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510A -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510A
KR20170122510A KR1020160051563A KR20160051563A KR20170122510A KR 20170122510 A KR20170122510 A KR 20170122510A KR 1020160051563 A KR1020160051563 A KR 1020160051563A KR 20160051563 A KR20160051563 A KR 20160051563A KR 20170122510 A KR20170122510 A KR 20170122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pital
information
patient
server
emergency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0846B1 (ko
Inventor
이진욱
고재균
Original Assignee
(주)지맥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맥스솔루션 filed Critical (주)지맥스솔루션
Priority to KR1020160051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84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F19/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50/24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제1 병원 단말이 진료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진료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서버가, 진료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 및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서버가, 산출된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 및 환자의 위치 정보에 기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제2 병원을 추천하는 단계 및 서버가, 추천된 제2 병원에 속하는 제2 병원 단말에 진료 정보를 전송하여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QUESTING TREATMENT BETWEEN HOSPITALS}
본 발명은 복수의 병원 상호간에 진료를 의뢰하는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1차 병원 또는 2차 병원 등 일반 병원에서 대학 병원을 비롯한 3차 병원에 진료를 의뢰하고, 3차 병원에서 다시 1차 병원 또는 2차 병원에 환자를 회송하는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병원들간 진료의뢰는, 환자가 1차 병원 또는 2차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은 이후, 1차 병원 또는 2차 병원의 의사가 보다 정밀한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별도의 진료의뢰서를 작성하여 특정한 3차 병원으로 환자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1차 병원 또는 2차 병원의 의사가 별도의 진료의뢰서를 수기로 작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격지의 의사들 간의 협업을 위해, 1차 병원, 2차 병원 및 3차 병원들을 온라인 상으로 연결하여, 별도의 진료의뢰서를 작성하지 않더라도, 1차 병원 또는 2차 병원에서 자동으로 3차 병원에 진료를 의뢰할 수 있는 진료의뢰시스템이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진료의뢰시스템 또한 의사의 번거로움만을 덜어주는 역할을 수행할 뿐이어서,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나 환자의 거주지 등을 고려하여 특정 3차 병원을 추천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는 못했으며, 이러한 진료의뢰시스템을 이용하더라도 환자들은 여전히 1차 병원 또는 2차 병원의 의사가 추천하는 3차 병원에 내원해서 일련의 절차를 거쳐 검사를 받아야만 한다.
따라서,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를 판별하고, 판별된 응급 우선 순위에 따라 3차 병원을 자동으로 추천하며, 환자의 거주지 등에서 가까운 3차 병원을 자동으로 추천하는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공개공보 제2011-0134532호(2011.12.1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병원들 간 진료를 의뢰함에 있어서,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환자의 거주지를 고려하여,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와 거주지를 기준으로 가장 효율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3차 병원을 환자에게 추천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를 3차 병원에서 1차 병원 또는 2차 병원으로 회송함에 있어서, 환자의 회송을 용이하게 하고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방법은, 제1 병원 단말이 진료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진료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서버가, 진료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 및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서버가, 산출된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 및 환자의 위치 정보에 관한 기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제2 병원을 추천하는 단계 및 서버가, 추천된 제2 병원에 속하는 제2 병원 단말에 진료 정보를 전송하여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진료 정보는, 제1 병원의 기본 정보,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Personal Health Record), 환자의 기본 정보,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 및 소견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는, 서버가, 상병명 테이블 및 개인 건강 기록 항목 테이블을 각각 구성하는 단계, 서버가, 상병명 테이블 및 개인 건강 기록 항목 테이블을 매핑(mapping)하고,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서버가,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를 기설정된 등급 별로 설정하는 단계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환자의 위치 정보는, 서버가, 진료 정보에서 환자의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환자의 주소를 이용하여 GPS 좌표 정보를 산출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방법은 제2 병원 단말이 상기 제1 병원 단말에게, 환자의 검사자료, 영상자료, 투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진료 결과를 회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은, 진료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진료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제1 병원 단말, 진료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 및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 및 환자의 위치 정보에 기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제2 병원을 추천하는 서버 및 서버로부터, 진료 정보를 전송 받는 제2 병원 단말을 포함한다.
여기서, 진료 정보는, 제1 병원의 기본 정보,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Personal Health Record), 환자의 기본 정보, 환자의 상태 정보 및 소견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는, 서버가, 상병명 테이블 및 개인 건강 기록 항목 테이블을 각각 구성하고, 상병명 테이블 및 개인 건강 기록 항목 테이블을 매핑(mapping)하고, 평가점수를 부여한 뒤,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를 기설정된 등급 별로 설정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환자의 위치 정보는, 서버가, 진료 정보에서 환자의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환자의 주소를 이용하여 GPS 좌표 정보를 산출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은, 제2 병원 단말이 제1 병원 단말에게, 환자의 검사자료, 영상자료, 투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진료 결과를 회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와 거주지를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3차 병원을 환자에게 추천하여, 응급 우선 순위가 높은 환자는 최대한 빠른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응급 우선 순위가 낮은 환자는 최대한 가까운 병원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의료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우선 순위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우선 순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우선 순위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우선 순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에서, 1차 병원(1), 2차 병원(2) 및 3차 병원(3)은 각각 서버(200)에 연결되며, 서버(200)는 이들 1차 병원(1), 2차 병원(2) 및 3차 병원(3) 간의 정보 교환을 매개하고, 특정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를 판별하며, 환자의 지역 정보를 산출하고, 판별된 응급 우선 순위와 산출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3차 병원(3)을 추천하여, 1차 병원(1) 또는 2차 병원(2)에 전송한다.
즉, 1차 병원(1) 또는 2차 병원(2)에서 3차 병원(3)으로 진료를 의뢰하고자 하는 경우, 서버(200)가 응급 우선 순위 및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한 3차 병원(3)을 추천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은 제1 병원 단말(100), 서버(200) 및 제2 병원 단말(300)을 포함한다.
제1 병원 단말(100)은 1차 병원 또는 2차 병원과 같은 일반병원에 설치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병원 단말(100)은 1차 병원 또는 2차 병원에 직접 설치되는 별도의 장치 형태를 가지거나, 1차 병원 또는 2차 병원에 제공되는 PC, 노트북, 스마트기기, 휴대폰, PDA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제1 병원 단말(100)은 1차 병원 또는 2차 병원으로부터 서버(20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1 병원 단말(100)과 제2 병원 단말(300) 간의 정보 교환을 매개한다. 나아가 서버(200)는 제1 병원 단말(100)로부터 제2 병원 단말(200)에게 진료를 의뢰하기 위하여, 특정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를 판정할 수 있으며, 특정 환자의 거주지 등을 이용한 환자의 지역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병원 단말(300)은 3차 병원과 같은 대형병원에 설치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 병원 단말(300)은 3차 병원에 직접 설치되는 별도의 장치 형태를 가지거나, 3차 병원에 제공되는 PC, 노트북, 스마트기기, 휴대폰, PDA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제2 병원 단말(300)은 3차 병원으로부터 서버(20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병원 단말(100)은 1차 병원 또는 2차 병원에 제공되는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기술되고, 제2 병원 단말(300)은 3차 병원에 제공되는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1 병원 단말과 제2 병원 단말이 모두 1차 병원 또는 2차 병원에 제공되거나, 제1 병원 단말과 제2 병원 단말이 모두 3차 병원에 제공되는 변형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요소인 제1 병원 단말(100), 서버(200) 및 제2 병원 단말(300)의 구체적인 작동 원리는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간 진료의뢰방법은 제1 병원 단말(100)이 진료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00), 서버(200)가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 및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200), 서버(200)가 산출된 응급 우선 순위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병원을 추천하는 단계(S300) 및 서버(200)가 제2 병원 단말(300)에게 진료의뢰서를 전송하고 예약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제1 병원 단말(100)이 진료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00)에서 제1 병원 단말(100)은 제2 병원 단말(300)에게 전송할 진료의뢰서의 기초가 되는 진료 정보를 입력 받는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병원 단말(100)이 진료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00)에서 제1 병원 단말(100)은 제1 병원 단말(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병원 회원 정보를 비롯한 제1 병원의 기본 정보를 서버(200)에 전달한다.
여기서 제1 병원의 기본 정보에는, 제1 병원 단말(100)이 속하는 제1 병원의 주소, 전화번호, 팩스, 이메일 주소, 의사명, 진료과목을 비롯한 제1 병원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병원 단말(100)이 진료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00)에서 제1 병원 단말(100)은 미리 저장된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을 서버(200)에 전달한다.
또한, 제1 병원 단말(100)이 진료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00)에서 제1 병원 단말(100)은 환자의 기본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기본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환자의 기본 정보에는 환자의 이름,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주소, 건강보험정보를 비롯한 의료행위를 위한 기초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병원 단말(100)이 진료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00)에서 제1 병원 단말(100)은 제1 병원의 의사로부터 환자의 상태 정보 및 소견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환자의 상태 정보 및 소견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
다시 말해, 제1 병원 단말(100)이 진료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00)에서 제1 병원 단말(100)은 제1 병원의 기본 정보,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 환자의 기본 정보, 환자의 상태 정보 및 소견서 정보를 각각 서버(200)에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서버(200)가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 및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200)에서 서버(200)는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를 산출하고,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서버(200)가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를 산출하는 방법은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 및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200)에서 위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하여, 서버(200)는, 제1 병원 단말(100)이 전송한 환자의 주소를 이용하여 GPS 좌표 정보를 산출한다. 그 뒤, 제1 병원의 기본 정보에 GPS좌표를 추가하고, GPS 좌표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가장 가까운 제2 병원을 산출한다.
응급 우선 순위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병원을 추천하는 단계(S300)에서 서버(200)는 산출된 각각의 응급 우선 순위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병원을 추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산출된 응급 우선 순위의 기설정된 등급을 기준으로, 응급 우선 순위가 높은 환자일수록 가까운 제2 병원을 추천하여 제1 병원 단말(100)에 전송하고, 산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제2 병원을 추천하여 제1 병원 단말(100)에 전송한다.
나아가, 서버(200)는 제2 병원을 추천함과 동시에 추천된 제2 병원의 주소 및 찾아가는 길을 추가로 제1 병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병원 단말(300)에게 진료의뢰서를 전송하고 예약하는 단계(S400)에서, 서버(200)는 제1 병원 단말(100)이 진료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00)에서 수집된 제1 병원의 기본 정보,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 환자의 기본 정보, 환자의 상태 정보 및 소견서 정보를 S200 및 S300 단계를 통해 추천된 제2 병원에 전송하여 진료의뢰를 할 수 있다.
한편, 제2 병원 단말(300)에게 진료의뢰서를 전송하고 예약하는 단계(S400)에서 예약을 진행하기 위하여, 제1 병원 단말(100)은 진료과 또는 의료진 선택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제2 병원에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 제2 병원의 예약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으며, 제2 병원에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예약관리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2 병원에 예약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병원 단말(300)은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예약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진료의뢰서에는 S100 단계에서 수집된 각각의 정보 및 예약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100 내지 S400 단계를 거쳐 예약이 완료된 경우, 제2 병원 단말(300)은 접수된 진료의뢰서와 예약정보를 확인하고, 진료의뢰서를 확정한다. 이때, 제2 병원 단말(300)은 요양급여의뢰서에 대한 별도의 발급 수가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진료의뢰 및 회송의 수가 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병원 단말(300)은 제1 병원에서 제2 병원으로 진료를 의뢰하면 진료의뢰 및 회송 요양급여 수가를 이용하여 진료의뢰 수가를 반영하고, 마찬가지로 제2 병원에서 제1 병원으로 진료를 회송하면 진료의뢰 및 회송 요양급여 수가를 이용하여 진료회송 수가를 반영한다. 그 뒤, 반영된 수가를 서버(200)에 전송하면 서버(200)는 전송된 자료를 받아 수가를 계산하고, 해당 병원에 의료수가를 적용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병원 단말(300)은 환자의 검사자료, 영상자료, 투약정보 등의 진료결과를 다시 서버(200)를 통하여 제1 병원 단말(100)에 회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증상이 비교적 심하지 않은 환자가 제2 병원(대형 병원)을 찾은 경우, 제2 병원 단말(300)은 해당 환자를 다시 제1 병원(소형 병원)으로 회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서버(200)가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 및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200)에서 서버(200)가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200)는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를 산출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상병명 테이블 및 도 6에 도시된 개인 건강 기록(PHR) 항목 테이블을 구성(S210)한다. 여기서, 서버(200)는 상병명 테이블 및 개인 건강 기록(PHR) 항목 테이블을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서버에는 상병명 테이블 및 개인 건강 기록(PHR) 항목 테이블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병명 테이블은 각각의 병명이 포함된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다.
그 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구성된 상병명 테이블 및 개인 건강 기록(PHR) 항목 테이블을 매핑(mapping)하고, 매핑 결과에 대하여 평가점수를 부여(S220)한다. 예컨대, 당뇨병에 대하여 공복 혈당 수치가 100mg/dl 미만이고, 식후 혈당수치가 200mg/dl 미만이며, 식후 2시간 혈당 수치가 140mg/dl 미만인 경우 서버(200)는 이들에 대하여 100점의 평가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당뇨병에 대하여 공복 혈당 수치가 100mg/dl 이상 125mg/dl 미만이고, 식후 혈당수치가 200mg/dl 이상 250mg/dl 미만이며, 식후 2시간 혈당 수치가 140mg/dl 이상 199mg/dl 미만인 경우 서버(200)는 이들에 대하여 150점의 평가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매핑결과를 이용하여 등급별 응급 우선 순위를 설정(S230)한다.
예컨대, 서버(200)는 당뇨병에 대하여 혈당에 대한 평가점수가 100 미만인 경우, 응급 우선 순위가 낮은 1 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100이상 110 미만인 경우, 응급 우선 순위가 비교적 낮은 2 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고, 110이상 130 미만인 경우 응급 우선 순위가 보통인 3 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130이상 140 미만인 경우 응급 우선 순위가 비교적 높은 4 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고, 140 초과인 경우 응급 우선 순위가 높은 5 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 1차 병원 2: 2차 병원
3: 3차 병원 100: 제1 병원 단말
200: 서버 300: 제2 병원 단말

Claims (10)

  1. 제1 병원 단말이 진료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상기 진료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진료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 및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산출된 상기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 및 환자의 위치 정보에 관한 기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제2 병원을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추천된 상기 제2 병원에 속하는 제2 병원 단말에 상기 진료 정보를 전송하여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병원 간 진료의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료 정보는,
    상기 제1 병원의 기본 정보, 상기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Personal Health Record), 상기 환자의 기본 정보,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 및 소견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간 진료의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는,
    서버가, 상병명 테이블 및 개인 건강 기록 항목 테이블을 각각 구성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상병명 테이블 및 상기 개인 건강 기록 항목 테이블을 매핑(mapping)하고,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서버가, 상기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를 기설정된 등급 별로 설정하는 단계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간 진료의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위치 정보는,
    상기 서버가, 상기 진료 정보에서 상기 환자의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환자의 주소를 이용하여 GPS 좌표 정보를 산출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간 진료의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병원 단말이 상기 제1 병원 단말에게,
    환자의 검사자료, 영상자료, 투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진료 결과를 회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병원 간 진료의뢰방법.
  6. 진료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상기 진료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제1 병원 단말;
    상기 진료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 및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 및 환자의 위치 정보에 기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제2 병원을 추천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진료 정보를 전송 받는 제2 병원 단말;을 포함하는,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료 정보는,
    상기 제1 병원의 기본 정보, 상기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Personal Health Record), 상기 환자의 기본 정보,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 및 소견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는,
    상기 서버가, 상병명 테이블 및 개인 건강 기록 항목 테이블을 각각 구성하고, 상기 상병명 테이블 및 상기 개인 건강 기록 항목 테이블을 매핑(mapping)하고, 평가점수를 부여한 뒤, 상기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응급 우선 순위를 기설정된 등급 별로 설정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위치 정보는,
    상기 서버가, 상기 진료 정보에서 상기 환자의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환자의 주소를 이용하여 GPS 좌표 정보를 산출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병원 단말이 상기 제1 병원 단말에게,
    환자의 검사자료, 영상자료, 투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진료 결과를 회송하는,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KR1020160051563A 2016-04-27 2016-04-27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 KR101800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63A KR101800846B1 (ko) 2016-04-27 2016-04-27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63A KR101800846B1 (ko) 2016-04-27 2016-04-27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10A true KR20170122510A (ko) 2017-11-06
KR101800846B1 KR101800846B1 (ko) 2017-11-23

Family

ID=60384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563A KR101800846B1 (ko) 2016-04-27 2016-04-27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84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795A (ko) * 2017-12-28 2019-07-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CN111161893A (zh) * 2019-12-31 2020-05-15 上海亿保健康管理有限公司 医用信息处理方法、装置和设备
KR20200108538A (ko) * 2019-03-11 2020-09-21 (주)아이쿱 환자 트랜스퍼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10021653A (ko) * 2019-08-19 2021-03-02 손철원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2639995A (zh) * 2018-08-23 2021-04-09 通用电气公司 用于优化患者安置的基于机器学习的多因素优先级框架
KR20210053797A (ko) 2019-11-04 2021-05-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환자의 중증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WO2021091189A1 (ko) * 2019-11-04 2021-05-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환자의 중증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677B1 (ko) * 2020-06-30 2023-09-15 헬스앤모어 주식회사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5648A (ja) * 2003-12-02 2005-06-23 Canon Inc 連携診断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795A (ko) * 2017-12-28 2019-07-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CN112639995A (zh) * 2018-08-23 2021-04-09 通用电气公司 用于优化患者安置的基于机器学习的多因素优先级框架
KR20210040417A (ko) * 2018-08-23 2021-04-13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환자 배치를 최적화하기 위한 다인자, 기계-학습 기반 우선순위화 프레임워크
KR20200108538A (ko) * 2019-03-11 2020-09-21 (주)아이쿱 환자 트랜스퍼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10067999A (ko) * 2019-03-11 2021-06-08 (주)아이쿱 환자 트랜스퍼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10021653A (ko) * 2019-08-19 2021-03-02 손철원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53797A (ko) 2019-11-04 2021-05-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환자의 중증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WO2021091189A1 (ko) * 2019-11-04 2021-05-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환자의 중증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11161893A (zh) * 2019-12-31 2020-05-15 上海亿保健康管理有限公司 医用信息处理方法、装置和设备
CN111161893B (zh) * 2019-12-31 2024-02-02 海南老白健康科技有限公司 医用信息处理方法、装置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846B1 (ko)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846B1 (ko)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
AlDossary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the methodologies used to evaluate telemedicine service initiatives in hospital facilities
Foo et al. Facilitators and barriers of managing patients with multiple chronic conditions in the community: a qualitative study
Sarver et al. Usual source of care and nonurgent emergency department use
Shapiro et al. Comparison of skin biopsy triage decisions in 49 patients with pigmented lesions and skin neoplasms: store-and-forward teledermatology vs face-to-face dermatology
Liu et al. Identification of barriers, facilitators and system-based implementation strategies to increase teleophthalmology use for diabetic eye screening in a rural US primary care clinic: a qualitative study
US200601737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US20180314798A1 (en) Directing medical patients to an appropriate level of care and to appropriate healthcare resources
US201501994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preting Medical Information
Adams et al. Telerobotic ultrasound to provide obstetrical ultrasound services remote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KR100737382B1 (ko)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Kazley et al. Telemedicine in an international context: definition, use, and future
Gibbons et al. Perceptions of health and healthcar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Medicaid managed care
JP2019087196A (ja) 診療科推奨プログラム、診療科推奨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Baker et al. Small rural emergency services still manage acutely unwell patients: A cross‐sectional study
Chong et al. Sociodemographic, lifestyle, and medical risk factors for visual impairment in an urban asian population: the singapore malay eye study
Cuesta et al. Subspecialty referrals for pauciarticular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Jani et 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mapping of diabetic retinopathy in an ocular telemedicine network
CN109215752B (zh) 基于互联网的社区医疗管理方法及装置
Mash et al. The quality of feedback from outpatient departments at referral hospitals to the primary care providers in the Western Cape: a descriptive survey
NELA Project Team First organisational report of the national emergency laparotomy audit
AU20142493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preting medical information
KR102363627B1 (ko) 진료 데이터 통합 관리시스템
Slater et al. Barriers to health care services and the role of the physician
Lipman et al. Electronic health record mid-parental height auto-calculator for growth assessment in primary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