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385B1 - 원료 유도 장치 - Google Patents

원료 유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385B1
KR101797385B1 KR1020160105419A KR20160105419A KR101797385B1 KR 101797385 B1 KR101797385 B1 KR 101797385B1 KR 1020160105419 A KR1020160105419 A KR 1020160105419A KR 20160105419 A KR20160105419 A KR 20160105419A KR 101797385 B1 KR101797385 B1 KR 101797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curtain
shaft portion
raw material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구
강주완
김태완
정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0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65G2812/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원료 유도 장치는 컨베이어의 벨트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양측에는 슈트가 위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를 상하이동시켜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의 원료를 상기 슈트의 내부로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슈트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슈트의 내부에 유도되는 원료와 접촉되는 커튼부; 및 상기 슈트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부에 연결되고 상기 커튼부에 접촉되어 상기 커튼부에 충격을 가하는 커튼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원료 유도 장치는 원료를 컨베이어의 벨트로부터 슈트의 내부로 유도하며 슈트의 내부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하고, 원료로 인한 슈트의 막힘 및 넘침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원료 유도 장치{RAW MATERIAL-GUI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료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슈트에 원료를 유도하면서 유도된 원료가 슈트의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료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는 원료를 다양한 장소로 이송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벨트 컨베이어가 설치된다. 원료의 이송방향 및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슈트가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슈트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의 일 종단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슈트는 수직의 터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슈트에 유도된 원료는 이송방향 및 위치가 변경되면서 슈트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하지만, 원료는 다량의 수분을 첨가한 상태이기에, 슈트의 내벽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이로 인해, 원료는 슈트를 막아 원활하게 슈트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고, 심지어 슈트의 내부에 유도되지 않고 슈트의 외부로 넘치기도 한다.
슈트의 내벽에 부착된 원료는 제거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점검창을 통해 원료의 부착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수작업으로 부착된 원료를 슈트로부터 제거한다. 이로 인해, 원료의 제거에 따른 안전사고 및 설비사고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부착된 원료를 제거할 때에는 벨트 컨베이어가 정지되기에, 전체적인 작업이 지연되고 이송된 원료를 필요로 하는 설비에서 원료의 재고가 감소되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8622호(공고일: 2001년 4월 2일)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8213호(공고일: 2002년 3월 15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4197호(공개일: 2010년 6월 14일)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벨트로부터 원료를 슈트로 유도하면서 슈트의 내부에 유도된 원료가 슈트의 내부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하는 원료 유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로 인한 슈트의 막힘 및 넘침을 방지하는 원료 유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원료 유도 장치는 컨베이어의 벨트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양측에는 슈트가 위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를 상하이동시켜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의 원료를 상기 슈트의 내부로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슈트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슈트의 내부에 유도되는 원료와 접촉되는 커튼부; 및 상기 슈트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부에 연결되고 상기 커튼부에 접촉되어 상기 커튼부에 충격을 가하는 커튼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튼 구동부는, 상기 유도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도부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구동 연결부; 및 상기 슈트에 설치되어 상기 커튼부에 접촉되고 상기 구동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 연결부가 하향이동할 때 상기 커튼부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커튼부를 변형시키는 구동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몸체부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슈트의 내측면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회전 샤프트부; 상기 회전 샤프트부와 교차하면서 상기 슈트의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샤프트부; 및 상기 구동 연결부와 상기 회전 샤프트부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 연결부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 샤프트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구동 샤프트부를 회전시키는 연결 샤프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부가 상기 구동 연결부를 하향 이동시킬 때, 상기 연결 샤프트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부를 중심으로 상기 슈트의 외측면을 향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 샤프트부를 상기 슈트의 내측면로부터 이격되도록 회전시키며, 상기 커튼부의 일부는 상기 구동 샤프트부에 의해 상기 슈트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몸체부는,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종단에 설치되고 상기 커튼부에 접촉되어 회전가능한 커튼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 샤프트부 및 상기 연결 샤프트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 샤프트부와 상기 구동 연결부는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의 하측에 위치되는 유도 몸체부; 및 상기 유도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도 몸체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유도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 구동부가 상기 유도 몸체부를 상향이동시키면,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는 상향이동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의 원료는 스크레이퍼에 차단되어 상기 슈트의 내부로 유도되고, 상기 유도 구동부가 상기 유도 몸체부를 하향이동시키면,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의 원료는 상기 스크레이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커튼 구동부는 구동되어 상기 커튼부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커튼부를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유도 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기 슈트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된 보조 유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차단된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의 원료는 상기 보조 유도부를 따라 상기 슈트의 내부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료 유도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원료가 컨베이어의 벨트로부터 슈트의 내부로 유도되고, 슈트의 내부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2) 원료로 인한 슈트의 막힘 및 넘침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료 유도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료 유도 장치에서 부착되어 형성된 부착원료가 제거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료 유도 장치(100)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료 부착 방지 장치(100)에서 부착되어 형성된 부착원료(A)가 제거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료 유도 장치(100)는 유도부(101), 커튼부(102) 및 커튼 구동부(103)를 포함하며, 컨베이어의 벨트(10)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M)를 슈트(20)에 유도하면서, 슈트(20)에 유도된 이후에 슈트(20)의 내부에서 부착되어 형성된 부착원료(A)를 제거한다. 한편, 원료(M)가 슈트(20)에 의해 유도될 때, 컨베이어의 벨트(10)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M)는 스크레이퍼(30)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원료 유도 장치(100)는 컨베이어의 벨트(10)의 일부분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유도부(101)는 컨베이어의 벨트(10)의 하측에 위치된다. 유도부(101)의 양측에는 각각 슈트(20)가 위치된다. 유도부(101)는 상하이동하여, 컨베이어의 벨트(10)를 상하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유도부(101)가 상향 이동하면, 유도부(101)는 컨베이어의 벨트(10)를 상향 이동시킨다. 이때, 컨베이어의 벨트(10)는 스크레이퍼(30)에 근접하도록 위치된다. 이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의 벨트(10) 상의 원료(M)는 스크레이퍼(30)에 의해 차단되어 이송되지 않고 컨베이어의 벨트(10)의 양측으로 유도되어 슈트(20)의 내부로 유도된다.
또한, 원료(M)가 슈트(20)의 내부에 원하는 양만큼 유도되면, 유도부(101)는 하향 이동하여, 컨베이어의 벨트(10)를 하향 이동시키고. 컨베이어의 벨트(10)로부터 이격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M)는 스크레이퍼(30)에 의해 차단되지 않아 슈트(20)의 내부로 유도되지 않고 컨베이어의 벨트(10)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유도부(101)는 유도 몸체부(111), 유도 구동부(113) 및 보조 유도부(115)를 포함한다.
유도 몸체부(111)는 컨베이어의 벨트(10)의 하측에 위치된다. 유도 몸체부(111)는 컨베이어의 벨트(10)의 폭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유도 구동부(113)는 유도 몸체부(111)의 하측에 위치되어 유도 몸체부(111)에 연결된다. 유도 구동부(113)는 유도 몸체부(111)를 상하이동시킨다. 유도 구동부(113)에 의한 유도 몸체부(111)의 상하이동은 컨베이어의 벨트(10)를 상하이동시켜, 원료(M)는 컨베이어의 벨트(10)에 의해 이송되거나, 스크레이퍼(30)에 의해 슈트(20)의 내부로 유도된다. 즉, 유도 구동부(113)는 원료(M)의 이송 또는 슈트(20)로의 유도를 선택하는 데에 이용된다.
보조 유도부(115)는 유도 몸체부(11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된다. 이때, 보조 유도부(115)는 슈트(20)의 내부를 향하여 하측으로 기울어진 형태이다. 컨베이어의 벨트(10) 상의 원료(M)가 스크레이퍼(30)에 의해 차단되어 컨베이어의 벨트(10)의 양측으로 유도될 때, 원료(M)는 보조 유도부(115)를 따라 슈트(20)의 내부에 유도된다. 이때, 보조 유도부(115)는 유도 몸체부(111)와 슈트(20) 사이의 간격을 폐쇄한다. 이로 인해, 원료(M)는 보조 유도부(115)에 의해 유도 몸체부(111)와 슈트(20) 사이에 유도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슈트(20)의 내부에 유도된다.
커튼부(102)는 슈트(20)의 내측면에 위치된다. 이때, 커튼부(102)의 상단이 슈트(20)에 고정되어, 커튼부(102)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슈트(20)의 내측면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슈트(20)의 내부에 유도된 원료(M)는 커튼부(102)에 접촉되어 커튼부(102)를 따라 슈트(20)의 하측으로 유도된다. 또한, 커튼부(102)는 슈트(2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변형가능한 구성이다.
커튼 구동부(103)는 슈트(20)에 설치되어 커튼부(102)에 접촉되고, 유도부(101)에 연결된다. 유도부(101)가 컨베이어의 벨트(10)를 상하이동시킬 때, 커튼 구동부(103)는 커튼부(102)에 충격을 가하여 커튼부(102)를 변형시키도록 구동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부(101)가 컨베이어의 벨트(10)를 상향이동시킨 상태에서, 원료(M)가 슈트(20)의 내부로 유도될 때, 커튼 구동부(103)는 커튼부(102)에 충격을 가하지 않아, 커튼부(102)는 원래의 형상으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원료(M)는 슈트(20)의 내부에 유도되어 커튼부(102)를 따라 안정적으로 하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반면에, 원료(M)가 슈트(20)의 내부로 원하는 양만큼 유도되면, 유도부(101)가 컨베이어의 벨트(10)를 하향이동시킨 상태에서, 원료(M)는 슈트(20)의 내부에 유도되지 않는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 구동부(103)는 유도부(101)에 의해 구동되어 커튼부(102)에 충격을 가하여 커튼부(102)를 변형시킨다. 이로 인해, 원료(M)가 커튼부(102)에 접촉되어 부착된 형성된 부착원료(A)는 커튼부(1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원료(M)가 슈트(20)의 내부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아, 부착원료(A)로 인한 슈트(20)의 막힘 및 넘침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커튼 구동부(103)는 구동 연결부(131) 및 구동 몸체부(133)를 포함한다.
구동 연결부(131)는 유도부(101)에 연결되어 유도부(101)에 의해 상하이동한다. 예를 들어, 유도부(101)가 컨베이어의 벨트(10)를 상향이동시킬 때, 구동 연결부(131)도 상향이동되고, 유도부(101)가 컨베이어의 벨트(10)를 하향이동시킬 때, 구동 연결부(131)도 하향이동된다. 즉, 구동 연결부(131)는 유도부(101)에 의해 컨베이어의 벨트(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구동 몸체부(133)는 슈트(20)에 설치된다. 이때, 구동 몸체부(133)는 구동 연결부(131)에 연결되고, 커튼부(102)에 접촉된다. 구동 연결부(131)가 유도부(101)에 의해 하향 이동될 때, 구동 몸체부(133)는 커튼부(102)를 향하여 이동하여 커튼부(102)에 충격을 가하여 커튼부(102)를 변형시킨다. 이때, 구동 몸체부(133)가 접촉된 커튼부(102)의 부분이 슈트(2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형태로 커튼부(102)의 변형은 이루어진다. 또한, 구동 몸체부(133)는 회전 샤프트부(133a), 구동 샤프트부(133b), 연결 샤프트부(133c) 및 커튼 접촉부(133d)를 포함한다.
회전 샤프트부(133a)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슈트(20)의 내측면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되고,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구동 샤프트부(133b)는 회전 샤프트부(133a)와 교차하여 슈트(20)의 내측면 상에 위치된다. 구동 샤프트부(133b)는 회전 샤프트부(133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슈트(20)의 내측면로부터 이격되기도 하고, 다시 슈트(20)의 내측면을 향하여 회전되기도 한다.
연결 샤프트부(133c)는 구동 연결부(131)와 회전 샤프트부(133a)를 연결한다. 구동 샤프트부(133b)가 슈트(20)의 내측면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 연결부(131)가 하향 이동하면, 연결 샤프트부(133c)는 회전 샤프트부(133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슈트(20)의 외측면을 향한다. 이때, 구동 샤프트부(133b)는 회전 샤프트부(133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슈트(2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로 인해, 구동 샤프트부(133b)는 커튼부(102)에 충격을 가하고 커튼부(102)를 변형시켜, 커튼부(102)에 부착원료(A)를 커튼부(102)로부터 분리시킨다. 한편, 구동 샤프트부(133b)가 슈트(2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구동 연결부(131)가 상향 이동하면, 연결 샤프트부(133c)는 회전 샤프트부(133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슈트(2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구동 샤프트부(133b)는 회전 샤프트부(133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슈트(20)의 내측면을 향한다. 이로 인해, 커튼부(102)는 원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복원된다.
또한, 연결 샤프트부(133c)는 회전 샤프트부(133a)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어 구동 샤프트부(133b)와의 일정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고, 구동 연결부(131)에는 유니버셜 조인트 등을 이용하여 힌지 연결된다.
커튼 접촉부(133d)는 구동 샤프트부(133b)의 종단에 설치되고, 롤러의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가능하다. 구동 샤프트부(133b)가 회전 샤프트부(133a)를 중심으로 슈트(20)의 내측면으로 이격되도록 회전되면, 커튼 접촉부(133d)는 커튼부(102)에 접촉되어 회전된다. 이로 인해, 구동 샤프트부(133b)는 커튼부(102)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원활하게 회전되고, 커튼부(102)는 구동 샤프트부(133b)의 종단과의 접촉으로 인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원료 유도 장치(100)는 유도부(101)에 의해 컨베이어의 벨트(10)를 상하이동시켜, 컨베이어의 벨트(10) 상의 원료(M)를 컨베이어의 벨트(10)의 양측에 위치된 슈트(20)의 내부로 유도한다. 특히, 유도부(101)는 컨베이어의 벨트(10)의 상하이동을 통해 커튼 구동부(103)를 구동시킨다. 이때, 커튼 구동부(103)는 슈트(20)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슈트(20)의 내부로 유도되는 원료(M)와 접촉되는 커튼부(102)에 충격을 가하여 커튼부(102)를 변형시키고, 커튼부(102)에 접촉되고 부착된 원료(M)로 인해 형성된 부착원료(A)를 커튼부(102)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로 인해, 부착원료(A)는 커튼부(102)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을 수 있어, 부착원료(A)로 인한 슈트(20)의 막힘 또는 넘침이 발생되지 않고, 슈트(20)의 막힘 또는 넘침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원료 유도 장치
101: 유도부
111: 유도 몸체부
113: 유도 구동부
115: 보조 유도부
102: 커튼부
103: 커튼 구동부
131: 구동 연결부
133: 구동 몸체부
133a: 회전 사프트부
133b: 구동 샤프트부
133c: 연결 샤프트부
133d: 커튼 접촉부
10: 컨베이어의 벨트
20: 슈트
30: 스크레이퍼
M: 원료
A: 부착원료

Claims (7)

  1. 컨베이어의 벨트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양측에는 슈트가 위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를 상하이동시켜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의 원료를 상기 슈트의 내부로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슈트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슈트의 내부에 유도되는 원료와 접촉되는 커튼부; 및
    상기 슈트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부에 연결되고 상기 커튼부에 접촉되어 상기 커튼부에 충격을 가하는 커튼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유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구동부는,
    상기 유도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도부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구동 연결부; 및
    상기 슈트에 설치되어 상기 커튼부에 접촉되고 상기 구동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 연결부가 하향이동할 때 상기 커튼부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커튼부를 변형시키는 구동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유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몸체부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슈트의 내측면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회전 샤프트부;
    상기 회전 샤프트부와 교차하면서 상기 슈트의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샤프트부; 및
    상기 구동 연결부와 상기 회전 샤프트부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 연결부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 샤프트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구동 샤프트부를 회전시키는 연결 샤프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부가 상기 구동 연결부를 하향 이동시킬 때, 상기 연결 샤프트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부를 중심으로 상기 슈트의 외측면을 향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 샤프트부를 상기 슈트의 내측면로부터 이격되도록 회전시키며, 상기 커튼부의 일부는 상기 구동 샤프트부에 의해 상기 슈트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유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몸체부는,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종단에 설치되고 상기 커튼부에 접촉되어 회전가능한 커튼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유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부 및 상기 연결 샤프트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 샤프트부와 상기 구동 연결부는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유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의 하측에 위치되는 유도 몸체부; 및
    상기 유도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도 몸체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유도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 구동부가 상기 유도 몸체부를 상향이동시키면,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는 상향이동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의 원료는 스크레이퍼에 차단되어 상기 슈트의 내부로 유도되고,
    상기 유도 구동부가 상기 유도 몸체부를 하향이동시키면,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의 원료는 상기 스크레이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커튼 구동부는 구동되어 상기 커튼부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커튼부를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유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유도 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기 슈트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된 보조 유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차단된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의 원료는 상기 보조 유도부를 따라 상기 슈트의 내부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유도 장치.
KR1020160105419A 2016-08-19 2016-08-19 원료 유도 장치 KR101797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419A KR101797385B1 (ko) 2016-08-19 2016-08-19 원료 유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419A KR101797385B1 (ko) 2016-08-19 2016-08-19 원료 유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385B1 true KR101797385B1 (ko) 2017-11-13

Family

ID=60386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419A KR101797385B1 (ko) 2016-08-19 2016-08-19 원료 유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2439A (zh) * 2021-11-26 2022-03-22 河北华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防堵料功能的溜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065B1 (ko) 2012-03-06 2013-05-14 (주)하이텍산업개발 석탄 분배 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065B1 (ko) 2012-03-06 2013-05-14 (주)하이텍산업개발 석탄 분배 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2439A (zh) * 2021-11-26 2022-03-22 河北华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防堵料功能的溜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762B1 (ko) 벌크 재료 정밀 이송 슈트 장치
KR101797385B1 (ko) 원료 유도 장치
DE10027485A1 (de) Ein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r Förderanlage
WO2019160855A1 (en) Board turnover machine assembly and board turnover machine
KR20130134376A (ko) 벨트컨베이어용 부착광 제거장치
WO2019160853A1 (en) Board turnover machine assembly and board turnover machine
US11259530B2 (en) Device for guiding and supplying dough to a dough processing or transporting means
DE212018000333U1 (de) Aufklebevorrichtung
CN109823812A (zh) 一种能翻转的辊道机
EP2914519B1 (en) Tapered scraper for a conveyor belt
US2995883A (en) Removing temporary seals from containers
KR101819339B1 (ko) 창호 프레임 가공 장치
KR101281771B1 (ko) 낙광 이송 장치
KR101043084B1 (ko) 트립퍼 슈트 오버 플로우 감지장치
KR101543955B1 (ko) 이송물 중앙유도장치
KR10185788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WO2019160851A1 (en) Board turnover machine assembly and board turnover machine
KR100423426B1 (ko)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
KR1019780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KR101259372B1 (ko) 슈트 부착탄 처리 장치
KR100967717B1 (ko) 언로더 낙광 방지장치
JP2017128413A (ja) コンベアシュートの付着原材料除去装置及び除去方法
KR20190058050A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CN108016766B (zh) 下料清理机构及输料系统
KR200233920Y1 (ko) 라벨 절단기의 소재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