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514B1 -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514B1
KR101270514B1 KR1020100132551A KR20100132551A KR101270514B1 KR 101270514 B1 KR101270514 B1 KR 101270514B1 KR 1020100132551 A KR1020100132551 A KR 1020100132551A KR 20100132551 A KR20100132551 A KR 20100132551A KR 101270514 B1 KR101270514 B1 KR 101270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medical information
server
information
hosp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698A (ko
Inventor
최한용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0013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514B1/ko
Priority to PCT/KR2011/008053 priority patent/WO2012086910A1/en
Publication of KR2013004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진료의뢰 방법 및 진료되의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은 병원 내의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 및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의료정보 관리서버; 및 접속되는 협진병원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상기 협진병원 단말기 사이의 진료정보, 진료 의뢰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정보를 공유 가능하도록 하는 의료정보 중계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진료의뢰 방법 및 진료되의뢰 방법{System for Interchanging Medical Information, Method for Requesting Medical Treatment and Method for Returning Medical Treatment Reques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진료의뢰 방법 및 진료되의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와 의뢰의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1, 2차 의료기관 등의 협진 병의원과 정보 교류를 활성화할 수 있는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진료의뢰 방법 및 진료되의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료정보의 교류는 하위의료기관, 가령 개인병원이나 중소병원 등의 1, 2차 의료기관에서 상위의료기관, 가령 대학병원, 종합병원 등으로 환자를 진료의뢰(transfer)할 경우에 필요하다. 가령, 개인병원에 방문한 환자의 진료를 종합병원에 의뢰할 경우에 진료정보의 교류가 필요하다. 물론, 종래에는 하위의료기관원에서 받은 진료정보를 환자가 지참하여 상위의료기관으로 가져가서 제시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해 최근에는 인터넷의 보급에 따라 진료정보를 환자가 지참하는 대신에 하위의료기관과 상위의료기관 간에 온라인으로 직접 진료정보의 교류를 수행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현행 의료법상 진료정보의 저장 및 추출 등의 행위는 반드시 의료기관 내에서만 이루어져야만 한다. 예컨대, 비의료기관인 브로커 시스템에서 특정 병·의원의 진료정보를 저장하고 있거나 이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는 행위는 의료법 위반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환자의 진료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가장 흔한 형태는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의 홈페이지를 통해서 진료정보를 제공하거나 진료를 의뢰한 병·의원(의사)이나 환자가 접속을 통해 진료정보를 조회하는 형식으로 수행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들의 단점은 보안에 취약하며 정보교류의 개념이 아닌 정보조회의 개념에 불과하므로 정보의 전달은 불가능하고 접속에 의한 조회만이 가능하다. 또한 병원 간에 사용 장비의 기종이 모두 다른 경우에 효율적으로 진료정보 교환이 이루어지기는 매우 어려우며,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비가 필요한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병원 간에 진료정보의 교류를 중계하면서도 현행 의료법에 위반되지 않으며, 동시에 진료의뢰시 환자가 직접 진료정보를 손으로 들고 내원할 필요없이 전자적으로 전송하여 의뢰 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에서 직접 조회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진료의뢰 방법 및 진료되의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환자의 진료의뢰시 의뢰한 병원에서의 환자진료정보를 오프라인 종이 차트 출력물이나 CD 등의 매체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의 진료 이력을 전송받아 진료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진료의뢰 방법 및 진료되의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은 병원 내의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 및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의료정보 관리서버; 및 접속되는 협진병원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상기 협진병원 단말기 사이의 진료정보, 진료 의뢰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정보를 공유 가능하도록 하는 의료정보 중계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 방법은 협진병원 단말기로 진료정보, 진료 의뢰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정보를 공유 가능하도록 하는 의료정보 중계 서버에 온라인 접속하여 환자의 진료의뢰를 위한 공인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진료의뢰를 위해 상기 환자의 동의하에 상기 의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진료의뢰를 위한 접속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접속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의료정보 중계 서버에서 상기 의료정보를 수신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연동하여 제공되는 상기 의료정보를 전달받아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의료진 단말기로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 및 EMR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의료정보 관리 서버에 온라인 접속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의료정보의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른 상기 의료정보의 수신 후, 상기 의료정보에 근거하는 검사 관련 정보 또는 회신서를 제공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협진병원 단말기에서 상기 의료정보 중계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검사 관련 정보 또는 상기 회신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료되의뢰 방법은 치료가 끝나 협진 병의원으로 되의뢰되는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 EMR 정보 및 검사 결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되의뢰 정보를 의료진 단말기에서 의료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되의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되의뢰를 위한 협진 병의원을 선정하여 되의뢰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되의뢰 정보 및 상기 되의뢰 리스트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협진병원 단말기로 의료정보 중계 서버에 온라인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해서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되의뢰 진료정보 및 상기 되의뢰 리스트를 요청 및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뢰의사의 입장에서 볼 때 의뢰의 편리성, 핫 라인(hot line) 형성에 따른 인지도 증가, 진료시간 단축 및 정보조회 범위 확대 등의 결과로 환자 유입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또한 환자의 입장에서 볼 때, 빠르고 편리한 전원, 자료 준비의 불편감 해소, 이중 처방 감소 및 3차 기관에서의 진료기간 감소 등의 결과로서 의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병원의 입장에서 볼 때 의뢰의사의 만족도 증가, 의사의뢰증가, 중증도 증가, 의뢰정보의 오류 최소화, 되의뢰를 통한 재원일수 감소 등의 결과로서 수익 창출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 및 리퍼 서브 시스템부의 주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의료정보 중계 서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도 1의 협진병원 단말기에 표시되는 전용 프로그램의 위젯 가이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정보 중계 서버와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의 소프트웨어 대한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1의 시스템의 의료정보 교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a는 진료의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b는 진료되의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c는 도 7a 및 도 7b를 간략하게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협진병원 단말기의 구동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의료진 단말기의 구동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 및 리퍼 서브 시스템부의 주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의료정보 중계 서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은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 및 리퍼(Refer) 서브 시스템부(140, 150)를 포함하며, 의료진 단말기(100), 제1 접근 제한부(120) 및 제2 접근 제한부(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는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를 포함하며,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는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143) 및 제3 접근 제한부(151, 153, 155)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진 단말기(100)는 삼성서울병원과 같이 상위의료기관의 특정 병원 내의 의료진이 사용하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넷북 및 태블릿 PC 등의 컴퓨터로서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를 확인 또는 관리할 수 있다면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는 환자 정보, 처방 및 검사 결과 정보 등을 나타낸다. 의료진 단말기(100)는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에 접속함으로써 1, 2차 의료기관의 협진병원 단말기(170)와 의료 정보 교류를 통해 제공되는 환자 기본정보, 공통코드, 외래/입원/응급 내역, 진료의뢰 의사 정보, 진료의뢰 내역, 처방정보, 검사 결과 및 EMR 내역 등도 확인 가능하게 된다.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는 상위의료기관 내 의료정보 자동화 및 의료정보 공유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를 포함하며,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는 EMR 인증 서버(113)에 연동함으로써 환자에 대한 정보 및 EMR 정보를 저장한다. 병원 내 클라이언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에 접속하여 EMR 정보 예컨대 환자 정보, 진료 정보, PACS 이미지 등을 조회하고 기록할 수 있고, 그 이외에도 전자진료의뢰 요청 조회, 전자진료의뢰요청 매핑, 전자의뢰서 뷰어, 전자의뢰서 출력, 예약현황 조회, 조회요청환자 등록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외부 클라이언트는 제1 방화벽(123) 등을 통해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에 접속할 수 없게 된다.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는 내부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의료정보 관리 DB 서버(미도시)에 연동할 수 있고, 또한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 외의 EMR 인증 서버(113)에 연동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는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의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143) 및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에 연동할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는 백본 스위치를 구성하는 제1 스위치(121), 제1 방화벽(123) 및 제1 중계수단(131)을 추가적으로 경유하여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143)에 접속할 수 있고, 제2 방화벽(133), L4 스위치 등의 제2 스위치(151), 웹 방화벽 등의 제3 방화벽(153) 및 L2 스위치 등의 제3 스위치(155)를 추가적으로 경유하여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는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의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143)와 연동함에 따라 DB의 링크가 서로 가능하게 되어 협진병원 단말기(170)에서 제공한 의료 정보를 의료진 단말기(100)의 의료진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EMR 인증 서버(113)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에 포함되지 않지만,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와 연계하여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에서 EMR 정보의 요청시 인증을 수행하여 관련 정보에 대한 조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기록된 정보는 다시 저장할 수 있다.
제1 접근 제한부(120)는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의 백본망에 연결되는 백본 스위치로서의 제1 스위치(121) 및 제1 방화벽(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치(121)는 다수의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에 연결되어 각각의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가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스위치의 역할을 수행하며, 제1 방화벽(123)은 외부 클라이언트가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에 접속할 수 없도록 한다.
제2 접근 제한부(130)는 제1 및 제2 중계수단(131, 135) 및 특정 클라이언트에게만 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제2 방화벽(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중계수단(131, 135)은 예컨대 라우터(router)로서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 및 제1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로의 경로를 안내하고, 더 나아가 인터넷망(160)과 특정 병원의 내부 망 등의 서로 다른 통신망을 연결하기 위하여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방화벽(133)은 협진 병의원 클라이언트가 이용하는 협진병원 단말기(170)만이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는 외부의 협진 병의원과 진료 정보, 진료의뢰서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으로서,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143)를 포함하는 제1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및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를 포함하는 제2 리퍼 서브 시스템부(1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는 제2 접근 제한부(130)의 제1 중계수단(131) 및 제2 방화벽(133)을 경유하여 제2 리퍼 서브 시스템부(150)와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는 하나의 DB 서버와 개발 서버를 서로 연결하는 탭(141)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제2 리퍼 서브 시스템부(150)는 제2 접근 제한부(130)와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 사이에 제3 접근 제한부(151, 153, 1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접근 제한부(151, 153, 155)는 L4 스위치 등의 제2 스위치(151), 웹 방화벽 등의 제3 방화벽(153) 및 L2 스위치 등의 제3 스위치(155)를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는 삼성서울병원과 같은 특정 병원 내에 위치하며 사이버 망을 통해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와 이원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는 외부 협진 병의원과의 접속 관리, 진료 정보 및 진료의뢰서 수신 및 관리, 특정 병원의 진료 정보 및 되의뢰서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는 EMR 관리 프로그램, 가령 Web-PACS를 통해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에 저장된 의료 이미지를 외부 협진 병의원에 제공할 수 있고,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에 저장된 EMR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의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143)는 허가된 포트만 연결될 수 있으며,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의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의 데이터베이스와 링크되어 있다.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143)는 협진 병의원으로부터 수신된 진료 정보 등을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에 제공하고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에 저장된 진료 정보, EMR 정보, 이미지 정보 등을 제공받아 외부 협진 병의원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리퍼 서브 시스템부(150)의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처리부(300), DB부(310), 의료정보 연동부(320) 및 메시지 전송부(33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인증 처리부(300)는 인터넷망(160)을 통해 접속된 협진병원 단말기(170)에 대한 전자인증을 수행하며, DB부(310)는 하위 및 상위의료기관 간에 공유되는 의료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정보 연동부(320)는 협진병원 단말기(170)로부터 수신되는 의뢰환자에 대한 진료정보 및 EMR 정보를 의료정보 관리 DB 서버(미도시) 및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143)와 연동하여 다시 협진병원 단말기(17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인증 처리부(300)에 의해 협진병원 단말기(170)의 전자인증이 완료되면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로부터 되의뢰된 의료정보를 가져와 협진병원 단말기(170)로 되의뢰 의료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메시지 전송부(330)는 협진병원 단말기(170)로부터 진료의뢰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진료의뢰서에 대응하는 진료의뢰 환자의 단말기(190)로 진료의뢰 접수 메시지가 실시간으로 전송될 있도록 하고, 진료의뢰에 대한 진료 예약이 완료되었으면 협진병원 단말기(170)로 예약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메시지 전송부(330)는 의료진 단말기(100)에서 진료의뢰환자에 대한 진료예약을 하는 경우, 회신서를 보내는 경우, 그리고 공지사항 등 협진 병의원으로 알려주어야 할 정보를 협진병원 단말기(170)로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협진 병의원의 클라이언트, 더 정확하게는 협진병원 단말기(170)는 인터넷망(160)을 통해 HTTP, TCP/IP의 웹 통신 방식으로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에 연결될 수 있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에 접속한다. 클라이언트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퍼 서브 시스템(140, 150)에 진료 정보 전송과 함께 진료 의뢰를 할 수 있고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프로그램은 전용 프로그램 위젯(Widget)으로 제공될 수 있고, 전용 프로그램이 사이드 바 메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위젯과 사이드 바 메뉴 사이에 형태 교환 및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전용 프로그램 위젯과 관련해서는 이후에 좀더 자세히 다루기로 한다. 또한 협진병원 단말기(170)는 삼성서울병원과 같은 특정 병원에서 되의뢰한 환자에 대한 리스트 및 해당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그 이외에도 협진 병의원의 클라이언트는 협진병원 단말기(170)를 통해 약물 정보, 약처방/검사결과 조회, 회신서, EMR 기록 조회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협진병원 단말기(170)는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영상 등의 의료 영상을 고화질로 볼 수 있는 별도의 Web-PACS 전용 프로그램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협진병원 단말기(170)와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 간에 전달되는 문서는 환자정보, 상병명, 진료소견, 이미지 등으로 구성되는 가령 XML 형식의 문서가 적합할 수 있다.
만약 협진 병의원의 클라이언트가 상위의료기관에서 운영하는 리퍼 서브 시템부(140, 150)에 접속하고, 환자의 동의하에 전자의뢰서를 입력하였다면 리퍼 서브 시스템부(150)의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는 이를 확인한 후 이동통신망(180)을 경유하여 해당 환자의 단말기(190)로는 진료의뢰가 접수되었음을 알릴 수 있고, 더 나아가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의 요청에 따라 특정 병원의 특정 의사에게 진료 예약이 되었음을 환자의 단말기(190)로 알릴 수 있으며, 반면 협진 병의원의 클라이언트인 의뢰의사의 협진병원 단말기(170)로는 의뢰환자의 예약이 확인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망(180)은 CDMA 또는 WCDMA, LTE 등의 다양한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WCDMA 망의 경우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에서 패킷데이터교환국(SGSN)으로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면, SGSN은 기지국 제어기(RNC), NodeB와 같은 기지국 전송기 등을 통해 환자의 단말기(190)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동일한 경로를 통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에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190)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폰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협진병원 단말기에 표시되는 전용 프로그램의 위젯 가이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로그인 화면으로, 우측 상단에는 로그인 화면을 닫기 위한 아이콘 또는 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아이디, 비밀번호, 공인인증 및 로그인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아이디 항목에서 저장 부분에 체크(√)하면 아이디가 저장되어 다시 로그인 화면이 뜰 때 아이디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공인인증 항목에서 공인인증 없이 로그인을 하게 되면, 검사결과, 약처방, 이미지 조회는 가능하나 전자진료의뢰 및 EMR 진료기록조회는 불가능하게 된다. 해당 항목에 정보를 입력한 후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여 로그인 된다.
도 4b는 위젯을 나타내는 화면으로, 우측 상단에는 위젯숨김(-), 종료(x) 기능의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위젯을 트레이 영역이나 작업 표시줄로 감추거나 위젯을 종료시킬 수 있다. 가운데 영역에는 주요 메뉴 영역의 아이콘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리퍼 서브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기능으로 바로 갈 수 있는 영역에 해당된다. 그리고 좌측 하단에는 자물쇠 모양의 아이콘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자리를 비우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 프로그램을 잠그는 기능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이상일 경우에도 잠기게 된다. 우측 하단에서 위젯을 사이드 바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이드 바 변환 아이콘이 형성되어 있다. 제일 하단에는 위젯의 환경을 설정하고, 위젯의 도움말을 볼 수 있는 설정 및 도움말 항목이 있다. 물론 F1 키를 눌러도 도움말이 나타날 수 있다.
도 4c는 위젯 잠금 해제 화면으로, 잠금 해제는 작업 트레이 영역에서 S 아이콘을 선택하여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 후 'Widget Main'을 선택하면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비밀번호 입력 화면의 비밀번호 입력 항목에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이나 엔터 키를 치면 다시 위젯 화면이 나타난다.
도 4d는 사이드 바 화면으로, 좌측 제일 상단에는 화면 우측으로 접히지 않게 움직임 고정할 수 있는 움직임 고정 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그 우측으로는 잠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잠금 버튼이 형성되어 있으며, 잠금 버튼의 우측으로는 위젯숨김(-), 종료(x)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하단에는 사이드 바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투명도 조절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는 투명 또는 흐려짐을 나타내고, -는 불투명 또는 진해짐을 의미한다. 의뢰서입력, 의뢰환자, 되의뢰환자는 주요 메뉴 영역이며, 좌측 가운데 부위에는 접힘, 펼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접힘, 펼침 버튼을 통해 사용하지 않을 때 사이드 바를 화면 우측으로 접히게 하기도 하고, 접힌 사이드 바를 다시 펼쳐져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제일 하단에는 사이드 바를 위젯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에는 위젯의 환경을 설정하고 도움말을 볼 수 있는 영역이 있으며, 환경 및 도움말 영역의 상단에는 약물정보와 같은 부가 서비스 메뉴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도 4e는 위젯 환경 설정 화면으로, 기본 화면을 위젯 또는 사이드 바로 설정하기 위한 제1 화면이 나타날 수 있고, 예약 알림, 회신서 도착 알림 등 기타 유용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기능 설정을 위한 알림 메시지 설정을 위한 제2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제2 화면에서 예를 들어 메시지 자동 숨김 여부를 설정하는 경우 메시지 알림 설정 시간 동안 메시지가 보였다가 사라지는 기능으로 최대 15초까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제3 화면에서는 Web-PACS를 볼 때 Web-PACS 화면이 나타날 모니터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정보 중계 서버와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의 소프트웨어 대한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운영서버 및 UNIX 항목은 제2 리퍼 서브 시스템부(150)의 운영을 위한 운영 서버로서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에는 UNIX 기반의 운영체제가 탑재됨을 나타내고, WAS(Web Application Server)는 안정적인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일종의 미들웨어 소프트웨어 서버를 나타내며, Anyframe는 삼성 SDS 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를 의미한다. X-internet이란 실행성(excutable) 및 확장성(extendable)을 갖는 인터넷 구조로서 아키텍처는 인터넷을 따르고 사용자인터페이스(UI)는 C/S를 따름을 의미한다. Push 서버란 진료의뢰확인 및 진료 예약 등에 대한 실시간 알림 메시지 전송 서버를 의미하며, 전자인증은 전자 서명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나타낸다. 또한 Global reporting tool, Flash charting component는 분석 데이터 리포팅 출력 툴을 의미한다. 응용프로그램은 자바(JAVA)로 개발된 응용프로그램임을 의미하며, DBMS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그리고 DB 보안은 데이터베이스 보안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도 6a는 도 1의 시스템의 의료정보 교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함께 참조하면, 협진병원 단말기(170)를 사용하는 의뢰의사는 환자의 진료 후, 환자의 동의하에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의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로 진료의뢰를 한다(S601). 이의 과정에서 의뢰의사는 진료의뢰서를 작성하고 작성한 진료의뢰서를 입력하게 되는데, 의사는 환자의 정보 제공 동의를 받은 후 의뢰환자의 정보, 환자의 진료 정보 등을 입력하고 의료 영상을 덧붙여서 제2 리퍼 서브 시스템부(150)에 전송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의료 영상 파일 등을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다.
가령 협진병원 단말기(170)는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고정 IP 주소를 통해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에 접속할 수 있고, 전용 프로그램은 공인인증서를 통해 의사를 인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의뢰 과정이 완료되면,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는 접속권한 판단 후, 진료의뢰서와 진료 정보를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143)에 저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603). 이의 과정을 통해 제1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를 이루는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143)에는 협진병원 단말기(170)를 통해 의뢰의사가 제공한 특정 환자의 진료의뢰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다.
가령 의뢰 과정이 완료되면,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는 환자의 휴대폰 등의 단말기(190)로 진료의뢰가 접수되었음을 메시지로 알릴 수 있다. 물론 메시지는 이동통신망(180)과의 연계하에 제공될 것이다. 그리고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는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에서 제공하는 예약 관련 정보에 따라 예약 확인 메시지도 전송하게 된다(S605). 이와 같은 예약 확인 메시지는 환자의 단말기(190) 또는 협진병원 단말기(17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볼 때,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를 이용하는 운영자는 진료 의뢰서를 확인한 후, 환자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전화를 걸어 진료 예약을 수행하고 진료 정보 열람 동의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는 예약된 내용, 가령 예약 환자, 예약 시간, 담당의사 등을 입력할 수 있고, 협진 병의원으로부터 진료 의뢰된 환자에 대해 진료 예약이 이루어진 경우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는 환자 및 협진 병의원 의사에게 예약 확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음은 의뢰된 진료정보에 대한 검사 결과 또는 회신서 확인 과정이다.
의료진 단말기(100)를 이용하는 상위의료기관의 의료진은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에 온라인 접속 후 전자진료의뢰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S607).
이어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는 의료 정보 중계 DB 서버(143) 또는 의료 정보 중계 DB 서버(143)에 링크되는 의료정보 관리 DB 서버(미도시)로 진료의뢰 정보를 요청하여 진료의뢰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의료진은 진료의뢰 정보를 확인 후 진료를 보고 각종 검사 결과 및 EMR,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회신서를 의료정보 관리 DB 서버(미도시)에 저장하고 이 정보는 다시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143)와 연동되어 전송된다(S609).
그러면 협진병원 단말기(170)를 이용하는 협진 병의원 의사는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에 온라인 접속 후 진료 관련 정보 또는 회신서를 요청하고(S611), 의료정보 관리 DB 서버(미도시)와 연동되어 있는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143)로부터 진료 관련 정보 또는 회신서를 전달받아 의뢰환자에 대한 약처방, 통합검사결과, EMR, 회신서 등을 조회할 수 있게 된다(S613, S615).
이어 상위의료기관에서 하위의료기관으로 되의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위의료기관의 담당의사가 치료가 끝난 환자를 협진 병의원으로 되의뢰하기 위해 되의뢰 소견서를 진료의뢰센터, 예컨대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에 요청하면(S617),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는 협진 병의원을 선정하여 되의뢰한다. 이의 과정에서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는 되의뢰 협진 병의원의 리스트를 생성하거나 되의뢰 소견, 되의뢰 환자 정보, 진료 정보 및 진료 이미지 등의 되의뢰 정보를 의료정보 관리 DB 서버(미도시)에 저장시키고, 이 정보는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143)와 연동된다(S619).
이후 협진병원 단말기(170)가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에 접속한 경우(S621),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는 접속 권한 판단 후,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143)로 되의뢰 리스트를 요청하여 해당 리스트를 수신하게 된다(S623).
이어 의료 정보 중계 서버(157)는 협진병원 단말기(170)로 되의뢰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으며, 협진병원 단말기(170)의 의사는 되의뢰 리스트를 통해 되의뢰 환자에 대한 진료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S625).
물론 이의 과정에서 협진병원 단말기(170)는 되의뢰 환자의 진료정보, EMR 정보, 검사 결과 이미지를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는 Web-PACS를 통해 협진병원 단말기(170)로 환자의 진료 영상 이미지, 예컨대 CT, MRI, 초음파 이미지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협진병원 단말기(170)는 Web-PACS 기능을 통해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진료 영상 이미지를 조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a는 진료의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b는 진료되의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7c는 도 7a 및 도 7b를 간략하게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c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협진 병의원의 의뢰의사가 환자의 진료를 마친 후 상위의료기관으로의 의뢰를 결정하게 되면, 의뢰의사는 협진병원 단말기(170)를 통해 전자의뢰서를 작성하여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의 의료 정보 중계 서버(157)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는 협진 병의원의 진료의뢰를 접수한 후, 환자 또는 의뢰의사에게 진료의뢰가 접수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는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에서 전자의뢰 관련 정보를 가져와 가령 운영자는 의뢰 환자와 전화 통화를 수행하여 예약 결정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예약이 결정되면 진료 예약이 완료되고, 예약과 동시에 의뢰환자 등록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를 기초로 외래 진료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운영자는 의뢰환자의 진료예약이 완료된 경우 이어 의료정보의 공개에 동의하는지를 여부를 묻는 과정을 더 진행한다. 이때 동의가 없는 경우라면 담당의사는 예약사항만을 조회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의뢰환자가 정보 공개에도 동의를 하게 되면, 환자에 대한 등록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함께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는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로, 더 정확하게는 의료 정보 중계 서버(157)로 환자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 정보 중계 서버(157)는 환자의 단말기(190)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의뢰의사의 협진병원 단말기(17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위의료기관의 담당의사는 등록된 의뢰환자의 예약사항, 진료정보를 조회하여 외래 진료를 진행한 후 회신을 작성하게 된다.
이러한 회신 관련 정보는 다시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뢰의사는 상위의료기관의 담당의사가 수행한 회신을 조회할 수 있게 된다.
도 7b 및 도 7c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진료되의뢰 확인 과정은 먼저 상위 의료기관의 의사가 의뢰환자의 진료를 진행하고, 이어 되의뢰를 해야하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되의뢰를 결정하지 않았다면 내부에서 진료를 진행하겠지만, 만약 되의뢰를 결정하였다면 가령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 더 정확하게는 의료정보 관리 서버(111)로 되의뢰 요청하여 전산 입력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의 의료정보 중계 서버(157)로 되의뢰요청이 접수되며, 이어 되의뢰된 환자와의 상담을 진행하여 되의뢰가 결정된 환자에 대하여 되의뢰병원을 상담하게 된다. 반면 되의뢰가 결정되지 않은 환자의 경우에는 SMC 즉 상위의료기관에서 그대로 진료를 진행하게 된다.
만약 병원이 결정되었다면 되의뢰병원의 등록이 진행되고, 이를 통해 되의뢰병원의 의사는 되의뢰병원 환자 전원에 대한 되의뢰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은 협진병원 단말기의 구동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8은 로그인을 위한 바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로그인 화면은 아이디, 비밀번호 및 공인인증을 위한 인증 항목을 포함하게 된다. 협진병원 단말기(170)는 위젯 전용 프로그램을 가짐으로써 로그인을 위한 바탕 화면을 표시하여 시스템의 신속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보안 강화를 위하여 공인인증을 통한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9는 진료의뢰서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협진병원 단말기(170)는 전용 프로그램 이외에 EMR 관리 프로그램을 가짐으로써 화면에서 환자 정보를 전용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진료의뢰서(혹은 전자의뢰서)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진료의뢰서 입력 과정에서 필수 항목 최소화, 예문 모음, 텍스트 입력, 이미지 캡쳐 및 입력, 이미지 파일 업로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메시지 구동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협진병원 단말기(170)에서 진료의뢰서를 가령 리퍼 서브 시스템부(140, 150)로 전송하여 의뢰가 접수되면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110)에서 의뢰 관련 정보를 확인하여 의뢰환자와 전화 통화 등을 수행하여 예약을 진행하며, 예약이 완료된 경우 협진병원 단말기(170)로 예약완료 확인을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의뢰환자의 휴대폰 등의 단말기(190)로는 예약 정보가 단문메시지의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은 특정 항목의 조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JPEG 영상보다는 Web-PACS 기반의 DICOM 영상을 사용함으로써 원내 PACS에서 사용하던 기능들은 물론 고화질의 영상을 제공하여 조회 기능 및 범위를 확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진료 회신서의 활성화 화면으로서, 진료 회신이 있는 환자들의 리스트 중에서 특정 환자를 선택하게 되면, 도 12에서와 같이 특정 환자에 대한 자세한 진료 회신 내용이 나타난다. 이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빠른 회신을 제공할 뿐 아니라 EMR 기록 조회가 가능하게 된다.
도 13은 되의뢰 소견서의 활성화 화면으로서, 되의뢰 소견이 있는 환자들의 리스트 중에서 특정 환자를 선택하게 되면 자세한 되의뢰 소견이 적혀있는 되의뢰 소견서가 활성화되어 나타난다. 이를 통해 특정 환자의 되의뢰 소견을 빠르게 조회 가능하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6은 의료진 단말기의 구동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14는 진료 파트의 외래환자선택 화면으로서, 외래환자 성명 앞에 ⓔ 표시를 하여 전자의뢰 환자임을 구분하고, 해당 전자의뢰 환자를 선택하게 되면 외래 방문 사유가 전자의뢰임을 알려주는 창이 활성화가 되고, 의료진이 해당 환자의 진료를 볼 경우 전자의뢰서도 활성화되어 표시된다.
도 15는 외래 간호부의 외래접수관리 화면으로서, 특기사항에 [e-의뢰]로 표시하여 외래 접수가 전자진료의뢰 환자인지를 나타내어 주고 있다.
도 16은 원무과, 예약실의 진료의뢰 내역관리 화면으로서, 환자의 전달체계가 전자진료 의뢰라는 것을 나타내어 주는 화면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의료진 단말기 110: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
111: 의료정보 관리 서버 113: EMR 인증 서버
120: 제1 접근 제한부 121: 제1 스위치
123: 제1 방화벽 130: 제2 접근 제한부
131: 제1 중계수단 133: 제2 방화벽
135: 제2 중계수단 140, 150: 리퍼 서브 시스템부
141: 탭(Tap) 143: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
151: 제2 스위치 153: 제3 방화벽
155: 제3 스위치 157: 의료정보 중계 서버
160: 인터넷망 170: 협진병원 단말기
180: 이동통신망 190: 단말기
300: 인증 처리부 310: DB부
320: 의료정보 연동부 330: 메시지 전송부

Claims (13)

  1. 상위의료기관 내 의료정보 자동화 및 의료정보 공유를 위한 의료정보 관리 서버와 EMR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
    하나의 DB서버와 개발 서버를 서로 연결하는 탭과, 의료정보 중계 DB서버를 포함하는 제 1 리퍼 서브 시스템부;
    제 2 스위치, 제 3 방화벽 및 제 3 스위치로 구성된 제 3 접근 제한부와, 의료정보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제 2 리퍼 서브 시스템부로 구성되며,
    의료정보 서브 시스템부와 제 1 리퍼 서브 시스템부가 제 1 접근 제한부를 통해 연결되고, 제 1 리퍼 서브 시스템부와 제 2 리퍼 서브 시스템부가 제 2 접근 제한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의료정보 관리 서버는 제 1 접근 제한부의 백본 스위치를 구성하는 제 1 스위치, 제 1 방화벽 및 제 1 중계수단을 경유하여 의료정보 중계 DB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의료정보 관리 서버는 제 2 접근 제한부의 제 2 방화벽, 제 3 접근 제한부를 추가적으로 경유하여 의료정보 중계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협진 병의원 클라이언트가 이용하는 협진 병원 단말기가 제 2 중계수단과 제 2 방화벽을 통해 제 1 및 2 리퍼 서브 시스템부에 접속할 수 있고, 의료진 단말기는 의료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협진병원 단말기가 제 1 및 2 리퍼 서브 시스템부에 제공한 의료 정보를 제공받고,
    의료정보 관리 서버는 병원 내의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 및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고,
    의료정보 중계 서버는 접속되는 협진병원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의료정보 관리 서버와 상기 협진병원 단말기 사이의 진료정보, 진료 의뢰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정보를 보유하며,
    의료진 단말기는 병원 내에 설치되며, 상기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 및 EMR 정보의 입출력을 관리하되, 상기 협진병원 단말기에 의해 의뢰된 환자에게는 전자의뢰 환자임을 표시하고 상기 전자의뢰 환자의 진료정보 및 진료 의뢰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키고,
    의료정보 관리 서버에 연동하며, 의뢰환자의 진료정보 및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정보를 저장하는 의료정보 관리 DB를 더 포함하고,
    의료정보 중계 DB 서버는 의료 정보 중계 서버에 연동하며, 진료의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의료 정보 관리 DB 서버와 연동하여 의뢰환자의 진료정보 및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정보를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진병원 단말기는 상기 의료정보 중계 서버 접속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의료정보 중계 서버에 접속 가능하고,
    협진병원 단말기의 전용 프로그램은 상기 의료정보 중계 서버 접속을 위한 전용 브라우저이며,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한 곳에 모아 쉽게 접근하여 정보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위젯(Widget)과 화면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사이드 바(side bar) 기능을 더 포함하고,
    협진병원 단말기에는 Web-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상기 Web-PACS는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의료영상을 제공하고,
    협진병원 단말기와 의료정보 중계 서버 간의 통신은 HTTP, TCP/IP 의 웹통신 방식이며,
    협진병원 단말기와 의료정보 중계 서버 간에 전달되는 문서는 환자정보, 상병명, 진료소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XML 형식의 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00132551A 2010-12-22 2010-12-22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KR101270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551A KR101270514B1 (ko) 2010-12-22 2010-12-22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PCT/KR2011/008053 WO2012086910A1 (en) 2010-12-22 2011-10-27 System for interchanging medical information, method for making medical treatment referral, and method for returning medical treatment referr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551A KR101270514B1 (ko) 2010-12-22 2010-12-22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698A KR20130043698A (ko) 2013-05-02
KR101270514B1 true KR101270514B1 (ko) 2013-06-03

Family

ID=4631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551A KR101270514B1 (ko) 2010-12-22 2010-12-22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0514B1 (ko)
WO (1) WO2012086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354B2 (en) 2012-10-15 2016-02-02 Imprivata, Inc. Secure access supersession on shared workstations
WO2014190327A1 (en) * 2013-05-23 2014-11-27 Lifenexus, Inc.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JP5807039B2 (ja) * 2013-05-30 2015-11-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健康情報管理方法、健康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健康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2457776B1 (ko) * 2013-12-04 2022-10-24 애플 인크. 생리학적 데이터의 제시
CN104143167A (zh) * 2014-07-08 2014-11-12 唐永峰 基于智能移动终端的医生预约检查系统及其检查方法
CN106537397B (zh) 2014-09-02 2019-12-13 苹果公司 身体活动和健身监视器
KR20170012076A (ko) * 2015-07-21 2017-02-02 (주)아이알엠 의료 영상과 관련된 장치들 간에 송수신되는 의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EP4321088A3 (en) 2015-08-20 2024-04-24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US11216119B2 (en) 2016-06-12 2022-01-04 Apple Inc. Displaying a predetermined view of an application
US10736543B2 (en) 2016-09-22 2020-08-11 Apple Inc. Workout monitor interface
US10845955B2 (en) 2017-05-15 2020-11-24 Apple Inc. Displaying a scrollable list of affordan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KR101971552B1 (ko) * 2017-09-06 2019-04-24 주식회사 망고소프트랩 병원 사이의 환자 전원을 관리하는 방법
US11317833B2 (en) 2018-05-07 2022-05-03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CN110033836A (zh) * 2019-03-01 2019-07-19 医利捷(上海)信息科技有限公司 一体化电子病历系统
KR102261451B1 (ko) 2019-03-11 2021-06-07 (주)아이쿱 환자 트랜스퍼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DK201970532A1 (en) 2019-05-06 2021-05-03 Apple Inc Activity trends and workouts
US11152100B2 (en) 2019-06-01 2021-10-19 Apple Inc. Health application user interfaces
KR20220016503A (ko) 2019-06-01 2022-02-09 애플 인크. 다중 모드 활동 추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2112695B1 (ko) * 2019-08-06 2020-05-19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의료복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K202070612A1 (en) 2020-02-14 2021-10-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DK181037B1 (en) 2020-06-02 2022-10-1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applications
CN111863213A (zh) * 2020-06-23 2020-10-30 重庆同仁至诚智慧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基层急救筛查的双向转诊系统、双向转诊服务平台、基层急救工作站
KR102449914B1 (ko) 2020-06-29 2022-09-30 (주)아이쿱 의료상담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72805B1 (ko) * 2020-06-30 2021-07-05 서울대학교병원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514829B1 (ko) * 2020-09-14 2023-03-28 국립암센터 돌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38002B1 (ko) * 2020-09-14 2022-08-29 국립암센터 돌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2102965A (zh) * 2020-09-15 2020-12-18 深圳市联影医疗数据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临床辅助和区域协同的医疗信息管理系统
KR102580404B1 (ko) 2021-02-15 2023-09-19 (주)아이쿱 랩 커넥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EP4323992A1 (en) 2021-05-15 2024-02-2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group workouts
US11896871B2 (en) 2022-06-05 2024-02-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642B1 (ko) * 2006-09-20 2008-02-26 서울대학교병원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071B1 (ko) * 2005-02-01 2007-08-21 주식회사 이수유비케어 의료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0092418A (ja) * 2008-10-10 2010-04-22 Toukei Computer Co Ltd 外来診療・計画支援装置、外来診療・計画支援システム、外来診療・計画支援方法、及び、外来診療・計画支援プログラム
JP2010237833A (ja) * 2009-03-30 2010-10-21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医療連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642B1 (ko) * 2006-09-20 2008-02-26 서울대학교병원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86910A1 (en) 2012-06-28
KR20130043698A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514B1 (ko)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US10764289B2 (en) Cross-enterprise workflow
US8990834B2 (en) Managing healthcare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system
US20110246231A1 (en) Accessing patient information
RU260235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выдачи электронной медицинской карты
US20050197860A1 (en) Data management system
JP5927864B2 (ja) 遠隔画像システム
US20140136236A1 (en) Patient and physician gateway to clinical data
US20180004897A1 (en) Ris/pacs integr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0702140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a secure electronic gateway at a physician's office
JP5494020B2 (ja) 医療連携システム
JP5874524B2 (ja) 医療連携システム
US20150149209A1 (en) Remote/local reference sharing and resolution
US20050187787A1 (en) Method for payer access to medical image data
GB2459128A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Facilitating Patient Referrals
JP2017151584A (ja) 医療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JP6003595B2 (ja) 医用画像システム
JP6662317B2 (ja) 医療連携システム
JP2011198310A (ja) 医療連携システム
JP5122043B2 (ja) 機能提供サイトを有する診療支援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471683B2 (ja) 医療連携システム
Hoang et al. Assistive care loop with electronic maternity records
JP2005078183A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0224741A (ja) 医療検査の予約受付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Allam et al. Designing an information interface to support sharing of information in cancer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13

Effective date: 201304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