반의 배전설비 관리시스템 및 상기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8348A KR101149141B1 (ko) | 2010-09-09 | 2010-09-09 | 증강현실 기반의 배전설비 관리시스템 및 상기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6239A KR20120026239A (ko) | 2012-03-19 |
KR101149141B1 true KR101149141B1 (ko) | 2012-05-25 |
Family
ID=4613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8348A KR101149141B1 (ko) | 2010-09-09 | 2010-09-09 | 증강현실 기반의 배전설비 관리시스템 및 상기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914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6425B1 (ko) * | 2019-07-17 | 2020-08-20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혼합 현실 기반 장비 유지 보수 시스템 및 방법 |
KR20220104988A (ko) | 2021-01-19 | 2022-07-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증강 현실 기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0920B1 (ko) * | 2015-06-17 | 2017-02-13 | 쌍용건설 주식회사 | 아바타를 이용한 3차원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115020B1 (ko) * | 2017-12-19 | 2020-05-26 | 김창영 |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 모니터링 방법 및 단말기 |
KR102574935B1 (ko) * | 2018-09-21 | 2023-09-05 | 한화오션 주식회사 | 선박의 원격 유지 보수 방법 |
KR102574936B1 (ko) * | 2018-09-27 | 2023-09-05 | 한화오션 주식회사 | 증강현실 기반의 선박 원격 유지 보수 방법 |
KR102234217B1 (ko) * | 2019-11-08 | 2021-03-30 | 에스케이 주식회사 | Ar 기반의 비계 검증 방법 및 시스템 |
KR20220077242A (ko) | 2020-11-30 | 2022-06-09 | 주식회사 티엠솔루션스 | 증강현실을 이용한 전력설비 유지보수 시스템 |
KR20220077232A (ko) | 2020-11-30 | 2022-06-09 | 주식회사 티엠솔루션스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력설비 유지보수 시스템 |
KR102544533B1 (ko) * | 2021-07-19 | 2023-06-16 | (주)디엑스테크 | 전자 펜 기록정보와 사진 이미지 정보 매칭을 통한 대상물 관리시스템 |
KR102649380B1 (ko) | 2021-11-22 | 2024-03-21 | 주식회사 티엠솔루션스 |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배전반 유지보수 시스템 |
KR102388532B1 (ko) * | 2021-11-26 | 2022-04-20 | (주) 맵마인드 | 증강현실과 gis를 이용한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시스템 |
KR102663038B1 (ko) * | 2022-12-07 | 2024-05-09 | 임유섭 | 대상 식물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KR102692191B1 (ko) * | 2024-02-19 | 2024-08-07 | 주식회사 미디컴전자 |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배선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0327A (ko) * | 1999-01-06 | 2000-08-05 | 이규철 | 수처리 플랜트 설비의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
KR100538082B1 (ko) * | 2005-05-12 | 2005-12-22 |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 증강현실기반의 건물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
-
2010
- 2010-09-09 KR KR1020100088348A patent/KR1011491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0327A (ko) * | 1999-01-06 | 2000-08-05 | 이규철 | 수처리 플랜트 설비의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
KR100538082B1 (ko) * | 2005-05-12 | 2005-12-22 |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 증강현실기반의 건물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6425B1 (ko) * | 2019-07-17 | 2020-08-20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혼합 현실 기반 장비 유지 보수 시스템 및 방법 |
KR20220104988A (ko) | 2021-01-19 | 2022-07-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증강 현실 기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6239A (ko) | 2012-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9141B1 (ko) | 증강현실 기반의 배전설비 관리시스템 및 상기 배전설비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 |
KR101744189B1 (ko) | Usn을 이용한 스마트 맨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US20040059539A1 (en) | Cable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ble core wir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and programs thereof | |
EP2551990B1 (en) | Situational awareness f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 |
US8731999B2 (en) |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proved visibility, quality control and audit capability for underground facility locate and/or marking operations | |
CN104835085A (zh) | 旅游运行监管及安全应急管理联动指挥平台系统 | |
KR101135774B1 (ko) | 증강현실을 이용한 전력량계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
KR101685079B1 (ko) |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 |
CN108133522B (zh) | 一种管廊巡检方法及系统 | |
KR101059061B1 (ko) | 스마트 그리드용 시설물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20120330849A1 (en) |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erforming installations of engineered systems and generating site visit manifests for same | |
CN116298701B (zh) | 一种基于数字孪生系统的配电网故障检测方法及相关装置 | |
CN203054241U (zh) | 一种地下管线的定位系统 | |
CN103927860A (zh) | 一种gps定位抄表智能掌机以及抄表系统 | |
CN103064123A (zh) | 一种地下管线定位方法及装置 | |
CN102456238A (zh) | 通信线路巡检平台、系统及方法 | |
CN104574215A (zh) | 一种水、电、气、热能行业的营销移动作业智能终端与管理系统 | |
CN103632198A (zh) | 基于智能移动终端的计量资产可视化全寿命管理系统 | |
CN101562823A (zh) | 矢量地图切割方法、呈现方法、装置及无线网络地理系统 | |
JP6236101B2 (ja) | インフラ設備の管理システムとその方法ならびにその表示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CA3144328A1 (en) | Board signage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 |
KR100953733B1 (ko) | 태양광을 이용한 다목적 기준점 설비관리 시스템 | |
CN113316160B (zh) | 一种基于mr的基站设备的运维方法、系统及存储介质 | |
CN204990385U (zh) | 基于近场通信的水务管理系统 | |
CN114090147A (zh) | 一种基于地理信息平台的数据处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