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934A -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934A
KR20190030934A KR1020170118594A KR20170118594A KR20190030934A KR 20190030934 A KR20190030934 A KR 20190030934A KR 1020170118594 A KR1020170118594 A KR 1020170118594A KR 20170118594 A KR20170118594 A KR 20170118594A KR 20190030934 A KR20190030934 A KR 2019003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upport
pulley
tension
bel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8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0934A/ko
Publication of KR2019003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와, 한 쌍의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벨트부재를 가압하는 웨이트풀리부와, 웨이트풀리부와 결합되며 웨이트풀리부에 하중을 가하여 벨트부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웨이트박스부가 구비되는 웨이트부와, 웨이트부와 연결되고, 웨이트부의 승강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파손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TENSION WEIGHT APPARATUS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웨이트부의 추락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다수 개의 풀리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수송물을 이송시키는데 널리 사용되며, 특히 제철산업에서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6563호(2013. 05. 08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웨이트부의 승강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벨트부재의 절손 시 추락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 한 쌍의 상기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부재를 가압하는 웨이트풀리부와, 상기 웨이트풀리부와 결합되며 상기 웨이트풀리부에 하중을 가하여 상기 벨트부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웨이트박스부가 구비되는 웨이트부; 및 상기 웨이트부와 연결되고, 상기 웨이트부의 승강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파손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손방지부는, 상기 웨이트부가 걸쳐지는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승강프레임부; 및 상기 웨이트부와 결합되고, 상기 웨이트부를 상기 벨트부재 측으로 지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웨이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웨이트부가 승강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가 걸쳐져 이동되도록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웨이트부에 결합되는 지지본체; 상기 지지프레임부를 관통하며 상기 지지프레임부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지지이동부; 상기 지지이동부와 상기 지지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 상에서 이동하는 가이드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지지이동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부 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승강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또한, 상기 파손방지부는 상기 웨이트풀리부의 축 방향 양측에 마주보며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파손방지부로 인해 웨이트부의 승강 이동 경로를 제공하여 벨트부재 절손으로 인한 웨이트부의 갑작스런 추락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부가 웨이트부의 추락 시 웨이트부를 탄성 지지하여 추락으로 인한 웨이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지지부로 인하여 가이드핀부를 승강프레임부 측으로 탄성 지지하고 웨이트부가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부가 승강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추락 시 웨이트부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손방지부가 웨이트풀리부의 축 방향 양측에 마주보며 한 쌍이 설치됨으로 인하여 웨이트풀리부의 추락 시 웨이트풀리부를 양측에서 지지하며 승강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웨이트부의 하강 시 완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벨트부재의 절손에 따른 웨이트부의 하강 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웨이트부의 하강 시 완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벨트부재의 절손에 따른 웨이트부의 하강 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1)는 텐션풀리부(100), 웨이트부(200), 파손방지부(300)를 포함한다.
텐션풀리부(100)는 벨트부재(10)를 지지하는 것으로, 한 쌍이 구비된다. 벨트컨베이어에는 한 쌍의 구동풀리부(5) 및 구동풀리부(5)에 감겨 무한궤도 이동되면서 원료 등 이송물을 이송시키는 벨트부재(10)가 구비된다.
이때 구동풀리부(5) 중 어느 하나에는 모터가 장착되어 구동풀리부(5)를 회전시킨다.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1)는 한 쌍의 구동풀리부(5) 사이에 위치되고, 자체 무게에 의해 벨트부재(10)를 하측(도 1 기준)으로 잡아당겨 벨트부재(10)의 장력(TENSION)을 유지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풀리부(100)는 한 쌍의 구동풀리부(5)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 개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100)가 구비되고 이격 배치된다.
한 쌍의 텐션풀리부(100)는 고정물(도면 미 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벨트부재(10)를 하측(도 1 기준)에서 상측(도 1 기준)으로 지지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부(200)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1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벨트부재(10)의 장력을 유지시킨다.
웨이트부(200)가 한 쌍의 텐션풀리부(100) 사이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벨트부재(10)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100) 사이에서 하측 방향(도 1 기준)으로 쳐진 형상을 가진다. 웨이트부(200)는 웨이트풀리부(210), 웨이트박스부(220)를 포함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풀리부(210)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100) 사이에 배치되어 벨트부재(10)를 하측(도 1 기준)으로 가압한다.
웨이트풀리부(210)는 벨트부재(10)에 접촉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웨이트풀리부(210)는 벨트부재(10)를 가압하면서 회전하여 벨트부재(10) 상에서 이송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웨이트풀리부(210)는 벨트부재(10)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웨이트풀리본체(211), 웨이트풀리본체(211)를 관통하며 뒤에 설명할 웨이트박스부(220)에 결합되는 웨이트풀리샤프트(213)를 포함한다.
웨이트풀리샤프트(213)가 웨이트박스부(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인하여 웨이트풀리본체(211)와 웨이트박스부(220) 간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더하여 웨이트박스부(220)와 웨이트풀리본체(211) 간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로 인해 웨이트풀리부(210), 웨이트박스부(2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박스부(220)는, 웨이트박스본체(221), 웨이트박스연결부(223)를 포함한다. 웨이트박스본체(221)는 설정 중량 값을 가지는 것으로 이는 요구되는 벨트부재(10)의 장력 값에 대응되도록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박스연결부(223)는, 웨이트박스본체(221)와 결합되는 것으로 웨이트박스본체(221)와 웨이트풀리부(210), 구체적으로 웨이트풀리샤프트(213)와 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웨이트박스본체(221)에 걸리는 하중을 웨이트풀리부(210)로 전달하고, 웨이트박스본체(221)의 하중에 의해 웨이트풀리부(210)가 하측(도 1 기준)으로 벨트부재(10)를 가압하여 벨트부재(10)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부(300)는 웨이트부(2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웨이트부(200)의 승강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파손방지부(300)는 웨이트풀리부(210)의 축 방향 양측에 마주보며 한 쌍이 설치된다.
파손방지부(300)가 한 쌍이 구비되어 설치됨으로 인하여, 벨트부재(10) 절손으로 인해 웨이트부(200)가 추락하는 경우에 웨이트부(200)의 양측에서 경로를 제공하여 웨이트부(200)가 균형을 이루며 하측(도 1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파손방지부(300)는 승강프레임부(310), 완충부(320)를 포함한다. 승강프레임부(310)는 웨이트부(200)와 연결되고, 웨이트부(200)가 걸쳐지도록 제1가이드부(311)가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311)는 웨이트부(200)의 승강 시 웨이트부(200)에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벨트부재(10)의 절손 시 웨이트부(200)가 추락하여 하측(도 1 기준)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뒤에 설명할 완충부(320)가 웨이트부(200)를 상측(도 1 기준)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벨트부재(10)의 절손 시 웨이트부(200)가 제1가이드부(311) 상에서 이동됨으로 인하여 웨이트부(200)가 승강프레임부(31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부(311)는 승강프레임부(310)를 관통하며 홀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승강프레임부(310)의 내측에서 홈부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제1가이드부(311)는 레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웨이트부(200), 구체적으로 웨이트풀리샤프트(213)가 제1가이드부(311)에 걸쳐져 승강 이동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320)는 웨이트부(200)와 결합되는 것으로, 웨이트부(200)를 벨트부재(10) 측(도 1 기준 상측)으로 지지한다.
완충부(320)는 지지부(321), 지지프레임부(325), 탄성지지부(321)를 포함한다. 완충부(320)는 승강프레임부(310)를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된다. 완충부(320)는 웨이트부(200), 구체적으로 웨이트박스부(220)와 결합된다.
완충부(320)가 승강프레임부(310)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웨이트부(200)를 지지함으로 인하여 벨트부재(10)의 절손으로 인해 웨이트부(200)가 추락 시 웨이트부(200)의 하중을 양측(도 1 기준 좌우측)에서 지지하며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웨이트부(200)의 추락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21)는 웨이트부(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링크결합된다. 지지부(321)는 지지본체(322), 지지이동부(323)를 포함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본체(322)는 웨이트부(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웨이트박스부(220)에 결합된다.
지지본체(322)는 웨이트부(200)와 뒤에 설명할 지지이동부(323)를 연결하는 것으로, 벨트부재(10) 절손 시 웨이트부(200)가 추락하여 하측(도 1 기준)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지지이동부(323)를 가압하여 지지이동부(323)가 뒤에 설명할 지지프레임부(325)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326) 상에서 이동되도록 한다.
도 1,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이동부(323)는 지지프레임부(325)를 관통하며 지지프레임부(325) 상에서 왕복 운동(도 1 기준 좌우 방향)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이동부(323)는 지지이동본체(3231), 스토퍼부(3235)를 포함한다. 지지이동본체(3231)는 지지프레임부(325)를 관통하며 지지프레임부(325) 내측에서 왕복(도 3 기준 좌우 방향) 운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이동본체(3231)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지지프레임부(325) 내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지지이동본체(3231)는 지지프레임부(325)에 형성되는 홀부를 통과하여 지지프레임부(325) 내측에서 왕복 운동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3235)는 지지이동본체(3231)와 결합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가이드핀부(324)와 결합되는 지지이동본체(3231)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에 결합된다.
스토퍼부(3235)는 지지프레임부(325)에 형성되는 홀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지지프레임부(325)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이 차단된다.
이로 인하여 지지이동본체(3231)가 지지프레임부(325) 내측에서 설정 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핀부(324)는 지지이동부(323)와 지지본체(322)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2가이드부(326) 상에서 이동한다.
가이드핀부(324)는 제2가이드부(326)에 걸쳐져 지지프레임부(325) 상에서 왕복 운동(도 1 기준 좌우 방향)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핀부(324)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지지프레임부(325) 사이에서 이동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지지프레임부(325)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326)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321)는 지지이동부(323)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승강프레임부(310) 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진다.
탄성지지부(321)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스프링(SPRING)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승강프레임부(310) 측 (도 1 기준 중앙부 측)으로 지지부(321)를 이동시키도록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321)는 지지이동부(323), 구체적으로 지지이동본체(3231)를 둘러싸며 지지프레임부(325)의 내측에 배치된다.
탄성지지부(321)의 일단부는 지지프레임부(325)의 내면에 접촉되고, 이에 대향되는 타단부는 지지부(321), 구체적으로 가이드핀부(324)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1)는 텐션풀리부(100), 웨이트부(200), 파손방지부(300)를 포함한다.
텐션풀리부(100)는 한 쌍이 이격배치되고, 고정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웨이트부(200)는 텐션풀리부(100) 사이에 설치되어 하측(도 1 기준)으로 벨트부재(10)를 가압하여 벨트부재(10)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손방지부(300)는 웨이트부(200)와 연결되고, 웨이트부(200)의 승강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파손방지부(300)로 인하여 벨트부재(10)가 절손되어 벨트부재(10)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웨이트부(200)재가 하측(도 2 기준)으로 추락 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벨트부재(10) 절손 시 추락으로 인한 웨이트풀리부(210), 웨이트박스부(2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손방지부(300)는 승강프레임부(310), 완충부(320)를 포함한다. 승강프레임부(310)의 제1가이드부(311)에 웨이트부(200)가 걸쳐져 승강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벨트부재(10)의 절손 시 웨이트부(200)가 추락하게 되고, 제1가이드부(311)로 인하여 웨이트부(200)의 낙하 경로가 제공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웨이트풀리부(210), 구체적으로 웨이트풀리샤프트(213)가 제1가이드부(311)에 걸쳐지며 승강프레임부(310) 상에서 이동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완충부(320)는 지지부(321), 지지프레임부(325)를 포함한다. 완충부(320)는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승강프레임부(310)를 기준으로 양측에 쌍으로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벨트부재(10)의 절손으로 인한 웨이트부(200)의 추락 시 웨이트부(200)를 양측에서 지지하여 웨이트부(200)의 추락을 저지하고, 추락으로 인한 웨이트부(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21)가 웨이트부(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부(321)는 지지프레임부(325)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326)를 따라 좌우 방향(도 6 기준)으로 왕복 운동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321)는 지지본체(322), 지지이동부(323), 가이드핀부(324)를 포함하고, 지지본체(322)는 웨이트부(200), 구체적으로 웨이트박스부(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본체(322)는 가이드핀부(324)와 결합되며 가이드핀부(324)는 지지프레임부(325)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326) 상에서 이동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이동본체(3231)는 일단부가 가이드핀부(324)에 결합되고, 이에 대향되는 타단부가 스토퍼부(3235)에 결합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스토퍼부(3235)는 지지프레임부(325)에 형성되는 홀부보다 크게 형성되고, 지지이동본체(3231)가 소정 구간을 초과하여 지지프레임부(325)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탄성지지부(321)가 지지프레임부(325) 내측에서 지지이동본체(3231)를 둘러싸며 결합된다.
탄성지지부(321)는 벨트부재(10)의 절손으로 인한 웨이트부(200)의 추락 시 가이드핀부(324)와 지지프레임부(325)의 내측벽 사이에서 압축된다.
탄성지지부(321)는 승강프레임부(310) 측(도 4 기준 좌측)을 향해 탄성복원력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웨이트부(200)의 추락을 저지하며 탄성 지지하고, 추락으로 인한 웨이트부(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5: 구동풀리부
10: 벨트부재 100: 텐션풀리부
200: 웨이트부 210: 웨이트풀리부
211: 웨이트풀리본체 213: 웨이트풀리샤프트
220: 웨이트박스부 221: 웨이트박스본체
223: 웨이트박스연결부 300: 파손방지부
310: 승강프레임부 311: 제1가이드부
320: 완충부 321: 지지부
322: 지지본체 323: 지지이동부(323)
3231: 지지이동본체 3235: 스토퍼부
324: 가이드핀부 325: 지지프레임부
326: 제2가이드부 327: 탄성지지부

Claims (7)

  1. 벨트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
    한 쌍의 상기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부재를 가압하는 웨이트풀리부와, 상기 웨이트풀리부와 결합되며 상기 웨이트풀리부에 하중을 가하여 상기 벨트부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웨이트박스부가 구비되는 웨이트부; 및
    상기 웨이트부와 연결되고, 상기 웨이트부의 승강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파손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방지부는,
    상기 웨이트부가 걸쳐지는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승강프레임부; 및
    상기 웨이트부와 결합되고, 상기 웨이트부를 상기 벨트부재 측으로 지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웨이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웨이트부가 승강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가 걸쳐져 이동되도록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웨이트부에 결합되는 지지본체;
    상기 지지프레임부를 관통하며 상기 지지프레임부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지지이동부;
    상기 지지이동부와 상기 지지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 상에서 이동하는 가이드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지지이동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부 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승강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방지부는 상기 웨이트풀리부의 축 방향 양측에 마주보며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0170118594A 2017-09-15 2017-09-15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20190030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594A KR20190030934A (ko) 2017-09-15 2017-09-15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594A KR20190030934A (ko) 2017-09-15 2017-09-15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934A true KR20190030934A (ko) 2019-03-25

Family

ID=6590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594A KR20190030934A (ko) 2017-09-15 2017-09-15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09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665A (ko) * 2019-10-24 2021-05-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20210048666A (ko) * 2019-10-24 2021-05-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CN115574057A (zh) * 2022-09-30 2023-01-06 浙江康立自控科技有限公司 一种直线往复运动驱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665A (ko) * 2019-10-24 2021-05-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20210048666A (ko) * 2019-10-24 2021-05-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CN115574057A (zh) * 2022-09-30 2023-01-06 浙江康立自控科技有限公司 一种直线往复运动驱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45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KR20190030934A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JP5314748B2 (ja) 昇降装置
KR100727108B1 (ko) 벨트 컨베이어의 표면 크리닝 장치
KR101411845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CN106809608A (zh) 一种张紧力可调的皮带传送机构
KR101299048B1 (ko) 트리퍼
KR100678855B1 (ko) 컨베어벨트 텐션조정장치
KR101424445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KR10060829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평대차 이탈 방지장치
KR102021195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KR10138804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CN205873219U (zh) 空罐体横竖自动翻转装置
KR102032638B1 (ko) 컨베이어용 마모 방지 장치
KR10137750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KR20130046562A (ko) 벨트 컨베이어
KR102348978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1957588B1 (ko) 벨트 컨베이어 승강 장치
KR10217786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손상감지장치
KR20110085488A (ko) 컨베이어용 완충 지지장치
KR102264339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20190101775A (ko) 벨트의 장력조절 및 쏠림방지장치
KR101605230B1 (ko) 텐션 웨이트 균형조절 장치
KR20190121989A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 장치
JP6110123B2 (ja) 枚葉物供給方法、及び枚葉物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