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050A -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050A
KR20190058050A KR1020170155658A KR20170155658A KR20190058050A KR 20190058050 A KR20190058050 A KR 20190058050A KR 1020170155658 A KR1020170155658 A KR 1020170155658A KR 20170155658 A KR20170155658 A KR 20170155658A KR 20190058050 A KR20190058050 A KR 20190058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craper
coupled
support frame
return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1195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5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1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4Moving scrapers
    • B08B1/005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는, 벨트컨베이어의 리턴벨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본체프레임부와,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고, 리턴벨트의 표면에 접하여 부착광을 제거하는 스크래퍼부와, 리턴벨트에 접촉되고, 리턴벨트를 스크래퍼부 측으로 가압하는 벨트가압부 및 본체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크래퍼부와 벨트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CLEANING DEVICE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부재에 부착된 부착광을 제거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수송물을 이송시키는 장치로, 주로 이송장치나 자동화 라인에 사용된다.
또한 벨트컨베이어는, 제철산업에서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데 주로 사용된다. 수송물을 운반하는 벨트부재의 양측에는 구동롤러가 구비되며, 구동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는 벨트부재의 하측에는 복수의 롤러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8014호(2010.11.04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 컨베이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부로 인하여 스크래퍼부의 리턴벨트에 대한 접촉력이 유지되며 부착광을 제거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는: 벨트컨베이어의 리턴벨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본체프레임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리턴벨트의 표면에 접하여 부착광을 제거하는 스크래퍼부; 상기 리턴벨트에 접촉되고, 상기 리턴벨트를 상기 스크래퍼부 측으로 가압하는 벨트가압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래퍼부와 상기 벨트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부 상에서 승강 이동하는 샤프트부; 및 상기 샤프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리턴벨트의 표면에 접촉되는 스크래퍼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부에는 상기 샤프트부의 승강 경로를 제공하는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외측면을 따라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래퍼부는, 상기 샤프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 상에서 이동되는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샤프트부에 결합되는 회전방지본체; 상기 회전방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 상에서 이동되는 회전방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부는, 상기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샤프트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가압부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설치프레임부; 및 상기 설치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리턴벨트를 접촉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는, 연결부로 인하여 스크래퍼부와 벨트가압부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고, 리턴벨트의 처짐이 발생되도 스크래퍼부가 리턴벨트의 표면에 접하여 부착광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부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로 인하여 샤프트부의 승강 경로를 제공하고, 샤프트부가 지지프레임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가이드부로 인하여 샤프트부가 지지프레임부 상에서 승강 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로 인하여 샤프트부와 지지프레임부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리턴벨트의 처짐 발생 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리턴벨트의 처짐 발생 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리턴벨트의 처짐 발생 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리턴벨트의 처짐 발생 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1)는 본체프레임부(100), 스크래퍼부(200), 벨트가압부(300), 연결부(400)를 포함한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프레임부(100)는 벨트컨베이어의 리턴벨트(15)의 외측에 설치되며, 리턴벨트(15)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료가 이송되는 벨트부재(10)는 이송벨트(11), 리턴벨트(15)를 포함한다. 이송벨트(11)는 풀리부(8)를 기준으로 풀리부(8)의 상측(도 1 기준)에서 이동되는 것이고, 리턴벨트(15)는 풀리부(8)의 하측에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프레임부(100)에는 뒤에 설명할 연결부(4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부(20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리턴벨트(15)의 표면에 접하여 부착광(5)을 제거한다.
스크래퍼부(200)는 지지프레임부(210), 샤프트부(220), 스크래퍼본체(230), 회전방지부(240), 탄성부재(250)를 포함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부(21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연결부(400)와 연결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지지프레임부(210)에는 제1가이드부(211), 제2가이드부(215)가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211)는 지지프레임부(210) 상에서 샤프트부(220)가 승강되도록 샤프트부(220)의 승강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홀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가이드부(211)가 지지프레임부(210)를 관통하며 홀부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지지프레임부(210) 상에서 승강 경로를 따라 뒤에 설명할 샤프트부(220)가 승강되도록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부(215)는 지지프레임부(21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레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215)는 지지프레임부(210)의 양 측면에서 내측으로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215)를 따라 뒤에 설명할 회전방지부(240)가 이동된다.
이로 인하여 샤프트부(220)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고, 샤프트부(220)에 결합되는 스크래퍼본체(230)의 위치가 고정되며 벨트부재(10), 구체적으로 리턴벨트(15)의 표면에 접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리턴벨트(15)에 스크래퍼본체(230)의 접촉이 유지됨으로 인하여 스크래퍼본체(230)가 리턴벨트(15)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광(5)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부(220)는 연결부(4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부(210) 상에서 승강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샤프트부(220)는 지지프레임부(210)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211) 상에서 승강한다.
이로 인하여 뒤에 설명할 벨트가압부(300)와 스크래퍼부(200) 사이 간격이 유지되고, 벨트부재(10), 구체적으로 리턴벨트(15)의 표면에 스크래퍼부(200)가 접촉되어 부착광(5)이 제거되도록 한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본체(230)는 샤프트부(220)에 결합되는 것으로, 리턴벨트(15)의 표면에 접촉된다.
이로 인하여 리턴벨트(15)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광(5)이 스크래퍼본체(230)와 충돌되고, 스크래퍼부(200)에 의해 리턴벨트(15)로부터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본체(23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각 샤프트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부(240)는 샤프트부(2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2가이드부(215) 상에서 이동된다. 회전방지부(240)는 회전방지본체(241), 회전방지롤러(243)를 포함한다.
회전방지본체(241)는 샤프트부(2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샤프트부(220)의 외주면에 위치 고정된다. 회전방지본체(241)는 지지프레임부(210)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215)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다.
이로 인하여 샤프트부(220)가 지지프레임부(210)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더하여 샤프트부(220)에 결합되는 스크래퍼본체(2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벨트부재(10), 구체적으로 리턴벨트(15)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롤러(243)는 회전방지본체(2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2가이드부(215) 상에서 이동된다. 회전방지롤러(243)는 제2가이드부(215)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회전방지부(240)와 제2가이드부(215)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부(210) 간 마찰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250)는 지지프레임부(210)와 샤프트부(2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샤프트부(220)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250)는 제1가이드부(211)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부(21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지지프레임부(210)에 고정 설치된다.
탄성부재(250)는 샤프트부(220)와 결합되고, 지지프레임부(210)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2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샤프트부(220)를 탄성 지지한다.
이로 인하여 리턴벨트(15)의 처짐으로 인해 벨트가압부(300)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연결부(400)에 의해 벨트가압부(300)와 연결되는 샤프트부(220)가 지지프레임부(210) 상에서 하측으로 이동 시 갑작스런 이동으로 인한 샤프트부(220)의 하중을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샤프트부(220)가 제1가이드부(211)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부(210)의 내주면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돌로 인해 장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탄성부재(250)는 코일(COIL) 형상의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가압부(300)는 리턴벨트(15)에 접촉되는 것으로, 리턴벨트(15)를 스크래퍼부(200) 측(도 2 기준 하측)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가압부(300)는 설치프레임부(310), 가압롤러(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프레임부(310)는 연결부(4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연결부(4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리턴벨트(15)의 처짐이 발생되는 경우 리턴벨트(15)를 가압하는 가압롤러(320)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대응되어 연결부(400)가 본체프레임부(100)의 소정 부분을 회전 중심 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도 2 기준)으로 회전될 때 설치프레임부(310)가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리턴벨트(15) 가압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롤러(320)는 설치프레임부(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리턴벨트(15)를 접촉 가압한다.
가압롤러(320)는 리턴벨트(15)를 하측(도 3 기준)으로 가압하며, 리턴벨트(15)의 장력 변화로 인해 처짐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스크래퍼부(200), 구체적으로 스크래퍼본체(230)가 리턴벨트(15)의 표면에 접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리턴벨트(15)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광(5)이 제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40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스크래퍼부(200)와 벨트가압부(300)를 연결한다.
연결부(400)에는 벨트가압부(300)와 스크래퍼부(200)가 연결되며, 이로 인하여 벨트가압부(300)와 스크래퍼부(200) 사이에 리턴벨트(15)가 항상 접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리턴벨트(15)의 장력으로 인해 처짐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이에 연동되어 가압롤러(320)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가압롤러(320)와 스크래퍼부(200), 구체적으로 스크래퍼본체(23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400)에는 연결홀부(40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연결부(40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도 4 기준)으로 회전 시 지지프레임부(210), 구체적으로 제1가이드부(211) 상에서 승강하는 샤프트부(220)와 연결부(40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벨트부재(10)는 풀리부(8)를 기준으로 상측에서 이동하는 이송벨트(11), 하측(도 2 기준)에서 이동하는 리턴벨트(15)를 포함한다.
본체프레임부(100)는 리턴벨트(15)의 외측, 구체적으로 하측에 설치되고, 연결부(400)가 본체프레임부(100)의 소정 부분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400)에 결합되는 벨트가압부(300)는 벨트부재(10), 구체적으로 이송벨트(11)의 상부와 접촉되며 이송벨트(11)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스크래퍼부(200)는 샤프트부(220), 스크래퍼본체(230), 회전방지부(240)를 포함하며 연결부(400)에 샤프트부(220)가 결합되고, 샤프트부(220)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스크래퍼본체(230)가 리턴벨트(15)의 하면(도 2 기준)에 접촉된다.
연결부(400)로 인하여 벨트가압부(300), 구체적으로 가압롤러(320)와 스크래퍼부(200), 구체적으로 스크래퍼본체(23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스크래퍼본체(230)가 리턴벨트(15)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광(5)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10), 구체적으로 리턴벨트(15)가 하측(도 4 기준)으로 처짐이 발생되고, 벨트가압부(300)가 리턴벨트(15)를 가압하도록 하측으로 이동된다.
벨트가압부(300)가 이동됨에 따라 벨트가압부(300)와 연결되는 연결부(400)가 시계 방향(도 5 기준)으로 회전되고, 연결부(400)와 결합되는 스크래퍼부(200), 구체적으로 샤프트부(220)도 하측으로 이동된다.
가압롤러(320)와 스크래퍼본체(23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됨으로 인하여 리턴벨트(15)의 처짐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스크래퍼본체(230)의 리턴벨트(15)에 대한 접촉력이 유지되고, 리턴벨트(15)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광(5)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설치프레임부(310)가 연결부(4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인하여 연결부(400)가 리턴벨트(15) 처짐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하더라도 벨트가압부(300), 구체적으로 설치프레임부(310)는 지면에 직교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리턴벨트(15)를 하측(도 5 기준)으로 가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전방지부(240)로 인하여 리턴벨트(15)의 처짐으로 인해 벨트가압부(300)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연결부(4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연결부(400)와 결합되는 스크래퍼부(200), 구체적으로 샤프트부(220)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하더라도 스크래퍼본체(2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스크래퍼본체(230)가 리턴벨트(15)의 표면에 접촉되어 리턴벨트(15)의 표면에 형성되는 부착광(5)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프레임부(210)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211)로 인해 스크래퍼부(200), 구체적으로 샤프트부(220)의 승강 경로를 제공하고, 벨트가압부(300)와 스크래퍼본체(23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스크래퍼본체(230)의 접촉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프레임부(210)에 제2가이드부(215)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회전방지부(240), 구체적으로 회전방지롤러(243)의 승강 경로를 제공하고, 샤프트부(22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250)가 지지프레임부(210)와 샤프트부(220) 사이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지지프레임부(210)와 샤프트부(220) 사이 간섭을 방지하고, 갑작스런 리턴벨트(15)의 처짐으로 인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5: 부착광
8: 풀리부 10: 벨트부재
11: 이송벨트 15: 리턴벨트
100: 본체프레임부 200: 스크래퍼부
210: 지지프레임부 211: 제1가이드부
215: 제2가이드부 220: 샤프트부
230: 스크래퍼본체 240: 회전방지부
241: 회전방지본체 243: 회전방지롤러
250: 탄성부재 300: 벨트가압부
310: 설치프레임부 320: 가압롤러
400: 연결부 401: 연결홀부

Claims (7)

  1. 벨트컨베이어의 리턴벨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본체프레임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리턴벨트의 표면에 접하여 부착광을 제거하는 스크래퍼부;
    상기 리턴벨트에 접촉되고, 상기 리턴벨트를 상기 스크래퍼부 측으로 가압하는 벨트가압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래퍼부와 상기 벨트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부 상에서 승강 이동하는 샤프트부; 및
    상기 샤프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리턴벨트의 표면에 접촉되는 스크래퍼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부에는 상기 샤프트부의 승강 경로를 제공하는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외측면을 따라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래퍼부는, 상기 샤프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 상에서 이동되는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샤프트부에 결합되는 회전방지본체;
    상기 회전방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 상에서 이동되는 회전방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부는, 상기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샤프트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압부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설치프레임부; 및
    상기 설치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리턴벨트를 접촉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KR1020170155658A 2017-11-21 2017-11-21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KR10202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658A KR102021195B1 (ko) 2017-11-21 2017-11-21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658A KR102021195B1 (ko) 2017-11-21 2017-11-21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050A true KR20190058050A (ko) 2019-05-29
KR102021195B1 KR102021195B1 (ko) 2019-09-11

Family

ID=6667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658A KR102021195B1 (ko) 2017-11-21 2017-11-21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816B1 (ko) * 2021-12-15 2023-06-16 (주)수산인더스트리 다중 스크레이퍼 날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용 클리닝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938A (ko) * 2000-12-12 2002-06-20 이구택 수송용 벨트의 수분제거 장치
KR100460037B1 (ko) * 2000-06-09 2004-12-03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벨트의 처짐 및 사행 자동방지 장치
KR101371395B1 (ko) * 2014-01-09 2014-03-07 주식회사 신성씨앤피 컨베이어벨트의 클리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037B1 (ko) * 2000-06-09 2004-12-03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벨트의 처짐 및 사행 자동방지 장치
KR20020045938A (ko) * 2000-12-12 2002-06-20 이구택 수송용 벨트의 수분제거 장치
KR101371395B1 (ko) * 2014-01-09 2014-03-07 주식회사 신성씨앤피 컨베이어벨트의 클리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816B1 (ko) * 2021-12-15 2023-06-16 (주)수산인더스트리 다중 스크레이퍼 날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용 클리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195B1 (ko)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660B1 (ko) 벨트컨베이어
JP5314748B2 (ja) 昇降装置
KR101158483B1 (ko) 천장주행형 물류반송시스템용 반송장치
KR20190058050A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KR1014244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KR101411845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1938065B1 (ko) 벨트컨베이어
KR20130046564A (ko) 트리퍼
KR20190030934A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1424445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KR101295743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1818374B1 (ko) 벨트컨베이어
KR102057775B1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 장치
KR10185788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KR101938066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38804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0450326Y1 (ko) 대차용 스토퍼
KR102110673B1 (ko) 벨트컨베이어
KR102551512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20190045485A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KR20120110317A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CN110626730A (zh) 自动传输装置
KR101957580B1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조정장치
KR100605048B1 (ko) 시트형 제품 이송용 그립핑 장치
KR101928187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