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955A -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955A
KR20180123955A KR1020170155577A KR20170155577A KR20180123955A KR 20180123955 A KR20180123955 A KR 20180123955A KR 1020170155577 A KR1020170155577 A KR 1020170155577A KR 20170155577 A KR20170155577 A KR 20170155577A KR 20180123955 A KR20180123955 A KR 20180123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ient
emergency
terminal
emergency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345B1 (ko
Inventor
장혁재
박은정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12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응급 환자 관리 시스템이 제공 된다. 응급 환자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응급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응급 환자 관리 서버; 응급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상태 정보를 상기 응급 환자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상태 정보 생성 디바이스―상기 상태 정보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응급 환자와 인접하게 위치한 의료장비 및 상기 응급 환자를 구조하는 구급대원의 단말기를 포함함―; 상기 응급 환자 관리 서버로부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는 병원 의료진 디바이스; 및 환자가 식별 될 수 있도록 환자에게 착용되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응급 환자의 식별 정보가 상기 응급 환자 서버에 전송되며, 상기 식별 정보가 전송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구급 대원의 단말기는 상기 응급 환자의 건강 정보를 수신하는,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METHOD, SERVER AND SYSTEM FOR MANAGING EMERGENCY PATIENTS}
본 발명은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특히 응급 환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가장 먼저 출동한 구급대원들이 응급 환자를 접하게 된다. 이 경우, 구급 대원들은 응급 환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전혀 알지 못하고, 응급 환자를 치료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구급 대원들이 응급 환자를 치료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응급 환자가 구급차를 통해 병원에 도착한 경우, 병원의 의료진들이 응급 환자를 치료하게 된다. 이 경우, 병원의 의료진들은 응급 환자가 구급 대원으로부터 어떠한 치료를 받았는지를 구급 대원으로부터 들어야 하며, 이 경우 구급 대원의 실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이 환자를 치료하는 경우, 환자의 정보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나, 현재의 시스템상으로는 이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응급 환자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한국 특허 공개 문헌 10-2017-0029298
본 발명은 전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응급 환자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시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응급 환자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응급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응급 환자 관리 서버; 응급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상태 정보를 상기 응급 환자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상태 정보 생성 디바이스―상기 상태 정보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응급 환자와 인접하게 위치한 의료장비 및 상기 응급 환자를 구조하는 구급대원의 단말기를 포함함―; 상기 응급 환자 관리 서버로부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는 병원 의료진 디바이스; 및 환자가 식별 될 수 있도록 환자에게 착용되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응급 환자의 식별 정보가 상기 응급 환자 서버에 전송되며, 상기 식별 정보가 전송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구급 대원의 단말기는 상기 응급 환자의 건강 정보를 수신하는,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응급환자를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응급 환자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응급 환자 결정부; 사전에 등록된 건강 정보를 관리하는 환자 정보 관리부; 응급 환자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응급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상태 정보 관리부―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응급 환자와 인접하게 위치한 의료 장비에 의해 생성된 제 1 상태 정보, 구급대원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는 제 2 상태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및 병원 의료진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의료 정보 관리부; 를 포함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환자 정보 관리부는 구급대원의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전에 등록된 건강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구급대원의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병원 의료진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전에 등록된 건강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병원 의료진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병원 의료진의 요청에 응답하여 획득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병원 의료진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응급환자를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응급환자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응급 환자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단계; 사전에 등록된 건강 정보를 관리하는 제 2 단계; 응급 환자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응급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제 3 단계―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응급 환자와 인접하게 위치한 의료 장비에 의해 생성된 제 1 상태 정보, 구급대원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는 제 2 상태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병원 의료진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 2 단계는: 구급대원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전에 등록된 건강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구급대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병원 의료진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전에 등록된 건강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병원 의료진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 3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병원 의료진의 요청에 응답하여 획득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병원 의료진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응급 환자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응급 환자에 대한 치료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환자 관리시스템(10000)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급 환자 관리 시스템(10000)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급 대원의 단말기에 생성되는 구급 일지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상황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상황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의 단계별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원으로부터 환자가 도착한 이후 응급처치 결과에 관한 정보를 피드백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응급환자 관리 서버(10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프레임 컴퓨터, 디지털 싱글 프로세서, 휴대용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기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급 대원 단말기(2100)와 의료진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을 통해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에게 정보를 전송 할 수 있거나,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있는 기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와 단말기는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컴퓨터,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이 경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는 통신 기능(예를 들어, NFC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는 스마트 밴드,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분류 정보 디바이스는 환자에게 부착되어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분류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의미 한다. 분류 정보 디바이스는 분류 정보는 환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분류 정보는 사망자를 나타내는 흑색, 긴급 환자(긴급이송을 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한 사람)를 나타내는 적색, 조금 늦어도 생명에 지장이 없는 사람을 나타내는 황색, 일반환자를 나타내는 녹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환자 관리시스템(10000)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응급 환자 관리 시스템(10000)은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 상태 정보 생성 디바이스(2000) 및 의료진 디바이스(30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는 환자들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는 환자들의 일반적인 건강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응급 상황에서 응급 환자의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특정 정보를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 및/또는 병원 의료진의 디바이스(30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생성 디바이스(2000)는 응급 상황에서 응급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상태 정보 생성 디바이스(2000)는 응급 환자와 인접하게 위치한 의료 장비(2200) 및 구급 대원 단말기(2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응급 환자와 인접하게 위치한 의료 장비(2200)(예를 들어, 구급 차량에 구비된 의료 장비 등)는 응급 환자를 진단함으로써, 응급 환자에 대한 제 1 상태 정보(예를 들어, 심전도, 이산화탄소측정기, 당뇨 정보, 맥박 정보, 체온 정보 등)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급 대원 단말기(2100)는 구급대원이 입력한 정보를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급 대원 단말기(2100)는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구급 대원은 구급 일지를 작성할 수 있으며, 작성된 구급 일지 정보가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구급 대원은 단말기(2100)를 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에 접근시킬 수 있고, 접근되는 경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응급 환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응급 환자의 식별 정보를 통해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로부터 응급 환자의 건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구급 차량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에 포함된 환자의 식별정보는 자동으로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에 전송될 수 있다.
의료진은 응급 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에 의료진의 디바이스(3000)를 접근 시킴으로써, 응급 환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식별 정보를 통해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로부터 응급 환자의 건강 정보 및/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급 대원은 손쉽게 응급 환자의 정보를 알 수 있어, 구급 활동의 효율성이 증진된다. 또한, 의료진도 손쉽게 응급 환자의 기본 정보, 구급 차량에서 측정된 상태 정보 및 구급 대원이 작성한 구급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의료 활동의 효율성이 증진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응급환자 관리 서버(1000)는 제어부(1100), 통신부 및 저장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0)는 응급 환자 결정부(1105), 환자 정보 관리부(1110), 상태 정보 관리부(1115), 의료 정보 관리부(1120), 구조 요청 전송부(1125), 측정 정보 관리부(1130), 분류 정보 수집부(1135), 위치 정보 획득부(1140), 위험 정도 결정부 및 재난 상황 결정부(1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응급 환자 결정부(1105)는 응급 환자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 환자 결정부(1105)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응급 환자가 발생 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응급 환자 결정부(1105)는 중앙 재난 센터로부터 응급 환자가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응급 환자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응급 환자 결정부(1105)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응급 환자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 환자 결정부(1105)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주기적으로 측정 정보(이는, 혈압, 맥박, 심전도 등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획득할 수 있는 신체에 대한 정보를 의미함)를 수신할 수 있고, 획득한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응급 환자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응급 환자 결정부(1105)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수신한 측정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이 경우 응급 환자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구조 요청 전송부(1125)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이는 위치 정보 획득부(1140)에 의해 획득될 수 있음)에 기초하여 구급대(예를 들어, 구급 대원, 구급 대원 관리 서버, 재난 상황 관리 본부 등)에게 구조 요청(구조 요청은 응급 환자의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을 전송할 수 있다.
환자 정보 관리부(1110)는 환자들에 대해 사전에 등록된 건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건강 정보는 환자들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건강 정보는 환자에 대한 기본 정보(예를 들어, 나이, 성별, 병력, 몸무게 정보, 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전의 의료 정보(예를 들어, 기존에 걸렸던 병에 대한 정보, 병원 이력 정보, 구입한 약에 대한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정보 관리부(1110)는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환자들의 건강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 정보 관리부(1110)는 환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구급 대원 단말기(2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정보 관리부(1110)는 의료진 디바이스(300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환자들의 건강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의료진 디바이스(30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 정보 관리부(1110)는 환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의료진 디바이스(30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태 정보 관리부(1115)는 응급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응급 환자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는 응급 환자와 인접하게 위치한 의료 장비에 의해 생성된 제 1 상태 정보, 구급대원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는 제 2 상태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응급 환자와 인접하게 위치한 의료 장비는 응급 환자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 환자와 인접하게 위치한 의료 장비는 구급 차량에 구비된 장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응급 환자가 구급 차량에 의해 이송되는 경우, 응급 환자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응급 환자와 인접하게 위치한 의료 장비는 혈압 측정 장치, 체온 측정 장치, 혈중당 측정 장치, 산소포화도 측정장치, 심전도 측정 장치, 호기내 이산화 탄소 측정 장치, 심실 제새동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장비들에 의해 응급 환자의 상태가 진단될 수 있고,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상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제 1 상태 정보는 혈압 정보, 체온 정보, 혈중당정보, 산소포화도 정보, 심전도 정보, 호기내 이산화 탄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생성된 제 1 상태 정보는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 2 상태 정보는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에 의해 생성된 응급 환자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제 2 상태 정보는 구급 일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급 대원은 단말기(2100)를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에 근접시킴으로써, 응급 환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에 전송함으로써, 응급 환자에 대한 건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구급 대원 단말기(2100)는 수신한 응급 환자에 대한 건강 정보에 기초하여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구급 대원 단말기(2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급 대원 단말기(2100)는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 중 수신한 건강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일부분은 자동으로 기입하고, 기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구급 대원이 기입 가능하도록 구급일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급 대원 단말기(2100)는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급 대원의 입력을 통해, 구급 일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태 정보 관리부(1115)는 의료진 디바이스(300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환자들의 상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의료진 디바이스(30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정보 관리부(1115)는 환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환자의 상태 정보를 의료진 디바이스(3000)에 전송할 수 있다.
의료 정보 관리부(1120)는 병원 의료진의 단말기(3000)로부터 수신한 의료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정보 관리부(1120)는 의료진이 입력한 환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재난 상황 결정부(1145)는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상황 결정부(1145)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상황이 발생 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재난 상황 결정부(1145)는 중앙 재난 센터의 서버로부터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재난 상황 결정부(1145)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상황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상황 결정부(1145)는 복수의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주기적으로 측정 정보(이는, 혈압, 맥박, 심전도 등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획득할 수 있는 신체에 대한 정보를 의미함)를 수신할 수 있고, 획득한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재난 상황 결정부(1145)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수신한 측정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측정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의 개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정보 획득부(1140)는 환자들에게 착용된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재난 상황 결정부(1145)는 재난 상황이 발생한 장소를 결정할 수 있으며, 구조 요청 전송부(1125)는 구급대(예를 들어, 구급 대원, 구급 대원 관리 서버, 재난 상황 관리 본부 등)에게 구조 요청(이 경우, 구조 요청은 재난 상황이 발생한 장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전송할 수 있다.
분류 정보 수집부(1135)는 환자들로부터 환자들 각각의 분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분류 정보는 환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분류 정보는 사망자를 나타내는 흑색, 긴급 환자(긴급이송을 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한 사람)를 나타내는 적색, 조금 늦어도 생명에 지장이 없는 사람을 나타내는 황색, 일반환자를 나타내는 녹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류 정보 수집부(1135)는 구급 대원으로부터 환자들의 분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환자들에게 착용된 분류 정보 디바이스(미도시)(예를 들어, 비콘 등)로부터 분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류 정보 디바이스(미도시)는 환자에게 부착되는 소형의 디바이스(미도시)로서,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에 분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위험 정도 결정부(1150)는 분류 정보 수집부(1135)에 의해 획득된 분류 정보와 위치 정보 획득부(1140)로부터 획득한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위험성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에 중증도 높은 환자들(예를 들어, 흑색 또는 적색으로 분류된 환자)가 많은 경우, 위험 정도 결정부(1150)는 특정 지역을 위험한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동 정보 관리부(1155)는 환자에게 배치된 구급 차량의 이동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정보 관리부()는 환자 및/또는 재난이 발생한 장소에 배치된 구급 차량의 식별 정보, 구급 차량의 위치 정보, 구급 차량이 파견된 시간 정보, 구급 차량이 환자 및/또는 재난이 발생한 장소에 도착한 시간 정보, 구급 차량의 이동 속도 정보 등을 구급 차량 및/또는 외부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재난 상황 관리 서버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추후에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구급 대원의 디바이스, 의료진의 디바이스 등)으로부터 구급 차량의 이동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정보 관리부(1155)는 구급 차량의 이동 정보를 필요에 따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00)는 상태 정보 생성 디바이스(2000), 의료진 디바이스(3000),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 분류 정보 디바이스(미도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통신할 수 있는 모듈을 의미한다. 통신부(120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상태 정보 생성 디바이스(2000), 의료진 디바이스(3000),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 분류 정보 디바이스(미도시), 또는 이들의 조합과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저장부(1300)는, 예를 들어 자기(magnetic) 디스크, 광학(optical) 디스크 및 광자기(magneto-optical) 저장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배터리-백업 메모리에 기초한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300)는 다양한 통신 수단을 통하여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통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저장부(1300)는 응급 환자 서버(1000) 외부에 위치하여 응급 환자 서버(1000)와 통신가능 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급 환자 관리 시스템(10000)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는 다른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는 중앙 재난 센터의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중앙 재난 센터에 재난/응급 상황 발생 신고가 접수된 경우,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는 재난/응급 상황 발생 접수 시각에 대한 정보와 재난/응급 상황 발생 장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는 119소방서(관할)에서 구급차량이 출동한 경우, 출동한 구급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는 구급 차량이 현장에 도착한 경우, 구급 차량의 도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구급 차량이 현장에서 수집한 재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는 구급 대원이 현장에서 환자들에게 취한 조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급 차량에서 구급 대원은 구급 차량에 구비된 의료 장비들을 이용하여 환자의 제 1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제 1 상태 정보는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구급대원은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로부터 환자의 건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구급 대원은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에 대한 정보를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에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는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에 전송될 수 있고,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는 필요한 경우 입력된 정보를 의료진의 디바이스(30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입력 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은 구급 대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급 대원 단말기(2100)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건강 정보를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 중 수신한 건강 정보와 매칭되는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9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급 대원 단말기(2100)는 관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관제 인터페이스는 재난이 발생한 경우, 현장에서 수집된 재난정보(예를 들어, 구조 시각, 구급 시각 등)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또한, 관제 인터페이스는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로부터 수신한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 재난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 재난 발생 위치에 대한 정보, 재난에 대해 출동한 구급진에 대한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310에서, 응급 환자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의 응급 환자 결정부(1105)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르면, 단계 S320에서, 환자들에 대해 사전에 등록된 건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에 구급 대원에게 필요한 건강 정보가 전송될 수 있고, 의료진 단말기(3000)에 의료진에게 필요한 건강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의 환자 정보 관리부(111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330에서, 응급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 환자와 인접하게 위치한 의료 장비(예를 들어, 구급 차량에 구비된 장비)는 응급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구급 대원 단말기(2100)도 응급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에 전송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의 상태 정보 관리부에서 자세히 상술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340에서, 병원 의료진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의료 정보는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에 의해 관리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의 의료 정보 관리부에서 상술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 에서 개시된 모든 설명들(예를 들어, 응급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응급 환자 관리 서버에 대한 설명들)은 응급 환자 관리 방법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급 대원의 단말기에 생성되는 구급 일지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에 표시될 수 있는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도시한다.
이 경우, 차량 번호는 구급 차량에 부착된 구급 차량 정보 센서를 통해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로 전송 될 수 있다.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자동으로 기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신고 일시는 종합방재센터(상황실)에 접수된 신고시간의 정보연동이 가능하다면 신고일시에 대한 정보를 연동, 자동으로 입력되어 표시되고, 연동이 불가능한 경우 수동으로 입력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출동시각, 현장도착, 환자접촉유무, 거리, 현장출발, 병원도착, 귀소시각은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에 포함된 GPS 기능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6은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에 표시될 수 있는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부를 도시한다.
이 경우, 환자에 대한 정보는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구급 차량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라이프 태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에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건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환자의 건강 정보가 획득된 경우,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는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에서 해당 부분을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기본 정보(예를 들어, 해당 환자의 인적사항) 및 의료 정보(병력사항, 응급상황에 따른 의료정보, 병원내원정보, 처방내역정보, 수술내역정보, 알러지 및 주의정보, 투석환자 정보, 진단정보, 보호자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에 표시될 수 있는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일부를 도시한다.
이 경우, 환자의 발생 장소 정보는 환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환자 증상 정보는 구급 대원이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객관식으로 제공될 수 있고, 자세한 내용을 추가할 수 있도록 주관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에 표시될 수 있는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일부를 도시한다.
이 경우, 환자 발생 유형 정보는 구급대원이 확인한 사항을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객관식 및/또는 주관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환자 발생 유형 중 병력 부분은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응급 환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식별 정보를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에 전송함으로써, 응급 환자 관리 서버(1000)로부터 응급 환자의 병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한 병력 정보는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9 는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에 표시될 수 있는 구급일지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일부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할때, 환자 이송이 완료된 경우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의 위치 정보가 활용되어,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는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응급실정보(예를 들어, 응급실의 좌표, 병원 정보)를 자동으로 이송기관에 대한 정보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구급 대원이 스마트 태그(예를 들어, 비콘(BEACON),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이 구비된 디바이스)를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에 근접시키는 경우, 구급 대원에 대한 식별 정보가 스마트 태그로부터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에 전송될 수 있고, 그 결과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에는 구급 대원의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는 구급 대원의 식별정보를 미리 보유할 수 있고, 미리 보유한 식별 정보에 따라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에 이송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 시킬 수 있다.
또한, 구급 대원의 단말기(2100)는 이송자의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구급 일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방법 및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요소와 상호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10)은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 구급대원 단말기(2100), 응급환자서버(1000), 관제센터(400), 병원(500)으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재난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10)은 재난현장의 상황을 지휘하는 관제센터(400), 구급대원(MP)에 의해 환자(EP)의 중증도 정보가 판별되어 입력되고 상기 중증도 정보를 무선 신호로 바꾸어 외부로 송출하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받은 정보를 응급환자서버(1000)로 전송하는 구급대원 단말기(2100), 상기 관제센터(400)에 설치되고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로부터 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EP)의 상태와 위치를 분석하는 응급환자서버(1000), 상기 관제센터(400)에 환자수용 능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응급환자서버(1000)를 통해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병원(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제센터(400)는 상기 응급환자서버(1000)를 거쳐 상기 병원(500)으로부터 받은 환자수용 능력을 분석하여 상기 환자(EP)를 배치하되, 상기 병원(500)으로부터 상기 환자(EP)가 도착한 이후 응급처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응급환자서버(1000)를 통해 받아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를 통해 상기 구급대원(MP)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상기 재난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10)에서 대상으로 하는 상기 재난 현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리적으로 이격된 재난 발생 장소를 다룰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난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는 환자의 중증도를 등급으로 나누어 표시되고 그 정보를 무선 신호로 바꾸어 외부 구급대원 단말기(21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환자(EP) 각각에 하나씩 부착되되, 각기 기기의 고유식별번호와 디바이스값, 지역구분값, 중증도 분류 정보를 최소한 포함하여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에서 최소 4개 이상의 구분이 가능한 고유정보를 갖는 것은 환자(EP) 정보가 관제센터(400)와 병원(500), 구급대원 단말기(2100)를 통해 구급대원(MP)에게 누락이나 중첩 등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상기 고유식별번호는 다양한 비콘 제품들과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 구분자로써 동일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 제품들은 같은 값을 가지게 되고 일예로 FB89C16E-D0F6-40CE-BF0C-3702AA51DA24와 같이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지역구분값은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 사용 또는 관리 단위를 구별하기 위한 값으로 주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서울-서대문구 1010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값은 동일한 지역구분값을 갖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 가운데 각각의 디바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값으로 일예로 100, 200, 1100, 1200, 1300..와 같이 일련번호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는 2.4GHz 대역 비콘 신호를 사용하며, 상기 신호의 송출 간격이 최소 1초 이내, 최대 5초 이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난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다.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전화, 태블릿 피씨, 노트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는 반경 100미터 이내에 위치한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가 송출하는 신호를 수신하되 수신 신호의 간격의 10초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경 100미터로 제한하는 것은 재난현장에서 구급대원(MP)가 구조활동을 위해 도보로 이동가능한 한계거리를 설정한 것이며, 복수의 재난현장 또는 복수의 구급대원(MP)에 의해 송출되는 신호의 중첩을 최대한 막기 위한 물리적 거리제한조치에 해당한다.
아울러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는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응급환자서버(1000)로 무선 송출하되 상기 응급환자서버(1000)로 발신되는 신호의 간격이 30초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의 신호 송출 간격,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의 수신 간격,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의 송출 간격의 범위를 각각 달리함으로써 즉, 처음 신호가 생성되어 전달되는 순서에 따라 점차 그 수신 또는 송출 간격을 점차적으로 넓게 함으로써 신호의 누락과 중첩을 방지하여 정확한 실시간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바탕이 만들어진다.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의 신호 송출 간격은 최초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으로 최소 1초 단위에서 최대 5초 이내가 바람직하다.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의 수신 간격과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의 송출 간격은 전단계에서 전달되어오는 신호 수신 간격의 2 내지 3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하여 신호의 누락이 없도록 하고 지나친 중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에 의해 상기 응급환자서버(1000)로 무선 송출되는 정보는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와 위치, 시각 및 구급대원(MP)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위치 정보는 환자의 이동경로를 파악하는데 활용되고 구급대원(MP) 정보는 환자의 처치결과의 피드백을 위해 파악되어야 한다.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에 의해 상기 응급환자서버(1000)로 무선 송출되는 정보는 3G, LTE, Wifi 가운데 어느 하나의 통신수단이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급대원 단말기에는 재난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10)을 작동시키는 소프트웨어인 앱이 설치되며 상기 앱의 작성기술은 일반 무선통신 시스템의 작성과정과 동일하다.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는 일관성있는 환자관리 및 처리결과의 피드백을 위해 구급대원(MP)이 휴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재난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상기 병원(500)은 상기 환자(EP)를 수용한 가능한 거리범위 내에 위치한 기관을 대상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관제센터(400)의 지리적 관리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난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서버(1000)와 상기 병원(500)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선과 무선 시스템을 동시에 구비할 경우 재난상황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장치가 단절될 경우에 대비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상기 재난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환자(EP) 배치에 관한 정보는 상기 관제센터(400)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응급환자서버(1000)를 거쳐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를 통해 상기 구급대원(MP)에게 전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응급환자서버(1000)는 특정 지역의 위험성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환자서버(1000)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수신한 지역구분값 및 중증도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지역의 위험성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증도 분류 정보는 사망자를 나타내는 흑색, 긴급 환자(긴급이송을 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한 사람)를 나타내는 적색, 조금 늦어도 생명에 지장이 없는 사람을 나타내는 황색, 일반환자를 나타내는 녹색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응급환자서버(1000)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수신한 지역구구분값 및 중증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지역(예를 들어, 강남구, 서초구, 양재동, 논현동 등)에 특정 중증도(예를 들어, 흑색 등급 또는 적색 등급)의 환자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특정 지역을 위험한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응급환자서버(1000)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수신한 지역구구분값 및 중증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지역(예를 들어, 강남구, 서초구, 양재동, 논현동 등)에 특정 중증도(예를 들어, 흑색 등급 또는 적색 등급)의 환자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특정 지역을 위험한 지역이 아니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응급환자서버(1000)는 결정된 위험성 정도에 대한 정보를 구급대원에게 전송할 수 있고, 구급대원 단말기(2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병원(5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10)의 실행 방법에 관한 단계별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재난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10)의 실행 방법은 재난현장에서 환자의 중증도 정보를 구급대원이 판별하고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에 입력하는 중증도 정보 생성 단계(S100);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에 입력된 상기 중증도 정보가 무선 신호로 바뀌어 외부로 전달하는 1차 송출 단계(S200);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중증도 정보를 구급대원 단말기에 의해 관제센터에 위치한 서버로 무선 송신하는 2차 송출 단계(S300); 상기 관제센터에 의해 수행되되, 상기 서버에 수신된 상기 중증도 정보를 통해 재난현장의 환자 정보를 분석하고, 병원의 환자수용 능력 및 환자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배치하는 병원 분석 및 환자 배치 단계(S400); 상기 배치 정보에 따라 이루어지는 환자 병원 이송 단계(S500); 및 상기 관제센터에 의해 수행되되, 상기 병원에 도착한 환자의 처치결과를 상기 병원으로부터 받아 상기 구급대원에게 알려주는 처치결과 피드백 단계(S600);를 포함하여 단계별로 수행된다.
상기 2차 송출 단계(S300)에서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는 일관성있는 환자관리 및 처리결과의 피드백을 위해 상기 구급대원이 휴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송출단계(S200)에서 신호 발신 주기는 최소 1초 이내, 최대 5초 이내에서 설정되고 상기 2차 송출단계 신호 발신 주기는 30초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의 신호 송출 간격,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의 수신 간격,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의 송출 간격의 범위를 각각 달리함으로써 즉, 처음 신호가 생성되어 전달되는 순서에 따라 점차 그 수신 또는 송출 간격을 점차적으로 넓게 함으로써 신호의 누락과 중첩을 방지하여 정확한 실시간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바탕이 만들어진다.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의 신호 송출 간격은 최초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으로 최소 1초 단위에서 최대 5초 이내가 바람직하다.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의 수신 간격과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2100)의 송출 간격은 전단계에서 전달되어오는 신호 수신 간격의 2 내지 3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하여 신호의 누락이 없도록 하고 지나친 중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병원 분석 및 환자 배치 단계(S400)에서 상기 환자 배치에 관한 정보는 상기 관제센터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서버를 거쳐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구급대원에게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치결과 피드백 단계(S600)는 상기 서버와 상기 병원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서버와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 사이에는 무선 신호를 통해 주고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선과 무선 시스템을 동시에 구비할 경우 재난상황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장치가 단절될 경우에 대비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재난 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10)의 실행 방법은 특정 지역의 위험성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성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수신한 지역구분값 및 중증도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지역의 위험성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증도 분류 정보는 사망자를 나타내는 흑색, 긴급 환자(긴급이송을 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한 사람)를 나타내는 적색, 조금 늦어도 생명에 지장이 없는 사람을 나타내는 황색, 일반환자를 나타내는 녹색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험성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수신한 지역구구분값 및 중증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지역(예를 들어, 강남구, 서초구, 양재동, 논현동 등)에 특정 중증도(예를 들어, 흑색 등급 또는 적색 등급)의 환자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특정 지역을 위험한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험성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4000)로부터 수신한 지역구구분값 및 중증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지역(예를 들어, 강남구, 서초구, 양재동, 논현동 등)에 특정 중증도(예를 들어, 흑색 등급 또는 적색 등급)의 환자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특정 지역을 위험한 지역이 아니라고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위험성 정도에 대한 정보는 구급대원에게 전송될 수 있고, 구급대원 단말기(2100)에 전송될 수 있으며, 병원(50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12 는 도 11 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10)의 실행 방법에 있어 병원으로부터 상기 환자가 도착한 이후 응급처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병원이 관제센터에 피드백하는 과정에 더하여 구급대원에게까지 피드백하는 과정을 또다른 일실시 예를 포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 을 참조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현장 중증도 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10)은 재난현장에서 환자의 중증도 정보를 구급대원이 판별하고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에 입력하는 중증도 정보 생성 단계(S100);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에 입력된 상기 중증도 정보가 무선 신호로 바뀌어 외부로 전달하는 1차 송출 단계(S200);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중증도 정보를 구급대원 단말기에 의해 관제센터에 위치한 서버로 무선 송신하는 2차 송출 단계(S300); 상기 관제센터에 의해 수행되되, 상기 서버에 수신된 상기 중증도 정보를 통해 재난현장의 환자 정보를 분석하고, 병원의 환자수용 능력 및 환자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배치하는 병원 분석 및 환자 배치 단계(S400); 상기 배치 정보에 따라 이루어지는 환자 병원 이송 단계(S500); 및 상기 병원에 의해 수행되되, 상기 병원에 도착한 환자의 처치결과를 상기 서버 및 상기 구급대원에게 각각 알려주는 처치결과 피드백 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2 를 참조하면 상기 처치결과 피드백 단계(S600)는 상기 응급환자서버(1000)와 상기 병원(500)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병원(500)과 상기 구급대원(MP)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은 무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선과 무선 시스템을 동시에 구비할 경우 재난상황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장치가 단절될 경우에 대비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록매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응급환자 관리 서버 2000: 상태 정보 생성 디바이스
3000: 의료진 디바이스 4000: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
S310: 응급 환자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
S320: 사전에 등록된 건강 정보를 관리
S330: 응급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관리
S340: 병원 의료진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의료 정보를 관리

Claims (7)

  1. 응급환자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응급 환자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사전에 등록된 건강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응급 환자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응급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응급 환자와 인접하게 위치한 의료 장비에 의해 생성된 제 1 상태 정보, 구급대원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는 제 2 상태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병원 의료진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사전에 등록된 건강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구급대원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전에 등록된 건강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구급대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병원 의료진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전에 등록된 건강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병원 의료진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을 포함하며,
    상기 응급 환자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응급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병원 의료진의 요청에 응답하여 획득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병원 의료진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은:
    환자들에게 착용된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환자들로부터 환자들 각각의 분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분류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지역의 위험성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 정보는 혈압 정보, 체온 정보, 혈당 정보, 산소포화도 정보, 심전도 정보 및 호기내 포함된 이산화 탄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은, 중증도 정보를 수집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증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재난현장에서 환자의 중증도 정보가 구급대원이 판별되고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중증도 정보 생성 단계;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에 입력된 상기 중증도 정보가 무선 신호로 바뀌어 외부로 전달하는 1차 송출 단계;
    상기 라이프 태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중증도 정보를 구급 대원 단말기에 의해 관제센터에 위치한 응급 환자 서버로 무선 송신하는 2차 송출 단계;
    상기 응급 환자 서버에 수신된 상기 중증도 정보를 통해 재난현장의 환자 정보를 분석하고, 병원의 환자수용 능력 및 환자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배치하는 병원 분석 및 환자 배치 단계;
    상기 배치 정보에 따라 이루어지는 환자 병원 이송 단계; 및
    상기 병원에 도착한 환자의 처치결과를 상기 병원으로부터 받아 상기 구급대원에게 알려주는 처치결과 피드백 단계;
    를 포함하는,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급대원 단말기는 구급대원이 휴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송출단계의 신호 발신 주기는 5초 이내, 상기 2차 송출단계 신호 발신 주기는 30초 이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배치에 관한 정보는 응급 환자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구급 대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구급대원에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결과 피드백 단계는 상기 서버와 상기 병원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서버와 상기 무선중계기 사이에는 무선 신호를 통해 주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KR1020170155577A 2017-05-10 2017-11-21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022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227 2017-05-10
KR1020170058227 2017-05-10
KR20170058228 2017-05-10
KR1020170058228 2017-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955A true KR20180123955A (ko) 2018-11-20
KR102022345B1 KR102022345B1 (ko) 2019-09-18

Family

ID=6456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577A KR102022345B1 (ko) 2017-05-10 2017-11-21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3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2394A (zh) * 2020-08-25 2020-11-27 重庆北部宽仁医院 一种住院病人管理系统及其工作方法
KR102206862B1 (ko) * 2020-04-27 2021-01-26 주식회사 서원 스마트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3492A (ko) * 2020-08-21 2022-03-02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구급대응 도상훈련장치 및 구급대응 도상훈련방법
KR20220122291A (ko) 2021-02-26 2022-09-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응급 데이터 실시간 공유를 통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6988A (ko) 2021-09-07 2023-03-15 주식회사 코스모스메딕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340B1 (ko) 2020-04-20 2022-03-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격리 환자의 병원으로 이송을 결정하기 위한 이동식 질병 검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123A (ko) * 2006-07-04 2008-01-09 오해석 무선주파수인식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응급 의료 정보시스템
KR100800026B1 (ko) *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1551A (ko) * 2007-04-25 2009-01-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
KR20100107909A (ko) * 2009-03-27 2010-10-06 (주)인타운 구급차의 응급환자 관리시스템
KR20170029298A (ko) 2015-09-07 2017-03-15 (주)오경컴텍 맞춤형 모듈 선택·자동 응급구조신호 전송이 가능한 융합형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123A (ko) * 2006-07-04 2008-01-09 오해석 무선주파수인식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응급 의료 정보시스템
KR100800026B1 (ko) *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1551A (ko) * 2007-04-25 2009-01-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
KR20100107909A (ko) * 2009-03-27 2010-10-06 (주)인타운 구급차의 응급환자 관리시스템
KR20170029298A (ko) 2015-09-07 2017-03-15 (주)오경컴텍 맞춤형 모듈 선택·자동 응급구조신호 전송이 가능한 융합형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862B1 (ko) * 2020-04-27 2021-01-26 주식회사 서원 스마트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3492A (ko) * 2020-08-21 2022-03-02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구급대응 도상훈련장치 및 구급대응 도상훈련방법
CN112002394A (zh) * 2020-08-25 2020-11-27 重庆北部宽仁医院 一种住院病人管理系统及其工作方法
KR20220122291A (ko) 2021-02-26 2022-09-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응급 데이터 실시간 공유를 통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6988A (ko) 2021-09-07 2023-03-15 주식회사 코스모스메딕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345B1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3955A (ko)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US10607469B2 (en) Methods for detecting and handling fall and perimeter breach events for residents of an assisted living facility
EP2340500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ized medical data
JP6000690B2 (ja) 在宅医療支援装置及び在宅医療支援システム
Park et al. Requirement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smart emergency medical services
KR101858674B1 (ko)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서버
US118941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inventory management and tracking
CN10360591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社区智能医护系统控制方法
US20130218583A1 (en) Electronic Pati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200204631A1 (en) Platform independent realtime medical data display system
CN105659239A (zh) 评估无线传感器与被监测患者之间的关联的系统和方法
US10980417B2 (en) Acute care eco system integrating customized devices of personalized care with networked population based management
JP2010277383A (ja) 救急患者受入先探索システム、救急端末、医療施設端末、受入先探索サーバ及び救急患者受入先探索方法
Van Sickle et al. Monitoring and improving compliance and asthma control: mapping inhaler use for feedback to patients, physicians and payers
KR102510180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159997B1 (ko) 의료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6653A (ko)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KR20210128576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KR102152684B1 (ko) 의료기관 내 입원환자들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JP2019133425A (ja) トリアージ管理システム
TWM557421U (zh) 健檢排程系統
KR20230072093A (ko) 적정병원 선정을 위한 디바이스
Massey et al. Pervasive triage: Towards ubiquitous, real-time monitoring of vital signs for pre-hospital applications
Prathiba et al. TELEFIT–An IoT enabled health care Device
Aluko et al. Wearable Devices for Stroke Patients during Health Care Service Delivery Mechanisms Using Vehicle Routine Problems with the Time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