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132A -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132A
KR20190006132A KR1020170086331A KR20170086331A KR20190006132A KR 20190006132 A KR20190006132 A KR 20190006132A KR 1020170086331 A KR1020170086331 A KR 1020170086331A KR 20170086331 A KR20170086331 A KR 20170086331A KR 20190006132 A KR20190006132 A KR 20190006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llection
blood
information
health car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613B1 (ko
Inventor
이유경
신희봉
이용화
전병열
장미애
권경옥
서미연
박홍남
정우준
이한기
강영미
이재란
지균숙
김기춘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613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9/00006
    • G06K9/00221
    • G06K9/00597
    • G06K9/0088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xi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hys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혈용 의자는 의자에 착석하는 채혈 대상자를 식별하여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채혈대기를 접수하고, 상기 채혈대기 중인 의자에 접근한 보건 의료인의 인증이 확인되면 채혈 대상자 일치확인화면을 제공하며,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채혈경과 입력화면을 제공하는 브릿지 장치 및 브릿지 장치에 입력된 채혈경과정보에 따라 채혈경과를 표시하여 원거리에서도 인식 가능한 채혈경과 표시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CHAIR FOR DRAWING BLOOD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DRAWING BLO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가 다수의 채혈용 의자마다 구비된 표시등을 통해 공석을 인지하고 채혈용 의자에 착석하면 브릿지 장치가 환자 식별을 실행하고 보건 의료인이 채혈용 의자를 방문하며 채혈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채혈 접수 후 채혈을 위한 대기와 같은 중복대기를 줄일 수 있으며, 브릿지 장치가 채혈 후 부작용 검사결과에 따라 벨트 해제 여부를 결정하고, 표시등을 통해 채혈 대상자의 위험상태를 알림으로써, 환자에게 보다 안전한 채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병원업무는 통합관리시스템이 구축되어 접수, 수납, 진료 등의 업무가 일괄 처리되고 있다. 또한,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응급 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인터넷을 통한 예약을 수행하여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병원 내부에서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기환자에 대한 안내를 수행함으로써, 환자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키고 있다.
이외에도 통신기술, 데이터 전송기술, 영상의료기술, 디스플레이 장치 기술 등의 급속한 발달에 의해 원격진료, 원격건강검진, 의료기관 업무통합 등이 이루어져, 의료서비스의 질이 현저히 향상되었다.
그러나 의료서비스에 대한 통합관리시스템이 구축된 상황에서도, 채혈관련 의료서비스의 경우에는 환자의 불편함이 크게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3차 진료를 수행하는 종합병원 등의 대형병원의 경우, 외래 채혈실에 오는 환자들이 채혈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채혈실로 들어와서 번호대기표를 뽑고 대기한다. 이후 번호대기표의 순번이 도래하면, 병원직원이 병원 운영프로그램에 환자 인적사항(병원 등록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을 입력한 뒤에 채혈 번호표를 발급한다. 이 경우, 채혈 환자가 많은 경우에는 채혈 번호표를 발급 받은 후에도 장시간을 대기하여야 채혈을 할 수 있었다.
즉, 종래에는 대형 병원에서 채혈 검사를 받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가 대기표와 채혈 번호표를 두 장 받아 채혈을 진행하게 되므로, 두 번을 대기해야하는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오전 시간(09:00~12:00)에는 채혈환자가 많아 환자로부터 강한 불만 사항이 접수되는 일이 빈번하였다. 따라서 채혈실 내부 임상 병리사들과 환자들 모두 심한 스트레스 속에서 채혈을 진행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특히, 상황판단이 어려운 노인들에게는 병원의 예약, 접수 대기 절차를 따르는 일이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사회가 초고령화 사회로 변함에 따라 노인들이 충분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환자 중심의 채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채혈 부작용 가운데 어지럼증이나 현기증이 발생하는 혈관미주신경반응이 83%를 차지하고 있는데, 실제로 2011년 6월 충북혈액원에서 헌혈 후 10분간 휴식을 취해야하는 기본 매뉴얼을 지키지 않고 쓰러지면서 바닥에 머리를 부딪쳐 뇌졸중으로 사망하는 사건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채혈 후의 사후 평가 및 채혈 현장의 안전시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대응 매뉴얼 구비를 통해 채혈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7411호(2014년 11월 20일, “병원의 의료 서비스 제공방법”)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환자가 다수의 채혈용 의자마다 구비된 표시등을 보고 빈 채혈용 의자에 착석하면 브릿지 장치가 환자 식별을 실행하고 보건 의료인이 채혈용 의자를 방문하며 채혈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채혈 접수 후 채혈을 위한 대기와 같은 중복대기를 줄일 수 있는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채혈용 의자에서 채혈 후 착석한 상태에서 혈압, 체온 측정 및 문진을 통해 채혈 후 부작용을 검사하고, 검사결과에 따라 채혈용 의자에 메인 벨트 해제 여부를 결정하며, 표시등을 통해 채혈 대상자의 위험상태를 알림으로써, 환자에게 보다 안전한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혈용 의자는 의자에 착석하는 채혈 대상자를 식별하여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채혈대기를 접수하고, 상기 채혈대기 중인 의자에 접근한 보건 의료인의 인증이 확인되면 채혈 대상자 일치확인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상기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채혈경과 입력화면을 제공하는 브릿지 장치 및 상기 브릿지 장치에 입력된 채혈경과정보에 따라 채혈경과를 표시하여 원거리에서도 인식 가능한 채혈경과 표시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은 의자에 구비된 브릿지 장치가 상기 의자에 착석한 채혈 대상자를 식별하여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채혈대기를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채혈대기 중인 의자에 접근한 보건 의료인을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보건 의료인 인증이 확인되면, 채혈 대상자 일치확인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상기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채혈경과 입력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채혈실에 구비된 채혈용 의자에 착석하면 환자정보를 식별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채혈 접수 대기를 실행할 수 있으며, 보건 의료인이 채혈용 의자를 방문하며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 채혈 접수 후 채혈을 위한 대기와 같은 중복대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혈용 의자에서 채혈 후 착석한 상태에서 혈압, 체온 측정 및 문진을 통해 채혈 후 부작용을 검사하고, 검사결과에 따라 채혈용 의자에 메인 벨트 해제 여부를 결정하며, 표시등을 통해 채혈 대상자의 위험상태를 알림으로써, 환자에게 보다 안전한 채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적용된 채혈실 현장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혈용 의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장치의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 출력화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건 의료인 단말의 실행화면 중 일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장치의 채혈경과 입력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적용된 채혈실 현장의 일예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이용되는 채혈용 의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채혈용 의자(100) 및 서버(200)가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어, 채혈용 의자(100)에 구비된 브릿지 장치(120)는 착석한 채혈 대상자에 대한 식별을 실행하면서, 식별된 채혈 대상자의 채혈 대기를 접수한다. 이에 의해 종래에서의 채혈 접수를 위한 대기 및 채혈 접수 후 채혈을 위한 대기와 같은 중복대기에 의한 채혈 대상자의 불편함을 최소로 한다.
채혈용 의자(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혈 대상자를 식별하기 위한 채혈 대상자 식별장치(1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채혈 대상자 식별장치(111)는 예로, 채혈 대상자의 지문, 홍채, 얼굴, 음성, 정맥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생체검출장치나,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RFID 태그에 포함된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수신하는 RFID 태그리더 및 채혈 대상자의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NFC 태그를 인식하고,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NFC 리더기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브릿지 장치(120)는 앞서 언급한 채혈 대상자 식별장치(111)로부터 수신된 채혈 대상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채혈 대상자 식별을 실행하거나, 브릿지 장치(120)의 디스플레이에 채혈 대상자 정보 입력화면을 제공하고, 채혈 대상자로부터 채혈 대상자 정보 입력화면에 입력된 채혈 대상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채혈 대상자 식별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채혈 대상자 식별장치(111)를 이용하지 않고도, 채혈 대상자 식별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단말을 브릿지 장치(120)와 연결시키는 것으로도 채혈 대상자 식별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브릿지 장치(120)가 환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채혈 대상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또는 환자 식별을 위해 병원에서 제공된 공용 전자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환자 단말을 단말 장착 포켓(114)에 장착시키면, 환자단말 장착에 연동하여 채혈용 의자(100)는 채혈 대상자가 의자에 착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채혈용 의자(100)에 대한 착석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채혈용 의자(100)에 환자의 착석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 환자의 착석에 의한 중량 변화를 검출하는 무게 검출 센서, 환자의 착석에 의한 명암 변화를 검출하는 명암 센서 및 인간의 존재를 검출하는 인간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채혈 대상자 인증 정보란, 채혈 대상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지, 전화번호, 채혈 대상자 ID, 채혈 대상자 등록번호, 진료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채혈 대상자를 특정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 중 하나일 수 있다.
브릿지 장치(120)는 이러한 방법으로 식별된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로서, 성명, 주민등록번호, 담당 병과, 채혈 부작용 이력정보 및 채혈 전 검사표 등을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채혈용 의자(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혈실과 같은 일정 장소에 다수 개 구비될 수 있고, 각 채혈용 의자(100)는 고유한 번호가 설정되어 있다. 채혈을 위해 채혈실에 방문한 환자들은 다수의 채혈용 의자(100)마다 연결된 채혈경과 표시등(140)을 보고 착석 가능한 채혈용 의자에 착석한다.
여기서, 채혈경과 표시등(140)은 브릿지 장치에 입력된 채혈경과정보에 따라 채혈경과를 표시하며 원거리에서도 인식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LED 전광판, LED 조명 등 채혈경과를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혈경과 표시등(140)은 초록색으로 점등되어 대기를 알리며, 착석 시작시간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고, 노랑색으로 점등되어 채혈 또는 휴식 중임을 알릴 수 있으며, 하얀색으로 점등되어 채혈 및 휴식이 완료되어 공석이고, 착석 가능한 상태임을 알릴 수 있으며, 빨간색으로 점등되어 채혈 후 채혈 대상자의 채혈 부작용 검사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여 위험한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채혈경과 표시등(140)이 빨간색으로 점등되어 위험을 알리는 신호와 함께 브릿지 장치(120)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채혈 대상자의 위험상태를 알리는 음성 또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여, 가까운 곳에 있는 보건 의료인이 채혈 대상자에 대해 신속히 응급처치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브릿지 장치(120)는 채혈 대상자 식별을 실행하고, 식별된 채혈 대상자를 서버(200)에서 채혈대기 접수시킨다. 브릿지 장치(120)는 보건 의료인이 방문하기를 대기하면서 채혈용 의자(100)에 구비된 혈압계 및 체온계를 통해 채혈 대상자가 혈압과 체온을 측정하도록 유도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한 간단한 문진에 대해 채혈 대상자가 답변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혈압계(112) 및 체온계(113)를 통해 측정된 혈압 및 체온 정보는 브릿지 장치(120)로 전달되어 채혈 전 상태정보로서 저장된다. 이를 위해 브릿지 장치(120)의 디스플레이는 채혈 대상자 식별에 따라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출력하던 화면을 일시적으로 문진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하고, 채혈 대상자의 문진표 작성이 종료되면 다시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으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보건 의료인이 채혈대기 상태 중인 채혈용 의자(100)에 접근하여 브릿지 장치(120)를 통해 보건 의료인 인증을 요청하면, 보건 의료인 인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보건 의료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건 의료인 단말(300)을 이용하는 경우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건 의료인 단말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로 나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건 의료인 단말을 제외하고, 채혈용 의자(100)와 서버(200)만으로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는 브릿지 장치(120)가 보건 의료인 인증을 실행하기 위해, 보건 의료인의 인증 실행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보건 의료인 인증화면을 제공하고, 보건 의료인 인증화면을 통해 보건 의료인으로부터 보건 의료인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서버(200)로 전송하면, 서버(200)가 보건 의료인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보건 의료인 인증을 실행하고, 보건 의료인 인증 실행 결과를 브릿지 장치(120)로 전송해줄 수 있다.
그 후에, 브릿지 장치(120)는 착석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의 기본정보와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 장치(120)에 탑재되어 있는 바코드 리더 기능(610)을 활성화시켜 보건 의료인이 소지한 검체 튜브에 부착하는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에 포함된 채혈 대상자 정보와 브릿지 장치(120)가 먼저 식별한 채혈 대상자의 기본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서버(200)가 미리 담당 병과 내 서버 또는 브릿지 장치(120)로부터 채혈접수통지를 수신한 경우, 환자의 채혈접수 정보를 출력하고, 해당 채혈을 위한 검체용기 정보를 출력하며, 검체 용기에 부착할 바코드와 같은 검체 용기 식별정보를 프린팅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건 의료인 단말(300)을 이용하여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는 브릿지 장치(120)가 보건 의료인 인증을 실행하기 위해, 의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보건 의료인 단말기(300)의 근접에 연동하여 보건 의료인 단말기(300)로부터 보건 의료인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보건 의료인 인증 실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보건 의료인 단말기(300)는 보건 의료인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에 서버(200)로부터 채혈용 의자에 착석한 대기 채혈 대상자들에 관한 정보를 받아 채혈 대기 접수 환자 리스트를 출력한다. 대기 접수 환자 리스트는 예를 들어, 채혈용 의자(100)에 착석하여 채혈 대상자가 인증된 순으로 정해진 순번, 환자 성명, 채혈용 의자의 고유번호 및 기타정보를 포함하여 나열된다. 상기 기타정보는 채혈 대상자의 채혈 부작용 이력 및 체질이나 지병에 연관된 채혈 쇼크 위험도와 같은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보건 의료인이 이를 참고하고, 위험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 후에, 브릿지 장치(120)는 상기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상기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브릿지 장치(12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서버(200)로부터 보건 의료인 단말기(300)로 접수된 채혈 대상자 접수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브릿지 장치(120)는 블루투스, NFC, Wi-Fi 등의 무선통신에 의해 보건 의료인 단말(300)의 근접을 검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건 의료인 단말(300)과 무선통신 연결될 수 있다. 보건 의료인 단말(3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디바이스/단말, 태블릿 PC 및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채혈 대상자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브릿지 장치(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채혈경과 입력화면을 제공한다. 이때, 채혈경과 입력화면을 제공하면서, 브릿지 장치(200)는 보건 의료인에게 채혈용 의자(100)에 구비된 벨트(160)를 채혈 대상자의 신체의 일부에 감기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160)는 채혈용 의자(100)에 착석한 채혈 대상자의 허리부분을 감도록 구비되고, 벨트(160)의 버클(162)은 브릿지 장치(200)로부터 벨트 해제 신호를 수신해야 결합이 해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물론, 버클(162)은 브릿지 장치(200)와 통신 연결되지 않은 상황이나 다양한 상황에서도 해제될 수 있도록 채혈실에 의해 관리되는 마스터키나, 비밀번호 등에 의해 해제되도록 설정될 수 있음에 한정하지 않는다.
브릿지 장치(200)는 채혈 대상자의 채혈 전후의 혈압, 체온 변화 및 문진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채혈 대상자의 채혈 부작용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벨트의 해체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채혈종료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안정화 시간 이후 해제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채혈 후 안정화 시간은 디폴트로 3분 이내로 설정되거나, 채혈경과 입력화면에서 보건 의료인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음에 한정하지 않는다.
만일, 채혈 대상자의 채혈 부작용 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브릿지 장치(200)는 벨트 해제 신호를 발송하지 않으며, 스피커와 채혈경과 알림등(140)을 통해 채혈 대상자의 위험상태를 알리도록 한다. 이는 특히, 채혈 부작용 유형 중 가장 많은 혈관 미주신경반응인(전체의 48.7% 정도) 어지럼증 증세로 채혈 대상자가 스스로 위험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고 쓰러지면서 부상 또는 심각하게는 사망에 이르는 등의 제 2의 위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장치의 채혈경과 입력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채혈경과 입력화면은 채혈 대상자의 기본적인 정보(810)와, 채혈경과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820), 보건 의료인이 묶음 채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선택 리스트(830), 보건 의료인이 검체 용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리스트(840), 혈압계(112) 및 체온계(113)를 통해 채혈 전후에 측정된 혈압 및 체온 정보를 수신하고, 브릿지 장치(120)를 통해 채혈 전후에 채혈 대상자에게 간략히 제공된 문진 결과를 종합하여 표로 나타낸 채혈 전후 변화표(850) 및 채혈 대상자의 혈압 및 체온의 변화 정도와 문진 결과를 기반으로 판단된 채혈 부작용 검사 결과와 함께 안정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벨트 해제 안내를 알리는 안내표시(8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내표시(860)는 디스플레이를 통한 문구 안내와 함께 스피커를 통한 음성으로도 출력되어, 채혈 대상자가 채혈 서비스가 모두 종료된 것을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미도시되어 있으나 채혈경과 입력화면은 별도의 선택버튼에 의해 채혈 대상자의 채혈경과정보를 서버(200)로 전송 등록하는 채혈경과 완료 등록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브릿지 장치(120)는 터치 디스플레이(501), 음성인식 기록모듈(505), 데이터 통신 모듈(504),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 리더기(503), 입출력 인터페이스(506) 및 제어부(507)를 포함하며 스피커, 카메라를 더 구비하는 전자장치일 수 있다. 브릿지 장치(120)는 설치된 채혈용 의자에 대한 정보, 고유 번호 및 실시간 시간 정보를 서버(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디폴트로 함께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브릿지 장치(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혈용 의자(100)의 등받이 상면 또는 배면에 구비되어, 보건 의료인이 채혈 대상자와 대면시 채혈용 의자(100)에 구비된 브릿지 장치(120)를 채혈 대상자 앞으로 당겨서 이용하거나 채혈용 의자 상위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채혈용 의자에 구비된 브릿지 장치가 착석한 채혈 대상자를 식별하여(S710)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S720).
여기서, 채혈용 의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혈 대상자를 식별하기 위한 채혈 대상자 식별장치(1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채혈 대상자 식별장치(111)는 예로, 채혈 대상자의 지문, 홍채, 얼굴, 음성, 정맥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생체검출장치나,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RFID 태그에 포함된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수신하는 RFID 태그리더 및 채혈 대상자의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NFC 태그를 인식하고,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NFC 리더기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브릿지 장치(120)는 앞서 언급한 채혈 대상자 식별장치(111)로부터 수신된 채혈 대상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채혈 대상자 식별을 실행하거나, 브릿지 장치(120)의 디스플레이에 채혈 대상자 정보 입력화면을 제공하고, 채혈 대상자로부터 채혈 대상자 정보 입력화면에 입력된 채혈 대상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채혈 대상자 식별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채혈 대상자 식별장치(111)를 이용하지 않고도, 채혈 대상자 식별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단말을 브릿지 장치(120)와 연결시키는 것으로도 채혈 대상자 식별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브릿지 장치(120)가 환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채혈 대상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또는 환자 식별을 위해 병원에서 제공된 공용 전자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환자 단말을 단말 장착 포켓(114)에 장착시키면, 환자단말 장착에 연동하여 채혈용 의자(100)는 채혈 대상자가 의자에 착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채혈용 의자(100)에 대한 착석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채혈용 의자(100)에 환자의 착석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 환자의 착석에 의한 중량 변화를 검출하는 무게 검출 센서, 환자의 착석에 의한 명암 변화를 검출하는 명암 센서 및 인간의 존재를 검출하는 인간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채혈 대상자 인증 정보란, 채혈 대상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지, 전화번호, 채혈 대상자 ID, 채혈 대상자 등록번호, 진료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채혈 대상자를 특정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 중 하나일 수 있다.
브릿지 장치(120)는 이러한 방법으로 식별된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로서, 성명, 주민등록번호, 담당 병과, 채혈 부작용 이력정보 및 채혈 전 검사표 등을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브릿지 장치는 채혈 대상자 식별을 실행하고, 보건 의료인이 방문하기를 대기하면서 채혈용 의자에 구비된 혈압계 및 체온계를 통해 채혈 대상자의 혈압과 체온을 측정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한 간단한 문진에 대해 채혈 대상자가 답변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혈압계 및 체온계를 통해 측정된 혈압 및 체온 정보는 브릿지 장치로 전달되어 채혈 전 상태정보로서 저장된다. 이를 위해 브릿지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채혈 대상자 식별에 따라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출력하던 화면을 일시적으로 문진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하고, 채혈 대상자의 문진표 작성이 종료되면 다시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으로 전환시킨다.
다음으로, 브릿지 장치는 채혈용 의자에 접근한 보건 의료인을 인증하고(S730), 보건 의료인 인증이 확인되면, 채혈 대상자 일치확인화면을 제공한다(S740). 즉, 보건 의료인이 채혈용 의자에 접근하여 브릿지 장치를 통해 보건 의료인 인증을 요청하면, 보건 의료인 인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보건 의료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건 의료인 단말(300)을 이용하는 경우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건 의료인 단말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로 나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건 의료인 단말을 제외하고, 채혈용 의자(100)와 서버(200)만으로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는 브릿지 장치가 보건 의료인 인증을 실행하기 위해, 보건 의료인의 인증 실행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보건 의료인 인증화면을 제공하고, 보건 의료인 인증화면을 통해 보건 의료인으로부터 보건 의료인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서버(200)로 전송하면, 서버(200)가 보건 의료인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보건 의료인 인증을 실행하고, 보건 의료인 인증 실행 결과를 브릿지 장치로 전송해줄 수 있다.
그 후에, 브릿지 장치는 착석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의 기본정보와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바코드 리더 기능(610)을 활성화시켜 보건 의료인이 소지한 검체 튜브에 부착하는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에 포함된 채혈 대상자 정보와 브릿지 장치가 먼저 식별한 채혈 대상자의 기본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서버(200)가 미리 담당 병과 내 서버 또는 브릿지 장치로부터 채혈접수통지를 수신한 경우, 환자의 채혈접수 정보를 출력하고, 해당 채혈을 위한 검체용기 정보를 출력하며, 검체 용기에 부착할 바코드와 같은 검체 용기 식별정보를 프린팅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건 의료인 단말(300)을 이용하여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는 브릿지 장치가 보건 의료인 인증을 실행하기 위해, 의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보건 의료인 단말기(300)의 근접에 연동하여 보건 의료인 단말기(300)로부터 보건 의료인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보건 의료인 인증 실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에, 브릿지 장치는 상기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상기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브릿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서버(200)로부터 보건 의료인 단말기(300)로 접수된 채혈 대상자 접수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브릿지 장치는 블루투스, NFC, Wi-Fi 등의 무선통신에 의해 보건 의료인 단말(300)의 근접을 검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건 의료인 단말(300)과 무선통신 연결될 수 있다. 보건 의료인 단말(3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디바이스/단말, 태블릿 PC 및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S750), 판단결과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채혈경과 입력화면을 제공한다(S760). 이때, 채혈경과 입력화면을 제공하면서, 브릿지 장치는 보건 의료인에게 채혈용 의자(100)에 구비된 벨트(160)를 채혈 대상자의 신체의 일부에 감기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160)는 채혈용 의자(100)에 착석한 채혈 대상자의 허리부분을 감도록 구비되고, 벨트(160)의 버클(162)은 브릿지 장치로부터 벨트 해제 신호를 수신해야 결합이 해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물론, 버클(162)은 브릿지 장치와 통신 연결되지 않은 상황이나 다양한 상황에서도 해제될 수 있도록 채혈실에 의해 관리되는 마스터키나, 비밀번호 등에 의해 해제되도록 설정될 수 있음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채혈경과 입력화면은 채혈 대상자의 기본적인 정보(810)와, 채혈경과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820), 보건 의료인이 묶음 채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선택 리스트(830), 보건 의료인이 검체 용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리스트(840), 혈압계(112) 및 체온계(113)를 통해 채혈 전후에 측정된 혈압 및 체온 정보를 수신하고, 브릿지 장치를 통해 채혈 전후에 채혈 대상자에게 간략히 제공된 문진 결과를 종합하여 표로 나타낸 채혈 전후 변화표(850) 및 채혈 대상자의 혈압 및 체온의 변화 정도와 문진 결과를 기반으로 판단된 채혈 부작용 검사 결과와 함께 안정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벨트 해제 안내를 알리는 안내표시(8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내표시(860)는 디스플레이를 통한 문구 안내와 함께 스피커를 통한 음성으로도 출력되어, 채혈 대상자가 채혈 서비스가 모두 종료된 것을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S750 단계에서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브릿지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채혈 대상자 불일치를 안내하고(S752), 보건 의료인에게 화면 초기화 실행을 선택할 것인지 질의하여(S754), 보건 의료인이 화면 초기화 실행을 선택했을 경우, 화면을 초기화하여 채혈용 의자에 착석한 채혈 대상자부터 다시 식별하는 단계로 회귀한다. 반면, 보건 의료인이 화면 초기화 실행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S740 단계로 회귀하여 채혈 대상자 일치확인 화면을 다시 제공하여 채혈 대상자 정보 일치여부 확인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브릿지 장치는 채혈경과 입력화면에서 별도의 선택버튼에 의해 채혈 대상자의 채혈경과정보를 서버로 전송 등록하는 채혈경과 완료 등록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S770).
한편, 브릿지 장치는 채혈 종료 후에, 채혈 대상자의 채혈 전후의 혈압, 체온 변화 및 문진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채혈 대상자의 채혈 부작용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벨트의 해체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채혈종료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안정화 시간 이후 해제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채혈 후 안정화 시간은 디폴트로 3분 이내로 설정되거나, 채혈경과 입력화면에서 보건 의료인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음에 한정하지 않는다.
만일, 채혈 대상자의 채혈 부작용 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브릿지 장치는 벨트 해제 신호를 발송하지 않으며, 스피커와 채혈경과 알림등을 통해 채혈 대상자의 위험상태를 알리도록 한다. 이는 특히, 채혈 부작용 유형 중 가장 많은 혈관 미주신경반응인(전체의 48.7% 정도) 어지럼증 증세로 채혈 대상자가 스스로 위험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고 쓰러지면서 부상 또는 심각하게는 사망에 이르는 등의 제 2의 위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채혈용 의자 111: 채혈 대상자 식별장치
112: 혈압계 113: 체온계
114: 단말장착포켓 120: 브릿지 장치
140: 채혈경과 표시등 160: 벨트
162: 벨트 버클

Claims (20)

  1. 의자에 착석하는 채혈 대상자를 식별하여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채혈대기를 접수하고, 상기 채혈대기 중인 의자에 접근한 보건 의료인의 인증이 확인되면 채혈 대상자 일치확인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상기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채혈경과 입력화면을 제공하는 브릿지 장치; 및
    상기 브릿지 장치에 입력된 채혈경과정보에 따라 채혈경과를 표시하여 원거리에서도 인식 가능한 채혈경과 표시등;을 포함하는,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혈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경과 표시등은,
    상기 브릿지 장치에 의해 점등 색상이 결정되며,
    제1 색상으로 점등되어 채혈대기상태를 알리며, 착석 시작시간 정보를 함께 표시하고, 제2 색상으로 점등되어 채혈 또는 휴식 중임을 알리며, 제3 색상으로 점등되어 채혈 및 휴식이 완료되어 공석임을 알리며, 제4 색상으로 점등되어 채혈 후 채혈 대상자의 채혈 부작용 검사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여 위험한 상태임을 알리는,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혈용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장치는 상기 보건 의료인 인증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보건 의료인 인증화면을 제공하여, 상기 보건 의료인 인증화면을 통해 보건 의료인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보건 의료인 인증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혈용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장치는 상기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상기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바코드 리더 기능을 통해 보건 의료인이 소지한 검체 튜브에 부착하는 바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바코드에 포함된 채혈 대상자 정보와 상기 브릿지 장치가 식별한 상기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혈용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에 착석한 채혈 대상자 신체의 일부를 감고, 상기 브릿지 장치에 의해 채혈종료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안정화 시간 이후 해제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채혈 후 부작용 방지를 도모하는 벨트를 더 포함하는,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혈용 의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장치는,
    상기 채혈용 의자에 구비된 혈압계를 통해 수신된 채혈 대상자의 혈압 정보와 채혈 후 문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채혈 대상자의 채혈 부작용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벨트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혈용 의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장치는,
    채혈 대상자의 혈압, 체온정보 및 채혈 후 문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 결과, 상기 채혈 부작용 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채혈경과 표시등을 통해 위험신호를 알리는,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혈용 의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경과 표시등은,
    상기 채혈 대상자의 대기 상태, 채혈 및 휴식 상태, 채혈 및 휴식 완료 상태 및 채혈 대상자 위험 상태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브릿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각 상태마다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동되는,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혈용 의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에 착석하는 채혈 대상자를 식별하기 위한 채혈 대상자 식별장치로서,
    채혈 대상자의 지문, 홍채, 얼굴, 음성, 정맥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생체검출장치;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RFID 태그에 포함된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수신하는 RFID 태그리더; 및
    채혈 대상자의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NFC 태그를 인식하고,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NFC 리더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혈용 의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장치는 상기 보건 의료인 인증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의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보건 의료인 단말기의 근접에 연동하여 상기 보건 의료인 단말기로부터 보건 의료인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보건 의료인 인증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혈용 의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장치는 상기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상기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브릿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보건 의료인 단말기로 접수된 채혈 대상자 접수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채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혈용 의자.
  12. 의자에 구비된 브릿지 장치가 상기 의자에 착석한 채혈 대상자를 식별하여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채혈대기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채혈대기 중인 의자에 접근한 보건 의료인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보건 의료인 인증이 확인되면, 채혈 대상자 일치확인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상기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채혈경과 입력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13. 상기 브릿지 장치는 상기 채혈대기 상태와 상기 채혈경과 입력화면을 통해 입력된 채혈경과정보에 따라 상기 채혈용 의자에 구비된 채혈경과 표시등의 점등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채혈경과 표시등은 채혈대기상태, 채혈 또는 휴식 상태, 채혈 또는 휴식 완료 상태 및 채혈 부작용 위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되는,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건 의료인을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보건 의료인 인증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보건 의료인 인증화면을 통해 보건 의료인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보건 의료인 인증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상기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브릿지 장치의 바코드 리더 기능을 통해 보건 의료인이 소지한 검체 튜브에 부착하는 바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및
    상기 바코드에 포함된 채혈 대상자 정보와 상기 브릿지 장치가 식별한 상기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용 의자는 착석한 채혈 대상자 신체의 일부를 감고, 상기 브릿지 장치로부터 벨트 해제 신호를 수신해야 해제 가능하도록 설정된 벨트를 구비하여 채혈 후 부작용 방지를 도모하고,
    상기 브릿지 장치가 상기 채혈경과 입력화면을 통해 입력된 채혈종료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안정화 시간 이후 상기 벨트 해제 신호를 벨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장치가 상기 의자에 장착된 혈압계, 체온계로부터 수신된 채혈 대상자의 혈압, 체온정보 및 채혈 후 문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을 통해 채혈 대상자의 채혈 부작용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벨트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장치가 상기 채혈 대상자의 혈압, 체온정보 및 채혈 후 문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 결과, 상기 채혈 부작용 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채혈경과 표시등을 통해 위험신호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건 의료인을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의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보건 의료인 단말기의 근접에 연동하는 단계;
    상기 보건 의료인 단말기로부터 보건 의료인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보건 의료인 인증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상기 보건 의료인이 소지하고 있는 채혈 대상자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브릿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채혈 대상자 기본정보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보건 의료인 단말기로 접수된 채혈 대상자 접수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채혈용 의자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70086331A 2017-07-07 2017-07-07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0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331A KR102000613B1 (ko) 2017-07-07 2017-07-07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331A KR102000613B1 (ko) 2017-07-07 2017-07-07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132A true KR20190006132A (ko) 2019-01-17
KR102000613B1 KR102000613B1 (ko) 2019-07-17

Family

ID=6527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331A KR102000613B1 (ko) 2017-07-07 2017-07-07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6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5887A (zh) * 2019-03-29 2019-07-05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智能抽血台
KR20210038122A (ko) * 2019-09-30 2021-04-07 주식회사 피디젠 환자 정보 분석을 이용한 암 재발 및 전이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비즈니스모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1975A (ja) * 2001-05-23 2002-12-06 Aloka Co Ltd 採血業務支援システム
JP2006296776A (ja) * 2005-04-21 2006-11-02 Astec Corp:Kk 採血業務支援システム及び採血作業台並びに採血用椅子
KR101517411B1 (ko) 2014-11-20 2015-05-04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병원의 의료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85478A (ko) * 2015-01-08 2016-07-18 주식회사 해건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170053024A (ko) * 2015-11-05 2017-05-15 박찬희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1975A (ja) * 2001-05-23 2002-12-06 Aloka Co Ltd 採血業務支援システム
JP2006296776A (ja) * 2005-04-21 2006-11-02 Astec Corp:Kk 採血業務支援システム及び採血作業台並びに採血用椅子
KR101517411B1 (ko) 2014-11-20 2015-05-04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병원의 의료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85478A (ko) * 2015-01-08 2016-07-18 주식회사 해건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170053024A (ko) * 2015-11-05 2017-05-15 박찬희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5887A (zh) * 2019-03-29 2019-07-05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智能抽血台
KR20210038122A (ko) * 2019-09-30 2021-04-07 주식회사 피디젠 환자 정보 분석을 이용한 암 재발 및 전이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비즈니스모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613B1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3061B2 (en) Detecting unauthorized visitors
CN107038326B (zh) 一种多功能医疗服务系统
KR102000613B1 (ko)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JP2006235929A (ja) 健康診断管理装置
CN107145762A (zh) 一种人体健康检测提醒的方法及系统
KR101911039B1 (ko) 고독사 관리 시스템
CN106161632A (zh) 一种个人健康医疗监测系统及健康方法
CN111489812B (zh) 智能化非接触式预检分诊系统及其自动挂号方法
WO2018176935A1 (zh) 一种基于儿童服务机器人的健康管理平台及管理方法
KR102354510B1 (ko) 음주 측정 기반 근태 관리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777929A (zh) 基于智慧云的脑电监测系统
US99186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atient physiological data
CN102903067A (zh) 一种健康检查系统
CN111345796A (zh) 一种智能人体体征检测系统
JP2005092440A (ja) 警告装置
KR102223628B1 (ko)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EP41706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edical department selection and post-monitoring during telemedicine based on patient-generated health data (pghd) and dna analysis data
KR20120132808A (ko) 의료기기의 의료 기록과 피검사자 id를 맵핑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CN111489477A (zh) 一种智能探测体温的入场登录机及其应用方法
CN111430047A (zh) 线下线上结合的自助医疗问诊方法及系统
JP2009110038A (ja) 情報提示システム
KR102448958B1 (ko)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08965A (ko) 룸 레벨형 환자 위치추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53019A (ko) 원격진료환자 본인확인을 위한 사용자 인증가능 산소포화도 측정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기기 및 이를 이용한 산소포화도 측정 방법
JP6989203B2 (ja) 医療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