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795A -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795A
KR20190079795A KR1020170181767A KR20170181767A KR20190079795A KR 20190079795 A KR20190079795 A KR 20190079795A KR 1020170181767 A KR1020170181767 A KR 1020170181767A KR 20170181767 A KR20170181767 A KR 20170181767A KR 20190079795 A KR20190079795 A KR 20190079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biometric
unique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8581B1 (ko
Inventor
최해철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1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5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생체정보측정장치, 및 의료진이 휴대가능한 의료진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관리서버를 통하여 환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의료기관을 추천하는,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중증도를 판별하고 실시간으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측정장치; 상기 생체측정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관리서버에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정보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A Triage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생체정보측정장치, 및 의료진이 휴대가능한 의료진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관리서버를 통하여 환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의료기관을 추천하는,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의 경우,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측정되는 생체정보를 기초로 환자의 중증도를 판별할 수 있었지만, 재난상황에서 이와 같은 환자의 중증도를 기초로 하여 의료진에게 환자의 건강상의 위험요소를 판단하여 의료진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판단하거나, 의료기관을 추천하는 등의 종합적인 시스템을 갖추지는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중증도를 판별하는 것 이외에, 의료진의 판단을 도울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의료진에게 전송하거나, 중증도를 포함하는 환자로부터 측정하여 도출된 정보, 및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의료진에게 전송을 하여, 응급환자의 경우 신속하게 이송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등의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생체정보측정장치, 및 의료진이 휴대가능한 의료진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환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의료기관을 추천하는,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 시스템으로서,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중증도를 판별하고 실시간으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측정장치; 상기 생체측정장치와 통신하여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의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기입력된 상기 환자의 병력사항을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환자분석데이터 및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관리서버에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정보서버; 를 포함하는,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은, 상기 생체측정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수신하는 의료진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생체측정장치는,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고유ID저장부; 상기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측정부;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중증도를 판별하는 환자중증도판별부;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디스플레이부; 상기 환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위치정보측정부; 상기 관리서버와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의료진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장치디스플레이부는, 측정된 상기 생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생체정보디스플레이부; 및 판별된 상기 중증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증도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생체측정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제3 통신모듈; 상기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생체정보관리부; 및 상기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의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환자이력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생체정보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환자이력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력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건강상 위험요소를 판단하여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환자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환자위험도판단부; 상기 위치정보, 상기 의료기관정보, 및 상기 환자분석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하는 의료기관추천부; 및 상기 의료진단말기와 기지국을 이용한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전송하는 제4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의료진단말기는, 상기 생체측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제5 통신모듈; 상기 관리서버와 기지국을 이용한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수신하는 제6 통신모듈;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의료진단말기는, 상기 생체측정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생체정보, 상기 중증도, 및 상기 의료진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환자분석데이터를 기초로 직접적인 의료진판단을 입력하는 의료진판단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 통신모듈은, 상기 관리서버와 기지국을 이용한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의료진의 직접적인 판단을 전송하고, 상기 의료기관추천부는, 상기 위치정보, 상기 의료기관정보, 및 상기 의료진판단을 기초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의료기관 추천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현장에서 다수의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환자로부터 측정되는 생체정보를 기초로 중증도를 판별하여 재난현장에 파견된 의료진이 적은 인력으로도 효율적으로 환자에게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인 혹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일반환자로부터 측정되는 생체정보를 기초로 일반인 혹은 일반환자의 건강상태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응급상황의 발생에 미리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되는 소용량의 데이터를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생체측정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측정장치에 저장된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의료진단말기에 전송하여, 짧은 처리시간으로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서버에서 생성되는 환자분석데이터 및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기지국을 이용한 이동통신방식으로 전송하여, 안정성과 통신속도를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관리서버에 환자에 따라 기입력 된 병력사항을 포함하는 환자의 이력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환자로부터 측정된 생체정보 및 환자의 이력정보를 기초로 신뢰성 있는 환자분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환자의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와 의료기관정보를 기초로 관리서버에서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하여 의료진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의료진이 환자를 이송함에 있어서 이송시간을 줄이고 의료기관에 대한 효율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의 동작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측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측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추천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진단말기의 내부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의 동작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은, 무선통신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생체측정장치(1000), 관리서버(2000), 의료진단말기(30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는 상기 환자로부터 측정 가능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관리서버(2000)는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와 통신하여 상기 환자로부터 측정 가능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환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를 휴대한 의료진은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로부터 상기 환자에게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2000)에서 관리되는 상기 환자의 건강상태가 자동으로 전송되어, 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건간상태의 변화에 대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환자는 일상적인 의미의 환자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생체측정장치가 신체에 부착되어 건강상태가 관리되는 일반인, 일반환자, 혹은 응급환자를 포함하는 모든 유형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은, 일반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관리를 위하여 사용되거나, 혹은 일상생활에서 활동 중이지만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일반환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관리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은, 재난현장에 파견된 의료진이 재난현장에서 발생하는 응급환자에 대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은,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중증도를 판별하고 실시간으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측정장치(1000);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와 통신하여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의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기입력된 상기 환자의 병력사항을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환자분석데이터 및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서버(2000); 및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관리서버에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정보서버(4000); 를 포함하는,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와 통신하여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서버(2000)로부터 상기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수신하는 의료진단말기(3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환자에게 부여된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환자의 심전도, 심박, 맥박, 산소포화도, 체온, 호흡, 및 혈압 등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측정 가능한 모든 종류의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환자에게 부여된 고유식별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후술하는 상기 관리서버(2000)에서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는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중증도를 판별한다.
상기 중증도는 상기 생체측정장치가 부착된 상기 일반인, 혹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일반환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할 때 상기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되는 생체정보에 따라 위급한 정도에 따른 분류를 나타내거나, 혹은 재난현장에서 발생한 응급환자에게 부착된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되는 생체정보에 따라 위급한 정도에 따른 분류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증도는 수분 혹은 수시간 이내의 응급처치를 요하는 중증환자인 긴급환자, 수시간 이내의 응급처치를 요하는 중증환자인 응급환자, 수시간 혹은 수일 후에 치료해도 생명에 관계가 없는 환자인 비응급환자, 및 사망하였거나 생존의 가능성이 없는 환자인 지연환자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분류는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에서 판별되어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는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정보는 관리서버(2000)에서 관리되어 후술하는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2000)는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와 통신하여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에 기입력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병력사항을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관리서버(20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이력정보를 기초로 상기 생체측정장치에서 판별된 상기 중증도와는 별개의 상기 환자의 위험도에 대한 상기 환자분석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환자분석데이터는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생성되지만 상기 중증도와 달리 상기 환자의 병력(病歷)사항 등을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됨으로써,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에 의하여 현장에서 즉시 판별되는 상기 중증도와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20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게 의료기관을 추천하는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정보서버(4000)에서 제공되는 상기 의료기관 정보를 이용한다.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는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와 통신하여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는 상기 관리서버(2000) 와 통신하여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의료진은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에서 판별된 상기 중증도,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에서 수신한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응급치료 방법 혹은 상기 환자가 이송될 의료기관을 신속하게 판단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측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는,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고유ID저장부(100); 상기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측정부(200);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중증도를 판별하는 환자중증도판별부(300);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디스플레이부(400); 상기 환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위치정보측정부(500); 상기 관리서버와 기지국을 이용한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1 통신모듈(600); 및 상기 의료진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2 통신모듈(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ID저장부(100)는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가 부착되는 환자에게 고유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상기 환자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환자에 따라 분류하기 위하여 부여되는 식별정보로서, 상기 관리서버(2000)로 송신되는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상기 환자의 유형에 따라 응급상황 전에 기등록 되어 부여되거나 혹은 응급상황 중에 실시간으로 부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가 부착된 상기 일반인 혹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기 일반환자의 경우, 기등록 되어 부여된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일반인 혹은 상기 일반환자의 상기 생체정보 혹은 상기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관리하고 응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현장에서 발생한 상기 응급환자의 경우, 응급상황 중에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를 상기 응급환자에게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부여하고, 실시간으로 부여된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응급환자의 상기 생체정보 혹은 상기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재난현장에서 다수의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여러 대의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를 상기 다수의 응급환자 각각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다수의 응급환자 각각에 대한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부여하고, 실시간으로 부여된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응급환자의 상기 생체정보 혹은 상기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다수의 응급환자 각각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측정부(200)는 상기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환자의 심전도, 심박, 맥박, 산소포화도, 체온, 호흡, 및 혈압 등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측정 가능한 모든 종류의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중증도판별부(300)에 입력되어 상기 중증도를 판별하기 위한 기초가 될 수 있고, 상기 환자에게 부여된 고유식별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후술하는 상기 관리서버(2000)에서 관리될 수 있다.
상기 환자중증도판별부(300)는 상기 생체정보측정부(200)에서 수신한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중증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생체측정장치가 부착된 상기 일반인, 혹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일반환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할 때 상기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되는 생체정보에 따라 위급한 정도에 따른 분류를 나타내거나, 혹은 재난현장에서 발생한 응급환자에게 부착된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되는 생체정보에 따라 위급한 정도에 따른 분류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증도는 수분 혹은 수시간 이내의 응급처치를 요하는 중증환자인 긴급환자, 수시간 이내의 응급처치를 요하는 중증환자인 응급환자, 수시간 혹은 수일 후에 치료해도 생명에 관계가 없는 환자인 비응급환자, 및 사망하였거나 생존의 가능성이 없는 환자인 지연환자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분류는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에서 판별되어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장치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중증도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장치디스플레이부(300)를 볼 수 있는 거리에 있는 주위 사람이나, 혹은 파견된 의료진이 상기 중증도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치정보측정부(500)는 상기 환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2000)는 상기 생체측정기기(1000)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모듈(600)은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가 기지국을 이용한 저전력 장거리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방식(LPWA: Low-Power Wide-Area)은 통신 거리가 넓고 전력소모가 적어 배터리의 수명이 수년간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생체측정기기(1000)는 적은 전력소모로 상기 관리서버(2000)에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 등과 같은 소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통신모듈(600)은 상기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방식에 포함되는 LoRa(Long Range) 통신방식으로 상기 관리서버(2000)와 통신하여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모듈(700)은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가 의료진단말기(3000)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으로 통신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은 Bluetooth, Zig bee, RFID 방식 등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거리가 짧은 대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장치 사이의 연결시간이 짧고 보안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생체측정기기(1000)는 의료진이 휴대하는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에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통신모듈(700)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포함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와 통신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측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디스플레이부(400)는, 측정된 상기 생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생체정보디스플레이부(410); 및 판별된 상기 중증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증도디스플레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디스플레이부(400)를 구성하는 생체정보디스플레이부(410)는 상기 생체정보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상기 생체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측정부(200)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생체정보가 상기 생체정보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됨으로써, 상기 환자의 주위에 위치한 사람 혹은 의료진이 육안으로 상기 생체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의료진은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건강상태를 직접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디스플레이부(400)를 구성하는 중증도디스플레이부(420)는 상기 환자중증도판별부(300)에서 판별되는 상기 중증도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환자중증도판별부(300)로부터 판별되는 상기 중증도가 상기 중증도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됨으로써, 상기 환자의 주위에 위치한 사람 혹은 의료진이 육안으로 상기 생체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환자의 주위에 위치한 사람은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상기 중증도를 기초로 의료진을 요청하거나, 혹은 상기 의료진은 상기 중증도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위급한 정도를 판단하여, 응급상황에서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2000)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장치는 프로세서(A), 버스(프로세서, 메모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이의 양방향 화살표에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B) 및 메모리(C)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C)에는 운영체제, 및 상기 프로세서를 구성하는 모듈/부의 프로그램실행코드, 환자별 생체정보, 환자별 이력정보, 혹은 의료기관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혹은 상기 추론부학습데이터는 딥러닝이 진행된 모델링 정보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A)에서는 생체정보관리부(2100), 환자이력관리부(2200), 환자위험도판단부(2300), 의료기관추천부(2400)가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관리서버(2000)는 도 4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B)를 통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는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B)는 관리서버(2000)를 구현하는 컴퓨팅장치를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B)는 관리서버(2000)를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A)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관리서버(2000)를 구현하는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C)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B)에 의해, 그리고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생체정보관리부(2100), 환자이력관리부(2200), 환자위험도판단부(2300), 의료기관추천부(2400)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관리부(2100), 환자이력관리부(2200), 환자위험도판단부(2300), 의료기관추천부(2400)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자동화된 피평가자분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프로세서는 자동화된 피평가자분석 방법에 따라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가 더 포함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상기 컴퓨팅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개인용 컴퓨터 혹은 서버에 해당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과,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관리서버(2000)는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와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제3 통신모듈(2500);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생체정보관리부(2100); 및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의 병력기록을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환자이력관리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서버(2000)는, 상기 생체정보관리부(2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환자이력관리부(2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력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건강상 위험요소를 판단하여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환자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환자위험도판단부(2300); 상기 위치정보, 상기 의료기관정보, 및 상기 환자분석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하는 의료기관추천부(2400); 및 상기 의료진단말기와 기지국을 이용한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전송하는 제4 통신모듈(2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관리서버(2000)의 세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3 통신모듈(2500)은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와 통신하여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통신모듈(2500)은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와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상기 관리서버(2000) 내의 통신모듈(미도시) 혹은 상기 관리서버(2000) 외부의 통신모듈(미도시)과 통신하여, 상기 관리서버(2000) 내의 통신모듈(미도시) 혹은 상기 관리서버(2000) 외부의 통신모듈(미도시)이 수신하는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제3 통신모듈(2500)이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와 통신하여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통신모듈(60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방식(LPWA: Low-Power Wide-Area)은 통신 거리가 넓고 전력소모가 적어 배터리의 수명이 수년간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관리서버(2000)는 상기 생체측정기기(10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 등과 같은 소용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통신모듈(2500)은 상기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방식에 포함되는 LoRa(Long Range) 통신방식으로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와 통신하여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관리부(2100)는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관리한다.
즉, 상기 제3 통신모듈(2500)을 통하여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라서 구분하여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후술하는 환자위험도판단부(2300) 및 의료기관추천부(2400)에서 이를 기초로 환자분석데이터 및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환자이력관리부(2200)는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의 병력기록을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관리한다.
이와 같은 이력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반인, 혹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일반환자가 상기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서, 응급상황 발생 전에 미리 등록되어 부여된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일반인 혹은 상기 일반환자에 의하여 기입력되는 상기 환자의 병력사항을 포함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이력정보는 상기 환자의 병력사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하는 모든 사항을 미리 입력함으로써, 상기 환자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환자분석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서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환자분석데이터는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력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됨으로써,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에서 판별되는 상기 중증도와 구별되고, 상기 환자의 이력정보에 따라 더 구체적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험도판단부(2300)는 상기 생체정보관리부(2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환자이력관리부(2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력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건강상 위험요소인 위험도를 판단하여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환자분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환자의 위험도를 포함하는 환자분석데이터는 상기 생체측정장치에서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판별된 상기 중증도와는 구분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즉, 이와 같은 상기 환자분석데이터는 상기 환자의 병력사항 등을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됨으로써,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에 의하여 현장에서 즉시 판별되는 상기 중증도와 구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자분석데이터가 상기 관리서버(2000)로부터 상기 의료진단말기에 전송됨으로써, 재난현장에 파견된 의료진이 상기 환자에 대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판단의 기초가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추천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의료기관추천부(2400)는 상기 위치정보, 상기 의료기관정보, 및 상기 환자분석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료기관추천데이터가 상기 관리서버(2000)로부터 상기 의료진단말기에 전송됨으로써, 특히 재난현장에 파견된 의료진이 상기 응급환자를 이송함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의료기관을 선택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하여 더 빠른 시간 내에 의료기관의 진료 혹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4 통신모듈(2600)은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와 기지국을 이용한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을 이용한 이동통신방식은 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 혹은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통신방식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서버(2000)는 LTE 이동통신 방식과 같이 이동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동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이동 중에도 안정적으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의료진은 상기 관리서버(20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자에게 효율적으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는 상기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통신모듈(600)을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2000)로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2000)는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생체정보관리부(2100)에서 상기 생체정보를 관리한다.
의료진이 휴대한 의료진단말기(3000)가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로부터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인 제1 고유ID를 수신하면,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는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인 제2 고유ID를 상기 관리서버(2000)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2000)는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인 제2 고유ID에 따라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를 통하여 수신하여 생성한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포함하는 해당환자정보를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관리서버(2000)로부터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에 전송되는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는 계속하여 업데이트 되어 상기 관리서버(2000)로부터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에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의료진은 상기 관리서버(2000)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게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진단말기의 내부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는,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제5 통신모듈(3300); 상기 관리서버(2000)와 기지국을 이용한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생체측정장치로(1000)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수신하는 제6 통신모듈(3400); 및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디스플레이부(3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통신모듈(3300)은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은 Bluetooth, Zig bee, RFID 방식 등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거리가 짧은 대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장치 사이의 연결시간이 짧고 보안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는 생체측정기기(1000)로부터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5 통신모듈(3300)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포함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와 통신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6 통신모듈(3400)은 상기 관리서버(2000)와 기지국을 이용한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을 이용한 이동통신방식은 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 혹은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통신방식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는 LTE 이동통신 방식과 같이 이동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동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이동 중에도 안정적으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의료진은 상기 관리서버(20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자에게 효율적으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디스플레이부(3200)는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치디스플레이부(3200)를 통하여 이와 같은 환자분석데이터 및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의료진은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게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는, 상기 생체측정장치(10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생체정보, 상기 중증도, 및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환자분석데이터를 기초로 직접적인 의료진판단을 입력하는 의료진판단입력부(3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 통신모듈(3400)은, 상기 관리서버(2000)와 기지국을 이용한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의료진의 직접적인 판단을 입력하고, 상기 의료기관추천부(2400)는, 상기 위치정보, 상기 의료기관정보, 및 상기 의료진의 직접적인 판단을 기초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의료진판단입력부(3100)는 상기 의료진이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에 의존하여 상기 환자에게 필요한 조치를 하는 것 이외에, 상기 의료진에게 주어진 상기 생체정보, 상기 중증도, 및 상기 환자분석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기초로 직접적인 진료에 의하여 판단되는 의료진판단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리서버(2000)를 구성하는 상기 의료기관추천부(2400)는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의료기관정보에 더하여 상기 의료진판단을 기초로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환자분석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발생할 수 있는 혹시 모를 오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의료기관정보에 더하여 상기 의료진판단을 기초로 생성된 의료기관추천데이터는 다시 상기 의료진단말기(3000)로 전송되어 상기 의료진의 상기 환자 이송을 도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 시스템으로서,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중증도를 판별하고 실시간으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측정장치;
    상기 생체측정장치와 통신하여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의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기입력된 상기 환자의 병력사항을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환자분석데이터 및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관리서버에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정보서버; 를 포함하는,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은,
    상기 생체측정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수신하는 의료진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체측정장치는,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고유ID저장부;
    상기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측정부;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중증도를 판별하는 환자중증도판별부;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디스플레이부;
    상기 환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위치정보측정부;
    상기 관리서버와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의료진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환자 중증도 분류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치디스플레이부는,
    측정된 상기 생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생체정보디스플레이부; 및
    판별된 상기 중증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증도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환자의 중증도 분류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상기 생체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제3 통신모듈;
    상기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생체정보관리부; 및
    상기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의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환자이력관리부;를 포함하는, 환자중증도 분류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생체정보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환자이력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력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건강상 위험요소를 판단하여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환자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환자위험도판단부;
    상기 위치정보, 상기 의료기관정보, 및 상기 환자분석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생성하는 의료기관추천부; 및
    상기 의료진단말기와 기지국을 이용한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전송하는 제4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단말기는,
    상기 생체측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제5 통신모듈;
    상기 관리서버와 기지국을 이용한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수신하는 제6 통신모듈;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분석데이터 및 상기 의료기관추천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8.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단말기는,
    상기 생체측정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생체정보, 상기 중증도, 및 상기 의료진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환자분석데이터를 기초로 직접적인 의료진판단을 입력하는 의료진판단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 통신모듈은,
    상기 관리서버에 기지국을 이용한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의료진의 직접적인 판단을 전송하고,
    상기 의료기관추천부는,
    상기 위치정보, 상기 의료기관정보, 및 상기 의료진판단을 기초로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의료기관 추천데이터를 생성하는,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KR1020170181767A 2017-12-28 2017-12-28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KR102068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767A KR102068581B1 (ko) 2017-12-28 2017-12-28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767A KR102068581B1 (ko) 2017-12-28 2017-12-28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795A true KR20190079795A (ko) 2019-07-08
KR102068581B1 KR102068581B1 (ko) 2020-01-21

Family

ID=6725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767A KR102068581B1 (ko) 2017-12-28 2017-12-28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5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924B1 (ko) * 2019-11-11 2020-04-07 이민우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20220086186A (ko) * 2020-12-16 2022-06-2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3277293A1 (ko) * 2021-06-28 2023-01-05 서울대학교병원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KR102637640B1 (ko) * 2023-06-19 2024-02-19 (주)유신씨앤씨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의사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282A (ko) * 2021-06-28 2023-01-04 서울대학교병원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124A (ko) 2006-07-04 2008-01-09 오해석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시스템
KR100800026B1 (ko) *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2286A (ko) * 2011-07-25 2013-02-04 (주)피지오랩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
KR101633344B1 (ko) * 2015-10-23 2016-06-24 주식회사 자원메디칼 생체 정보 측정 장치, 서버 및 프로그램
KR20170120860A (ko) * 2016-04-22 2017-11-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
KR20170122510A (ko) * 2016-04-27 2017-11-06 (주)지맥스솔루션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124A (ko) 2006-07-04 2008-01-09 오해석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시스템
KR100800026B1 (ko) *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2286A (ko) * 2011-07-25 2013-02-04 (주)피지오랩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
KR101633344B1 (ko) * 2015-10-23 2016-06-24 주식회사 자원메디칼 생체 정보 측정 장치, 서버 및 프로그램
KR20170120860A (ko) * 2016-04-22 2017-11-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
KR20170122510A (ko) * 2016-04-27 2017-11-06 (주)지맥스솔루션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924B1 (ko) * 2019-11-11 2020-04-07 이민우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20220086186A (ko) * 2020-12-16 2022-06-2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3277293A1 (ko) * 2021-06-28 2023-01-05 서울대학교병원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KR102637640B1 (ko) * 2023-06-19 2024-02-19 (주)유신씨앤씨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의사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581B1 (ko)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2807B2 (en) Hardware system for active RFID identification and location tracking
KR102068581B1 (ko)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Tresp et al. Going digital: a survey on digitalization and large-scale data analytics in healthcare
US20150106118A1 (en) Cloud-Based Storage and Retrieval of Medical Inform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Schreier The internet of things for personalized health
US11495352B2 (en) Population health platform
Ho et al. A call for an ethics and governance action plan to harness the pow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gitalization in nephrology
Vyas et al. Smart health systems: emerging trends
US20220139550A1 (en) Population health platform
EP3326394B1 (en) Wireless bridge hardware system for active rfid identification and location tracking
Kumar et al. 6G-enabled IoT and AI for smart healthcare: Challenges, impact, and analysis
Reddy Amalgamation of Internet of Things and Machine Learning for Smart Healthcare Applications–A Review
US11593606B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edicting adverse events
Nguyen HSSCIoT: an optimal framework based on internet of things-cloud computing for healthcare services selection in smart hospitals
He et al. A smartphone app framework for segmented cancer care coordination
Sharma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blockchain, and internet of medical things: New technologies in detecting, preventing, and controlling of emergent diseases
WO2022170099A1 (en) Predicting adverse health events
Rajasekaran et al.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individuals using internet of things
Aranki et al. Smartphone based real-time health monitoring and intervention
Srivastava et al.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of Medical Things in Remote Healthcare Delivery
Bhagwatrao et al. Automated Patient Activity Identification in Cyber-physical Systems Using A Unique Deep Learning Approach and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asanna et al. Smart Healthcare Monitoring for Drivers
Chanda et al. An analytical study of the role of m-iot in healthcare domain
Shiny et al. A review on ongoing medical care observing framework for cardiovascular patients utilizing IoT
US20210287788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ynamic procedure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