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571B1 -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571B1
KR101497571B1 KR20140073229A KR20140073229A KR101497571B1 KR 101497571 B1 KR101497571 B1 KR 101497571B1 KR 20140073229 A KR20140073229 A KR 20140073229A KR 20140073229 A KR20140073229 A KR 20140073229A KR 101497571 B1 KR101497571 B1 KR 101497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feeder
dust
pair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곤
김용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140073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571B1/ko
Priority to AU2015278427A priority patent/AU2015278427B2/en
Priority to US15/320,021 priority patent/US9890344B2/en
Priority to CN201580032304.9A priority patent/CN106461325A/zh
Priority to RU2017101212A priority patent/RU2017101212A/ru
Priority to PCT/KR2015/006152 priority patent/WO2015194863A1/ko
Priority to CA2951797A priority patent/CA2951797A1/en
Priority to PH12016502514A priority patent/PH1201650251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10B57/08Non-mechanical pretreatment of the charge, e.g. desulfurization
    • C10B57/10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9/0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 C10L9/08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by heat treatments, e.g. calcining
    • C10L9/083Torref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열증기를 이용하여 석탄을 건조시키는 다단의 건조기에서 미분기를 거쳐 석탄 정량공급기로부터 다단의 건조기로 석탄을 공급할 때에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석탄이 이송장치로 분산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석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제1구동 스프로킷과 한 쌍의 제1종동 스프로킷이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제1체인들로 체결되고, 제1체인들 사이에 복수의 제1이송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되며, 제1구동 스프로킷과 제1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제1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제1구동 스프로킷과 제1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하측 제1체인 아래에 제1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1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1증기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1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2증기챔버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1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1배가스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1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2배가스챔버가 설치된 제1석탄건조기; 및 한 쌍의 제2구동 스프로킷과 한 쌍의 제2종동 스프로킷이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제2체인들로 연결되고, 제2체인들 사이에 복수의 제2이송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되며, 제2구동 스프로킷과 제2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제2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제2구동 스프로킷과 제2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하측 제2체인 아래에 제2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4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3증기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2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4증기챔버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2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3배가스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4배가스챔버가 설치된 제2석탄건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석탄건조기에서 1차 건조된 석탄을 제2석탄건조기로 투입시켜 2차 건조되도록 이루어진 석탄 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의 위를 향하는 표면으로 일정량의 석탄을 공급하는 석탄 정량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석탄 정량공급기의 배출구에 베어링으로 결합되는 입구관과, 상기 입구관 외주면에 결합된 웜휠과, 상기 웜휠과 기어 결합되고 모터에서 전달된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웜과, 상기 입구관에 상단이 결합된 곡관과, 상기 곡관 단부에 결합된 출구관으로 이루어진 분진감소기를 포함하며, 상기 분진감소기 하부에 고정부재로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일정 각도의 경사각이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산공급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분진감소기가 석탄 정량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석탄의 속도를 감소시킨 후 분산공급기로 공급하고, 상기 분산공급기는 제1이송플레이트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 균일하게 석탄을 분산시켜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는 석탄을 이송시키는 이송플레이트 위에 석탄을 공급하는 동안 분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분진에 의한 석탄 건조 장치의 오염 또는 공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시켜 환경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이송플레이트 표면에 일정 비율로 석탄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석탄입자에 고온의 재열증기가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화력발전소의 사용 연료인 석탄 내부와 외부에 잔존하는 수분 제거로 석탄의 불완전연소를 방지할 수 있고, 석탄 열량의 향상과 공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며, 더욱이 분진에 의한 석탄의 착화나 자연발화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요가 적은 저급 석탄의 활용도를 높여 석탄 공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 Coal for Dust-Reduction and Dispersion Supply in System for Drying Coal}
본 발명은 석탄 건조 장치에서 건조를 위하여 공급되는 석탄의 분진을 감소시키고 분산 공급하기 위한 석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열증기를 이용하여 석탄을 건조시키는 다단의 건조기에서 미분기를 거쳐 석탄 정량공급기로부터 다단의 건조기로 석탄을 공급할 때에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석탄이 이송장치로 분산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석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을 연료로 발전하는 화력발전소에서는 500MW당 대략 180ton/hr의 석탄을 연소하며, 미분기 1대당 대략 37ton에 상당하는 석탄을 보일러에 공급한다. 석탄을 사용하는 500MW의 화력발전소에는 대략 500ton 용량의 석탄저장소가 대략 6개가 설치되고, 그 중 5개는 정상적인 석탄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나머지 1개는 예비로 일정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석탄을 비축하는 저탄장으로 운영된다.
더욱이 석탄을 연료로 발전하는 화력발전소에서는 석탄에 대한 표준화력 설계기준은 6,080Kcal/Kg, 10%이하의 저수분 역청탄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몇몇 화력발전소에서는 수입된 석탄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 중 일부 아역청탄의 평균 수분 함수율이 17%이상 되는 것도 있어서 보일러의 연소효율을 저하시킨다. 표준화력 연소한계가 5,400Kcal/Kg으로 사용하는 석탄의 발열량이 낮을 경우에는 연소효율의 저하로 발전량 감소와 연료소비량의 증가가 예상된다. 더욱이 고수분의 저열량탄인 아역청탄을 사용할 때에 수분함량이 설계기준보다 높아 석탄을 운반하는 이송계통이 원활하지 않고, 미분기로 석탄을 분쇄할 때에 능률의 저하, 일부 불완전 연소에 따른 연소효율의 저하, 보일러 내에서 발생되는 열 분포의 편류와 비정상 상태로 운전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에서 연료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아역청탄의 사용 비중이 대략 41~60%까지 차츰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세계 경기회복의 기대와 일본의 대지진에 의한 원자력발전소의 파괴로 안전문제에 직면하여 화력발전소에 대한 선호가 높아져 석탄의 수요와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 석탄시장은 수요자에서 공급자 중심으로 환경이 변화되고 있어 안정적인 석탄의 수급이 어려운 실정이고, 고열량탄의 생산량은 현재 수준으로 유지될 전망이어서 석탄 수급의 불균형이 예상된다.
세계 석탄의 총 매장량 중에서 저열량탄은 대략 47%로 매장량은 많지만 발열량이 낮고 수분함량이 높아 연소 때에 연소 장애 등 고수분 저열량탄은 완전 연소에 어려움이 있어 시장에서 외면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근래까지 석유의 안정된 가격과 원자력발전의 저렴한 생산단가에 의지하는 경향이 높았지만, 최근 석유 가격의 급격한 상승과 원자력발전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석탄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의 건설이 많이 계획되고 있다.
종래에 석탄을 건조하는 기술(열적 건조)은 석탄이 투입된 원통의 쉘(Shell)을 회전시키면서 내부의 석탄입자를 고온의 가스로 건조시키는 로터리 건조방식과, 석탄을 위에서 아래로 공급하면서 고온의 건조가스를 아래에서 위로 상승시켜 건조시키는 플래쉬(Flash, Pneumatic) 건조방식과, 고온의 건조가스가 미세한 입자를 동반하여 위로 상승하면서 석탄을 건조시키는 플루이드 베드(Fluid-Bed) 건조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석탄은 석탄입자 사이의 공극에 부착된 표면수분과 석탄 내부의 기공에 결합되는 결합수분으로 구분된다. 표면수분은 산지에서의 세척과정과 수송 및 저장 때에 살포되는 수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표면적과 흡수성에 따라 그 양이 결정되며,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커지고 입자와 입자 사이의 모세관이 형성되어 수분을 함유하게 되어 함수율이 커진다. 결합수분은 석탄의 생성기에 형성된 것으로 갈탄, 유연탄(역청탄, 아역청탄), 무연탄 순으로 적다. 석탄에 수분이 많으면 발열량이 낮아지고 수송비도 증가하므로 석탄의 혼합, 분쇄, 분리 등의 과정에서 수분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분쇄된 석탄을 다단의 건조기, 즉 재열증기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컨베이어 또는 복수로 결합된 이송플레이트를 통해 이송시키면서 건조기 아래에서 고온의 재열증기를 분사하여 석탄을 건조시키는 장치에서 투입된 석탄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열증기를 분사시켜도 석탄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석탄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의 단수나 길이를 늘려야 하고, 건조를 위한 재열증기의 공급량이 많아져 석탄 건조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석탄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건조기에 미분된 석탄을 공급할 때에 석탄 입자가 비산되어 분진이 발생한다. 분진을 환경오염으로 작용하거나 또는 석탄 건조 장치의 오작동을 유발한다. 또한, 석탄 건조 장치의 유지 보수에 따른 빈번한 청소를 수반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1은 저급 석탄 안정화 장치에서 1차 건조된 저급 석탄에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투입되는 중유회 분말과의 균일한 혼합을 위한 물결모양(Wave-type)의 진동유동판이 구비되어 있다. 진동유동판은 저급 석탄과 중유회 분말이 고르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석탄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증기가 석탄 표면에 일정하게 분사되지 못하여 건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0793호(2010.06.03., 공고, 저급 석탄의 고품위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력발전소의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을 건조기로 이송시키는 동안 재열증기로 건조시키는 석탄 건조 장치에서 석탄 정량공급기로부터 건조기로 석탄을 공급할 때에 분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일정 비율로 분산시켜 공급함으로써 석탄 건조 장치의 건조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석탄의 효과적인 건조로 석탄의 적정 함수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석탄의 발열량을 높임으로써 화력발전소 보일러의 연소효율을 향상시켜 연료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석탄에 함유된 수분의 조절로 석탄의 불완전연소로 인한 환경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술과 화력발전소에 적용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1구동 스프로킷과 한 쌍의 제1종동 스프로킷이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제1체인들로 체결되고, 제1체인들 사이에 복수의 제1이송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되며, 제1구동 스프로킷과 제1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제1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제1구동 스프로킷과 제1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하측 제1체인 아래에 제1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1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1증기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1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2증기챔버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1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1배가스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1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2배가스챔버가 설치된 제1석탄건조기; 및 한 쌍의 제2구동 스프로킷과 한 쌍의 제2종동 스프로킷이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제2체인들로 연결되고, 제2체인들 사이에 복수의 제2이송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되며, 제2구동 스프로킷과 제2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제2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제2구동 스프로킷과 제2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하측 제2체인 아래에 제2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4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3증기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2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4증기챔버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2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3배가스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4배가스챔버가 설치된 제2석탄건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석탄건조기에서 1차 건조된 석탄을 제2석탄건조기로 투입시켜 2차 건조되도록 이루어진 석탄 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의 위를 향하는 표면으로 일정량의 석탄을 공급하는 석탄 정량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석탄 정량공급기의 배출구에 베어링으로 결합되는 입구관과, 상기 입구관 외주면에 결합된 웜휠과, 상기 웜휠과 기어 결합되고 모터에서 전달된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웜과, 상기 입구관에 상단이 결합된 곡관과, 상기 곡관 단부에 결합된 출구관으로 이루어진 분진감소기를 포함하며, 상기 분진감소기 하부에 고정부재로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일정 각도의 경사각이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산공급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분진감소기가 석탄 정량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석탄의 속도를 감소시킨 후 분산공급기로 공급하고, 상기 분산공급기는 제1이송플레이트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 균일하게 석탄을 분산시켜 공급하는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공급기는 표면에 복수의 돌기 또는 엠보싱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공급기는 표면이 일정 간격의 산과 골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공급기는 제1이송플레이트가 이송되는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곡관은 관 단면이 지그재그형, 트위스트형 또는 나선형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입구관과 출구관은 동일한 중심축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모터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정역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웜휠과 웜이 케이스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출구관을 제외한 분진감소기 전체가 케이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는 석탄을 이송시키는 이송플레이트 위에 석탄을 공급하는 동안 분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분진에 의한 석탄 건조 장치의 오염 또는 공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시켜 환경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이송플레이트 표면에 일정 비율로 석탄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석탄입자에 고온의 재열증기가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화력발전소의 사용 연료인 석탄 내부와 외부에 잔존하는 수분 제거로 석탄의 불완전연소를 방지할 수 있고, 석탄 열량의 향상과 공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며, 더욱이 분진에 의한 석탄의 착화나 자연발화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요가 적은 저급 석탄의 활용도를 높여 석탄 공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진 감소를 위한 석탄 공급 장치가 적용된 석탄 건조 장치로부터 고열량탄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한 저열량탄의 사용이 가능하고, 석탄 수입량 감소로 연료비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석탄 소비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어 연소가스로부터 발생되는 폐기물 및 오염물질 배출의 저감과 이산화탄소 감축할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해외기술의 대체효과와 설비의 해외 수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 건조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탄 건조 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 건조 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가 설치된 주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공급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공급기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나 이송플레이트 등의 이송장치에 석탄을 공급할 때에 석탄의 분진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석탄을 분산시켜 공급하는 것이다. 더욱이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는 미분된 석탄을 일정량씩 공급하는 석탄 정량공급기에서 이송장치로 석탄을 투입하여 석탄을 이송시키는 동안 고온의 재열증기를 분사하여 석탄을 건조시키는 석탄 건조 장치에 설치된다.
도 1에서, 저탄장(200)은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석탄을 보관 및 저장하는 곳이다. 석탄은 표면 수분과 내부 수분이 포함되어 있다. 더욱이 저탄장(200)에 저장된 석탄은 주기적으로 물을 뿌려 석탄가루의 비산을 방지하고 있다. 저탄장(200)에 저장된 석탄은 컨베이어시스템 등의 이송수단을 통해 석탄 건조 장치(100)로 이송된다. 이때, 수분이 제거되지 않은 저탄장(200)의 석탄을 석탄 건조 장치와 연결된 건조용 석탄 공급탱크(300)로 옮겨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석탄 공급탱크(300)에 저장된 석탄은 석탄 정량공급기(400)에서 일정량으로 석탄 건조 장치(100)에 공급되도록 한다. 석탄 건조 장치(100)는 복층으로 설치된 제1석탄건조기(110)와 제2석탄건조기(140)를 거쳐 배출되는 석탄을 자연 건조시키기 위한 제3석탄건조기(170)가 포함된다. 제1석탄건조기(110)와 제2석탄건조기(140)는 대략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3석탄건조기(170)를 거치면서 자연 건조된 석탄은 건조석탄 저장조(600)에 저장되었다가 화력발전소(700)의 보일러 연료로 공급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석탄의 분진 감소를 위한 분진감소기(10)와 석탄의 분산 공급을 위한 분산공급기(20)가 설치된 석탄 건조 장치(100)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석탄 건조 장치(100)는 석탄 정량공급기(400)에서 투입된 석탄을 다단의 건조기, 즉 제1석탄건조기(110)와, 제1석탄건조기에서 건조된 석탄을 2차 건조시키는 제2석탄건조기(140), 그리고 제2석탄건조기에서 건조된 석탄을 자연 건조시킨 후 건조석탄 저장조(50)로 공급하는 제3석탄건조기(170)를 포함한다.
제1석탄건조기(110)는 한 쌍의 제1구동 스프로킷(111)과 한 쌍의 제1종동 스프로킷(112)이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제1체인(113)들로 체결되고, 제1체인(113)들 사이에 복수의 제1이송플레이트(114)가 힌지 결합되며, 제1구동 스프로킷(111)과 제1종동 스프로킷(112) 사이에 연결된 상측 제2체인(143) 아래에 제1이송플레이트(114)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115)이 설치되고, 제1구동 스프로킷(111)과 제1종동 스프로킷(112) 사이에 연결된 하측 제1체인(113) 아래에 제1이송플레이트(114)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116)이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1체인(113) 아래에 재열기(500)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1증기챔버(120)이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1체인(113) 아래에 재열기(500)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2증기챔버(123)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1체인(113)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1배가스챔버(124)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1체인(113)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2배가스챔버(126)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2석탄건조기(140)는 한 쌍의 제2구동 스프로킷(141)과 한 쌍의 제2종동 스프로킷(142)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제2체인(143)들로 연결되고, 제2체인(143)들 사이에 복수의 제2이송플레이트(144)가 힌지 결합되며, 제2구동 스프로킷(141)과 제2종동 스프로킷(142) 사이에 연결된 상측 제2체인(143) 아래에 제2이송플레이트(144)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145)이 설치되고, 제2구동 스프로킷(141)과 제2종동 스프로킷(142) 사이에 연결된 하측 제2체인(143) 아래에 제2이송플레이트(144)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4가이드레일(146)이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2체인(143) 아래에 재열기(500)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3증기챔버(150)이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2체인(143) 아래에 재열기(500)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4증기챔버(153)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2체인(143)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3배가스챔버(154)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2체인(143)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4배가스챔버(156)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이송플레이트(114)에는 제1증기챔버(120)와 제2증기챔버(123)에서 분사된 재열증기가 제1이송플레이트(114)를 관통하여 석탄입자에 접촉되도록 복수의 통공(114a)이 형성된다. 제1이송플레이트(114) 상단면 좌우측에는 투입된 석탄더미가 제1이송플레이트(114) 좌측이나 우측 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일정 높이의 가드(114b)가 설치된다. 가드(114b)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의 형상이다. 따라서 제1이송플레이트(114)의 가드(114b)는 상호 인접하는 가드(114b)와 상부가 겹쳐지게 된다. 이때, 제1이송플레이트(114)의 가드(114b)는 상호 인접하는 가드(114b)와 대략 지그재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이송플레이트(114) 하단면 좌우측에는 제1증기챔버(120)와 제2증기챔버(123)에서 분사되는 재열증기가 제1증기챔버(120)와 제2증기챔버(123) 각각의 좌우측으로 분사되어 소실되지 않도록 차폐판(114c)이 설치된다.
또한, 제2이송플레이트(144)에는 제3증기챔버(150)와 제4증기챔버(153)에서 분사된 재열증기가 제2이송플레이트(144)를 관통하여 석탄입자에 접촉되도록 복수의 통공(144a)이 형성된다. 제2이송플레이트(144) 상단면 좌우측에는 투입된 석탄더미가 제2이송플레이트(144) 좌측이나 우측 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일정 높이의 가드(144b)가 설치된다. 가드(144b)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의 형상이다. 따라서 제2이송플레이트(144)의 가드(144b)는 상호 인접하는 가드(144b)와 상부가 겹쳐지게 된다. 이때, 제2이송플레이트(144)의 가드(144b)는 상호 인접하는 가드(144b)와 대략 지그재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2이송플레이트(144) 하단면 좌우측에는 제3증기챔버(150)와 제4증기챔버(153)에서 분사되는 재열증기가 제3증기챔버(150)와 제4증기챔버(153) 각각의 좌우측으로 분사되어 소실되지 않도록 차폐판(144c)이 설치된다.
도 4에서, 분진감소기(10)는 석탄 정량공급기(400) 하단에 설치된다. 분진감소기(10)는 제1석탄건조기(110)의 복수 제1이송플레이트(114)의 위를 향하는 표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한, 분산공급기(20)는 분진감소기(10) 아래에 설치된다. 따라서 석탄 정량공급기(400)에서 공급된 석탄은 분진감소기(10)에서 분진이 감소된 후에 분산공급기(20)에서 일정량씩 분산되어 제1이송플레이트(114)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 공급되도록 한다.
더욱이 분진감소기(10)는 석탄 정량공급기(400)의 배출구(401)에 베어링으로 입구관(11)이 결합된다. 입구관(11) 외주면에 웜휠(14)이 결합된다. 웜휠(14) 외주에 형성된 기어에 웜(15)이 치합된다. 웜(15)은 웜휠(14)과 기어 결합되고 모터(16)에서 전달된 회전력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한다. 웜휠(14)은 웜(15)과의 일정 기어비로 기어 결합되되, 웜횔(14)은 웜(15)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킨다. 모터(16)는 일정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 수 있다. 곡관(17)은 입구관(11)에 상단이 결합된 것이다. 곡관(17)은 일정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이다. 곡관(17)은 관 단면이 지그재그 형상이거나 트위스트 형상 또는 나선 형상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곡관(17)은 석탄 정량공급기(400)에서 공급되는 석탄(C)의 방향을 변화시켜 석탄이 공급되는 속도를 감속시킨다. 더욱이 곡관(17)의 휨이나 비틀림은 최소 2회 이상인 것이 좋다. 곡관(17) 단부에는 출구관(12)이 결합된다. 출구관(12)은 석탄(C)이 제1이송플레이트(114) 위에 투입되는 방향을 결정한다. 또한, 입구관(11)과 출구관(12)은 대략 동일한 중심축 상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분진감소기(10)의 입구관(11) 외주에 설치된 웜휠(14)과 웜(15) 및 모터(16)를 밀폐시킬 수 있는 케이스(18)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석탄(C)이 제1이송플레이트(114) 표면 위에 공급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분진에 의하여 웜휠(14)과 웜(15), 그리고 모터(16)의 망실이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케이스(18)는 분진감소기(10)의 출구관(12)을 제외한 전체 부위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도 5에서, 분진감소기(10)는 석탄 정량공급기(400)에서 일정량으로 공급되는 석탄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이송플레이트(114)의 위를 향하는 표면으로 투하되는 속도를 늦추어 분진 발생을 억제시킨다.
또한, 분산공급기(20)는 하부에 한 쌍의 고정부재(24)로 고정 설치된다. 고정부재(24) 하부는 가이드레일(115) 일측에 고정되어 상부는 분산공급기(20) 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고정부재(24)는 분산공급기(20) 측방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좋다. 분산공급기(2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일정 각도의 경사각이 형성된다. 즉 분진감소기(10)에서 투하된 석탄(C)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분산공급기(20)에서 미끄러지듯이 하강하여 제1이송플레이트(114) 표면 위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분산공급기(2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이다. 즉 분산공급기(20) 상부에서 분진감소기(10)로부터 투하된 석탄(C)을 공급받아 제1이송플레이트(144)의 폭만큼 넓게 분산시켜 공급하도록 하는 형상이다.
도 6에서, 분산공급기(20)는 좌측 및 우측에 일정 높이의 측판(22)이 형성되어 석탄(C)이 분산공급기(20)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무단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분산공급기(20)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21)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기(21)는 분산공급기(20)의 표면에 부채 살과 같이 돌출 형성되어 분진감소기(10)에서 분산공급기(20) 상부 표면의 중앙으로 공급된 석탄(C)이 좌우로 펼쳐지면서 고르게 분산되어 공급되도록 한다.
더욱이 표면에 복수의 돌기(22)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분산공급기(20)의 표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즉 분산공급기(20)의 중심이 좌측이나 우측에 비하여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석탄(C)이 좌측이나 우측으로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도 7에서, 분산공급기(20)는 제1이송플레이트(114)가 이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석탄(C)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경우에는 분산공급기(20) 하단이 제1이송플레이트(114)의 표면에 거의 근접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8에서, 분산공급기(20)는 제1이송플레이트(114)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석탄(C)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경우에는 분산공급기(20) 하단이 제1이송플레이트(114) 사이에 일정 높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제1이송플레이트(114)로 공급된 석탄(C)이 분산공급기(20) 하단면과 제1이송플레이트(114) 상단면 사이를 통해 공급될 때에 분산공급기(20)에 의하여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는 석탄 정량공급기(400)의 배출구(401)를 통해 석탄(C)이 중력에 의하여 수직으로 투하된다. 이때, 석탄(C)은 분진감소기(10)의 곡관(17)을 거치면서 투하되는 속도가 감소된다. 즉 배출구(401)에서 투하된 석탄(C)이 곡관(17) 내부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관에 부딪히면서 좌측방향으로 공급되고, 다시 곡관(17) 내부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관에 부딪히면서 우측방향으로 공급된 후에 출구관(12)을 통해 제1이송플레이트(114) 위로 공급된다. 곡관(17)의 휨이나 비틀림의 회수에 따라 석탄(C)은 여러 번의 방향을 바꾸면서 속도가 감소된 후에 출구관(12)을 통해 공급된다.
또한, 분진감소기(10)는 모터(16)의 회전축에 결합된 윔(15)의 회전력으로 윔휠(14)이 회전되어 웜휠(14)이 장착된 입구관(11)이 회전된다. 입구관(11)의 회전은 곡관(17) 및 출구관(12)을 회전시킨다. 분진감소기(10)을 통과하는 석탄(C)은 휘었거나 비틀린 곡관(17)에 의한 영향과 곡관(17)의 회전력에 의하여 더욱 감속된 석탄(C)의 공급을 제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1이송플레이트(114) 표면 위에 공급되는 석탄(C)의 속도는 감속되어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분산공급기(20)는 분진감소기(10)에서 투하된 석탄(C)을 부채 살과 같이 넓게 펼쳐진 표면을 따라 고르게 분산시켜 제1이송플레이트(114) 표면 위로 공급시킨다. 분산공급기(20) 표면에 일정 간격 및 높이로 형성된 돌기(22) 또는 일정 간격의 산과 골이 형성된 요철(23)에 의하여 석탄(C)이 한 곳, 즉 중심으로 치우쳐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재열증기에 의한 효과적인 석탄의 건조가 가능하다.
또한, 도 9에서, 분산공급기(20)의 표면이 일정 간격의 산과 골로 요철(2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산공급기(20)의 좌측 및 우측의 측판(22) 사이에 일정 높이 및 깊이를 갖는 산과 골이 일정 주기로 형성되어 석탄(C)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요철(23)이 형성된 분산공급기(20)의 표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10에서, 분산공급기(20)의 상측 표면, 즉 분진감소기(10)의 출구관(12) 바로 아래 부분을 제외하고 상측 아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22)가 돌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돌기(22)들의 상측은 대략 위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석탄이 분산공급기(20)로 투하된 후에 각각 돌기(22)들 사이로 분산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11에서, 분산공급기(20)의 상측 표면, 즉 분진감소기(10)의 출구관(12) 바로 아래 부분에는 복수의 엠보싱(25)이 형성되고, 분산공급기(20) 상측 아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22)가 돌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돌기(22)들의 상측은 대략 위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석탄이 분산공급기(20)로 투하된 후에 엠보싱(25)에 의하여 더욱 분산되도록 한 후에 각각 돌기(22)들 사이로 분산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12에서, 또한, 도 10에서, 분산공급기(20)의 상측 표면, 즉 분진감소기(10)의 출구관(12) 바로 아래 부분을 제외하고 상측 아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22)가 돌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돌기(22)들의 상측은 대략 아래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석탄이 분산공급기(20)로 투하된 후에 각각 돌기(22)들 사이로 분산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는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분진감소기(10)가 석탄 정량공급기(400)에서 공급되는 석탄(C)의 속도를 감소시킨 후에 분산공급기(20)에서 석탄(C)을 일정 넓이로 분산시켜 제1이송플레이트(1140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 고르게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공급되는 석탄으로부터 분진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석탄을 고르고 평탄하게 공급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켜 석탄 건조 장치에서 석탄의 건조 과정에서 석탄의 비산을 막아 분진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와 석탄 건조 장치의 망실이나 오작동을 방지함과 더불어 석탄 건조 장치의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분진감소기 11: 입구관 12: 출구관 13: 베어링 14: 웜휠 15: 웜 16: 모터 17: 곡관 18: 케이스 20: 분산공급기 21: 돌기 22: 측판 23: 요철 24: 고정부재 25: 엠보싱 100: 석탄 건조 장치 110: 제1석탄건조기 111, 141: 구동 스프로킷 112, 142: 종동 스프로킷 113, 113a, 113b, 143, 143a, 143b: 체인 114, 144: 이송플레이트 114a, 144a: 통공 114b, 144b: 가드 114c, 144c: 차폐판 115, 116, 145, 146: 가이드레일 117, 157: 가이드 바 118, 148: 구동모터 119, 149: 감속기 120, 123, 150, 153: 증기챔버 121, 151: 증기공급관 124, 126, 154, 156: 배가스챔버 125, 155: 가스배출관 130, 160: 투입구 131, 161: 배출구 140: 제2석탄건조기 170: 제3석탄건조기 200: 저탄장 300: 건조용 석탄 공급탱크 400: 석탄 정량공급기 500: 재열기 600: 건조석탄 저장조 700: 화력발전소 C: 석탄

Claims (8)

  1. 한 쌍의 제1구동 스프로킷과 한 쌍의 제1종동 스프로킷이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제1체인들로 체결되고, 제1체인들 사이에 복수의 제1이송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되며, 제1구동 스프로킷과 제1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제1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제1구동 스프로킷과 제1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하측 제1체인 아래에 제1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1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1증기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1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2증기챔버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1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1배가스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1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2배가스챔버가 설치된 제1석탄건조기; 및
    한 쌍의 제2구동 스프로킷과 한 쌍의 제2종동 스프로킷이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제2체인들로 연결되고, 제2체인들 사이에 복수의 제2이송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되며, 제2구동 스프로킷과 제2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제2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제2구동 스프로킷과 제2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하측 제2체인 아래에 제2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4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3증기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2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4증기챔버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2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3배가스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4배가스챔버가 설치된 제2석탄건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석탄건조기에서 1차 건조된 석탄을 제2석탄건조기로 투입시켜 2차 건조되도록 이루어진 석탄 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의 위를 향하는 표면으로 일정량의 석탄을 공급하는 석탄 정량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석탄 정량공급기의 배출구에 베어링으로 결합되는 입구관과, 상기 입구관 외주면에 결합된 웜휠과, 상기 웜휠과 기어 결합되고 모터에서 전달된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웜과, 상기 입구관에 상단이 결합된 곡관과, 상기 곡관 단부에 결합된 출구관으로 이루어진 분진감소기를 포함하며,
    상기 분진감소기 하부에 고정부재로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일정 각도의 경사각이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산공급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분진감소기가 석탄 정량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석탄의 속도를 감소시킨 후 분산공급기로 공급하고, 상기 분산공급기는 제1이송플레이트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 균일하게 석탄을 분산시켜 공급하는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산공급기는 표면에 복수의 돌기 또는 엠보싱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산공급기는 표면이 일정 간격의 산과 골로 요철이 형성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산공급기는 제1이송플레이트가 이송되는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관은 관 단면이 지그재그형, 트위스트형 또는 나선형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관과 출구관은 동일한 중심축 상에 설치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정역모터가 적용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웜휠과 웜이 케이스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출구관을 제외한 분진감소기 전체가 케이스 내에 설치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KR20140073229A 2014-06-17 2014-06-17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KR101497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3229A KR101497571B1 (ko) 2014-06-17 2014-06-17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AU2015278427A AU2015278427B2 (en) 2014-06-17 2015-06-17 Apparatus for reducing dust of inputted coal and dispersedly supplying coal in apparatus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US15/320,021 US9890344B2 (en) 2014-06-17 2015-06-17 Apparatus for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supply of input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CN201580032304.9A CN106461325A (zh) 2014-06-17 2015-06-17 利用再热蒸汽的煤炭干燥装置中的投入煤炭粉尘减少及分散供给装置
RU2017101212A RU2017101212A (ru) 2014-06-17 2015-06-17 Устройство уменьшения пылеобразования 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одачи угля в систему сушки угля, использующую перегретый пар
PCT/KR2015/006152 WO2015194863A1 (ko) 2014-06-17 2015-06-17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투입 석탄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 장치
CA2951797A CA2951797A1 (en) 2014-06-17 2015-06-17 Apparatus for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supply of input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PH12016502514A PH12016502514A1 (en) 2014-06-17 2016-12-15 Apparatus for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supply of input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3229A KR101497571B1 (ko) 2014-06-17 2014-06-17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571B1 true KR101497571B1 (ko) 2015-03-02

Family

ID=5302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3229A KR101497571B1 (ko) 2014-06-17 2014-06-17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5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7555A (zh) * 2017-02-16 2017-06-20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清理煤调湿蒸汽回转干燥机内沉积物的方法
CN108007176A (zh) * 2017-11-30 2018-05-08 陈伟望 一种带式干燥机进料架
CN108180741A (zh) * 2017-11-30 2018-06-19 陈伟望 一种带式干燥机进料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3481B2 (ja) * 1993-11-04 1998-09-0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炉へのコークス炉芯装入方法
JP2004107732A (ja) * 2002-09-19 2004-04-08 Nippon Steel Corp 高炉の原料装入方法
KR101408148B1 (ko) * 2013-10-30 2014-06-17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재열증기 방식 석탄 건조 시스템
KR101408147B1 (ko) * 2013-10-30 2014-06-17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3481B2 (ja) * 1993-11-04 1998-09-0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炉へのコークス炉芯装入方法
JP2004107732A (ja) * 2002-09-19 2004-04-08 Nippon Steel Corp 高炉の原料装入方法
KR101408148B1 (ko) * 2013-10-30 2014-06-17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재열증기 방식 석탄 건조 시스템
KR101408147B1 (ko) * 2013-10-30 2014-06-17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7555A (zh) * 2017-02-16 2017-06-20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清理煤调湿蒸汽回转干燥机内沉积物的方法
CN106867555B (zh) * 2017-02-16 2019-09-24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清理煤调湿蒸汽回转干燥机内沉积物的方法
CN108007176A (zh) * 2017-11-30 2018-05-08 陈伟望 一种带式干燥机进料架
CN108180741A (zh) * 2017-11-30 2018-06-19 陈伟望 一种带式干燥机进料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147B1 (ko)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
US9890344B2 (en) Apparatus for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supply of input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JP5885113B2 (ja) 過熱蒸気を用いた石炭乾燥システム
US20180259252A1 (en) Dust Reduction Apparatus Depending on Supply of Falling Coal in Coal Drying Apparatus Using Reheat Steam
KR101497571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을 위한 석탄 공급 장치
AU2015278424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pontaneous ignition of transferred coal in apparatus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KR101549888B1 (ko)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투입 석탄 분산 공급 및 분진 감소 장치
AU2015278422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am pressure in apparatus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KR101524564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투입 석탄 분산 공급 및 분진 감소 장치
KR101497565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평탄화기
KR101526282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재열증기 분산 분사 장치
KR101524565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낙하 석탄의 공급에 따른 분진 감소 장치
KR101526283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플레이트에 고착된 석탄 잔류물 제거 장치
KR101413641B1 (ko) 화력발전소의 과열 증기를 활용한 석탄 건조시스템
KR101497570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를 위한 석탄 공급 장치
KR101524567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낙하 석탄의 이송에 따른 분진 차폐 장치
KR101497573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자연발화 방지 장치
KR101497572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자연발화 방지 장치
KR101526284B1 (ko)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의 고른 건조를 위한 정렬 장치
KR101513093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고른 건조를 위한 이송 석탄 가름 및 평탄 장치
KR101511109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낙하 석탄의 이송에 따른 감속 및 분진 차폐 장치
KR101497568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재열증기 공급 챔버의 증기압 조절 장치
KR101524568B1 (ko)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를 위한 석탄 공급 장치
KR101513081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의 편향 부하에 따른 분산 및 다단 평탄화 장치
KR101524566B1 (ko)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낙하 석탄의 공급에 따른 분진 억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