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677B1 -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9677B1 KR102579677B1 KR1020200080366A KR20200080366A KR102579677B1 KR 102579677 B1 KR102579677 B1 KR 102579677B1 KR 1020200080366 A KR1020200080366 A KR 1020200080366A KR 20200080366 A KR20200080366 A KR 20200080366A KR 102579677 B1 KR102579677 B1 KR 1025796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cal treatment
- request
- treatment request
- terminal
- medic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진료의뢰통합플랫폼에 회원으로서 인증되며 진료를 의뢰하는 진료의뢰단말 및 진료의뢰단말로부터 진료의뢰를 요청받는 진료의뢰대상단말 간의 진료의뢰를 수행하는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은,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을 이용하려는 사용자로부터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를 회원으로 처리하여 회원별로 디지털의뢰용계정을 할당하는 회원정보 인증처리부; 및 회원에게 디지털 의뢰서를 제시하는 진료의뢰서 제시부;를 포함하되, 진료의뢰단말과 진료의뢰대상단말 간의 진료의뢰는 1차 의원 및 2차 병원에 대하여 의료기관의 규모별로 형성되는 수평적 1차 의뢰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료의뢰서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을 통해 1차 및 2차 의료기관의 전문성 활용을 극대화하고 의료전달체계의 효율성을 증진할 수 있는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의료기관은 규모에 따라 의원(1차), 병원(2차), 종합병원 및 상급종합병원(이상 3차)으로 구분하고,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진료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를테면, 의원에서는 경증 및 중증도, 혹은 만성 질환 환자를 위주로 진료하고, 상급종합병원에서는 중증 환자를 진료하도록 권고하는 수직적 의료전달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런 의료전달체계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증 환자가 상급종합병원을 이용하는 데 제한을 두지 않아, 중증도가 낮은 환자가 대학병원으로 몰리는 문제가 심각하여, 중증 환자가 적절한 시기에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국가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증, 중등도 환자가 상급종합병원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의원이나 병원에서 진료를 본 후 진료의뢰서를 발급받도록 절차를 마련했지만, 진료 없이 의뢰서 발급만 요청하는 환자가 흔한 것이 실정이다.
최근에는 종합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을 내원한 환자를 의원이나 병원으로 되돌려 보내는 행위(이하, '되의뢰'라고 함)에 대해 종합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에 보상하는 것으로 상급 병원 쏠림 현상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으나, 환자가 거부하는 경우에는 상급 병원 진료를 못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학병원으로 환자가 쏠리는 이유를 의원이나 병원 측면에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먼저, 우리나라 의료시스템은 다른 나라에 비해 전문의 비율이 매우 높아, 의원이나 병원에도 대부분 일반의가 아닌 전문의가 진료하고 있고, 대학병원 수준의 전문성 높은 의원이나 병원이 상당히 존재하고 있다. 다만, 의료광고를 전반적으로 제한하는 점 때문에 주변에 어떤 의원과 병원이 전문성 높은 진료를 하고 있는지 환자는 물론이고 의사들도 알기 어렵다. 이에 따라, 환자들은 규모가 크고 명성이 있는 대학병원 진료에 대한 선호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 때문에 대학병원으로 환자가 쏠리는 것이다.
또한, 의원이나 병원은 종합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에 비해 전문과목이나 전문의 수가 적기 때문에 복합적인 문제에 대해 협진하기 어렵다. 주변에서 협진이 가능한 전문성 높은 의원이나 병원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의원이나 병원의 전문의는 자신의 전문분야가 아닌 질환에 대해 중증도에 상관없이 종합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으로 환자를 의뢰하기 때문에 대학병원으로 환자가 쏠리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비인후과의원을 내원한 환자가 호흡기내과 진료가 필요할 때, 동네에서 호흡기내과 전문의를 찾기 보다는 대학병원 호흡기내과로 의뢰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의원에서도 치료가 가능한, 중증도가 낮은 호흡기 질환 환자가 대학병원으로 의뢰되기 쉽다는 것이다.
이에 의원이나 병원의 의사가 협진이 가능한 전문성 있는 병원 및 의원, 그리고 소속 의사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고, 간편하게 진료 의뢰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의 한계와 단점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온라인 상에서 웹사이트 주소 형태로 진료의뢰서를 전달함에 따라 1차 및 2차 의료기관의 전문성 활용을 극대화함으로써 의료전달체계의 효율성을 증진할 수 있는,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진료의뢰통합플랫폼에 회원으로서 인증되며 진료를 의뢰하는 진료의뢰단말 및 진료의뢰단말로부터 진료의뢰를 요청받는 진료의뢰대상단말 간의 진료의뢰를 수행하는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은,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을 이용하려는 사용자로부터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를 회원으로 처리하여 회원별로 디지털의뢰용계정을 할당하는 회원정보 인증처리부; 및 회원에게 디지털 의뢰서를 제시하는 진료의뢰서 제시부;를 포함하되, 진료의뢰단말과 진료의뢰대상단말 간의 진료의뢰는 1차 의원 및 2차 병원에 대하여 의료기관의 규모별로 형성되는 수평적 1차 의뢰일 수 있다.
또한,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은 회원이 의뢰조건을 입력하는 상세조건입력부; 의뢰조건에 기초하여 의뢰기관 추천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의뢰기관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세조건입력부는 복수의 검색 조건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진료를 의뢰하려는 적어도 한명의 의사에 대한 진료과, 세부전공, 출신학교 및 수련병원에 대한 의뢰조건을 입력하는 의사정보 입력부, 의뢰하고자 하는 환자의 질환에 대한 정보를 진단명 또는 진단코드의 형태로 입력하는 진단명 입력부, 환자 중 수술이 필요한 환자일 경우 수술명을 입력하는 수술명 입력부 및 진료의뢰대상단말에서 보유하는 장비를 검색하기 위해 의뢰장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의뢰장비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뢰기관 추천리스트는 회원의 니즈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정렬조건에 기초하여 나열되되, 미리 설정된 정렬조건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정렬조건은 거리순, 의사평점순, 회신율순 및 되의뢰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정렬조건이 두 개 이상인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설정한 정렬조건을 기초로 의뢰기관 추천리스트를 나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의뢰용계정은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의 웹주소, 진료의뢰대상단말의 소속 병원명 및 진료의뢰대상단말의 개인 계정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URL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의뢰서는 진료의뢰단말과 진료의뢰대상단말 사이에서 URL 형태의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를 이용하여 주고받으며, 진료의뢰단말과 진료의뢰대상단말의 회원은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를 진료의뢰통합플랫폼에 입력하면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에 해당하는 의뢰기관의 진료의뢰서가 표시된 웹 사이트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뢰기관 추천부는 상기 회원의 의뢰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의뢰기관 추천리스트 생성 시, 상기 진료의뢰단말이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에 진료를 의뢰하는 것을 가설로 설정하고, 상기 정렬조건을 하기 수학식에 기초하여 디리클레 분포(Dirichlet Distribution)를 산출하여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을 선택할 확률을 도출하고,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에 대하여 도출된 상기 의뢰기관 추천리스트를 나열할 수 있다. (수학식) (여기서, α는 선택된 디지털의뢰용계정까지의 거리, 선택된 의사평점, 회신율 및 되의뢰율을 의미하고, n은 선택된 의사의 관찰 벡터(거리, 의사평점, 회신율, 되의뢰율)를 의미함)
또한, 진료의뢰단말과 진료의뢰대상단말 간의 진료의뢰는 2차 병원에서 1차 의원으로의 수직적 1차 의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을 이용하여 진료를 의뢰하는 진료의뢰단말 및 진료의뢰단말로부터 진료의뢰를 요청받는 진료의뢰대상단말 간의 진료의뢰를 수행하는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의 회원정보 인증처리부에 의해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을 이용하려는 사용자로부터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를 회원으로 처리하여 회원별로 디지털의뢰용계정을 할당하는 회원 가입 단계; 및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의 진료의뢰서 제시부에 의해 회원에게 디지털의뢰서를 제공하는 진료의뢰 단계;를 포함하되, 진료의뢰단말과 진료의뢰대상단말 간의 진료의뢰는 1차 의원 및 2차 병원에 대하여 의료기관의 규모별로 형성되는 1차 의뢰일 수 있다.
또한, 회원으로부터 진료의뢰를 받기 위해 복수의 의뢰조건을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의뢰조건을 입력하는 단계는 진료의뢰단말이 진료의뢰대상단말에 대해 진료를 의뢰하려는 적어도 한명의 의사에 대한 진료과, 세부전공, 출신학교 및 수련병원에 대한 의뢰조건을 입력하는 단계, 의뢰하고자 하는 환자의 질환에 대한 정보를 진단명 또는 진단코드의 형태로 입력하는 단계, 환자 중 수술이 필요한 환자일 경우 수술명을 입력하는 단계 및 진료의뢰대상단말에서 보유하는 장비를 검색하기 위해 의뢰장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료의뢰단말과 진료의뢰대상단말 간의 진료의뢰는 2차 병원에서 1차 의원으로의 수직적 1차 의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진료의뢰 시스템의 전산화 및 온라인화를 통해 1차, 2차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함과 동시에 1차, 2차 병·의원에 있는 전문의 및 세부전문의의 진료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증도가 낮은 환자가 대학병원에 집중되는 현상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의료전달체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1, 2차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시 디지털 형태의 진료의뢰서를 주고받도록 함으로써 종이 사용에 따른 자원낭비를 막으면서도 분실로 인한 불편함을 줄임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검색조건을 적용하여 진료의뢰를 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1, 2차 병·의원들에게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회원들(이하,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의사)을 대상으로 자신의 병·의원을 홍보함과 동시에 1, 2차 의료기관 의사의 협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는 진료의뢰 시 전문성을 갖춘 타 병·의원으로 의뢰받음으로써 종래에 비해 의료비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문성 있는 의원이나 병원의 진료를 활성화하고, 상호간 협진(의뢰-되의뢰)을 활성화함에 따라 종합병원 및 상급종합병원으로의 비대칭적인 환자집중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비교예에 따른 진료의뢰 시나리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 시나리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통합 플랫폼의 의뢰조건 입력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 면허번호 검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인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가입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의원의 단순검색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의원의 상세검색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서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대상단말 측면에서 진료의뢰를 받은 환자들에 대한 리스트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단말 측면에서 진료의뢰를 한 환자들에 대한 리스트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회신서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비교예에 따른 진료의뢰 시나리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 시나리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통합 플랫폼의 의뢰조건 입력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 면허번호 검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인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가입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의원의 단순검색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의원의 상세검색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서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대상단말 측면에서 진료의뢰를 받은 환자들에 대한 리스트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단말 측면에서 진료의뢰를 한 환자들에 대한 리스트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회신서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식 표현은 서로 동등하고 독립된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순서에 주(main)/부(sub) 또는 주(master)/종(slave)의 의미는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해석의 명확함을 위해,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진료의뢰서’는 온라인 상에서 웹 페이지 내에 형성되어 의료진 간에 전자적으로 주고받는 환자의 진료 의뢰내용이 포함된 의뢰서이다. 진료의뢰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가입된 회원에 한해서 하나의 웹 사이트 주소마다 하나씩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회원들은 종이 형태의 진료의뢰서를 이용하여 진료의뢰가 이루어졌던 종래와 달리 ‘웹사이트 주소’의 형태(이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형식)의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로 주고받음으로써 자기 병원의 진료의뢰서를 공유하여 종래에 비해 효과적으로 진료의뢰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서는 의료전달체계를 전산화하고 온라인화하기 위해 종래의 진료의뢰서(종이 형태)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한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료의뢰서는 디지털의뢰서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료기관'은 국내 보건의료를 위한 공공기관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健康保險審査評價院)'에서 병원 규모에 따라 구분하여 정의된 의원,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등에 기초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정의된 의원을 1차 의원이라고 지칭하고, 병원을 2차 병원이라고 지칭하고,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은 편의상 대학병원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서버와 연동하여 회원의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이 소속된 병원의 규모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회원정보인증서버'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료진'은 의사를 말하고, 특히 전문의, 세부 전문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규모에 따라 분류되는 의료기관은 같은 규모에 속하는 의료기관들끼리는 수평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규모에 속하는 의료기관들끼리는 수직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1, 2차 의료기관’은 1차 의원 및 2차 병원을 동시에 지칭하는 용어로서, 병·의원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1, 2차 의료기관은 진료의뢰단말의 사용자일 수 있고, 진료의뢰대상단말의 사용자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회원’은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을 이용하여 진료의뢰/되의뢰하고자 하는 사용자 및 진료의뢰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로서, 일반인을 제외한 '의료진'에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진료의뢰단말의 사용자와 진료의뢰대상단말의 사용자를 모두 회원이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원은 1차 의원의 의료진 및 2차 병원의 의료진으로 한정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적어도 두 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원은 1차 의원의 의료진, 2차 병원의 의료진 및 대학병원의 의료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회원은 모든 의료기관의 의료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은 회원으로 등록되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전문성을 다른 회원들에게 효율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디지털의뢰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환자를 의뢰할 수 있다.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비교예에 따른 진료의뢰 시나리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 시나리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통합 플랫폼의 의뢰조건 입력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이다.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000, 이하, ‘온라인 진료의뢰 시스템’이라고도 함)은 진료의뢰단말(10), 진료의뢰대상단말(20) 및 회원정보인증서버(30)를 모두 연결하는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을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000)에서는 진료의뢰 및 되의뢰 방식이 수평적 방식 및 수직적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진료의뢰단말(10)은 진료의뢰대상단말(20)로 진료를 의뢰(referral)하기 위해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에 회원으로서 등록되는 사용자의 단말이다. 구체적으로, 진료의뢰단말(10)은 진료의뢰를 위해 웹사이트 형태로 제공되는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에 회원정보, 의뢰조건 등을 포함한 진료의뢰정보를 입력하고 진료의뢰대상단말(20)의 진료의뢰서(이하, '디지털의뢰서'라고도 함)를 제공받아 진료의뢰대상단말(20)로 진료를 의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료의뢰단말(10)은 1차 의원 및 2차 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진료의뢰단말(10)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료의뢰단말(10)의 기능 및/또는 역할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진료의뢰대상단말(20)은 상술한 진료의뢰단말(10)의 진료의뢰 요청에 따라 진료의뢰정보가 기재된 진료의뢰서를 수신하기 위해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에 회원으로서 등록되는 사용자의 단말이다. 여기서, 진료의뢰대상단말(20)은 진료의뢰단말(10)이 수신한 디지털의뢰서의 주체인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료의뢰대상단말(20)은 1차 의원 및 2차 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진료의뢰단말(10)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진료의뢰단말(10)과 진료의뢰대상단말(20) 간의 진료의뢰는 1차 의원과 2차 병원 사이에서 수평적으로 형성되는 1차 의뢰(즉, 첫번째로 수행되는 의뢰)인 것을 기본으로 한다. 다시 말해, 1차 의원(이하, 제1 의원)은 타 1차 의원(이하, 제2 의원)에게 진료 의뢰를 수행하고, 진료 의뢰를 받은 타 1차 의원(이하, 제2 의원)은 또 다른 1차 의원(이하, 제3 의원)에게 진료 의뢰를 수행할 수 있고, 2차 병원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 의원 내에서 2차 의뢰가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1차 의원과 2차 병원 사이에서 1차 의뢰와 1차 되의뢰(이하, 되의뢰)가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진료의뢰단말(10)과 진료의뢰대상단말(20) 간의 진료의뢰는 1차 의원에서 2차 병원 사이에서 수직적 형성되는 1차 의뢰일 수도 있다. 이들과 관련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 방식
비교예(종래)에 따른 전체적인 진료의뢰 시나리오는 도 2a와 같다. 다시 말해, 비교예에 따른 진료의뢰 시나리오는 1차 의원이 바로 상위의료기관인 2차 병원을 거쳐서 진료의뢰를 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병원과 같은 종합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에 다이렉트(direct)로 진료를 의뢰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비교예에 따른 진료의뢰 시나리오에서 2차 병원은 다양한 진료과목의 전문의를 다루지만 다른 2차 병원으로 진료의뢰를 하지도 않을 뿐 아니라, 바로 상위의료기관인 종합병원을 거쳐서 진료의뢰를 하지 않고 상급종합병원에 다이렉트로 진료를 의뢰하는 경우가 상당수 존재한다.
이처럼, 비교예에 따른 전체적인 진료의뢰 시나리오는 서로 다른 규모에 속한 의료기관들 사이에서 수직적 진료의뢰 방식만으로 형성되되, 곧바로 1, 2차 병·의원에서 대학병원으로 의뢰되는 방식을 갖는다. 도 2a와 같이, 비교예에서 진료 되의뢰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지만 가끔 수직적 진료되의뢰 방식도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비교예에 따른 수직적 진료되의뢰는 상급의료기관에서 하급의료기관으로 진료되의뢰를 하는 것일 뿐, 하급의료기관에서 상급의료기관으로 진료되의뢰를 하는 과정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필요성 또한 전혀 인식하지 않고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진료의뢰 시나리오는 도 2b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 시나리오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의원과 2차 병원 사이에서만 진료 의뢰/되의뢰(1차 의뢰 및 1차 되의뢰)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차 의원과 2차 병원 사이에서 수직적으로 진료 의뢰를 수행하되, 상위의료기관에서 하위의료기관으로 되의뢰를 수행하던 비교예와 달리 2차 병원에서 1차 의원으로 처음부터 진료의뢰(1차 의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차 의원과 2차 병원 사이에서 수평적으로 1차 의뢰를 수행하고, 1차 되의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 시나리오는 수평적 진료의뢰 방식, 수평적 진료되의뢰 방식, 수직적 진료의뢰 방식 및 수직적 진료되의뢰 방식이 모두 형성되되, 1차 의원 및 2차 병원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1차 의원부터 4차 상급종합병원 내에서 진료 의뢰 또는 되의뢰가 수행되는 비교예와 달리 1차 의원과 2차 병원 사이에서의 의료 활성화가 가능하다.
예컨대, 진료의뢰단말(10)이 1차 의원인 경우 진료의뢰대상단말(20)은 1차 의원 또는 2차 병원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진료의뢰단말(10)이 2차 병원인 경우 진료의뢰대상단말(20)은 1차 의원 또는 2차 병원일 수 있다. 또한, 진료를 의뢰받은 의원(혹은 병원)이 다시 다른 의원(혹은 병원)으로 진료를 의뢰할 수도 있고, 되의뢰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진료를 의뢰받은 후 진료의뢰단말(10)로 진료내용을 회신할 수도 있다.
회원정보인증서버(30)는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과 인터넷, 인트라넷, 또는 광대역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회원 정보를 인증하고, 회원이 소속된 의료기관의 규모를 구분할 수 있는 구성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회원정보인증서버(30)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서버인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의 구성요소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정보 인증처리부(110), 의뢰조건 입력부(120), 의뢰기관 추천부(130), 진료의뢰서 제시부(140), 진료되의뢰서 제시부(150), 진료의뢰서 항목입력부(160), 디스플레이부(170), 데이터베이스(180) 및 통신부(190)를 포함한다.
회원정보 인증처리부(110)는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을 이용하여 디지털의뢰서를 공유하고 진료를 의뢰/되의뢰할 수 있도록 회원들로부터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회원정보 인증처리부(110)는 진료의뢰단말(10) 및 진료의뢰대상단말(20)에 대한 전자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은 회원정보 인증처리부(110)에 의해 인증이 완료된 회원에 한해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회원정보 인증처리부(110)는 회원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를 회원으로 처리하여 상기 회원별로 디지털의뢰용계정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은 회원이 진료의뢰대상단말의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를 아는 경우와 모르는 경우를 구분하여 진료의뢰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원정보 인증처리부(110)은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에 가입하려는 사용자들에 의해 의사자격을 검증하기 위해 의사 면허번호를 입력하는 의사자격 검증부, 본인확인을 위해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개인정보 인증부, 회원가입을 위해 가입하려는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입력하는 기본정보 입력부,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을 이용하여 진료 의뢰 및/또는 되의뢰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검색 조건들을 입력하는 검색용 정보입력부, 회원의 니즈에 따라 자신의 병원에 적합한 진료의뢰서를 생성하기 위해 진료의뢰서 서식용 정보입력부 및 진료의뢰통합플랫폼에 로그인하기 위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로그인 정보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회원정보는 후술되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디와 비밀번호와 같은 로그인정보, 의료진의 면허정보, 본인 확인을 위해 아이핀 인증 또는 휴대폰 인증을 수행하는 개인정보 및 회원가입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회원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원정보 인증처리부(110)는 사용자가 회원가입 시 입력한 회원정보 중 아이디에 기초하여 회원 별로 디지털의뢰용계정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의뢰용계정은 회원마다 서로 다른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의뢰조건 입력부(120)는 진료의뢰단말(10)이 진료를 의뢰하고자 하는 병·의원(이하, '1차, 2차 의료기관'이라고도 함)을 검색하기 위해 문자(text) 형태의 의뢰조건(이하, '검색조건'이라고도 함)을 입력하는 구성이다. 의뢰조건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진료의뢰단말(10)이 환자를 의뢰하기 적합한 1차, 2차 의료기관으로 구성된 진료의뢰대상단말(20)을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의뢰조건 입력부(120)는 단순조건입력부(120A) 및 상세조건입력부(120B)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순조건입력부(120A)는 진료를 의뢰할 병·의원이 정해진 진료의뢰단말(10)에서 진료의뢰대상단말(20)의 소속 의사 이름 또는 의사가 소속된 병·의원의 이름을 입력하는 구성이다. 상세조건입력부(120B)는 진료 의뢰를 해야 하지만 병·의원이 정해지지 않았거나 원하는 의뢰조건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인 진료의뢰단말(10)에서 환자의 질환을 진료하기에 적합한 병·의원을 찾기 위해 상세 조건을 입력하는 구성이다.
의뢰조건 입력부의 상세조건입력부(120B)에는 복수의 검색 조건들을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검색 조건들은 의사명, 지역, 진료과/세부전공, 출신학교/수련병원, 진단명, 증상, 수술명 및 보유장비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진료의뢰단말(10)은 의사정보 입력부(120B-1)를 통해 의사의 이름, 진료과/세부전공 및 출신학교/수련병원에 대한 의뢰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진료의뢰단말(10)은 진단명 입력부(120B-2)를 통해 의뢰하고자 하는 환자의 질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되, 진단명 및 진단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진료의뢰단말(10)은 증상 입력부(120B-3)를 통해 의뢰하고자 하는 환자의 질환에 대해서 정의를 내리기 어렵거나 질환에 대해서 구체화하기 위해 증상을 입력할 수 있다. 단, 증상 입력부(120B-3)에 입력하는 질환은 검색의 용이함을 위해 단어 형태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료의뢰단말(10)은 수술이 필요한 환자일 경우, 수술명 입력부(120B-4)를 통해 환자에게 필요한 수술의 명칭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진료의뢰단말(10)은 의뢰장비 입력부(120B-5)를 통해 환자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필수로 요구되는 장비가 있을 경우에 진료의뢰대상단말(20)에서 보유하는 장비를 검색하기 위해 의뢰장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되, 구체적인 장비명으로 입력하거나 장비의 용도와 같이 장비의 특징을 알 수 있는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진료의뢰단말(10)은 상세조건입력부(120B)를 통해 적어도 두 개의 의뢰조건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뢰조건은 상세조건입력부(120B)를 통해 입력가능한 복수의 검색 조건 중 각각에 대해 하나씩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의뢰조건은 복수의 검색 조건 중 각각에 대해 복수개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뢰조건 입력부(120)는 후술되는 의뢰기관 추천부(130)에 의해 회원의 니즈에 부합하는 의뢰기관 리스트가 자동추천되어 나열된 후, 상기 의뢰기관 리스트 중 최종적으로 진료의뢰서를 받고자 하는 병원에 대한 최종선택정보를 입력한다.
의뢰기관 추천부(130)는 의뢰조건 입력부(120)에 의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의뢰조건에 기초하여 진료의뢰단말(10)에게 부합한 의뢰기관을 리스트 형태로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구성이다. 이때, 추천되는 의뢰기관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리스트 형태로 추천되는 의뢰기관들은 의뢰기관 추천리스트에 나열하면서 추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뢰기관 추천부(130)는 회원의 의뢰조건에 따라 복수의 의뢰기관 추천리스트를 제공할 때 각 결과별 확률을 추정하기 위해 베이즈 추론법(Bayesian Inference)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베이즈 추론법은 추론해야 하는 대상의 사전 확률(Prior Probability)과 추가적인 관찰을 통해서 대상의 사후 확률(Posterior)을 추론하는 방법으로 베이즈 정리를 기반으로 한다. 베이즈 정리는 아래와 같다.
즉, E라는 관찰된 데이터를 의미하고, H는 최초에 설정했던 가설을 의미한다. 예컨대, H는 '상세 검색 조건에 따라 의뢰기관 추천리스트를 나열할 때 거리순, 의사평점순, 회신율순, 되의뢰순에 따라 나열순서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면, 각 정렬조건에 따라 의뢰기관 추천리스트의 나열순서가 변화한다'는 가정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가설로 설정된 이벤트(예: 해당 진료의뢰단말이 해당 진료의뢰대상 단말에 진료를 의뢰함)가 발생했다는 가정하에 E라는 특정 데이터가 관찰될 확률P(E|H)를 가능도(likelihood)라 하며, 상술한 가정이 발생할 확률 P(H)를 사전확률(prior)이라고 한다.
켤레사전확률(Conjugate Prior)은 가능도와 사전확률(Prior)의 곱이 사전확률(Prior)와 동일한 형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베이즈 정리에 따른 사후분포(Posterior)가 사전확률(Prior)와 동일한 형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전확률(Prior)이 디리클레 분포(Dirichlet Distribution)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이 디리클레 분포를 따르는 변수 θ를 가능도(Likelihood)의 모델로 가정하자. 즉 이다.
여기서 α는 디리클레 분포의 모수(parameter)로서, k 차원 벡터이고, 상술한 가설에 해당된다. θ는 역시, k 차원 벡터이고, 이 된다. 디리클레 분포의 정의로부터 아래와 같은 식이 도출된다.
다음으로 관찰된 데이터가 다항함수 분포(Multinomial distribution)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이 다항함수가 디리클레 분포를 따른다고 하면,
이 된다. 여기서 nj는 θj가 발생한 횟수를 나타낸다.
상술한 식들을 이용하면, α라는 가정하에 X라는 데이터가 관찰될 때, 다항함수의 각 결과별 확률은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즉,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런 성질을 켤레(conjugate)라고 한다. 즉, 가능도와 사전확률의 곱이 사전확률과 동일한 형태로 되는 것을 말한다. 위의 관계에서는 다항함수 분포(multinomial distribution)의 켤레사전확률(conjugate prior)은 다시 디리클레 분포가 된다.
따라서,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α라는 가정하에 X라는 데이터가 관찰될 때 다항함수의 각 결과별 확률은 켤레사전확률 분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α(선택된 계정까지의 거리, 선택된 의사평점, 회신율, 되의뢰율)라는 가정에서, n은 선택된 의사의 관찰 벡터(거리, 의사평점, 회신율, 되의뢰율)라 한 후, 디리클레 분포를 구하게 되면, 해당 진료의뢰대상단말을 선택할 확률이 도출되게 된다. 이 경우, 해당 진료의료대상단말들에 대한 확률 순으로 진료의뢰대상단말들을 추천하게 된다. 추후에 실제 선택된 진료의뢰대상단말에 의해 본 진료의뢰대상 추천부의 추천모델은 기계학습과 함께 업데이트 된다.
진료의뢰서 제시부(140)는 회원에게 디지털 형태의 진료 의뢰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진료의뢰서 제시부(140)는 회원이 진료를 의뢰하고자 하는 진료의뢰대상단말(20)의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를 아는 경우와 모르는 경우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진료의뢰서를 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회원이 진료의뢰대상단말(20)의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를 아는 경우에는 직접 주소창에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를 입력하고, 해당 링크에 해당하는 의뢰기관의 디지털의뢰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회원이 진료의뢰대상단말(20)의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를 모르는 경우에는 의뢰기관 추천부(130)에 의해 추천된 의뢰기관 중 의뢰조건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최종선택정보에 기초하여 진료의뢰단말(10)에 진료의뢰서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시되는 디지털의뢰서(이하, 디지털 형태의 진료의뢰서)는 최종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의뢰기관의 진료의뢰서를 의미하며, 최종선택된 의뢰기관의 계정 URL과 함께 웹사이트 화면 상에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료의뢰서 제시부(140)는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의 디지털의뢰서링크 요청부를 이용하여 회원으로부터 웹사이트 주소의 형태의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가 입력되면 입력된 URL에 해당하는 회원이 속한 병원의 진료의뢰서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는 진료의뢰할 병원의 계정 URL을 알고 있는 경우에 회원이 직접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에 입력하는 링크인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료의뢰서 항목입력부(150)는 진료의뢰단말(10)에 제시된 진료의뢰서의 양식에서 필요한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이다. 진료의뢰서 항목입력부(150)는 환자이름,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진단명, 환자 상태, 의뢰 내용, 의뢰 병원, 의사명, 의뢰일 및 환자의 진료정보제공 동의 서명 등을 진료의뢰서 항목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나열된 진료의뢰서 항목 중에서 의뢰 병원, 의사명, 의뢰일은 회원이 의뢰조건 입력부(120)에 의해 의뢰조건을 입력한 경우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나열된 진료의뢰서 항목 중에서 의뢰 병원, 의사명, 의뢰일은 디지털의뢰서링크 요청부에 의해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가 입력됨에 따라 수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료되의뢰서 제시부(160)는 진료의뢰단말(10)로부터 진료의뢰를 수신한 진료의뢰대상단말(20)이 진료를 수행한 후, 다시 진료의뢰단말(10)로 진료되의뢰를 요청할 경우에 진료되의서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진료의뢰대상단말(20)에서 특정 환자에 대해 진료를 마친 후, 상기 환자에 대해 이전 병원에서의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다시 진료의뢰단말(10)로 진료되의뢰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료의뢰대상단말(20)은 진료되의뢰서 제시부(160)를 통해 진료의뢰서와 동일한 양식이되, 수신자만 바뀐 진료되의뢰서를 작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을 이용한 진료의뢰단말(10) 및 진료되의뢰단말(20)의 구동 화면을 나타내는 구성로서, 웹 페이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7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진 DB(170-1), 의뢰기관 DB(170-2), 진료의뢰서 DB(170-3) 및 서명 DB(170-4)를 포함한다.
의료진 DB(170-1)는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에 가입한 회원 즉, 의료진들에 대한 정보를 조건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의료진 DB(170-1)는 의사의 이름 데이터/면허번호 데이터/전문의번호 데이터/출신학교 데이터/수련병원 데이터/전문과목 데이터/세부전문의 데이터/회원가입시 입력하는 아이디(ID)와 비밀번호(PW)와 같은 로그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뢰기관 DB(170-2)는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으로부터 진료의뢰 서비스 및 진료 되의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의료기관들에 대한 정보를 병원 규모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일 실시예에 따라서 의료기관은 1차 의원 및 2차 병원을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1차 의원, 2차 병원, 3차 종합병원, 4차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의뢰기관 DB(170-2)에 저장하는 의료기관들을 병원 규모별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회원정보인증서버(30)와 연동하여 회원정보인증서버(30)에 저장된 의료기관에 대한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관들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의뢰기관 DB(170-2)는 상술한 의료진 DB(170-1)에 의해 저장된 의사에 한해, 상기 의사가 소속되어 있는 의료기관의 이름 데이터/위치 데이터/보유장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료의뢰서 DB(170-3)는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에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진료의뢰서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저장한다. 예컨대, 진료의뢰서 DB(170-3)는 환자의 이름/주민등록번호/핸드폰 번호 /진단명/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진료의뢰서 DB(170-3)는 진료의뢰단말(10)의 회원에 의해 환자에 대한 의뢰 내용, 진료의뢰를 하고자 하는 의뢰 병원/의사명/날짜(이하, 의뢰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명 DB(170-4)는 진료 회신 시 필요한 진료정보제공 동의서에 입력되는 환자의 서명(signature)을 저장한다. 단, 환자의 서명을 받을 수 없는 경우를 위해 법정대리인의 서명을 추가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환자의 법정대리인임을 증명하기 위해 법정대리인의 주민등록번호(앞자리)/환자와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을 이용하기 위해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 면허번호 검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인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가입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의 상단에는 주소 입력창(510)이 형성되며, 주소 입력창(510)에는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510L)가 입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을 하기 전,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의 메인화면을 나타낸 것이기 때문에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의 웹 페이지 주소가 표시된다. 예컨대,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의 웹 페이지 주소는 'https://www.drreferral.net'와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에 이미 가입되어 있는 회원은 회원정보 인증처리부(11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한 로그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만약 가입이 되어있지 않은 사용자는 로그인 버튼 하단에 위치한 회원가입 버튼 및 회원가입 안내 버튼을 이용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회원가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빈 양식의 진료의뢰서를 출력하기 원하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70)에 포함된 종이 진료의뢰서 출력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의료기관의 진료의뢰서를 출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종이 진료의뢰서 출력'버튼을 선택한 후,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 내에 포함된 종이의뢰서링크요청부에 의해 원하는 의료기관의 종이의뢰서 요청링크를 입력하여 종이 진료의뢰서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와 같이 본 시스템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 환자의 경우 회원가입 없이도 진료의뢰서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절차 상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회원정보 인증처리부(110)는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70)에서 의료진의 면허정보를 인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의사 면허번호를 입력한 후, '중복확인' 버튼을 누르면 인증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회원정보 인증처리부(110)는 도 7과 같이, 본인 확인을 위한 개인정보를 인증할 수 있다. 이때, 회원정보 인증처리부(11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아이핀(i-PIN)인증 방법 또는 휴대전화 인증 방법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회원정보 인증처리부(110)는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로그인 정보입력부(110-1)에 의해 회원가입정보를 입력하고 아이디를 생성함으로써 회원가입절차를 마무리하여 회원별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원 별로 생성되는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와 관련하여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회원가입 단계에서 관리자 ID 및 사용자 ID를 생성하고, '중복확인' 버튼을 통해 중복 여부를 체크한 후 인증을 각 아이디에 대한 인증을 완료한다. 여기서, 회원 별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는 인증 완료된 아이디 중 관리자 ID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회원가입 단계에서 회원가입을 완료한 사용자는 회원가입과 동시에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에서 진료의뢰단말(10)과 진료의뢰대상단말(20)의 기능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관리자 ID는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을 사용하는 개인회원별 웹페이지를 총괄하여 관리할 사람의 아이디를 의미하는 것으로, 주아이디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관리자 ID에서는 의료진들의 개인정보 열람 및 수정 기능이 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리자 ID는 각 의료기관마다 하나씩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관리자 ID를 할당받는 사용자는 해당 의료기관의 의료진를 제외한 일반 직원인 것을 기본으로 한다.
사용자 ID는 의료기관에 소속된 적어도 한 명의 의료진에 대해서 생성되는 의사용 ID를 의미하는 것으로, 부아이디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ID는 원장을 제외한 나머지 의료진들이 상기 관리자에 의해 생성된 자신 소속의 의료기관에 대한 인증을 먼저 수행한 후,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의료기관이 아닌 제3자가 해당 의료기관의 진료의뢰통합플랫폼에 무분별하게 가입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원장을 제외한 나머지 의료진은 부원장, 봉직의(이하, '페이 닥터'라고도 함) 등을 포함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 ID는 각 의료기관에 소속된 의료진 중 관리자를 제외한 나머지 인원 수만큼 생성이 가능한 것을 기본으로 한다. 단, 실시예에 따라 의료진 중 전문의를 제외한 일반의의 회원가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 ID를 무제한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회원가입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170)에는 기본정보 입력부에 의해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에 가입하려는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기본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휴대폰번호, 이메일(E-mail), 비밀번호, 직책, 사용자가 소속된 병원의 이름/주소/사업자등록번호 등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회원가입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170)에는 검색용 정보입력부에 의해 검색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검색용 정보는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의 회원들이 진료를 의뢰하거나 되의뢰할 때, 의뢰 대상 또는 되의뢰 대상을 찾는 데 기반이 되도록 회원가입 시에 미리 입력해두는 정보인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검색용 정보는 의사면허번호와 전문의면허번호에 기초한 의료진의 전문 과목/세부 전문과목, 출신의대, 수련병원, 환자 의뢰를 받으려고 하는 정보(이하, '환자 의뢰용 정보'라고도 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진은 병·의원 간에 진료 의뢰를 수행하려고 하는 경우에 자신의 전문 분야와 관련된 환자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자신이 컨트롤할 수 있는 진단명과, 증상과, 수술에 관한 정보를 회원가입 단계에 미리 등록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환자를 의뢰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의료진은 진료 의뢰를 받더라도 자신의 전문 분야와 관련이 높은 환자들이 의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료 의뢰 빈도수에 비례하여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검색용 정보로서 입력한 데이터들은 상술한 의료진 DB(170-1)와 의뢰기관 DB(170--2)에 저장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가입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진료의뢰서 서식용 정보입력부에 의해 진료의뢰서 서식용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진료의뢰서 서식용 정보는 진료의뢰서 양식에 직접 입력하거나 자동으로 내용이 채워지도록 하기 위해 자신이 속한 의료기관에 대한 전화번호와, 홈페이지 주소, 병원로고, 병원약도 및 병원소개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홈페이지 주소는 각 의료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웹 사이드에 대한 URL 링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을 이용하기 생성되는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와는 상이한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페이지 주소로는 다양한 형태의 웹 페이지에 대한 URL을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로그의 URL일 수도 있고,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투브, 트위터 등과 같은 SNS의 URL일 수도 있다.
병원로고와 병원약도는 '이미지 첨부하기' 버튼을 통해 jpg, png, tiff 등 다양한 이미지 파일 형식을 갖는 이미지 파일을 첨부할 수 있다. 단, 병원약도는 구글 지도, 네이버 지도, 다음 지도, 카카오 지도 등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서 바로 지도를 움직여 자신이 속한 의료기관의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표시할 수도 있다.
병원소개는 병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자유로운 형식으로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회원이 병원소개에 병원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홈페이지주소, 진료시간을 입력한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진료의뢰서(1400)의 좌측 하단과 같이 병원소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가입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170)에는 로그인 정보입력부에 의해 생성하고자 하는 주아이디(Main ID)와 부아이디(Sub ID)를 입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의뢰 및 되의뢰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의원의 단순검색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의원의 상세검색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서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대상단말 측면에서 진료의뢰를 받은 환자들에 대한 리스트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단말 측면에서 진료의뢰를 한 환자들에 대한 리스트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회신서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진료의뢰대상 검색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진료를 의뢰하고자 하는 병·의원을 검색할 수 있는 조건 입력창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조건 입력창의 상단에는 주소 입력창(510)이 형성되며, 주소 입력창(510)에는 제1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510L-1)가 입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510L-1)는 진료의뢰단말(10)의 개인 계정에 따른 URL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12에서는 회원아이디가 'hjh'인 사용자가 진료의뢰를 위해 병의원을 검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510-L)의 형태는 'https://www.drreferral.net/hjh'와 같이 '통합플랫폼의 웹주소/회원아이디'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원이 소속된 병원을 알 수 있도록 'https://www.drreferral.net/doctorjin/hjh'와 같이 '통합플랫폼의 웹주소/진료의뢰대상단말의 소속 병원명/진료의뢰대상단말의 개인 계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에 형성된 조건 입력창은 단순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창으로서, 사용자의 의뢰조건이 하나인 경우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뢰조건이 두 개 또는 그 이상인 경우에는 조건 입력창의 하단에 배치된 '상세 검색' 버튼을 선택하여 도 13과 같은 상세 검색 단계로 넘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진료의뢰대상 검색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170)의 상세 검색 영역(DS)와 같이 상세조건입력부(120B)에 의해 복수의 검색 조건들이 입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세 검색 영역(DS)에는 의사명, 지역, 진료과/세부전공, 출신학교/수련병원, 진단명, 증상, 수술명 및 보유장비와 같이 상세검색조건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이 형성된다. 이때, 상세 검색 영역(DS)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검색조건 각각에는 하나 상세검색조건을 입력할 수도 있고, '서울 + 경기'와 같이, 또는(OR) 조건으로 복수의 상세검색조건을 입력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상세검색조건 입력 시 적어도 하나의 상세검색조건을 입력함으로써 회원의 니즈에 가장 부합하는 결과를 추천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상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상세 검색 영역(DS)의 우측에 배치된 검색결과 표시영역(RL)에는 상세검색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검색결과가 리스트(list) 형태로 나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검색 조건을 입력하는 과정은 앞서 상세조건입력부(120B)에 대한 내용과 함께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의 검색결과 표시영역(RL)에는 입력된 상세 검색 조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검색 결과가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 검색 결과에는 의사명, 지역, 진료과목, 수술분야, 회신율, 되의뢰율, 보유장비 및 출신학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각 의료진이 소속된 의료기관명이 포함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의료기관명이 표시되지 않더라도 검색결과리스트에 표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의 니즈에 부합하는 의료진을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해당 의료진이 소속된 병원의 웹 사이트가 팝업(Pop-up)됨에 따라, 회원은 팝업된 웹 사이트를 통해 병원명을 확인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의 검색결과리스트는 거리순, 의사평점순, 회신율순, 되의뢰순으로 정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정렬 조건을 동시에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회원은 자신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조건을 복수개를 설정함으로써 회원의 니즈가 가장 부합한 의료기관을 추천받을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정렬조건 중 제1 정렬조건으로 거리를 설정하고, 제2 정렬조건으로 평점을 설정한 경우에, 의료기관 추천부(130)는 나열된 복수개의 검색결과를 먼저 거리 순으로 정렬한 후, 거리 순으로 정렬된 검색결과리스트를 평점 순으로 정렬함으로써 회원은 검색결과리스트의 최상단에 정렬된 데이터를 자신의 니즈에 최적화된 결과(이하, '최종 선택정보'라고도 함)로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거리 순으로 정렬하는 것은 진료를 의뢰하고자 하는 환자 주소를 기준인 것을 기본으로 하나, 진료를 의뢰하려는 의료기관 주소를 기준으로 정렬할 수도 있다.
이때, 정렬조건은 도 13에 나열된 모든 정렬조건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 정렬조건을 많이 설정할 수록 본 발명의 회원은 보다 신속하게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진료의뢰서 수신 단계에서, 본 발명의 회원은 상기 진료의뢰대상 검색 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선택한 최종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진료의뢰서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의료기관의 웹 사이트 계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웹 사이트의 화면(디스플레이부(170))에 진료의뢰서(1400)가 포함되어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원은 진료의뢰서 항목입력부(150)에 의해 진료의뢰서(1400)의 항목에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진료의뢰서(1400)에 포함된 각 항목에 표시된 *표시는 필수적으로 입력되어야 하는 항목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진료의뢰서에 포함된 진료정보제공 동의서란의 하단부에 위치한 전송하기 버튼은 진료정보제공 동의서에 대해 환자의 동의를 획득하기 위해 서버에 저장되 환자의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휴대폰으로 스캔폰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휴대폰으로부터 수신한 서명은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함으로써 진료의뢰단말(10)과 진료의뢰대상단말(20)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료의뢰대상단말(20)은 자신이 진료를 의뢰받아, 진료를 행한 환자들의 내역을 도 15와 같이 리스트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진료의뢰단말(10)은 자신이 진료를 의뢰한 환자들의 내역을 도 16과 같이 리스트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리스트에는 환자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진단명, 진단코드, 의뢰일자, 의뢰병원, 의뢰사유, 환자 회신동의 여부, 회신일자, 회신 내용, 병원의 되의뢰여부, 메모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진료의뢰대상단말(20) 측면에서의 리스트이므로 제2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510L-2)가 표시되고, 도 16에서는 진료의뢰단말(10) 측면에서의 리스트이므로 제1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510L-1)가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진료의뢰대상단말(20)은 도 17와 같이, 진료의뢰를 수신하여 의뢰된 진료를 수행한 후, 진료의뢰단말(10)로 진료에 대한 회신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7의 디스플레이부(170)에는 도 14에 도시된 진료의뢰서(1400)와 양식이 동일한 진료의뢰서(1700)가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도 17의 진료의뢰서(1700)는 도 14의 진료의뢰서(1400)와 달리 회신 내용이 추가된 진료회신서이며, 버튼 영역(1703)에서 미리보기 버튼과 출력 버튼이 사라지고 되의뢰서 작성 버튼이 생성된 것만 상이할 뿐 나머지는 동일한 것으로 이해해도 무방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진료의뢰 시스템의 전산화 및 온라인화를 통해 1차, 2차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함과 동시에 1차, 2차 병·의원에 있는 전문의 및 세부전문의의 진료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다양한 검색조건을 적용하여 진료의뢰를 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1, 2차 병·의원들에게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회원들을 대상으로 병원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1, 2차 의료기관 의사의 협진(의뢰-되의뢰)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1차, 2차 의료진들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중증도가 낮은 환자가 대학병원에 집중되는 현상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의료전달체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1, 2차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시 디지털 형태의 진료의뢰서를 주고받도록 함으로써 종이 사용에 따른 자원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종이의뢰서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화됨에 따라 분실로 인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종이로 된 진료의뢰서를 주고받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가까운 곳에 있는 전문성 높은 1차, 2차 의료기관을 손쉽게 검색함에 따라 기존의 검색엔진의 한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병·의원 간에 수직적 의뢰/되의뢰 및 수평적 의뢰/되의뢰가 모두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1, 2차 병·의원의 의료를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1, 2차 병·의원 간의 상호 의뢰/되의뢰 방식으로 인해 환자들은 치료 병원을 옮기지 않고도 일관성있는 치료를 받을 수 있어, 의사와 환자간의 신뢰형성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시스템(1800)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0)과 진료의뢰통합플랫폼(100)에 연결되는 의료기관의 규모가 넓어졌다는 것만 상이할 뿐 나머지는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800)은 진료의뢰단말(80), 진료의뢰대상단말(90) 및 회원정보인증서버(30)를 모두 연결하는 진료의뢰통합플랫폼(800)을 기반으로 구성되되, 진료의뢰단말(80)과 진료의뢰대상단말(90)이 의원, 병원 및 대학병원 모두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800)은 대학병원의 의료진까지 회원으로서 취급하게 되면 플랫폼 이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3차 종합병원과 4차 상급종합병원의 일부인 대학병원에까지 플랫폼의 이용 범위를 넓힐 경우, 국내의 의료전달체계를 체계적으로 전산화하고 온라인화시킴으로써 의료진의 업무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 진료의뢰통합플랫폼에 회원으로서 인증되며 진료를 의뢰하는 진료의뢰단말 및 상기 진료의뢰단말로부터 진료의뢰를 요청받는 진료의뢰대상단말 간의 진료의뢰를 수행하는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은,
상기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을 이용하려는 사용자로부터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회원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를 상기 회원으로 처리하여 회원별로 디지털의뢰용계정을 할당하는 회원정보 인증처리부; 상기 회원에게 디지털 의뢰서를 제시하는 진료의뢰서 제시부; 상기 회원이 의뢰조건을 입력하는 상세조건입력부; 및 상기 의뢰조건에 기초하여 의뢰기관 추천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의뢰기관 추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료의뢰단말과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 간의 진료의뢰는 1차 의원 및 2차 병원에 대하여 의료기관의 규모별로 형성되는 수평적 1차 의뢰이고,
상기 의뢰기관 추천리스트는 상기 회원의 니즈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정렬조건에 기초하여 나열되되, 상기 미리 설정된 정렬조건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동시에 설정하며, 상기 정렬조건은 거리순, 의사평점순, 회신율순 및 되의뢰순을 포함하며,
상기 의뢰기관 추천부는 상기 회원의 의뢰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의뢰기관 추천리스트 생성 시, 상기 진료의뢰단말이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에 진료를 의뢰하는 것을 가설로 설정하고, 상기 정렬조건을 하기 수학식에 기초하여 디리클레 분포(Dirichlet Distribution)를 산출하여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을 선택할 확률을 도출하고,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에 대하여 도출된 상기 의뢰기관 추천리스트를 나열하는,
(수학식)
(여기서, α는 선택된 디지털의뢰용계정까지의 거리, 선택된 의사평점, 회신율 및 되의뢰율을 의미하고, n은 선택된 의사의 관찰 벡터(거리, 의사평점, 회신율, 되의뢰율)를 의미함)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의뢰는 상기 1차 의원과 상기 2차 병원 사이에서 수평적 진료의뢰 방식, 수평적 진료되의뢰 방식, 수직적 진료의뢰 방식 및 수직적 진료되의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양 방향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조건입력부는 복수의 검색 조건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진료를 의뢰하려는 적어도 한명의 의사에 대한 진료과, 세부전공, 출신학교 및 수련병원에 대한 의뢰조건을 입력하는 의사정보 입력부, 의뢰하고자 하는 환자의 질환에 대한 정보를 진단명 또는 진단코드의 형태로 입력하는 진단명 입력부, 상기 환자 중 수술이 필요한 환자일 경우 수술명을 입력하는 수술명 입력부 및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에서 보유하는 장비를 검색하기 위해 의뢰장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의뢰장비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정렬조건이 두 개 이상인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설정한 정렬조건을 기초로 상기 의뢰기관 추천리스트를 나열하는,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의뢰용계정은 상기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의 웹주소,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의 소속 병원명 및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의 개인 계정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URL인,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의뢰서는 상기 진료의뢰단말과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 사이에서 URL 형태의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를 이용하여 주고받으며, 상기 진료의뢰단말과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의 회원은 상기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를 상기 진료의뢰통합플랫폼에 입력하면 상기 디지털의뢰서 요청링크에 해당하는 의뢰기관의 진료의뢰서가 표시된 웹 사이트 화면을 제공받는,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삭제
- 삭제
-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을 이용하여 진료를 의뢰하는 진료의뢰단말 및 상기 진료의뢰단말로부터 진료의뢰를 요청받는 진료의뢰대상단말 간의 진료의뢰를 수행하는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의 회원정보 인증처리부에 의해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을 이용하려는 사용자로부터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회원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를 회원으로 처리하여 회원별로 디지털의뢰용계정을 할당하는 회원 가입 단계;
상기 진료의뢰통합플랫폼의 진료의뢰서 제시부에 의해 상기 회원에게 디지털의뢰서를 제공하는 진료의뢰 단계;
상기 회원으로부터 진료의뢰를 받기 위해 복수의 의뢰조건을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의뢰조건에 기초하여 의뢰기관 추천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의뢰기관 추천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진료의뢰단말과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 간의 진료의뢰는 1차 의원 및 2차 병원에 대하여 의료기관의 규모별로 형성되는 수평적 1차 의뢰이고,
상기 의뢰기관 추천리스트는 상기 회원의 니즈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정렬조건에 기초하여 나열되되, 상기 미리 설정된 정렬조건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동시에 설정하며, 상기 정렬조건은 거리순, 의사평점순, 회신율순 및 되의뢰순을 포함하며,
상기 의뢰기관 추천단계는, 상기 회원의 의뢰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의뢰기관 추천리스트 생성 시, 상기 진료의뢰단말이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에 진료를 의뢰하는 것을 가설로 설정하고, 상기 정렬조건을 하기 수학식에 기초하여 디리클레 분포(Dirichlet Distribution)를 산출하여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을 선택할 확률을 도출하고,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에 대하여 도출된 상기 의뢰기관 추천리스트를 나열하는,
(수학식)
(여기서, α는 선택된 디지털의뢰용계정까지의 거리, 선택된 의사평점, 회신율 및 되의뢰율을 의미하고, n은 선택된 의사의 관찰 벡터(거리, 의사평점, 회신율, 되의뢰율)를 의미함)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뢰조건을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의뢰단말이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에 대해 진료를 의뢰하려는 적어도 한명의 의사에 대한 진료과, 세부전공, 출신학교 및 수련병원에 대한 의뢰조건을 입력하는 단계, 의뢰하고자 하는 환자의 질환에 대한 정보를 진단명 또는 진단코드의 형태로 입력하는 단계, 상기 환자 중 수술이 필요한 환자일 경우 수술명을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의뢰대상단말에서 보유하는 장비를 검색하기 위해 의뢰장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0366A KR102579677B1 (ko) | 2020-06-30 | 2020-06-30 |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0366A KR102579677B1 (ko) | 2020-06-30 | 2020-06-30 |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1891A KR20220001891A (ko) | 2022-01-06 |
KR102579677B1 true KR102579677B1 (ko) | 2023-09-15 |
Family
ID=7934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0366A KR102579677B1 (ko) | 2020-06-30 | 2020-06-30 |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967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78498A (ja) | 2002-08-15 | 2004-03-11 | Retsuji Hagiwara | 診療機関予約システム |
KR101637017B1 (ko) | 2016-01-21 | 2016-07-20 | 박성우 | 시술 맞춤형 병원 검색 시스템 |
KR101800846B1 (ko) * | 2016-04-27 | 2017-11-23 | (주)지맥스솔루션 |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 |
KR101818100B1 (ko) * | 2015-04-14 | 2018-01-1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의료서비스 통합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3832A (ko) * | 2002-04-22 | 2003-11-01 | 한미화 | 온라인상에서의 의료 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 |
KR20090001542A (ko) * | 2007-04-24 | 2009-01-09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웹을 이용하여 환자의 진료를 의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
KR20110087220A (ko) * | 2010-01-25 | 2011-08-02 | 주식회사 나노엔텍 |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
KR20120010747A (ko) * | 2010-07-27 | 2012-02-06 |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 의료정보 제공 방법 |
KR20120028585A (ko) * | 2010-09-15 | 2012-03-23 | 박우종 | 1차 의료기관 통합형 가상종합병원 시스템 |
KR101769480B1 (ko) * | 2015-06-08 | 2017-08-18 | (주)유메디 | 병원 진료 예약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방법 |
-
2020
- 2020-06-30 KR KR1020200080366A patent/KR1025796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78498A (ja) | 2002-08-15 | 2004-03-11 | Retsuji Hagiwara | 診療機関予約システム |
KR101818100B1 (ko) * | 2015-04-14 | 2018-01-1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의료서비스 통합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1637017B1 (ko) | 2016-01-21 | 2016-07-20 | 박성우 | 시술 맞춤형 병원 검색 시스템 |
KR101800846B1 (ko) * | 2016-04-27 | 2017-11-23 | (주)지맥스솔루션 |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1891A (ko) | 2022-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urles et al. | Ethical, practic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for unobtrusive qualitative research about personal narratives shared on the internet | |
US10910114B2 (en) | Patient community system with anonymized electronic medical data | |
George et al. | How do low‐income urban African Americans and Latinos feel about telemedicine? A diffusion of innovation analysis | |
US9639597B2 (en) | Collecting and classifying user information into dynamically-updated user profiles | |
CA2788890C (en) | System and method for peer referencing in an online computer system | |
Harding et al. | Needs, experiences, and preferences of sexual minorities for end-of-life care and palliative care: a systematic review | |
Cresswell et al. | Implementing and adopting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s: How actor‐network theory can support evaluation | |
Huang | Knowledge sharing in a Third‐Party‐Governed health and human services network | |
US20090037470A1 (en) | Connecting users based on medical experiences | |
Gurusami | The Carceral Web we weave: Carceral citizens’ experiences of digital punishment and solidarity | |
Namara et al. | Cross-cultural perspectives on eHealth privacy in Africa | |
Munyoka | Electronic government adoption in voluntary environments–a case study of Zimbabwe | |
Abedi et al. | Universal standards for the concept of trust in online dispute resolution systems in e-commerce disputes | |
Vehviläinen-Julkunen et al. | Experience of ambulatory cancer care: understanding patients' perspectives of quality using sentiment analysis | |
Almiron et al. | Climate change contrarian think tanks in Europe: A network analysis | |
Dillmon et al. |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cancer care: utilization and expectations of the practicing oncologist | |
Roberts et al. | Nurse practitioner research agenda roundtable, October 2015 | |
Ahmead et al. | The effects of internet and social media use on the work performance of physicians and nurses at workplaces in Palestine | |
Mitchell et al. | Health care staff responses to disinvestment—A systematic search and qualitative thematic synthesis | |
Sodhi et al. | Analysis of telehealth versus telemedicine terminology in the telemedicine and e-Health journal between 2010 and 2020 | |
Happo et al. | The effect of study type on research ethics committees’ queries in medical studies | |
KR102579677B1 (ko) |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
US20140278579A1 (en) | Medical Form Generation, Customization and Management | |
Cardoso et al. | The multidimensionality of low health literacy in older adults: a scoping 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 |
Wilson et al. | Trends in US consumers’ use of e-health services: fine-grained results from a longitudinal, demographic surve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