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499B1 - 디플렉트롤 장치 - Google Patents

디플렉트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499B1
KR101584499B1 KR1020140088963A KR20140088963A KR101584499B1 KR 101584499 B1 KR101584499 B1 KR 101584499B1 KR 1020140088963 A KR1020140088963 A KR 1020140088963A KR 20140088963 A KR20140088963 A KR 20140088963A KR 101584499 B1 KR101584499 B1 KR 101584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deflector
cleaning
strip
defl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규완
이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8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49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디플렉트롤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플렉트롤 장치는 복수의 디플렉트롤; 디플렉트롤들이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회전시 디플렉트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스트립과 접하는 스트립 작업영역에 위치시키도록 제공된 회전장치; 및 디플렉트롤들 중 스트립 작업영역을 벗어나 롤 크리닝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플렉트롤의 표면을 청소하도록 제공된 롤 크리닝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플렉트롤 장치{Deflect roll device}
본 발명은 디플렉트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가 완료된 디프렉트롤을 번갈아 사용할 수 있는 디플렉트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연공정을 거쳐 얇은 판 형태로 제조되는 철강제품을 스트립(Strip)이라 하고, 스트립을 원통형으로 감은 상태를 코일이라 한다. 이처럼 제조된 스트립을 코일형태로 권취하기 위해 통상 압연라인의 종료위치에는 권취장치가 설치되고, 권취장치의 전 단계의 스트립 이송경로에는 스트립을 권취장치 쪽으로 안내하도록 경로를 변경하는 디스플렉트롤이 설치된다.
또 스트립은 제품에 따라 압연라인에서 오일을 도포한 상태로 생산되거나 오일을 도포하지 않은 상태로 생산될 수 있으므로, 권취장치에서는 오일이 도포된 스트립을 권취하거나 오일을 도포하지 않은 스트립을 권취할 수 있다. 즉 권취장치에서는 수시로 오일이 도포된 스트립과 오일이 도포되지 않은 스트립이 바뀌어 권취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압연라인에서는 오일이 도포된 스트립의 권취작업을 하다가 오일이 도포되지 않은 스트립의 권취를 수행할 경우, 디플렉트롤에 묻은 오일이 오일을 도포하지 않은 스트립의 표면에 묻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오일을 도포한 스트립을 생산하다 오일을 도포하지 않은 스트립을 생산할 때는 디플렉트롤 표면을 깨끗이 닦아야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작업을 작업자의 손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청소작업 자체가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지체되어 생산성이 떨어질 뿐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었다.
또 디플렉트롤의 표면에는 금속칩과 같은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는데, 이처럼 디플렉트롤에 이물질이 부착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면, 권취되는 스트립에 흠집(덴트결함 등)이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표면이 청소된 디프렉트롤을 번갈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디플렉트롤을 거치는 스트립이 오염되거나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플렉트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디플렉트롤; 상기 디플렉트롤들이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회전시 디플렉트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스트립과 접하는 스트립 작업영역에 위치시키도록 제공된 회전장치; 및 상기 디플렉트롤들 중 상기 스트립 작업영역을 벗어나 롤 크리닝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플렉트롤의 표면을 청소하도록 제공된 롤 크리닝 장치를 포함하는 디플렉트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복수의 디플렉트롤 사이에 상기 복수의 디플렉트롤과 등거리를 유지하며 평행하게 설치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복수의 디플렉트롤 양단을 각각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축의 양측에 설치된 제1회전판과 제2회전판; 및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을 함께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의 외주연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에 각각 치합되는 제1 및 제2피니언기어, 상기 제1 및 제2피니언기어를 연결하는 동력축, 상기 동력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 크리닝 장치는 상기 롤 크리닝 영역에 위치하는 디플렉트롤 외면의 오일을 제거하도록 제공된 제1롤 크리닝 장치; 상기 롤 크리닝 영역에 위치하는 디플렉트롤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제공된 제2롤 크리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 크리닝 영역은 상기 스트립 작업영역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롤 크리닝 장치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1롤 크리닝 영역; 상기 제1롤 크리닝 영역 및 상기 스트립 작업영역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롤 크리닝 장치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2롤 크리닝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롤 크리닝 장치는 흡착시트가 권취된 흡착시트롤과, 상기 흡착시트롤로부터 풀리는 흡착시트를 상기 디플렉트롤 외면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제1밀착롤과, 상기 디프렉트롤과 상기 제1밀착롤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흡착시트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롤과, 흡착시트를 상기 견인롤 외면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제2밀착롤과, 상기 견인롤과 상기 제2밀착롤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흡착시트를 수거하는 수거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롤 크리닝 장치는 상기 제1밀착롤과 상기 제2밀착롤을 진퇴시키는 이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제1밀착롤의 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밀착롤을 상기 디플렉트롤에 밀착시키는 복원력을 가지는 제1이동실린더와, 상기 제2밀착롤의 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2밀착롤을 상기 견인롤에 밀착시키는 복원력을 가지는 제2이동실린더와, 상기 제1 및 제2이동실린더의 작동로드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로프와, 상기 복수의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축과,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켜 상기 제1 및 제2이동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이동장치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구동부는 상기 권취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와, 이 피니언기어와 치합된 랙기어와, 이 랙기어를 진퇴시키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롤 크리닝 장치는 상기 디플렉트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리닝패드와, 상기 크리닝패드를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를 진퇴시켜 상기 크리닝패드를 상기 디플렉트롤의 외면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진퇴구동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플렉트롤 장치는 복수의 디플렉트롤을 번갈아 사용할 수 있고, 스트립 작업영역을 벗어나 롤 크리닝 영역에 위치하는 디플렉트롤을 롤 크리닝 장치가 청소하여 오일이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늘 청소가 완료된 상태의 디플렉트롤을 이용하여 새로운 스트립의 이송을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립이 디플렉트롤 외면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오일이 도포된 스트립과 오일이 도포되지 않은 스트립을 번갈아 권취하는 경우라도 새로운 스트립이 디플렉트롤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플렉트롤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스트립의 이송과정에서 제1롤 크리닝 장치와 제2롤 크리닝 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플렉트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플렉트롤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회전장치의 동작에 의해 디플렉트롤들의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플렉트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플렉트롤 장치(100)는 압연라인의 스트립 이송경로에 설치될 수 있고, 권취장치(20) 이전 위치에서 스트립(20)의 이송경로를 변경하여 스트립(10)을 권취장치(20) 쪽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에서 부호 30은 스트립(10)의 이송을 구현하는 이송롤, 부호 40은 스트립(10)의 절단을 위한 절단부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디플렉트롤 장치(100)는 복수의 디플렉트롤(101,102,103)과, 복수의 디플렉트롤(101,102,103)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장치(110)와, 각 디플렉트롤(101,102,103)의 개별구동을 위한 복수의 모터(101a,102a,103a), 복수 디플렉트롤(101,102,103) 외면의 청소를 위한 제1롤 크리닝 장치(130)와 제2롤 크리닝 장치(140)를 포함한다.
복수의 디플렉트롤(101,102,103)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도 1의 예처럼 복수가 후술할 지지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정삼각형의 구도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디플렉트롤이 3개인 경우이므로 삼각 배치구조를 예시하고 있지만, 디플렉트롤이 2개일 경우에는 두 디플렉트롤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고, 디플렉트롤이 4개일 경우에는 정사각의 배치구조일 수도 있다.
회전장치(110)는 복수의 디플렉트롤(101,102,103)의 양단을 지지하면서 회전에 의해 복수의 디플렉트롤(101,102,103)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방식으로, 복수의 디플렉트롤(101,102,103) 중 하나가 번갈아 가며 스트립(10)과 접하는 스트립 작업영역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립 작업영역이란, 도 1의 예처럼 권취장치(20)로 이송되는 스트립(10)과 접한 상태로 디플렉트롤(101)이 위치하는 영역, 즉 도 1의 복수의 디플렉트롤(101,102,103) 중 가장 상부의 디플렉트롤(101) 위치를 의미한다.
회전장치(110)는 복수의 디플렉트롤(101,102,103) 사이에 설치되며 복수의 디플렉트롤(101,102,103)과 등거리를 유지하며 평행하게 설치되는 지지축(111), 지지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복수의 디플렉트롤(101,102,103) 양단을 각각 지지하도록 지지축(1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회전판(112)과 제2회전판(113), 제1회전판(112)과 제2회전판(113)을 함께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축(111)은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그 양단이 별도의 구조물에 지지됨으로써 그 양측에 설치된 제1회전판(112)과 제2회전판(113)이 안정되게 지지되면서 지지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각 디플렉트롤(101,102,103)은 양단이 제1회전판(112)과 제2회전판(11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회전판(112)의 측면에는 각 디플렉트롤(101,102,103)을 개별 구동할 수 있도록 각 디플렉트롤(101,102,103)의 축과 연결된 모터들(101a,102a,103a)이 설치된다. 모터들(101a,102a,103a)은 제1회전판(112) 대신 제2회전판(113)에 설치될 수도 있다.
회전구동부(1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회전판(112)과 제2회전판(113)의 외주에 각각 마련된 제1기어부(121)와 제2기어부(122), 제1기어부(121)와 제2기어부(122)에 각각 치합되는 제1피니언기어(123)와 제2피니언기어(124), 제1피니언기어(123)와 제2피니언기어(124)를 연결하는 동력축(125), 그리고 동력축(125)을 회전시키는 모터(126)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120)에서 제1기어부(121)와 제2기어부(122)는 제1 및 제2회전판(112,113)의 외주에 직접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부착될 수 있다. 동력축(125)은 고정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모터(126)는 역시 고정된 상태에서 동력축(125)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구동부(120)는 모터(126)의 동작에 의해 동력축(125)과 연결된 제1 및 제2피니언 기어(123,124)가 회전함으로써 제1회전판(112)과 제2회전판(113)을 회전시킬 수 있고, 제1 및 제2회전판(112,113)의 회전에 의해 각 디플렉트롤(101,102,103)이 지지축(111)을 중심으로 공전함으로써 각 디플렉트롤(101,102,103)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120)는 제1 및 제2회전판(112,113)을 회전시켜 디틀렉트롤들(101,102,10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면 될 것이므로, 그 형태가 앞서 언급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터가 지지축(111)을 직접 회전시키는 방식일 수도 있다.
제1롤 크리닝 장치(130)와 제2롤 크리닝 장치(140)는 복수의 디플렉트롤(101,102,103) 중 스트립 작업영역(디플렉트롤이 스트립(10)과 접하는 영역)을 벗어나 그 하부의 롤 크리닝 영역에 위치하는 디플렉트롤들(102,103)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롤 크리닝 영역이란, 스트립 작업영역을 벗어나 청소를 위해 하부에서 대기하는 영역, 즉 도 1에서 하측 디플렉트롤들(102,103)이 위치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제1롤 크리닝 장치(1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플렉트롤(102)의 외면의 오일을 닦아 제거하는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제2롤 크리닝 장치(140)는 디플렉트롤(103) 외면의 이물질(금속칩 등)을 쓸어 내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는 3개의 디플렉트롤을 구비하므로 스트립 작업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나머지 2개의 디플렉트롤(102,103)이 대기하는 영역을 각각 제1롤 크리닝 영역과 제2롤 크리닝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롤 크리닝 영역에 제1롤 크리닝 장치(130)가 설치되어 대기 중인 어느 하나의 디플렉트롤(102)의 청소를 수행할 수 있고, 제2롤 크리닝 영역에 제2롤 크리닝 장치(140)가 설치되어 대기 중인 나머지 디플렉트롤(103)의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제1롤 크리닝 장치(130)를 이용해 디플렉트롤 외면의 오일을 닦아 제거한 후, 디플렉트롤의 이동에 의해 제2롤 크리닝 장치(140)를 이용하여 디플렉트롤 외면의 칩 등의 이물질을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 예는 제1롤 크리닝 장치(130)와 제2롤 크리닝 장치(140)가 제1롤 크리닝 영역과 제2롤 크리닝 영역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다른 방식으로 각각 별도의 디플렉트롤의 청소을 수행하는 경우를 제시하고 있지만, 제1 및 제2롤 크리닝 장치(130,140)가 같은 영역에서 어느 하나의 디플렉트롤 청소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롤 크리닝 장치(13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시트(131)가 권취된 흡착시트롤(132)과, 흡착시트롤(132)로부터 풀리는 흡착시트(131)를 제1롤 크리닝 영역에 위치하는 디플렉트롤(102) 외면으로 안내하며 흡착시트(131)를 디플렉트롤(102)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제1밀착롤(133)과, 디프렉트롤(102)과 제1밀착롤(133)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흡착시트(131)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롤(134)과, 흡착시트(131)를 견인롤(134) 외면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제2밀착롤(135)과, 견인롤(134)과 제2밀착롤(135)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흡착시트(131)를 수거하는 수거용기(136)를 구비한다. 견인롤(13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34a)의 동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흡착시트(131)를 견인할 수 있다.
또 제1롤 크리닝 장치(130)는 제1밀착롤(133)과 제2밀착롤(135)을 진퇴시켜 제1밀착롤(133)과 제2밀착롤(135)을 진퇴시키는 이동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이동장치(150)는 제1밀착롤(133)의 축에 연결되며 제1밀착롤(133)을 디플렉트롤(102)에 밀착시키는 복원력을 가지는 제1이동실린더(151)와, 제2밀착롤(135)의 축에 연결되며 제2밀착롤(135)을 견인롤(134)에 밀착시키는 복원력을 가지는 제2이동실린더(152)와, 제1이동실린더(151)의 작동로드(151a) 및 제2이동실린더(152)의 작동로드(152a)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로프(153a,153b)와, 복수의 로프(153a,153b)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축(154)과, 권취축(154)을 회전시켜 제1 및 제2이동실린더(151,152)를 작동시키는 이동장치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장치구동부는 권취축(154)에 연결된 피니언기어(155)와, 이 피니언기어(155)와 치합된 랙기어(156)와, 이 랙기어(156)를 진퇴시키는 구동실린더(157)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장치(150)는 구동실린더(157)의 동작에 의해 랙기어(156)가 진퇴하여 권취축(154)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이동실린더(151,152)와 연결된 로프들(153a,153b)을 감아서 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고, 이를 통해 도 1과 도 3의 예처럼 제1 및 제2이동실린더(151,152)의 작동로드(151a,152a)가 진퇴하여 제1 및 제2밀착롤(133,135)이 각각 디플렉트롤(102) 및 견인롤(134)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이동실린더(151,152)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이동장치(150)의 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밀착롤(133,135)이 디플렉트롤(102) 및 견인롤(134)을 가압하는 상태에서는 도 1의 예처럼, 디플렉트롤(102) 및 견인롤(134)의 회전에 의해 흡착시트(131)가 흡착시트롤(132)로부터 풀려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디플렉트롤(102)의 외면을 닦아준다. 따라서 디플렉트롤(102)의 외면에 묻은 오일은 흡착시트(131)에 닦여 제거되고, 디플렉트롤(102)을 닦은 흡착시트(131)는 견인롤(134)의 동작으로 당겨지면서 수거용기(136)에 수거된다.
또 제1 및 제2밀착롤(133,135)은 도 3의 예처럼 이동장치(150)의 동작에 의해 디플렉트롤(102) 및 견인롤(134)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는 제1롤 크리닝 장치(130)가 동작을 멈추게 되므로 디플렉트롤(102)의 청소가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회전장치(110)는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복수의 디플렉트롤(101,102,103)이 지지축(111)을 중심으로 선회 이동하여 디플렉트롤들(101,102,103)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제1 및 제2밀착롤(133,135)이 이동장치(150)의 동작에 의해 동시에 진퇴하도록 한 경우를 제시하였으나, 이동장치는 제1밀착롤(133)과 제2밀착롤(135)를 개별적으로 진퇴시킬 수 있는 복수의 유압실린더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2롤 크리닝 장치(14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플렉트롤(10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리닝패드(141)와, 크리닝패드(141)를 지지하는 지지바(142)와, 지지바(142)를 진퇴시켜 크리닝패드(141)를 디플렉트롤(103)의 외면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복수의 진퇴구동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진퇴구동부(143)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크리닝패드(141)는 고무, 실리콘, 가죽,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롤 크리닝 장치(140)는 도 1에 도시한 예처럼 크리닝패드(141)가 디플렉트롤(103)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디플렉트롤(103)이 회전함으로써 디플렉트롤(103) 외면에 부착된 금속칩 등의 이물질을 쓸거나 긁어 내는 방식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장치(110)의 회전으로 디플렉트롤들의 위치가 변경될 때는 진퇴구동부(143)의 동작에 의해 크리닝패드(141)가 디플렉트롤(103) 외면으로부터 이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플렉트롤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장치(20)가 스트립(10)을 권취할 때는 스트립 작업영역에 위치하는 디플렉트롤(101, 가장 상측 디플렉트롤)이 스트립(10)과 접한 상태에서 스트립(10)의 이송을 안내한다. 오일이 도포된 스트립(10)을 권취할 때는 스트립(10)에 도포된 오일이 디플렉트롤(101) 외면에 묻을 수 있다.
이때 제1롤 크리닝 영역에 위치하는 디플렉트롤(102)은 대기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롤 크리닝 장치(130)의 동작에 의해 그 외면에 묻은 오일이 제거된다. 즉 이때는 제1밀착롤(133)과 제2밀착롤(135)이 흡착시트(131)를 디플렉트롤(102) 및 견인롤(134)에 밀착시키게 되고, 디플렉트롤(102) 및 견인롤(134)의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흡착시트롤(132)에 감긴 흡착시트(131)가 이동하면서 디플렉트롤(102) 외면의 오일을 닦아 제거한다.
또 제2롤 크리닝 영역에 위치하는 디플렉트롤(103)은 역시 대기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롤 크리닝 장치(140)의 동작에 의해 그 외면에 부착된 금속칩 등이 이물질이 제거된다. 제2롤 크리닝 영역의 디플렉트롤(103)은 그 이전 단계인 제1롤 크리닝 영역을 거치면서 제1롤 크리닝 장치(130)에 의해 외면의 오일이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압연라인의 권취장치(20)에서 오일이 도포된 스트립을 권취하다가 오일이 도포되지 않은 스트립을 권취할 때는 스트립(10)을 안내하는 디플렉트롤이 변경된다. 이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롤 크리닝 장치(130)와 제2롤 크리닝 장치(140)가 디플렉트롤들(101,102,103)과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구동부(120)의 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회전판(112,113)이 회전함으로써 디플렉트롤들(101,102,103)의 위치가 바뀐다. 즉 스트립 작업영역에서 권취작업을 마친 상측 디플렉트롤(101)은 제1롤 크리닝 장치(130) 쪽으로, 제1롤 크리닝 장치(130)에서 오일이 제거된 디플렉트롤(102)은 제2롤 크리닝 장치(140) 쪽으로, 제2롤 크리닝 장치(140)에서 외면의 이물질이 제거된 디플렉트롤(103)은 스트립(10) 안내를 위한 스트립 작업영역으로 각각 이동한다.
따라서 새롭게 스트립 작업영역으로 이동한 디플렉트롤(103)은 제1롤 크리닝 장치(130)와 제2롤 크리닝 장치(14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그 외면의 오일과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오일이 도포되지 않은 스트립을 권취하는 경우에도 스트립이 오일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디플렉트롤 외면에 이물질이 부착된 것도 아니기 때문에 스트립이 훼손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즉 스트립 작업영역으로 이동한 디플렉트롤(103)은 외면의 청소가 완료된 상태이므로 스트립(10)의 오염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스트립 작업영역을 벗어나 제1 및 제2롤 크리닝 장치(130,140) 쪽으로 이동한 디플렉트롤들(101,102)은 다음 작업을 위해 대기하면서 제1 및 제2롤 크리닝 장치(130,140)에 의해 외면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디플렉트롤 장치(100)는 복수의 디플렉트롤(101,102,103)을 번갈아 사용할 수 있고, 스트립 작업영역을 벗어나 롤 크리닝 영역에 위치하는 디플렉트롤을 제1 및 제2롤 크리닝 장치(130,140)가 청소하여 오일이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늘 청소가 완료된 상태의 디플렉트롤을 이용하여 새로운 스트립의 이송을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립이 디플렉트롤 외면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스트립, 100: 디플렉터롤 장치,
101,102,103: 디플렉터롤, 110: 회전장치,
111: 지지축, 112: 제1회전판,
113: 제2회전판, 120 회전구동부,
130: 제1롤 크리닝 장치, 131: 흡착시트,
132: 흡착시트롤, 133: 제1밀착롤,
134: 견인롤, 135: 제2밀착롤,
140: 제2롤 크리닝 장치, 141: 크리닝패드,
142: 지지바, 134: 진퇴구동부,
150: 이동장치, 151: 제1이동실린더,
152: 제2이동실린더, 153a,153b: 로프,
154: 권취축, 155: 피니언기어,
156: 랙기어, 157: 구동실린더.

Claims (10)

  1. 복수의 디플렉트롤;
    상기 디플렉트롤들이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회전시 디플렉트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스트립과 접하는 스트립 작업영역에 위치시키도록 제공된 회전장치; 및
    상기 디플렉트롤들 중 상기 스트립 작업영역을 벗어나 롤 크리닝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플렉트롤의 표면을 청소하도록 제공된 롤 크리닝 장치를 포함하는 디플렉트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복수의 디플렉트롤 사이에 상기 복수의 디플렉트롤과 등거리를 유지하며 평행하게 설치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복수의 디플렉트롤 양단을 각각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축의 양측에 설치된 제1회전판과 제2회전판; 및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을 함께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디플렉트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의 외주연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에 각각 치합되는 제1 및 제2피니언기어,
    상기 제1 및 제2피니언기어를 연결하는 동력축,
    상기 동력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디플렉트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 크리닝 장치는
    상기 롤 크리닝 영역에 위치하는 디플렉트롤 외면의 오일을 제거하도록 제공된 제1롤 크리닝 장치;
    상기 롤 크리닝 영역에 위치하는 디플렉트롤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제공된 제2롤 크리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플렉트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 크리닝 영역은
    상기 스트립 작업영역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롤 크리닝 장치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1롤 크리닝 영역;
    상기 제1롤 크리닝 영역 및 상기 스트립 작업영역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롤 크리닝 장치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2롤 크리닝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플렉트롤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 크리닝 장치는
    흡착시트가 권취된 흡착시트롤과,
    상기 흡착시트롤로부터 풀리는 흡착시트를 상기 디플렉트롤 외면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제1밀착롤과,
    상기 디프렉트롤과 상기 제1밀착롤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흡착시트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롤과,
    흡착시트를 상기 견인롤 외면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제2밀착롤과,
    상기 견인롤과 상기 제2밀착롤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흡착시트를 수거하는 수거용기를 포함하는 디플렉트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 크리닝 장치는 상기 제1밀착롤과 상기 제2밀착롤을 진퇴시키는 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디플렉트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제1밀착롤의 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밀착롤을 상기 디플렉트롤에 밀착시키는 복원력을 가지는 제1이동실린더와, 상기 제2밀착롤의 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2밀착롤을 상기 견인롤에 밀착시키는 복원력을 가지는 제2이동실린더와, 상기 제1 및 제2이동실린더의 작동로드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로프와, 상기 복수의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축과,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켜 상기 제1 및 제2이동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이동장치구동부를 포함하는 디플렉트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구동부는 상기 권취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와, 이 피니언기어와 치합된 랙기어와, 이 랙기어를 진퇴시키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디플렉트롤 장치.
  10.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 크리닝 장치는 상기 디플렉트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리닝패드와, 상기 크리닝패드를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를 진퇴시켜 상기 크리닝패드를 상기 디플렉트롤의 외면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진퇴구동부를 포함하는 디플렉트롤 장치.
KR1020140088963A 2014-07-15 2014-07-15 디플렉트롤 장치 KR101584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963A KR101584499B1 (ko) 2014-07-15 2014-07-15 디플렉트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963A KR101584499B1 (ko) 2014-07-15 2014-07-15 디플렉트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499B1 true KR101584499B1 (ko) 2016-01-14

Family

ID=5517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963A KR101584499B1 (ko) 2014-07-15 2014-07-15 디플렉트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4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2557A (ja) 2000-10-18 2004-04-22 ノルデニア ドイチュラント パシメック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ラベル除去方法と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
KR100507897B1 (ko) 2000-12-15 2005-08-17 주식회사 포스코 롤 크리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2557A (ja) 2000-10-18 2004-04-22 ノルデニア ドイチュラント パシメック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ラベル除去方法と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
KR100507897B1 (ko) 2000-12-15 2005-08-17 주식회사 포스코 롤 크리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0113B (zh) 卷筒物的接合装置、卷筒物的接合方法及功能性薄膜的制造方法
CN210333469U (zh) 一种8辊式清洁机
CN102232023A (zh) 干式柔性版印刷板清洁器系统及方法
CN113770189A (zh) 一种张力可控有自动润滑功能的拉丝机
KR101591260B1 (ko) 정정 설비
KR101618810B1 (ko) 패널 양면 코팅 장치
KR101584499B1 (ko) 디플렉트롤 장치
CN209906007U (zh) 涂布机在线不停机换卷机构
KR20220000323A (ko) 강판용 클리너 장치
EP3288689B1 (en) A method of cleaning of a printed band of flexible material, as well as an apparatus therefor
CN110126434B (zh) 一种lcd显示屏快速去膜装置
CN116675001A (zh) 一种用于玻璃管件的负压夹取装置
CN214390633U (zh) 一种铜箔自动粘尘装置和铜箔切片机
CN215812455U (zh) 一种石墨片材成像检测装置
CN210614431U (zh) 一种卷筒纸不停机导辊在线清洁机构
CN106925543A (zh) 一种用于不同厚度布料表面的除尘装置
CN112140633A (zh) 全自动水性印刷开槽模切机
CN220636464U (zh) 一种铝材纵剪加工设备
KR100817187B1 (ko) 스트립 핀치롤 표면 오일 제거 장치
CN110802056A (zh) 一种圆形外壳擦拭机构
CN114104801B (zh) 一种全自动断接料装置及其生产工艺
CN117141091B (zh) 一种多工艺同路径涂布复合方法及设备
CN211712223U (zh) Oca光学胶卷材收卷机
KR101043074B1 (ko) 스트립 그라인딩라인의 스트립 부착 스와프 제거장치
CN212168398U (zh) 一种粘尘辊总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