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226B1 -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 - Google Patents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226B1
KR101632226B1 KR1020150006730A KR20150006730A KR101632226B1 KR 101632226 B1 KR101632226 B1 KR 101632226B1 KR 1020150006730 A KR1020150006730 A KR 1020150006730A KR 20150006730 A KR20150006730 A KR 20150006730A KR 101632226 B1 KR101632226 B1 KR 101632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terminal
service
genome analysis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변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Priority to KR102015000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에 외부 단말이 접속하는 단계; 상기 대행 서버에 접속한 상기 외부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대행 요청을 전송받는 단계; 상기 대행 요청에 따라 상기 대행 서버가 대행 서비스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대행 서버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 상기 대행 서비스의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METHOD AND AGENCY SERVER FOR PROVIDING AGENCY SERVICE RELATED TO GENOME ANALYSIS SERVICE}
본 발명은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의뢰자와 수행자, 평가자 사이를 중개하고,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제반 서비스를 대행할 수 있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에 관한 것이다.
유전체 분석 서비스는 유전적인 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어떤 질병, 어떤 약물에 위험성과 반응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미래의 질병의 위험도와 건강 관리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서비스이다. 최근에는 개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 시장이 급격히 커지고 있다. 개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는 개인의 유전자 또는 지놈(Genome) 등을 분석하여 건강 상태 또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 등을 예측하는 서비스이다. 즉, 개인들의 유전체를 읽어 특정 질환들의 발병 확률 등을 알려 주고, 이에 따라 해당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식습관, 라이프 스타일 등의 변화를 꾀하도록 하는 토탈 서비스이다.
유전체 분석 업체들은 특정 질병 관련 유전자만 선별하여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인의 유전자 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개인의 질병 취약점을 확인하고, 인터넷 기반으로 신청자의 유전자 샘플을 받아 분석한 후 분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국내외에 많은 업체들이 개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유전체 분석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각 유전체 분석 기술들은 분석 시간, 비용 등에 있어 상이하고 고유한 기술적 특징이 있어 비전문가인 개인이 적합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고르는데 진입 장벽이 되고 있다. 또한, 유전체 분석 서비스는 그 진행 과정이 전문적이고, 유전체 분석 결과를 비전문가인 개인이 이해하기에도 난해하여 의사 등 의료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또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서도 유전체 분석을 의뢰하는 의뢰자와 연결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고, 상기 의뢰자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뿐만 아니라, 유전체를 분석하여 얻은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 등도 있다.
그리고, 유전체를 분석하여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 또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 등을 예측하는 의료 기관에서도 개인과 연결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고,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의뢰자,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수행하는 분석 기관,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전문적인 의학 지식으로 해석하는 전문가인 의료 기관 사이를 중개하고, 대용량 유전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종합적인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3-0010657호 (2013.01.29.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의뢰자,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석자, 그리고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는 전문가 사이를 중개할 수 있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를 제공한다.
또한, 유전체를 분석하여 얻어지는 대용량의 유전체 분석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추적, 전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를 제공한다.
그리고,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제반 할 수 있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제반 서비스를 대행할 수 있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에 외부 단말이 접속하는 단계; 상기 대행 서버에 접속한 상기 외부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대행 요청을 전송받는 단계; 상기 대행 요청에 따라 상기 대행 서버가 대행 서비스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대행 서버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 상기 대행 서비스의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단말이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상기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 또는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는 의료 기관의 전문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단말이 최초 접속한 경우, 회원 가입을 요청하고, 상기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외부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행 요청을 전송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분석 기관 선정을 위한 선정 요청 또는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요청을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행 서비스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 요청에 따라 상기 분석 기관의 선정 조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선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기관의 평가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정된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에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가 의뢰된 분석 기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행 서비스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에 상기 확인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자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진행 상황에 대한 상황 회신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상황 회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행 요청을 전송받는 단계는, 상기 분석자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유전체 분석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유전체 분석 저장 요청을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행 서비스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전체 분석 저장 요청에 따라 상기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에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분석자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를 유전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유전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를 상기 분석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행 요청을 전송받는 단계는,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한 진단 해석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진단 해석 저장 요청을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행 서비스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해석 저장 요청에 따라 상기 의료 기관의 전문가 단말에 상기 진단 해석 결과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상기 진단 해석 결과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진단 해석 결과를 진단 해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해석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진단 해석 결과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를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행 요청을 전송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PHR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PHR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데이터 가공 요청을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행 서비스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가공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PHR 플랫폼의 액세스(access)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PHR 플랫폼을 통해 상기 PHR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PHR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공된 PHR 데이터를 상기 PHR 플랫폼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가공된 PHR 데이터가 상기 PHR 플랫폼에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에 있어서, 상기 대행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접속한 외부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대행 서비스의 대행 요청을 전송받고, 상기 외부 단말로 상기 대행 서비스의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대행 요청에 따라 상기 대행 서비스를 처리하는 대행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단말에서 각종 요청 및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하는 웹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외부 단말이 최초 접속한 경우, 회원 가입을 요청하고, 상기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외부 단말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단말은,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상기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 또는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는 의료 기관의 전문가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되는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분석자 단말에서 전송되는 정보 및 상기 분석자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분석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전문가 단말에서 전송되는 정보 및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전문가 단말용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분석 기관 선정을 위한 선정 요청 또는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요청을 전송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정 요청에 따라 선정된 분석 기관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확인 요청에 따라 확인된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진행 상황에 대한 상황 회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행 처리부는, 상기 선정 요청에 따라 상기 분석 기관의 선정 조건을 웹페이지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선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기관의 평가 결과를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하고,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정된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에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고, 상기 선정 요청, 상기 선정 조건, 상기 평가 결과, 상기 선정된 분석 기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행 처리부는, 상기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에 상기 확인 요청을 전달하며, 상기 분석자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진행 상황에 대한 상기 상황 회신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확인 요청, 상기 상황 회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분석자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유전체 분석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유전체 분석 저장 요청을 전송받고, 상기 분석자 단말로 상기 분석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행 처리부는, 상기 유전체 분석 저장 요청에 따라 상기 분석자 단말에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의 전송을 요청하며, 상기 분석자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를 전송받고,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를 상기 분석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한 진단 해석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진단 해석 저장 요청을 전송받고, 상기 전문가 단말로 상기 전문가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진단 해석 결과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행 처리부는, 상기 진단 해석 저장 요청에 따라 상기 전문가 단말에 상기 진단 해석 결과의 전송을 요청하며,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상기 진단 해석 결과를 전송받고, 상기 진단 해석 결과를 상기 전문가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에 있어서, 상기 대행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PHR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PHR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데이터 가공 요청 및 상기 PHR 플랫폼을 통해 상기 PHR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데이터 가공 요청의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데이터 가공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PHR 플랫폼의 액세스(access) 권한을 요청하는 권한 요청부; 및 상기 PHR 데이터를 가공하며, 상기 가공된 PHR 데이터를 상기 PHR 플랫폼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가공된 PHR 데이터가 상기 PHR 플랫폼에 저장되었음을 통지하는 대행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공된 PHR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된 PHR 데이터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링크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각종 요청 및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하는 웹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중개하고, 데이터 분석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대용량 유전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비스 형태로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제반 서비스를 대행하여 사용자가 언제든지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전체 데이터를 진단에 활용하여 의료 서비스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이 접속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석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석자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는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석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는 전문가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대행 서버에 접속하는 외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대행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때,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구성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구성(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구성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구성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구성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이 접속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100)에 외부 단말(200)이 접속하며(S10), 상기 대행 서버(100)에 접속한 상기 외부 단말(200)의 인증을 수행하고(S20), 상기 외부 단말(200)로부터 대행 요청을 전송받아(S30), 상기 대행 요청에 따라 상기 대행 서버(100)가 대행 서비스를 처리한 후(S40), 상기 대행 서버(100)에서 상기 외부 단말(200)로 상기 대행 서비스의 처리 결과를 전송한다(S50).
여기에서, 대행 서비스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일체의 서비스를 대행하는 것이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수행하는 분석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분석 활동 및 유전체 분석 데이터를 진단 해석하는 의료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진단 활동을 제외한 모든 서비스를 포괄하여 대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행 서비스를 통해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의뢰, 유전체 데이터 분석의 현황 확인 및 추적 관리, 유전체 분석 데이터 등의 저장 및 관리, 유전체 분석 데이터 등의 전달 등을 대행할 수 있다.
이때, 대행 서버(100)와 외부 단말(200)은 네트워크(50)를 통해 접속이 가능하며, 네트워크(50)는 유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네트워크(50)로 인터넷 등을 들 수 있으며, 외부 단말(200)은 HTML, XML 등 웹 페이지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넷스케이프,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등)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200)은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등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 2G/3G/4G, 와이브로 무선망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등 네크워크(5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으며, IEEE 802.11 무선 랜 네트워크 카드 등의 무선랜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200)은 이동 통신 단말 이외에 컴퓨터, 노트북 등의 정보 통신 기기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대행 서버(100)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대행 서버(100)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수행하는 분석자,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해석하는 전문가 사이에 필요한 제반 업무를 대행할 수 있다. 즉, 대행 서버(100)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와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수행하는 분석자 간 및/또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와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해석하는 전문가 간에 필요한 여러 업무를 대행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대행 서버(100)가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수행하는 분석자와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해석하는 전문가 간에 필요한 여러 업무를 대행할 수 있다. 이러한 대행 서버(10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100)에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21)의 사용자 단말(210), 상기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22)의 분석자 단말(220), 또는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는 의료 기관(23)의 전문가 단말(230) 등이 네트워크(50)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즉, 외부 단말(200)이 대행 서버(100)에 접속하는 단계(S10)에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21)의 사용자 단말(210), 상기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22)의 분석자 단말(220), 또는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는 의료 기관(23)의 전문가 단말(23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200)이 대행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200)이 대행 서버(100)에 접속한 경우, 유전체 분석 서비스와 관련하여 여러 정보들, 예를 들어 사용자(21)의 개인 정보, 사용자 DNA 정보, 사용자 의료 정보 등 여러 민감한 정보가 노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외부 단말(200)의 인증이 필수적이다. 외부 단말(200)의 인증 단계(S20)에서, 텍스트파일 인증모듈(mod_auth), DBM인증모듈 (mod_auth_dbm), Berkeley DB 인증모듈(mod_auth_db), Anonymous 인증모듈(mod_auth_anon), PostgreSQL인증모듈, XNS 인증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200)을 인증하게 되나, 이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특히, 외부 단말(200)이 최초 접속한 경우 회원 가입을 요청하고, 상기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외부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각 사용자(21), 분석 기관(22), 의료 기관(23)마다 대행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단말을 제한할 수 있다.
외부 단말(200)의 인증이 완료되면, 외부 단말(200)의 대행 요청에 의해 대행 서비스가 개시된다. 즉, 대행 서버(100)는 외부 단말(200)로부터 대행 요청을 전송 받아 대행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 대행 요청 등 각종 요청 및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대행 서버(100)는 외부 단말(20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대행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 상에서 각 사용자(21), 분석 기관(22), 의료 기관(23)의 여러 외부 단말(210, 220, 230)을 통해 여러 항목 및 정보 등을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웹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XML, mobile Web, XML 5, Java 등으로 제작된 웹 서비스를 말하나, 이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21)가 사용자 단말(210)을 통해 관리할 수 있는 PHR 플랫폼(215)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PHR(Personal Health Record, 개인건강기록)은 개인건강기록 주체, 즉 환자를 중심으로 개인건강기록을 환자 스스로 관리하고 기록하며, 이와 더불어 의료서비스기관으로부터 수집된 건강 및 의료관련 정보를 언제, 어디에서나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는 도구로써, 다양한 원천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 이러한 PHR은 개인정보, 개인건강기록 주체가 작성한 건강기록, 의료기관에서 의료행위 중에 수집된 자료와 이를 기초로 연구 분석된 정보,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행위 및 치료과정에 따른 관찰 정보 등의 의료정보와 수집된 관련정보(예를 들면 특정 질환명, 알레르기 및 부작용 반응, 약품 및 처치내용, 수술, 예방접종, 가족력 등) 모두를 포함하는 개인의 건강과 관련된 자료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PHR은 고객이 방문한 각 의료 기관에서 작성한 의무 기록들(예를 들어, 진료 기록, 검사 기록, 건강 기록 등), 개인의 신상 정보, 비상 연락처, 보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PHR 플랫폼(215)은 사용자(21)가 관리 권한을 가진 사용자 단말(210)과 연동된 플랫폼(platform)이다. 각 개인은 계정을 통해 PHR 플랫폼(215)에 접속하여 자신의 건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PHR 플랫폼(215)은 법적 권한을 가진 의료 기관(23)에서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개인은 사용자 단말(210)을 통해 이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applications)을 이용하여 자신의 PHR을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건강 데이터를 입력하고 액세스(access) 할 수 있으며, 자가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사용자(21)가 입력한 PHR은 PHR 플랫폼(215)을 통해 웹 서버(미도시) 등에 저장될 수 있으며, 개인 정보, 권한 정보, 데이터 정보(의료 정보, 건강 정보 등)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권한 정보는 데이터 정보를 특정인 또는 특정기관에게 전송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 ID 또는 단말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대행 서비스를 요청하는 주체, 대행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대행 서버(100)가 여러 대행 서비스를 처리하게 되며, 이러한 여러 대행 서비스의 처리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석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석자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는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10)이 대행 서버(100)에 접속하고(S111), 회원인지 여부에 따라(S113), 회원이 아니면(NO) 회원 가입을 하고(S115, S117) 인증을 수행하며(S121, S123), 회원이면(YES) 바로 인증을 수행한다(S121, S123). 여기에서, 대행 서버(100)는 회원 가입 요청(S115) 또는 인증 요청(S121)을 사용자 단말(210)에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210)은 회원 가입(S117) 또는 인증 응답(S123)을 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210)의 인증이 완료되면 대행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10)에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S131). 즉, 대행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1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대행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 상에서 사용자 단말(210)을 통해 여러 항목 및 정보 등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210)은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여러 서비스를 대행 서버(100)를 통해 대행하도록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210)에서 요청하는 대행 서비스는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 및/또는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는 의료 기관에 유전체 분석 및/또는 유전체 데이터의 진단 해석을 요청하는 것이 주가 될 것이다. 또한, 이에 따른 여러 부수적인 요청을 사용자 단말(210)에서 대행 서버(100)로 할 것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210)에서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에 유전체 분석을 의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은 대행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 상에서 분석 기관의 선정을 요청할 수 있다(S133).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분석 기관의 선정 요청이 접수되면 대행 서버(100)는 상기 선정 요청에 대한 대행 서비스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은 매우 많으며, 각 유전체 분석 기술들은 분석 시간, 비용 등에 있어 상이하고 고유한 기술적 특징이 있어 비전문가인 개인이 적합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고르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여러 정보를 대행 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210)로 제공하게 된다(S141).
대행 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210)로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10)에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수행하는 분석 기관을 선택하게 된다(S143).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10)의 선정 요청에 따라 분석 기관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여러 선정 조건을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210)에 의해 선택된 선정 조건에 기초하여 여러 분석 기관의 평가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210)에 의해 선정된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220)에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한다(S145).
여기에서, 선정 조건은 유전체 분석의 비용, 유전체 분석 시간, 유전체 분석 기법, 분석 기관의 규모, 분석 데이터의 정확성 등 선정에 필요한 여러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선정 조건의 선택 시,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는 가중치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용을 중시하는 고객이라면, 선정 조건의 선택 시에 비용 항목의 체크 박스에 체크를 하여 유전체 분석에 드는 비용을 주요 선정 조건으로 채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에 의해 선택된 선정 조건에 기초하여 대행 서버(100)가 여러 분석 기관의 평가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하며, 예를 들어 평가 결과가 높은 분석 기관 순으로 순위를 주어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을 도울 수 있다. 이때, 대행 서버(100)는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220)에 접속하여 비용 견적을 받아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행 서버(100)는 견적서 양식을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10)에서 받은 견적서를 기초로 적합한 분석 기관들을 선정하여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에서 대행 서버(100)에서 제공된 여러 정보들(예를 들어 분석 기관의 평가 결과 정보, 비용 견적서 등)을 기초로 분석 기관을 선정하면, 대행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10)을 대행하여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선정된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220)에 의뢰하고, 이에 대행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받은 대행 요청을 처리한 것이고, 대행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10)로 유전체 분석 서비스가 의뢰된 분석 기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151). 상기 전송된 분석 기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210)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안내된다(S153).
또한, 사용자 단말(210)의 선정 요청에 따라 수행된 분석 기관 선정 대행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및 데이터는 대행 서버(100)에 저장됨으로써, 언제든지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가 대행 서버(100)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대행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전문가 단말(230)의 전문가 등으로부터 분석 기관의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받아 이를 추후에 분석 기관의 선정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대행 서버(100)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평가하는 별도의 평가 기관으로부터 분석 기관의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받아 이를 추후에 분석 기관의 선정 등에 활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10)에서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에 유전체 분석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유전체 분석 서비스는 분석 기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으나, 여전히 그 기간이 긴 편이므로, 궁금한 사용자가 대행 서버(100)에 접속하여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오프라인(off-line)으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한 후에 대행 서버(100)에 접속하여 대행 서비스를 의뢰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은 대행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요청을 할 수 있다(S135). 여기에서, 확인 요청은 분석 샘플의 도착 여부, 실험 및 분석의 정도 등 유전체 분석 기관이 진행하고 있는 분석 서비스의 진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모든 확인 요청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받은 확인 요청에 따라(S135), 대행 서버(100)는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220)에 상기 확인 요청을 전달하고(S147), 상기 분석자 단말(220)로부터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진행 상황에 대한 상황 회신 정보를 전송받아(S149) 확인 요청에 대한 대행 서비스를 처리한다.
이 후에, 대행 서버(100)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진행 상황에 대한 상황 회신 정보를 사용자 단말(210)로 전송하고(S151), 상기 회신 정보는 사용자 단말(210)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안내된다(S153). 또한, 사용자 단말(210)의 확인 요청에 따라 수행된 상황 회신 정보는 대행 서버(100)에 저장됨으로써, 언제든지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가 대행 서버(100)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대행 서버(100)가 물류 관리 시스템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이에 유전체 분석 서비스 등의 진행 상황을 사용자가 언제든지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210)에서 유전체 분석 데이터를 진단 해석하는 의료 기관에 진단 해석을 의뢰할 수 있고, 진단 해석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분석 기관과 마찬가지로 대행 서버(100)에서 의료 기관의 선정 요청 및 진단 해석의 진행 상황 확인 요청을 대행하여 처리하는 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대행 서버(100)가 분석자 단말(220) 대신에 전문가 단말(230)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10)의 의료 기관의 선정 요청 및 진단 해석의 진행 상황 확인 요청을 대행하여 처리할 수 있고, 그 대행 서비스의 처리 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석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분석자 단말(220)이 대행 서버(100)에 접속하고(S211), 회원인지 여부에 따라(S213), 회원이 아니면(NO) 회원 가입을 하고(S215, S217) 인증을 수행하며(S221, S223), 회원이면(YES) 바로 인증을 수행한다(S221, S223). 여기에서, 대행 서버(100)는 회원 가입 요청(S215) 또는 인증 요청(S221)을 분석자 단말(220)에 요청하고, 분석자 단말(220)은 회원 가입 완료(S217) 또는 인증 응답(S223)을 하게 된다.
분석자 단말(220)의 인증이 완료되면 대행 서버(100)는 분석자 단말(220)에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S231). 즉, 대행 서버(100)는 분석자 단말(22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대행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 상에서 분석자 단말(220)을 통해 여러 항목 및 정보 등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분석자 단말(220)은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여러 서비스를 대행 서버(100)를 통해 대행하도록 요청한다. 분석자 단말(220)에서 요청하는 대행 서비스는 유전체 분석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하는 것이 주가 될 것이다. 또한, 이에 따른 여러 부수적인 요청을 분석자 단말(220)에서 대행 서버(100)로 할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석자 단말(220)은 대행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 상에서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유전체 분석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유전체 분석 저장 요청을 할 수 있다(S233). 여기에서, 저장 요청은 분석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 분석 데이터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의 저장 요청을 포함한다 할 것이다.
분석자 단말(220)로부터 받은 유전체 분석 저장 요청에 따라(S233), 대행 서버(100)는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220)에 유전체 분석 결과(즉, 유전체 분석 데이터 등)의 전송을 요청하고(S241), 상기 분석자 단말(220)로부터 유전체 분석 결과를 전송받아(S243)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를 유전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45).
이 후에, 대행 서버(100)는 저장 완료를 분석자 단말(251)로 전송하고(S151), 추가적으로 대행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10)로 유전체 분석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S253).
또한,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분석자 단말(220)의 확인 요청 또는 전달 요청에 따라 대행 서버(100)는 저장된 유전체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분석자 단말(220)에 표시하거나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유전체 분석 결과는 이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가공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진단 해석을 의뢰받은 전문가 단말(230)도 사용자 단말(210)의 동의 하에 유전체 분석 결과를 열람하거나 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분석자 단말(220)은 대행 서버(100)에 접속하여 유전체 분석 결과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자료를 검색할 수 있다. 즉, 대행 서버(100)가 분석 기관의 유전체 분석 데이터 등을 관리하는 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행 서버(100)는 이력 관리 기능 등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보존성을 높이고 분석자 단말(220)의 분석 기관이 필요할 때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검색 기능 등을 제공하여 분석 기관이 대용량 유전체 분석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는 전문가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문가 단말(230)이 대행 서버(100)에 접속하고(S311), 회원인지 여부에 따라(S313), 회원이 아니면(NO) 회원 가입을 하고(S315, S317) 인증을 수행하며(S321, S323), 회원이면(YES) 바로 인증을 수행한다(S321, S323). 여기에서, 대행 서버(100)는 회원 가입 요청(S315) 또는 인증 요청(S321)을 전문가 단말(230)에 요청하고, 전문가 단말(230)은 회원 가입 완료(S317) 또는 인증 응답(S323)을 하게 된다.
전문가 단말(230)의 인증이 완료되면 대행 서버(100)는 전문가 단말(230)에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S331). 즉, 대행 서버(100)는 전문가 단말(23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대행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 상에서 전문가 단말(230)을 통해 여러 항목 및 정보 등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전문가 단말(230)은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기 위한 진단 해석 서비스에 관련된 여러 서비스를 대행 서버(100)를 통해 대행하도록 요청한다. 전문가 단말(230)에서 요청하는 대행 서비스는 진단 해석 결과의 저장을 요청하는 것이 주가 될 것이다. 또한, 이에 따른 여러 부수적인 요청, 예를 들어 진단 해석 결과의 전달 등을 전문가 단말(230)에서 대행 서버(100)를 통해 대행할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문가 단말(230)은 대행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 상에서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한 진단 해석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진단 해석 저장 요청을 할 수 있다(S333). 여기에서, 저장 요청은 진단 해석의 결과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 진단 해석의 결과 데이터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의 저장 요청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전문가 단말(230)로부터 받은 진단 해석 저장 요청에 따라(S333), 대행 서버(100)는 의료 기관의 전문가 단말(230)에 진단 해석 결과의 전송을 요청하고(S341), 상기 전문가 단말(230)로부터 진단 해석 결과를 전송받아(S343) 상기 진단 해석 결과를 진단 해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3245). 이는 유전체 분석 결과와 진단 해석 결과를 물리적, 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유전체 분석 결과와 진단 해석 결과를 동일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후에, 대행 서버(100)는 진단 해석 결과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저장 완료 통지를 전문가 단말(230)로 전송하고(S351), 추가적으로 대행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10)로 저장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S353).
또한,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전문가 단말(230)의 확인 요청 또는 전달 요청에 따라 대행 서버(100)는 저장된 진단 해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전문가 단말(230)에 표시하거나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진단 해석 결과는 이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가공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전문가 단말(230)은 대행 서버(100)에 접속하여 진단 해석 결과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자료를 검색할 수 있다. 즉, 대행 서버(100)가 의료 기관의 진단 해석 데이터 등을 관리하는 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행 서버(100)는 전문가 단말(230)의 분석 기관이 필요할 때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검색 기능 등을 제공하여 의료 기관이 대용량의 빅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은 유전체 분석 서비스 의뢰, 진단 해석 서비스 의뢰 등을 대행 서버(100)를 통해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0)이 유전체 분석 서비스 및 진단 해석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한 번에 대행하도록 대행 서버(100)에 의뢰할 수도 있고, 유전체 분석 서비스만 또는 진단 해석 서비스만 의뢰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과정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회원이고, 인증을 받은 사용자 단말(210)이 접속하여 대행 요청을 대행 서버(100)에 의뢰한다(S501). 대행 요청에 의해 그 서비스를 처리하는 주체가 분석 기관의 분석자인지 또는 의료 기관의 전문가인지 판단한다(S505).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210)이 요청한 서비스를 처리하는 기관은 ①분석 기관, ②의료 기관, ③분석 기관 및 의료 기관의 세 가지 경우이며, 이에 대행 서버(100)가 대행 서비스를 처리하는 루트는 3가지가 된다. 위에서 ①②에 대해서는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③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대행 요청에 의해 그 서비스를 처리하는 주체가 분석 기관의 분석자이면, 선정 요청인지 확인 요청인지 판단한다(S510). 선정 요청이면(YES), 사용자 단말(210)에 분석 기관을 선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여러 정보를 제공하고(S511), 사용자 단말(210)이 선정한 분석 기관의 정보를 받아(S512), 상기 선정된 분석 기관에 분석 서비스를 의뢰한다(S513). 선정 요청이 아닌 확인 요청이면(NO), 분석자 단말(220)이 접속하여 진행 상황을 확인한다(S517). 이후, 대행 서버(100)는 분석자 단말(220)로부터 분석 결과 및/또는 확인 결과를 전송 받아(S518),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210)로 전송한다(S519).
유전체 분석 서비스 이후에는 상기 유전체 분석으로 얻은 결과 데이터를 진단 해석해야 하므로, 대행 서버(100)는 전문가 단말(230)에 진단 해석을 의뢰한다(S521). 의뢰 받은 전문가 단말(230)은 유전체 분석 자료, 즉 분석 데이터가 없으면 대행 서버(100)에 자료를 요청하고(S526), 유전체 분석 결과를 전송받아(S627), 의료 기관의 전문가가 진단 해석한다(S528). 전문가가 진단 해석한 결과를 전문가 단말(230)로부터 사용자 단말(210)에 전송받아(S529), 그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S530)에 통지한다(S530).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210), 분석자 단말(220), 전문가 단말(230)로 전송되는 정보 및 데이터, 상기 사용자 단말(210), 분석자 단말(220), 전문가 단말(230)로부터 받는 정보 및 데이터는 대행 서버(100)에서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법률적으로 대행 서버(100)에서 관리할 수 없는 정보 및 데이터는 각 개인 또는 의료 기관에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PHR 플랫폼(215)을 통해 사용자(21) 및/또는 전문가(23)가 PHR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PHR 데이터는 본인인 개인이나 의료 행위가 법적으로 허용된 의료인, 의료기관에서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PHR 데이터는 개인건강기록이고, 어디서나 네트워크를 통해 웹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PHR 데이터의 등록 및 관리 등은 개인 건강 주체인 각 개인의 통제 하에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대행 서버(100)에서 관리할 수 없는 정보 및 데이터는 사용자의 동의 하에 대행 서버(100)가 PHR 플랫폼(215)에 액세스(access)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분석 기관에서 보내온 유전체 분석 결과를 대행 서버(100)에 저장하는 것이 법적으로 허용되지 아니할 경우, 대행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10)에 전달하거나 또는 법적으로 허용된 기관에 전달하여야 하나,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는 그 데이터의 양이 크므로 대행 서버(100)가 사용자의 동의 하에 PHR 플랫폼(215)에 직접 액세스(access)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행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10)의 요청을 받아 PHR 플랫폼(215)의 일부 관리가 가능하며, 대행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10) 및 PHR 플랫폼(215) 사이를 중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행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10)의 요청에 따라 가공된 PHR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의료 기관 내 환자의 진료 정보, 유전체 분석 정보 등은 그 정보량이 많으므로 요약된 형태로 PHR 데이터를 제공해야 하는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대행 서버(100)에서 PHR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공된 PHR 데이터는 대행 서버(300)의 운영자가 별도의 평가 기관으로부터 PHR 평가를 받아 이를 추후에 데이터 가공 등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설정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행 서버(10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210)의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대행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PHR 플랫폼(215)을 통해 제공되는 PHR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데이터 가공 요청을 전송 받는다.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데이터 가공 요청이 접수되면 대행 서버(100)는 상기 데이터 가공 요청에 대한 대행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기 대행 서버(100)는 상기 데이터 가공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210)에 상기 PHR 플랫폼(215)의 액세스(access) 권한을 요청하고, 상기 PHR 플랫폼(215)을 통해 PHR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PHR 데이터를 가공한 후, 상기 가공된 PHR 데이터를 상기 PHR 플랫폼(215)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가공 요청에 대한 대행 서비스를 처리한다. 그런 후에, 상기 대행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210)에 상기 가공된 PHR 데이터가 상기 PHR 플랫폼(215)에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210)로 전송함으로써, 대행 서비스의 처리 결과를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9의 대행 서버에 접속하는 외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100)는 대행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접속한 외부 단말(200)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110), 상기 외부 단말(200)로부터 상기 대행 서비스의 대행 요청을 전송받고, 상기 외부 단말(200)로 상기 대행 서비스의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부(120), 및 상기 대행 요청에 따라 상기 대행 서비스를 처리하는 대행 처리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단말(200)에서 각종 요청 및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하는 웹서비스 제공부(140),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150), 및 외부 단말(200)과 통신하여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DB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행 서버(100)에 접속하는 외부 단말(200)은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10), 상기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220), 또는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는 의료 기관의 전문가 단말(23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단말(200)은 사용자 등이 정보를 입력 및 선택하는 입력부(201), 네트워크(50)를 통해 대행 서버(100)와 통신하는 단말 통신부(202), 각종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204), 사용자 등에게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하는 출력부(205),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0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단말(200)은 네크워크(5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 이외에 컴퓨터, 노트북 등의 정보 통신 기기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인증부(110)는 대행 서버(100)에 접속한 외부 단말(200)의 인증을 처리하며, 외부 단말(200)의 회원 가입 및 인증 후에, 대행 서비스가 개시된다. 그러므로, 인증부(110)는 외부 단말(200)이 최초 접속한 경우, 회원 가입을 요청하고, 상기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외부 단말(200)의 인증을 수행한다. 일례로, 인증부(110)를 통해 사용자 등의 고유 인증 모듈의 색인자 또는 비밀번호를 통해 외부 단말(200)을 인증한다. 인증부(110)는 텍스트파일 인증모듈(mod_auth), DBM인증모듈 (mod_auth_dbm), Berkeley DB 인증모듈(mod_auth_db), Anonymous 인증모듈(mod_auth_anon), PostgreSQL인증모듈, XNS 인증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게 되나, 이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통신부(120)는 외부 단말(200)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며, 구체적으로 외부 단말(200)의 단말 통신부(202)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분석 기관 선정을 위한 선정 요청 또는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요청을 전송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210)에 상기 선정 요청에 따라 선정된 분석 기관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확인 요청에 따라 확인된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진행 상황에 대한 상황 회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분석자 단말(220)로부터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유전체 분석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유전체 분석 저장 요청을 전송받고, 상기 분석자 단말(220)로 분석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162)에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전문가 단말(230)로부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한 진단 해석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진단 해석 저장 요청을 전송받고, 상기 전문가 단말(230)로 전문가 단말용 데이터베이스(163)에 상기 진단 해석 결과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대행 처리부(130)는 대행 서버(100)를 제어하며, 외부 단말(200)이 요청한 여러 대행 요청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대행 처리부(130)는 사용자 단말(210)의 선정 요청에 따라 분석 기관의 선정 조건을 웹페이지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210)에 의해 선택된 선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기관의 평가 결과를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하고,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210)에 의해 선정된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에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고, 상기 선정 요청, 상기 선정 조건, 상기 평가 결과, 상기 선정된 분석 기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16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대행 처리부(130)는 사용자 단말(210)의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220)에 상기 확인 요청을 전달하며, 상기 분석자 단말(220)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진행 상황에 대한 상기 상황 회신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확인 요청, 상기 상황 회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16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대행 처리부(130)는 분석자 단말(220)의 유전체 분석 저장 요청에 따라 상기 분석자 단말(220)에 유전체 분석 결과의 전송을 요청하며, 상기 분석자 단말(220)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를 전송받고,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를 상기 분석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대행 처리부(130)는 전문가 단말(230)의 진단 해석 저장 요청에 따라 상기 전문가 단말(230)에 진단 해석 결과의 전송을 요청하며, 상기 전문가 단말(230)로부터 상기 진단 해석 결과를 전송받고, 상기 진단 해석 결과를 상기 전문가 단말용 데이터베이스(163)에 저장할 수 있다.
웹서비스 제공부(140)는 외부 단말(200)에서 각종 요청 및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하며, 외부 단말(200)은 HTML, XML 등 웹페이지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넷스케이프,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등)를 가질 수 있다.
서버 저장부(150)는 대행 서버(100)에 처리되는 각종 정보,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하며, 외부 단말(200)의 대행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으나, 저장된 정보의 보안을 위해 서버 저장부(150)에는 외부 단말(200)과 송수신하여 얻은 정보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러한 정보들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60)는 대행 서버(100)가 외부 단말(200)과 통신하여 얻은 정보들을 저장하는 공간으로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논리적 또는 물리적인 저장 서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오라클(Oracle) 사의 Oracle DBMS,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사의 MS-SQL DBMS, 사이베이스(Sybase) 사의 SYBASE DBMS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160)는 외부 단말의 종류에 따라 각각 DB화하여 별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부(160)는 사용자 단말(210)에서 전송되는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210)로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161)와, 분석자 단말(220)에서 전송되는 정보 및 상기 분석자 단말(220)로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분석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162)와, 전문가 단말(230)에서 전송되는 정보 및 상기 전문가 단말(230)로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전문가 단말용 데이터베이스(1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데이터베이스(161, 162, 163)에 저장된 정보 및 데이터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대행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300)는 상기 대행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10)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310), 상기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PHR 플랫폼(215)을 통해 제공되는 PHR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데이터 가공 요청 및 상기 PHR 플랫폼(215)을 통해 상기 PHR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210)로 상기 데이터 가공 요청의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부(320), 상기 데이터 가공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210)에 상기 PHR 플랫폼(215)의 액세스(access) 권한을 요청하는 권한 요청부(330), 및 상기 PHR 데이터를 가공하며, 상기 가공된 PHR 데이터를 상기 PHR 플랫폼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가공된 PHR 데이터가 상기 PHR 플랫폼(215)에 저장되었음을 통지하는 대행 처리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된 PHR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350), 상기 가공된 PHR 데이터의 링크 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링크 생성부(360),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각종 요청 및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하는 웹서비스 제공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행 서버(10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210)은 PHR 플랫폼(215)을 관리하는 주체인 각 개인의 단말이며, 상기 PHR 플랫폼(215)은 PHR 데이터를 기록, 저장,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의미한다. 이러한 PHR 플랫폼(215)은 논리적 또는 물리적 웹 서버뿐만 아니라 PHR 데이터의 관리, 기록 등을 위한 OS,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은 사용자 등이 정보를 입력 및 선택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부(211), 네트워크(50)를 통해 대행 서버(300) 및 PHR 플랫폼(215)과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 통신부(212), 각종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저장부(214), 사용자 등에게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력부(215), 이들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부(21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0)은 PHR 플랫폼(215)을 관리하며, PHR 플랫폼(215)의 접근은 사용자 단말(210)의 통제하에 이루어지고,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10)은 PHR 플랫폼(215)에 대행 서버(300)가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는 권한 허용부(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네크워크(5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 이외에 컴퓨터, 노트북 등의 정보 통신 기기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행 서버(300)의 인증부(310), 통신부(320), 대행 처리부(340), 서버 저장부(350), 웹서비스 제공부(370)의 기능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행 서버(100)의 인증부(110), 통신부(120), 대행 처리부(130), 서버 저장부(150), 웹서비스 제공부(140)과 거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행 서버(300)의 권한 요청부(330) 및 링크 생성부(360)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한다.
권한 요청부(330)는 사용자 단말(210)의 통제 및 관리 하에 있는 PHR 플랫폼(215)에 액세스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사용자 단말(210)에 요청한다. PHR 플랫폼(215)을 통해 얻을 수 있는 PHR 데이터는 개인 정보로서 합법적이고 정당한 절차에 의해 수집되어야 하며 정보 주체인 각 개인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권한 요청부(330)가 사용자 단말(210)에 PHR 플랫폼(215)에 액세스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접근 권한을 허용 받으면, PHR 플랫폼(215)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데이터들을 받게 된다.
대행 처리부(340)에서 PHR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10)의 요청에 따라 가공 처리하고, 가공 처리된 PHR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10)에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210)의 동의를 얻어 PHR 플랫폼(215)에 액세스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행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60)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210)의 통제 및 관리 하에 있는 PHR 플랫폼(215)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링크 생성부(360)는 PHR 플랫폼(215)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 링크 주소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링크 주소는 서버 저장부(350)에 저장하거나 또는 PHR 플랫폼(215)을 통해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의료 기관에 가공된 PHR 데이터를 제공할 경우, 사용자 단말(210)에서 직접 의료 기관의 전문가 단말(23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의료 기관에 링크 주소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의료 기관이 PHR 플랫폼(215)에 액세스할 수 있는 권한을 허용하여 의료 기관이 PHR 플랫폼(215)을 통해 가공된 PHR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에 의해 하나의 모듈로 구현 가능하며,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적 매체, CD, DVD 등의 광학적 매체 및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와 같은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크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부'는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또는 '~부'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대행 서버
110: 인증부 120: 통신부
130: 대행 처리부 140: 웹서비스 제공부
150: 서버 저장부 160: 데이터베이스부
200: 외부 단말
210: 사용자 단말 220: 분석자 단말
230: 전문가 단말

Claims (28)

  1.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의 분석 활동 및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는 의료 기관의 진단 활동을 제외한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의 선정, 상기 유전체 분석의 진행 상황 확인,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는 의료 기관의 선정, 상기 진단 해석의 진행 상황 확인,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 저장,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 전달, 상기 진단 해석의 결과 저장, 상기 진단 해석의 결과 전달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에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상기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는 의료 기관의 전문가 단말이 각각 접속하는 단계;
    상기 대행 서버에 접속한 상기 각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의 선정을 위한 선정 요청을 전송받는 단계;
    상기 선정 요청에 따라 상기 대행 서버가 대행 서비스를 처리하되, 상기 분석 기관의 선정 조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선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기관의 평가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정된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에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단계;
    상기 대행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가 의뢰된 분석 기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가 의뢰된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유전체 분석 저장 요청을 전송받는 단계;
    상기 유전체 분석 저장 요청에 따라 상기 대행 서버가 대행 서비스를 처리하되, 상기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에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분석자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를 전송받고,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를 유전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대행 서버에서 상기 분석자 단말로 상기 유전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각 단말이 최초 접속한 경우, 회원 가입을 요청하고, 상기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각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의 분석 활동 및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는 의료 기관의 진단 활동을 제외한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에 있어서,
    상기 대행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접속한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상기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진단 해석하는 의료 기관의 전문가 단말의 인증을 각각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되는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분석자 단말에서 전송되는 정보 및 상기 분석자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분석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전문가 단말에서 전송되는 정보 및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전문가 단말용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각 단말로부터 상기 대행 서비스의 대행 요청을 각각 전송받고, 상기 각 단말로 상기 대행 서비스의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대행 요청에 따라 상기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의 선정,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 저장, 상기 진단 해석의 결과 저장의 대행 서비스를 처리하는 대행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 기관의 선정을 위한 선정 요청을 전송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정 요청에 따라 선정된 분석 기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분석자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의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유전체 분석 저장 요청을 전송받고, 상기 분석자 단말로 상기 분석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상기 진단 해석의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진단 해석 저장 요청을 전송받고, 상기 전문가 단말로 상기 전문가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진단 해석 결과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를 전송하며,
    상기 대행 처리부는,
    상기 선정 요청에 따라 상기 분석 기관의 선정 조건을 웹페이지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선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기관의 평가 결과를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하고,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정된 분석 기관의 분석자 단말에 상기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의뢰하고, 상기 선정 요청, 상기 선정 조건, 상기 평가 결과, 상기 선정된 분석 기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유전체 분석 저장 요청에 따라 상기 분석자 단말에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의 전송을 요청하며, 상기 분석자 단말로부터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를 전송받고, 상기 유전체 분석 결과를 상기 분석자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진단 해석 저장 요청에 따라 상기 전문가 단말에 상기 진단 해석 결과의 전송을 요청하며,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상기 진단 해석 결과를 전송받고, 상기 진단 해석 결과를 상기 전문가 단말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에서 각종 요청 및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하는 웹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각 단말이 최초 접속한 경우, 회원 가입을 요청하고, 상기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각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50006730A 2015-01-14 2015-01-14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 KR101632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730A KR101632226B1 (ko) 2015-01-14 2015-01-14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730A KR101632226B1 (ko) 2015-01-14 2015-01-14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226B1 true KR101632226B1 (ko) 2016-06-21

Family

ID=5635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730A KR101632226B1 (ko) 2015-01-14 2015-01-14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2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989A (ko) *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마이지놈박스 유전체 분석 결과를 플랫폼 기반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162A (ko) * 2004-11-30 2006-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7220A (ko) *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 나노엔텍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KR20110112495A (ko) * 2010-04-07 2011-10-13 주식회사 인아웃정보기술 의료용 자료의 의료분석 시스템
KR20130001539A (ko) * 2011-06-27 2013-01-04 유디비 주식회사 개인 건강 기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의료 데이터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30010657A (ko) 2011-07-19 2013-01-29 김영대 다중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네트워크 동기화된 3d 렌더 방식을 이용하는 비디오 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162A (ko) * 2004-11-30 2006-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7220A (ko) *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 나노엔텍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KR20110112495A (ko) * 2010-04-07 2011-10-13 주식회사 인아웃정보기술 의료용 자료의 의료분석 시스템
KR20130001539A (ko) * 2011-06-27 2013-01-04 유디비 주식회사 개인 건강 기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의료 데이터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30010657A (ko) 2011-07-19 2013-01-29 김영대 다중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네트워크 동기화된 3d 렌더 방식을 이용하는 비디오 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989A (ko) *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마이지놈박스 유전체 분석 결과를 플랫폼 기반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84665B1 (ko) * 2021-06-17 2023-01-06 주식회사 마이지놈박스 유전체 분석 결과를 플랫폼 기반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5935B1 (en) Providing notifications to authorized users
US7974924B2 (en) Medical data encryption for communication over a vulnerable system
US8396804B1 (en) System for remote review of clinical data
CA2657614C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review of clinical data
EP2919147B1 (en) Data communications system, data analysis device, data communications method, and program
US11552952B1 (en) Providing notifications to authorized users
JP2002132952A (ja) 慢性病と健康のオンラインを管理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60287997A1 (en) Pharmaceutical service selection using transparent data
JP2016540316A (ja) 臨床試験のための候補の識別
EP3654338A1 (en) Method and devices for exchanging health data
JP6911478B2 (ja) 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装置
Donahue et al. Veterans health information exchange: successes and challenges of nationwide interoperability
KR102033013B1 (ko)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Abayomi-Alli et al. An enterprise cloud-based electronic health records system
KR20190067980A (ko) 유전체 및 정밀의료 활용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3709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scription-based biometric monitoring
US10642958B1 (en) Suggestion engine
KR101632226B1 (ko)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관련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대행 서버
KR102110388B1 (ko) 지역적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KR102033010B1 (ko) 개인의무기록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70085757A (ko) 임상 시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atha et al. Telemedicine setup using wireless body area network over cloud
EP3686897B1 (en) Method and data processing unit for selecting a risk assessment computer program
JP2008507785A (ja) 実行可能ガイドラインのため意志決定支援システムと患者データをやりとり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156307A1 (en) Medical im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