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969A -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969A
KR20180011969A KR1020160094586A KR20160094586A KR20180011969A KR 20180011969 A KR20180011969 A KR 20180011969A KR 1020160094586 A KR1020160094586 A KR 1020160094586A KR 20160094586 A KR20160094586 A KR 20160094586A KR 20180011969 A KR20180011969 A KR 20180011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truction site
main server
smart device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준
석일성
김상욱
성하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이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이치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이치아이
Priority to KR1020160094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969A/ko
Publication of KR20180011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 근로자에게 각각 지급되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근로자의 출근 현황, 현재 위치, 신분 정보, 의료 정보 등의 정보를 관리자가 즉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위급 신호의 감지시에 이를 활용하여 근로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은, 고유의 식별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와 식별 신호와 매칭되는 근로자의 개인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 서버와 식별 신호로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스마트 기기와 메인 서버를 통신 연결시키는 통신 중계 장치와 메인 서버와 양 방향 통신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A construction site safety system using B.L.E technology}
본 발명은 관리자가 건설 현장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근로자의 현재 위치 등 각종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위급 신호의 감지시에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 현장 근로자에게 각각 지급되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근로자의 출근 현황, 현재 위치, 신분 정보, 의료 정보 등의 정보를 관리자가 즉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위급 신호의 감지시에 이를 활용하여 근로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은 근로자 및 자재의 이동이 빈번하여 관리자가 근로자 및 자재의 현재 위치를 일일이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의 가능성으로 인해 사고시 신속한 대응 수단이 필요하나, 현재까지는 해마다 많은 수의 근로자들이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의 건설 현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외국인 근로자에게는 각종 사고의 발생시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신속한 치료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상체를 관리하고 위치 파악하는 시스템 등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1567호의 "네트워크 기반의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4888호의 "건설현장을 위한 작업자 위치 기반의 VoIP 통신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3317호의 "마이크로웨이브와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건설현장 장비 위치추적 시스템"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0711호의 "BLE 단말기를 활용한 유아동의 교육시설 생활 및 통학에서의 안전관리 방법"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1567호의 "네트워크 기반의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는 노무자가 소지한 정보 인식 카드에 기록된 노무 관리 정보, 안전 관리 정보 및 물류 관리 정보에 의거하여 관리자가 건설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4888호의 "건설현장을 위한 작업자 위치 기반의 VoIP 통신 시스템"에는 관리자가 실시간 위치 확인 시스템을 통해 건설현장에 있는 작업자들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특정 작업자 그룹의 지정하여 작업 지시나 위급 상황 안내 등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3317호의 "마이크로웨이브와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건설현장 장비 위치추적 시스템"에는 대형 건설 현장에서 각 사이트마다 RF Reader를 설치하고 건설 장비에는 별도의 알고리즘이 탑재된 Active RFID Tag를 장착하여 건설 장비들에 대해 위치추적을 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0711호의 "BLE 단말기를 활용한 유아동의 교육시설 생활 및 통학에서의 안전관리 방법"에는 학부모가 유아동의 통학 현황을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교사는 유아동을 관리, 교육하는 동안 일어날 수 있는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아동이 미아가 되었을 경우 제3자가 발견시 유아동이 소지한 BLE 단말기의 정보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안전하게 보호자에게 인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사람 또는 물건 등 대상체의 위치만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기술이거나 위급 상황의 발생시 관리자로부터 근로자들에게 위급 상황의 안내가 이루어지는 기술로써, 관리자가 즉시 인지하지 못하는 위급 상황에 대해서는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가 증가하는 현재의 실정에 부합하는 적절한 대응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여, 위급 상황에 처한 근로자에게 의료진이 맞춤형 치료를 신속하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건설 현장 근로자 및 자재의 위치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고, 근로자에게 위급 상황의 발생시 이를 즉시 인지하여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으며, 사상자가 외국인이거나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상황에도 의료진이 맞춤형 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1567호(2005. 09. 1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4888호(2011. 08. 2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3317호(2011. 11. 1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0711호(2016. 02. 24)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
관리자가 건설 현장 근로자 및 자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건설 현장 근로자에게 위급 상황의 발생시 이를 즉시 인지하여 신속한 대응을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사상자가 외국인이거나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의료진이 맞춤형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고유의 식별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 상기 식별 신호와 매칭되는 근로자의 개인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 서버; 상기 식별 신호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메인 서버를 통신 연결시키는 통신 중계 장치; 상기 메인 서버와 양 방향 통신되는 관리자 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현장 안전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은,
관리자가 건설 현장 근로자에게 지급되거나 자재에 부착되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근로자 및 자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였고;
건설 현장 근로자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근로자가 착용 또는 소지하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관리자에게 즉시 통보되는 효과가 발생하였으며;
위급 상황에 처한 건설 현장 근로자의 신분 정보, 의료 정보 등을 관리자가 즉시 파악하여 의료진에게 통보할 수 있어, 환자에게 맞춤형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에서 근로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에서 위급 상황을 처리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에서 근로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의 근로자 출근 현황을 관리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관리자가 건설 현장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근로자의 현재 위치 등 각종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위급 신호의 감지시에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고유의 식별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100); 상기 식별 신호와 매칭되는 근로자의 개인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 서버(110); 상기 식별 신호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메인 서버(110)를 통신 연결시키는 통신 중계 장치(120); 상기 메인 서버(110)와 양 방향 통신되는 관리자 단말기(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은 고유의 식별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근로자의 신체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근로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구성요소로써,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모든 근로자들에게 각각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 신호는 복수 개의 상기 스마트 기기(100) 중 어느 하나의 스마트 기기(100)가 다른 스마트 기기(100)와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스마트 기기(100) 각각에 부여되는 고유의 코드에 대한 신호이며, 상기 식별 신호는 외부로 전송(S100)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근로자의 신상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외부에서 파악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위치 정보가 생성되는 일 실시예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실시간으로 상기 식별 신호를 외부로 전송(S100)하게 되고, 상기 식별 신호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통신 중계 장치(120)에 수신(S110)된다.
이때, 아래에서 설명되는 통신 중계 장치(120)는 수신되는 상기 식별 신호의 세기로 RSSI(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ion)값을 측정(S120)한다.
이후, 상기 식별 신호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메인 서버로 전송되어 메인 서버에 저장된 개인 정보와의 매칭(S130)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식별 신호와 함께 전송된 RSSI 값은 메인 서버에서 삼각측량 기법으로 정확한 위치 정보가 생성(S140)된 후, 아래에서 설명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S150)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메인 서버로 전송되는 신호는 상기 식별 신호에 더하여 상기 식별 신호를 수신한 통신 중계 장치(120)의 위치 정보 및 통신 중계 장치(120)에 대한 상기 스마트 기기(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통신 중계 장치는(120) 건설 현장에 복수 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100)에서 전송되는 상기 식별 신호는 신호의 전송가능범위 내에 위치한 복수 개의 통신 중계 장치(120)에 수신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각각의 통신 중계 장치(120)는 상기 식별 신호의 세기가 각각 다르게 측정되며, 아래에서 설명되는 메인 서버(110)에서는 상기 식별 신호 세기의 차이로 상기 스마트 기기(100)와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의 거리가 계산된다.
따라서, 각각의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와 상기 스마트 기기(100)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복수 개의 가상의 원이 서로 겹치는 일 지점이 상기 스마트 기기(100)의 위치로 파악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착용 또는 소지자의 위급 상태인 위급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알림 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림 기능이라 함은 상기 스마트 기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근로자가 자신의 몸에 심각한 이상을 느끼거나 건설 현장에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알림 전송 버튼을 누름으로써 외부로 위급 신호를 전송(S300)하는 기능을 말한다.
또한, 상기 알림 기능은 근로자의 몸에 심각한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100)가 이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위급 신호를 외부로 전송(S300)하는 기능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상기 식별 신호를 외부로 전송(S100)하는 기능을 가지며 착용자의 심박수 및 혈압 그리고 착용자 주위의 산소농도 측정 기능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 또는 상기 식별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기능(S100)을 가지며 착용자의 심박수 측정 기능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패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밴드는 근로자의 손목, 팔 등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 형태로 구성되며, 착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기 및 착용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혈압 측정기 그리고 착용자 주위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산소농도 측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패치는 근로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할 수 있는 패치 형태로 구성되며, 착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및 측정기 착용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혈압 측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밴드 또는 상기 스마트 패치는 심박수 측정기 및 혈압 측정기 그리고 산소농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기준치 범위의 이상 또는 이하로 측정되는 경우, 착용자의 위급 상태를 뜻하는 위급 신호를 외부로 전송(S300)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치 범위라 함은 심박수, 혈압 등에 대한 일반적인 정상 범위를 상회 또는 하회하는 범위로써, 해당 범위를 벗어나면 현재 몸 상태가 심각한 상태로 인지되는 범위를 말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기기(100)가 상기 식별 신호 및 상기 위급 신호를 동시에 외부로 전송(S100, S300)하게 되면, 아래에서 설명되는 통신 중계 장치(120)에서 상기 식별 신호 및 상기 위급 신호를 수신(S110, S310) 후 아래에서 설명되는 메인 서버(11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식별 신호와 매칭되는 개인 정보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관리자 단말기(130)로 전송(S162)되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30)에 표시(S172)된 상기 개인 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식별 신호의 세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100)의 위치 정보가 생성되므로 관리자는 위급 상황에 직면한 근로자의 위치 또한 파악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기(130)는 신호음, 진동 등을 발생시켜 관리자가 위급 상황을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은 상기 알림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기기(100)가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근로자의 몸 상태에 관한 측정 수치를 외부기기에서 분석하여 근로자의 위급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밴드 또는 상기 스마트 패치는 상기 식별 신호 및 착용자의 위급 상태를 외부로 전송(S100, S300)하기 위한 통신장치가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통신장치는 BLE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BLE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기술을 기반으로 근거리 내에 감지되는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써, 5 내지 10㎝ 단위의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성이 높고, 전력의 소모가 적어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술의 구현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BLE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는 국제공용 주파수이므로 별도의 통신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카드 형태의 스마트 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카드는 근로자의 몸에 착용되어 근로자의 몸 상태를 측정하는 상기 스마트 밴드 또는 상기 스마트 패치와는 달리, 건설 현장의 방문자 또는 관리자 등이 간편하게 소지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구성요소로써, 상기 식별 신호를 외부로 전송(S100)하는 기능에 더하여 소지자의 위급 상태인 위급 신호를 외부로 전송(S300)하는 알림 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의 상기 알림 기능은 상기 스마트 카드를 소지한 건설 현장의 방문자 또는 관리자 등이 자신의 몸에 심각한 이상을 느끼거나 건설 현장에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알림 전송 버튼을 누름으로써 외부에 위급 신호를 전송(S300)하는 기능만을 말하며, 상기 스마트 카드가 소지자의 몸 상태를 자동으로 인지하는 기능은 포함하지 않는다.
즉, 상기 스마트 카드는 근로자의 몸에 착용되어 근로자의 몸 상태를 측정하는 상기 스마트 밴드 또는 상기 스마트 패치와는 달리, 소지자의 주머니 등에 소지되므로, 소지자의 몸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구성이다.
다만, 상기 스마트 카드는 상기 식별 신호 및 소지자의 위급 상태인 위급 신호를 외부로 전송(S300)하기 위한 통신장치가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스마트 밴드 또는 상기 스마트 패치에 구비되는 통신장치와 동일하게 BLE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근로자 및 건설 현장의 방문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기 위해 구비되는 각종 자재에 부착되어 자재의 위치 파악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은 상기 식별 신호와 매칭(S130)되는 근로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 서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 신호는 상기 메인 서버(1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상기 개인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개인 정보와 매칭(S130)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근로자를 특정할 수 있게 해주는 신호로써, 상기 메인 서버(110)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개인 정보가 반드시 상기 식별 신호와 매칭(S130)될 수 있도록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모든 근로자의 개인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서버(110)는 상기 개인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인 정보라 함은 근로자의 성명, 소속 국가, 비자 정보, 연락처, 지인 연락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로써, 관리자가 건설 현장 내의 특정 장소에 위치한 근로자에 관한 정보파악, 건설 현장을 이탈하는 근로자에 관한 정보파악, 장시간 움직임이 없는 근로자에 대한 정보 파악 등의 목적으로 미리 입력되는 정보이다.
즉, 관리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관리자 단말기(130)를 통해 특정 근로자를 지정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특정 장소에 위치한 근로자 또는 근로자들의 개인 정보를 일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30)로 특정 근로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일 실시예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30)로 특정 근로자의 위치 정보를 요청(S200)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관리자 단말기(130)에서 특정 근로자의 위치 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메인 서버(110)는 실시간으로 파악 중인 특정 근로자의 위치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30)로 전송(S160)하게 되고, 관리자 단말기(130)에 특정 근로자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가 표시(S170)되는 구성이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관리자 단말기(130)는 상기 스마트 기기(100)가 기설정된 범위 내로 진입하면, 상기 스마트 기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근로자의 개인 정보를 표시하는 자동 팝업 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인 정보는 혈액형, 지병 이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로써, 위급 상황의 발생시 근로자가 의사소통 능력을 현저하게 상실하였거나 근로자가 외국인인 경우, 의료진의 의료행위에 필요한 정보를 즉시 제공하기 위해 미리 입력되는 정보이다.
즉, 혈액형, 지병 이력 등의 상기 개인 정보를 통해 의료진은 위급 상황에 처했으며 의사소통이 어려운 근로자 본인에게 직접 확인할 필요없이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인 정보는 위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로자에게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면 다른 정보가 더 부가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위급 상황의 발생시에 소속 국가, 지인 연락처 등의 상기 개인 정보는 해당 근로자의 상태를 소속 국가 및 가족들에게 통보하기 위한 정보로써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개인 정보는 변경 또는 삭제 가능하며, 변경 시에는 변경 전의 상기 개인 정보에 더하여 변경 후의 상기 개인 정보가 추가로 저장되거나 변경 전의 상기 개인 정보는 삭제되고 변경 후의 상기 개인 정보만이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개인 정보의 삭제 시에는 상기 개인 정보는 일괄적으로 모두 소멸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개인 정보의 입력과 변경 그리고 삭제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로는 불가하며, 개인 정보의 입력과 변경 그리고 삭제는 상기 메인 서버(110)와 양방향 통신되는 본사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만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사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의 사용권한을 가지는 관리자를 관리할 수 있는 본사 관리자에게 지급되는 단말기로써, 그 기능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되, 상기 개인 정보의 입력과 변경 그리고 삭제 기능을 추가로 가지는 단말기이다.
따라서, 상기 본사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메인 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본사 서버로부터 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110)에 상기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것은 상기한 바 있다.
다만, 상기 위치 정보는 삭제 전까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계속 저장되는 상기 개인 정보와는 달리, 사용자 또는 관리자 등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의 저장 지속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현장 안전 시스템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 등은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메인 서버(110)에 지속적으로 수신되면, 최신의 위치 정보만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하고 이전의 위치 정보는 삭제되도록 시스템을 설정 가능하다.
즉, 상기 사용자 또는 관리자 등은 상기 위치 정보를 위급 상황 또는 근로자 호출 시에 근로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용도로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또는 관리자 등은 상기 메인 서버(110)에 수신되는 상기 위치 정보가 모두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위치 정보를 작업 시간 중 근로자의 동선 파악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또는 관리자 등은 상기 위치 정보를 위급 상황 또는 근로자 호출 시에 근로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용도에 더하여 근로자의 동선 파악, 근태 관리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실시간으로 상기 메인 서버(110)로 전송되나,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주기는 관리자 등에 의해 분 또는 초 단위로 설정 가능하다.
즉, 상기 메인 서버(110)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최신 상기 위치 정보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위치 정보가 공존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최신의 위치 정보와 근로자의 실제 위치가 일치하지 않아 위급 상황의 발생시에 근로자의 위치에 착오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관리자 단말기(130)로 전송되는 상기 위치 정보는 최신 위치 정보 및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신 위치 정보는 상기 스마트 기기(100) 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통신 중계 장치(120)와 상기 메인 서버(110)의 통신이 단절되어 상기 실시간 위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활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최신 위치 정보는 상기 스마트 기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근로자가 자신의 몸에 심각한 이상을 느끼거나 건설 현장에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그리고 상기 스마트 기기(100)를 통해 근로자의 몸 상태에 심각한 이상이 감지된 경우, 상기 메인 서버(110)에서 근로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전 우선적으로 관리자 단말기(130)에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110)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통신 중계 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관리자 단말기(130)와 양 방향 통신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는 상기 식별 신호로 상기 스마트 기기(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100)와 상기 메인 서버(110)를 통신 연결시키는 구성요소로써, 유선 및 무선 방식이 모두 적용 가능한 AP(Access Point)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100)에서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로의 통신 연결은 무선 방식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에서 상기 메인 서버(110)로의 통신 연결은 유선 방식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에서 상기 메인 서버(110)로의 통신 연결은 무선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 및 상기 메인 서버(110)는 특정 장소에 고정적으로 위치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구성요소로써, 상호 간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안정적인 접속을 위하여 더욱 바람직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는 복수 개의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와 유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메인 통신 중계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메인 통신 중계 장치는 상기 메인 서버(11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메인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근로자에게 지급되고, 근로자는 건설 현장 내에서 이동성을 가지므로, 상기 스마트 기기(100)에서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로의 통신 연결은 무선 방식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상기 식별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므로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는 상기 식별 신호를 수신(S110)하여 상기 메인 서버(110)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카드, 밴드, 패치 등의 형태로써 별도의 디스플레이부 등의 표시부를 가지지 않으므로 상기 메인 서버(110)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100)로의 통신은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상기 메인 서버(110)는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식별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관리자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식별 신호와 매칭(S130)되는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30)로 전송하는 양 방향 통신의 구성이다.
상기 메인 서버(110)에서 상기 식별 신호로 상기 스마트 기기(100)의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방식은 상기 스마트 기기(100)와 복수 개의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 상호 간의 거리를 파악하여 도출하는 방식임은 상기한 바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서버(110)는, 상기 위치 정보가 최초로 수신되면, 출근 정보를 추가로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S151)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메인 서버(110)에 수신되는 과정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위치 정보가 최초로 수신된다 함은, 관리자에 의해 기설정된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최초로 수신되는 상기 위치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써, 주로 건설 현장의 입구 측에 위치한 통신 중계 장치(12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출근 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로 전송(S161)되어, 관리자가 근로자의 출근 정보(S171)를 확인하는 것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근로자가 다른 근로자의 스마트 기기(100)를 소지함으로써 출근 여부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근로자들은 건설 현장에 출근시에 관리자에게 출근 여부를 별도로 확인받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심박수 측정기 및 혈압 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측정값이 없는 경우 위험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성은 근로자의 출근 여부 조작을 방지하는 것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110)는 상기 스마트 기기(100)가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근로자의 몸 상태에 관한 측정 수치가 동일하며, 이동 동선이 지속적으로 동일한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100)가 감지되면, 이를 아래에서 설명되는 관리자 단말기(130)로 통보하는 기능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은 상기 알림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기기(100)가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근로자의 몸 상태에 관한 측정 수치를 외부기기에서 분석하여 근로자의 위급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메인 서버(110)는 상기 스마트 기기(100)에서 전송되는 근로자의 몸 상태에 관한 측정 수치를 분석하는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110)에는 상기 심박수 측정기 및 상기 혈압 측정기 그리고 상기 산소농도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각각의 측정 값을 정상 수준 및 위험 수준으로 구분할 수 있는 기준 값이 기입력될 수 있고, 상기 연산부는 이를 기준으로 하여 착용자의 정상 상태 및 위급 상태를 판단하여, 위급 상태인 경우 알림 메세지를 아래에서 설명되는 관리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은 상기 메인 서버(110)와 양 방향 통신되는 관리자 단말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는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한 명 이상의 관리자 각각에 지급될 수 있는 단말기로써, 관리자가 상기 메인 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통신 기능 및 디스플레이부 등의 표시부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장치는 입력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서버(110)는 별도의 입력수단을 가지지 않으므로, 상기 개인 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에서 입력되어 상기 메인 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개인 정보의 입력과 변경 그리고 삭제가 상기 본사 관리자 단말기에서만 가능함은 상기한 바 있다.
상기 메인 서버(110)로부터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로 전송되는 정보라 함은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이며, 상기 위치 정보는 특정 근로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단순정보이므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 또는 상기 메인 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기기에 바로 표시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개인 정보는 근로자 개인에 대한 신상 정보이므로 허가된 기기에서만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는 상기 개인 정보의 열람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인 정보에는 근로자의 성명, 소속 국가, 비자 정보, 혈액형, 지병 이력, 연락처, 지인 연락처 등의 정보가 포함되므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를 사용하는 관리자는 근로자의 출석 또는 결석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위급 상황의 발생 시에 근로자의 혈액형, 지병 이력 등을 확인하여 의료진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서버(110)로부터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로 전송되는 정보에는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되므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를 사용하는 관리자는 근로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는 위급 상황의 발생 시에 즉시 의료기관에 위급 상황의 발생을 통보할 수 있는 신고 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고 기능의 사용 시에 의료기관에 통보되는 사항은 건설 현장의 위치, 건설 현장 내 사고지점, 위급 상황에 처한 근로자의 개인 정보, 위급 상황에 처한 근로자의 심박수 및 혈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110)는 위급 신호가 수신되면, 위급 상황을 즉시 의료기관 및/또는 정부기관에 통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서버(110)는 상기 식별 신호의 세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생략함으로써 근로자의 위험 상태가 즉시 의료 기관 및/또는 정부기관에 통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은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CCTV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CCTV는 건설 현장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써, 건설 현장의 전체 또는 주요 지점을 촬영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 구비될 수 있는 타워크레인의 상부 등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CTV는 적외선 감지 기능을 포함하여 야간에도 이동중인 근로자의 동선 파악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CCTV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110)로 전달되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고,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를 통해 영상의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은 VR(Virtual reality) 카메라로 건설 현장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VR 카메라는 건설 현장의 곳곳에 배치되어 영상을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110)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상황 또는 현재 상황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VR 카메라는 이동 가능한 상태로 근로자가 건설 현장의 곳곳을 주기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가 작업의 진행 속도 및 현재 상황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스마트 기기
110 : 메인 서버
120 : 통신 중계 장치
13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8)

  1. 고유의 식별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100);
    상기 식별 신호와 매칭되는 근로자의 개인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 서버(110);
    상기 식별 신호로 상기 스마트 기기(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100)와 상기 메인 서버(110)를 통신 연결시키는 통신 중계 장치(120);
    상기 메인 서버(110)와 양 방향 통신되는 관리자 단말기(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착용 또는 소지자의 위급 상태를 외부로 전송하는 알림 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착용자의 심박수 및 혈압 그리고 착용자 주위의 산소농도 측정 기능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
    착용자의 심박수 측정 기능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패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휴대 가능한 카드 형태의 스마트 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110)는,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통신 중계 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와 양 방향 통신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는,
    근로자의 성명, 소속 국가, 비자 정보, 혈액형, 지병 이력, 연락처, 지인 연락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110)는,
    상기 위치 정보가 최초로 수신되면,
    출근 정보를 추가로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는,
    상기 개인 정보의 열람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KR1020160094586A 2016-07-26 2016-07-26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KR20180011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586A KR20180011969A (ko) 2016-07-26 2016-07-26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586A KR20180011969A (ko) 2016-07-26 2016-07-26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69A true KR20180011969A (ko) 2018-02-05

Family

ID=6122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586A KR20180011969A (ko) 2016-07-26 2016-07-26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19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512A (ko) * 2019-03-25 2020-10-07 (주)오픈웍스 공사현장의 분할영역 모니터링을 위한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98884B1 (ko) * 2022-11-04 2023-02-10 주식회사 레딕스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512A (ko) * 2019-03-25 2020-10-07 (주)오픈웍스 공사현장의 분할영역 모니터링을 위한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98884B1 (ko) * 2022-11-04 2023-02-10 주식회사 레딕스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076B1 (ko) 방사선 작업자의 안전 및 피폭 관리 시스템
US20130218583A1 (en) Electronic Pati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3413189A (zh) 一种幼儿园安全健康管理系统
KR20150122415A (ko) 재난 현장 무선 통합 지휘 시스템
KR20080004124A (ko)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시스템
CN105266778A (zh) 监控轨道交通列车工作人员健康状况的系统及方法
KR101871158B1 (ko) 신발 위치 추적을 통한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KR20180123955A (ko)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140024712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01508A (ko) 독거노인 위급상황 관리시스템
KR20180011969A (ko) Ble 기술을 이용하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
CN113940668B (zh) 一种可穿戴式运动状态检测识别系统
KR20170000123A (ko) 치매 환자 케어 시스템
JP2007309791A (ja) 作業者監視システム
CN104732682A (zh) 穿戴式消防提醒装备及逃生提醒系统
KR20100104183A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군대 경계 근무자 감시 시스템
US11089957B2 (en) Sensor
JP6832289B2 (ja) 原子力発電所格納容器に係わる作業のサーバとクライアントを用いたリアルタイム遠隔操作管理
CN105286822A (zh) 供轨道交通列车工作人员穿戴的智能设备
Rajwade et al. Wearable sensors based pilgrim tracking and health monitoring system
US10485424B2 (en) Relay device
JP3179013U (ja) 放射線測定器
KR20160078543A (ko) 산업 환경에서 근로자의 생체 정보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CN109716412A (zh) 用于监视至少一个用户的身体状况的系统以及用于监视用户的身体状况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84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221

Effective date: 2018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