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628B1 -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628B1
KR102223628B1 KR1020180109139A KR20180109139A KR102223628B1 KR 102223628 B1 KR102223628 B1 KR 102223628B1 KR 1020180109139 A KR1020180109139 A KR 1020180109139A KR 20180109139 A KR20180109139 A KR 20180109139A KR 102223628 B1 KR102223628 B1 KR 102223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information
module
terminal
smart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0360A (ko
Inventor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이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석 filed Critical 이영석
Priority to KR1020180109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6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및 헬스케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무자의 매일의 건강상태(시각적, 혈압/심박수/체온)를 점검 및 데이타화하여, 신체리듬이 현저히 평균치를 벗어나, 근무가 우려된다고 관리자가 판단하는 경우, 유급 휴무 시간을 부여하여 직무를 정지하여 쉬게 하거나, 당일의 직무변경을 통하여 신체리듬이 다시 정상화될 때까지 관리함으로써, 근무자 개인 및 회사의 위험을 관리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및 헬스케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Worker healthcare system based on smart care band}
본 발명은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무자의 매일의 건강상태(시각적, 혈압/심박수/체온)를 점검 및 데이타화하여, 신체리듬이 현저히 평균치를 벗어나, 근무가 우려된다고 관리자가 판단하는 경우, 유급 휴무 시간을 부여하여 직무를 정지하여 쉬게 하거나, 당일의 직무변경을 통하여 신체리듬이 다시 정상화될 때까지 관리함으로써, 근무자 개인 및 회사의 위험을 관리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의 진행으로 고령자인 근무자가 다수 근무하는 사업장이 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근무 중 안전사고 또는 재직자의 건강이 우려되고 있으며, 회사가 근무자의 건강을 근무 전과 업무 종료 후 관리하여, 근무자의 안전하고 건강한 근무환경을 만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36351호 "헬스케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및 센서 확장성을 포함한 헬스케어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근무자의 매일의 건강상태(시각적, 혈압/심박수/체온)를 점검 및 데이타화하여, 신체리듬이 현저히 평균치를 벗어나, 근무가 우려된다고 관리자가 판단하는 경우, 유급 휴무 시간을 부여하여 직무를 정지하여 쉬게 하거나, 당일의 직무변경을 통하여 신체리듬이 다시 정상화될 때까지 관리함으로써, 근무자 개인 및 회사의 위험을 관리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퇴근시의 신체정보를 통해서 다음날의 월차/연차 사용 권유, 병원진료 권유 등에 의한 컨디션 관리를 수행하고, 신체정보에 대해서 근무자, 관리 담당자, 최종 관리자가 공유함으로써, 상호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직무 분담을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은, 스마트 케어 밴드(100), 네트워크(200), 근무자 단말(300), 스마트 케어 중앙 서버(400), 관리 담당자 단말(500), 최종 관리자 단말(600), 의료 기관 서버(700)를 포함하는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1)에 있어서,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지문 인식기로 형성되는 출퇴근 인식모듈(110); 혈압 측정 센서(121), 맥박수 측정 센서(122), 체온 측정 센서(123)를 포함하며, 센싱 모듈(120)이 혈압과 맥박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혈압기를 기반으로 혈압기의 손목 삽입장치부의 상부면 또는 내부면에 체온 측정을 위한 체온기를 추가로 형성하여, 근무자에 의한 혈압과 맥박수 측정과 함께 체온도 동시에 측정하도록 하는 센싱 모듈(120); 및 기구적으로 출퇴근 인식모듈(110)과 센싱 모듈(120)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출퇴근 인식모듈(110)에 의한 출/퇴근 인식과 연동하여, 센싱 모듈(120)에 대한 측정 연동 제어를 통해 근무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근무자 단말(300), 스마트 케어 중앙 서버(400), 관리 담당자 단말(500), 최종 관리자 단말(600), 의료 기관 서버(7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통지를 통해 조치를 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연동 제어모듈(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연동 제어모듈(130)은, 출퇴근 인식모듈(110)에 의해 인식된 지문 정보를 수신하여 각 지문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복수의 개인식별코드 중 인식된 지문 정보에 해당하는 개인식별코드를 추출하여, 근무자의 출근 및 퇴근을 인식하는 출퇴근 인식 수단(13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출퇴근 인식 수단(131)은, 1차적인 지문 정보 수신에 따라 근무자의 출근이라고 인식되거나, 2차적인 지문 정보 수신에 따라 근무자의 퇴근이라고 인식되는 경우, 센싱 분석 수단(132)으로 측정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동 제어모듈(130)은, 측정 요청 수신에 따라, 센싱 모듈(120)의 혈압 측정 센서(121), 맥박수 측정 센서(122), 체온 측정 센서(123)로부터 각각 측정된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모듈(150)에 근무자의 개인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하는 센싱 분석 수단(13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싱 분석 수단(132)은, 송수신모듈(130a)에 대한 제어를 통해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근무자 단말(300)로 걸음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뒤, 저장모듈(130a)에 근무자의 개인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근무자 단말(300)에는 만보기 기능의 앱이 설치되거나, 센싱 분석 수단(132)은 근무자 단말(300)의 만보기 기능을 활용한 것이 아닌 각 근무자에 대한 CCTV 영상을 통한 영상 인식 및 추적 알고리즘을 통해 걸음수를 카운팅하여 걸음수 정보를 수집하거나, 별도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부착된 만보기 장치로부터 걸음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싱 분석 수단(132)은, 각 수집된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 걸음수 정보를 일괄적인 기준치 또는 각 개인식별코드 별로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기준치를 통해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및 헬스케어 방법은, 근무자의 매일의 건강상태(시각적, 혈압/심박수/체온)를 점검 및 데이타화하여, 신체리듬이 현저히 평균치를 벗어나, 근무가 우려된다고 관리자가 판단하는 경우, 유급 휴무 시간을 부여하여 직무를 정지하여 쉬게 하거나, 당일의 직무변경을 통하여 신체리듬이 다시 정상화될 때까지 관리함으로써, 근무자 개인 및 회사의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은, 퇴근시의 신체정보를 통해서 다음날의 월차/연차 사용 권유, 병원진료 권유 등에 의한 컨디션 권리를 수행하고, 신체정보에 대해서 근무자, 관리 담당자, 최종 관리자가 공유함으로써, 상호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직무 분담을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1) 중 스마트 케어 밴드(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1) 중 스마트 케어 밴드(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1)은 스마트 케어 밴드(100), 네트워크(200), 근무자 단말(300), 스마트 케어 중앙 서버(400), 관리 담당자 단말(500), 최종 관리자 단말(600), 의료 기관 서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1) 중 스마트 케어 밴드(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1) 중 스마트 케어 밴드(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출퇴근 인식모듈(110), 센싱 모듈(120), 연동 제어모듈(130), 송수신모듈(130a), 디스플레이 모듈(140), 저장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출퇴근 인식모듈(110)은 지문 인식기로 형성될 수 있다.
센싱 모듈(120)은 혈압 측정 센서(121), 맥박수 측정 센서(122), 체온 측정 센서(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싱 모듈(12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혈압과 맥박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혈압기를 기반으로 혈압기의 손목 삽입장치부의 상부면 또는 내부면에 체온 측정을 위한 체온기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근무자에 의한 혈압과 맥박수 측정과 함께 체온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연동 제어모듈(130)은 기구적으로 출퇴근 인식모듈(110)과 센싱 모듈(120)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출퇴근 인식모듈(110)에 의한 출/퇴근 인식과 연동하여, 센싱 모듈(120)에 대한 측정 연동 제어를 통해 근무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조치를 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연동 제어모듈(130)은 출퇴근 인식 수단(131), 센싱 분석 수단(132), 질의 판단 수단(133), 빅데이터 관리 수단(134)을 구비할 수 있다.
출퇴근 인식 수단(131)은 출퇴근 인식모듈(110)에 의해 인식된 지문 정보를 수신하여 각 지문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복수의 개인식별코드 중 인식된 지문 정보에 해당하는 개인식별코드를 추출하여, 근무자의 출근 및 퇴근을 인식할 수 있다.
출퇴근 인식 수단(131)은 1차적인 지문 정보 수신에 따라 근무자의 출근이라고 인식되거나, 2차적인 지문 정보 수신에 따라 근무자의 퇴근이라고 인식되는 경우, 센싱 분석 수단(132)으로 측정 요청을 전송한다.
센싱 분석 수단(132)은 측정 요청 수신에 따라, 센싱 모듈(120)의 혈압 측정 센서(121), 맥박수 측정 센서(122), 체온 측정 센서(123)로부터 각각 측정된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모듈(150)에 근무자의 개인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센싱 분석 수단(132)은 추가적으로 송수신모듈(130a)에 대한 제어를 통해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근무자 단말(300)로 걸음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뒤, 저장모듈(130a)에 근무자의 개인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근무자 단말(300)에는 만보기 기능의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센싱 분석 수단(132)은 근무자 단말(300)의 만보기 기능을 활용한 것이 아닌 각 근무자에 대한 CCTV 영상을 통한 영상 인식 및 추적 알고리즘을 통해 걸음 수를 카운팅하여 걸음 수 정보를 수집하거나, 별도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부착된 만보기 장치로부터 걸음 수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센싱 분석 수단(132)은 각 수집된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 걸음 수 정보를 일괄적인 기준치 또는 각 개인식별코드별로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기준치를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정보 활용 범위로 혈압 측정 정보는 심장, 혈관, 신장 손상 질환자를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수축기 임계치와 확장기 임계치로 설정될 수 있으며, 맥박수 측정 정보는 고혈압, 당뇨, 대사증후군, 부정맥 질환자를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분당 임계치(예, 분당 60회 이상 90회 미만에서 제 1 분당 임계치로 60회, 제 2 분당 임계치로 90)로 설정될 수 있으며, 체온 측정 정보는 바이러스, 세균감염 질환자를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평균 임계치(예, 36.4 내지 37.2)로 설정될 수 있으며, 걸음수 정보는 육안검사, 컨디션 문의를 위한 것으로 직무 평균 걸음 임계수로 설정될 수 있다.
센싱 분석 수단(132)은 출근으로 인식된 근무자의 개인식별코드, 그리고 측정된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 담당자 단말(500)에게 전송하도록 송수신모듈(130a)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분석 수단(132)은 퇴근으로 인식된 근무자의 개인식별코드, 그리고 측정된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 걸음수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 담당자 단말(500)에게 전송하도록 송수신모듈(130a)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센싱 분석 수단(132)은 출근으로 인식된 또는 퇴근으로 인식된 각 근무자에 대해서 수집된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 걸음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서 일괄적인 기준치 또는 각 개인식별코드 별로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기준치를 통해 분석하여 정상범위 밖으로 분석된 경우, 정상범위 밖의 측정 정보를 추출하여 위험 경보와 함께 개인식별코드와 함께 네트워크(200)를 통해 근무자 단말(300), 관리 담당자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모듈(300a)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험 경보를 수신한 근무자 단말(300)은 관리 담당자 단말(500)이 지정하는 회사의 목적 장소 정보를 출력하여, 이상 근무자를 회사의 목적 장소로 와서 미리 설정된 시간(예, 10분 가량)의 휴식을 취하고, 휴신 시간이 완료되면 다시 센싱 분석 수단(132)의 통지에 따라 출퇴근 인식 수단(131)에 의한 개인식별코드 인식, 센싱 분석 수단(132)에 의한 측정 정보 재수집을 통한 정상범위로의 진입의 경우 근무 통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근무자 단말(300)에게 전송하도록 송수신모듈(130a)을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재수집을 통해서도 정삼범위 내로의 진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센싱 분석 수단(132)은 정삼범위 밖에 해당하는 측정 정보와 관련된 투약 정보에 대한 질의를 통해 투약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최종 관리자 단말(6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위험 경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모듈(130a)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센싱 분석 수단(132)은 출근 인식시 모든 신체정보가 정상범위 내이거나, 재수집을 통해서 모든 신체정보가 정상범위 내인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근무자 단말(300)에게 직무 수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뒤, 출퇴근 인식 수단(131)에 의한 퇴근 인식 시 다시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 걸음수 정보를 수집하여 각 측정 정보별 일괄적인 기준치 또는 각 개인식별코드 별로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각 측정 정보별 기준치를 통해 분석하여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저장모듈(150) 상에 저장할 뿐만 아니라, 비정상인 근무자에 대해서는 근무자 단말(3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컨디션 조절 주의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모듈(130a)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분석 수단(132)은 컨디션 조절 주의 메시지를 수신한 근무자 단말(300)을 관리하는 관리 담당자 단말(500)로 컨디션 조절 주의 메시지와 함께 신체정보, 개인식별코드를 전송함으로써, 연차 권유, 휴식 권유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질의 판단 수단(133)은 위험 경보를 수신한 최종 관리자 단말(600)에 의한 거점병원으로의 질의 요청에 따라 저장모듈(150)에 미리 설정된 의료 기관 서버(700)의 IP 주소로 정상범위 밖의 측정 정보와 개인식별코드에 해당하는 근무자의 성명, 성별, 연령, 일간/주간/월간/년간 평균 근무시간, 각 평균 근무시간 별 신체정보(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 걸음수 정보)를 전송하여 진료필요 여부를 문의 후 진료필요 메시지를 반환받은 경우, 근무자 단말(300)에게 네트워크(200)를 병원진료, 연차사용, 직무 변경 또는 휴식 권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모듈(130a)을 제어할 수 있다.
빅데이터 관리 수단(134)은 각 근무자 단말 그룹(300g) 별로 지정된 관리 담당자 단말(500)에 대해서 각 근무자 단말(300)에 해당하는 근무자의 개인식별코드와 출근시 신체정보, 퇴근시 신체정보에 대한 미리 설정된 주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스마트 케어 중앙 서버(400)로 관리 담당자의 식별번호와 함께 전송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스마트 케어 중앙 서버(400)에 빅데이터 기반으로 신체정보가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근무자의 출근을 인식한다(S11).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출퇴근 인식모듈(110)에 의해 인식된 지문 정보를 수신하여 각 지문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복수의 개인식별코드 중 인식된 지문 정보에 해당하는 개인식별코드를 추출하여, 근무자의 출근 및 퇴근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1차적인 지문 정보 수신에 따라 근무자의 출근이라고 인식하며, 신체정보 재측정 요청이 없는 경우 2차적인 지문 정보 수신에 따라 근무자의 퇴근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단계(S11) 이후,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근무자의 신체정보를 측정한다(S12).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센싱 모듈(120)의 혈압 측정 센서(121), 맥박수 측정 센서(122), 체온 측정 센서(123)로부터 각각 측정된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를 신체정보로 수신하여 저장모듈(150)에 근무자의 개인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단계(S12) 이후,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신체정보 정상범위 분석을 수행하여(S13), 정상범위인지 판단을 한다(S14).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각 수집된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를 일괄적인 각 측정 정보별 기준치 또는 각 개인식별코드 별로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각 측정 정보별 기준치를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정보 활용 범위로 혈압 측정 정보는 심장, 혈관, 신장 손상 질환자를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수축기 임계치와 확장기 임계치로 설정될 수 있으며, 맥박수 측정 정보는 고혈압, 당뇨, 대사증후군, 부정맥 질환자를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분당 임계치(예, 분당 60회 이상 90회 미만에서 제 1 분당 임계치로 60회, 제 2 분당 임계치로 90)로 설정될 수 있으며, 체온 측정 정보는 바이러스, 세균감염 질환자를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평균 임계치(예, 36.4 내지 37.2)로 설정될 수 있으며, 걸음수 정보는 육안검사, 컨디션 문의를 위한 것으로 직무 평균 걸음 임계수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S13) 및 단계(S14)의 정상범위 분석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로, 스마트 케어 밴드(100)가 아닌 근무자 단말(300)에 대한 관리자로 설정됨 관리 담당자 단말(500)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출근으로 인식된 근무자의 개인식별코드, 그리고 측정된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 담당자 단말(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계(S14)의 분석결과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출근으로 인식된 각 근무자에 대해서 수집된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서 일괄적인 각 측정 정보별 기준치 또는 각 개인식별코드 별로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각 측정 정보별 기준치를 통해 분석하여 정상범위 밖으로 분석된 경우, 단계(S11)로 회귀하기 전에 정상범위 밖의 측정 정보를 추출하여 위험 경보와 함께 개인식별코드와 함께 네트워크(200)를 통해 근무자 단말(300), 관리 담당자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험 경보를 수신한 근무자 단말(300)은 관리 담당자 단말(500)이 지정하는 회사의 목적 장소 정보를 출력하여, 이상 근무자를 회사의 목적 장소로 와서 미리 설정된 시간(예, 10분 가량)의 휴식을 취하고, 휴신 시간이 완료되면 다시 스마트 케어 밴드(100)의 통지에 따라 스마트 케어 밴드(100)에 의한 개인식별코드 인식, 측정 정보 재수집을 통한 정상범위 내로의 진입의 경우 근무 통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근무자 단말(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재수집을 통해서도 정삼범위 내로의 진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정삼범위 밖에 해당하는 측정 정보와 관련된 투약 정보에 대한 질의를 통해 투약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최종 관리자 단말(6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위험 경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위험 경보를 수신한 최종 관리자 단말(600)에 의한 거점병원으로의 질의 요청에 따라 저장모듈(150)에 미리 설정된 의료 기관 서버(700)의 IP 주소로 정상범위 밖의 측정 정보와 개인식별코드에 해당하는 근무자의 성명, 성별, 연령, 일간/주간/월간/년간 평균 근무시간, 각 평균 근무시간 별 신체정보(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 걸음수 정보)를 전송하여 진료필요 여부를 문의 후 진료필요 메시지를 반환받은 경우, 근무자 단말(300)에게 네트워크(200)를 병원진료, 연차사용, 직무 변경 또는 휴식 권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단계(S14)의 판단 결과 정상범위가 아닌 경우 단계(S11)로 회귀하고, 반대로 정상범위인 경우,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2차 인식 대기에 의한 근무자의 퇴근을 인식하고(S15), 근무자의 신체정보 측정한다(S16).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출근 인식시 모든 신체정보가 정상범위 내이거나, 재수집을 통해서 모든 신체정보가 정상범위 내인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근무자 단말(300)에게 직무 수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뒤, 출퇴근 인식모듈(110)에 의한 퇴근 인식시 다시 센싱 모듈(120)을 통해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 걸음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근무자 단말(300)을 운영하는 근무자의 걸음수 정보를 추가로 측정하여, 저장모듈(130a)에 근무자의 개인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근무자 단말(300)에는 만보기 기능의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근무자 단말(300)의 만보기 기능을 활용한 것이 아닌 각 근무자에 대한 CCTV 영상을 통한 영상 인식 및 추적 알고리즘을 통해 걸음수를 카운팅하여 걸음수 정보를 수집하거나, 별도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부착된 만보기 장치로부터 걸음수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단계(S16) 이후,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신체정보 정상범위 분석을 수행한다(S17). 즉,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단계(S16)에서 측정된 각 측정 정보에 대해서 각 측정 정보별 일괄적인 기준치 또는 각 개인식별코드 별로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각 측정 정보별 기준치를 통해 분석하여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저장모듈(150) 상에 저장할 뿐만 아니라, 비정상인 근무자에 대해서는 근무자 단말(3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컨디션 조절 주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컨디션 조절 주의 메시지를 수신한 근무자 단말(300)을 관리하는 관리 담당자 단말(500)로 컨디션 조절 주의 메시지와 함께 신체정보, 개인식별코드를 전송함으로써, 연차 권유, 휴식 권유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계(S17) 이후,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신체정보 관리 담당자별 기록을 수행한다(S18).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각 근무자 단말 그룹(300g) 별로 지정된 관리 담당자 단말(500)에 대해서 각 근무자 단말(300)에 해당하는 근무자의 개인식별코드와 출근시 신체정보, 퇴근시 신체정보에 대한 미리 설정된 주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스마트 케어 중앙 서버(400)로 관리 담당자의 식별번호와 함께 전송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스마트 케어 중앙 서버(400)에 빅데이터 기반으로 신체정보가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및 헬스케어 방법에 의한 헬스케어 시나리오의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제 1 실시예>
먼저, 근무자가 사무실에 출근하면, 근무자는 사무실에서 스마트 케어 밴드(100)를 이용해 출근을 센싱한다.
이후, 안정을 취하고 사무실에 비치된 스마트 케어 밴드(100)를 사용하여 혈압을 체크하고, 사무실의 관리 담당자에게 혈압 측정 정보를 고지하기 위해 관리 담당자 단말(500)로 정보 전송을 통한 고지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 담당자는 관리 담당자 단말(500)을 이용해 당시 혈압을 시스템(PHS)에 기록하여 만약 혈압이 정상범위 밖에 있으면, 다시 10분 가량의 시간을 휴식을 취하고 다시 혈압 체크하도록 하며, 평소 혈압약 복용 여부를 물어보고, 당일 복용하였는지 문의 후 적절한 조치(복약유도 등)를 취하고, 혈압 상태가 변동없이 정상범위 밖인 경우, 관리 담당자는 최종 책임자에게 보고하기 위해 관리 담당자 단말(500)이 최종 관리자 단말(600)로 전송하면, 최종 관리자 단말(500)은 근무자의 상태를 거점병원 의사에 대해서 문의를 위해 의료 기관 서버(700)로 액세스한 뒤, 문의 결과를 통보받아 근무자에게 병원진료, 년차사용, 직무 변경 또는 휴식 권유를 수행하도록 근무자 단말(300)로 정보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혈압 측정 정보가 정상범위인 경우, 근무자는 휴대용으로 제작된 스마트 케어 밴드(100)를 착용하여 직무를 수행하면서 신체정보(체온, 혈압, 맥박수, 걸음수)를 취득할 수 있으며, 퇴근시 스마트 케어 밴드(100)로 퇴근 센싱을 하고, 신체정보를 관리 담당자 단말(500)에게 제공하면, 관리 담당자 단말(500)은 각 근무자의 신체정보를 매일 기록 관리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근무자의 사무실 출근하면, 근무자는 사무실 입구에서 스마트 케어 밴드(100)에서 신체정보(혈압, 맥박, 체온 등)를 취득하며 지문 인식으로 출근 체크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근무자는 근무지 이동을 통해 근무를 시작하면, 관리 담당자는 근무자의 출근 센싱 중 또는 종료 후 스마트 케어 밴드(1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관리 담당자 단말(500)을 통해 확인하여, 신체정보(혈압, 맥박, 체온 등) 정상범위 밖에 있는 근무자가 있는지 파악한 후, 이상 근무자를 사무실에 호출하여 다시 10분 가량의 시간을 휴식을 취하고, 다시 스마트 케어 밴드(100)를 활용한 에서 신체정보를 확인하고, 평소 혈압약 등 평소 약 복용 여부를 물어보고, 당일 복용하였는지 문의 후 적절한 조치(복약권유)를 취하고, 그 이후에도 혈압상태 등 신체정보가 변동없이, 정상범위 밖에 있는 경우, 관리 담당자는 관리 담당자 단말(500)을 이용해 최종 관리자가 운영하는 최종 관리자 단말(600)로 보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 관리자는 최종 관리자 단말(600)을 이용해 근무자의 상태를 거점병원 의사에게 문의하기 위해 의료 기관 서버(600)로 액세스하여 문의 결과를 통보받아 문의 결과에 따라 근무자에게 병원진료, 연차사용, 직무를 변경 또는 휴식 권유한다. 한편 반대로 근무자의 신체정보에 이상이 없는 경우 근무자는 직무를 수행하고 퇴근시 스마트 케어 밴드(100)에 다시 퇴근을 체크하며, 신체정보를 제공하고 퇴근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담당자는 전 근무자의 신체정보를 매일 기록, 관리, 확인을 관리 담당자 단말(500)을 이용해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100 : 스마트 케어 밴드
110 : 출퇴근 인식모듈
120 : 센싱 모듈
130 : 연동 제어모듈
130a : 송수신모듈
140 : 디스플레이 모듈
150 : 저장모듈
200 : 네트워크
300 : 근무자 단말
400 : 스마트 케어 중앙 서버
500 : 관리 담당자 단말
600 : 최종 관리자 단말
700 : 의료 기관 서버

Claims (7)

  1. 스마트 케어 밴드(100), 네트워크(200), 근무자 단말(300), 스마트 케어 중앙 서버(400), 관리 담당자 단말(500), 최종 관리자 단말(600), 의료 기관 서버(700)를 포함하는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1)에 있어서,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지문 인식기로 형성되는 출퇴근 인식모듈(110);
    혈압 측정 센서(121), 맥박수 측정 센서(122), 체온 측정 센서(123)를 포함하며, 센싱 모듈(120)이 혈압과 맥박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혈압기를 기반으로 혈압기의 손목 삽입장치부의 상부면 또는 내부면에 체온 측정을 위한 체온기를 추가로 형성하여, 근무자에 의한 혈압과 맥박수 측정과 함께 체온도 동시에 측정하도록 하는 센싱 모듈(120); 및
    기구적으로 출퇴근 인식모듈(110)과 센싱 모듈(120)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출퇴근 인식모듈(110)에 의한 출/퇴근 인식과 연동하여, 센싱 모듈(120)에 대한 측정 연동 제어를 통해 근무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근무자 단말(300), 스마트 케어 중앙 서버(400), 관리 담당자 단말(500), 최종 관리자 단말(600), 의료 기관 서버(7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통지를 통해 조치를 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연동 제어모듈(130)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 제어모듈(130)은 상기 조치를 취하는 기능의 수행 시 위험 경보를 상기 근무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상기 관리 담당자 단말(500)이 지정하는 회사의 목적 장소 정보를 표출하여 이상 근무자가 회사의 목적 장소로 와서 미리 설정된 시간의 휴식을 취하도록 유도하고, 휴식 시간이 완료된 후 측정 정보 재수집을 통해 근무자가 정상범위로의 진입이 이루어지면 근무 통지를 상기 근무자 단말(300)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케어 밴드(100)는 만보기 기능의 앱이 설치된 상기 근무자 단말(300)을 통해 상기 근무자의 걸음 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근무자에 대한 CCTV 영상을 통한 영상 인식 및 추적 알고리즘을 통해 걸음 수를 카운팅하여 걸음수 정보를 수집하며,
    센싱 분석 수단(132)은 출근으로 인식된 또는 퇴근으로 인식된 각 근무자에 대해서 수집된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 걸음 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서 일괄적인 기준치 또는 각 개인식별 코드별로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기준치를 통해 분석하여 정상범위 밖으로 분석된 경우, 정상범위 밖의 측정 정보를 추출하여 위험 경보와 함께 개인식별코드와 함께 네트워크(200)를 통해 근무자 단말(300), 관리 담당자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모듈(300a)을 제어하며,
    상기 연동 제어 모듈(130)은 심장, 혈관, 신장 손상 질환자를 관찰하기 위한 수축기 임계치와 확장기 임계치를 설정하고, 상기 센싱 모듈(120)에서 측정한 혈압 측정 정보와 상기 수축기 임계치 및 확장기 임계치의 비교를 통해 심장, 혈관, 신장 손상 질환 유무를 판단하며, 고혈압, 당뇨, 대사증후군, 부정맥 질환자를 관찰하기 위한 분당 임계치를 설정하고 상기 센싱 모듈(120)에서 측정한 맥박수 측정 정보와 분당 임계치의 비교를 통해 고혈압, 당뇨, 대사증후군, 부정맥 질환 유무를 판단하며, 바이러스, 세균감염 질환자를 관찰하기 위한 체온 평균 임계치를 설정하고 상기 센싱 모듈(120)에서 측정한 체온 측정 정보와 체온 평균 임계치의 비교를 통해 바이러스, 세균감염 질환 유무를 판단하며, 컨디션 확인을 위한 직무 평균 걸음 임계 수를 설정하고 수집한 걸음 수 정보와 직무 평균 걸음 임계 수의 비교를 통해 컨디션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동 제어모듈(130)은,
    출퇴근 인식모듈(110)에 의해 인식된 지문 정보를 수신하여 각 지문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복수의 개인식별코드 중 인식된 지문 정보에 해당하는 개인식별코드를 추출하여, 근무자의 출근 및 퇴근을 인식하는 출퇴근 인식 수단(13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출퇴근 인식 수단(131)은,
    1차적인 지문 정보 수신에 따라 근무자의 출근이라고 인식되거나, 2차적인 지문 정보 수신에 따라 근무자의 퇴근이라고 인식되는 경우, 센싱 분석 수단(132)으로 측정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연동 제어모듈(130)은,
    측정 요청 수신에 따라, 센싱 모듈(120)의 혈압 측정 센서(121), 맥박수 측정 센서(122), 체온 측정 센서(123)로부터 각각 측정된 혈압 측정 정보, 맥박수 측정 정보, 체온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모듈(150)에 근무자의 개인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하는 센싱 분석 수단(13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센싱 분석 수단(132)은,
    송수신모듈(130a)에 대한 제어를 통해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근무자 단말(300)로 걸음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뒤, 저장모듈(130a)에 근무자의 개인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09139A 2018-09-12 2018-09-12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KR102223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39A KR102223628B1 (ko) 2018-09-12 2018-09-12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39A KR102223628B1 (ko) 2018-09-12 2018-09-12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360A KR20200030360A (ko) 2020-03-20
KR102223628B1 true KR102223628B1 (ko) 2021-03-04

Family

ID=6995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139A KR102223628B1 (ko) 2018-09-12 2018-09-12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8089A (zh) * 2021-07-06 2021-08-24 安徽理工大学 一种基于nbiot技术的隔离人员身体状况监测系统设计方法
KR102359204B1 (ko) * 2021-08-03 2022-02-09 (주)파밀리데이터 근로자의 근무상태 및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CN113876303B (zh) * 2021-08-20 2024-04-12 国能四川西部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预警方法及可穿戴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494B1 (ko) * 2015-04-01 2016-12-28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신체정보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JP2017167802A (ja) * 2016-03-16 2017-09-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健康管理システム、健康管理サーバ、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健康管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21A (ko) * 2001-09-20 2003-04-10 (주)코니정보 지문인식 키오스크를 이용한 근태관리 방법
KR20180036351A (ko) 2016-09-30 2018-04-09 (주)아모레퍼시픽 헥토라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원료의 xrd를 이용한 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494B1 (ko) * 2015-04-01 2016-12-28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신체정보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JP2017167802A (ja) * 2016-03-16 2017-09-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健康管理システム、健康管理サーバ、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健康管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360A (ko)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628B1 (ko)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CN205540731U (zh) 一种多功能医疗服务系统
US69541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monitoring activities in a tracking environment
US8852093B2 (en) Home care logistics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KR101339539B1 (ko) 생체 데이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US20120109676A1 (en) Multiuser health monitoring using biometric identification
EP1589462A2 (en) Method of managing health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US10855957B2 (en) Wireless augmented video system and method to detect and prevent insurance billing fraud and physical assault for remote mobile application
US200201657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ariances in a tracking environment
US20160012249A1 (en) Method for collecting and securing physiological, biometric and other data in a personal database
CN107038326A (zh) 一种多功能医疗服务系统
CN102054118A (zh) 一种远程医疗系统
US11328815B2 (en) Physical measurement of empirical indicators of patient-related outcome value using time and motion sensor results
KR20020005888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9545392B (zh) 基于物联网的远程监控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17176278A (ja) 生体データ記録方法、生体データ記録装置、及び生体データ記録プログラム
KR102079924B1 (ko)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20190063574A (ko) 웨어러블 기기에서 감지된 ecg(심전도) 및 라이프 로그 정보를 이용한 개인 주치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053877A (zh) 一种基于急诊绿色通道的信息管理方法及装置
EP3087912A1 (en) Security access system using a body area network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32663B1 (ko) 응급상황 발생시 근접 카메라로부터 얻은 사용자 영상 정보를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방법
KR102470263B1 (ko)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Raad A ubiquitous mobile telemedicine system for the elderly using RFID
KR20220030856A (ko)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