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988A -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988A
KR20230036988A KR1020220112178A KR20220112178A KR20230036988A KR 20230036988 A KR20230036988 A KR 20230036988A KR 1020220112178 A KR1020220112178 A KR 1020220112178A KR 20220112178 A KR20220112178 A KR 20220112178A KR 20230036988 A KR20230036988 A KR 20230036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cal
emergency patient
identity
airc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모스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모스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모스메딕
Publication of KR20230036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eth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lmonology (AREA)
  • Marketing (AREA)
  • Psychia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방법은, 사전정보 입력부가 항공기에 탑승 전 탑승자 자신의 신원정보, 의학정보 및 탑승 항공기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기내에서 응급 환자 발생 시, 신원 확인부가 사전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응급 환자인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 신원 확인 후, 의료기록 확인부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의료기록을 확인하는 단계; 의료기록 확인 후, 현재정보 입력부가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는 단계; 및종합 판단부가 사전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신원정보 및 의학정보와, 신원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신원 정보와, 의료기록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의료기록과, 현재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활력 징후 및 현재 증상을 토대로 응급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patient status of an emergency case in the airlines using biometric and medical data}
본 발명은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항공기내 응급 환자 발생 시, 환자의 신원 확인 후 기존 입력된 의학정보와 현재의 생체정보, 실시간 증상을 토대로 환자 상태를 파악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아에서 소아, 고령층, 임산부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환을 앓거나 만성질환자 등 다양한 잠재적 환자군이 항공기에 탑승하고 있고, 이런 탑승객들은 장거리 비행 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항공기는 높은 고도에서 비행을 하기 때문에 기압, 기온, 습도 등에서 지상과 차이가 나며 이로 인해 호흡기질환, 심부정맥혈전증, 미주신경성 실신, 감압병 등이 흔하게 발생할 수 있다.
기내에서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보통 객실승무원이 기본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응급처치를 제공한다. 이때, 승객의 상태가 중증이거나 객실승무원이 처치할 수 있는 역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내에 있는 의료진을 호출하여 진료를 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본적인 환자의 신원 및 병력 확인 방법과 현재 증상을 토대로 환자상태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현실적인 수단은 없는 편이다.
또한, 기내에 의료진이 없거나 있다 하더라도, 익숙하지 않은 기내 환경에서 의학적 도움을 주는 것이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경우 지상의료진과 연결을 요청하게 되는데, 이 또한 체계적인 시스템 없이 단순 구두에 의해서만 환자상태를 전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는 환자 상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적절힌 시간내에 반드시 치료해야 되는 골든 타임을 놓치거나, 경증 환자를 중증 환자로 오인하여 불필요한 회항을 결정해 목적지까지 운항하기 위한 연료를 포기해야 함은 물론, 나머지 탑승객의 여정이 연기되는 등의 여러 가지 경제적, 인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내 응급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적절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1967호(2018.09.1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3955호(2018.11.20.)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3024호(2017.05.15.)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항공기내 응급 환자 발생 시, 환자의 신원 확인 후 기존 입력된 의학정보와 현재의 생체정보, 실시간 증상을 토대로 환자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의료진이 환자에 최적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은,
항공기에 탑승 전 탑승자 자신의 신원정보, 의학정보 및 탑승 항공기 정보를 입력 받는 사전정보 입력부;
기내에서 응급 환자 발생 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응급 환자인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는 신원 확인부;
상기 신원 확인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의료기록을 확인하는 의료기록 확인부;
상기 의료기록 확인 후,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는 현재정보 입력부; 및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신원정보 및 의학정보와, 상기 신원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신원 정보와, 상기 의료기록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의료기록과, 상기 현재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활력 징후 및 현재 증상을 토대로 응급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주는 종합 판단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는 이메일, 메신저, 항공사 웹페이지, 항공권 대행 사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는 승객 본인의 신원 및 의학정보 입력 양식이나 승객 문진표를 통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원 확인부가 응급 환자 발생 시 응급 환자인 승객의 신원을 확인함에 있어서, 좌석 및 탑승권 정보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안면 인식으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홍채, 지문을 포함한 생체 정보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승객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재정보 입력부가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음에 있어서, 상기 활력 징후는 의식 상태, 혈압, 맥박, 호흡상태, 체온, 통증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재정보 입력부가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음에 있어서,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 증상은 대분류로서 호흡기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두통/신경계, 외상 및 교통사고, 근골격계, 피부, 여성생식계, 남성생식계, 비뇨기계로 분류하여 해당 부위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합 판단부가 응급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줌에 있어서, 응급 환자에 대한 최종적인 상태 정보 및 추정 질환을 생성하고, 이를 근거로 기내에서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응급처치 방법이 함께 안내되며, 상기 최종적인 상태 정보 및 추정 질환에 대한 정보는 다수의 객실 승무원 및 기내 의료진과 공유 가능하고 통신이 가능할 경우 지상의 의료진과도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방법은,
a) 사전정보 입력부가 항공기에 탑승 전 탑승자 자신의 신원정보, 의학정보 및 탑승 항공기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b) 기내에서 응급 환자 발생 시, 신원 확인부가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응급 환자인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신원 확인 후, 의료기록 확인부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의료기록을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의료기록 확인 후, 현재정보 입력부가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는 단계; 및
e) 종합 판단부가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신원정보 및 의학정보와, 상기 신원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신원 정보와, 상기 의료기록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의료기록과, 상기 현재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활력 징후 및 현재 증상을 토대로 응급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는 이메일, 메신저, 항공사 웹페이지, 항공권 대행 사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는 승객 본인의 신원 및 의학정보 입력 양식이나 승객 문진표를 통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신원 확인부가 응급 환자 발생 시 응급 환자인 승객의 신원을 확인함에 있어서, 좌석 및 탑승권 정보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안면 인식으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홍채, 지문을 포함한 생체 정보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승객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는 의식 상태, 혈압, 맥박, 호흡상태, 체온, 통증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 증상은 대분류로서 호흡기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두통/신경계, 외상 및 교통사고, 근골격계, 피부, 여성생식계, 남성생식계, 비뇨기계로 분류하여 해당 부위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종합 판단부가 응급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줌에 있어서, 응급 환자에 대한 최종적인 상태 정보 및 추정 질환을 생성하고, 이를 근거로 기내에서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응급처치 방법이 함께 안내되며, 상기 최종적인 상태 정보 및 추정 질환에 대한 정보는 다수의 객실 승무원 및 기내 의료진과 공유 가능하고 통신이 가능할 경우 지상의 의료진과도 공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항공기내 응급 환자 발생 시, 환자의 신원 확인 후 기존 입력된 의학정보와 현재의 생체정보, 실시간 증상을 토대로 환자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의료진이 환자에 최적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원하는 탑승객에 한해 승객 본인의 신원 및 의학 정보를 의학정보 입력양식에 입력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사전정보 입력으로서 탑승객이 개인정보, 기저질환, 현재 증상 등을 문진표에 입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항공기 좌석이나 탑승권 또는 이름 정보로 환자를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안면인식이나, 홍채 또는 지문을 포함한 생체정보로 환자를 확인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의료기록 확인부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의료기록을 확인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현재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활력 징후 입력 양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현재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현재 증상 입력 양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종합 판단부에 의해 생성된 응급 환자에 대한 최종적인 상태 정보 및 추정(예상) 질환 정보를 담고 있는 최종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100)은 사전정보 입력부(110), 신원 확인부 (120), 의료기록 확인부(130), 현재정보 입력부(140) 및 종합 판단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전정보 입력부(110)는 항공기에 탑승 전 탑승자 자신의 신원정보, 의학정보 및 탑승 항공기 정보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이와 같은 사전정보 입력부(110)는 이메일, 메신저, 항공사 웹페이지, 항공권 대행 사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110)는 도 3의 (b)와 같은 승객 본인의 신원 및 의학정보 입력 양식이나, 도 4와 같은 승객 문진표를 통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b)의 입력양식은 도 3의 (a)와 같이 항공사(예컨대, 대한항공) 측에 의한 안내 메시지와 함께 항공사 측에서 제공할 수 있고, 도 4의 문진표는 본 발명의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100)을 운용하는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할 수 있다.
신원 확인부(120)는 기내에서 응급 환자 발생 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신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응급 환자인 승객의 신원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신원 확인부(120)가 응급 환자 발생 시 응급 환자인 승객의 신원을 확인함에 있어서, 좌석(도 5의 (a) 참조) 및 탑승권 정보(도 5의 (b) 참조)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도 6의 (a)와 같이 안면 인식으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도 6의 (b) 및 (c)와 같이 홍채, 지문을 포함한 생체 정보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승객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의료기록 확인부(130)는 상기 신원 확인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의료기록을 확인한다. 의료기록에는 신원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비상연락처, 이메일 등)와 질환정보(질환명, 발병년도, 치료상태 등)가 포함될 수 있다.
현재정보 입력부(140)는 상기 의료기록 확인 후,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는다. 여기서, 이와 같은 현재정보 입력부(140)가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음에 있어서, 상기 활력 징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식 상태, 혈압, 맥박, 호흡상태, 체온, 통증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재정보 입력부(140)가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음에 있어서,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 증상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분류로서 호흡기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두통/신경계, 외상 및 교통사고, 근골격계, 피부, 여성생식계, 남성생식계, 비뇨기계로 분류하여 해당 부위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종합 판단부(150)는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신원정보 및 의학정보와, 상기 신원 확인부(120)에 의해 확인된 신원 정보와, 상기 의료기록 확인부(130)에 의해 확인된 의료기록과, 상기 현재정보 입력부(140)에 의해 입력된 활력 징후 및 현재 증상을 토대로 응급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준다. 여기서, 이와 같은 종합 판단부(150)가 응급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줌에 있어서, 도 10의 (a)와 같이 응급 환자에 대한 최종적인 상태 정보 및 도 10의 (b)와 같이 추정(예상) 질환을 생성하고, 이를 근거로 기내에서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응급처치 방법이 함께 안내되며, 상기 최종적인 상태 정보 및 추정 질환에 대한 정보는 다수의 객실 승무원 및 기내 의료진과 공유 가능하고 통신이 가능할 경우 지상의 의료진과도 공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사전정보 입력부(110), 신원 확인부(120), 의료기록 확인부 (130), 현재정보 입력부(140) 및 종합 판단부(150)는 경우에 따라서는 전체적으로 하나로 통합되어 하나의 모듈 또는 패키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기능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에 기반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전정보 입력부(110), 신원 확인부(120), 의료기록 확인부(130), 현재정보 입력부(140) 및 종합 판단부(150)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100)을 바탕으로 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방법으로서, 먼저 사전정보 입력부(110)가 항공기에 탑승 전 탑승자 자신의 신원정보, 의학정보 및 탑승 항공기 정보를 입력 받는다(단계 S201). 여기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110)는 이메일, 메신저, 항공사 웹페이지, 항공권 대행 사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110)는 도 3의 (b)와 같은 승객 본인의 신원 및 의학정보 입력 양식이나, 도 4와 같은 승객 문진표를 통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b)의 입력 양식은 도 3의 (a)와 같이 항공사(예컨대, 대한항공)측에 의한 안내 메시지와 함께 항공사측에서 제공할 수 있고, 도 4의 문진표는 본 발명의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100)을 운용하는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3의 (b)의 승객 본인의 신원 및 의학정보 입력 양식과 관련하여 조금 더 설명을 부가해 보기로 한다.
승객 본인의 신원 및 의학정보 입력 양식에 한번 입력된 정보는 다음 번에 기입할 필요가 없으며, 다음 번에는 변경사항만 재기입하면 된다. 그리고 항공기가 이륙 전 입력한 정보는 비행기 모드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또한, 소아, 노인, 장애인 등 본인이 기재하기 힘들 경우 보호자 또는 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제공자, 항공사에 의해 작성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국적의 승객 및 승무원이 탑승하기 때문에 모든 항목은 다국어 번역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언어로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또한 상기 승객 문진표와 관련해서도 조금 더 설명을 부가해 보기로 한다.
승객 문진표는 승객들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 개인정보, 기저질환, 현재 증상에 대해 기록하도록 한다. 개인정보는 여권번호, 신원정보, 국가번호를 포함한 본인연락처 및 보호자의 비상연락처, 이메일 등 기타 개인에 관한 정보와 승객 신체에 대한 기본 정보 등 (예를 들어, 안면인식을 위한 사진촬영, 홍채, 지문, 나이, 성별, 병력, 몸무게 정보, 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질환은 승객에 대한 의료 정보(예를 들어, 기존에 걸렸던 병에 대한 정보, 병원 이력 정보, 복용중인 약에 대한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증상은 승객이 비행기 탑승전 호소하는 증상이 또는 의학적으로 우려되는 상황이 있는 것 등을 기재하게 된다. 현재증상은 비행이 종료가 되면 항상 리셋(reset) 된다.
위에서 설명한 승객 본인의 신원 및 의학정보 입력 양식과 마찬가지로 한번 입력된 정보는 다음 번에 기입할 필요 없으며 변경사항만 재기입하면 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현재증상은 비행이 종료되면 항상 리셋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항공기의 이륙 전 입력한 정보는 비행기 모드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사전정보 입력부(110)가 항공기에 탑승 전 탑승자 자신의 신원정보, 의학정보 및 탑승 항공기 정보를 입력 받으면, 신원 확인부(120)는 응급 환자 발생 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신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응급 환자인 승객의 신원을 확인한다(단계 S202). 여기서, 이와 같은 신원 확인부(120)가 응급 환자 발생 시 응급 환자인 승객의 신원을 확인함에 있어서, 좌석(도 5의 (a) 참조) 및 탑승권 정보(도 5의 (b) 참조)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도 6의 (a)와 같이 안면 인식으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도 6의 (b) 및 (c)와 같이홍채, 지문을 포함한 생체 정보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승객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신원 확인과 관련하여 조금 더 설명을 부가해 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기내에서 환자발생 시 본인이 증상을 호소하거나 주변인에 의해 승무원에게 이 상황을 알리게 된다. 항공기에 탑승하는 승무원은 승무원 디바이스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등록된 승객들의 기내 좌석 위치를 통해 환자 발생 시 환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승객이 자리를 옮기거나 복도 또는 화장실 등 본인 좌석이 아닌 곳에서 증상을 호소할 경우 탑승권에 기재된 좌석 위치 또는 이름 정보로 환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이 자리를 옮기거나 복도 또는 화장실 등 본인 자리가 아닌 곳에서 증상을 호소할 경우, 사전에 입력된 안면인식을 위한 사진(즉, 안민인식 기능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어 있는 사진)을 통해 환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이 자리를 옮기거나 복도 또는 화장실 등 본인 자리가 아닌 곳에서 증상을 호소할 경우, 입에 거품을 물고 있거나 고개를 흔들어서 안면인식 기능을 사용하기 어려울 경우, 사전에 입력된 홍채, 지문 및 기타 고유 생체정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어 있는 환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신원 확인 후, 의료기록 확인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의료기록을 확인한다(단계 S203). 이때, 의료기록에는 신원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비상연락처, 이메일 등)와 질환정보(질환명, 발병년도, 치료상태 등)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객실 승무원은 환자의 신원이 확인되면 저장되어 있던 승객의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디바이스 또는 프로그램은 각 항공사가 사용하는 단말기부터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까지 각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항공기 내에 탑승한 승객 중 환자가 증상을 호소하지 않아도, 승무원이 의학적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이 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의학적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국적의 승객 및 승무원이 탑승하기 때문에 모든 항목은 다국어 번역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언어로 사용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의료기록 확인부(130)에 의해 의료기록 확인 후, 현재정보 입력부(140)는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는다(단계 S204). 여기서, 이와 같은 현재정보 입력부(140)가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음에 있어서, 상기 활력 징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식 상태, 혈압, 맥박, 호흡상태, 체온, 통증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재정보 입력부(140)가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음에 있어서,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 증상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분류로서 호흡기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두통/신경계, 외상 및 교통사고, 근골격계, 피부, 여성생식계, 남성생식계, 비뇨기계로 분류하여 해당 부위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현재정보 입력부(140)는 기내에 비치된 각종 의료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는 혈압, 맥박, 체온, 호흡수, 심전도, 등 각 기내에 비치되어 있는 디바이스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의식상태 평가 및 통증강도 측정 등은 이 프로그램의 이용자가 환자와 대화를 통해 판단하여 기록한다. 현재의 생체징후를 입력하는 구조화된 입력양식의 각 항목은 경증환자, 중증환자, 코로나 환자 등 환자 상태에 따라 카테고리 별로 다르게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각종 상황으로 인해 환자의 상태 파악이 어려운 경우, 글(text), 음성(녹음), 사진, 동영상 촬영 등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여 지상의료진과 통신 가능할 경우 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종합 판단부(150)는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신원정보 및 의학정보와, 상기 신원 확인부(120)에 의해 확인된 신원 정보와, 상기 의료기록 확인부(130)에 의해 확인된 의료기록과, 상기 현재정보 입력부(140)에 의해 입력된 활력 징후 및 현재 증상을 토대로 응급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준다(단계 S205). 여기서, 이와 같은 종합 판단부(150)가 응급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줌에 있어서, 도 10의 (a)와 같이 응급 환자에 대한 최종적인 상태 정보 및 도 10의 (b)와 같이 추정(예상) 질환을 생성하고, 이를 근거로 기내에서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응급처치 방법이 함께 안내되며, 상기 최종적인 상태 정보 및 추정 질환에 대한 정보는 다수의 객실 승무원 및 기내 의료진과 공유 가능하고 통신이 가능할 경우 지상의 의료진과도 공유될 수 있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종합 판단부(150)의 판단과 관련하여 조금 더 설명을 부가해 보기로 한다.
도 10은 입력된 정보들을 토대로 종합적인 환자 상태와 예상되는 질환명을 제시하여 치료적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합 판단부(150)는 응급 환자에 대한 최종적인 상태 정보 및 추정 질환을 생성하게 된다. 이를 근거로 기내에서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응급처치 방법 등이 같이 안내된다. 이 정보는 다수의 객실 승무원 및 기내 의료진과 공유 가능하며 통신이 가능할 경우 지상의 의료진과도 공유된다. 또한, 이 정보는 필요시 착륙하게 될 공항의 운영진 및 의료진과도 공유하여 공항 도착 즉시 응급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한다. 항공기 특성상 응급환자의 치료적 결정에 있어서 항공기가 단거리 또는 장거리 비행인지, 환자 발생 시점이 출발한지 30분 뒤, 중간지점 또는 도착 30분전인지 등 단순 환자상태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환경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가 변할 경우 기내 의료진은 환자의 변화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갱신하게 되고, 이는 시계열로 표시된다. 이 정보들은 기록되어 추후에 병원 진료 및 비행기 탑승 시 환자의 안전을 위해 재열람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은 항공기내 응급 환자 발생 시, 환자의 신원 확인 후 기존 입력된 의학정보와 현재의 생체정보, 실시간 증상을 토대로 환자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의료진이 환자에 최적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비의료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환자 상태를 파악하여 이로 인해 과도한 인력 및 불필요한 자원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회항과 관련한 의학적 근거의 기반이 될 수 있고, 응급환자 구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본 발명)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110: 사전정보 입력부 120: 신원 확인부
130: 의료기록 확인부 140: 현재정보 입력부
150: 종합 판단부

Claims (14)

  1. 항공기에 탑승 전 탑승자 자신의 신원정보, 의학정보 및 탑승 항공기 정보를 입력 받는 사전정보 입력부;
    기내에서 응급 환자 발생 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응급 환자인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는 신원 확인부;
    상기 신원 확인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의료기록을 확인하는 의료기록 확인부;
    상기 의료기록 확인 후,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는 현재정보 입력부; 및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신원정보 및 의학정보와, 상기 신원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신원 정보와, 상기 의료기록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의료기록과, 상기 현재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활력 징후 및 현재 증상을 토대로 응급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주는 종합 판단부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는 이메일, 메신저, 항공사 웹페이지, 항공권 대행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는 승객 본인의 신원 및 의학정보 입력 양식이나 승객 문진표를 통해 정보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 확인부가 응급 환자 발생 시 응급 환자인 승객의 신원을 확인함에 있어서, 좌석 및 탑승권 정보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안면 인식으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홍채, 지문을 포함한 생체 정보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정보 입력부가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음에 있어서, 상기 활력 징후는 의식 상태, 혈압, 맥박, 호흡상태, 체온, 통증강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정보 입력부가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음에 있어서,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 증상은 대분류로서 호흡기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두통/신경계, 외상 및 교통사고, 근골격계, 피부, 여성생식계, 남성생식계, 비뇨기계로 분류하여 해당 부위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 판단부가 응급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줌에 있어서, 응급 환자에 대한 최종적인 상태 정보 및 추정 질환을 생성하고, 이를 근거로 기내에서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응급처치 방법이 함께 안내되며, 상기 최종적인 상태 정보 및 추정 질환에 대한 정보는 다수의 객실 승무원 및 기내 의료진과 공유 가능하고 통신이 가능할 경우 지상의 의료진과도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8. a) 사전정보 입력부가 항공기에 탑승 전 탑승자 자신의 신원정보, 의학정보 및 탑승 항공기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b) 기내에서 응급 환자 발생 시, 신원 확인부가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응급 환자인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신원 확인 후, 의료기록 확인부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의료기록을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의료기록 확인 후, 현재정보 입력부가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vital sign) 및 현재 증상을 입력 받는 단계; 및
    e) 종합 판단부가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신원정보 및 의학정보와, 상기 신원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신원 정보와, 상기 의료기록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의료기록과, 상기 현재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활력 징후 및 현재 증상을 토대로 응급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는 이메일, 메신저, 항공사 웹페이지, 항공권 대행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사전정보 입력부는 승객 본인의 신원 및 의학정보 입력 양식이나 승객 문진표를 통해 정보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신원 확인부가 응급 환자 발생 시 응급 환자인 승객의 신원을 확인함에 있어서, 좌석 및 탑승권 정보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안면 인식으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홍채, 지문을 포함한 생체 정보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의 활력 징후는 의식 상태, 혈압, 맥박, 호흡상태, 체온, 통증강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응급 환자의 현재 증상은 대분류로서 호흡기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두통/신경계, 외상 및 교통사고, 근골격계, 피부, 여성생식계, 남성생식계, 비뇨기계로 분류하여 해당 부위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종합 판단부가 응급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줌에 있어서, 응급 환자에 대한 최종적인 상태 정보 및 추정 질환을 생성하고, 이를 근거로 기내에서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응급처치 방법이 함께 안내되며, 상기 최종적인 상태 정보 및 추정 질환에 대한 정보는 다수의 객실 승무원 및 기내 의료진과 공유 가능하고 통신이 가능할 경우 지상의 의료진과도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방법.
KR1020220112178A 2021-09-07 2022-09-05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6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846 2021-09-07
KR20210118846 2021-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988A true KR20230036988A (ko) 2023-03-15

Family

ID=8564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178A KR20230036988A (ko) 2021-09-07 2022-09-05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98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024A (ko) 2015-11-05 2017-05-15 박찬희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01967A (ko) 2017-03-06 2018-09-14 최인석 항공기 승객 응급조치 시스템
KR20180123955A (ko) 2017-05-10 2018-11-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024A (ko) 2015-11-05 2017-05-15 박찬희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01967A (ko) 2017-03-06 2018-09-14 최인석 항공기 승객 응급조치 시스템
KR20180123955A (ko) 2017-05-10 2018-11-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ños et al. Virtual reality treatment of flying phobia
US20140156257A1 (en) Translation Station
Bor et al. Aviation mental health: Psychological implications for air transportation
Bor Psychological factors in airline passenger and crew behaviour: a clinical overview
Sculli et al. Soaring to success: taking crew resource management from the cockpit to the nursing unit
Walder et al. Psychological intervention in civilian flying phobia: Evaluation and a three-year follow-up
Laukkala et al. Pilo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fatal aviation accidents
Wong Doctor in the sky: medico-legal issues during in-flight emergencies
Rodenberg Medical emergencies aboard commercial aircraft
KR20230036988A (ko)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
Soubrier Self-crash murder–suicide: Psychological autopsy essay and questions about the Germanwings crash.
Browning Keep Your Hands Off My Nuts-Airlines, Peanut Allergies, and the Law
Sipos The liability of the air carrier for damages and the state of health of the air passenger•: Accidents and Diseases (COVID-19)
MoghimiEsfandabadi et al. Significance of Aviation Safety, Its Evaluation, and Ways to Strengthen Security
Wiederhold et al. Fear of flying (aviophobia): efficacy and methodological lessons learned from outcome trials
US20050240423A1 (en) Preparing for and handling of in-flight medical emergencies
Daniell Does it matter how much can be put into words?: Complexities of speech and the place of other forms of communication in therapeutic work with refugees
Evans et al. High reliability versus high autonomy: Dryden, Murphy and Patient Safety
Abeyratne et al. The Internet of Everything
Ravich International Aviation Law and Pandemic
Small et al. 7 Fear of Flying
LECTURE IP: 5.10. 31.210 On: Fri, 14 Jul 2023 08: 26: 52 Copyright: Aerospace Medical Association Delivered by Ingenta
WO2023238369A1 (ja) 旅行支援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Santos et al. Earn Your Wings Program: Description and efficacy of an intensive fear of flying treatment program.
Ngugi Lessons learned from an in-flight medical ev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