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939A -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939A
KR20200123939A KR1020190047114A KR20190047114A KR20200123939A KR 20200123939 A KR20200123939 A KR 20200123939A KR 1020190047114 A KR1020190047114 A KR 1020190047114A KR 20190047114 A KR20190047114 A KR 20190047114A KR 20200123939 A KR20200123939 A KR 20200123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oal
infrared
tripper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790B1 (ko
Inventor
이원만
Original Assignee
이원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만 filed Critical 이원만
Priority to KR1020190047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7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열의 적외선 감지장치와 트리퍼의 접근을 감지하여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은, 저탄장으로부터 석탄을 운송하는 트리퍼가 왕복 이동하는 벨트형 컨베이어의 측면 위치에 일직선 상으로 다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열되고, 기둥 형태로 세워지며 상하 수직으로 다수개의 적외선 감지센서가 배열된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 상기 벨트형 컨베이어의 종단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트리퍼의 전면의 일 위치에 부차된 반사판에 레이저를 발사하여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 펄스를 이용하여 상기 트리퍼의 위치와 이동 정보를 습득하는 레이저 거리측정기; 및 상기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 및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APPROCHING WARNING SYSTEM OF COAL DEPOT CONVEYOR}
본 발명은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열의 적외선 감지장치와 트리퍼의 접근을 감지하여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 발전 시스템은 석탄을 연소시켜 얻은 에너지로 보일러의 물을 끓여 증기로 만들고, 그 증기로 터빈을 회전시켜 회전력을 얻은 후 터빈에 연결된 발전기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의 석탄 화력 발전 시스템을 예로 들 수 있다.
석탄 화력 발전 시스템은 선박이나 기타 운반 수단으로 싣고 온 석탄을 하역하고 저탄소까지 운반한 후 미분기에서 석탄을 잘게 부수어 보일러에서 잘 연소할 수 있도록 하는 운탄 장치, 석탄을 연소시킬 때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를 만들어내는 보일러, 보일러에서 만들어진 증기에 의해 고속 회전하면서 발전기를 돌려주는 터빈, 각종 처리를 거쳐 공업용수를 순수한 물로 만드는 물처리 설비, 물처리 설비를 통과한 순수한 물을 만든 후 복수기에서 응축시켜 보일러에 공급하는 급수계통, 터빈을 돌리고 고온의 증기를 복수기에서 냉각시키기 위해 바닷물을 공급하는 순환수 계통, 보일러 연소실에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시킨 가스를 전기 집진기에서 먼지를 제거하고 탈황 설비에서 황 성분을 제거한 뒤 연돌로 배출하는 통풍장치 및 터빈에 의해 발전기가 회전하면서 생산한 전기를 변압기를 거쳐 송전탑 선로를 통해 발전소 외부로 송전하는 전기 설비를 구비한다.
여기서, 운탄 장치를 보면, 저탄장으로부터 슈트로 석탄을 이송하는 운반장치, 슈트는 컨베이어로 낙탄 시키고 컨베이어에 구비된 트리퍼에 의해 각각의 해당 사일로로 석탄을 공급하는 공정을 거친다.
이때, 컨베이어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설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근접하는 경우 컨베이어에 끼임 사고가 발생하는 일이 자주 일어나 인명 사고로 이어지며, 특히 컨베이어에 장착되어 석탄을 운송하는 트리퍼가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서 트리퍼에 이송중 발생하는 접촉 사고가 빈번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특히 작업자가 낙탄 제거 및 점검을 요하므로 컨베이어 주변에 울타리를 칠 수 없어 더욱 문제가 대두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0607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석탄 화력발전소의 저탄장 내에 설치되어 석탄을 운반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끼임 사고를 방지하고, 벨트 컨베이어를 타고 석탄을 운반하는 공급장치인 트리퍼와의 접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석탄 콘베이어 트리퍼 룸(Tripper Room) 내의 콘베이어 벨트 측면에 근접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점검 또는 작업을 위한 근접 시 주위환기를 위한 자동경고 방송 송출 및 관제센터에서 근무자의 감지위치를 이미지 맵상에 표출함과 동시에 인접 CCTV 카메라의 영상을 운탄 제어실의 근무자가 실시간으로 영상 모니터링 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 대책 능력 향상을 그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과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은, 저탄장으로부터 석탄을 운송하는 트리퍼가 왕복 이동하는 벨트형 컨베이어의 측면 위치에 일직선 상으로 다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열되고, 기둥 형태로 세워지며 상하 수직으로 다수개의 적외선 감지센서가 배열된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 상기 벨트형 컨베이어의 종단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트리퍼의 전면의 일 위치에 부차된 반사판에 레이저를 발사하여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 펄스를 이용하여 상기 트리퍼의 위치와 이동 정보를 습득하는 레이저 거리측정기; 및 상기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 및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는 상기 다수개의 적외선 감지센서 중에서 상하 인접한 2개 이상의 적외선 감지센서가 차광되는 경우에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석탄 분진 등으로 인한 오경보를 미연에 방지토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동일면 상에 배치되는 송수신 양방향 셀로 이루어진 적외선 감지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 중에서 시작단과 끝단 사이에 놓이는 내측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는 양면에 상기 송수신 양방향 셀이 형성되도록 하여, 송수신 적외선 광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고, 중앙 감지기의 수를 하나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의 송신부는 상하 또는 하상 방향으로 위치된 적외선 감지센서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펄스는 순차적으로 송출되도록 하여 다열 적외선 빔의 혼합 수신으로부터 오는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 및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의 신호에 연동되어 경고 방송을 하는 경고 방송 장치와 해당 영역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작업자에게 경각심을 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관제실에서의 현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제 서버에서는 관제 맵상에 감지 위치 점멸 표시와 카메라 영상 팝업의 해당 구역의 표시가 가능하고, 상기 감지 위치 점멸 표시는 해당 컨베이어 트리퍼 룸 내에 작업자의 컨베이어 근접 위치가 적색 라인점멸로 표시되어 즉각적으로 감지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석탄 화력발전소의 저탄장 내에 설치되어 석탄을 운반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끼임 사고를 방지하고, 벨트 컨베이어를 타고 석탄을 운반하는 공급장치인 트리퍼와의 접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의 현장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의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의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에 적용된 적외선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의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에 적용된 적외선 센서의 빔펄스 송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의 트리퍼의 이동에 따른 거리 감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에 따른 이미지 맵을 표출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의 현장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현장은 석탄 화력 발전 시스템의 운탄 설비장미며, 석탄 화력 발전 시스템은 선박으로 싣고 온 석탄을 하역하고 저탄장까지 운반한 후 미분기에서 석탄을 잘게 부수어 보일러에서 잘 연소할 수 있도록 하는 운탄 장치들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탄 장치의 현장을 보인 도면으로서, 석탄을 벨트(12)에 올린 채 반복 이송되는 컨베이어(11)가 놓인다.
컨베이어(11)에는 저탄장으로부터 슈트(미도시)로 석탄을 이송하는 운반장치와 슈트에 의해 이송된 석탄이 컨베이어(11)로 낙탄된다.
컨베이어(11)에는 트리퍼(13, Tripper)가 구비되어 석탄을 쌓아 각각의 해당 사일로(미도시)로 석탄을 공급하게 된다.
컨베이어(11)의 좌우측에는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14)들이 일렬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형성된다.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14)는 다열의 적외선 빔을 송수신하며, 컨베이어(11)로 작업을 위해 접근하는 작업자(16)를 감지한다.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14)는 함체(19)에 전원 및 접점선이 연결되고, 함체(19)에는 카메라(17)와 경고 방송장치(18)가 각각 연동되도록 연결된다.
함체(19)는 기존에 설치된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 센터와 네트워킹된다.
트리퍼(13)의 전면 일면에는 반사판(20)이 부착되며, 반사판(20)은 레이저 거리측정기(21)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 펄스 신호를 통해 트리퍼의 위치와 이동정보를 얻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은 석탄 컨베이어 벨트 현장과 중앙 관제실로 영역적으로 구분되어 네트워킹된 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은 석탄 컨베이어의 트리퍼 룸 내의 컨베이어에 근접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점검 또는 작업을 위해 근접 시 주위환기를 위한 자동경고 방송 송출 및 관제센터에서 근무자의 감지위치를 이미지 맵상에 표출함과 동시에 인접 CCTV 카메라의 영상을 제어실의 근무자가 실시간으로 영상 모니터링 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 대책 능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석탄 컨베이어 벨트 현장에는 작업자의 근접 감지를 위한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14)가 일직선 상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열되고,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14)의 감지 신호시 감지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17)가 배치되며,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14)의 감지 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고 방송을 송출하는 경고 방송 장치(18)가 배치되고, 트리퍼(13)의 위치 및 이동 경로를 감지하는 레이저 거리측정기(21)가 배치된다.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14), 카메라(17), 경고 방송 장치(18) 및 레이저 거리측정기(21) 각각의 전원 및 접점선은 함체(19)에 연결된다.
함체(19)는 기존에 설치된 현장용 CCTV 함체을 이용할 수 있으며, 편의에 따라 새로운 함체를 제작하여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함체(19)는 IP 오디오 앰프(22), 알람 접점 수신장치(23) 및 스위치 허브(24)가 내장될 수 있다.
IP 오디오 앰프(22)는 경고 방송 장치(18)와 연결되고, 알람 접점 수신장치(23)는 접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14)와 연결되며, 스위치 허브(24)는 카메라(17), 경고 방송 장치(18), 알람 접점 수신장치(23) 및 레이저 거리측정기(21)와 기존 운용 CCTV 관제서버(25)/센서 관제서버(26)와 연결된다.
스위치 허브(24)는 카메라(17), 경고 방송 장치(18), 알람 접점 수신장치(23) 및 레이저 거리측정기(21) 각각의 신호를 중앙 관제실에 전송하고, 중앙 관제실의 제어명령을 각각의 장치에 전달하는 허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IP 마이크 콘솔(27)은 스위치 허브(24)에 연결되어 경고 방송 장치(18)를 통해 자동 경고 방송 및 위험 상황을 수동방송하여 사전 경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의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의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에 적용된 적외선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에서는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14)를 적용한다.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14)는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하 배열의 다열로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센서들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서는 4열 배열의 적외선 감지를 예로서 도시하며, 다열 배열된 적외선 중 2개 이상의 적외선이 차광 되었을 경우에만 경보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하나의 적외선만 감지가 되는 경우는 석탄 분진에 의한 차광이나 다른 물질 등에 의해 적외선 감지가 되는 경우 오경보가 발생하는 횟수가 잦아 실효성의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함이다.
즉, 제1 열 적외선(15a)와 제2 열 적외선(15b)이 동시에 차광되는 경우(31a), 제2 열 적외선(15b)와 제3 열 적외선(15c)이 동시에 차광되는 경우(31b), 제3 열 적외선(15c)과 제4 열 적외선(15d)이 동시에 차광되는 경우(31c)에 감지신호가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양 외측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14a)들은 하나의 기둥의 양측에 각각 적외선 수신부와 적외선 송신부를 동시에 갖추도록 한다.
이는 긴 구간의 적외선 감지기를 다열로 설치할 경우 중첩되는 구간에 적외선을 송신용 감지기와 수신용 감지기를 2개 설치하여야 하므로 공간 및 설치의 효율성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14)에 적용되는 적외선 센서는 송수신 양방향 셀(32a, 32b) 구조를 갖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센서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분리되어 있는 구조이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석탄 운반 현장에서는 석탄 분진이 많이 발생되고 분진은 수신부측의 광량이 줄어들게 하여 오경보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분진에 의한 광량 감소에 따른 오경보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송수신 양방향 셀(32a, 32b)을 적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송수신부의 일체형 구조는 수광 적외선 광량(33a 또는 33b)이 줄어들면 자동으로 송신광량(33b 또는 33a) 출력을 높임으로써 수신부측의 광량이 항상 유지되도록 하여 분진에 의한 오경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특히, 석탄 화력발전소와 같은 운탄 현장에서는 석탄 분진에 의한 오작동이 불필요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복수열 적외선 차광시에만 감지 신호가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뿐만 아니라 송수신 양방향 셀을 적용하여 분진에 의한 광량 감소에 따른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의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에 적용된 적외선 센서의 빔펄스 송출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감지센서는 공통적으로 일정 거리에서 적외선 빛의 특성상 매우 크게 확산됨으로 수광부에서는 여러 개의 적외선 펄스가 수광되어 적외선 광의 포화 현상이 발생되어 오경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고, 특히 석탄과 같은 분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특성상 본 발명에서는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에 적용된 감지센서는 수광부에서의 적외선 빔펄스의 혼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100Hz의 적외선 펄스를 순차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수광부에서의 적외선 광 포화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이로 인한 오경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송신부)에서의 적외선 빔은 아래 또는 위에 위치한 순서대로 일정한 시간차로 적외선 펄스를 순차적으로 송출하도록 하고, 수광부(수신부)에서는 이를 순차적으로 수신함으로써, 광 포화 현상을 줄여 수신부에서의 적외선 빔의 수신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의 트리퍼의 이동에 따른 거리 감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은 레이저에 의한 트리퍼의 위치와 이동상태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이 더 추가될 수 있다.
트리퍼(13)의 전면 소정 위치에는 반사판(20)이 부착될 수 있다(도 1 참조).
트리퍼(13)는 컨베이어(11)에 롤러에 의해 전후 직선 운동을 하면서 석탄을 운반하는 장치에 해당되며, 트리퍼(13)의 전면에 반사판(20)이 부착된다.
컨베이어(11)에 종단 위치에 설치된 레이저 거리측정기(34)는 반사판(20)에 레이저를 출력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 펄스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트리퍼(13)의 위치와 이동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레이저 거리측정기(34)는 스위치 허브(24)와 연결되어 트리퍼(13)의 위치 신호 및 거리 신호를 관리 서버(25, 26)에 전송하여 트리퍼(13)의 위치를 이미지 맵 상에 3D로 구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트리퍼(13)의 위치 및 작업자(16)의 위치에 따라 경고 방송 송출이 가능하고, 트리퍼(13)의 위치에 따라 작업자(16)의 행동 반경을 제한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트리퍼(13)의 이동 상태와 이동 위치를 중앙 관제실의 관제 이미지 맵을 통해 식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경고 방송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수동 방송으로 위함 상황을 사전 경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에 따른 이미지 맵을 표출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은 관제 맵상에 감지 위치 점멸 표시(41), 카메라 영상 팝업(42) 및 접근 신호에 따른 해당 구역의 표시가 가능할 수 있다.
관제 맵상에 감지 위치 점멸 표시(41)는 해당 컨베이어 트리퍼 룸 이미지로 배경 진입후에는 작업자의 컨베이어 근접 위치가 이미지 상에 적색 라인점멸로 표시되므로 즉각 감지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3D로 각 석탄 화력 발전소의 트리퍼 룸을 표현하고, 카메라 아이콘 클릭시 카메라 영상을 팝업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고, 작업자가 적외선 센서 근접시 해당 트리퍼 룸으로 3D 화면 전환과 동시에 인접 카메라 팝업 및 카메라 프리셋 이동이 가능하며, 팝업 영상 더블 클릭으로 확대 및 카메라 제어, 트리퍼 룸 내부의 전체 카메라 영상 분할 디스플레이 전환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 : 컨베이어 12 : 벨트
13 : 트리퍼 14 :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
15 : 적외선 빔 16 : 작업자
17 : 카메라 18 : 경고 방송 장치
19 : 함체 20 : 반사판
21 : 레이저 거리측정기 22 : IP 오디오 앰프
23 : 알람 접점 수신장치 24 : 스위치 허브
25 : 기존 운용 CCTV 관제서버 26 : 센서 관제서버
27 : IP 마이크 콘솔

Claims (6)

  1. 저탄장으로부터 석탄을 운송하는 트리퍼가 왕복 이동하는 벨트형 컨베이어의 측면 위치에 일직선 상으로 다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열되고, 기둥 형태로 세워지며 상하 수직으로 다수개의 적외선 감지센서가 배열된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
    상기 벨트형 컨베이어의 종단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트리퍼의 전면의 일 위치에 부차된 반사판에 레이저를 발사하여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 펄스를 이용하여 상기 트리퍼의 위치와 이동 정보를 습득하는 레이저 거리측정기; 및
    상기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 및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는 상기 다수개의 적외선 감지센서 중에서 상하 인접한 2개 이상의 적외선 감지센서가 차광되는 경우에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동일면 상에 배치되는 송수신 양방향 셀로 이루어진 적외선 감지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 중에서 시작단과 끝단 사이에 놓이는 내측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는 양면에 상기 송수신 양방향 셀이 형성되는,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의 송신부는 상하 또는 하상 방향으로 위치된 적외선 감지센서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펄스는 순차적으로 송출되는,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 다열 적외선 감지기 및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의 신호에 연동되어 경고 방송을 하는 경고 방송 장치와 해당 영역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에서는 관제 맵상에 감지 위치 점멸 표시와 카메라 영상 팝업의 해당 구역의 표시가 가능하고,
    상기 감지 위치 점멸 표시는 해당 컨베이어 트리퍼 룸 내에 작업자의 컨베이어 근접 위치가 적색 라인점멸로 표시되어 즉각적으로 감지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KR1020190047114A 2019-04-23 2019-04-23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KR102183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114A KR102183790B1 (ko) 2019-04-23 2019-04-23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114A KR102183790B1 (ko) 2019-04-23 2019-04-23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39A true KR20200123939A (ko) 2020-11-02
KR102183790B1 KR102183790B1 (ko) 2020-11-30

Family

ID=7339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114A KR102183790B1 (ko) 2019-04-23 2019-04-23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7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4652A (zh) * 2022-01-25 2022-03-01 山东山矿机械有限公司 基于图像分析的井下带式输送用自动调速方法及系统
KR102402568B1 (ko) * 2021-12-01 2022-05-30 주식회사 건일 항만하역 대기오염 모니터링 및 방지시스템
KR20220105914A (ko) *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한화 작업자 감지 장치
CN114919953A (zh) * 2022-06-10 2022-08-19 扎赉诺尔煤业有限责任公司 一种运输皮带故障语音报警系统
CN117775643A (zh) * 2024-02-23 2024-03-29 徐州众图智控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煤矿主煤流皮带输送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990A (ko) * 2002-02-02 2003-08-09 이충열 레이저를 이용한 위험기계로의 근접 감지장치
KR20090098519A (ko) * 2008-03-14 2009-09-17 금병엽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그이용 방법
KR101006073B1 (ko) 2010-08-31 2011-01-04 (주)하이텍산업개발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KR20160080781A (ko) * 2014-12-30 2016-07-08 이태우 횡단보도 안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990A (ko) * 2002-02-02 2003-08-09 이충열 레이저를 이용한 위험기계로의 근접 감지장치
KR20090098519A (ko) * 2008-03-14 2009-09-17 금병엽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그이용 방법
KR101006073B1 (ko) 2010-08-31 2011-01-04 (주)하이텍산업개발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KR20160080781A (ko) * 2014-12-30 2016-07-08 이태우 횡단보도 안전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914A (ko) *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한화 작업자 감지 장치
CN114812383A (zh) * 2021-01-21 2022-07-29 韩华株式会社 作业人员检测装置
KR102402568B1 (ko) * 2021-12-01 2022-05-30 주식회사 건일 항만하역 대기오염 모니터링 및 방지시스템
CN114104652A (zh) * 2022-01-25 2022-03-01 山东山矿机械有限公司 基于图像分析的井下带式输送用自动调速方法及系统
CN114104652B (zh) * 2022-01-25 2022-04-22 山东山矿机械有限公司 基于图像分析的井下带式输送用自动调速方法及系统
CN114919953A (zh) * 2022-06-10 2022-08-19 扎赉诺尔煤业有限责任公司 一种运输皮带故障语音报警系统
CN117775643A (zh) * 2024-02-23 2024-03-29 徐州众图智控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煤矿主煤流皮带输送控制系统
CN117775643B (zh) * 2024-02-23 2024-04-26 徐州众图智控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煤矿主煤流皮带输送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790B1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790B1 (ko)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US8872113B2 (en) System to test performance of pixels in a sensor array
US7385681B2 (en) Gas leakage monitoring method and its system
US20150213697A1 (en) Multi-mode detection
CN102722958B (zh) 火警探测器及其构成森林防火报警系统及报警方法
CN104459817B (zh) 一种火灾征兆探测装置及方法
US3597755A (en) Active electro-optical intrusion alarm system having automatic balancing means
US20170045339A1 (en) Laser Electronic Target System Using Non-Overlapping and Crossing Rectangular Laser Screens
CN101661658A (zh) 红外图像探测报警装置
CN104240321A (zh) 基于Zigbee无线网络的智能巡检系统
KR101935577B1 (ko) 해상 풍력 단지 및 해저 케이블 감시 시스템
KR20110109828A (ko) 물체 검출 센서 및 경비 시스템
GB2372317A (en) Infrared flame detection sensor
US11727778B2 (en) Thermographic detector device for a fire alarm control system
KR100452118B1 (ko) 통합 환경감시 시스템
US11270575B2 (en) Method of optical alignment and verification of field of view integrity for a flame detector and system
CN212460717U (zh) 基于核电站隔离边界的预警装置
CN108614019A (zh) 一种危险危害气体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US9083946B2 (en) System to detect failed pixels in a sensor array
KR20160055470A (ko) 오폐수 관리 시스템
JP4543830B2 (ja) 異常検知装置
CN203984589U (zh) 全方位扫描跟踪监控装置
CN217060509U (zh) 一种射线探伤隔离边界监测装置
US11145186B2 (en) Control panel for processing a fault associated with a thermographic detector device of a fire alarm control system
JP7080432B2 (ja) 光線式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