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860A -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 - Google Patents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860A
KR20170120860A KR1020160049284A KR20160049284A KR20170120860A KR 20170120860 A KR20170120860 A KR 20170120860A KR 1020160049284 A KR1020160049284 A KR 1020160049284A KR 20160049284 A KR20160049284 A KR 20160049284A KR 20170120860 A KR20170120860 A KR 20170120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unit
measuring
severity classification
respi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0766B1 (ko
Inventor
장혁재
박은정
서원옥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9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76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418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06F19/322
    • G06F19/345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위한 중증도 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에 대하여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지시부; 환자의 보행 능력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환자의 호흡 및 맥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 상기 지시부로부터 전달되는 지시사항과 환자의 행동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환자의 명령 인식 능력을 측정하는 제3 측정부; 상기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및 제3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결과 및 환자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아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환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표시부 측으로 환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정보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SYSTEM FOR TRIAGE AMD METHOD FOR TRI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자동적으로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할 수 있는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증도 분류(triage)란 응급 처치와 환자 이송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환자를 증상별로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대량의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한정된 인원으로 많은 환자에게 최선의 의료를 제공하여야 하므로 전문요원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환자의 경, 중을 구분하여 응급 처치 및 이송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응급 환자에서 긴급한 응급 처치가 요구되는 환자는 전체 응급 환자의 10~15%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자들이 중증도에 따라 치료가능한 응급 시설로 신속히 이송되는 경우에는 환자의 예후가 양호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중증도 분류는 응급 의뢰의 중요한 분야이지만, 응급 시설 이외의 장소에서 근무하는 응급 요원이나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인은 응급 의료에 대한 임상적 경험이나 학문적 지식이 충분치 않으므로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신속히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신속히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신속한 이송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333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장에서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할 수 있는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위한 중증도 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에 대하여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지시부; 환자의 보행 능력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환자의 호흡 및 맥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 상기 지시부로부터 전달되는 지시사항과 환자의 행동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환자의 명령 인식 능력을 측정하는 제3 측정부; 상기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및 제3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결과 및 환자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아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환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표시부 측으로 환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는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보를 제공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되는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바람직하다.
또한, 환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위치측정부로부터 환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서버 측으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환자의 중증도 분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제3 측정부, 표시부 및 개인정보 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둘은 무선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및 제3 측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부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항에 기재된 중증도 분류 시스템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부를 통해 환자의 보행 능력을 측정하는 보행가능성 판단단계; 상기 보행가능성 판단단계에서 환자의 보행 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제2 측정부를 통해 환자의 호흡 능력을 측정하는 호흡가능성 판단단계; 상기 호흡가능성 판단단계에서 환자의 호흡 능력이 인정될 시, 상기 제2 측정부를 통해 환자의 호흡수 또는 맥박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호흡/맥박 측정단계; 상기 호흡/맥박 측정단계에서 환자의 호흡수 및 맥박수가 기준 이상일 시 상기 제3 측정부를 통해 환자의 명령 인식 능력을 판단하는 반응 검사단계; 환자의 보행 능력, 호흡 능력, 호흡수, 맥박수 및 명령 인식 능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결정하는 중증도 분류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증도 분류 결정단계를 통해 결정된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송신하여, 환자의 중증도 분류에 대응되는 의료 시설을 검색하는 의료시설 검색단계; 상기 의료시설 검색단계를 통해 검색된 의료 시설 측으로 환자를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흡/맥박 측정단계에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호흡수가 분당 30회 이상이거나 또는 맥박수가 2초당 1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 검사단계는, 상기 지시부를 통해 환자에게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지시단계; 상기 제3 측정부를 통해 상기 지시단계로부터 전달되는 지시사항과 환자의 행동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숙련된 의료 인원의 도움없이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패치로 환자의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복잡한 장비 없이도 비교적 정확하게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중증도 분류 방법에서 중증도 분류 결정단계에 대한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 시스템은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자동적으로 파악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지시부(110)와 제1 측정부(120)와 제2 측정부(130)와 제3 측정부(140)와 표시부(150)와 개인정부 저장부(160)와 위치측정부(170)와 서버(180)를 포함한다.
상기 지시부(110)는 환자에 대하여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시각, 청각, 촉각 등 환자의 감각을 통해 소정의 지시 내용을 환자에게 전달한다.
가령, 지시부(110)는 소리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청각적으로 소정의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지시라 함은 보행에 대한 지시 또는 명령에 대한 지시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 측정부(120)는 환자의 보행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환자의 움직임 및 진동 세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무빙 진동 및 자이로 가속 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 측정부(120)는 환자가 이동하는 경로 및 시간 등을 파악하여 환자의 보행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가령, 환자가 목적 지점까지 최단 경로를 통해 일정한 속도로 보행한다면, 환자는 현재 보행 가능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측정부(120)는 지시부(110)와 연동하여 지시부(110)의 지시에 따라 환자가 적절한 보행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정부(130)는 환자의 호흡 및 맥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환자의 호흡 및 맥박을 측정하는 이전에 환자가 자발적으로 호흡할 수 있는 상태인지도 파악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2 측정부(130)는 제세동기로 마련되어 환자의 호흡/맥박을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측정부(130)는 환자의 혈압을 측정함으로써 환자의 호흡/맥박을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측정부(130)는 지시부(110)로부터 환자에게 제공되는 지시사항과 지시사항에 반응하는 환자의 행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환자의 명령 인식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가령, 지시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지시사항에 대응되는 행동 패턴이 저장된 상태에서, 환자의 행동이 행동 패턴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여부를 판단하여 환자의 명령 인식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3 측정부(130)는 촬영부(131)와 제어부(132)로 이루어지되, 촬영부(131)를 통해 환자의 행동을 촬영하고, 제어부(132)는 촬영된 환자의 행동과 기저장된 행동 패턴을 오버랩시켜 상호 간의 일치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제1 측정부(120)와 제2 측정부(130)와 제3 측정부(140)로부터 측정된 보행 능력, 호흡, 맥박 및 명령 인식 능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받아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환자의 중증도 분류는 제1 측정부(120)를 통해 환자가 스스로 보행할 수 있다고 판단하면, P3(경증) 상태로 판단한다.
한편, 제1 측정부(120)를 통해 환자가 스스로 보행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제2 측정부(130)를 통해 환자의 호흡 가능성을 판단하며, 스스로의 호흡이 불가능한 상태, 더 정확하게는 기도 확보 후에도 호흡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P0(사망) 상태로 판단한다.
여기서, 스스로의 호흡이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호흡 및 맥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로 측정되면, P1(응급) 상태로 판단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이라 함은 호흡이 분당 30회 이상이거나 맥박이 2초당 1회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물론, 이러한 기준은 필요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측정부(130)를 통해 환자의 호흡/맥박이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제3 측정부(140)를 통해 환자의 명령 인식 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P1(응급) 상태로 판단한다.
다만, 환자의 명령 인식 능력이 충분히 인정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P2(중증) 상태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알고리즘을 거쳐 최종적인 결과값을 표시부(150)가 외부로 표시하게 되며, 표시부(150)는 P0(사망), P1(응급), P2(중증) 및 P3(경증)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령, P0(사망)시에는 흑색, P1(응급)시에는 적색, P2(중증)시에는 노란색, P3(경증)시에는 백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물론, 표시부(150)에는 후술할 개인정보 저장부(160)를 통해 환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받아, 환자의 이름 등 신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50)는 외부에서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눈에 잘 보이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가령, 팬던트 형태로 마련되어 환자의 가슴 측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인원들은 표시부(150)를 통해 환자가 누구인지, 환자의 상태가 어떠한지를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신속한 응급 처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160)는 환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며, 표시부(150) 측으로 환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개인정보 저장부(16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마련될 수 있으며, 더 정확하게는 웨어러블 팬던트나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개인정보 저장부(160)는 표시부(150)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개인정보 저장부(160)는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가능한 송수신부(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161)는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보를 제공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것이다.
여기서,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보는 제1 측정부(120), 제2 측정부(130) 및 제3 측정부(140)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아니면 표시부(15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송수신부(161)는 후술할 위치 측정부(170)를 통해 측정되는 환자의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정부(170)는 환자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주지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위치 측정부(170)를 통해 측정되는 환자의 위치는 송수신부(161)를 통해 외부로 송신되어 추후 응급 조치를 위해 환자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서버(180)는 송수신부(161)를 통해 송신되는 다수의 정보를 접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서버(18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의료 시설, 현장, 경찰서 등에 각각 배치되어 현장 정보를 접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서버(180)가 환자의 개인 정보와 매칭된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보, 환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전달하여, 환자 상태에 따라 적절한 의료 시설을 매칭하고 신속한 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 시스템을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 방법(S100)은 중증도 분류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행가능성 판단단계(S110)와 호흡가능성 판단단계(S120)와 호흡/맥박 측정단계(S130)와 반응 검사단계(S140)와 중증도 분류 결정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보행가능성 판단단계(S110)는 환자의 보행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보행가능성 판단단계(S110)는 제1 측정부(120)를 통해 환자의 보행 경로 및 보행 시간을 측정하며, 이를 기반으로 보행가능성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보행 경로는 측정 전 환자의 위치를 시점으로 하고 측정 완료 후 환자의 위치를 종점으로 하며, 제1 측정부(120)는 시점과 종점 사이를 어떠한 경로로 갔는지 판단한다.
가령, 환자가 시점과 종점을 실질적으로 최단 경로를 따라 이동하였고, 보행 시간도 정상인의 평균 보행 속도에 근접하였다면 보행 가능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호흡가능성 판단단계(S120)는 보행가능성 판단단계(S110)에서 환자의 보행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행되며, 제2 측정부(130)를 통해 환자의 호흡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호흡가능성 판단단계(S120)에서는 스스로의 호흡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먼저 환자가 호흡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환자의 호흡이 없는 경우 기도를 확보한 후에도 호흡이 없는지 여부를 더 판단한다.
상기 호흡/맥박 측정단계(S130)는 호흡가능성 판단단계(S120)를 통해 환자가 호흡을 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수행되며, 제2 측정부(130)를 통해 환자의 호흡수 및 맥박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혈압 변동을 통해 맥박수를 측정하며, 호흡수는 날숨 또는 들숨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상기 반응 검사단계(S140)는 호흡/맥박 측정단계(S130)를 통해 측정된 환자의 호흡수 및 맥박수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에 수행되며, 환자의 명령 인식 능력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이라 함은 호흡수의 경우 분당 30회 이상, 맥박수의 경우 2초당 1회 이상을 위미한다. 물론, 환자에 따라 다소 다른 기준이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환자의 명령 인식 능력은 지시부(110)를 통해 전달되는 지시사항에 대하여 환자가 적절한 행동을 취하는지에 대한 것으로서, 지시단계(S141)와 결정단계(S142)를 포함한다.
상기 지시단계(S141)는 지시부(110)를 통해 소정의 지시사항을 환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즉, 지시부(110)는 다수의 지시사항을 저장하고 있으며, 무작위적으로 환자에게 지시사항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정단계(S142)는 지시부(110)를 통해 환자에게 전달된 지시사항에 대하여 환자가 적절한 행동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가령, 지시부(110)에 기저장된 지시사항마다 적절한 행동 패턴이 저장될 수 있고, 환자의 행동을 저장된 행동 패턴에 오버랩시켜 행동 패턴과 환자의 행동 사이의 유사관계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기저장된 행동 패턴과 환자의 행동 사이에 실질적인 유사성이 인정되면 환자는 명령 인식 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중증도 분류 방법에서 중증도 분류 결정단계에 대한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중증도 분류 결정단계(S150)는 환자의 보행 능력, 호흡 능력, 호흡수, 맥박수 및 명령 인식 능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먼저, 보행가능성 판단단계(S110)에서 환자의 보행 능력을 측정하여, 보행 능력이 인정되면 P3(경상)으로 판단한다.
한편, 호흡가능성 판단단계(S120)에서 스스로의 호흡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도 확보 후에도 호흡이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P0(사망) 또는 P1(응급)으로 판단한다.
또한, 호흡/맥박 측정단계(S130)에서 호흡수 및 맥박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P1(응급)으로 판단한다.
한편, 반응 검사단계(S140)에서 명령 인식 능력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P1(응급) 또는 P2(중상)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해 의료 인원의 주관적인 판단을 배제하고 자동적으로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수행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환자의 중증도 분류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중증도 분류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시설 검색단계(S160)와 이송단계(S17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의료시설 검색단계(S160)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획득하는 중증도 분류 정보를 외부(서버)로 송신하여 환자의 상태에 적절한 의료 시설을 검색하여 환자 또는 환자의 외부에 안내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송단계(S170)는 의료단계 검색단계(S160)를 통해 검색된 의료 시설에 환자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외료 시설의 관계자가 직접적으로 환자를 이송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 시스템은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자동적으로 파악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지시부(210)와 제1 측정부(220)와 제2 측정부(230)와 제3 측정부(240)와 표시부(150)와 개인정부 저장부(160)와 위치측정부(270)와 서버(180)와 케이스부(2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시부(210)와 제1 측정부(220)와 제2 측정부(230)와 제3 측정부(240)와 표시부(150)와 개인정부 저장부(160)와 위치측정부(270)와 서버(180)는 제1실시예에서와 실질적으로 기능을 동일하나 배치관계에 있어 차이가 있다.
상기 케이스부(290)는 제1 측정부(220)와 제2 측정부(230)와 제3 측정부(240)와 위치측정부(270)를 내부에 수용하는 것이다.
즉, 제1 측정부(220)와 제2 측정부(230)와 제3 측정부(240)와 위치측정부(270)는 케이스부(290)에 의해 하나의 장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케이스부(290)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가능하게 마련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패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케이스부(290)가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제1 측정부(220)와 제2 측정부(230)와 제3 측정부(240)와 위치측정부(270)가 환자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케이스부(290) 내부에 지시부(110)를 더 수용할 수 있으며, 중증도 분류 방법을 환자의 신체에 케이스부(290)를 부착함으로써 시작할 수 있다.
케이스부(290) 내부에 마련되는 제1 측정부(220)와 제2 측정부(230)와 제3 측정부(240)와 위치측정부(270)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측정된 결과값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표시부(150) 또는 개인정보 저장부(160)와 연동하게 된다. 물론, 측정된 결과값이 서버(180) 측으로 직접 전송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례 또는 변형례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중증도 분류 시스템
110: 지시부 120: 제1 측정부
130: 제2 측정부 140: 제3 측정부
150: 표시부 160: 개인정보 저장부
170: 위치 측정부 180: 서버
S100: 중증도 분류 방법
S110: 보행가능성 판단단계 S120: 호흡가능성 판단단계
S130: 호흡/맥박 측정단계 S140: 반응 검사단계
S150: 중증도 분류 결정단계 S160: 의료시설 검색단계
S170: 이송단계
200: 중증도 분류 시스템
290: 케이스

Claims (10)

  1.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위한 중증도 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에 대하여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지시부;
    환자의 보행 능력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환자의 호흡 및 맥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
    상기 지시부로부터 전달되는 지시사항과 환자의 행동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환자의 명령 인식 능력을 측정하는 제3 측정부;
    상기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및 제3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결과 및 환자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아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환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표시부 측으로 환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는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보를 제공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되는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환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위치측정부로부터 환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서버 측으로 송신하는 중증도 분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환자의 중증도 분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중증도 분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제3 측정부, 표시부 및 개인정보 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둘은 무선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중증도 분류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및 제3 측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부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중증도 분류 시스템.
  7. 제1항에 기재된 중증도 분류 시스템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부를 통해 환자의 보행 능력을 측정하는 보행가능성 판단단계;
    상기 보행가능성 판단단계에서 환자의 보행 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제2 측정부를 통해 환자의 호흡 능력을 측정하는 호흡가능성 판단단계;
    상기 호흡가능성 판단단계에서 환자의 호흡 능력이 인정될 시, 상기 제2 측정부를 통해 환자의 호흡수 또는 맥박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호흡/맥박 측정단계;
    상기 호흡/맥박 측정단계에서 환자의 호흡수 및 맥박수가 기준 이상일 시 상기 제3 측정부를 통해 환자의 명령 인식 능력을 판단하는 반응 검사단계;
    환자의 보행 능력, 호흡 능력, 호흡수, 맥박수 및 명령 인식 능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결정하는 중증도 분류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증도 분류 결정단계를 통해 결정된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송신하여, 환자의 중증도 분류에 대응되는 의료 시설을 검색하는 의료시설 검색단계;
    상기 의료시설 검색단계를 통해 검색된 의료 시설 측으로 환자를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맥박 측정단계에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호흡수가 분당 30회 이상이거나 또는 맥박수가 2초당 1회 이상인 중증도 분류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검사단계는,
    상기 지시부를 통해 환자에게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지시단계;
    상기 제3 측정부를 통해 상기 지시단계로부터 전달되는 지시사항과 환자의 행동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 방법.
KR1020160049284A 2016-04-22 2016-04-22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 KR101840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284A KR101840766B1 (ko) 2016-04-22 2016-04-22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284A KR101840766B1 (ko) 2016-04-22 2016-04-22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860A true KR20170120860A (ko) 2017-11-01
KR101840766B1 KR101840766B1 (ko) 2018-03-21

Family

ID=6038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284A KR101840766B1 (ko) 2016-04-22 2016-04-22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7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795A (ko) * 2017-12-28 2019-07-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KR20210053797A (ko) * 2019-11-04 2021-05-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환자의 중증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795A (ko) * 2017-12-28 2019-07-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KR20210053797A (ko) * 2019-11-04 2021-05-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환자의 중증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766B1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el et al. Trends in workplace wearable technologies and connected‐worker solutions for next‐generation occupational safety, health, and productivity
ES2875333T3 (es) Sistema de estimación del estado emocional/conductual/psicológico
US11471112B2 (en) Mobile application for wearable device
US20210038147A1 (en) User interface for strut device
KR102156703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산업안전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US20190378620A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medical for optimizing clinical care delivery
JP2018510752A5 (ko)
KR20080087002A (ko) 비상 사태 지시들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7667398A (zh) 心肺复苏指导方法、计算机程序产品和系统
JP2009538706A (ja) 傾向と緩和から予測される傾向との表示
KR101840766B1 (ko)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 방법
KR20180123955A (ko)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Patel et al. Heart attack detection and medical attention using motion sensing device-kinect
JP2019155084A5 (ko)
Hemanth Smart Wearable System to Assist Asthma Patients
KR101982117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한 신체 바이오 센싱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101593906B1 (ko) 전자 트리아지를 이용한 재해 관리 시스템
Ghosh et al. Comprehensive monitoring of firefighters by a wireless body area sensor network
KR101960460B1 (ko) 하이브리드 트리아지 태그를 이용한 재해 관리 시스템
KR20140133231A (ko) 고위험 작업자의 라이프 케어 시스템 및 방법
ES2911303T3 (es) Sistema para el seguimiento del estrés en un individuo
JP7057716B2 (ja) 警報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30058007A (ko) 사람의 생명이 위험한 상태에 있는지를 조기에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JP2017209176A (ja) 生体情報監視装置用の動作確認装置
KR102265537B1 (ko) 응급 환자 생체 신호 전송용 스마트 모니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