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220A -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220A
KR20110087220A KR1020110006155A KR20110006155A KR20110087220A KR 20110087220 A KR20110087220 A KR 20110087220A KR 1020110006155 A KR1020110006155 A KR 1020110006155A KR 20110006155 A KR20110006155 A KR 20110006155A KR 20110087220 A KR20110087220 A KR 20110087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test
information
medical institution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희
박준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엔텍
Priority to PCT/KR2011/00043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90341A2/ko
Publication of KR20110087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Abstract

검사장비를 기준으로 하여 의료기관을 검색하고 상응하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가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의료기관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의료기관 검색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사장비를 선택하는 검사장비 선택부,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단말에서 표시가능한 포맷으로 화면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구성부를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에 의하면, 검사장비라는 기준을 이용하여 검색된 의료기관을 제공하여 검사대상자의 의료기관 선택 시 판단 기준에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본 발명은 의료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장비업체가 효과적으로 검사장비를 홍보하고 고객에 대하여 검사장비를 기준으로 하여 의료기관을 검색하고 상응하는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의료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을 찾을 때에는 지인들의 추천으로 의료기관을 선택하여 진료를 받게 된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개별적으로 개설된 의료기관의 웹사이트를 통해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거나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게시되어 있는 게시자의 주관적인 정보를 접하고 이를 기준으로 판단하여 의료기관을 선택하고 진료를 받는 경우도 많다.
또한, 기존의 의료기관 검색을 제공하는 사이트를 통해 명칭별, 주소별 분류 혹은 질병에 대한 진료과별 분류(내과, 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등)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맞는 의료기관을 검색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받기도 한다.
하지만, 전술한 방법들에 의하는 경우 의료기관을 찾는 검사대상자가 주관적인 정보에 의존하거나 의료기관에 대한 피상적인 정보만을 이용하여 주관적으로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검사대상자가 의료기관을 선택한 이후 검사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 해당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일차적으로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검사를 의뢰하게 되며, 이후 약속된 검사일자에 재방문하여 검사장비를 이용한 검사를 수행한다. 그리고 검사결과 및 이에 대한 의료진의 진단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또 한번의 방문이 필요하게 되는 바, 수회에 걸친 방문으로 인해 검사 및 그 결과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의료장비업체가 검사장비를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하고 객관화된 데이터인 검사장비를 기준을 이용하여 검색된 의료기관을 제공하여 검사대상자의 의료기관 선택 시 판단 기준에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대상자가 의료기관에 1회 방문하는 것만으로도 검사 및 진단이 가능한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대상자가 다수의 의료기관에 방문하더라도 상관없이 개인별로 검사결과를 누적한 검사이력 제공이 가능한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서비스 가입회원에게 질환정보, 의료뉴스 등을 제공하고, 관심병원으로 설정된 병원의 안내사항을 빠르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전문가 상담 문의가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의료기관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의료기관 검색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사장비를 선택하는 검사장비 선택부;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단말에서 표시가능한 포맷으로 화면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구성부를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검사대상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선택한 상기 검사장비 정보, 상기 검사대상자의 증상 정보, 상기 검사대상자의 건강검진 결과데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검사대상자가 직접 선택한 상기 검사장비 정보는 의료장비업체에 의해 등록되거나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의 운영자가 상기 의료장비업체로부터 제공받은 후 상기 운영자에 의해 등록되어 저장된 것으로, 광고 배너 형태 혹은 검사장비 리스트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어 상기 검사대상자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검사장비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가 상기 증상 정보 혹은 상기 건강검진 결과데이터인 경우 상기 증상 정보 혹은 상기 건강검진 결과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자에 대하여 의심되는 질병군을 결정하고, 상기 질병군에 상응하는 검사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구성부는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의료기관에 대하여 근접성, 의료진 경력, 의료진 수, 의료기관 규모, 환자 이전율, 진료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순위기준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에 구비된 상기 검사장비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품질관리를 수행하고 품질관리 결과를 품질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품질관리 수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색부는 상기 품질관리 결과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에 한정하여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위치, 검사대상자가 미리 등록시켜 놓은 위치, 상기 검사대상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검색한 위치, 상기 검사대상자가 이전에 검색한 의료기관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가 근접한 순서대로 상기 의료기관의 순위를 결정하는 위치기반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제공부는 지도와 함께 상기 결정된 순위에 따라 상기 검색된 의료기관의 위치를 표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검색된 의료기관 중 상기 검사대상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기관과 연동하여 상기 검사장비를 이용하는 검사예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검사예약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검사장비를 통한 상기 검사대상자의 검사결과를 수신한 상기 단말 및 상기 검사장비 중 하나로부터 상기 검사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검사결과를 상기 검사대상자에 상응하여 누적 저장하며, 요청에 따라 상기 누적 저장된 검사결과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검사이력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병원 설정 요청을 더 수신하면, 상기 관심병원 설정 요청에 포함된 의료기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의료기관을 상기 검사대상자의 관심병원으로 설정하고, 상기 관심병원으로 설정된 의료기관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단말로 주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관심병원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환정보 제공 요청을 더 수신하면, 상기 질환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질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질환에 대한 증상, 검사방법, 치료방법, 의료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질환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문가 상담 요청을 더 수신하면, 상기 전문가 상담 요청에 포함된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지정되거나 상기 전문가 상담 요청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의료기관 및 전문가 중 하나 이상이 확인 가능한 단말로 상기 증상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증상 정보에 대한 전문가 소견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담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의료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의료기관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 검색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사장비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검사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의료기관을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단말에서 표시가능한 포맷으로 화면구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검사대상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선택한 상기 검사장비 정보, 상기 검사대상자의 증상 정보, 상기 검사대상자의 건강검진 결과데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
의료장비업체 단말로부터 혹은 운영자 단말로부터 상기 검사장비에 대한 검사장비 정보를 수신하여 검사장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가 선행되되, 상기 검사장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검사장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광고 배너 형태 혹은 검사장비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어 상기 검사대상자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검사장비 선택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가 상기 증상 정보 혹은 상기 건강검진 결과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대상자에 대하여 의심되는 질병군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질병군에 상응하는 검사장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구성 단계는 상기 검색된 의료기관에 대하여 근접성, 의료진 경력, 의료진 수, 의료기관 규모, 환자 이전율, 진료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순위기준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의료기관에 구비된 상기 검사장비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수행한 품질관리 결과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에 한정하여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위치, 검사대상자가 미리 등록시켜 놓은 위치, 상기 검사대상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검색한 위치, 상기 검사대상자가 이전에 검색한 의료기관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가 근접한 순서대로 상기 의료기관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도와 함께 상기 결정된 순위에 따라 상기 검색된 의료기관의 위치를 표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검색된 의료기관 중 상기 검사대상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기관과 연동하여 상기 검사장비를 이용하는 검사예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검사예약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검사장비를 통한 상기 검사대상자의 검사결과를 수신한 상기 단말 및 상기 검사장비 중 하나로부터 상기 검사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사결과를 상기 검사대상자에 상응하여 누적 저장하는 단계; 및 요청에 따라 상기 누적 저장된 검사결과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병원 설정 요청을 더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심병원 설정 요청에 포함된 의료기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의료기관을 상기 검사대상자의 관심병원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병원으로 설정된 의료기관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단말로 주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환정보 제공 요청을 더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질환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질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질환에 대한 증상, 검사방법, 치료방법, 의료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문가 상담 요청을 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상담 요청에 포함된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지정되거나 상기 전문가 상담 요청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의료기관 및 전문가 중 하나 이상이 확인 가능한 단말로 상기 증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증상 정보에 대한 전문가 소견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장비업체가 검사장비를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하고 객관화된 데이터인 검사장비를 기준을 이용하여 검색된 의료기관을 제공하여 검사대상자의 의료기관 선택 시 판단 기준에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검사대상자가 의료기관에 1회 방문하는 것만으로도 검사 및 진단이 가능하고, 검사대상자가 다수의 의료기관에 방문하더라도 상관없이 개인별로 검사결과를 누적한 검사이력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의료서비스 대상자에게 질환정보, 의료뉴스 등을 제공하고 설정된 관심병원의 안내사항을 빠르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전문가 상담 문의가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제공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검사장비를 선택하기 위한 분류표의 일례가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 화면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 데이터베이스(10), 사용자 단말(200a, 200b, 이하 '200'으로 통칭함), 운영자 단말(250), 의료기관(300a, 300b, 이하 '300'으로 통칭함), 의료기관 단말(310), 검사장비(320a, 320b, 320c, 이하 '320'으로 통칭함), 의료장비업체 단말(400a, 400b, 이하 '400'으로 통칭함)이 도시되어 있다.
의료기관을 방문하고자 하는 검사대상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웹브라우저로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와 연동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200)에서 다운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가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예를 들면, 검사대상자에게 적합한 의료기관 검색, 병원 예약, 검사이력 제공, 관심병원 설정, 질환정보 및/또는 의료뉴스, 전문가 상담 등)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데스크탑, 노트북, 넷북(Netbook) 등과 같은 컴퓨터이거나,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 등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유선 혹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의료기관(300)은 하나 이상의 검사장비(320)를 구비하고 있는 장소로서, 병원, 의원, 약국 등의 일반 의료기관과, 허가된 자에 의해 운영되며 검사대상자가 방문하여 간단히 현장진단만을 받을 수 있는 클리닉-샵(Clinic-shop) 등의 준 의료기관을 포함한다.
의료기관(300)에 구비되는 검사장비(320)는 검사대상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 관찰, 치료 및 예후 판정 등에 필요한 검사를 시행하고 해석하는 진단의료기기이다. 이러한 검사장비(320)는 예를 들어 정밀진단이 가능한 대형검사장비, 현장검사(point-of-care testing)가 가능한 현장진단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기관(300)에 구비되는 검사장비(320)는 하나 이상으로 다양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300)에 따라 구비되는 검사장비가 중복되거나(검사장비 1(320a) 참조)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검사장비 2(320b), 검사장비 3(320c) 참조).
의료장비업체는 의료기관(300)에 구비되는 검사장비(320)를 제조, 납품하는 업체로서, 정밀진단이 가능한 대형검사장비를 제조하는 업체, 현장진단이 가능한 현장진단장비를 제조하는 업체 등의 다양한 업체를 포함한다. 각 의료장비업체는 자사에서 제조하여 각 의료기관(300)에 납품한 하나 이상의 검사장비(320)에 대하여 고객, 즉 검사대상자에게 효과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후술할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의료장비업체 단말(400)을 이용하여 각 검사장비(320)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서버 운영자가 운영자 단말(250)을 통해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하고, 의료장비업체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 운영자는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가입한 개인회원(검사대상자) 및/또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입한 업체회원(의료기관 및/또는 의료장비업체)의 인증 및 관리를 수행하거나 제공된 의료서비스에 따른 통계(검사장비(320)를 이용한 진단결과 통계 등) 관리, 공지사항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의료기관을 방문하고자 하는 검사대상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검사대상자에게 적합한 의료기관을 검색하고,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여 검사대상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의료기관 검색 시 검색 조건은 검사대상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검사장비의 보유 여부, 진료과목, 질환 종류, 진료가능상황, 주소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는 다양한 검사장비(320)를 구비한 의료기관(300)으로부터 의료기관 단말(310)을 통해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는 해당 검사대상자가 선택한 의료기관에 대하여 선택된 의료기관과 상응하는 의료기관 단말(310)과 연동하여 검사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는 검사대상자가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소정의 검사장비(320)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한 결과를 검사장비(320)로부터 1차적으로 혹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2차적으로 전송받고, 데이터베이스(10)에 개인별로 누적 저장함으로써 향후 개인별 검사이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의료기관(300)에 검사장비(320)를 제공하는 의료장비업체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또는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업체 단말(400)과 연동하여 각 의료장비업체에서 제조하여 납품하는 검사장비(32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검사대상자가 의료기관을 선택하고 판단하는 근거로서 검사장비 보유 여부라는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여 줄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의 각 구성요소 및 그 기능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검사장비를 선택하기 위한 분류표의 일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 통신부(105), 검사장비 선택부(110), 검색부(115), 정보 구성부(120), 품질관리 수행부(125), 위치기반서비스 제공부(130), 검사예약서비스 제공부(135), 검사이력 제공부(140), 관심병원 설정부(145), 질환정보 제공부(150), 상담서비스 제공부(155), 데이터베이스(10), 검사장비 데이터베이스(12),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14), 품질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6), 검사이력 데이터베이스(18), 질환정보 데이터베이스(20), 회원 데이터베이스(22)가 도시되어 있다.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0)와 연결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하며,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외부에 제공한다. 통신부(105)는 의료장비업체 단말(400)과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해당 의료장비업체 단말(400)을 구비한 의료장비업체가 제조한 검사장비(32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검사장비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검사장비를 의료서비스 제공장비로서 등록한다. 검사장비 정보는 검사장비의 명칭, 용도, 성능, 가격, 검사원리, 진단시간, 통증여부, 회복기간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05)는 운영자 단말(250)과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의 운영자(즉, 의료서비스 제공자) 또는 제3자가 의료장비업체로부터 제공받은 검사장비 정보를 수신하고 검사장비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부(105)는 운영자 단말(250)로부터 다양한 질환(예를 들면, 전립선암(염), 간암(염), 폐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등)에 대한 증상, 검사방법, 치료방법 등 일반적이고 범용적인 정보를 수신하여 질환정보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질환에 대한 최신 의료뉴스를 실시간으로 혹은 주기적으로 운영자 단말(250)로부터 혹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뉴스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하여 질환정보 데이터베이스(20)에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뉴스 서버는 방송사, 언론사, 포털사이트 운영업체 등에서 운영하며, 뉴스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5)는 의료기관 단말(310)과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의료기관 단말(310)로부터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한다. 여기서, 의료기관 단말(310)로부터 수신하는 의료기관 정보는 의료기관의 명칭,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등의 기본정보와, 의료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검사장비 목록, 의료기관에서 진료가능한 진료과목(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일반외과, 신경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성형외과, 안과, 소아과, 비뇨기과, 산부인과, 이비인후과, 치과, 피부과 등), 입원시설(1인실, 2인실, 다인실 운영현황, 간병인 지원 등), 편의시설(주차시절, 목욕시설, 보호자대기시설 등), 운영시간(평일, 공휴일, 야간, 응급실 등), 비용, 교통수단(버스노선, 지하철노선, 주차장 등) 등의 상세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5)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요청을 수신한다. 사용자 요청은 의료기관 검색 요청, 관심병원 설정 요청, 전문가 상담 요청, 질환정보 제공 요청 등 증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요청이 의료기관 검색 요청인 경우를 가정하여 우선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105)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의료기관 검색 요청과 함께 해당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의료기관 검색 요청을 전송한 검사대상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 검색 요청에 상응하여 후술할 검색부(115)에 의해 검색되고 정보 구성부(120)에 의해 구성된 의료기관에 대한 의료기관 정보를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검사대상자가 해당 의료기관 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단말로 전송한다. 의료기관 정보를 전송받는 단말은 의료기관 검색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200)이거나 혹은 사용자가 지정한 타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단말일 수 있다. 검사장비 선택부(110)는 통신부(105)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의료기관 검색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기준이 되는 검사장비를 선택한다.
사용자 정보는 검사대상자에 의해 직접 선택된 검사장비 정보 또는 검사대상자가 입력한 증상 혹은 일반/종합건강검진 결과에 대한 정보로서, 검사장비를 선택함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정보이다.
검사대상자가 이전에 검사를 받아본 적이 있거나 해당 장비에 대한 소개를 받은 경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화면 내의 검색필드에 해당 검사장비의 명칭, 모델명 등의 검사장비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는 검사대상자가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화면 내의 검사장비 리스트 중 하나를 마우스 클릭, 터치, 키 입력 등의 방법을 통해 적합한 해당 검사장비를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의료장비업체가 등록한 검사장비 정보가 광고 배너 형태로 함께 표시되거나 검사장비 리스트 중 마우스 클릭, 커서 오버랩, 터치, 키 입력 등을 통해 선택된 검사장비에 대해서 예를 들어 메모, 풍선말, 팝업 윈도우 등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표시됨으로써 검사대상자가 해당 검사장비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검사장비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또는 검사대상자가 이전에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를 통해 의료서비스를 받은 이력이 있는 경우, 검사대상자가 이전에 검색하였거나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수행할 때 이용되었던 검사장비에 대한 정보가 검사이력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검사이력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되어 있는 검사장비를 일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검사대상자가 마우스 클릭, 터치, 키 입력 등의 방법을 통해 해당 검사장비를 직접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검사대상자가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검사장비 분류표에 따라 대분류에서 소분류까지 순차적으로 분류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필요로 하는 검사장비를 직접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립선과 관련하여, 비뇨기과 → 전립선 검사 → 전립선암 → 현장진단의 순으로 대분류에서 소분류까지 순차적으로 분류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PSA Frend를 검사장비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라식 수술과 관련하여, 안과 → 시력교정 → 특수라식 → 다빈치 라식 → 레이저 조사속도(Hz) → 500-1000Hz의 순으로 대분류에서 소분류까지 순차적으로 분류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500-1000Hz 레이저 조사속도를 가지는 다빈치 라식 시술 장비를 검사장비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는 검사대상자가 현재 자신의 증상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검사장비 선택부(110)는 분석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입력된 증상을 분석하여 검사대상자에 대하여 의심되는 질병군을 결정하고, 해당 질병군에 대한 검사에 적합한 검사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되는 검사장비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는 검사대상자가 정기적으로 받는 일반/종합건강검진에 따른 결과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검사장비 선택부(110)는 분석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건강검진 결과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사대상자에 대하여 의심되는 질병군을 결정하고, 해당 질병군에 대한 검사에 적합한 검사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검진 결과데이터로서 HDL-콜레스트롤, 트리글리세라이드, LDL-콜레스트롤 검사결과를 입력받고 분석하여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의 의심 질병군을 결정하고, 해당 질병군에 대한 검사를 위한 검사장비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선택되는 검사장비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결과데이터의 입력은 예를 들면 건강검진 항목에 대한 결과값을 검사대상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문서로 제공받은 결과데이터에 대하여 스캔 및 문자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과정을 수행하거나 건강검진을 수행한 의료기관으로부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결과데이터를 수신받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검색부(115)는 연결된 데이터베이스(10)를 이용하여 검사장비 선택부(110)에 의해 선택된 검사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의료기관을 검색한다.
여기서, 해당 검사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의료기관이라 하더라도 해당 검사장비가 오류가 있거나 고장이 난 경우에는 검사대상자가 헛걸음을 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검색부(115)는 품질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해당 검사장비에 대한 품질관리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검사장비에 대하여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를 운영하는 의료장비업체가 정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후술할 품질관리 수행부(125)를 통해 품질관리(Quality Control)를 수행하고,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14)에서 검색된 의료기관 중 소정의 기준치 이상의 우수한 품질관리 결과를 나타내는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을 선별하여 검색함으로써 검사대상자에게 보다 우수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정보 구성부(120)는 검색부(115)에 의해 검색된 의료기관에 상응하여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독출하고, 이를 검사대상자가 확인가능한 포맷으로 화면 구성하여 통신부(105)를 통해 검사대상자에게 전송한다.
화면 구성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의료기관에 대하여 기본정보가 기본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정보의 경우 해당 의료기관이 마우스 클릭, 커서 오버랩, 터치, 키 입력 등을 통해 선택된 경우 메모, 풍선말, 팝업 윈도우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상세정보의 경우 종류별로 아이콘 형태로 제공되어 해당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상응하는 종류의 상세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리정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지도 창을 띄우고 해당 의료기관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정보 구성부(120)는 검색된 의료기관이 복수인 경우에 검사대상자에게 제공할 리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검사대상자의 위치로부터의 근접성, 의료진 경력, 의료진 수, 의료기관 규모, 환자 이전율, 진료시간 등의 다양한 순위기준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치 혹은 검사대상자에 의해 정해진 가중치를 부여하여 그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품질관리 수행부(125)는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검사장비에 대하여 품질관리를 수행한다. 품질관리는 검사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인 경우에는 펌웨어 등의 업데이트를 통해 해당 검사장비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다.
이러한 품질관리 수행은 정기적으로 수행되거나 검사대상자에 의한 의료기관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에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와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검사장비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정기적으로 혹은 품질관리 수행부(125)에서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검사장비가 자신의 상태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상태정보로는 검사장비의 사용환경정보(예를 들어, 사용온도, 측정시간, 측정을 위해 동작하는 시간간격, 오류 발생 여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품질관리 수행부(125)는 이러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혹은 수신된 상태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에 부합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검사장비가 비정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품질관리 수행부(125)에서 수행한 품질관리 결과는 데이터베이스(10)의 품질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며, 검색부(115)에서 의료기관을 검색할 때 미리 설정되거나 검사대상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우수한 품질관리 결과를 나타내는 검사장비를 보유하는 의료기관에 한정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고장난 검사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의료기관은 검색 결과에서 배제시킬 수 있게 되어 검사대상자는 의료기관 방문을 위한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위치기반서비스 제공부(130)는 의료기관 검색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혹은 검사대상자의 요청에 의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200)이 GPS 모듈을 구비한 경우 현재 검사대상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200)의 GPS 위치를 기준으로 하거나, 검사대상자가 미리 등록시켜 놓은 위치(집, 학교, 직장 등)를 기준으로 하거나, 검사대상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검색한 위치를 기준으로 하거나, 검사대상자가 이전에 의료기관을 검색한 지역을 누적 저장하고 있어 이전에 검색한 의료기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검색기준이 되는 검사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그 위치가 근접한 순서대로 의료기관의 순위를 결정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 경우 지도와 함께 검색된 의료기관의 위치를 표시하여 검사대상자가 확인가능한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검사대상자가 직관적으로 그 위치를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검사예약서비스 제공부(135)는 검색부(115)에서 검색된 의료기관 중 검사대상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기관에 대하여 해당 검사장비를 이용하는 검사예약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검사예약 서비스는 검사대상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기관과 연동하여 제공되며, 예약가능한 날짜, 예약가능한 시간 등을 표시하여 검사대상자가 방문가능한 날짜, 시간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날짜, 시간 정보를 의료기관에 제공하여 예약 확인 및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검사예약 서비스를 통해 검사대상자가 의료기관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의료기관에서는 효율적으로 검사장비를 활용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소정의 검사장비를 구비한 의료기관에 검사대상자가 방문하여 검사를 받은 경우, 검사장비가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해당 검사에 따른 검사결과를 검사대상자가 확인가능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검사장비는 검사대상자에 대한 식별정보와 함께 검사결과를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로 전송하여 검사이력 데이터베이스(18)에 누적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검사결과는 해당 의료기관의 전문가(예를 들면, 의사)에 의한 진단결과(간략한 코멘트를 포함할 수 있음)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검사이력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되는 검사결과는 검사를 수행한 장소인 의료기관과는 무관하며, 검사를 수행한 검사장비에 호환하는 데이터로, 검사대상자 개인별로 누적 저장되어 있게 된다.
검사이력 제공부(140)는 검사장비로부터 수신된 검사결과에 대하여 해당 검사대상자에게 전달하여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검사이력 제공부(140)는 현재 시점에서의 검사결과뿐 아니라 검사이력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된 개인별 검사이력을 독출하여 해당 검사대상자에게 전달하여 증세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요청이 관심병원 설정 요청인 경우, 관심병원 설정부(145)가 활성화될 수 있다. 관심병원 설정 요청에는 관심병원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의료기관의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관심병원 설정부(145)는 관심병원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특정 병원을 관심병원으로 설정 등록한다. 그리고 관심병원으로 등록된 병원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공지사항, 진료과목, 진료가능상황, 주소 등)를 의료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독출하여 사용자 요청과 함께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단말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의료서비스 사용자가 빠르고 편리하게 해당 병원에 대한 안내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관심병원 정보를 전송받는 단말은 관심병원 설정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200)이거나 혹은 사용자가 지정한 타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요청이 질환정보 제공 요청인 경우, 질환정보 제공부(15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질환정보 제공 요청에는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질환의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질환정보 제공부(150)는 질환정보 제공 요청에 상응하여 질환에 대한 증상, 검사방법, 치료방법 등에 관한 정보, 각종 질환에 대한 최신 의료뉴스 등을 질환정보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독출하여 사용자 요청과 함께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의료서비스 사용자가 다양한 질환에 대한 일반적이고 범용적인 정보 및 최신 의료뉴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가 인터넷 상에 웹페이지를 통해 혹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술한 질환정보는 웹페이지 내에 누구나 확인가능하도록 게시되어 있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에 기본정보로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요청이 전문가 상담 요청인 경우, 상담서비스 제공부(155)가 활성화될 수 있다. 전문가 상담 요청에는 사용자의 증상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며, 추가적으로 상담을 원하는 의료기관 및/또는 전문가에 대한 식별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담서비스 제공부(155)는 사용자의 증상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지정된 의료기관 및/또는 전문가 혹은 전문가 상담 요청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된 의료기관 및/또는 전문가가 확인가능한 단말(예를 들면, 의료기관 단말(310))로 사용자의 증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증상에 대한 전문가 소견을 제공받아 사용자 요청과 함께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의료서비스 사용자가 자신의 증상에 대하여 적절한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품질관리 수행부(125), 위치기반서비스 제공부(130), 검사예약서비스 제공부(135), 검사이력 제공부(140), 관심병원 설정부(145), 질환정보 제공부(150), 상담서비스 제공부(155)는 사용자 단말, 검사대상자가 확인가능한 단말, 검사장비, 의료기관 단말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통신부(105)를 이용한다.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10)는 검사장비 데이터베이스(12),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14), 품질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6), 검사이력 데이터베이스(18), 질환정보 데이터베이스(20), 회원 데이터베이스(22)를 포함한다.
검사장비 데이터베이스(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에 가입한 의료기관들에 구비된 검사장비들에 대한 정보, 즉 검사장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에 가입한 의료기관에 대한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있으며, 검사장비 보유 여부에 따른 의료기관의 검색이 가능하게 한다. 의료기관 정보는 해당 의료기관에서 푸쉬(push)하는 정보이다.
품질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6)는 품질관리 수행부(125)에서 수행한 검사장비에 대한 품질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품질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오류 없는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의 검색이 가능하게 한다.
검사이력 데이터베이스(18)는 사용자 개인별로 검사장비를 이용한 검사결과를 누적 저장하고 있으며, 검사대상자 요청에 따라 혹은 검사결과 제공시 함께 일정기간 동안의 검사이력 제공이 가능하게 한다. 의료기관에 상관없이 동일한 종류의 검사장비를 이용한 경우에는 그 검사결과가 검사시점에 상응하여 누적 저장됨으로써 검사대상자 개인에 대한 검사이력으로 검사이력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된다.
질환정보 데이터베이스(20)는 다양한 질환에 대한 증상, 검사방법, 치료방법 등과 같은 질환정보 및/또는 각종 질환에 대한 최신 의료뉴스 등을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질환정보 및/또는 의료뉴스는 운영자 단말(250) 혹은 뉴스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회원 데이터베이스(22)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100)를 통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개인회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개인회원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수신된 의료기관 검색, 관심병원 설정, 전문가 상담 등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신상 정보(예를 들어, 이름, 성별,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의 각각의 내부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는 의료장비업체가 제조하여 각 의료기관에 납품한 검사장비에 대한 검사장비 정보를 의료장비업체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의료서비스 제공자(의료서비스 제공서버 운영자) 또는 제3자가 의료장비업체로부터 제공받아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검사장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한다(단계 S200). 이는 의료장비업체가 검사장비를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홍보 단계에 해당하며, 이후 광고 배너 형태로 표시되거나 검색 리스트 중 선택된 검사장비에 대하여 상세 정보를 메모, 풍선말, 팝업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여 검사대상자가 해당 검사장비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의료기관 검색 요청을 수신한다(단계 S210). 의료기관 검색 요청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검사대상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선택한 검사장비 정보, 검사대상자의 증상 정보, 검사대상자의 일반/종합건강검진 결과데이터 중 하나인 사용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 식별정보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에 의해 검색된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검사대상자가 수신받기 위한 단말에 대한 정보로서,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 이메일 주소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의료기관 검색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사장비를 선택한다(단계 S220). 사용자 정보가 검사장비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검사장비 정보에 상응하는 검사장비를 선택한다. 사용자 정보가 증상 정보 또는 건강검진 결과데이터인 경우에는 이를 분석하여 검사대상자에 대하여 의심되는 질병군을 결정하고, 해당 질병군에 상응하는 검사장비를 선택한다.
검사장비를 선택한 후 해당 검사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의료기관을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단계 S230). 검색 결과 해당 검사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품질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의료기관에 구비된 검사장비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품질관리를 수행한 결과를 독출하여 해당 결과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즉 정상 동작하는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에 한정하여 검색이 수행될 수 있다.
검색된 결과는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단말에서 표시가능한 포맷으로 화면 구성하고(단계 S240), 이를 해당 단말로 전송하여 검사대상자가 의료기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250). 화면 구성을 함에 있어서, 단계 S230에서 검색된 의료기관에 대하여 검사대상자의 위치로부터의 근접성, 의료진 경력, 의료진 수, 의료기관 규모, 환자 이전율, 진료시간 등의 다양한 순위기준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치 혹은 검사대상자에 의해 정해진 가중치를 부여하여 그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GPS 위치, 검사대상자가 미리 등록시켜 놓은 위치, 검사대상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검색한 위치, 검사대상자가 이전에 검색한 의료기관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가 근접한 순서대로 의료기관의 순위를 결정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260). 여기서,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할 때 지도와 함께 결정된 순위에 따라 검색된 의료기관의 위치를 표시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그 위치가 표시되는 의료기관은 검사대상자의 방문 이력에 따라 무방문병원, 기방문병원 등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검색된 의료기관 중 검사대상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기관과 연동하여 해당 검사장비를 이용하는 검사를 예약하는 검사예약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270).
또한, 검사대상자가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검사장비를 이용한 검사를 수행한 경우에, 해당 검사장비를 통한 검사대상자의 검사결과를 수신하고(단계 S280), 검사결과를 검사대상자에 상응하여 누적 저장하며(단계 S285), 누적 저장된 검사결과, 즉 검사이력을 검사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단계 S290).
또한,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는 해당 검사대상자에게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단계 S295).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병원 설정 요청을 수신한 경우, 즉 검사대상자가 편의에 따라 특정 병원을 관심병원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관심병원 설정 요청에 포함된 의료기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특정 병원에 관한 정보를 의료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검사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환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경우, 즉 검사대상자가 질환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질환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질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질환에 대한 정보 및/또는 최신 의료뉴스를 질환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검사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문가 상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즉 검사대상자가 전문가에게 상담 문의를 요청하는 경우, 전문가 상담 요청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검사대상자가 요청한 전문가(혹은 의료기관) 또는 전문가 상담 요청에 포함된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지정된 적합한 전문가(혹은 의료기관)를 선택하여 증상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전문가 소견을 수신하여 검사대상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검사대상자가 자신의 증상에 대한 상담 문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의료서비스 제공방법은 의료서비스 제공서버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처리 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이 구현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사용자 단말이 이동통신단말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의료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의료서비스에 관련된 메뉴가 제공된다. 이러한 메뉴에는 질환정보, 의료뉴스, 증상검색, 의료기관검색, 의료기관예약, 진단결과, 전문가 상담, 관심병원, 등록위치 등과 같은 항목이 있을 수 있다.
의료기관검색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검사대상자에게 적합한 의료기관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조건으로 검사장비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방법이 다양하게 제시된다.
검사장비 항목은 검사대상자가 직접 검사장비 명칭, 모델명 등을 입력하거나 검사장비 목록을 표시하고 검사대상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이전에 해당 검사대상자가 이용한 이력이 있는 검사장비를 우선적으로 보여주어 재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그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증상 항목은 검사대상자가 검사장비를 직접 선택하기에 어려움을 느끼고, 현재 자신의 증상에 적합한 검사장비를 구비한 의료기관을 찾고자 할 때 선택하게 된다. 검사대상자가 증상을 직접 입력하게 되는 경우 키워드 검색 등을 통해 해당 증상을 분석하고, 의심 질병군을 결정한 후 해당 질병군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검사장비가 선택되도록 한다. 또는 검사대상자가 여러 증상에 대하여 단계적 문진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증상을 분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검진결과 항목은 검사대상자가 정기적으로 받는 일반/종합건강검진 결과데이터가 있는 경우 해당 건강검진 결과데이터를 직접 입력받거나 스캔 및 문자인식을 통하거나 해당 의료기관으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분석하고, 의심 질병군을 결정한 후 해당 질병군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검사장비가 선택되도록 한다.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검사대상자가 이전에 방문하였던 의료기관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문병원 항목이 있을 수도 있다. 방문병원 항목은 검사대상자가 이전에 검색하였던 의료기관 혹은 지역에 대하여 누적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검사대상자가 이전에 방문한 병원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재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검사장비가 선택되면, 전술한 것과 같이 의료서비스 제공서버가 해당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을 검색하며, 검색된 의료기관의 기본정보, 상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검사대상자가 확인가능한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는 사용자 단말로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검색 결과가 리스트로 제공되고 있으며, 명칭, 주소, 전화번호 등과 같은 기본정보가 표시되고 있으며, 특정 의료기관을 클릭, 터치, 키 입력 등을 통해 선택하면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상세정보가 더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검색된 의료기관에 대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지도와 함께 사용자 단말의 현위치, 근처에 위치한 검색기준에 적합한 의료기관이 표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검사대상자를 해당 의료기관에 지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지도 상에는 일반병원, 특정 검사장비(예를 들면, FREND와 같은 현장진단의료기기)를 갖춘 기관, 클리닉 샵 등이 서로 다른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검사대상자가 용이하게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검색 결과에 따른 의료기관 중 선택된 하나의 의료기관에 대한 상세 정보 표시 및 검사예약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의료기관의 상세 정보를 확인함과 동시에 하단에 위치한 '예약하기'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는 해당 의료기관과 연동하여 예약 가능한 날짜(도 6의 (b) 참조), 예약 가능한 시간(도 6의 (c) 참조)을 전송하고, 검사대상자의 선택에 따른 예약날짜, 시간으로 해당 의료기관에 검사예약을 진행하고, 예약결과를 공유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검색 결과에 따른 의료기관 중 선택한 하나의 의료기관에서 해당 검사장비를 통해 검사대상자가 검사를 받은 후 검사결과를 제공받을 때, 당해 검사시점에서의 검사결과뿐 아니라 의료서비스 제공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 검사이력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한눈에 데이터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검사결과를 근거로 한 의사의 진단결과(코멘트 포함)(300)도 함께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의료기관에 수회 방문할 필요 없이 1회의 방문만으로도 검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시간 및 비용에 있어서 불필요한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장비를 제조하는 업체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를 구축하여 운영하거나 의료서비스 제공서버에 검사장비에 대한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검사장비를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현장진단장비를 제조하는 경우 기존의 대형검사장비로 검사하는 경우에 검사결과를 기다리고 수차례 의료기관에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앤 차별성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의료기관의 경우 다양한 검사장비를 구입하여 보유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하고 고객 유치에 유용할 수 있다.
또한, 검사대상자는 객관적이면서도 정확한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10: 데이터베이스
200a, 200b: 사용자 단말 300a, 300b: 의료기관
400a, 400b: 의료장비업체단말
310: 의료기관 단말 320a, 320b, 320c: 검사장비
105: 통신부 110: 검사장비 선택부
115: 검색부 120: 정보 구성부
125: 품질관리 수행부 130: 위치기반서비스 제공부
135: 검사예약서비스 제공부 140: 검사이력 제공부
145: 관심병원 설정부 150: 질환정보 제공부
155: 상담서비스 제공부
12: 검사장비 데이터베이스 14: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
16: 품질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18: 검사이력 데이터베이스
20: 질환정보 데이터베이스 22: 회원 데이터베이스

Claims (27)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의료기관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의료기관 검색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사장비를 선택하는 검사장비 선택부;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단말에서 표시가능한 포맷으로 화면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구성부를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검사대상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선택한 상기 검사장비 정보, 상기 검사대상자의 증상 정보, 상기 검사대상자의 건강검진 결과데이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자가 직접 선택한 상기 검사장비 정보는 의료장비업체에 의해 등록되거나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의 운영자가 상기 의료장비업체로부터 제공받은 후 상기 운영자에 의해 등록되어 저장된 것으로, 광고 배너 형태 혹은 검사장비 리스트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어 상기 검사대상자의 선택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비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가 상기 증상 정보 혹은 상기 건강검진 결과데이터인 경우 상기 증상 정보 혹은 상기 건강검진 결과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자에 대하여 의심되는 질병군을 결정하고, 상기 질병군에 상응하는 검사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구성부는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의료기관에 대하여 근접성, 의료진 경력, 의료진 수, 의료기관 규모, 환자 이전율, 진료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순위기준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에 구비된 상기 검사장비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품질관리를 수행하고 품질관리 결과를 품질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품질관리 수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색부는 상기 품질관리 결과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에 한정하여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위치, 검사대상자가 미리 등록시켜 놓은 위치, 상기 검사대상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검색한 위치, 상기 검사대상자가 이전에 검색한 의료기관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가 근접한 순서대로 상기 의료기관의 순위를 결정하는 위치기반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제공부는 지도와 함께 상기 결정된 순위에 따라 상기 검색된 의료기관의 위치를 표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의료기관 중 상기 검사대상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기관과 연동하여 상기 검사장비를 이용하는 검사예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검사예약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검사장비를 통한 상기 검사대상자의 검사결과를 수신한 상기 단말 및 상기 검사장비 중 하나로부터 상기 검사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검사결과를 상기 검사대상자에 상응하여 누적 저장하며, 요청에 따라 상기 누적 저장된 검사결과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검사이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병원 설정 요청을 더 수신하면, 상기 관심병원 설정 요청에 포함된 의료기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의료기관을 상기 검사대상자의 관심병원으로 설정하고, 상기 관심병원으로 설정된 의료기관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단말로 주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관심병원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환정보 제공 요청을 더 수신하면, 상기 질환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질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질환에 대한 증상, 검사방법, 치료방법, 의료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질환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문가 상담 요청을 더 수신하면, 상기 전문가 상담 요청에 포함된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지정되거나 상기 전문가 상담 요청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의료기관 및 전문가 중 하나 이상이 확인 가능한 단말로 상기 증상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증상 정보에 대한 전문가 소견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담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14. 의료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의료기관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 검색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검사장비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검사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의료기관을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단말에서 표시가능한 포맷으로 화면구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검사대상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선택한 상기 검사장비 정보, 상기 검사대상자의 증상 정보, 상기 검사대상자의 건강검진 결과데이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의료장비업체 단말로부터 혹은 운영자 단말로부터 상기 검사장비에 대한 검사장비 정보를 수신하여 검사장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가 선행되되,
    상기 검사장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검사장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광고 배너 형태 혹은 검사장비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어 상기 검사대상자의 선택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비 선택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가 상기 증상 정보 혹은 상기 건강검진 결과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대상자에 대하여 의심되는 질병군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질병군에 상응하는 검사장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구성 단계는 상기 검색된 의료기관에 대하여 근접성, 의료진 경력, 의료진 수, 의료기관 규모, 환자 이전율, 진료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순위기준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의료기관에 구비된 상기 검사장비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수행한 품질관리 결과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에 한정하여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비를 보유한 의료기관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위치, 검사대상자가 미리 등록시켜 놓은 위치, 상기 검사대상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검색한 위치, 상기 검사대상자가 이전에 검색한 의료기관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가 근접한 순서대로 상기 의료기관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지도와 함께 상기 결정된 순위에 따라 상기 검색된 의료기관의 위치를 표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의료기관 중 상기 검사대상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기관과 연동하여 상기 검사장비를 이용하는 검사예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검사예약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검사장비를 통한 상기 검사대상자의 검사결과를 수신한 상기 단말 및 상기 검사장비 중 하나로부터 상기 검사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사결과를 상기 검사대상자에 상응하여 누적 저장하는 단계; 및
    요청에 따라 상기 누적 저장된 검사결과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병원 설정 요청을 더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심병원 설정 요청에 포함된 의료기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의료기관을 상기 검사대상자의 관심병원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병원으로 설정된 의료기관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의료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단말로 주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환정보 제공 요청을 더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질환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질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질환에 대한 증상, 검사방법, 치료방법, 의료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문가 상담 요청을 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상담 요청에 포함된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지정되거나 상기 전문가 상담 요청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의료기관 및 전문가 중 하나 이상이 확인 가능한 단말로 상기 증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증상 정보에 대한 전문가 소견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27. 제1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10006155A 2010-01-25 2011-01-21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KR20110087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0435 WO2011090341A2 (ko) 2010-01-25 2011-01-21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408 2010-01-25
KR20100006408 2010-0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220A true KR20110087220A (ko) 2011-08-02

Family

ID=4492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155A KR20110087220A (ko) 2010-01-25 2011-01-21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7220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820A2 (en) * 2011-08-05 2013-02-14 American Well Corporation Mobile applications to interface to a brokerage system
WO2013184127A1 (en) * 2012-06-08 2013-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tient information interface
KR101368422B1 (ko) * 2011-12-13 2014-03-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능동 선택형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98383B1 (ko) * 2012-05-21 2014-05-22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정보에 기반한 병원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632226B1 (ko) * 2015-01-14 2016-06-21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
KR102008961B1 (ko) * 2018-10-16 2019-08-08 한에스더 의료 환경 관리 방법, 의료 환경 관리 서버 및 의료 환경 관리 시스템
KR20200006375A (ko) 2018-07-10 2020-01-2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의료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데이터 서비스 방법
KR20210041719A (ko) *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미디컴퍼니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KR20220001891A (ko) * 2020-06-30 2022-01-06 헬스앤모어 주식회사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53797B1 (ko) * 2022-06-16 2022-10-14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효율적인 건강검진을 통한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방법 및 서버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820A2 (en) * 2011-08-05 2013-02-14 American Well Corporation Mobile applications to interface to a brokerage system
WO2013022820A3 (en) * 2011-08-05 2013-04-18 American Well Corporation Mobile applications to interface to a brokerage system
KR101368422B1 (ko) * 2011-12-13 2014-03-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능동 선택형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98383B1 (ko) * 2012-05-21 2014-05-22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정보에 기반한 병원 검색 장치 및 방법
WO2013184127A1 (en) * 2012-06-08 2013-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tient information interface
KR101632226B1 (ko) * 2015-01-14 2016-06-21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
KR20200006375A (ko) 2018-07-10 2020-01-2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의료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데이터 서비스 방법
KR102008961B1 (ko) * 2018-10-16 2019-08-08 한에스더 의료 환경 관리 방법, 의료 환경 관리 서버 및 의료 환경 관리 시스템
WO2020080687A1 (ko) * 2018-10-16 2020-04-23 한에스더 의료 환경 관리 방법, 의료 환경 관리 서버 및 의료 환경 관리 시스템
KR20210041719A (ko) *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미디컴퍼니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KR20220001891A (ko) * 2020-06-30 2022-01-06 헬스앤모어 주식회사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53797B1 (ko) * 2022-06-16 2022-10-14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효율적인 건강검진을 통한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방법 및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7220A (ko)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Handayani et al.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mobile health implementation in Indonesia
Fenton et al. COVID-19 infection and death rates: the need to incorporate causal explanations for the data and avoid bias in testing
US8700424B2 (en) Platform for connecting medical information to services for medical care
Klazinga et al. Health services research related to performance indicators and benchmarking in Europe
JP2018530851A (ja) 医療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を用いて医療専門家を評価および選択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50100326A1 (en) Healthcare visit management framework
WO2008095072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ite startup
KR20200038597A (ko)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JP2016184198A (ja) 検査結果管理装置、検査結果管理方法及び検査結果管理システム
Tierney et al. What do patients want from their endoscopy experience? The importance of measuring and understanding patient attitudes to their care
KR20190006754A (ko)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Smithgall et al. Unmet mental health service needs in kinship care: The importance of assessing and supporting caregivers
Wu et al. Multi-modal data collection for measuring health, behavior, and living environment of large-scale participant cohorts
US2013004655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atient order management
JP2014512623A (ja) 医療メッセージ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0039900A (ja) 診断依頼支援装置、医師検索装置、診断依頼方法および画像診断管理方法
KR102395921B1 (ko) 사용자 정보 및 쿼리 분석을 통해 의료대상 추천 방법
O’Byrne et al. HIV self-testing in the real world is acceptable for many: post-test participant feedback from the GetaKit study in Ottawa, Canada
JP2017188135A (ja) 検査結果管理装置、及び検査結果管理方法
US201401724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WO2011090341A2 (ko)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Imai et al. A Trial Design of e-Healthcare Management Scheme with IC-Based Student ID Card, Automatic Health Examination System and Campus Information Network
KR101421616B1 (ko) 검사 관리 장치 및 검사 관리 방법
JP6633322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