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924B1 -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924B1
KR102079924B1 KR1020190143869A KR20190143869A KR102079924B1 KR 102079924 B1 KR102079924 B1 KR 102079924B1 KR 1020190143869 A KR1020190143869 A KR 1020190143869A KR 20190143869 A KR20190143869 A KR 20190143869A KR 102079924 B1 KR102079924 B1 KR 102079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senior
modul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정현진
Original Assignee
이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우 filed Critical 이민우
Priority to KR1020190143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개별 식별ID를 구비하고 하루동안(D)의 시니어 생체데이터를 측정하고, 기기 상태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시니어(senior)의 웨어러블 기기(100);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와 통신하기 위하여 시니어의 거주지에 설치된 LoRa모뎀(200);상기 LoRa모뎀과 연계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 상태데이터와 시니어 생체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LoRa 중계기(300); 상기 LoRa 중계기로부터 시니어 생체데이터와 기기 상태데이터를 전송받고 분석하는 서버(400);상기 서버(400)의 분석정보를 전달받은 유관기관 단말기(500)과 보호자 단말기(600)를 포함하되,상기 서버(400)는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ID를 인식하고, 각 기기들의 모니터링된 시니어 생체데이터와 기기 상태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듈(410);건강정보DB(420)에서 상기 수신모듈(410)로부터 전송된 웨어러블 기기(100)의 식별 ID와 일치하는 시니어 건강데이터를 조회한 후, 상기 시니어 건강데이터를 상기 시니어 생체데이터 및 기기 상태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모니터링 DB(430);상기 모니터링 DB(430)에 저장된 시니어 토탈데이터를 분석하여 시니어의 분석정보를 획득하는 분석모듈(440); 의료기관 단말기(500)로부터 시니어의 응급기준정보 및 측정빈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건강정보DB(420)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입출력 모듈(450);상기 분석모듈에 의해서 생성된 분석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모듈(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이다.

Description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A PLATFORM SYSTEM FOR MONITORING REGIONAL SENIOR SAFETY AND A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어촌 또는 시골마을에 거주하는 지역시니어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시니어의 안전을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는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고령화 추세에 따라 노인이나 어르신 등으로 불리는 시니어 계층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군단위 지역, 즉 농어촌이나 시골마을에 거주하는 독거 노인 또는 노인부부의 경우 건강 악화나 안전사고 등의 위급 상황 발생시 응급조치나 긴급신고 등의 즉각적인 대처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그에 반해 시니어를 보살필 수 있는 노인 복지 기관 또는 공공 인력은 한정되어 있어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 유선통신망을 이용하는 호출기를 보급함으로써 원격에서 시니어의 생체 및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호출기는 긴급버튼이 구비되어 위급한 상황에서 버튼을 눌러 구급대원이나 담당 사회복지사를 호출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위급 상황을 정확히 알 수 없고, 직접 호출버튼을 누르지 못하면 무용지물이 된다.
이에, ICT 기술을 활용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예컨대, 국내 사례를 살펴보면 2013년부터 65세 이상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U-care 서비스'를 통해 활동량 감지센서 및 출입 감지센서를 제공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은 활동량이라는 단편적인 정보만을 수집하여 독거노인 등의 활동량이 없거나 평소에 비해 현저히 낮은 극단적인 경우에만 방문해서 안전을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나아가, 외국사례를 살펴보면, 'The BodyGuardian Sensor' 서비스는 웨어러블 밴드 형태의 헬스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통해 모니터링된 시니어의 건강 정보를 클라우드에 저장하였다가 주치의에게 전달한다. 그러나, 이러한 외국사례의 경우는 시니어의 직접 조작이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안전을 보장하기는 하지만 여전히 특정의 케어 서비스에 한정되고, 특히 비싼 기기 및 서비스 비용으로 인해 접근이 어렵다.
또한, 시니어들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들은 대략적으로 한달정도의 배터리 사용기간을 가지게 되므로, 지속적으로 충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니어들의 기기사용능력이 부족하여 스스로 배터리 충전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거나, 또는 배터리 충전을 잊어버리는 경우, 또는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스스로 전원을 끄는 경우가 많아서 시스템이 제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시에는 LTE 통신망이 잘 구축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가 많으나, 군단위 또는 농어촌 지역에 LTE 통신망을 설치하는 경우는 서비스 비용이 비싸고 배터리 소모가 많이 발생하여 충전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정부에서 지원하는 경우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저비용 통신수단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해야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54609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4807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용 통신수단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취합하고 분석하는 지역시니어 안심 플랫폼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니어의 안전을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상태데이터를 취합 및 분석함으로써 분석된 시니어 생체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사전에 시니어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은,
개별 식별ID를 구비하고 하루동안(D)의 시니어 생체데이터를 측정하고, 기기 상태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시니어(senior)의 웨어러블 기기(100);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와 통신하기 위하여 시니어의 거주지에 설치된 LoRa모뎀(200);상기 LoRa모뎀과 연계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 상태데이터와 시니어 생체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LoRa 중계기(300); 상기 LoRa 중계기로부터 시니어 생체데이터와 기기 상태데이터를 전송받고 분석하는 서버(400);상기 서버(400)의 분석정보를 전달받은 유관기관 단말기(500)과 보호자 단말기(600)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400)는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ID를 인식하고, 각 기기들의 모니터링된 시니어 생체데이터와 기기 상태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듈(410);건강정보DB(420)에서 상기 수신모듈(410)로부터 전송된 웨어러블 기기(100)의 식별 ID와 일치하는 시니어 건강데이터를 조회한 후, 상기 시니어 건강데이터를 상기 시니어 생체데이터 및 기기 상태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모니터링 DB(430);상기 모니터링 DB(430)에 저장된 시니어 토탈데이터를 분석하여 시니어의 분석정보를 획득하는 분석모듈(440); 의료기관 단말기(500)로부터 시니어의 응급기준정보 및 측정빈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건강정보DB(420)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입출력 모듈(450);상기 분석모듈에 의해서 생성된 분석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모듈(4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는,
상기 건강정보DB(420)로부터 식별ID에 해당하는 시니어의 응급기준정보 및 측정빈도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기본정보DB(160)에 저장하여, 웨어러블 기기(100) 펌웨어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기기정보설정모듈(110); 상기 측정빈도정보에 따라서 각 센서부(미도시)를 통해서 생체데이터를 전송받는 생체데이터수집모듈(120); 상기 생체데이터수집모듈(120)를 통해 수집된 생체데이터를 기본정보DB(160)에서 조회된 응급기준정보와 비교하여 기준에서 벗어난 경우, 플래그(FLAG) 필드에 응급정보를 기록하는 응급상황확인모듈(130); 상기 플래그(FLAG) 필드에 응급정보가 기록되면 시니어 토탈데이터를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하고 즉각적으로 LoRa모뎀(200)과 중계기(300)를 통해 서버(400)로 송신하여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응급상황송신모듈(130'); 상기 생체데이터수집모듈(120)를 통해 수집된 생체데이터를 기본정보DB(160)에서 조회된 응급기준정보와 비교하여 기준범위내에 있는 경우, 시니어 토탈데이터를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하고 전송하는 일일정보저장모듈(140); 상기 익일(D+1) 소정의 시간에 일일정보DB(170)에 저장된 전(前)일(D) 상태데이터를 LoRa모뎀(200)과 중계기(300)를 통해 서버(400)로 전송하고 일일정보DB(170)를 삭제하는 일일정보송신모듈(150);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석모듈(440)은 모니터링 DB(430)로부터 플래그가 포함된 시니터 토털데이터를 전송받아 응급정보DB(441-a)에 저장하고, 상기 플래그 필드에 기록된 응급정보에 따라 송신모듈(460)을 통해 응급상황 알람을 의료기관(500)과 보호자(600)에게 알리는 응급상황분석모듈(441); 일일(D)데이터를 분석하고, 일일데이터 및 일일데이터의 평균값을 일일분석DB(442-a)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일일분석모듈(442); 주간(W)데이터를 분석하고, 주간데이터 및 주간데이터의 평균값을 주간분석DB(443-a)에 전송하여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주간데이터 패턴분석모듈(443); 월간(M) 또는 연간(Y)데이터를 분석하여 시니어의 상태의 변화를 분석하여 장기분석DB(444-a)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장기데이터 경향분석모듈(444); 상기 장기분석DB(444-a)를 토대로 향후 대상 시니어에게 나타나게 될 상태예측정보를 분석하여 예측DB(445-a)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상태예측 분석모듈(44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500)는 웨어러블 기기관리모듈(510);과 건강정보관리모듈(520);을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관리모듈(510);은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ID와 사용자 정보를 입출력모듈(450)로 전송하여 건강정보DB(450)에 저장하는 기기정보 입력조회모듈(511); 질병명, 중증도, 측정빈도 및 응급기준 정보를 입출력모듈(450)로 전송하여 건강정보DB(450)에 저장하는 건강 및 응급기준 입력조회모듈(512);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ID에 해당하는 건강정보DB(450)를 입출력모듈(450)을 통해 전송받아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100)의 기본정보DB(160)로 전송하는 기기정보 송신모듈(513);을 포함하고, 상기 건강정보관리모듈(520);은 응급정보DB(441-a)에서 추출한 응급정보를 전송받아 설정된 응급상황 플래그에 따라 응급상황 알림을 발생시키고, 응급상황을 알리는 문자를 의료기간단말기(500) 또는 보호자단말기(600)에게 알리는 응급상황 알림모듈(521); 일일분석DB(442-a)에서 추출한 일일(D)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여주는 일일데이터 조회모듈(522); 주간분석DB(443-a)에서 추출한 주간별 평균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여주는 주간데이터 패턴조회모듈(523); 장기분석DB(444-a)에서 추출한 월간 또는 년간의 평균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여주는 장기데이터 패턴조회모듈(524); 예측DB(445-a)에서 추출한 상태예측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여주는 상태예측결과 조회모듈(52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에 설정된 측정빈도에 따라 24시간(D)의 시니어 생체데이터를 측정하고, 기기 상태데이터와 함께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하는 단계(S1); 상기 일일정보DB(170)에 저장된 시니어 생체데이터와 기기 상태데이터를 익일(D+1)에 LoRa모뎀(200) 통해 서버(400)에 송신하는 단계(S2); 상기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서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ID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ID의 건강정보DB(420)을 조회하여 시니어 토탈데이터를 생성하여 모니터링DB(430)에 저장하는 단계(S3); 상기 저장된 모니터링DB(430)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응급상황확인 및 생체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4); 제3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방법중 웨어러블 기기(100)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500)에서 웨어러블 기기(100)와 연결된 시니어의 식별ID에 해당하는 건강정보DB(420)에 입력된 생체데이터 측정 빈도횟수 및 응급기준을 조회하여 블루투스를 통해서 기본정보DB(160)에 설정하는 단계(W1); 상기 측정된 생체데이터와 응급기준정보를 비교하여 기준에 벗어나면 플래그(FLAG)를 설정하고, 수집된 생체데이터, 위치정보(GPS), 식별ID, 수집시간, 배터리 잔량을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하고, 상기 일일정보DB(170)를 서버(40)로 송신하는 단계(W2,W2' );정상인 경우 정해진 측정빈도에 따라 수집된 생체데이터, 위치정보(GPS), 식별ID, 수집시간, 배터리 잔량을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하는 단계(W3);익일(D+1)에 서버(40)의 수신모듈(410)로 일일정보DB(170)을 일괄로 송신하고 기존DB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W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저비용 통신을 이용하여 시니어 전(前)일 생체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군단위 또는 농어촌에 효율적인 네크워크를 구성하여 시스템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시니어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에 개별건강정보가 반영된 설정값을 반영함으로써 시니어의 안전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시니어의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하고, 응급상황시 즉각조치로 사회적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집된 정보의 분석과 공유로 다양한 노인 복지서비스로 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의 개념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의 웨어러블 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의 분석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의 의료기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의 보호자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방법의 실시예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방법의 웨어러블 기기의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은 웨어러블 기기(100), LoRa모뎀(200), LoRa 중계기(300), 서버(400), 유관기관 단말기(500) 및 보호자 단말기(6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시니어(senior)의 웨어러블 기기(100)는 시니어 각각에 대해서 개별 식별ID를 구비하고 하루동안(D)의 시니어 생체데이터를 측정하고, 기기 상태데이터와 함께 저장한다.
노인이나 어르신 등으로 불리우는 상기 시니어(senior)는 독거 노인이나 농촌 및 시골과 같은 비도시 지역에 거주하기 때문에 자녀들과 동거하며 보살핌을 받기 어려운 노인 계층을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는 스마트 밴드와 같이 손목에 차는 형태로서 주로 사용측이 시니어임을 감안할때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이 필요없는 설정된 측정 빈도에 따라서 측정되는 기기를 말한다.
상기 식별ID는 제품 코드나 물리적 주소(MAC ADDRESS) 로서 웨어러블 기기(100)마다 각각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기기의 식별ID는 이를 착용한 시니어마다 1:1로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의 식별ID는 시니어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니어 생체데이터는 웨어러블 기기(100)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서 측정되며 심박수, 활동량 및 체온을 말하며, 측정되는 범주에 따라 수면량이 추가로 측정될 수도 있다.
상기 기기 상태데이터는 식별ID, 위치정보(GPS),측정시간 및 배터리 잔량, 플래그(FLAG)를 말한다. 플래그는 웨어러블 기기(100)안에서 데이터 측정후에 응급상황확인모듈(130)후에 반드시 설정되는 항목인데, 응급상황이 건강관련 문제인 경우는 '1'내지 '6'까지 설정될 수 있으며, 기기관련 문제인 경우는 'L' 또는 'E'가 설정되며 정상인 경우는 'N'으로 설정된다.
시니어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100)는 통신비용 절감 및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실시간으로 시니어 생체데이터 및 기기 상태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의료기관 단말기(500)에서 시니어 식별ID별로 설정된 측정빈도에 따라서 하루동안(D)의 생체데이터 및 기기 상태데이터를 수집하고 웨어러블 기기(100)에 누적하여 저장된다.
예를 들어, 약 15분간격으로 시니어의 하루동안(D) 생체 데이터 및 기기 상태데이터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가령 GPS를 이용하여 15분마다 시니어의 이동위치를 측정하여 저장하고, 15분마다 심박수를 측정하며, 15분마다 만보계의 값을 검출하여 저장한다. 그러면 24시간 * 4번, 하루에 총 96회의 데이터가 측정되며 누적저장되게 된다.
LoRa모뎀(200)는 시니어의 거주지에 설치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와 통신한다.
상기 누적된 시니어 상태데이터와 기기 상태데이터는 웨어러블 기기(100)에 저장되어 LoRa 중계기(300)를 통해서 일괄로 다음날(D+1) 서버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그 전송방식으로는 저전력이면서 운용비용이 저렴한 LoRa모뎀(200)를 이용한다. 따라서 시니어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100)는 LoRa통신칩이 내장되어 있어서 거주지에 설치된 LoRa모뎀(200)에 접속된다. 따라서 시니어가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한 상태이면서 배터리가 충분하고 거주지 근처 또는 타인의 거주지에 설치된 LoRa모뎀(200)을 통해서 접속되어 전(前)날(D)의 시니어 생체데이터와 기기 상태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만약 LTE 또는 wifi를 통해서 시니어 상태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웨어러블 기기에 LTE 또는 wifi 통신칩이 내장되어 있어야 하며, 무선공유기가 존재해야 한다.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시니어들이 많기 때문에 별도로 무선공유기를 설치하고 인터넷 사용료를 부담해야 하는 것은 결국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저비용 통신을 이용하여 시니어 전(前)일 생체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군단위 또는 농어촌에 효율적인 네크워크를 구성하여 시스템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서버(400)는 상기 LoRa 중계기(300)를 통해 시니어 생체데이터와 기기 상태데이터를 전송받고 분석한다.
상기 서버(400)는 수신모듈(410), 건강정보DB(420), 모니터링DB(430),분석모듈(440), 입출력 모듈(450) 및 송신모듈(460)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수신모듈(410)은 압축 포맷(format) 등 규정된 데이터 처리를 통해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의 헤더 파일(header file) 등에 포함된 기기의 식별ID를 추출한다. 웨어러블 기기(100)의 식별ID를 인식하고, 각 기기들의 모니터링된 시니어 생체데이터와 기기 상태데이터를 수신한다.
특히 상기 수신모듈(410)은 건강정보DB(420)로부터 상기 식별ID에 해당하는 건강정보데이터를 조회하고, 시니어 생체데이터와 기기 상태데이터와 함께 모니터링DB(430)에 저장한다.
상기 건강정보데이터는 식별ID에 대응하는 시니어 개인정보(이름, 주소, 주민번호, 연락처, 보호자 연락처) 및 건강정보(질병명, 중증도, 측정빈도, 응급상황기준:심박수최저, 응급상황기준:심박수최고, 응급상황기준:활동량최저, 응급상황기준:활동량최고, 응급상황기준:체온최저, 응급상황기준:체온최고, 투약여부, 담당관리자, 의료기관)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시니어 생체데이터, 기기 상태데이터와 일부 건강정보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필드를 시니어 토탈데이터라고 정의한다. 상기 시니어 토탈데이터 필드는 식별ID, 이름, 전화번호, 심박수, 활동량, 체온, 플래그, 위치정보(GPS), 측정시간, 배터리 잔량으로 구성되어 모니터링DB(430)에 저장된다.
분석모듈(440)은 상기 모니터링 DB(430)에 저장된 시니어 토탈데이터를 분석하여 시니어의 분석정보를 획득한다.
입출력 모듈(450)는 의료기관 단말기(500)로부터 시니어의 응급기준정보 및 측정빈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건강정보DB(420)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상기 건강정보DB(420)는 병원기록 또는 보건소 시스템과 연계될 수 있으며 의료관계자에 의해서 입력 또는 출력 즉 조회될 수 있다.
송신모듈(460)은 상기 분석모듈에 의해서 생성된 분석정보를 의료기관 단말기(500) 또는 보호자 단말기(600)를 통해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500)는 의료관계자에 의해서 시니어의 건강정보DB(240)를 조회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시니어에게 웨어러블 기기(100)을 설치할 필요가 있을때 식별ID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웨어러블 기기(100)에 측정빈도 및 응급상황기준 데이터를 전송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응급상황 발생시 알람상황을 보고받을 수 있다.
상기 보호자 단말기(600)는 전(前)일 시니어의 활동정보 및 분석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응급상황 발생시 알람상황을 보고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의 웨어러블 기기(1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의 웨어러블 기기(100)는 기본정보수신모듈(110), 생체정보수집모듈(120), 응급상황확인모듈(130), 일일정보저장모듈(140), 일일정보송신모듈(150), 응급상황송신모듈(130'), 기본정보DB(160) 및 일일정보DB(1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기기정보수신모듈(110)은 상기 건강정보DB(420)로부터 식별ID에 해당하는 시니어의 응급기준정보 및 측정빈도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기본정보DB(160)에 저장하며, 웨어러블 기기(100) 펌웨어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측정빈도 및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지역시니어에게 적용하는 시스템이며, 또한 기기에 익숙하지않은 시니어이기 때문에 기기를 조작하게 하거나 알람을 알리는 것은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의료기관 관계자 또는 사회복지사 또는 담당자가 정기적인 검진을 위해서 시니어가 방문할때 또는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를 방문할때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건강정보, 즉 식별ID, 측정빈도, 응급상황기준:심박수최저, 응급상황기준:심박수최고, 응급상황기준:활동량최저, 응급상황기준:활동량최고, 응급상황기준:체온최저, 응급상황기준:체온최고를 웨어러블 기기(10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기본정보수신모듈(110)은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기본정보DB(160)에 저장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의 펌웨어 설정값을 변경하여 측정빈도에 맞게 시니어의 생체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서 일률적인 데이터 수집이 아니라, 시니어의 질병과 중증도에 맞는 개별건강정보가 반영된 생체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이는 데이터 분석에 있어서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심장병의 이력을 가지고 있는 시니어에게 30분에 한번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응급상황 심박수 최저 기준을 평균 60회 대신 50회로, 최고 기준을 100회 대신 90회로 설정할 수도 있다. 특별한 질병이 없는 시니어에게는 1 내지 3시간 마다 측정할 수도 있으며, 우울증 환자인 경우 걷기회수 최저 기준을 평균보다 낮게 설정할 수도 있다.
생체데이터수집모듈(120)은 상기 측정빈도정보에 따라서 각 센서부(미도시)를 통해서 생체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심박수, 활동량, 체온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나, 웨어러블 기기(100)의 사양에 따라서 혈압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응급상황확인모듈(130)은 상기 생체데이터수집모듈(120)를 통해 수집된 생체데이터를 기본정보DB(160)에서 조회된 응급기준정보와 비교하여 기준에서 벗어난 경우, 플래그(FLAG) 필드에 응급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비용 통신을 이용하여 시니어의 전(前)일 생체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군단위 또는 농어촌에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시스템을 절감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반면, 시니어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이며, 전(前)일 데이터 수집을 통한 비용절감과 더불어 안심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100)에서 응급상황을 확인하여 응급상황시 즉각적인 조치를 하도록 설계되어있다.
예를 들면, 생체데이터에서 측정한 심박수,걷기횟수,체온 및 배터리 잔량을 응급상황기준:심박수최저, 응급상황기준:심박수최고, 응급상황기준:활동량최저, 응급상황기준:활동량최고, 응급상황기준:체온최저, 응급상황기준:체온최고 및 배터리 잔량 최저기준의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한편, 사회복지사는 관리하는 시니어들이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100)는 주기적으로 충전하여 주어야 지속적으로 시니어의 상태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고 송신할 수 있게 되므로, 웨어러블 기기가 방전되거나 고장나는 일이 없도록 관리해줄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서 배터리 잔량의 최저기준도 응급기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잔량 데이터는 서버에서 모니터링 DB(430)에 저장되어 분석됨으로써 배터리충전 필요시에 관리자가 전화로 충전을 도와주거나 방문하여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심박수가 응급상황기준의 최저 심박수 이하인 경우 플래그(FLAG)는 '1'로 설정되고, 최고 심박수 이상인 경우 플래그(FLAG)는 '2'로 설정된다. 걷기횟수가 응급상황기준의 최저 걷기횟수 이하인 경우 플래그(FLAG)는 '3'로 설정되고, 최고 걷기횟수 이상인 경우 플래그(FLAG)는 '4'로 설정된다. 상기 체온이 최저 체온이하인 경우 플래그(FLAG)는 '5'로 설정되고, 최고 체온 이상인 경우 플래그(FLAG)는 '6로 설정된다. 또한 배터리 잔량을 체크하여 기준에 미달이 경우 'L'(Low)로 설정되고, 어떤 이유로든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은 경우는 'E'(Error)로 설정된다. 상기 생체데이터가 정상적인 범위에 있는 경우는 'N'(Normal)으로 설정된다. 추가적으로 응급기준이 설정되는 경우에는 플래그 값이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플래그(FLAG)에 1 내지 6에 속하거나 'L'과 'E'에 속하면, 응급상황송신 모듈(130')이 즉각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응급상황송신모듈(130')은 상기 플래그(FLAG) 필드에 응급정보가 기록되면 시니어 토탈데이터를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하고 즉각적으로 LoRa모뎀(200)과 중계기(300)를 통해 서버(400)로 송신하여 응급상황임을 알릴 수 있다.
상기 일일정보저장모듈(140)은 상기 플래그(FLAG)가 'N' 인 경우, 즉 상기 생체데이터수집모듈(120)를 통해 수집된 생체데이터를 기본정보DB(160)에서 조회된 응급기준정보와 비교하여 기준범위내에 있는 경우, 시니어 토탈데이터를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할 수 있다. 설정된 측정빈도에 따라서 상기 일일정보DB(170)에는 하루동안(D)의 시니어 토탈데이터가 누적되어 저장된다.
상기 일일정보송신모듈(150)은 상기 익일(D+1) 소정의 시간에 일일정보DB(170)에 저장된 전(前)일(D) 상태데이터를 LoRa모뎀(200)과 중계기(300)를 통해 서버(400)로 전송하고 일일정보DB(170)를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니어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100)의 통신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니어 계층의 상태데이터의 수집비용을 절감하고, 또한 개별 응급기준정보를 반영함으로써 안전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시니어의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하고, 응급상황시 즉각조치로 사회적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의 분석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의 분석모듈(440)은 응급상황분석모듈(411), 일일분석모듈(442), 주간데이터 패턴분석모듈(443), 장기데이터 경향분석모듈(444), 상태예측 분석모듈(445), 응급정보DB(441-a), 일일분석DB(442-a), 주간분석DB(443-a), 장기분석DB(444-a) 및 예측DB(445-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분석모듈(441)은 모니터링 DB(430)에 기록된 플래그(FLAG) 필드를 포함한 응급상황정보를 전송받아 응급정보DB(441-a)에 저장하고, 상기 플래그 필드에 기록된 응급정보에 따라 송신모듈(460)을 통해 응급상황 알람을 의료기관(500)과 보호자(600)에게 알린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급상황분석모듈(441)은 모니터링DB(430)로부터 상기 식별ID에 해당하는 전(前)일(D)의 시니어 토탈데이터를 전송받고, 이 중에서 상기 플래그가 1 내지 6 또는 'L','E'에 속하는 경우 응급상황으로 분류된다. 특히 상기 플래그가 1 내지 6에 속하는 경우는 건강과 관련된 응급상황이므로 의료기관 단말기(500) 또는 보호자 단말기(600)로 알람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응급관련 문자를 전송할 수도 있다. 향후에 119와 연계하여 구조신호를 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래그가 'L' 또는 'E'인 경우는 배터리가 기준치 미만이거나 또는 기기이상으로 데이터가 수집이 되는 않는 경우로 추정할 수 있으므로 의료기간 단말기(500) 또는 보호자 단말기(600)로 상황에 관한 문자를 보내서 충전문제나 기기이상을 체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분석모듈(441)은 항상 수행되어야 하는 모듈로서 시니어의 안전과 안위를 모니터링하고 응급상황시 즉각조치로 사회적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일일데이터분석모듈(442)은 상기 모니터링DB(430)의 플래그가 'N' 즉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집된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모니터링DB(430)에서 전송받은 일일(D)데이터를 분석하고, 일일데이터 및 일일데이터의 평균값을 일일분석DB(442-a)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상기 일일분석모듈(442)은 하루동안(D)의 시니어 상태데이터를 분석하고, 건강이나 안전의 위험요인을 찾아내며, 그 전일(前日)의 시니어 상태데이터와 비교하여 급격한 일일 생활패턴의 변화를 찾아내어 위험요인을 찾아 응급상황을 의료기관 단말기(500) 또는 보호자 단말기(600)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일분석DB(442-a)의 데이터는 의료기관 단말기(500) 또는 보호자 단말기(600)을 통해서 조회될 수 있으며, 다른 특정한 날의 평균데이터 및 표준편차와 비교하여 그래프나 차트형식으로 보여질 수 있다.
상기 주간데이터 패턴분석모듈(443)은 주간(W)데이터를 분석하고, 주간데이터 및 주간데이터의 평균값을 주간분석DB(443-a)에 전송하여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저장한다. 위치데이터에 의해서 시니어의 활동반경이 체크되고, 만보계와 같은 동작감지센서에 의해서 활동량이 체크되며, 그때 심박수센서에 의해서 심박수의 변화가 동기화된다. 이러한 한주의 활동이 어느 정도 일정한 패턴을 가지게 되며, 그 전주 또는 그 다음주와 비교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의료기관 단말기(500) 또는 보호자 단말기(600)을 통해서 상기 주간 분석DB(443-a)의 내용을 조회할 수 있으며, 다른 특정한 주(W)의 평균데이터 및 표준편차와 비교하여 그래프나 차트형식으로 보여질 수 있다.
상기 장기데이터 경향분석모듈(444)은 월간(M) 또는 연간(Y)데이터를 분석하여 시니어의 상태의 변화를 분석하여 장기분석DB(444-a)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상기 장기데이터 경향분석모듈(444)는 계절에 따른 생체데이터의 변화, 더 나아가 시니어의 나이에 따른 생체데이터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장기데이터 경향분석모듈(444)는 시니어의 노화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가늠자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안전이나 건강에 위험할 정도의 생체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의료기관 단말기(500) 또는 보호자 단말기(600)을 통해서 상기 장기분석DB(443-a)의 내용을 조회할 수 있으며, 다른 특정한 월(M)의 평균데이터 및 표준편차와 비교하여 그래프나 차트형식으로 보여질 수 있다.
상기 상태예측 분석모듈(445)은 상기 장기분석DB(444-a)를 토대로 향후 대상 시니어에게 나타나게 될 상태예측정보를 분석하여 예측DB(445-a)에 전송하여 저장한다.상기 상태예측 분석모듈(445)은 상기 장기분석DB(445-a)를 기초로 앞으로 다가올 시니어의 위험상태에 대해서 미리 예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장기분석DB(445-a)에 기초하여 시니어의 건강이 악화되는 속도에 따라서 의료기관으로 이송해야 하는 단계에 이를 시점 등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향후에 빅데이터와 연계하여 시니어에게 나타날 잠재적인 질병의 요소나 패턴을 통해 위험요소를 미리 파악하게 할 수도 있다.
시니어를 모니터링한 정보의 데이터 분석은 활동량, 심박수 및 수면 상태 등과 같은 각 항목별 분석은 물론 항목간 연관 관계에 대한 분석 등을 포함한다. 또한, 각 항목에 대해 기준치 초과 여부, 평균값, 변동 지수 등의 분석도 포함한다. 분석된 정보는 수치 또는 그래프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호자는 가족이나 자녀를 비롯하여 웹을 통해 연결된 관공서나 유관기관을 포함하며, 관공서나 유관기관은 지자체, 복지센터, 요양센터, 119 등을 포함한다. 또한, 담당 사회 복지사나 의료진도 포함한다. 예컨대, 시니어의 건강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초과하여 급격히 나빠진 경우에는 119나 병원으로 이를 알리고, 차후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자녀 등에 이를 알릴 수 있게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의료기관 단말기(500)는 크게 웨어러블 기기관리모듈(510)과 정보관리모듈(5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관리모듈(510)은 기기정보 입력조회 모듈(511), 건강 및 응급기준 입력조회 모듈(512) 및 기기정보 송신모듈(513)로 구성될 수 있으며, 건강정보관리모듈(520)은 응급상황 알림모듈(521), 일일데이터 조회모듈(522), 주간데이터 패턴조회모듈(523), 장기데이터 패턴조회모듈(524) 및 상태예측결과 조회모듈(52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500)는 해당 관계자에 의해서만 접근되어야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의료기관 단말기(500)는 크게 웨어러블 기기관리모듈(510)과 정보관리모듈(5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관리모듈(510)은 기기정보 입력/조회 모듈(511), 건강 및 응급기준 입력/조회 모듈(512) 및 기기정보 송신모듈(513)로 구성될 수 있으며, 건강정보관리모듈(520)은 응급상황 알림모듈(521), 일일데이터 조회모듈(522), 주간데이터 패턴조회모듈(523), 장기데이터 패턴조회모듈(524) 및 상태예측결과 조회모듈(52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500)는 해당 관계자에 의해서만 접근되어야 한다.
기기정보 입력조회모듈(511)은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ID와 사용자 정보를 입출력모듈(450)로 전송하여 건강정보DB(450)에 저장한다. 시니어에게 처음 웨어러블 기기(100)를 제공하는 경우에 기기의 식별ID와 사용자 정보를 건강정보DB(450)에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이름, 주소, 전화번호, 연락처, 보호자 연락처가 입력될 수 있으며, 필요시 조회될 수 있다.
건강 및 응급기준 입력조회모듈(512)는 병명, 중증도, 측정빈도 및 응급기준 정보를 입출력모듈(450)로 전송하여 건강정보DB(420)에 저장한다. 상기 시니어의 질병정보는 의료기관DB나 보건소 시스템과 연계되어 조회되어 참고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500)에서 질병명, 중증도, 질병과 중증도에 따른 측정빈도, 응급상황기준:심박수최저, 응급상황기준:심박수최고, 응급상황기준:활동량최저, 응급상황기준:활동량최고, 응급상황기준:체온최저, 응급상황기준:체온최고, 투약여부, 담당관리자 및 의료기관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건강 및 응급기준 입력/조회모듈(512)는 병명, 중증도, 측정빈도 및 응급기준 정보를 입력/출력모듈(450)로 전송하여 건강정보DB(420)에 저장한다. 상기 시니어의 질병정보는 의료기관DB나 보건소 시스템과 연계되어 조회되어 참고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500)에서 질병명, 중증도, 질병과 중증도에 따른 측정빈도, 응급상황기준:심박수최저, 응급상황기준:심박수최고, 응급상황기준:활동량최저, 응급상황기준:활동량최고, 응급상황기준:체온최저, 응급상황기준:체온최고, 투약여부, 담당관리자 및 의료기관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시니어 각각의 병명과 중증도에 따른 개별화된 측정빈도 및 응급기준정보를 웨어러블 기기에 설정함으로써 시니어의 안전을 모니터링하고 응급상황 및 응급위기상황을 대처함에 효과가 있다.
기기정보 송신모듈(513)은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ID에 해당하는 건강정보DB(450)를 입출력모듈(450)을 통해 전송받아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100)의 기본정보DB(160)에 전송된다. 상기 기기정보 송신모듈(513)의 수행은 시니어의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 방문시에 의료기관 단말기(500)를 통해서 대면하여 블루투스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정기적인 시니어의 자택 방문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기기정보 송신모듈(513)은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ID에 해당하는 건강정보DB(450)를 입력/출력모듈(450)을 통해 전송받아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100)의 기본정보DB(160)에 전송된다. 상기 기기정보 송신모듈(513)의 수행은 시니어의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 방문시에 의료기관 단말기(500)를 통해서 대면하여 블루투스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정기적인 시니어의 자택 방문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응급상황 알림모듈(521)은 응급정보DB(441-a)에서 추출한 응급정보를 전송받아 설정된 플래그에 따라 응급상황 알림을 발생시키고, 응급상황을 알리는 문자를 유관기관(500) 또는 보호자(600)에게 알릴 수 있다. 의료기관 단말기(500) 또는 보호자 단말기(600)에서는 플래그가 1 내지 6인 경우는 건강관련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알람신호 및 알람문자를 받을 수 있으며, 플래그가 'L' 또는 'E' 인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 또는 기기이상과 관련된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알람신호와 알림문자를 받을 수 있으며, 담당 사회복지사의 문자로도 수신되어 충전 및 기기 점검을 위해서 방문을 요청하는 문자가 발송되어질 수도 있다.
일일데이터 조회모듈(522)은 일일분석DB(442-a)에서 추출한 일일(D)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여준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일(D)데이터와 다른 날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그래프나 차트로 보여질 수 있다.
주간데이터 패턴조회모듈(523)은 주간분석DB(443-a)에서 추출한 주간별 평균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여준다.
장기데이터 패턴조회모듈(524)은 장기분석DB(444-a)에서 추출한 월간 또는 년간의 평균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여준다.
상태예측정보 조회모듈(525)은 예측DB(445-a)에서 추출한 상태예측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의 보호자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고해보면, 보호자 단말기(600)는 시니어건강조회모듈(610), 응급상황 알림모듈(611), 일일데이터 조회모듈(612), 주간데이터 패턴조회모듈(613), 장기데이터 패턴조회모듈(615) 및 관리자/병원정보 조회모듈(61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자 단말기(600)는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500)와 거의 비슷하지만 주로 데이터를 조회하는 용도로만 기능을 한정시킬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의 일시예로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에 설정된 측정빈도에 따라 24시간(D)의 시니어 생체데이터를 측정하고, 기기 상태데이터와 함께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하는 단계(S1); 상기 일일정보DB(170)에 저장된 시니어 생체데이터와 기기 상태데이터를 익일(D+1)에 LoRa모뎀(200) 통해 서버(400)에 송신하는 단계(S2); 상기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서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ID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ID의 건강정보DB(420)을 조회하여 시니어 토탈데이터를 생성하여 모니터링DB(430)에 저장하는 단계(S3); 상기 저장된 모니터링DB(430)로 데이터를 추출하여 응급상황 검출 및 생체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4); 제3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5); 를 포함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의 다른 실시예이다.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500)에서 웨어러블 기기(100)와 연결된 시니어의 식별ID에 해당하는 건강정보DB(420)에 입력된 생체데이터 측정 빈도횟수 및 응급기준을 조회하여 블루투스를 통해서 기본정보DB(160)에 설정하는 단계(W1); 상기 측정된 생체데이터와 응급기준정보를 비교하여 기준에 벗어나면 플래그(FLAG)를 설정하고, 수집된 생체데이터, 위치정보(GPS), 식별ID, 수집시간, 배터리 잔량을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하고, 상기 일일정보DB(170)를 서버(40)로 송신하는 단계(W2,W2' );정상인 경우 정해진 측정빈도에 따라 수집된 생체데이터, 위치정보(GPS), 식별ID, 수집시간, 배터리 잔량을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하는 단계(W3); 익일(D+1)에 서버(40)의 수신모듈(410)로 일일정보DB(170)을 일괄로 송신하고 기존DB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W4);를 포함한다. W2' 단계는 응급상황시에만 수행되며 생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는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웨어러블 기기(스마트 밴드)
200: LoRa모뎀
300: LoRa중계기
400 : 서버
410: 수신 모듈
420: 모니터링 DB
430 : 건강정보 DB
440 : 분석모듈
450 : 송신모듈
500 : 의료기관 단말기
600 : 보호자 단말기

Claims (6)

  1. 개별 식별ID를 구비하고 하루동안(D)의 시니어 생체데이터를 측정하고, 기기 상태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시니어(senior)의 웨어러블 기기(100);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와 통신하기 위하여 시니어의 거주지에 설치된 LoRa모뎀(200);
    상기 LoRa모뎀과 연계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 상태데이터와 시니어 생체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LoRa 중계기(300);
    상기 LoRa 중계기로부터 시니어 생체데이터와 기기 상태데이터를 전송받고 분석하는 서버(400);
    상기 서버(400)의 분석정보를 전달받은 유관기관 단말기(500)과 보호자 단말기(600)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400)는,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ID를 인식하고, 각 기기들의 모니터링된 시니어 생체데이터와 기기 상태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듈(410);
    건강정보DB(420)에서 상기 수신모듈(410)로부터 전송된 웨어러블 기기(100)의 식별 ID와 일치하는 시니어 건강데이터를 조회한 후, 상기 시니어 건강데이터를 상기 시니어 생체데이터 및 기기 상태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모니터링 DB(430);
    상기 모니터링 DB(430)에 저장된 시니어 토탈데이터를 분석하여 시니어의 분석정보를 획득하는 분석모듈(440);
    의료기관 단말기(500)로부터 시니어의 응급기준정보 및 측정빈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건강정보DB(420)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입출력 모듈(450);
    상기 분석모듈에 의해서 생성된 분석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모듈(460);
    을 포함하되,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는,
    상기 건강정보DB(420)로부터 식별ID에 해당하는 시니어의 응급기준정보 및 측정빈도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기본정보DB(160)에 저장하여, 웨어러블 기기(100) 펌웨어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기기정보설정모듈(110);
    상기 측정빈도정보에 따라서 각 센서부(미도시)를 통해서 생체데이터를 전송받는 생체데이터수집모듈(120);
    상기 생체데이터수집모듈(120)를 통해 수집된 생체데이터를 기본정보DB(160)에서 조회된 응급기준정보와 비교하여 기준에서 벗어난 경우, 플래그(FLAG) 필드에 응급정보를 기록하는 응급상황확인모듈(130);
    상기 플래그(FLAG) 필드에 응급정보가 기록되면 시니어 토탈데이터를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하고 즉각적으로 LoRa모뎀(200)과 중계기(300)를 통해 서버(400)로 송신하여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응급상황송신모듈(130');
    상기 생체데이터수집모듈(120)를 통해 수집된 생체데이터를 기본정보DB(160)에서 조회된 응급기준정보와 비교하여 기준범위내에 있는 경우, 시니어 토탈데이터를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하고 전송하는 일일정보저장모듈(140);
    익일(D+1) 소정의 시간에 일일정보DB(170)에 저장된 전(前)일(D) 상태데이터를 LoRa모뎀(200)과 중계기(300)를 통해 서버(400)로 전송하고 일일정보DB(170)를 삭제하는 일일정보송신모듈(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모듈(440);은
    모니터링 DB(430)로부터 플래그가 포함된 시니터 토털데이터를 전송받아 응급정보DB(441-a)에 저장하고, 상기 플래그 필드에 기록된 응급정보에 따라 송신모듈(460)을 통해 응급상황 알람을 의료기관(500)과 보호자(600)에게 알리는 응급상황분석모듈(441);
    일일(D)데이터를 분석하고, 일일데이터 및 일일데이터의 평균값을 일일분석DB(442-a)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일일분석모듈(442);
    주간(W)데이터를 분석하고, 주간데이터 및 주간데이터의 평균값을 주간분석DB(443-a)에 전송하여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주간데이터 패턴분석모듈(443);
    월간(M) 또는 연간(Y)데이터를 분석하여 시니어의 상태의 변화를 분석하여 장기분석DB(444-a)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장기데이터 경향분석모듈(444);
    상기 장기분석DB(444-a)를 토대로 향후 대상 시니어에게 나타나게 될 상태예측정보를 분석하여 예측DB(445-a)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상태예측 분석모듈(4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500)는,
    웨어러블 기기관리모듈(510)과; 건강정보관리모듈(520);을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관리모듈(510);은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ID와 사용자 정보를 입출력모듈(450)로 전송하여 건강정보DB(450)에 저장하는 기기정보 입력조회모듈(511);
    질병명, 중증도, 측정빈도 및 응급기준 정보를 입출력모듈(450)로 전송하여 건강정보DB(450)에 저장하는 건강 및 응급기준 입력조회모듈(512);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ID에 해당하는 건강정보DB(450)를 입출력모듈(450)을 통해 전송받아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100)의 기본정보DB(160)로 전송하는 기기정보 송신모듈(513);을 포함하고,
    상기 건강정보관리모듈(520);은
    응급정보DB(441-a)에서 추출한 응급정보를 전송받아 설정된 플래그에 따라 응급상황 알림을 발생시키고, 응급상황을 알리는 문자를 유관기관(500) 또는 보호자(600)에게 알리는 응급상황 알림모듈(521);
    일일분석DB(442-a)에서 추출한 일일(D)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여주는 일일데이터 조회모듈(522);
    주간분석DB(443-a)에서 추출한 주간별 평균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여주는 주간데이터 패턴조회모듈(523);
    장기분석DB(444-a)에서 추출한 월간 또는 년간의 평균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여주는 장기데이터 패턴조회모듈(524);
    예측DB(445-a)에서 추출한 상태예측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여주는 상태예측결과 조회모듈(5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에 설정된 측정빈도에 따라 24시간(D)의 시니어 생체데이터를 측정하고, 기기 상태데이터와 함께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하는 단계(S1);
    상기 일일정보DB(170)에 저장된 시니어 생체데이터와 기기 상태데이터를 익일(D+1)에 LoRa모뎀(200) 통해 서버(400)에 송신하는 단계(S2);
    상기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서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ID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 ID의 건강정보DB(420)을 조회하여 시니어 토탈데이터를 생성하여 모니터링DB(430)에 저장하는 단계(S3);
    상기 저장된 모니터링DB(430)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응급상황확인 및 생체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4);
    제3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5); 를 포함하는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방법.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500)에서 웨어러블 기기(100)와 연결된 시니어의 식별ID에 해당하는 건강정보DB(420)에 입력된 생체데이터 측정 빈도횟수 및 응급기준을 조회하여 블루투스를 통해서 기본정보DB(160)에 설정하는 단계(W1);
    상기 측정된 생체데이터와 응급기준정보를 비교하여 기준에 벗어나면 플래그(FLAG)를 설정하고, 수집된 생체데이터, 위치정보(GPS), 기기ID, 수집시간, 배터리 잔량을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하고, 상기 일일정보DB(170)를 서버(40)로 송신하는 단계(W2,W2' );
    정상인 경우 정해진 측정빈도에 따라 수집된 생체데이터, 위치정보(GPS), 기기ID, 수집시간, 배터리 잔량을 일일정보DB(170)에 저장하는 단계(W3);
    익일(D+1)에 서버(40)의 수신모듈(410)로 일일정보DB(170)을 일괄로 송신하고 기존DB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W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방법

KR1020190143869A 2019-11-11 2019-11-11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2079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69A KR102079924B1 (ko) 2019-11-11 2019-11-11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69A KR102079924B1 (ko) 2019-11-11 2019-11-11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924B1 true KR102079924B1 (ko) 2020-04-07

Family

ID=7029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869A KR102079924B1 (ko) 2019-11-11 2019-11-11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9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169A (ko) * 2020-08-11 2022-02-18 박영진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KR20220041409A (ko) 2020-09-25 2022-04-01 노동주 시니어 그룹을 위한 플랫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6687A (ko) * 2013-08-05 2015-02-13 권영억 독거인용 케어 시스템
KR101648076B1 (ko) 2016-02-05 2016-08-12 주식회사 지비콘 비콘 신호를 이용한 독거 노인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609B1 (ko) 2014-07-18 2016-09-07 함준혁 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2159B1 (ko) * 2016-12-22 2018-07-05 (주)하트비트 웨어러블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19290A (ko) *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유비케어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79795A (ko) * 2017-12-28 2019-07-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6687A (ko) * 2013-08-05 2015-02-13 권영억 독거인용 케어 시스템
KR101654609B1 (ko) 2014-07-18 2016-09-07 함준혁 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8076B1 (ko) 2016-02-05 2016-08-12 주식회사 지비콘 비콘 신호를 이용한 독거 노인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862159B1 (ko) * 2016-12-22 2018-07-05 (주)하트비트 웨어러블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19290A (ko) *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유비케어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79795A (ko) * 2017-12-28 2019-07-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169A (ko) * 2020-08-11 2022-02-18 박영진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KR102383384B1 (ko) * 2020-08-11 2022-04-05 박영진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KR20220041409A (ko) 2020-09-25 2022-04-01 노동주 시니어 그룹을 위한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7985B2 (en) Notification system of deviation from predefined conditions
KR100813166B1 (ko)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Lv et al. iCare: a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US7616110B2 (en) Mobile wireless customizable health and condition monitor
KR101897236B1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실시간 사고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스마트밴드
Scanaill et al. Long-term telemonitoring of mobility trends of elderly people using SMS messaging
JP2013238970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JP2015103116A (ja) 自動通報システム
KR102079924B1 (ko)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201002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KR20140049795A (ko)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KR102285597B1 (ko) 웨어러블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간호지원 시스템
WO20181344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reporting
KR20090100965A (ko) 보호관찰대상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055974B2 (en) Recognizing alarm fatigue in a clinical setting
KR102510180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ulkarni et al. A survey on smart health care system implemented using Internet of Things
KR20170077708A (ko)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6653A (ko)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KR20200116241A (ko) 스마트 돌보미 시스템
KR20210006200A (ko) Ami 통신망을 이용하는 실버 헬스케어 시스템
KR102559060B1 (ko) 무선네트워크 및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스마트 예방접종 관리시스템 및 방법
Latha et al. Cloud-Based Smart Sensing System for Real-Time Health Management of Dementia Patients
JP2016122434A (ja) 在宅医療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