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065B1 - 석탄 분배 설비 - Google Patents

석탄 분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065B1
KR101165065B1 KR1020120022720A KR20120022720A KR101165065B1 KR 101165065 B1 KR101165065 B1 KR 101165065B1 KR 1020120022720 A KR1020120022720 A KR 1020120022720A KR 20120022720 A KR20120022720 A KR 20120022720A KR 101165065 B1 KR101165065 B1 KR 10116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conveyor
scraper
roller sta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필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하이텍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120022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3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by dumping, tripping, or releasing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86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moving the materials over supporting surfaces by impeller means, e.g.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력 발전소의 선탄 공정에서 석탄을 종류별로 사일로에 투입하는 석탄 분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력 발전 시스템의 운탄 설비에서 사일로측으로 향하는 석탄 이송 컨베이어상에 분배 설비를 설치하고, 컨베이어의 연속적인 가동과 연계하여 석탄을 효과적으로 분배 투입하는 새로운 형태의 석탄 분배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석탄 투입 공정의 사이클 타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등 설비의 가동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 석탄 투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발생을 줄여 석탄 투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컨베이어에 얹혀져 이송되는 석탄을 양편으로 분배 투입할 수 있는 새로운 V-타입의 스크래퍼 수단을 적용함으로써, 석탄의 효율적인 분배를 통해 석탄 저장량 조절 등 사일로 운용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석탄 분배 설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석탄 분배 설비{COAL DISTRIBUTOR}
본 발명은 석탄 분배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력 발전소의 선탄 공정에서 석탄을 종류별로 사일로에 투입하는 석탄 분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 발전 시스템은 석탄을 원료로 전력을 생산하는 화력 발전 시스템과 천연가스를 원료로 전력을 생산하는 복합 화력 발전 시스템이 있다.
상기 화력 발전 시스템은 석탄을 연소시켜 얻은 에너지로 보일러의 물을 끓여 증기로 만들고, 그 증기로 터빈을 회전시켜 회전력을 얻은 후 터빈에 연결된 발전기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그리고, 상기 복합 화력 발전 시스템은 천연가스를 연소하여 만들어진 고온의 연소가스로 직접 가스터빈을 돌려 1차로 전기를 생산하고, 이때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보일러로 보내어 수증기를 발생시킨 후 수증기의 힘으로 터빈을 돌려 2차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석탄 화력 발전 시스템은 선박이나 기타 운반 수단으로 싣고 온 석탄을 하역하고 저탄소까지 운반한 후 미분기에서 석탄을 잘게 부수어 보일러에서 잘 연소할 수 있도록 하는 운탄 설비, 석탄을 연소시킬 때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고온고압의 증기를 만들어내는 보일러 설비, 보일러 설비에서 만들어진 증기에 의해 고속 회전하면서 발전기를 돌려주는 터빈 설비, 각종 처리를 거쳐 공업용수를 순수한 물로 만드는 물처리 설비, 물처리 설비를 통과한 순수한 물을 만든 후 복수기에서 응축시켜 보일러에 공급하는 급수 설비, 터빈 설비를 돌리고 고온의 증기를 복수기에서 냉각시키기 위해 바닷물을 공급하는 순환수 설비, 보일러 설비의 연소실에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시킨 가스를 전기 집진기에서 먼지를 제거하고 탈황 설비에서 황 성분을 제거한 뒤 연돌로 배출하는 통풍 설비, 터빈 설비에 의해 발전기가 회전하면서 생산한 전기를 변압기를 거쳐 승압한 후 송전탑 선로를 통해 발전소 외부로 송전하는 전기 설비 등을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석탄 화력 발전 시스템에서 운탄 설비는 석탄을 이송하는 설비로서, 원료탄을 종류별로 미분기 저장 사일로에 투입하는 트리퍼(Tripper)가 갖추어져 있으며, 이러한 트리퍼는 사일로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통해 운반되는 석탄을 각각의 사일로측으로 분배 및 투입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석탄 화력 발전 시스템은 트리퍼를 사용하여 석탄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트리퍼 이동에 따른 불필요한 공정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트리퍼의 각 사일로 이동시 약 15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한 시프트당 8회 정도 이동을 하는 트리퍼로서는 약 2시간 정도 운탄 설비의 가동을 정지시켜야 하는 등 설비의 가동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화력 발전 시스템의 운탄 설비에서 사일로측으로 향하는 석탄 이송 컨베이어 상에 분배 설비를 설치하고, 컨베이어의 연속적인 가동과 연계하여 석탄을 효과적으로 분배 투입하는 새로운 형태의 석탄 분배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석탄 투입 공정의 사이클 타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등 설비의 가동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 석탄 투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발생을 줄여 석탄 투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석탄 분배 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얹혀져 이송되는 석탄을 양편으로 분배 투입할 수 있는 새로운 V-타입의 스크래퍼 수단을 적용함으로써, 석탄의 효율적인 분배를 통해 석탄 저장량 조절 등 사일로 운용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석탄 분배 설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석탄 분배 설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석탄 분배 설비는 석탄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의 진행라인상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링크구조에 의해 상하로 동작하면서 컨베이어의 벨트를 위로 올려주는 롤러 스테이지와, 상기 롤러 스테이지의 하부에 설치되어 롤러 스테이지를 상하로 작동시켜주는 실린더와, 상기 프레임과 롤러 스테이지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롤러 스테이지의 상하 동작을 안내하는 링크장치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석탄을 옆으로 진행시켜 낙하를 유도하는 수단으로서 프레임의 상부에 지지되면서 컨베이어에 근접 배치되고 첨단부가 컨베이어 폭 중심라인에 위치되어 컨베이어 위의 석탄을 양편으로 분배하는 V-타입 스크래퍼와, 상기 컨베이어의 측면에 설치되어 V-타입 스크래퍼에 의해 밀려나는 석탄을 사일로 측으로 안내하는 양쪽 2개의 슈트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석탄 분배 설비는 V-타입 스크래퍼의 뒷쪽으로 위치되면서 스크래퍼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서로 "V"자 모양의 대형을 이루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V-타입 스크래퍼를 통과하는 석탄을 슈트측으로 유도하는 2차 러버 스크래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V-타입 스크래퍼에는 스크래퍼 전면에 부착되어 석탄이 부착되거나 석탄에 의해 스크래퍼가 마모되는 것을 막아주는 세라믹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또 상기 2차 러버 스크래퍼의 경우에는 2곳의 힌지부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링크바를 통해 지지되어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석탄 분배 설비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각 사일로에 하나씩 배속되는 석탄 분배 설비를 통해 개별적으로 석탄의 이송 및 투입이 이루어지고, 또 컨베이어의 가동을 멈추지 않고 연속적인 석탄의 투입이 가능하므로, 석탄 투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등 설비의 가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V-타입의 스크래퍼를 적용하여 석탄을 양쪽으로 분배하여 투입하는 방식이므로, 각 사일로 내의 석탄 저장량 조절이 용이하고, 결국 사일로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석탄의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여 작업장 환경 개선 및 전반적인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 분배 설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 분배 설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 분배 설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 분배 설비의 V-타입 스크래퍼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VIEW "A" 상세도
도 6은 도 4의 VIEW "B"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 분배 설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 분배 설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 분배 설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 분배 설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 분배 설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석탄 분배 설비는 석탄을 사용하는 화력 발전 시스템에서 원료탄을 이송하여 각각의 사일로에 분배 및 투입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석탄 분배 설비는 컨베이어(10),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석탄을 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석탄 장입 사일로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U"자 형태의 벨트에 놓여져 있는 이송되는 석탄을 롤러 스테이지(12)를 이용하여 평평한 상태가 되도록 상부로 밀어 올려주면서 V-타입 스크래퍼(15)를 통해 사일로측으로 낙하시켜주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석탄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0)의 진행라인상에 설치되는 프레임(11)이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11) 내의 상부와 하부에는 V-타입 스크래퍼(15)와 롤러 스테이지(12)가 각각 배치되며, 특히 롤러 스테이지(12)의 하부에는 실린더(13), 예를 들면 파워 실린더가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11)은 컨베이어(10)측 프레임에 연결되어 구축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대략 사각틀 구조물의 형태를 이루면서 컨베이어(10)로부터 일정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세워진다.
상기 롤러 스테이지(12)는 실린더(13)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U"자 형태로 진행되어 오는 벨트를 평탄하게 펴주는 수단으로서, 프레임(11)의 하부 공간, 즉 컨베이어(10)의 아래쪽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동시에 링크구조를 통해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롤러 스테이지(12)는 길다란 직사각형의 틀 구조로 되어 있는 테이블(25)과 상기 테이블(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캐리어 롤러(26)로 구성되며, 이때의 캐리어 롤러(26)는 양단부를 통해 테이블(25)의 폭방향 양편에 지지되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 롤러(26)의 양단 지지부위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롤러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롤러(26)의 회전방향은 컨베이어(10)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을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캐리어 롤러(26)는 벨트의 저면과 접촉함과 더불어 이를 받쳐줄 수 있게 되며, 결국 벨트를 평판하게 펴주면서 벨트 진행시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테이블(25)의 상면 양쪽 폭 단부에는 벨트와의 보다 원활한 접촉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MC 나일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벨트가이드 용도의 띠 모양 바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13)는 롤러 스테이지(12)를 상하로 작동시켜주는 액추에이터로서, 롤러 스테이지(12)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프레임(11)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실린더(13)의 로드는 롤러 스테이지(12)의 저면 일측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실린더 작동시 롤러 스테이지(12)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린더(13)의 몸체 후단부는 프레임(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 베이스(31)에 핀 구조로 설치되고, 이와 함께 로드는 롤러 스테이지(12)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실린더 연결용 브라켓(29)에 역시 핀 구조로 결합되어, 실린더(13)가 작동하게 되면 로드의 전후진 운동에 의해 롤러 스테이지(12)가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실린더(13)를 프레임(11)의 하부인 롤러 스테이지(12)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시키게 되면 프레임(11)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구조에 비해 구조적으로 유리한 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실린더를 프레임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아래쪽에 있는 롤러 스테이지와의 연동을 위한 링크장치 등의 작동범위로 인해 슈트의 크기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나, 실린더를 롤러 스테이지 하부로 위치시키게 되면 링크장치 등의 작동범위에 간섭되지 않아 슈트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넓게 제작 설치할 수 있게 되고, 결국 낙탄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석탄 분배 장치의 밀폐시 적은 부피로 밀폐가 가능하게 되고, 분진 비산 방지 및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린더를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롤러 스테이지와의 직접적인 연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등 부수적으로 자재를 절감할 수 있게 되고, 구조적으로도 간결해지며 작동 매개체가 적기 때문에 보다 더 정밀한 조작 및 세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13)의 작동에 의해 롤러 스테이지(12)의 상하 동작시 이를 안내해주는 수단으로 링크장치(14)가 마련된다.
상기 링크장치(14)는 다수의 링크막대로 이루어져 프레임(11)과 롤러 스테이지(12) 사이에 연결 설치되면서 롤러 스테이지(12)의 위아래 움직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링크막대의 상단부가 롤러 스테이지(12)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링크연결용 브라켓(30)에 핀구조로 연결되는 동시에 링크막대의 하단부는 프레임(11)측에 핀구조로 연결되므로서, 롤러 스테이지(12)의 상승 및 하강시 함께 세워지거나 눕혀지면서 롤러 스테이지(12)의 움직임을 지지함과 동시에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링크막대는 좌우측 2개가 한 쌍을 이루게 되며, 롤러 스테이지(12)의 저부 앞쪽과 뒷쪽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되면서 롤러 스테이지(12)의 4곳을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낙탄의 발생을 좀더 효과적으로 줄여주는 수단으로 슈트 가이드(27)를 제공한다.
상기 슈트 가이드(27)는 폭 양쪽에 수직의 날개부분을 갖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롤러 스테이지(12)의 양쪽 측면, 예를 들면 슈트(16a,16b)가 위치되는 측면쪽에 각각 위치되면서 그 후단이 핀 구조로 롤러 스테이지(12)의 테이블(25)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슈트 가이드(27)는 후단 핀 결합부위를 중심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롤러 스테이지(12)의 상승 및 하강 동작과 연계되면서 롤러 스테이지(12)가 상승된 상태에서 벨트와의 이격공간으로 낙탄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롤러 스테이지(12)가 상승하게 되면, 슈트 가이드(27)는 그 선단부가 아래로 경사지게 쳐지면서 슈트(16a,16b)의 바닥면과 나란한 상태로 걸쳐지게 되고, 반대로 롤러 스테이지(12)가 하강하게 되면, 슈트 가이드(27)는 슈트(16a,16b)의 바닥면 상단부에 걸쳐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슈트 가이드(27)가 경사지게 쳐진 상태가 되면, 벨트의 한쪽 측면과 슈트의 바닥면 상단부 사이에 조성되어 있는 공간이 슈트 가이드(27)에 의해 차단되므로, 슈트측으로 낙하는 석탄이 위의 공간을 통해 슈트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슈트 가이드(27)가 실린더(13)에 의해 상부로 밀려 오르는 동안 컨베이어와의 이격 공간으로 낙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슈트 바닥 일부를 가변식의 슈트 가이드(27)로 대체하여 바닥 역할을 대신하게 함으로써, 슈트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며, 그 만큼 롤러 스테이지(12)의 폭을 넓힐 수 있어 벨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 벨트의 전체적인 수평유지 확보로 인해 스크래핑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 분배 설비의 V-타입 스크래퍼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실질적으로 석탄의 낙하를 유도하는 수단으로 V-타입 스크래퍼(15)를 보여준다.
상기 V-타입 스크래퍼(15)는 프레임(11)의 내측 상부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V-타입 스크래퍼(15)는 컨베이어(10)의 상면에 근접됨과 아울러 컨베이어(10)의 진행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양쪽의 사면을 통해 벨트 위의 석탄을 양편의 슈트(16a,16b)가 있는 쪽으로 진행시켜 낙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V-타입 스크래퍼(15)는 뾰족한 앞쪽의 첨단부를 벨트가 진행되어오는 앞쪽을 바라보게 함과 더불어 컨베이어 폭 중심라인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므로서, 벨트를 타고 이송되는 석탄을 양쪽 옆으로 분배하면서 상대적으로 밀어주는 역할, 다시 말해 석탄이 V자 모양의 스크래퍼 전면에 부딪히면서 자연스럽게 양쪽으로 밀려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V자 모양으로 이루어진 스크래퍼 프레임(21a)이 마련되고, 이때의 스크래퍼 프레임(21a)은 프레임(11)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아래로 연장되는 다수의 스크래퍼 지지대(22)에 연결되어 매달려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렇게 설치되는 스크래퍼 프레임(21a)의 전면, 즉 양편의 사면에는 세라믹 플레이트(17)가 부착된다.
이때의 세라믹 플레이트(17)는 스크래퍼 전면에 석탄이 부착되거나 석탄에 의해 스크래퍼가 마모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세라믹 재질의 플레이트가 발휘하는 석탄 부착 방지 및 마모 방지로 인해 V-타입 스크래퍼(15)의 전반적인 내구연한이 증가될 수 있음은 물론, 석탄의 유도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V-타입 스크래퍼(15)에 의해 미처 투입되지 못하고 뒷쪽으로 빠져나오는 석탄을 남김없이 슈트(16a,16b)측으로 유도해주는 수단으로 2차 러버 스크래퍼(18)가 마련된다.
상기 2차 러버 스크래퍼(18)는 V-타입 스크래퍼(15)의 바로 뒷쪽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즉 V-타입 스크래퍼(15)와 마찬가지로 "V"자 모양의 대형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역시 벨트 위의 석탄을 양편으로 분배 및 진행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V"자 모양의 대형을 이루는 한 쌍의 스크래퍼 프레임(21b)이 V-타입 스크래퍼(15)를 이루는 스크래퍼 프레임(21a)의 뒷쪽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되는 각 스크래퍼 프레임(21b)은 상기 스크래퍼 프레임(21a)의 후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씩의 링크바(20)에 체결되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래퍼 프레임(21b)의 하단부에는 이와 나란한 띠 모양의 러버 플레이트(24)가 설치되며, 이때의 러버 플레이트(24)가 벨트측과 접하면서 실질적으로 석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2차 러버 스크래퍼(18)의 러버 플레이트(24) 및 스크래퍼 프레임(21b)은 2곳의 힌지부(19a,19b)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2개씩의 링크바(20)에 의해 지지되어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V-타입 스크래퍼(15)의 스크래퍼 프레임(21a)의 후면에는 수평 자세의 바 지지대(23)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바 지지대(23)에 링크바(20)의 상단이 회전가능한 힌지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이때의 링크바(20)의 하단 또한 스크래퍼 프레임(21b)의 후면에 역시 회전가능한 힌지구조로 결합된다.
즉, 상기 링크바(20)의 상단과 하단은 위아래의 힌지부(19a,19b)를 통해 바 지지대(23)와 스크래퍼 프레임(21b)에 각각 연결된다.
이에 따라, 벨트측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러버 플레이트(24) 및 스크래퍼 프레임(21b)을 포함하는 2차 러버 스크래퍼(18) 전체는 링크바(20)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위아래로 유동되면서 간섭에 따른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2차 러버 스크래퍼(18)에 설치되어 있는 러버 플레이트(24)의 경우 마모에 따른 교체나 점검 등을 위하여 토글 클램프를 매개로 설치하여, 교체나 점검 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2차 러버 스크래퍼(18)의 경우 링크바(20)의 유동을 단속하는 볼트조작 구조의 스톱퍼 수단을 이용하여 벨트 상면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V-타입 스크래퍼(15)의 하단과 벨트 사이의 틈새를 통해 간혹 빠져나오는 석탄은 이 V-타입 스크래퍼(15)의 뒷쪽에 있는 2차 러버 스크래퍼(28)에 의해 슈트(16a,16b)측으로 유도되므로서, 결국 석탄의 처리를 완벽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V-타입 스크래퍼(15)에 의해 밀려나면서 밑으로 떨어지는 석탄을 사일로측으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슈트(16a,16b)가 마련된다.
상기 슈트(16a,16b)는 컨베이어(10)의 양쪽 측면에 경사진 자세로 위치되면서 프레임(10)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단쪽은 석탄의 유입을 위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하단쪽은 사일로측 덕트부재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V-타입 스크래퍼(15)에 의해 양쪽으로 밀려나면서 낙하되는 석탕은 슈트(16a,16b)를 타고 아래로 안내되어 사일로 내부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V-타입 스크래퍼(15)에 의해 석탄이 유도될 때 벨트와의 마찰 및 관성에 의해 벨트가 사행되는 것을 막아주는 수단으로 사행방지용 롤러(28)가 마련된다.
이러한 사행방지용 롤러(28)는 프레임(11)의 내측에서 벨트의 폭방향 양쪽 단부에 위치되고,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 브라켓(32)상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사행방지용 롤러(28)는 순환하는 벨트의 상단 진행영역 및 하단 진행영역에 모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석탄 분배 설비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 분배 설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 분배 설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사일로측에 석탄을 투입하는 경우, 석탄은 컨베이어(10)에 놓여져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컨베이어(10)의 가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실린더(13)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롤러 스테이지(12)가 석탄이 놓여져 있는 벨트의 하부를 밀어 올려서 평탄하게 펴주게 되고, 계속해서 V-타입 스크래퍼(15)에 의해 벨트 위의 석탄은 벨트 진행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양쪽으로 갈라지면서 양편의 슈트(16a,16b)를 거쳐 아래쪽의 사일로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즉, 석탄 투입시 아이들러에 받쳐지면서 "U"자 모양으로 진행되던 벨트는 실린더(13)의 작동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는 롤러 스테이지(12)에 의해 평탄한 상태로 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벨트 위의 석탄은 V-타입 스크래퍼(15)의 전면에 부딪혀 상대적으로 양쪽으로 분배되면서 슈트(16a,16b)를 통해 사일러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V-타입 스크래퍼(15)에 의해 투입되지 못한 일부의 석탄은, 즉 V-타입 스크래퍼(15)의 하단을 통해 빠져나온 일부의 석탄은 2차 러버 스크래퍼(18)에 의해 한번 더 부딪히면서 슈트(16a,16b)측으로 유도되어 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석탄 투입 과정에서 비산 분진의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또 컨베이어의 연속적인 가동을 통해 석탄 투입 공정의 효율성 및 가동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10 : 컨베이어 11 : 프레임
12 : 롤러 스테이지 13 : 실린더
14 : 링크장치 15 : V-타입 스크래퍼
16a,16b : 슈트 17 : 세라믹 플레이트
18 : 2차 러버 스크래퍼 19a,19b : 힌지부
20 : 링크바 21a,21b : 스크래퍼 프레임
22 : 스크래퍼 지지대 23 : 바 지지대
24 : 러버 플레이트 25 : 테이블
26 : 캐리어 롤러 27 : 슈트 가이드
28 : 사행방지용 롤러 29 : 실린더 연결용 브라켓
30 : 링크 연결용 브라켓 31 : 실린더 베이스
32 : 롤러 브라켓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석탄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10)의 진행라인상에 설치되는 프레임(11);
    상기 컨베이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링크구조에 의해 상하로 동작하면서 컨베이어(10)의 벨트를 위로 올려주는 롤러 스테이지(12);
    상기 롤러 스테이지(12)의 하부에 설치되어 롤러 스테이지(12)를 상하로 작동시켜주는 실린더(13);
    상기 프레임(11)과 롤러 스테이지(12)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롤러 스테이지(12)의 상하 동작을 안내하는 링크장치(14);
    상기 컨베이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10)를 타고 이송되는 석탄을 옆으로 진행시켜 낙하를 유도하는 수단으로서, 프레임(11)의 상부에 지지되면서 컨베이어(10)에 근접 배치되고, 첨단부가 컨베이어 폭 중심라인에 위치되어 컨베이어(10) 위의 석탄을 양편으로 분배하는 V-타입 스크래퍼(15);
    상기 컨베이어(10)의 측면에 설치되어 V-타입 스크래퍼(15)에 의해 밀려나는 석탄을 사일로측으로 안내하는 양쪽 2개의 슈트(16a,16b);
    를 포함하는 석탄 분배 설비에 있어서,
    상기 V-타입 스크래퍼(15)의 뒷쪽으로 위치되면서 스크래퍼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서로 "V"자 모양의 대형을 이루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V-타입 스크래퍼(15)를 통과하는 석탄을 슈트(16a,16b)측으로 유도하는 2차 러버 스크래퍼(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분배 설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2차 러버 스크래퍼(18)는 2곳의 힌지부(19a,19b)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링크바(20)에 의해 지지되어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분배 설비.
KR1020120022720A 2012-03-06 2012-03-06 석탄 분배 설비 KR101165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20A KR101165065B1 (ko) 2012-03-06 2012-03-06 석탄 분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20A KR101165065B1 (ko) 2012-03-06 2012-03-06 석탄 분배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065B1 true KR101165065B1 (ko) 2013-05-14

Family

ID=4866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720A KR101165065B1 (ko) 2012-03-06 2012-03-06 석탄 분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0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345B1 (ko) 2014-04-29 2015-11-11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
KR101797385B1 (ko) 2016-08-19 2017-11-13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유도 장치
CN112173683A (zh) * 2020-09-23 2021-01-05 常德德锂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加工制作平台
KR20220002895U (ko)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9722A (ja) * 1996-10-02 1998-04-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スタッカ用地上コンベアの水切装置
KR200412298Y1 (ko) * 2005-10-27 2006-03-27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누출 연료 차단기
JP2010030717A (ja) * 2008-07-28 2010-02-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粒状物体払い出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9722A (ja) * 1996-10-02 1998-04-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スタッカ用地上コンベアの水切装置
KR200412298Y1 (ko) * 2005-10-27 2006-03-27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누출 연료 차단기
JP2010030717A (ja) * 2008-07-28 2010-02-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粒状物体払い出し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345B1 (ko) 2014-04-29 2015-11-11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
KR101797385B1 (ko) 2016-08-19 2017-11-13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유도 장치
CN112173683A (zh) * 2020-09-23 2021-01-05 常德德锂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加工制作平台
KR20220002895U (ko)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54728B (zh) 一种链板输送煤球导热油干燥机
US113591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a hot car in a coke plant
KR101165065B1 (ko) 석탄 분배 설비
KR101006073B1 (ko) 화력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WO2015194863A1 (ko)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투입 석탄 분진 감소 및 분산 공급 장치
WO2016108360A1 (ko)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낙하 석탄의 공급에 따른 분진 감소 장치
KR101568345B1 (ko) 화력발전소의 단방향과 양방향 겸용 벨트 트리퍼
US20110297060A1 (en) Conveyor device for combustion boilers
KR20120099958A (ko) 화력 발전소의 벨트 트리퍼 장치
US4270469A (en) Coal-feeding mechanism for a fluidized bed combustion chamber
CN215853642U (zh) 一种可调式垃圾衍生燃料(rdf)给料装置
CN107664307B (zh) 交替运动式炉排垃圾焚烧炉
CN202393233U (zh) 多段转向废钢预热输送装置
CN111349749B (zh) 预热凹槽及电炉连续加料强化预热装置与方法
CN209084772U (zh) 一种垃圾焚烧处理系统
PL83560B1 (ko)
CN207861377U (zh) 一种无磨损还原炉自动送料装置
CN207528075U (zh) 一种烧结矿连续冷却系统
CN208671486U (zh) 一种褐煤干燥流化床设备及系统
CN110513710A (zh) 一种防烟气回流连续进料系统
KR20140025649A (ko) 소결 냉각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현열 회수장치
CN107860236B (zh) 一种烧结矿连续冷却方法
CN113481339B (zh) 一种铸铁高炉
CN220582458U (zh) 一种复合式垃圾焚烧用机械炉排
CN201680683U (zh) 篦式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