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073B1 -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 Google Patents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073B1
KR101006073B1 KR1020100084823A KR20100084823A KR101006073B1 KR 101006073 B1 KR101006073 B1 KR 101006073B1 KR 1020100084823 A KR1020100084823 A KR 1020100084823A KR 20100084823 A KR20100084823 A KR 20100084823A KR 101006073 B1 KR101006073 B1 KR 101006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ller
scraper
thermal pow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배
박재선
강인구
최수복
김민수
기용성
배민식
장경수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산업개발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산업개발,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하이텍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100084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2Guides for slid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76Fixed or adjustable ploughs or transverse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86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moving the materials over supporting surfaces by impeller means, e.g.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의 선탄설비에서 탄종별 원료탄을 미분기 저장 사일로에 장입하는 벨트 트리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의 각 사일로 별로 트리퍼 장치를 설치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연속적으로 가동하면서 원료탄을 투입하는 새로운 형태의 원료탄 투입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1대의 트리퍼가 각 사일로에 이동하면서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없앨 수 있고, 원료탄 장입 과정에서 비산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원료탄 투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Belt tripper apparatus for thermal power station}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력발전소의 선탄설비에서 탄종별 원료탄을 미분기 저장 사일로에 장입하는 벨트 트리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는 석탄을 연소시켜 얻은 에너지로 보일러의 물을 끓여 증기로 만들고, 그 증기로 터빈을 회전시켜 회전력을 얻은 후, 터빈에 연결된 발전기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식과, 천연가스를 연소하여 만들어진 고온의 연소가스로 직접 가스터빈을 돌려 1차로 전기를 생산하고, 이때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보일러로 보내어 수증기를 발생시킨 후, 수증기의 힘으로 터빈을 돌려 2차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여기서, 석탄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소는 선박 등으로 싣고 온 석탄을 하역하고, 저탄소까지 운반한 후에 미분기에서 석탄을 잘게 부수어 보일러에서 잘 연소할 수 있도록 하는 운탄 설비, 석탄을 연소시킬 때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를 만들어내는 보일러, 보일러에서 만들어진 증기에 의해 고속 회전하면서 발전기를 돌려주는 터빈, 각종 처리를 거쳐 공업용수를 순수한 물로 만드는 물처리 설비, 물처리 설비를 통과한 순수한 물을 만든 후 복수기에서 응축시켜 보일러에 공급하는 급수계통, 터빈을 돌리고 고온의 증기를 복수기에서 냉각시키기 위해 바닷물을 공급하는 순환수 계통, 보일러 연소실에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시킨 가스를 전기 집진기에서 먼지를 제거하고 탈황 설비에서 황 성분을 제거한 뒤 연돌로 배출하는 통풍장치, 터빈에 의해 발전기가 회전하면서 생산한 전기를 변압기를 거쳐 승압한 후, 송전탑 선로를 통해 발전소 외부로 송전하는 전기 설비 등이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화력발전소의 운탄 설비에는 석탄을 이송하는 장비로서 트리퍼 장치가 구비된다.
보통 원료탄의 장입을 위해 각 사일로(Silo) 별로 길이방향으로 2열의 벨트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고, 각 사일로 장입을 위해 각 열에 1기의 트리퍼(Tripper)가 설치되어서 원료탄 장입을 위해 트리퍼가 해당 6개의 사일로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료탄을 공급하게 되어 있다.
기존 설치된 트리퍼는 각 사일로 이동시 일정시간이 필요하게 되며, 장치의 높이가 고낙차(8m)에 달하는 높이에서 원료탄이 낙하하게 되면서 다량의 비산먼지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트리퍼의 각 사일로 이동시 약 15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한 시프트(Shift)당 8회 정도의 이동을 하는 트리퍼로서는 2시간의 운탄 설비 가동 정지시간이 필요하게 되며, 트리퍼 설비의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정비 및 돌발 작업에 의해 환경 오염과 안전재해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화력발전소의 각 사일로 별로 트리퍼 장치를 설치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연속적으로 가동하면서 원료탄을 투입하는 새로운 형태의 원료탄 투입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1대의 트리퍼가 각 사일로에 이동하면서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없앨 수 있고, 원료탄 장입 과정에서 비산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원료탄 투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는 원료탄이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 상기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나란하게 위치되며 프레임 구조물의 하부에 링크구조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원료탄이 놓여져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평탄하게 펴주는 롤러 스테이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며 롤러 스테이지를 상하로 작동시키기 위한 파워 실린더, 상기 파워 실린더의 로드와 롤러 스테이지의 일측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롤러 스테이지의 상하 작동을 매개하는 링크장치,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내측에 지지되며 컨베이어의 상면에 근접되는 동시에 컨베이어 진행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배치되면서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원료탄의 낙하를 유도하는 스크래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하단 한쪽 옆에 설치되며 스크래퍼에 의해 한쪽으로 밀려나면서 낙하하는 원료탄을 사일로측으로 안내하는 슈트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료탄 장입 과정에서 비산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운탄 벨트 컨베이어를 연속적으로 가동함과 더불어, 각각의 사일로에 하나씩 배속되어 원료탄의 투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벨트 트리퍼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각 사일로 별 상탄이 이루어지므로, 종전과 같이 상탄시 1대의 트리퍼가 각 사일로에 이동하면서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없앨 수 있는 등 설비의 가동 효율과 원료탄 투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원료탄의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트리퍼가 각 사일로 별로 설치되어 있어서 원료탄 장입에 개별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넷째, 트리퍼 돌발사고 발생시 라인 전체가 정지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운탄 벨트 컨베이어의 연속적인 가동이 가능하고, 장비 구조의 간소화로 인하여 정비 및 돌발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트리퍼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트리퍼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트리퍼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트리퍼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트리퍼 장치를 이용하여 원료탄을 투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트리퍼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 트리퍼 장치는 석탄 화력 발전소에 설치되어 각 사일로에 원료탄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낙탄 및 분진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각 사일로 별로 1대씩 배속되어 운영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원료탄이 이송되는 벨트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10)이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 구조물(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파워 실린더(12)와 롤러 스테이지(11)가 배치되며, 상기 파워 실린더(12)와 롤러 스테이지(11) 사이에는 링크장치(13)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 구조물(10)은 벨트 컨베이어(100)측 프레임이나 사일로측 프레임 등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서포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사각의 틀 모양을 이루면서 벨트 컨베이어(100)의 상부로부터 일정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워 실린더(12)는 롤러 스테이지(11)를 상하로 작동시켜주는 액추에이터로서, 프레임 구조물(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이때의 실린더 로더는 후술하는 링크장치(13)의 힌지(20)와 연결되어 실린더 전후진 작동시 힌지(20)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러 스테이지(11)는 파워 실린더(12)의 가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U"자 형태로 진행되어 오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를 평탄하게 펴주는 수단으로서, 사각틀 구조의 테이블(16), 상기 테이블(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브라켓(25)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되는 다수의 캐리어 롤러(17)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의 캐리어 롤러(17)들의 회전방향은 벨트 컨베이어(100)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을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벨트의 저면과 접촉 및 받쳐주면서 벨트를 평탄하게 펴줌과 아울러 벨트 진행시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롤러 스테이지(11)는 프레임 구조물(10)의 하부에서 벨트 컨베이어(100)의 아래쪽에 나란하게 위치되며, 벨트 컨베이어(100)의 프레임측과 테이블(16)의 저면 일측 사이에 양단 베어링이 개재된 구조로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링크부재(26)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의 상기 링크부재(26)는 앞뒤로 한쌍씩 총 두쌍이 구비되어 롤러 스테이지(11)를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 스테이지(11)에는 캐리어 롤러(17)의 상부에서 롤러 양단부를 따라 배치되면서 별도의 브라켓상에 지지되는 MC 나일로 재질 등의 벨트가이드용 사이드 플레이트(18)가 구비되며, 이때의 벨트가이드용 사이드 플레이트(18)는 벨트 컨베이어(100)의 저면 가장자리와 접촉하면서 벨트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 스테이지(11)에는 롤러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갭 볼트(19)가 구비되며, 이때의 갭 볼트(19)는 캐리어 롤러(17)의 축지지부위를 밀거나 당겨줄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서 사행되는 반대방향으로 벨트가 작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의 확대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16)의 단부에는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갭 볼트(19)가 설치되고, 캐리어 롤러(17)을 지지하고 있는 브라켓(25)의 저면에는 수직의 지지부재가 일체 형성되는 동시에 이때의 지지부재는 테이블(16)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16)의 내측으로는 이동부재가 전후 이동가능하게 나란히 설치되는 동시에 이때의 이동부재는 각 지지부재들과 일체 연결되는 동시에 그 단부는 갭 볼트(19)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너트를 해제한 다음, 갭 볼트(19)를 조이거나 풀면, 캐리어 롤러(17) 및 브라켓(25), 그리고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이동부재 전체가 테이블(16)에 있는 장공의 범위 내에서 전후로 유동이 가능하게 되고, 결국 캐리어 롤러(17)의 단부의 위치가 앞뒤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해온 원료탄이 스크래퍼(14)에 의해 안내되어 슈트(15)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스크래퍼(14)의 작용에 의한 마찰력으로 인하여 벨트는 사행방지용 벨트 가이드 롤러(3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기존 이동라인을 벋어나려고 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 개의 캐리어 롤러(17)가 연동되게 반대쪽(슈트가 있는 쪽)으로 작동되도록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 되는데, 이를 조정하는 것이 갭 볼트(19)이다.
예를 들면, 도 2의 평면도에서 봤을 때,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아래 2개의 갭 볼트(19) 중에서 윗쪽 갭 볼트(19)를 벨트 진행방향 쪽으로 풀어서 롤러 단부를 당겨주고, 이와 동시에 아래쪽 갭 볼트(19)는 벨트 진행방향 반대쪽으로 조여서 롤러 단부를 밀어주면, 캐리어 롤러(17)들은 경사진 자세를 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행방지용 벨트 가이드 롤러(30)쪽으로 가려는 벨트를 강제적으로 작용된 반대편으로 사행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워 실린더(12)의 작동과 연동되면서 롤러 스테이지(11)를 상하로 작동시켜주는 수단으로 링크장치(13)가 마련된다.
상기 링크장치(13)는 파워 실린더(12)의 로드와 롤러 스테이지(11)의 테이블(16)에 있는 연결 브라켓(27)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롤러 스테이지(11)의 상하 작동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링크장치(13)는 힌지(20), 샤프트(21) 및 2개의 링크, 즉 제1링크(22)와 제2링크(23)를 포함하며, 이때의 상기 샤프트(21)는 프레임 구조물(10)의 상단부에서 구조물 폭방향을 가로질러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힌지(20)는 샤프트(21)의 길이 중간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일단은 파워 실린더(12)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22)와 제2링크(23)의 서로 접하는 일단은 접힘 및 펴짐 가능한 핀구조로 연결되는 동시에 각각의 다른 일단은 샤프트(21)의 단부와 롤러 스테이지(11)의 연결 브라켓(27)에 각각 연결된다.
이에 따라, 파워 실린더(12)가 작동하면 힌지(20) 및 샤프트(21)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링크(22) 및 제2링크(23)가 당겨지게 되면서 롤러 스테이지(11)가 양편의 링크부재(26)를 지지체로 하여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실질적으로 원료탄의 낙하를 유도하는 수단으로 스크래퍼(14)가 마련된다.
상기 스크래퍼(14)는 상부를 차단하는 곡선형의 폭단면을 갖는 마치 쟁기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레임 구조물(10)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벨트 컨베이어의 상면에 근접되는 동시에 벨트 컨베이어 진행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배치되고, 벨트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원료탄의 낙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스크래퍼(14)의 후면부에는 양쪽에 조절 볼트(24)를 가지는 스크래퍼지지용 플레이트(28)가 장착되고, 상기 스크레퍼지지용 플레이트(28)의 조절 볼트(24)가 프레임 구조물(10)로부터 연장되는 앞쪽과 뒷쪽의 지지판(29)상의 장공 내에 체결되므로서, 스크래퍼(24)는 스크래퍼지지용 플레이트(28)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스크래퍼(14)는 주행조건에 맞춰 양쪽의 조절 볼트(24)의 조작을 통해 상하 및 좌우로 사행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절 볼트(24)를 푼 상태에서 앞쪽의 조절 볼트(24)를 축으로 하여 뒷쪽의 조절 볼트(24)의 위치를 장공을 따라 움직이면 좌우의 사행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또 조절 볼트(24)가 체결되어 있는 지지판(29) 상부의 너트(미도시)를 조이거나 푸는 조작에 의해 스크래퍼(14)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래퍼(14)는 원료탄과 마찰되는 전면이 테프론 코팅재로 마감처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원료탄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원료탄의 진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14)의 뒷편에는 고무 재질의 스크래퍼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쟁기날 구조의 스크래퍼(14)가 1차로 벨트 위의 원료탄을 긁어내리고 나면 고무 재질의 스크래퍼가 남은 잔탄을 남김없이 긁어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래퍼(14)에 의해 유도되는 원료탄은 슈트(15)에 의해 사일로측으로 장입되는데, 이때의 슈트(15)는 프레임 구조물(10)의 하단 한쪽 옆에 설치되어, 스크래퍼(14)에 의해 한쪽으로 밀려나면서 낙하는 원료탄을 사일로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스크래퍼(14)로 원료탄을 긁어낼 때는 벨트와의 마찰 및 관성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가 슈트(15)의 반대방향으로 사행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행방지용 벨트 가이드 롤러(30)가 구비되며, 이때의 사행방지용 벨트 가이드 롤러(30)는 프레임 구조물(10)의 내측 한쪽 측면쪽, 즉 슈트(15)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벨트의 단부를 받쳐주면서 벨트가 슈트 반대쪽으로 사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14)의 설치와 관련한 다른 예로서, 상기 스크래퍼(14)는 지지판(29)의 위치를 변경하여 벨트컨베이어에 사선으로 설치된 스크래퍼(14)를 필요시 반대쪽으로 고정시켜 원료탄이 슈트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트리퍼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 트리퍼 장치(300)는 화력발전소 등에서 원료탄 등을 이송하여 각 미분기의 사일로로 분배시키는 장치로서, 벨트 컨베이어 및 트리퍼 카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탄을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사일로(200)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1열의 벨트 컨베이어(100)가 설치되고, 각 사일로(200) 별로 1대씩의 벨트 트리퍼 장치(300)가 배속된다.
이때, 상기 벨트 트리퍼 장치(300)는 원료탄 장입 사일로(200)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U"자 형태의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탄을 롤러 스테이지를 통해 평평한 상태로 상부로 당겨주면서 스크래퍼의 안내를 통해 사일로로 낙하시켜주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벨트 트리퍼 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스프립퍼 장치를 이용하여 원료탄을 투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사일로로 원료탄을 장입하는 경우, 원료탄이 담겨져 있는 벨트를 하부의 롤러 스테이지(11)가 파워 실린더(12)의 구동에 의해 스크래퍼(14)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로 움직이면서 평탄하게 펴주게 되고, 계속해서 벨트상의 원료탄은 스크레퍼(14)에 의해 벨트 방향과 사선으로 진행되고, 계속해서 슈트(15)를 거쳐 하부 사일로로 낙하하게 된다.
즉, 원료탄 장입시 아이들러에 의해 곡선을 이루며 진행하는 벨트 컨베이어는 파워 실린더(12)의 작동 및 링크장치(13)의 움직임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는 롤러 스테이지(11)에 의해 평평한 상태로 유지되고, 이와 동시에 벨트 위의 원료탄은 스크래퍼(14)에 의해 상대적으로 긁어 내려지면서 슈트(15)를 통해 떨어지게 된다.
이때의 벨트 트리퍼 장치의 작동은 파워 실린더(12)의 전진→힌지(20) 및 샤프트(21)의 회전→제1링크(22)와 제2링크(23)의 연동→롤러 스테이지(11)의 상승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이렇게 롤러 스테이지(11)가 상승하게 되면, "U"자 형태의 벨트는 평탄하게 펴지게 되고, 따라서 벨트를 따라 이송되어온 원료탄은 사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스크래퍼(14)에 의해 슈트(15)가 있는 한쪽으로 유도되면서 낙하되어 사일로 내로 장입된다.
따라서, 원료탄 장입 과정에서 비산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벨트 컨베이어의 연속적인 가동을 통해 원료탄을 효과적으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10 : 프레임 구조물 11 : 롤러 스테이지
12 : 파워 실린더 13 : 링크장치
14 : 스크래퍼 15 : 슈트
16 : 테이블 17 : 캐리어 롤러
18 : 벨트가이드용 사이드 플레이트 19 : 갭 볼트
20 : 힌지 21 : 샤프트
22 : 제1링크 23 : 제2링크
24 : 조절 볼트 25 : 브라켓
26 : 링크부재 27 : 연결 브라켓
28 : 스크래퍼지지용 플레이트 29 : 지지판
30 : 사행방지용 벨트 가이드 롤러

Claims (9)

  1. 원료탄이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10);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나란하게 위치되며 프레임 구조물(10)의 하부에 링크구조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원료탄이 놓여져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평탄하게 펴주는 롤러 스테이지(11);
    상기 프레임 구조물(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롤러 스테이지(11)를 상하로 작동시키기 위한 파워 실린더(12);
    상기 파워 실린더(12)의 로드와 롤러 스테이지(11)의 일측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롤러 스테이지(11)의 상하 작동을 매개하는 링크장치(13);
    상기 프레임 구조물(10)의 내측에 지지되며 컨베이어의 상면에 근접되는 동시에 벨트 컨베이어 진행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배치되면서 벨트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원료탄의 낙하를 유도하는 스크래퍼(14);
    상기 프레임 구조물(10)의 하단 한쪽 옆에 설치되며 스크래퍼(14)에 의해 한쪽으로 밀려나면서 낙하는 원료탄을 사일로측으로 안내하는 슈트(1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 스테이지(11)는 사각틀 구조의 테이블(16)과, 상기 테이블(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면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다수의 캐리어 롤러(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 스테이지(11)는 각 캐리어 롤러(17)의 상부에서 양단부를 따라 배치되어 컨베이어 벨트와 접촉하면서 벨트의 진행을 안내하는 벨트가이드용 사이드 플레이트(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 스테이지(11)는 캐리어 롤러(17)의 축지지부위에 설치되어 롤러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갭 볼트(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13)는 파워 실린더(12)의 로드에 일단이 연결되는 힌지(20)와, 프레임 구조물(10)의 상단을 가로질러 배치되면서 양단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힌지(20)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는 샤프트(21)와, 서로 접하는 일단은 접힘 및 펴짐이 가능한 핀구조로 연결되고 각각의 다른 일단은 샤프트(21)의 단부와 롤러 스테이지(11)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링크(22) 및 제2링크(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14)는 양쪽의 조절 볼트(24)의 조작을 통해 상하 및 좌우로 사행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14)는 지지판(29)의 위치를 변경하여 벨트컨베이어에 사선으로 설치된 스크래퍼(14)를 필요시 반대쪽으로 고정시켜 원료탄이 슈트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14)는 원료탄과 마찰되는 전면이 테프론 코팅재로 마감처리되어 있어서 원료탄의 부착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10)의 내측 한쪽 측면쪽에는 컨베이어 벨트가 슈트 반대쪽으로 사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행방지용 벨트 가이드 롤러(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KR1020100084823A 2010-08-31 2010-08-31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KR101006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823A KR101006073B1 (ko) 2010-08-31 2010-08-31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823A KR101006073B1 (ko) 2010-08-31 2010-08-31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073B1 true KR101006073B1 (ko) 2011-01-04

Family

ID=4361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823A KR101006073B1 (ko) 2010-08-31 2010-08-31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07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23B1 (ko) * 2011-11-08 2013-09-17 주식회사 포스코 수송물 입조 장치
KR101341902B1 (ko) * 2012-05-04 2013-12-16 현대로템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원료 이송방향 전환장치
KR20200123939A (ko) 2019-04-23 2020-11-02 이원만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CN114834855A (zh) * 2022-02-16 2022-08-02 呼伦贝尔安泰热电有限责任公司牙克石热电厂 一种电厂燃煤输送用皮带机智能化清理机构
KR20220162611A (ko)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
CN116674981A (zh) * 2023-06-01 2023-09-01 焦作鑫恒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移动铧犁式卸料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6419A (en) 1981-12-18 1984-06-26 Counts Lowell R Conveyor unloading apparatus
JPH0797021A (ja) * 1993-09-29 1995-04-11 Kajima Corp 土砂等の搬送装置
EP1702870A1 (en) 2005-03-14 2006-09-20 Vanderlande Industries Nederland B.V. Device for selectively diverting products sideways from a conveyor
KR100945677B1 (ko) 2008-01-30 2010-03-05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낙광방지 기능을 갖는 컨베어벨트의 벨트스커트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6419A (en) 1981-12-18 1984-06-26 Counts Lowell R Conveyor unloading apparatus
JPH0797021A (ja) * 1993-09-29 1995-04-11 Kajima Corp 土砂等の搬送装置
EP1702870A1 (en) 2005-03-14 2006-09-20 Vanderlande Industries Nederland B.V. Device for selectively diverting products sideways from a conveyor
KR100945677B1 (ko) 2008-01-30 2010-03-05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낙광방지 기능을 갖는 컨베어벨트의 벨트스커트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23B1 (ko) * 2011-11-08 2013-09-17 주식회사 포스코 수송물 입조 장치
KR101341902B1 (ko) * 2012-05-04 2013-12-16 현대로템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원료 이송방향 전환장치
KR20200123939A (ko) 2019-04-23 2020-11-02 이원만 저탄장 컨베이어 접근 경보 시스템
KR20220162611A (ko)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
CN114834855A (zh) * 2022-02-16 2022-08-02 呼伦贝尔安泰热电有限责任公司牙克石热电厂 一种电厂燃煤输送用皮带机智能化清理机构
CN116674981A (zh) * 2023-06-01 2023-09-01 焦作鑫恒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移动铧犁式卸料装置
CN116674981B (zh) * 2023-06-01 2024-04-16 焦作鑫恒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移动铧犁式卸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073B1 (ko)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CA2928103C (en) Apparatus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US9890344B2 (en) Apparatus for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supply of input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WO2020007369A1 (zh) 一种全滚动摩擦链板托轮给料机
CN204574734U (zh) 一种卧式煤球烘干机链板输送装置
KR101568345B1 (ko)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
US20110297060A1 (en) Conveyor device for combustion boilers
CN113503549B (zh) 一种可调式垃圾衍生燃料(rdf)给料装置及方法
US20090114519A1 (en) Process and Equipment for the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KR20120099958A (ko) 화력 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CN219300787U (zh) 一种入炉煤防堵装置
KR20080002880U (ko) 주름혹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한 트리퍼 컨베이어의 양방향운탄 장치
RU2586418C2 (ru) Колосниковая решетка котла и котел
CN117285956A (zh) 一种煤调湿装置
US4270469A (en) Coal-feeding mechanism for a fluidized bed combustion chamber
KR101497571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CN203975748U (zh) 一种链斗提升机
CN202807678U (zh) 一种新型水平链条式除渣机
CN215853642U (zh) 一种可调式垃圾衍生燃料(rdf)给料装置
GB2031564A (en) Heat soaking treatment for cold steel billets and/or hot steel billets
CN104713371B (zh) 烧结环冷机矿料摊平装置及方法
CN205221797U (zh) 一种刮板机装置
KR101526284B1 (ko)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의 고른 건조를 위한 정렬 장치
KR101524564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투입 석탄 분산 공급 및 분진 감소 장치
PL83560B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