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345B1 -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 - Google Patents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345B1
KR101568345B1 KR1020140051764A KR20140051764A KR101568345B1 KR 101568345 B1 KR101568345 B1 KR 101568345B1 KR 1020140051764 A KR1020140051764 A KR 1020140051764A KR 20140051764 A KR20140051764 A KR 20140051764A KR 101568345 B1 KR101568345 B1 KR 101568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roller stage
scraper
guiding
ch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4777A (ko
Inventor
김성배
권용준
마재춘
최수복
Original Assignee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주)강원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주)강원산업기계 filed Critical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1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34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34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의 양방향 벨트 트리퍼에 관한 것으로, 스크래퍼를 스토리지(사일로, 슈트 등)의 위치에 따라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설치하여 석탄의 효율적이고 신속한 저장하고 벨트 컨베이어의 레벨을 동일하게 맞춰 승강시킴으로써 잔탄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력발전소의 양방향 벨트 트리퍼는, 원료탄이 이송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0)과;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승에 의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평탄화하는 롤러 스테이지(20)와; 상기 롤러 스테이지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 스테이지를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 직선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30)과;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며 원료탄을 스토리지로 유도하는 제1,2슈트(2,3)와; 상기 프레임을 통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롤러 스테이지의 상승시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 운반되는 원료탄을 상기 제1,2슈트 중 일측 이상으로 안내하는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를 통과한 잔탄을 상기 슈트로 유도하는 크리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롤러 스테이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호 간에 중앙부가 절첩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는 한편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롤러 스테이지와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2개 이상의 지지대(32,33)로 구성된 절첩형 리프트(31), 상기 절첩형 리프트를 펼치거나 접혀 상기 롤러 스테이지를 직선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UNI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BELT TRIPPER FOR THERMOELECTRIC POWER PLAN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래퍼를 스토리지(사일로, 슈트 등)의 위치에 따라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설치하여 석탄의 효율적이고 신속한 저장하고 벨트 컨베이어의 레벨을 동일하게 맞춰 승강시킴으로써 잔탄을 방지하는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는 석탄을 연소시켜 얻은 에너지로 보일러의 물을 끓여 증기로 만들고, 그 증기로 터빈을 회전시켜 회전력을 얻은 후, 터빈에 연결된 발전기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식과, 천연가스를 연소하여 만들어진 고온의 연소가스로 직접 가스터빈을 돌려 1차로 전기를 생산하고, 이때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보일러로 보내어 수증기를 발생시킨 후, 수증기의 힘으로 터빈을 돌려 2차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여기서, 석탄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소는 선박 등으로 싣고 온 석탄을 하역하고, 저탄소까지 운반한 후에 미분기에서 석탄을 잘게 부수어 보일러에서 잘 연소할 수 있도록 하는 운탄 설비, 석탄을 연소시킬 때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를 만들어내는 보일러, 보일러에서 만들어진 증기에 의해 고속 회전하면서 발전기를 돌려주는 터빈, 각종 처리를 거쳐 공업용수를 순수한 물로 만드는 물처리 설비, 물처리 설비를 통과한 순수한 물을 이용 후 복수기에서 응축시켜 보일러에 공급하는 급수계통, 터빈을 돌리고 고온의 증기를 복수기에서 냉각시키기 위해 바닷물을 공급하는 순환수 계통, 보일러 연소실에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시킨 가스를 전기 집진기에서 먼지를 제거하고 탈황 설비에서 황 성분을 제거한 뒤 연돌로 배출하는 통풍장치, 터빈에 의해 발전기가 회전하면서 생산한 전기를 변압기를 거쳐 승압한 후, 송전탑 선로를 통해 발전소 외부로 송전하는 전기 설비 등이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화력발전소의 운탄 설비에는 석탄을 이송하는 장비로서 트리퍼 장치가 구비된다.
보통 원료탄의 장입을 위해 각 사일로(Silo) 별로 길이방향으로 2열의 벨트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고, 각 사일로 장입을 위해 각 열에 1기의 트리퍼(Tripper)가 설치되어서 원료탄 장입을 위해 트리퍼가 해당 6개의 사일로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료탄을 공급하게 되어 있다.
기존 설치된 트리퍼는 각 사일로 이동시 일정시간이 필요하게 되며, 장치의 높이가 고낙차에 달하는 높이에서 원료탄이 낙하하게 되면서 다량의 비산먼지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트리퍼의 각 사일로 이동시 약 15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한 시프트(Shift)당 8회 정도의 이동을 하는 트리퍼로서는 2시간의 운탄 설비 가동 정지시간이 필요하게 되며, 트리퍼 설비의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정비 및 돌발 작업에 의해 환경 오염과 안전재해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개선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받은 등록특허 제10-1006073호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원료탄이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나란하게 위치되며 프레임 구조물의 하부에 링크구조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원료탄이 놓여져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평탄하게 펴주는 롤러 스테이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며 롤러 스테이지를 상하로 작동시키기 위한 파워 실린더; 상기 파워 실린더의 로드와 롤러 스테이지의 일측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롤러 스테이지의 상하 작동을 매개하는 링크장치;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내측에 지지되며 컨베이어의 상면에 근접되는 동시에 벨트 컨베이어 진행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배치되면서 벨트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원료탄의 낙하를 유도하는 스크래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하단 한쪽 옆에 설치되며 스크래퍼에 의해 한쪽으로 밀려나면서 낙하는 원료탄을 사일로측으로 안내하는 슈트;로 구성되며, 각 사일로 별 상탄이 이루어지므로, 종전과 같이 상탄시 1대의 트리퍼가 각 사일로에 이동하면서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없앨 수 있는 등 설비의 가동 효율과 원료탄 투입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스크래퍼가 단방향이기 때문에 벨트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사일로 배치되는 경우 2개의 사일로에 동시에 상탄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롤러 스테이지가 파워실린더와 4개의 링크에 의해 승강 구동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롤러 스테이지가 링크에 의해 회동식으로 승강하기 때문에 롤러 스테이지의 모든 부분을 동일한 레벨로 맞추는 것이 어렵다.
또한, 일부 석탄과 석탄 미분이 스크래퍼 뒤쪽으로 이탈되어 비산에 의해 작업 환경이 열악해지는 단점, 많은 양의 잔탄이 발생되어 잔탄의 처리를 위한 작업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00607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래퍼를 스토리지(사일로, 슈트 등)의 위치에 따라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설치하여 석탄의 효율적이고 신속한 저장이 가능한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 스테이지의 승강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롤러 스테이지를 회전이 아닌 직선으로 승강시켜 모든 부분의 레벨을 동일하게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벨트를 따라 운반되는 모든 석탄을 스토리지로 유도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는, 원료탄이 이송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승에 의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평탄화하는 롤러 스테이지와; 상기 롤러 스테이지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 스테이지를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 직선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 양측 중 일측 이상에 설치되며 원료탄을 스토리지로 유도하는 슈트와; 상기 프레임을 통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롤러 스테이지의 상승시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 운반되는 원료탄을 상기 슈트로 안내하는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를 통과한 잔탄을 상기 슈트로 유도하는 크리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롤러 스테이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호 간에 중앙부가 절첩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는 한편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롤러 스테이지와 베이스에 힌지 결합되는 절첩형 리프트, 상기 절첩형 리프트를 펼치거나 접혀 상기 롤러 스테이지를 직선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래퍼는 절첩형 스크래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에 의하면, 스크래퍼를 통해 원료탄을 어느 하나의 사일로 또는 양측의 사일로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저장이 가능하다.
그리고, 절첩형 리프트를 통해 롤러 스테이지가 회전하지 않고 직선으로 상승 및 하강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레벨을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낙하탄을 방지하므로써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2차에 걸친 크리닝을 통해 벨트 컨베이어에 잔탄이 남지 않으므로 잔탄의 운반과 청소를 위한 불필요한 작업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에 양방향 스크래퍼가 적용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의 절첩형 스크래퍼가 적용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에 적용된 크리닝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의 작동 상태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는, 원료탄이 이송되는 벨트 컨베이어(1)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0)과; 벨트 컨베이어(1)의 저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1)를 지지하는 롤러 스테이지(20)와; 롤러 스테이지(2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과; 벨트 컨베이어(1)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며 원료탄을 스토리지인 제1,2사일로(2a,3a)로 유도하는 제1,2슈트(2,3)와; 벨트 컨베이어(1)를 따라 운반되는 원료탄을 제1,2슈트(2,3)로 유도하는 스크래퍼[40(도 3) 또는 50(도 4) 또는 60(도 5)]로 구성된다.
프레임(10)은 지면이나 벨트 프레임에 지지되는 다리를 통해 벨트 컨베이어(1)의 위에 일정 높이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스크래퍼가 설치되도록 한다.
롤러 스테이지(20)는 "U"자 형태로 진행되어 오는 벨트 컨베이어(1)를 평탄하게 펼쳐주는 것으로서, 사각틀 구조의 테이블(21), 테이블(21)의 길이방향[벨트 컨베이어(1)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자유롭게 회전 가능되는 다수의 캐리어 롤러(22) 등으로 구성된다.
캐리어 롤러(22)들의 회전방향은 벨트 컨베이어(1)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이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1)를 평평하게 펼쳐주면서 벨트 컨베이어(1)의 진행을 구속하지 않는다.
이러한 롤러 스테이지(20)는 프레임(10)의 하부에서 벨트 컨베이어(1)의 아래쪽에 나란하게 위치된다.
승강수단(30)은 절첩형 리프트(31) 및 액추에이터로 구성된다.
절첩형 리프트(31)는 가위(scissors)식으로서 중앙이 힌지(34) 연결된 2개의 지지대(32,33)로 구성된다.
제1,2지지대(32,33)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펼쳐지면서 롤러 스테이지(20)를 상승시키고, 이 상태에서 접히면서 롤러 스테이지(20)를 하강시킨다.
제1,2지지대(32,33)는 각각 일측(상측)은 롤러 스테이지(20)의 테이블(21)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하측)은 베이스 프레임[여기서 베이스 프레임은 지지대(32,33)가 연결 가능한 모든 구조물을 말한다]에 힌지 연결되고, 아울러 절첩을 위하여 예를 들어 제1지지대(32)는 롤러 스테이지(20)에 제2지지대(3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1,2지지대(32,33)의 절첩이 가능한 것으로 유압/공압 실린더, 모터 등이 사용된다.
모든 스크래퍼(40,50,60)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된다.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단방향 스크래퍼(40)는 상부를 차단하는 곡선형의 폭단면을 갖는 마치 쟁기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레임(10)의 저부에 위치되면서 벨트 컨베이어(1)의 상면에 근접되는 동시에 벨트 컨베이어(1)의 진행방향에 대해 사선[원료탄을 제1,2슈트(2,3)로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사선으로 배치]으로 배치되고, 벨트 컨베이어(1)를 타고 이송되는 원료탄을 제1,2슈트(2,3)로 유도한다[단방향 스크래퍼(40)는 원료탄을 제1슈트(2)로만 유도]. 또한 스크래퍼(40,50,60)는 원료탄과 마찰되는 전면이 테프론 코팅재로 코팅 또는 코팅막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원료탄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원료탄의 진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방향 스크래퍼(40)와 벨트 컨베이어(1) 사이를 통해 미분 등의 잔탄이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단방향 스크래퍼(40)의 하단부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스커트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양방향 및 절첩형 스크래퍼(50,60)도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단방향 스크래퍼(40)는 벨트 컨베이어(1)의 폭 전체에 해당하는 길이로 이루어져 잔탄없이 모든 원료탄을 제1슈트(2)로 유도한다.
단방향 스크래퍼(40)는 프레임(10)에 볼트와 너트 등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회전축을 통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1) 등의 손상 방지를 위하여 단방향 스크래퍼(40)를 벨트 컨베이어(1)에 근접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단방향 스크래퍼(40)와 벨트 컨베이어(1)의 사이를 통해 미분 등의 잔탄이 통과하고, 이러한 잔탄은 추가 작업을 발생하므로 잔탄을 없애고 모든 원료탄을 제1,2슈트(2,3)로 유도하기 위하여 1,2차 크리너(41,42)(도 6참고)가 포함된다.
1차 크리너(41)는 단방향 스크래퍼(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단방향 스크래퍼(40)의 후방(원료탄을 유도하는 반대 방향)에 체결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1차 크리너 브래킷(41a)을 통해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1)의 손상 방지를 위하여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2차 크리너(42)는 단방향 스크래퍼(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단방향 스크래퍼(40) 또는 1차 크리너 브래킷(41a)에 체결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2차 크리너 브래킷(42a)을 통해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1)의 손상 방지를 위하여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1,2차 크리너(41,42)는 벨트 컨베이어(1)와 동일한 간극을 두고 설치될 수 있고 또는 1차 크리너(41)와 벨트 컨베이어(1)간의 간극은 2차 크리너(42)와 벨트 컨베이어(1)간의 간극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양방향 스크래퍼(50)는 벨트 컨베이어(1)를 따라 운반되는 원료탄을 제1,2슈트(2,3)로 분할하여 유도할 수 있도록 V 형태로 형성되는 분산형 양방향 스크래퍼이며 즉 제1,2유도부(50a,50b)가 구비된다.
양방향 스크래퍼(50)는 단방향 스크래퍼(40)와 마찬가지로 1,2차 크리너가 적용된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절첩형 스크래퍼(60)는 제1,2유도부(60a,6b)가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이며 따라서 제1,2유도부(60a,6b)가 일렬로 배열되면 원료탄을 제1 또는 제2슈트(2,3)로 유도하고 제1,2유도부(60a,6b)를 V형으로 배열하여 원료탄을 제1,2슈트(2,3)로 분할하여 유도한다.
절첩형 스크래퍼(60)는 단방향/양방향 스크래퍼(40,50)와 마찬가지로 1,2차 크리너가 적용된다. 이때, 1차와 2차 크리너는 제1,2유도부(60a,60b)처럼 각가 2개가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하나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고무재질에 의한 절첩, 힌지 연결에 의한 절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초기 상태이며 롤러 스테이지(20)가 벨트 컨베이어(1)의 하부에 배치되어 벨트 컨베이어(1)는 "U" 형태를 유지한다.
원료탄을 제1,2사일로(2a,3a)에 저장하는 경우, 제1,2사일로(2a,3a)의 선택에 따라 스크래퍼(40,50,60)를 셋팅한다.
원료탄의 저장은 단방향과 양방향으로 구분된다.
1. 단방향 공급.
제1,2사일로(2a,3a) 중에서 제1사일로(2a)에만 원료탄을 저장하는 경우 단방향 스크래퍼(40)의 배출단이 제1슈트(2)에 대응하도록 하고, 절첩형 스크래퍼(60)의 경우 제1,2유도부(60a,60b)를 일렬로 배열하여 제1유도부(60a)의 배출단이 제1슈트(2)에 대응하도록 한다. 단방향의 경우 양방향 스크래퍼(50)는 사용되지 않는다. 원료탄을 제2사일로(2b)에만 저장하는 경우 배출단의 위치를 제2슈트(3)에 대응하도록 단방향 스크래퍼(40)를 설치하거나 절첩형 스크래퍼(60)의 제2유도부(60b)의 배출단이 제2슈트(3)에 대응하도록 하여 원료탄을 제2슈트(3)에만 공급한다.
2. 양방향 공급.
원료탄을 제1,2사일로(2,3) 모두에 공급하는 경우, 양방향 스크래퍼(50)는 제1,2유도부(50a,50b)의 배출단이 각각 제1,2슈트(2,3)에 대응되어 원료탄이 제1,2유도부(50a,50b)로 나뉘어 공급된다. 절첩형 스크래퍼(60)의 경우 제1,2유도부(60a,60b)의 배출단이 제1,2슈트(2,3)에 대응하도록 회전시켜 원료탄을 제1,2슈트(2,3)로 양분하여 공급한다.
이와 같이 스크래퍼(40,50,60)를 셋팅한 후 롤러 스테이지(20)를 통해 벨트 컨베이어(1)의 표면이 스크래퍼(40,50,60)의 하단부에 근접되도록 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액추에이터를 가동하면 도 7과 같이 절첩형 리프트(31)의 제1,2지지대(32,33)가 힌지를 통해 펼쳐지게 되어 롤러 스테이지(20)가 상승하고 롤러 스테이지(20)는 U 형태의 벨트 컨베이어(1)를 올리게 되어 벨트 컨베이어(1)를 평평하게 함으로써 벨트 컨베이어(1)의 표면이 스크래퍼(40,50,60)의 하단부에 근접된다.
벨트 컨베이어(1)를 따라 운반되는 원료탄은 스크래퍼(40,50,60)의 안내를 받아 단방향의 경우 제1 또는 제2슈트(2,3), 양방향의 경우 제1,2슈트(2,3)에 낙하 투입된다.
스크래퍼(40,50,60)와 벨트 컨베이어(1) 사이를 통해 미분 등의 잔탄이 통과하고, 이 잔탄은 1차 크리너와 2차 크리너에 의한 2단계의 크리닝을 통해 벨트 컨베이어(1)에 남지 않고 제1,2슈트(2,3)로 유도된다.
1 : 벨트 컨베이어, 10 : 프레임
20 : 롤러 스테이지, 30 : 승강수단
31 : 절첩형 리프트, 40,50,60 : 2스크래퍼

Claims (3)

  1. 원료탄이 이송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0)과;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승에 의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평탄화하는 롤러 스테이지(20)와;
    상기 롤러 스테이지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 스테이지를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 직선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30)과;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며 원료탄을 스토리지로 유도하는 제1,2슈트(2,3)와;
    상기 프레임을 통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롤러 스테이지의 상승시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 운반되는 원료탄을 상기 제1,2슈트 중 일측 이상으로 안내하는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를 통과한 잔탄을 상기 슈트로 유도하는 크리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롤러 스테이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호 간에 중앙부가 절첩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는 한편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상기 롤러 스테이지와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2개 이상의 지지대(32,33)로 구성된 절첩형 리프트(31), 상기 절첩형 리프트를 펼치거나 접혀 상기 롤러 스테이지를 직선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래퍼는 제1,2유도부(60a,60b)가 힌지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배출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슈트와 대응하는 직선형으로 펼쳐지거나 상기 제1,2유도부(60a,60b)의 배출단이 상기 제1,2슈트(2,3)와 각각 대응하는 V 형으로 접히는 절첩형 스크래퍼(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수단은 상기 스크래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상기 스크래퍼(40)의 후방에 체결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1차 크리너 브래킷(41a)을 통해 설치되어 상기 스크래퍼와 벨트 컨베이어 사이를 통과한 잔탄을 상기 슈트로 유도하는 1차 크리너(41), 상기 1차 크리너 브래킷(41a)에 체결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2차 크리너 브래킷(42a)을 통해 설치되어 상기 1차 크리너와 벨트 컨베이어 사이를 통과한 잔탄을 상기 슈트로 유도하는 2차 크리너(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
  3. 삭제
KR1020140051764A 2014-04-29 2014-04-29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 KR101568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764A KR101568345B1 (ko) 2014-04-29 2014-04-29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764A KR101568345B1 (ko) 2014-04-29 2014-04-29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777A KR20150124777A (ko) 2015-11-06
KR101568345B1 true KR101568345B1 (ko) 2015-11-11

Family

ID=5460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764A KR101568345B1 (ko) 2014-04-29 2014-04-29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498A (ko) 2020-11-20 2022-05-27 두텍 주식회사 석탄을 윈드로방식으로 저탄하는 트리퍼
KR20220099277A (ko) 2021-01-06 2022-07-13 두텍 주식회사 진자(회전)형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위한 장력 교번기능이 있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5848A (zh) * 2018-01-24 2018-05-18 长沙开元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两级提升式煤样输送装置
KR102138721B1 (ko) * 2020-01-30 2020-07-29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
CN114803318B (zh) * 2022-04-21 2024-04-05 南通丞济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园林工程绿化用园艺机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065B1 (ko) 2012-03-06 2013-05-14 (주)하이텍산업개발 석탄 분배 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065B1 (ko) 2012-03-06 2013-05-14 (주)하이텍산업개발 석탄 분배 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498A (ko) 2020-11-20 2022-05-27 두텍 주식회사 석탄을 윈드로방식으로 저탄하는 트리퍼
KR20220099277A (ko) 2021-01-06 2022-07-13 두텍 주식회사 진자(회전)형 텔레스코픽 슈트수단을 위한 장력 교번기능이 있는 슈트 끝단부 장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777A (ko)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345B1 (ko)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
CN107107090A (zh) 高压喷水喷嘴操纵器装置
CN109081070A (zh) 一种自动刮板装置
CN108247754A (zh) 一种家具用木板切割打磨生产线
US9533840B1 (en) Stacker-reclaimer apparatus
CN204574734U (zh) 一种卧式煤球烘干机链板输送装置
KR101006073B1 (ko)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KR101424455B1 (ko) 트리퍼카용 이송물 제거장치
CN104477627B (zh) 棒料自动送料机
KR101165065B1 (ko) 석탄 분배 설비
CN106044625B (zh) 一种多角度平稳攀爬的载物机构
KR20080002880U (ko) 주름혹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한 트리퍼 컨베이어의 양방향운탄 장치
CN205441686U (zh) 一种混合型气垫带式输送机
CN107492791A (zh) 一种配电设备用低压开关柜外部除尘装置
CN205820795U (zh) 一种多角度平稳攀爬的载物机构
CN106183941A (zh) 一种喷涂车间用清理车
CN208499701U (zh) 一种电池包上料系统
KR100918696B1 (ko)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클리너 조절 장치
CN203975748U (zh) 一种链斗提升机
CN205221797U (zh) 一种刮板机装置
CN106114664A (zh) 一种防倒退履带式行走机构
CN206472802U (zh) 一种常压热风链式烘干箱
CN110451199B (zh) 一种用于地沟刮板出碳黑的方法
CN208054466U (zh) 一种污泥连续干化处理系统
CN205906087U (zh) 一种防倒退履带式行走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