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024A -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024A
KR20170053024A KR1020150155270A KR20150155270A KR20170053024A KR 20170053024 A KR20170053024 A KR 20170053024A KR 1020150155270 A KR1020150155270 A KR 1020150155270A KR 20150155270 A KR20150155270 A KR 20150155270A KR 20170053024 A KR20170053024 A KR 20170053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wearab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wearer
rad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8624B1 (ko
Inventor
박찬희
Original Assignee
박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희 filed Critical 박찬희
Priority to KR1020150155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6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심/뇌혈관계 질환을 겪는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응급처치를 실시하는 데까지의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여 교통정체나 먼 이동거리 등으로 인해 구조대의 응급처치가 지연되는 문제를 보상함으로써 심정지 등에 의한 돌연사에 대한 사망률을 최소화시키는데 있다.
일례로,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착용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착용자의 건강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건강이상 판단 시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착용형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착용형 단말기; 및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미리 탑재된 응급처치기기를 해당 위치로 이송하는 무인항공기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일정반경 이내에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무인항공기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를 각각 전송하는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RESPONDING OF EMERGENCY PATI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심장협회(AHA)와 미국뇌졸중 협회(ASA)에서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심질환으로 인한 사망건수가 연간 1천만건 이상으로 전세계 사망원인 1위로 보고 되었다. 또한, 190개 이상의 국가로부터 편찬된 건강데이터가 포함된 상기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와 같은 추세로 2030년까지 심장사망건수가 약 2억3천만 건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건강데이터 역시, 상기 보고서에 포함되어 있으며 현재 대한민국 성인 3대 사망원인 중 하나가 심/뇌혈관관계 질환으로 통계청 조사결과, 연간 3만명 이상이 심/뇌혈관계 질환으로 인해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뇌혈 질환에 의한 사망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은 연간 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이에 따라 심정지 돌연사에 대한 국민적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현대 의학수준이 높아지면서 심장질환, 심뇌혈관질환 등의 치료는 해당 환자의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언제 어디서 갑작스럽게 심정지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현대 의학수준과는 무관하게 사망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심장정지가 오는 응급상황이 발생되어 사망자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정부에서는 응급환자 대응 방안으로서 심폐소생술(CPR)과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심장질환 등은 심장이 정지됨에 따라 체내의 혈액순환이 멈추게 되어 약 3 내지 4분 이내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뇌와 주요기관에 상당한 손상을 입히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다.
그러나, 현재 응급의료 서비스의 통계조사에 따르면, 심정지 응급환자가 발생되면, 그 신고시점에서부터 응급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하기까지 평균 1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응급구조가 이루어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응급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하더라도 심정지 환자를 정상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85449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간의 협조에 의한 응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0856호 '착용자의 위치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는 건강관제시스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1309호 '위급상황 알림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심/뇌혈관계 질환을 겪는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응급처치를 실시하는 데까지의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여 교통정체나 먼 이동거리 등으로 인해 구조대의 응급처치가 지연되는 문제를 보상함으로써 심정지 등에 의한 돌연사에 대한 사망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은,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착용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착용자의 건강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건강이상 판단 시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착용형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착용형 단말기; 및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미리 탑재된 응급처치기기를 해당 위치로 이송하는 무인항공기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일정반경 이내에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무인항공기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를 각각 전송한다.
또한, 상기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착용자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생체신호 감지부; 상기 생체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착용자의 건강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건강이상 판단부; GPS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무인항공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각각 전송하기 위한 응급상황 알림부; 및 상기 건강이상 판단부의 건강이상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램프가 구비된 상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급상황 알림부는, 응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일정반경 이내에 있는 응급구조가 가능한 의료기관의 관리서버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형 단말기는 제1 반경과 제2 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반경은,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범위이고, 상기 제2 반경은,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인항공기와 상기 의료기관의 관리서버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이상 판단부는 상기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심박 정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급처치기기는 자동제세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대응 방법은, 착용형 단말기를 통해 착용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착용자의 건강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건강이상 판단 단계; 상기 착용자의 건강이상 판단 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착용형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응급상황 알림 단계; 및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미리 준비된 응급처치기기를 해당 위치로 이송하는 응급처치기기 이송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상황 알림 단계에서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일정반경 이내에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무인항공기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이상 판단 단계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자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신호 감지 단계; 및 상기 착용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건강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생체신호 이상 유무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급상황 알림 단계에서는, GPS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무인항공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급상황 알림 단계에서는, 응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일정반경 이내에 있는 의료기관의 관리서버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형 단말기를 통해 제1 반경과 제2 반경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반경은,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범위이고, 상기 제2 반경은,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인항공기와 상기 의료기관의 관리서버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이상 유무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심박 정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심/뇌혈관계 질환을 겪는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응급처치를 실시하는 데까지의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여 교통정체나 먼 이동거리 등으로 인해 구조대의 응급처치가 지연되는 문제를 보상함으로써 심정지 등에 의한 돌연사에 대한 사망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단말기와 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된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를 나타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기기의 일례로 자동제세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대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과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단말기(110)와 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0a)에 전송된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31)를 나타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기기(121)의 일례로 자동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100)은 착용형 단말기(110)와 무인항공기(120)를 포함한다.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는, 시계(스마트 워치)나 팔찌 등 신체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는, 착용자(10)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착용자(10)의 건강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건강이상이 있는 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의 위치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일정반경(R1, R2) 이내에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30)이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20a, 20b)와 상기 무인항공기(120)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31)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는 생체신호 감지부(111), 건강이상 판단부(112), 응급상황 알림부(113) 및 상태 표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111)는 착용자(10)로부터 맥박,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생체신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111)는 추출된 생체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생체 데이터는 착용자(10)의 건강관리 및 사망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111)는 생체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생체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신호 증폭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건강이상 판단부(112)는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111)를 통해 추출된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맥박, 체온 등과 관련된 착용자(10)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강이상 판단부(112)는, 맥박과 혈압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한 결과, 착용자(10)의 심박이 정지했거나, 혈압이 과다하게 상승한 상황과 같이 착용자(10)의 건강이상 유무를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 알림부(113)는, 상기 건강이상 판단부(112)로부터 착용자(10)에 대한 건강이상 신호를 받을 경우 일정반경 이내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20a, 20b)와 무인항공기(120)로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정보와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31)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응급상황 알림부(113)는 일정반경 이내에 있는 의료기관의 관리서버(40)로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정보와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31)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은 응급구조가 가능한 119 구조대가 대기되어 있는 시설 기관을 의미한다.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상기 응급상황 알림부(113)의 정보요청 시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의 위치정보를 바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에는 GPS를 이용하여 착용자(1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 파악부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 알림부(113)는, 상기 건강이상 판단부(112)로부터 착용자(10)의 건강이상 신호를 받을 경우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정보와 함께 긴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무인항공기(120), 이동통신단말기(20a, 20b)와 의료기관의 관리서버(4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31)가 수신된 이동통신단말기(20a, 20b)와 상기 무인항공기(120)에는, 응급상황 알림 서비스를 받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일정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도록 설정할 경우, 다량의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해야 하므로 통신 상의 과부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을 설치한 이동통신단말기(20a, 20b)에 한해서 해당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제1 반경(R1) 이내에 제1 내지 제3 이동통신단말기(20a, 20b, 20c)가 위치해 있고, 이 중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이 제1 및 제2 이동통신단말기(20a, 20b)에만 설치되어 있으며, 제3 이동통신단말기(20c)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는 상황이라고 가정하면, 응급상황 발생 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동통신단말기(20a, 20b)에만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이동통신단말기(20c)에는 전송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반경(R1)은,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가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임의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상기 착용자(10)를 관리하는 해당 의료기관이나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에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제4 이동통신단말기(20d)의 경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이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제1 반경(R1) 이내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가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제5 이동통신단말기(20e)의 경우 상기 제1 반경(R1) 이내에 위치하지도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이 설치되어 있지도 않으므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가 전송되지 않는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을 통해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20a)에 수신된 메시지에는 긴급상황과 응급처치기기의 도착시간에 대하여 간단한 설명하는 내용과 응급환자 즉 착용자(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인터넷 지도 서비스와 연동하여 지도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메시지에는 응급상황이 발생된 날짜와 시간, 메시지 수신자와 착용자(10)(응급환자)와의 거리정보, 맥박과 체온 등의 생체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 알림부(1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제2 반경(R2) 이내에 위치한 상기 무인항공기(120)와 의료기관의 관리서버(40)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반경(R2)은,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가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무인항공기(120)와 의료기관의 관리서버(40)로 전송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상기 착용자(10)를 관리하는 해당 의료기관이나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에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경(R2)에 대한 수치적 범위는 특별히 정해져 있는 아니나, 상기 제1 반경(R1)보다 넓게 설정되는 것이 적절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반경(R1)은 이동통신단말기(20a, 20b)의 소지자가 약 1~2분 이내에 착용자(10)의 위치로 도착 가능한 거리(예를 들어 약 50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반경(R2)은 상기 무인항공기(120)가 약 1~2분 이내에 착용자(10)의 위치로 비행하여 도착 가능한 거리(예를 들어 3~4k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에 대한 제2 반경(R2)의 경우 상기 무인항공기(120)에 대하여 설정된 제2 반경(R2)보다 더 넓게 설정될 수 있다.
해당 의료기관의 의료 전문가가 상기 무인항공기(120)보다 응급상황 발생 지점에 더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는 큰 문제가 없으나, 해당 의료기관의 의료 전문가가 상기 무인항공기(120)보다 늦게 도착할 수 밖에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무인항공기(120)가 의료 전문가보다 해당 지점에 먼저 도착하여 이송된 응급처치기기(121)를 이용한 응급처치를 신속히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응급상황 발생지점에 의료 전문가가 도착하기 전에 상기 무인항공기(120)가 먼저 도착하여 상기 응급처치기기(121)를 이용한 보다 신속히 응급처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긴급상황 메시지와 위치정보를 수신한 의료기관은 수신된 정보에 따라 의료 전문가와 함께 의료장비들을 해당 지점으로 신속히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태 표시부(114)는 상기 건강이상 판단부(112)의 건강이상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 표시부(114)는 상기 건강이상 판단부(112)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착용자(10)의 심정지 시 상기 램프에 빨간 불이 깜빡이도록 점등되어 주변 사람들이나 응급구조대원이 상기 착용자(10)를 보다 신속히 발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착용자(10)의 맥박이나 체온 등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상기 램프에 초록색 등이 점등되거나 상기 램프가 꺼지도록 하여 상기 착용자(10)의 건강상태를 직관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인항공기(120)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미리 준비된 응급처치기기(121)를 해당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무인항공기(120)는 드론(drone)의 비행, 위치추적, 무선 통신 등의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무인항공기(120)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지점으로 미리 탑재되어 있는 상기 응급처치기기(121)를 신속히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응급처치기기(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세제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제세동기(121)는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으로 심정지가 되어 있는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의 정상 리듬을 가져오게 해주는 의료장비로, 의학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자동제세동기(121)는 우선 전원을 켜고, 각 패드(121a, 121b)를 흉부에 부착한 후, 환자의 심박 상태를 확인해가면서 전기 충격을 가하는 순서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응급처치기기(121)를 자동세제동기로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심폐소생술과 같은 응급처치가 가능한 모든 휴대 의료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인항공기(120)를 통해 상기 응급처치기기(121)가 해당 위치로 이송되면, 현장에 도착한 자 즉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를 받은 사람들이 상기 응급처치기기(121)를 이용하여 착용자(10)에 대한 심폐소생술을 신속히 시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대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와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대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대응 방법(S500)은, 건강이상 판단 단계(S510), 응급상황 알림 단계(S520) 및 응급처치기기 이송 단계(S530)를 포함한다.
상기 건강이상 판단 단계(S510)에서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를 통해 착용자(10)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착용자(10)의 건강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이상 판단 단계(S510)는 생체신호 감지 단계(S511)와 생체신호 이상 유무 판단 단계(S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감지 단계(S511)에서는, 착용자(10)로부터 맥박,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생체신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감지 단계(S511)에서는 추출된 생체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생체 데이터는 착용자(10)의 건강관리 및 사망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체신호 감지 단계(S511)에서는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로부터 생체 신호를 추출하여 더욱 용이한 생체 데이터의 검출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생체신호 이상 유무 판단 단계(S512)에서는, 상기 생체신호 감지 단계(S511)를 통해 추출된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맥박, 체온 등과 관련된 착용자(10)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맥박과 혈압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한 결과, 착용자(10)의 심박이 정지했거나, 혈압이 과다하게 상승한 상황과 같이 착용자(10)의 건강이상 유무를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 알림 단계(S520)에서는, 상기 건강이상 판단 단계(S510)를 통해 착용자(10)에 대한 건강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일정반경 이내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20a, 20b)와 무인항공기(120)로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정보와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31)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응급상황 알림 단계(S520)에서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일정반경 이내에 있는 의료기관의 관리서버(40)로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정보와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31)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상기 응급상황 알림부(113)의 정보요청 시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의 위치정보를 바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에는 GPS를 이용하여 착용자(1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 파악부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31)가 수신된 이동통신단말기(20a, 20b)와 상기 무인항공기(120)에는, 응급상황 알림 서비스를 받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일정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도록 설정할 경우, 다량의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해야 하므로 통신 상의 과부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을 설치한 이동통신단말기(20a, 20b)에 한해서 해당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제1 반경(R1) 이내에 제1 내지 제3 이동통신단말기(20a, 20b, 20c)가 위치해 있고, 이 중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이 제1 및 제2 이동통신단말기(20a, 20b)에만 설치되어 있으며, 제3 이동통신단말기(20c)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는 상황이라고 가정하면, 응급상황 발생 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동통신단말기(20a, 20b)에만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이동통신단말기(20c)에는 전송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반경(R1)은,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가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임의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상기 착용자(10)를 관리하는 해당 의료기관이나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에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제4 이동통신단말기(20d)의 경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이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제1 반경(R1) 이내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가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제5 이동통신단말기(20e)의 경우 상기 제1 반경(R1) 이내에 위치하지도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이 설치되어 있지도 않으므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가 전송되지 않는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을 통해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20a)에 수신된 메시지에는 긴급상황과 응급처치기기의 도착시간에 대하여 간단한 설명하는 내용과 응급환자 즉 착용자(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인터넷 지도 서비스와 연동하여 지도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 알림 단계(S520)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제2 반경(R2) 이내에 위치한 상기 무인항공기(120)와 의료기관의 관리서버(40)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반경(R2)은,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가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무인항공기(120)와 의료기관의 관리서버(40)로 전송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상기 착용자(10)를 관리하는 해당 의료기관이나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에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경(R2)에 대한 수치적 범위는 특별히 정해져 있는 아니나, 상기 제1 반경(R1)보다 넓게 설정되는 것이 적절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반경(R1)은 이동통신단말기(20a, 20b)의 소지자가 약 1~2분 이내에 착용자(10)의 위치로 도착 가능한 거리(예를 들어 약 50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반경(R2)은 상기 무인항공기(120)가 약 1~2분 이내에 착용자(10)의 위치로 비행하여 도착 가능한 거리(예를 들어 3~4k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에 대한 제2 반경(R2)의 경우 상기 무인항공기(120)에 대하여 설정된 제2 반경(R2)보다 더 넓게 설정될 수 있다.
해당 의료기관의 의료 전문가가 상기 무인항공기(120)보다 응급상황 발생 지점에 더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는 큰 문제가 없으나, 해당 의료기관의 의료 전문가가 상기 무인항공기(120)보다 늦게 도착할 수 밖에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무인항공기(120)가 의료 전문가보다 해당 지점에 먼저 도착하여 이송된 응급처치기기(121)를 이용한 응급처치를 신속히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응급상황 발생지점에 의료 전문가가 도착하기 전에 상기 무인항공기(120)가 먼저 도착하여 상기 응급처치기기(121)를 이용한 보다 신속히 응급처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긴급상황 메시지와 위치정보를 수신한 의료기관은 수신된 정보에 따라 의료 전문가와 함께 의료장비들을 해당 지점으로 신속히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급처치기기 이송 단계(S530)에서는, 상기 무인항공기(120)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31)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미리 준비된 응급처치기기(121)를 해당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무인항공기(120)는 드론(drone)의 비행, 위치추적, 무선 통신 등의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무인항공기(120)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지점으로 미리 탑재되어 있는 상기 응급처치기기(121)를 신속히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응급처치기기(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세제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제세동기(121)는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으로 심정지가 되어 있는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의 정상 리듬을 가져오게 해주는 의료장비로, 의학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자동제세동기(121)는 우선 전원을 켜고, 각 패드(121a, 121b)를 흉부에 부착한 후, 환자의 심박 상태를 확인해가면서 전기 충격을 가하는 순서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응급처치기기(121)를 자동세제동기로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심폐소생술과 같은 응급처치가 가능한 모든 휴대 의료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인항공기(120)를 통해 상기 응급처치기기(121)가 해당 위치로 이송되면, 현장에 도착한 자 즉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를 받은 사람들이 상기 응급처치기기(121)를 이용하여 착용자(10)에 대한 심폐소생술을 신속히 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의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구조대의 응급처치가 지연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인항공기와 자동신고시스템을 통해 신속한 신고조치가 이루어지게 하고, 응급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그 주변의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즉각적인 응급요청을 받고 신속한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심정지와 같은 응급환자에 대한 사망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심/뇌혈관계 질환을 겪는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심박 정지 등과 같은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응급상황 발생지점으로부터 일정반경 이내에 있는 응급처치인력을 빠르게 소집하고, 무인항공기의 기동성을 이용하여 응급처치기기를 신속히 현장에 투입시킴으로써 심폐소생술과 같은 응급처치가 보다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급처치를 실시하는 데까지의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여 교통정체나 먼 이동거리 등으로 인해 구조대의 응급처치가 지연되는 문제를 보상함으로써 심정지 등에 의한 돌연사에 대한 사망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110: 착용형 단말기
111: 생체신호 감지부
112: 건강이상 판단부
113: 응급상황 알림부
114: 상태 표시부
120: 무인 항공기
121: 응급처치기기
121a, 121b: 패드
20a, 20b, 20c, 20d, 20e: 이동통신단말기
30: 전용 어플리케이션
31: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 및 위치정보
40: 의료기관의 관리서버
R1: 제1 반경
R2: 제2 반경

Claims (12)

  1.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착용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착용자의 건강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건강이상 판단 시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착용형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착용형 단말기; 및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미리 탑재된 응급처치기기를 해당 위치로 이송하는 무인항공기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일정반경 이내에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무인항공기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를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착용자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생체신호 감지부;
    상기 생체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착용자의 건강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건강이상 판단부;
    GPS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무인항공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각각 전송하기 위한 응급상황 알림부; 및
    상기 건강이상 판단부의 건강이상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램프가 구비된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알림부는, 응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일정반경 이내에 있는 응급구조가 가능한 의료기관의 관리서버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를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단말기는 제1 반경과 제2 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반경은,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범위이고,
    상기 제2 반경은,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인항공기와 상기 의료기관의 관리서버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이상 판단부는 상기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심박 정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처치기기는 자동제세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7. 착용형 단말기를 통해 착용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착용자의 건강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건강이상 판단 단계;
    상기 착용자의 건강이상 판단 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착용형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응급상황 알림 단계; 및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미리 준비된 응급처치기기를 해당 위치로 이송하는 응급처치기기 이송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상황 알림 단계에서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일정반경 이내에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무인항공기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를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대응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이상 판단 단계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자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신호 감지 단계; 및
    상기 착용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건강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생체신호 이상 유무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대응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알림 단계에서는, GPS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무인항공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대응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알림 단계에서는, 응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일정반경 이내에 있는 의료기관의 관리서버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를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대응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단말기를 통해 제1 반경과 제2 반경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반경은,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범위이고,
    상기 제2 반경은,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인항공기와 상기 의료기관의 관리서버로 상기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와 상기 위치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대응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이상 유무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심박 정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대응 방법.
KR1020150155270A 2015-11-05 2015-11-05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8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270A KR101768624B1 (ko) 2015-11-05 2015-11-05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270A KR101768624B1 (ko) 2015-11-05 2015-11-05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024A true KR20170053024A (ko) 2017-05-15
KR101768624B1 KR101768624B1 (ko) 2017-08-30

Family

ID=58739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270A KR101768624B1 (ko) 2015-11-05 2015-11-05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6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6013A (zh) * 2017-05-27 2017-07-28 徐秀娥 一种家用老年人看护无人机
CN107341526A (zh) * 2017-06-16 2017-11-10 广东卓越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定向越野户外活动路线设计与遇险求救的方法及系统
KR20190006132A (ko) * 2017-07-07 2019-01-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50674B1 (ko) * 2018-08-24 2019-12-02 주식회사 숨비 구조 골든타임 최단화를 위한 3s 플랫폼 시스템
CN115331389A (zh) * 2022-07-20 2022-11-11 浙江鹿枫户外用品有限公司 用于处理突发状况的户外救助装置
KR20230036988A (ko) 2021-09-07 2023-03-15 주식회사 코스모스메딕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9074B2 (en) 2019-12-13 2023-09-05 Sony Group Corporation Rescue support in large-scale emergency situations
RU205364U1 (ru) * 2021-03-02 2021-07-12 Станислав Владимирович Абрамовский Мобильный термо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биологиче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6013A (zh) * 2017-05-27 2017-07-28 徐秀娥 一种家用老年人看护无人机
CN107341526A (zh) * 2017-06-16 2017-11-10 广东卓越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定向越野户外活动路线设计与遇险求救的方法及系统
KR20190006132A (ko) * 2017-07-07 2019-01-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50674B1 (ko) * 2018-08-24 2019-12-02 주식회사 숨비 구조 골든타임 최단화를 위한 3s 플랫폼 시스템
KR20230036988A (ko) 2021-09-07 2023-03-15 주식회사 코스모스메딕 생체정보 및 의학정보를 이용한 항공기 내에서의 응급 환자 상태 파악 시스템 및 방법
CN115331389A (zh) * 2022-07-20 2022-11-11 浙江鹿枫户外用品有限公司 用于处理突发状况的户外救助装置
CN115331389B (zh) * 2022-07-20 2023-08-11 浙江鹿枫户外用品有限公司 用于处理突发状况的户外救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624B1 (ko)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624B1 (ko)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174857A1 (en) Wearabl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Cardiac Arrest and Alerting Emergency Response
US118941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inventory management and tracking
US9715806B2 (en) Monitoring of fall protection harness using a body area network
CN106372447B (zh) 一种智能医疗病床管理系统的工作方法
WO2015133672A1 (ko)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데이터 모니터링/응급 상황 감지 방법
CN102525434A (zh) 一种远程电子监护装置
EP2797828A1 (en) Emergency operation of elevators
US20160005293A1 (en)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system and personal identification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same
WO2018069383A1 (en) Emergency responder routing system for cardiac emergencies
US20160051153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enabled wireless heart rate monitoring system
EP3079088A1 (en) User behavior safety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KR20160012239A (ko) 응급상황시 전문의료인과 자동연결되는 자동제세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23955A (ko)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180010573A (ko) 스마트 구급차
KR101594750B1 (ko) 응급상황시 전문의료인과 자동연결되는 자동제세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8674B1 (ko)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서버
KR101593906B1 (ko) 전자 트리아지를 이용한 재해 관리 시스템
US20180310847A1 (en) Wearable monitoring device
KR101017379B1 (ko) 원격 관리형 제세동기와 연계된 응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090092445A (ko) 원격 관리형 제세동기와 연계된 응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위한 장치 및 방법
JP2022502764A (ja) 医療的緊急状態にある患者の個々に合わせた早急な処置のためのシステム
JP2018130358A (ja) センサ装置及び見守り装置
CN203914889U (zh) 放射治疗监护系统
RU2673108C1 (ru) Территориальная система экстренной кардиологической помощ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