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884B1 -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884B1
KR102498884B1 KR1020220145945A KR20220145945A KR102498884B1 KR 102498884 B1 KR102498884 B1 KR 102498884B1 KR 1020220145945 A KR1020220145945 A KR 1020220145945A KR 20220145945 A KR20220145945 A KR 20220145945A KR 102498884 B1 KR102498884 B1 KR 102498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ard
truck
safety management
card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화
고한진
채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딕스
Priority to KR102022014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6K19/0708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the source being electromagnetic or magnet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0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 G06K19/07705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the visual interface being a single light or small number of lights capable of being switched on or off, e.g. a series of LE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1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an audio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1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upon reception of an interrogation signal, being capable of signaling to indicate its position to a user or a detection 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5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a hierarchy of available destinations, e.g. if hospital does not answer send to police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를 착용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작업 현장의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스마트카드를 통해 해당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에게 위험 지역 출입을 알릴 수 있어, 위험 지역에 출입한 인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와 작업 현장에 출입하는 화물차의 적재함이 이상 상태인 경우, 스마트카드를 통해 해당 화물차의 기사에게 화물차의 적재함 이상을 알릴 수 있어, 이상 상태인 화물차 적재함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와 스마트카드의 반출/반납을 이용해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작업 현장 출결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스마트카드(100), 화물차 이상 감지부(200), 다수의 중계 안테나(300), 안전관리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afety of workers and truck drivers}
본 발명은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스마트카드를 착용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작업 현장의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스마트카드를 통해 해당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에게 위험 지역 출입을 알리는 경고 알람을 수행하고, 작업 현장에 출입하는 화물차의 적재함이 이상 상태인 경우, 스마트카드를 통해 해당 화물차의 기사에게 화물차의 적재함 이상을 알리는 경고 알람을 수행하고, 스마트카드의 반출/반납을 이용해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작업 현장 출결 관리를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토목과 건축을 포함한 건설 분야도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대규모 건물들과 산업단지, 시설들이 건설되어 운용되고 있다.
대규모 건설 현장이나 작업 현장에는 많은 현장 작업자들이 출입하여 근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현장에 필요한 자재를 운반하는 화물차들이 출입하고 있다.
특히, 건설 현장이나 작업 현장에는 작업자들의 출입이 제한되는 출입 금지 구역 또는 위험 지역이 지정되어 있고, 관계자 이외에는 출입을 금지하고 있으나,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출입했다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 현장에 필요한 자재를 운반하는 화물차는 적재물을 하차시킨 다음 다시 적재함을 정상 상태로 복귀시킨 후에 이동하게 되는데, 가끔 화물차 기사의 부주의로 적재함이 정상 상태로 복귀시키지 않은 상태로 주행하다가 적재함이 외부와 충돌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대규모 건설 현장이나 작업 현장의 큰 규모로 인해, 많은 현장 작업자들의 위험 지역 출입을 일일이 통제하기가 곤란하였고, 화물차 적재함의 이상 상태를 일일이 파악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도록, 스마트카드를 착용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작업 현장의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스마트카드를 통해 해당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에게 위험 지역 출입을 알리는 경고 알람을 수행하고, 작업 현장에 출입하는 화물차의 적재함이 이상 상태인 경우, 스마트카드를 통해 해당 화물차의 기사에게 화물차의 적재함 이상을 알리는 경고 알람을 수행하고, 스마트카드의 반출/반납을 이용해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작업 현장 출결 관리를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7704호 덤프트럭의 덤핑 경고센서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0774호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2803호 UWB 기반 실시간 측위를 이용한 안전 사고 관제 시스템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를 착용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작업 현장의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스마트카드를 통해 해당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에게 위험 지역 출입을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현장에 출입하는 화물차의 적재함이 이상 상태인 경우, 스마트카드를 통해 해당 화물차의 기사에게 화물차의 적재함 이상을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의 반출/반납을 이용해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작업 현장 출결을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은,
화물차 적재함의 이상 상태 시, 알람을 제공하고,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위험 지역 출입 시, 알람을 제공하고,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가 착용하는 스마트카드(100)와;
화물차 적재함의 상태를 감지하고, 이상 상태 감지 시, 스마트카드(100)가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신호를 무선 송출하도록 작업 현장에 설치되는 화물차 이상 감지부(200)와;
작업 현장 곳곳에 설치되어 스마트카드(100)가 전송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100)의 현재 위치정보가 안전관리 서버(400)로 무선 중계되도록 수신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고, 안전관리 서버(400)가 전송하는 제2 신호가 스마트카드(100)로 무선 중계되도록 수신된 제2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다수의 중계 안테나(300)와;
중계 안테나(300)를 통해 무선 중계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해,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위험 지역에 있는 경우, 제2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안전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를 착용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작업 현장의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스마트카드를 통해 해당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에게 위험 지역 출입을 알릴 수 있어, 위험 지역에 출입한 인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현장에 출입하는 화물차의 적재함이 이상 상태인 경우, 스마트카드를 통해 해당 화물차의 기사에게 화물차의 적재함 이상을 알릴 수 있어, 이상 상태인 화물차 적재함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의 반출/반납을 이용해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작업 현장 출결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카드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물차 이상 감지부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중계 안테나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카드 스테이션 세부 구성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이하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를 착용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작업 현장의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스마트카드를 통해 해당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에게 위험 지역 출입을 알릴 수 있어, 위험 지역에 출입한 인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와 작업 현장에 출입하는 화물차의 적재함이 이상 상태인 경우, 스마트카드를 통해 해당 화물차의 기사에게 화물차의 적재함 이상을 알릴 수 있어, 이상 상태인 화물차 적재함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와 스마트카드의 반출/반납을 이용해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작업 현장 출결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스마트카드(100), 화물차 이상 감지부(200), 다수의 중계 안테나(300), 안전관리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 적재함의 이상 상태 시, 알람을 제공하고,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위험 지역 출입 시, 알람을 제공하고,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가 착용하는 스마트카드(100)와;
화물차 적재함의 상태를 감지하고, 이상 상태 감지 시, 스마트카드(100)가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신호를 무선 송출하도록 작업 현장에 설치되는 화물차 이상 감지부(200)와;
작업 현장 곳곳에 설치되어 스마트카드(100)가 전송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100)의 현재 위치정보가 안전관리 서버(400)로 무선 중계되도록 수신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고, 안전관리 서버(400)가 전송하는 제2 신호가 스마트카드(100)로 무선 중계되도록 수신된 제2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다수의 중계 안테나(300)와;
중계 안테나(300)를 통해 무선 중계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해,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위험 지역에 있는 경우, 제2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안전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카드(100)는 화물차 적재함의 이상 상태 시, 알람을 제공하고,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위험 지역 출입 시, 알람을 제공하고,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가 착용하는 구성으로, 스마트카드(100)마다 고유의 카드 식별 아이디가 부여된다.
즉, 스마트카드 사용자들인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는 스마트카드(100)를 착용한 상태로 작업 현장에서 근무하게 되고, 위험 지역에 출입하는 경우 스마트카드에 구비 된 경고 알람 수단을 통해 위험 지역 출입을 알리는 알람을 제공받고, 적재함이 이상 상태인 경우, 해당 화물차 기사는 자신이 착용한 스마트카드에 구비 된 경고 알람 수단을 통해 적재함 이상 상태를 알리는 알람을 제공받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카드(10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110)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고, 외부에서 전송된 제1 신호와 제2 신호와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120)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경고 점등하는 LED 램프(130)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40)와,
위치정보 생성부(110)가 생성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에 카드 식별 아이디를 매칭시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가 송/수신부(120)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송/수신부(120)를 통한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 수신에 따라 LED 램프(130)의 점등 제어와 스피커(140)의 경고음 출력 제어를 하는 제어부(150)와,
송/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에 따라 충전되는 충전 배터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110)는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스마트카드를 착용한 사용자가 현장에서 이동할 때마다 수시로 변하는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과 UWB(Ultra Wide Band) 방식을 이용해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 통신을 이용해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칩(111)과,
주변의 중계 안테나(300)들이 제공하는 위치 참조 신호를 이용해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UWB칩(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GPS칩(111)은 GPS 위성과의 위성 통신을 이용해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경도, 위도, 해발 고도뿐만 아니라 시간 정보까지 얻을 수 있어 현장이 넓거나 도심과 떨어진 장소에 효과적이지만, 건물 내부에서는 정확한 위치정보 생성에 취약한 단점을 갖는다.
상기 UWB칩(112)은 주변의 중계 안테나(300)들이 제공하는 위치 참조 신호를 이용해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초광대역 주파수를 이용하는 방식이어서 주변에 위치 참조 신호를 제공하는 중계 안테나(300)들이 존재하면 건물 내부에서도 정확한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UWB칩(112)은 주변의 중계 안테나(300)들이 제공하는 위치 참조 신호를 이용해 현재 스마트카드(100)와 중계 안테나(300)들과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중계 안테나(300)들과의 거리값을 이용해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GPS칩(111)과 UWB칩(112)은 생성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상기 송/수신부(12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고, 외부에서 전송된 제1 신호와 제2 신호와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상기 LED 램프(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경고 점등하는 구성으로, 상기 LED 램프(130)는 스마트카드(100) 외부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스피커(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스마트카드(100)의 얇은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박판 형태의 피에조 스피커(Piezoelectric speaker)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LED 램프(130)와 스피커(140)는 각각 동작하여 경고 점등과 경고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LED 램프(130)와 스피커(140)를 이용하여 청각적, 시각적으로 알람을 제공하는 것은, 현장 환경(예: 소음)에 따라 어느 한쪽의 알람이 정확히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부(150)는 위치정보 생성부(110)가 생성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에 카드 식별 아이디를 매칭시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가 송/수신부(120)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송/수신부(120)를 통한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 수신에 따라 LED 램프(130)의 점등 제어와 스피커(140)의 경고음 출력 제어를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기본적으로 UWB칩(112)이 생성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에 카드 식별 아이디를 매칭시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되, UWB칩(112)이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 GPS칩(111)이 생성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에 카드 식별 아이디를 매칭시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GPS칩(111)은 GPS 위성과의 위성 통신을 이용해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경도, 위도, 해발 고도뿐만 아니라 시간 정보까지 얻을 수 있어 현장이 넓거나 도심과 떨어진 장소에 효과적이지만, 건물 내부에서는 정확한 위치정보 생성에 취약한 단점을 갖고, 상기 UWB칩(112)은 주변의 중계 안테나(300)들이 제공하는 위치 참조 신호를 이용해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초광대역 주파수를 이용하는 방식이어서 주변에 위치 참조 신호를 제공하는 중계 안테나(300)들이 존재하면 건물 내부에서도 정확한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실내/실외를 구분하지 않고, 정확한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UWB(Ultra Wide Band) 방식을 이용하는 UWB칩(112)이 생성한 위치정보를 기본적으로 이용해,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송/수신부(120)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하다가, 기타 사정에 의해 UWB칩(112)이 위치정보를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보조적으로 GPS칩(111)이 생성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해,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송/수신부(120)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부(120)를 통해 제1 신호가 수신되면, LED 램프(130)를 점등시키고 스피커(140)를 통해 적재함이 이상 상태임을 알리는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신호는 화물차 적재함이 이상 상태인 경우, 작업 현장에 설치된 화물차 이상 감지부(200)가 송출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송/수신부(120)를 통해 제1 신호가 수신된다는 것은 화물차 적재함이 이상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송/수신부(120)를 통해 제1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LED 램프(130)를 점등시키고 스피커(140)를 통해 적재함이 이상 상태임을 알리는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송/수신부(120)를 통해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신호에 포함된 카드 식별 아이디를 파악하고, 파악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자신이 설치된 스마트카드(100)의 식별 아이디인 경우, LED 램프(130)를 점등시키고 스피커(140)를 통해 현재 위치가 위험 지역임을 알리는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신호는 스마트카드를 착용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작업 현장의 위험 지역에 위치한 경우, 안전관리 서버(400)가 송출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송/수신부(120)를 통해 제2 신호가 수신된다는 것은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작업 현장의 위험 지역에 위치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송/수신부(120)를 통해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LED 램프(130)를 점등시키고 스피커(140)를 통해 현재 위치가 위험 지역임을 알리는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신호에 포함된 카드 식별 아이디를 파악하고, 파악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자신이 설치된 스마트카드(100)의 식별 아이디와 동일한 경우, LED 램프(130)를 점등시키고 스피커(140)를 통해 현재 위치가 위험 지역임을 알리는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만일, 파악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자신이 설치된 스마트카드(100)의 식별 아이디와 다른 경우, 제2 신호를 무시한다.
예를 들어, 카드 식별 아이디 #1 이 포함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1 스마트카드만이 제2 신호에 반응하여 스피커와 LED 램프를 통한 경고 알람이 수행되고, 나머지 스마트카드(100)들은 제2 신호에 반응하지 않게 된다.
상기 충전 배터리(160)는 송/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에 의해 충전되는 구성으로, 충전된 전원은 위치정보 생성부(110), 송/수신부(120), LED 램프(130), 스피커(140), 제어부(150)의 동작 전원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충전 배터리(160)는 후술할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에 보관을 위해 수납되는 경우에도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충전된다.
상기 화물차 이상 감지부(200)는 화물차 적재함의 상태를 감지하고, 이상 상태 감지 시, 스마트카드(100)가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신호를 무선 송출하도록 작업 현장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물차 이상 감지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가 통과하도록 작업 현장에 설치되는 화물차 통과 프레임(210)과,
화물차 통과 프레임(210)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고, 화물차 적재함에 의해 레이저가 차단되는 경우, 차단 신호를 무선 송출기(230)로 제공하는 레이저 송수신기(220)와,
화물차 통과 프레임(210)에 설치되고, 차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화물차 통과 프레임(210)을 통과하고 있는 화물차 기사가 착용한 스마트카드(100)가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무선 송출기(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물차 통과 프레임(210)은 화물차가 통과하도록 작업 현장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되거나 아치 형태의 프레임(미 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송수신기(220)는 화물차 통과 프레임(210)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고, 화물차 적재함에 의해 레이저가 차단되는 경우, 차단 신호를 무선 송출기(230)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레이저 송수신기(220)는 레이저를 이용한 감지 수단으로, 도 4의 A와 같이, 화물차의 적재함이 정상 상태일 때는 레이저가 차단되지 않게 되는데, 이 경우, 차단 신호를 제공하지 않고, 도 4의 B와 같이, 화물차의 적재함이 비정상 상태일 때는 레이저가 차단되는데, 이 경우, 차단 신호를 무선 송출기(230)로 제공한다.
상기 무선 송출기(230)는 화물차 통과 프레임(210)에 설치되고, 차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화물차 통과 프레임(210)을 통과하고 있는 화물차 기사가 착용한 스마트카드(100)가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구성이다.
즉, 레이저 송수신기(220)로부터 차단 신호가 제공된다는 것은 화물차 적재함이 비정상 상태임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이 경우, 무선 송출기(230)는 화물차 통과 프레임(210)을 통과하고 있는 화물차 기사가 착용한 스마트카드(100)가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신호를 무선 송출하여, 스마트카드(100)를 통한 경고 알람을 통해 화물차 기사는 화물차 적재함이 비정상 상태임을 인지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중계 안테나(300)는 작업 현장 곳곳에 설치되어 스마트카드(100)가 전송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가 안전관리 서버(400)로 무선 중계되도록 수신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고, 안전관리 서버(400)가 전송하는 제2 신호가 스마트카드(100)로 무선 중계되도록 수신된 제2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계 안테나(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제2 신호와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고, 자체 생성한 위치 참조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무선 중계기(310)와,
스마트카드(100)가 충전되도록 하는 무선 충전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충전 신호 송출기(320)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중계기(310)가 외부로 송출하는 위치 참조 신호는 중계 안테나 설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중계기(310)는 수신된 제2 신호와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고, 자체 생성한 위치 참조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구성이고, 외부로 송출하는 상기 위치 참조 신호는 중계 안테나 설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즉, 무선 중계기(310)는 안전관리 서버(400)가 송출한 제2 신호가 현장 작업자나 화물차 기사가 착용한 스마트카드(1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제2 신호를 무선 중계하고, 스마트카드(100)들이 송출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들이 안전관리 서버(4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들을 무선 중계한다.
특히, 상기 무선 중계기(310)가 외부로 송출하는 위치 참조 신호는 중계 안테나 설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데, 위치 참조 신호에 포함된 중계 안테나 설치 위치정보는 주변에 위치한 현장 작업자나 화물차 기사가 착용한 스마트카드(100)에 설치된 UWB칩(112)이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정보로 사용된다.
상기 충전 신호 송출기(320)는 스마트카드(100)가 충전되도록 하는 무선 충전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충전 신호 송출기(320)가 송출하는 무선 충전 신호에 의해, 주변에 위치한 현장 작업자나 화물차 기사가 착용한 스마트카드(100)에 설치된 충전 배터리(160)가 무선 충전된다.
상기 안전관리 서버(400)는 중계 안테나(300)를 통해 무선 중계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해,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위험 지역에 있는 경우, 제2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관리 서버(400)는,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지역 정보가 사전 저장되고, 중계 안테나(300)를 통해 무선 중계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와 사전 저장된 위험 지역 정보를 이용해, 위험 지역에 현장 작업자나 화물차 기사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위험 지역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제2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전송하되, 상기 제2 신호는 위험 지역에 있는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착용한 스마트카드(100)의 카드 식별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카드 식별 아이디 #1 이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1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가 사전 저장된 위험 지역에 해당하는지를 파악한다.
파악 결과, #1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가 위험 지역이면, 카드 식별 아이디 #1 이 포함된 제2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전송하고, 카드 식별 아이디 #1 이 포함된 제2 신호는 중계 안테나(300)를 통해 무선 중계되어, 다수의 스마트카드(100)들에 전달된다.
카드 식별 아이디 #1 이 포함된 제2 신호를 수신한 다수의 스마트카드 중, #1 스마트카드(100)만이 제2 신호에 반응하여 스피커와 LED 램프를 통한 경고 알람이 수행되고, 나머지 스마트카드(100)들은 제2 신호에 반응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안전관리 서버(400)가 외부로 송출하는 제2 신호에는 특정 스마트카드의 카드 식별 아이디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제2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카드(100)의 제어부(150)는 제2 신호에 포함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자신이 설치된 스마트카드(100)의 식별 아이디와 동일한 경우에만 경고 점등과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안전관리 서버(400)는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위험 지역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의 위치정보가 일정 시간 이상 변동이 없는 경우, 등록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의 스마트폰으로 전화를 걸고, 전화 콜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응급구조기관으로 출동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시적으로 위험 지역에 진입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는 스스로 또는 제2 신호에 의한 스마트카드(100)의 경고 알람을 통해 위험 지역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러나 위험 지역에 진입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의 위치는 변동이 없게 된다.
따라서 중계 안테나(300)를 통해 무선 중계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와 사전 저장된 위험 지역 정보를 이용해, 위험 지역에 현장 작업자나 화물차 기사가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던 중,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위험 지역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의 위치정보가 일정 시간 이상 변동이 없는 경우,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1차 판단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확인하기 위해 등록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의 스마트폰으로 전화를 걸고, 전화 콜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하여, 119와 같은 응급구조기관으로 출동을 요청하여 발생한 안전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스마트카드(100)를 보관 및 관리하도록, 도 6과 같이,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반납된 스마트카드(100)를 보관 및 충전하고, 스마트카드(100) 반출 시, 반출되는 스마트카드의 카드 식별 아이디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카드 식별 아이디와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카드 식별 아이디 정보와 사용자 정보와 입력 시간 정보가 매칭된 카드/사용자 등록 정보를 생성 처리하고, 스마트카드(100) 반납 시, 카드 식별 아이디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카드 식별 아이디에 관련된 정보를 카드/사용자 등록 정보에서 삭제 처리하고, 카드/사용자 등록 정보를 주기적으로 안전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는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을 더 포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는 작업 현장 출입 시,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에 수납되어있는 스마트카드를 반출하거나 착용하고 있던 스마트카드를 반납한다.
반납된 스마트카드는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에 보관되고 보관된 상태로 유선 또는 무선 충전되는데, 보관되어 있던 스마트카드 반출 시,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는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에 형성된 카드 반출 메뉴를 통해 반출하는 스마트카드의 카드 식별 아이디(스마트카드 표면에 표시되어 있음) 정보, 사용자 정보(예: 성명, 전화번호 등)를 입력하게 된다.
스마트카드 반출을 위한 카드 식별 아이디와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은 입력된 카드 식별 아이디 정보와 사용자 정보와 입력 시간 정보가 매칭된 카드/사용자 등록 정보를 반출되는 스마트카드마다 생성하여 저장 처리한다.
또한, 스마트카드 반납 시,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는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에 형성된 카드 반납 메뉴를 통해 반납하는 스마트카드의 카드 식별 아이디(스마트카드 표면에 표시되어 있음)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스마트카드 반납을 위한 카드 식별 아이디 정보가 입력되면,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은 입력된 카드 식별 아이디에 관련된 정보를 카드/사용자 등록 정보에서 삭제 처리한다.
또한,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은 저장된 카드/사용자 등록 정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안전관리 서버(400)로 전송하여 안전관리 서버(400)가 현장 작업자들의 작업 현장 출결 관리에 이용하도록 한다.
안전관리 서버(400)는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이 제공한 카드/사용자 등록 정보를 이용해 현장 작업자들의 작업 현장 출결 관리를 한다.
즉, 카드/사용자 등록 정보에는 스마트카드 반출 시,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입력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현장 작업자들의 출근 시간(스마트카드 반출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은 스마트카드 반납 시, 카드 식별 아이디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카드 식별 아이디에 관련된 정보를 카드/사용자 등록 정보에서 삭제 처리하게 되는데, 카드 반출은 되었으나, 반납되지 않은 스마트카드가 있는 경우, 안전관리 서버(400)는 반납되지 않은 해당 스마트카드에 매칭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관리자가 해당 스마트카드 반출자의 미반납 사유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미반납 사유 파악을 위한 전화 콜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반납되지 않은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반납되지 않은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로 관리자가 출동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카드 미반납자에 대한 안전사고 발생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카드 반납을 통해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에 보관된 스마트카드(100)는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에 보관된 스마트카드(100)의 충전 중에는 불필요한 동작 전원 소모 없이 충전만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의 카드 보관 및 충전 데크마다 자석(510)이 설치되고, 스마트카드(100)에는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 감지부(170)가 형성된다.
이 경우, 스마트카드(100)의 제어부(150)는 자력 감지부(170)를 통해 자력이 감지되는 경우(보관 및 충전 데크에 스마트카드가 수납된 경우),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을 통한 충전 배터리(160)의 충전만이 이루어지도록 위치정보 생성부(110)와 송/수신부(120)와 LED 램프(130)와 스피커(140)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자력 감지부(170)를 통해 자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스마트카드가 반출된 경우), 위치정보 생성부(110)와 송/수신부(120)와 LED 램프(130)와 스피커(140)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주 내에서 변형한 것까지 포함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스마트카드
200 : 화물차 이상 감지부
300 : 중계 안테나
400 : 안전관리 서버
500 : 스마트카드 스테이션

Claims (13)

  1.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화물차 적재함의 이상 상태 시, 알람을 제공하고,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위험 지역 출입 시, 알람을 제공하고,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가 착용하는 스마트카드(100)와;
    화물차 적재함의 상태를 감지하고, 이상 상태 감지 시, 스마트카드(100)가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신호를 무선 송출하도록 작업 현장에 설치되는 화물차 이상 감지부(200)와;
    작업 현장 곳곳에 설치되어 스마트카드(100)가 전송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가 안전관리 서버(400)로 무선 중계되도록 수신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고, 안전관리 서버(400)가 전송하는 제2 신호가 스마트카드(100)로 무선 중계되도록 수신된 제2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다수의 중계 안테나(300)와;
    중계 안테나(300)를 통해 무선 중계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해,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위험 지역에 있는 경우, 제2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안전관리 서버(400)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카드(100)는,
    스마트카드(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110)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고, 외부에서 전송된 제1 신호와 제2 신호와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120)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경고 점등하는 LED 램프(130)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40)와,
    위치정보 생성부(110)가 생성한 스마트카드(100)의 현재 위치정보에 카드 식별 아이디를 매칭시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100)의 현재 위치정보가 송/수신부(120)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송/수신부(120)를 통한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 수신에 따라 LED 램프(130)의 점등 제어와 스피커(140)의 경고음 출력 제어를 하는 제어부(150)와,
    송/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 배터리(16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관리 서버(400)는,
    위험 지역 정보가 사전 저장되고, 중계 안테나(300)를 통해 무선 중계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와 사전 저장된 위험 지역 정보를 이용해, 위험 지역에 현장 작업자나 화물차 기사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위험 지역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제2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전송하되,
    상기 제2 신호는 위험 지역에 있는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착용한 스마트카드(100)의 카드 식별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110)는,
    위성 통신을 이용해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칩(111)과,
    주변의 중계 안테나(300)들이 제공하는 위치 참조 신호를 이용해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UWB칩(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기본적으로 UWB칩(112)이 생성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에 카드 식별 아이디를 매칭시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되, UWB칩(112)이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 GPS칩(111)이 생성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에 카드 식별 아이디를 매칭시켜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송/수신부(120)를 통해 제1 신호가 수신되면, LED 램프(130)를 점등시키고 스피커(140)를 통해 적재함이 이상 상태임을 알리는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송/수신부(120)를 통해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신호에 포함된 카드 식별 아이디를 파악하고, 파악된 카드 식별 아이디가 자신이 설치된 스마트카드(100)의 식별 아이디인 경우, LED 램프(130)를 점등시키고 스피커(140)를 통해 현재 위치가 위험 지역임을 알리는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 이상 감지부(200)는,
    화물차가 통과하도록 작업 현장에 설치되는 화물차 통과 프레임(210)과,
    화물차 통과 프레임(210)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고, 화물차 적재함에 의해 레이저가 차단되는 경우, 차단 신호를 무선 송출기(230)로 제공하는 레이저 송수신기(220)와,
    화물차 통과 프레임(210)에 설치되고, 차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화물차 통과 프레임(210)을 통과하고 있는 화물차 기사가 착용한 스마트카드(100)가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무선 송출기(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계 안테나(300)는,
    수신된 제2 신호와 카드 식별 아이디가 매칭된 스마트카드의 현재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고, 자체 생성한 위치 참조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무선 중계기(310)와,
    스마트카드(100)가 충전되도록 하는 무선 충전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충전 신호 송출기(320)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중계기(310)가 외부로 송출하는 위치 참조 신호는 중계 안테나 설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 서버(400)는,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가 위험 지역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의 위치정보가 일정 시간 이상 변동이 없는 경우, 등록된 현장 작업자 또는 화물차 기사의 스마트폰으로 전화를 걸고, 전화 콜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응급구조기관으로 출동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반납된 스마트카드(100)를 보관 및 충전하고, 스마트카드(100) 반출 시, 반출되는 스마트카드의 카드 식별 아이디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카드 식별 아이디와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카드 식별 아이디 정보와 사용자 정보와 입력 시간 정보가 매칭된 카드/사용자 등록 정보를 생성 처리하고, 스마트카드(100) 반납 시, 카드 식별 아이디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카드 식별 아이디에 관련된 정보를 카드/사용자 등록 정보에서 삭제 처리하고, 카드/사용자 등록 정보를 주기적으로 안전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는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을 더 포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 서버(400)는 카드/사용자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입력 시간 정보를 이용해 현장 작업자들의 작업 현장 출결 관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의 카드 보관 및 충전 데크마다 자석(510)이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카드(100)는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 감지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카드(100)의 제어부(150)는,
    자력 감지부(170)를 통해 자력이 감지되는 경우, 스마트카드 스테이션(500)을 통한 충전 배터리(160)의 충전만이 이루어지도록 위치정보 생성부(110)와 송/수신부(120)와 LED 램프(130)와 스피커(140)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자력 감지부(170)를 통해 자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위치정보 생성부(110)와 송/수신부(120)와 LED 램프(130)와 스피커(140)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220145945A 2022-11-04 2022-11-04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98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945A KR102498884B1 (ko) 2022-11-04 2022-11-04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945A KR102498884B1 (ko) 2022-11-04 2022-11-04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884B1 true KR102498884B1 (ko) 2023-02-10

Family

ID=8522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945A KR102498884B1 (ko) 2022-11-04 2022-11-04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8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803A (ko) 1999-05-08 2002-01-05 다비드 에 질레스 Mek 효소의 억제제로서의 퀴놀린 유도체
KR100867704B1 (ko) 2007-10-31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덤프트럭의 덤핑 경고센서
KR101250774B1 (ko) 2011-02-22 2013-04-03 윤영기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70142239A (ko) * 2016-06-16 2017-12-28 디에이치산업안전(주)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설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180011969A (ko) * 2016-07-26 2018-02-05 주식회사 이에이치아이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KR20200053345A (ko) * 2018-11-08 2020-05-18 주식회사 아모센스 스마트 키
KR20220021557A (ko)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위험지역 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대의 이중 비콘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803A (ko) 1999-05-08 2002-01-05 다비드 에 질레스 Mek 효소의 억제제로서의 퀴놀린 유도체
KR100867704B1 (ko) 2007-10-31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덤프트럭의 덤핑 경고센서
KR101250774B1 (ko) 2011-02-22 2013-04-03 윤영기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70142239A (ko) * 2016-06-16 2017-12-28 디에이치산업안전(주)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설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180011969A (ko) * 2016-07-26 2018-02-05 주식회사 이에이치아이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KR20200053345A (ko) * 2018-11-08 2020-05-18 주식회사 아모센스 스마트 키
KR20220021557A (ko)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위험지역 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대의 이중 비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158B1 (ko) IoT기반의 현장안전관리시스템
US10198685B2 (en) Electronic badge to authenticate and track industrial vehicle operator
CA3026952C (en) Indirect electronic badge tracking
US11024105B1 (en) Safety and security methods and systems
US7634361B2 (en) Event alert system and method
US9836941B2 (en) Heavy equipment proximity alert system
US20130015963A1 (en) Person-based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Proximity Warnings
US20070194922A1 (en) Safe warn building system and method
US10129704B1 (en) First responder tracking breadcrumbs
US8994557B2 (en) Modular collision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098778B1 (ko)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US20020030600A1 (en) Fire alarm beacon system
US20230092428A1 (en) Telematics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s and improving worksite safety
JP2015102529A (ja) ハザード監視システム、およびハザード警報端末
KR102194654B1 (ko) 블루투스 비콘 기반의 지하광산 근접 경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684836B1 (ko) 블루투스 프로토콜 기반의 비콘을 이용한 학원 차량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498884B1 (ko)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94171B1 (ko) 버스 도착 알림 시스템
KR20130007367A (ko)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EP4128182B1 (en) Mobile base,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on of a mobile object
KR20160057709A (ko)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101712499B1 (ko) 선박의 승객 및 승무원 관제시스템
KR102444593B1 (ko) RTLS 및 IoT 기반 스마트 멀티태그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JPH11144159A (ja) 移動監視システム
KR102192784B1 (ko)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