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426B1 -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 - Google Patents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426B1
KR100423426B1 KR10-1999-0055763A KR19990055763A KR100423426B1 KR 100423426 B1 KR100423426 B1 KR 100423426B1 KR 19990055763 A KR19990055763 A KR 19990055763A KR 100423426 B1 KR100423426 B1 KR 100423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leveler
cleaning
cleaning materi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4791A (ko
Inventor
김기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55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426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21B28/04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while in use, e.g. polishing or grinding while the rolls are in their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71Levelling the roll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트립의 표면 형상을 교정하는 레벨러의 워크롤 및 핀치롤등에 스트립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은, 상기 레벨러(10)의 워크롤 및 핀치롤(12)(14)의 사이에 끼워져 롤 이물질을 제거토록 하는 크리닝재(20)와, 상기 레벨러(10)의 몸체(10a) 일측으로 연결 설치된 실린더(32)와 구동모터 (34)로서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크리닝재(20)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30)과, 상기 이송수단(30)의 일측으로 이송되는 크리닝재(2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40) 및, 상기 가이드수단(40)과 일측 핀치롤(14)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된 크리닝재(20)를 절단시키는 절단수단(5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Apparatus for cleaning rolls of leveller}
본 발명은 제철공장의 냉연강판인 스트립의 표면형상을 교정하는 즉, 스트립의 평탄성을 향상시키는 레벨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실질적으로 스트립의 평탄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수의 워크롤(work roll)과, 스트립의 이송을 수행하는 핀치롤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의 냉연공장에 있어서, 연속소둔라인에서 사용되는 레벨러는 냉연강판인 최종 제품인 스트립의 표면 형상을 교정하기 위하여, 즉 스트립의 평탄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레벨러를 이용하는데, 이와 같은 레벨러를 이용한 스트립의 레벨링작업은 스트립의 제품 품질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레벨러는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10a)(110b)로서 승,하강토록 설치된 상부 가이드블록(120a)에 각각 다수의 상부 워크롤(130a)과 상부 핀치롤(140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상부 워크롤 및 핀치롤(130a)(140a)의 하측으로 고정 가이드블록(120b)에는 이동하지 않은 고정 하부워크롤(130b)과 핀치롤(140b)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각 워크롤(130)들사이에서 핀치롤(140)들로서 이송되는 스트립(S)의 레벨링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벨러(100)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스트립의 평탄성이 상기 워크롤(130)을 통과하면서 이루어 지는데,. 상기 스트립(S)의 제조공정시에는 부착되는 오일,스트립 조각 등의 많은 이물질이 발생될 수 있고, 결국 이와 같은 이물질들은 이송되는 스트립(S)을 통하여 상기 워크롤(130) 및 핀치롤(140)에 부착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물질은 스트립의 레벨링 작업시 표면 평탄성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스트립의 표면에 홈같은 손상을 발생시키기도 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반복적으로 상기 각롤(130)(140)의 표면을 크리닝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레벨러 롤(130)(140)들의 크리닝작업에 있어서, 상기 롤들의 간격이 극히 미세하여 롤(130)(140) 전체를 용이하게 크리닝하는것이 어렵게 될 뿐 만아니라, 특히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사포 또는 면봉등으로 수행하게 되어 그 크리닝작업이 극히 지연되는 한편, 실질적으로 각롤(130)(140)들의 완전한 크리닝작업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두께가 뚜꺼운 스트립의 레벨링작업시에는 상기 워크롤 뿐 만 아니라, 이를 가이드하는 다수의 백업롤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롤사이에 끼이는 이물질로 인하여 스트립의 레벨링 정밀도가 극히 저하되고, 이는 결국 스트립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더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시 레벨러의 오작동으로 롤사이에 작업자의 팔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크리닝작업을 위한 레벨러의 작동중지로 전체 스트립의 제조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레벨러의 워크롤 및 핀치롤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레벨러의 스트립 레벨링 정밀도를 향상시키어 스트립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이에 전체적인 스트립의 제조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특히 롤 크리닝장치를 레벨러에 일체로 연결 설치하면서 권취된 크리닝재를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레벨러에 신속하게 투입하여 레벨러의 롤 크리닝이 수행되어 레벨러 롤의 크리닝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진행되면서, 레벨러는 물론, 크리닝장치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레벨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 레벨러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사사도
도 5는 본 발명인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요부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롤 크리닝장치 10.... 레벨러
10a.... 레벨러 몸체 20.... 크리닝재
30.... 이송수단 40.... 가이드수단
50.... 절단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스트립의 표면 교정작업을 수행하도록 스트립이 압착 통과하는 레벨러에 접착성을 갖는 크리닝재를 투입시키어 상기 레벨러의 롤들을 크리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을 갖는 크리닝재는 권취될 수 있는 연성재질로 향성되며,상기 레벨러의 몸체 일측으로 연결 설치된 실린더와 구동모터로서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크리닝재를 권취 이송시키는 이송롤로 구성된 이송수단;과,상기 이송수단의 일측으로 제공되고, 이송되는 상기 크리닝재를 가이드하는 상,하부 가이드롤을 갖춘 가이드수단; 및,상기 가이드수단과 일측 핀치롤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된 상기 크리닝재를 절단시키는 상,하부 절단판을 갖춘 절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요부 구조도로서, 본 발명인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1)는 크리닝재(20)와 이송수단(30)과, 가이드수단(40) 및, 절단수단 (50)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레벨러(10)의 워크롤 및 핀치롤(12)(14)의 사이에 끼워져 롤 이물질을 제거토록 하는데 상기 크리닝재(20)는, 표면에 접착성을 갖으며, 권취될 수 있는 연성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크리닝재(20)를 권취 이송토록 하는 상기 이송수단(30)은, 상기 레벨러(10)의 몸체(10a) 일측으로 연결 설치된 실린더(32)와 구동모터(34)로서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30)은 이송롤로 이루어 지고, 상기 이송롤(30)은, 상기 레벨러 몸체(10a)의 일측으로 수평 결합된 고정브라켓트(16a)에 수직 설치된 상기 실린더(32)의 로드(32a)에 연결 설치된 고정블록(32b)에 초크부분(30a)이 삽입되고, 상기 이송롤(30)의 쵸크부분(30a)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블록(32b)에 수평 설치된 구동모터(34)로서 구동되는 이송벨트(34a)가 체결되는 기어(34b)가 설치되어 상,하이동 및 회전토록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 쵸크(30a)의 타단에는 실린더(39a)로서 전후 이송되는 스토퍼(39b)가 맞물리는 스프로켓(39)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송되는 크리닝재(20)를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수단(40)은, 상기 이송롤(30)의 일측으로 상기 레벨러 몸체(10a)에 설치된 고정판(16b)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롤(40b)과 상기 이송롤(30)의 초크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판(16c)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롤(40a)을 갖춘다.
상기 가이드수단(40)과 일측 핀치롤(14)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된 크리닝재 (20)를 절단시키는 절단수단(50)는, 상기 레벨러 몸체(10a)의 고정판(16b)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절단판(50a)과 그 상측으로 상기 레벨러 몸체(10a)상에 연결 설치된 에어실린더(52)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크리닝재(20)를 절단토록 하는 상부 절단판 (50b)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철공장의 냉연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스트립제품의 표면형상 즉, 평탄성을 일정하게 형성토록 하는 레벨러(10)의 워크롤(12) 및 상기 스트립(S)을 이송시키는 핀치롤(14)에 스트립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고, 동시에 부착된 이물질을 극히 간단하게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롤 크리닝장치(1)의 특징은 크리닝재(20)를 상기 워크롤 (12)과 핀치롤(14) 사이에 끼이도록 한후 이를 이송시키어 상기 각 롤(12)(14)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상기 크리닝재(20)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권취된 상태에서 풀리면서 이송되는 연성재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크리닝재(20)의 표면은 상기 각롤(12)(14)에 부착된 이물질을 롤에서 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접착성을 갖도록 한다.
한편, 상기 크리닝재(20)는 상기 레벨러(10)의 몸체(10a) 일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수단(30)에 권취되어 상기 이송수단(30)의 상하 이송 및 회전작동으로 초기 크리닝작업이 없을 때에는 스트립의 이송을 위하여 상승되어 있다가 크리닝작업시 하강한후, 회전 작동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30)은 이송롤로서 형성되는데, 상기 레벨러(10)의 몸체(10a) 일측으로 수평 결합된 고정브라켓트(16a)에 수직 설치된 상기 실린더(32)의 로드(32a)에 연결 설치된 고정블록(32b)에 상기 이송롤(30)의 초크부분(30a)이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32)의 승,하강 작동에 따라 일체로 승,하강되고, 이는 스트립의 레벨링 작동시에는 상승되어 있고, 반대로 스트립의 레벨링작동이 없을 때에는 하강하여 크리닝위치에 있게된다.
더하여, 상기 이송롤(30)의 쵸크부분(30a)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블록(32b)에 수평 설치된 구동모터(34)로서 구동되는 이송벨트(34a)가 체결되는 기어(34b)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34)의 구동력은 상기 이송벨트(34a)를 통하여 기 어 (34b)에 전달되고, 결국 상기 구동모터(34)가 구동하면 상기 이송롤(30)은 일체로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롤(30)에 권취된 크리닝재(20)는 상기 이송롤(30)에 의하여 풀리면서 레벨러(10)의 각롤(12)(14)의 위치로 이송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데, 그 작동은, 먼저 스트립의 레벨링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레벨러(10)의 상부 핀치롤(14) 및 상부 워크롤(12)이 각 가이드의 실린더에 의하여 상승되고, 이때 상기 이송롤(30)은 하강하여 회전작동을 시작하고, 상기 핀치롤(14)과 워크롤(12) 사이를 통과하여 레벨러(10)의 타측까지 이송되면, 상기 레벨러 타측에 설치된 센서(60)가 작동하여 상기 구동모터(34)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이송롤(30)의 타측 쵸크부분(30a)에 설치된 스프로켓(39)에는 실린더(39a)의 작동으로 전진하는 스토퍼(39b)가 맞물린다.
결국, 상기 이송롤(30)은 스토퍼(39b)에 의하여 회전 작동이 정지된 상태로 된후, 상기 레벨러(10)의 상부롤(12a)(14a)들이 하강하여 핀치롤(14)과 워크롤 (12) 사이에 크리닝재(20)가 견고하게 끼워지면, 상기 이송롤(3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절단수단(50)에 의하여 크리닝재(20)가 절단된다.
따라서, 상기 각롤(12)(14)은 크리닝재(20)를 스트립의 레벨링 작동과 같이 압착 이송시키면서, 상기 각롤(12)(14)에 부착된 이물질이 상기 크리닝재(20)에 부착되어 레벨러 롤(12)(14)들의 크리닝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단수단(50)는, 레벨러 몸체(10a)의 고정판(16b)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절단판(50a)과 그 상측으로 상기 레벨러 몸체(10a)상에 연결 설치된 에어실린더(52)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상부 절단판(50b)사이에 크리닝재(20)가 끼워져 상기 에어실린더(52)의 작동으로 상부 절단판(50b)이 하강하여 상기 천으로 형성된 크리닝재(20)는 절단된다.
한편, 상기 일측 핀치롤(14)과 이송롤(30) 사이에는 가이드수단(40)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이송롤(30)과 핀치롤(14) 사이에서 크리닝재(20)의 이송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며, 상기 가이드수단(40)은, 상기 이송롤(30)의 일측으로 상기 레벨러 몸체(10a)에 설치된 고정판(16b)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롤(40b)과 상기 이송롤(30)의 초크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판(16c)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롤 (40a)을 갖춘다.
따라서, 상기 상부 가이드롤(40a)은 이송롤(30)의 승,하강 작동시 일체로 승,하강하여 하측으로 고정된 하부 가이드롤(40b) 사이에는 상기 크리닝재(20)가 끼워져 이송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종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레벨러(10)의 롤들을 크리닝 하는 것에 비하여, 하나의 시트인 크리닝재(20)를 필요시 레벨러(10)의 워크롤(12)과 핀치롤(14) 사이에 이송시킨 다음, 절단하여 각 롤(12)(14)들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에 의하면, 레벨러의 워크롤 및 핀치롤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레벨러의 스트립 레벨링 정밀도를 향상시키어 스트립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이에 전체적인 스트립의 제조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특히 롤 크리닝장치를 레벨러에 일체로 연결 설치하면서 권취된 크리닝재를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레벨러에 신속하게 투입하여 레벨러의 롤 크리닝이 수행되어 레벨러 롤의 크리닝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진행되면서, 레벨러는 물론, 크리닝장치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스트립의 표면 교정작업을 수행하도록 스트립이 압착 통과하는 레벨러에 접착성을 갖는 크리닝재(20)를 투입시키어 상기 레벨러의 롤들을 크리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을 갖는 크리닝재(20)는 권취될 수 있는 연성재질로 향성되며,
    상기 레벨러(10)의 몸체(10a) 일측으로 연결 설치된 실린더(32)와 구동모터 (34)로서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크리닝재(20)를 권취 이송시키는 이송롤로 구성된 이송수단(30);과,
    상기 이송수단(30)의 일측으로 제공되고, 이송되는 상기 크리닝재(20)를 가이드하는 상,하부 가이드롤(40a)(40b)을 갖춘 가이드수단(40); 및,
    상기 가이드수단(40)과 일측 핀치롤(14)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된 상기 크리닝재(20)를 절단시키는 상,하부 절단판(50b)(50a)을 갖춘 절단수단(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로 구성된 이송수단(30)는, 상기 레벨러 몸체(10a)의 일측으로 수평 결합된 고정브라켓트(16a)에 수직 설치된 상기 실린더 (32)의 로드(32a)에 연결 설치된 고정블록(32b)에 초크부분(30a)이 삽입되고, 상기 이송롤(30)의 쵸크부분(30a)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블록(32b)에 수평 설치된 구동모터(34)로서 구동되는 이송벨트(34a)가 체결되는 기어(34b)가 설치되어 상하이동 및 회전토록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 쵸크(30a)의 타단에는 실린더(39a)로서 전후 이송되는 스토퍼(39b)가 맞물리는 스프로켓(39)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40)의 하부 가이드롤(40b)은, 상기 이송수단(30)의 일측으로 상기 레벨러 몸체(10a)에 설치된 고정판(16b)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수단(40)의 상부 가이드롤(40a)은 상기 이송수단(30)의 초크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판(16c)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가이드롤사이에서 상기 크리닝재(20)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50)의 하부 절단판(50a)은, 상기 레벨러 몸체(10a)의 고정판(16b)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절단수단(50)의 상부 절단판(50b)은 상기 하부 절단판(50a)의 상측으로 상기 레벨러 몸체(10a)상에 연결 설치된 에어실린더(52)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크리닝재(20)를 절단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
KR10-1999-0055763A 1999-12-08 1999-12-08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 KR100423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63A KR100423426B1 (ko) 1999-12-08 1999-12-08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63A KR100423426B1 (ko) 1999-12-08 1999-12-08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791A KR20010054791A (ko) 2001-07-02
KR100423426B1 true KR100423426B1 (ko) 2004-03-19

Family

ID=1962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763A KR100423426B1 (ko) 1999-12-08 1999-12-08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4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60B1 (ko) * 2002-05-22 2008-09-02 주식회사 포스코 형상교정롤의 표면 세정장치
KR100951261B1 (ko) * 2003-04-08 2010-04-02 주식회사 포스코 레벨러 롤의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36521B1 (ko) * 2014-05-07 2015-07-14 주식회사 포스코 롤 크리닝장치
CN116765171B (zh) * 2023-08-17 2023-10-20 淄博龙冠建材有限公司 一种c型钢生产加工用自动矫平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2464A (ja) * 1985-02-20 1986-08-27 Aida Eng Ltd レベラのロ−ル清掃装置
JPH05178446A (ja) * 1991-12-24 1993-07-20 Yuzo Higuchi 送りローラの清掃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ローラ清掃用パ ネル
KR20000013229U (ko) * 1998-12-24 2000-07-15 이구택 냉간교정기 상하롤의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2464A (ja) * 1985-02-20 1986-08-27 Aida Eng Ltd レベラのロ−ル清掃装置
JPH05178446A (ja) * 1991-12-24 1993-07-20 Yuzo Higuchi 送りローラの清掃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ローラ清掃用パ ネル
KR20000013229U (ko) * 1998-12-24 2000-07-15 이구택 냉간교정기 상하롤의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791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4080A (ko) 필름 표면 세정장치
KR100423426B1 (ko)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
KR100910389B1 (ko) 크린롤 제조장치의 이송장치
CN111016403B (zh) 一种撕膜装置
JP4825080B2 (ja) パレット遠心脱水装置
KR100560811B1 (ko) 아노드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478724B1 (ko) 수직 루퍼의 판쏠림 교정장치
KR101538863B1 (ko) 스트립의 오일 제거 장치
CN216127055U (zh) 一种清洁装置
CN215665579U (zh) 一种便于安装的封闭式输送机
KR100467771B1 (ko) 스트립 결함 방지용 피딩 테이블
CN220766047U (zh) 一种离型纸展平机构
KR100951261B1 (ko) 레벨러 롤의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JP4125388B2 (ja) ガラス板の折割り装置及びこれを具備したガラス板の加工装置
KR100851872B1 (ko) 스킨 패스 압연기의 워크롤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0090215A (ko) 스트립 표면의 이물질 제거용 와이퍼 장치
KR100822973B1 (ko)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접속 폭 차 감소장치
JP2831256B2 (ja) 残糸切断装置
CN115156311A (zh) 一种冷轧带钢跑偏的处理方法
CN116748168A (zh) 一种字符检测除废装置
KR101584499B1 (ko) 디플렉트롤 장치
KR20010027495A (ko) 코일의 포장 밴드 분리 제거장치
KR100805061B1 (ko) 브라이들롤 강판 패싱장치
JPS60106742A (ja) シ−ト搬送ロ−ルの掃除装置
KR20050029409A (ko) 스트립 그라인딩라인의 스트립 부착 스와프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