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805B1 -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805B1
KR102272805B1 KR1020200080202A KR20200080202A KR102272805B1 KR 102272805 B1 KR102272805 B1 KR 102272805B1 KR 1020200080202 A KR1020200080202 A KR 1020200080202A KR 20200080202 A KR20200080202 A KR 20200080202A KR 102272805 B1 KR102272805 B1 KR 102272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cal
patient
elderly
c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일
최정연
위원량
이민호
김흥기
김진영
임동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커넥트 주식회사
이지케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커넥트 주식회사, 이지케어텍(주)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00080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노인 환자의 요양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 및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와 노인환자의 진료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연결된 진료정보교류 서버; 상기 노인환자의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협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플랫폼 서버; 및 상기 플랫폼 서버에 협진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양병원의 클라이언트 장치 및 의료기관의 클라이언트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련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노인환자의 요양 기간 동안의 환자평가표에 기초한 SAM 파일을 상기 요양병원의 EMR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진료정보교류 서버로부터 상기 요양병원 및 의료기관의 진료기록 요약지(CRS)에 기초한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파일을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SAM 파일 및 CDA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Method for establishing service database for intervention or cooperative medical care between medical institutions}
본 발명은 다 기관에서 기원한 노인 환자의 의료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인환자가 생활하는 예컨대, 요양병원 (요양원을 포함)의 다양한 환자 정보, 및 1차, 2차, 또는 3차 병원에서 보관하고 있는 의료정보시스템의 진료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요양병원에 입원 또는 장기요양시설(예컨대, 요양원)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환자에 대해 중재 또는 노인환자가 입원 또는 거주하고 있는 요양병원과 타 의료기관 간의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련된다.
의료기술의 발전, 위생 수준의 상승, 충분한 영양 공급으로 인해 인간의 기대 수명이 기존에 비해 매우 늘어나면서 노인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여러가지 질병을 가지고 있는 노인 환자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입원 부담, 중증의 질병, 기능장애, 노쇠 등의 이유로 독립적인 일상 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노인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반면 핵가족화로 인해 가족 구성원 내에서 부양인구는 감소하여, 기존에 가족 내에서 이루어졌던 노인환자의 돌봄을 받지 못하는 노인환자의 수가 적지 않다. 이로 인해 노인환자는 요양병원에서 생활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노인에게 신체 기능 장애 또는 인지 기능 장애 같은 증상은 매우 흔하면서, 동시에 쉽게 간과될 수 있어 제대로 평가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을 갖는 노인 환자에 대한 정확한 진료와 향후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진료기관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검사뿐만 아니라, 노인환자에 특화하여 요양병원에서 수행하고 기록되는 의료정보(예컨대, 환자평가표)가 요구된다.
I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요양병원, 대학병원에서는 종래에 수기로 기록되는 진료정보를 각 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로 보관한다. 종래에는 표준화된 EMR 양식이 없어 진료정보 데이터가 분절된 의료 정보의 전달체계를 형성해왔다. 최근 보건복지부는 진료정보의 교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2017년 1월 1일부로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표준 고시”를 공표하였다. 이로 인해, 병원 간(예컨대, 개인병원과 상급병원 사이, 또는 상급병원들 사이)의 진료정보교류의 단절 문제는 일부 해소되고 있다. 그러나, 요양병원의 적어도 일부 의료 정보가 대학병원으로 전달되는데 여전히 한계가 있다.
따라서, 요양병원의 의료 정보 및 다양한 병원들의 의료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05642호 (2008.02.26)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노인환자가 생활하는 요양병원의 다양한 환자 정보, 및 의료기관에서 보관하고 있는 의료정보시스템의 진료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노인환자에 대한 중재 서비스 또는 요양병원과 의료기관의 의료진 간의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효과적으로 구축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효과적으로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시스템에 있어서, 노인 환자의 요양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 및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와 노인환자의 진료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연결된 진료정보교류 서버; 상기 노인환자의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협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플랫폼 서버; 및 상기 플랫폼 서버에 협진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양병원의 클라이언트 장치 및 의료기관의 클라이언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노인환자의 요양 기간 동안의 환자평가표에 기초한 SAM 파일을 상기 요양병원의 EMR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진료정보교류 서버로부터 상기 요양병원 및 의료기관의 진료기록 요약지(CRS)에 기초한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파일을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SAM 파일 및 CDA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프로세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인환자의 요양 기간 동안의 환자평가표에 기초한 SAM 파일을 요양병원의 EMR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요양병원의 EMR 시스템 및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진료기록 요약지(CRS)에 기초한 노인환자의 CDA 파일을 상기 진료정보교류 서버에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SAM 파일 및 CDA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에 의해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전술한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요양병원의 EMR 시스템과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에서 전달 받은 환자 관련 의료 정보가 하나의 양식으로 표현되도록 구성되며, 각 EMR 시스템에서 생성된 진료정보 데이터를 플랫폼에 연결된 장치들이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플랫폼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제출을 위해 기 작성된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요양병원, 장기요양시설 및/또는 의료기관의 사용자는 별도로 노인환자와 관련된 의료정보를 중복해서 생성할 필요가 없다.
상기 플랫폼은 요양병원, 장기요양시설 및/또는 의료기관의 의료진 등이 등록 노인환자의 의료 관련 다양한 정보에 액세스하고 협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호자/환자의 불필요한 외래 진료를 위한 병원(특히, 3차 병원) 방문을 줄일 수 있고, 요양병원의 주치의 또는 요양원 촉탁의가 노인환자의 기능상태, 노쇠상태, 만성질환 조절 상태, 최근 활력정보를 확인 하면서 촉탁의 기관에서 환자의 처방 변경시 더욱더 정확한 판단을 내리는 것을 지원한다.
또한, 각 의료기관에서 생성된, 등록 노인환자의 의료 관련 다양한 정보는 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로 업데이트하여, 요양병원, 쟝기요양시설 및/또는 의료기관의 의료진 등은 환자에 대해서 기능상태, 노쇠상태, 만성질환 조절 상태, 처방여부, 최근 활력정보 및 검사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 (one patients one record system).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또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필요한 도면이 아래에서 간단히 소개된다. 아래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한정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아래의 도면들에서 과장, 생략 등 다양한 변형이 적용된 일부 요소들이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협진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환자평가표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환자평가표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수행되는 협진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개념적인 동작 구조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고혈압 중재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당뇨 중재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심부전 중재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수행되는 협진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개념적인 동작 구조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충족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은 요양병원, 장기요양시설 및 관련 의료기관 및/또는 보건복지부의 진료정보교류 시스템에서 보관하는 진료정보,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고령자 협진서비스(이하, 협진서비스)에 등록한 노인환자의 시스템 등록정보를 생성해 누적형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은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내 노인환자의 시스템 등록정보에 기초하여 시스템 사용자에게 협진 이력 조회, 노인포괄평가 서비스, 또는 중재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협진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진료정보교류 서버(10); 의료기관(20); 요양병원(30); 및 구성(10, 20, 30)과 통신하는 플랫폼 서버(10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1)은,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 및/또는 플랫폼 서버(100)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장치(200 또는 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0 또는 300)는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 및/또는 각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 내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요양병원의 의사, 요양병원의 의료인, 요양원 의료인 및 요양원 관련 촉탁의, 병원 의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은 서로 분리되거나, 데이터의 직접적인 교류가 제한되는 내부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1)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은 데이터 처리 능력이 구비된 하드웨어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운용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장치”,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가능한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진료정보교류 서버(10)는 진료기록 전송지원 시스템, 예컨대 보건복지부 산하 사회보장정보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진료기록 전송지원 시스템으로서, 구성요소(20, 30, 100)는 상기 서버(10)와 연계하여 진료정보를 교류하도록 구성된다.
의료기관(20) 및 요양병원(30)은 의료서비스를 환자에게 공급하는 의료공급자이다.
의료기관(20)은 (예컨대, 개인병원, 중소병원 등과 같은) 1, 2차 병원 및/또는 (예컨대, 종합병원, 대학병원 등과 같은), 3차 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노인환자는 의료기관(20)에서 노인환자에 대한 진료, 검사, 처방 등의 특유한 의료서비스를 경험한다.
요양병원(30)은 노인환자를 케어하는 기관으로서 전술한 의료기관(20)과 구별되는 기관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요양병원(30)은 병원에 제한되지 않으며, 노인환자가 실생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며, 상주하는 의사 또는 촉탁의, 또는 이러한 의사를 제외한 기타 의료인에 의해 진료와 같은 의료기관(20)의 의료서비스 중 일부를 경험하는 모든 기관 - 의료 기관을 제외한 기관 - 을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요양병원(30)은 장기요양시설(예컨대, 요양원)과 장기요양시설 관련 촉탁의 의원을 포함하도록 지칭될 수 있다.
의료기관(20) 및 요양병원(30)은 환자를 진료하고 진료에 따라 발생한 비용을 청구명세서로 작성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청구한 뒤 심사를 통해 급여 대상으로 인정된 부분에 대하여 보험금을 지급받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제출되는 서류는 비용 이외에 비용이 발생한 진료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포함한다. 의료기관(20) 및 요양병원(30)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제출하는 진료 관련 정보의 데이터는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어 진료정보교류 서버(10)로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은 진료기록 요약지(CRS, Care Record Summary)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MR 시스템은 의사 또는 의료진에 의해 작성된 CRS 기록 내 진료 관련 정보를 입력기기를 통해 획득하여 상기 CRS 기록에 연관된 CRS 데이터를 생성한다.
CRS는 해당 기관에서 노인환자를 진료한 결과를 기록한 자료로서, 하나 이상의 진료내역, 각 진료내역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 및 각 세부항목에 대한 진료 결과를 포함한다. CRS 및 CRS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CRS의 정보 입력은 각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의 클라이언트 장치들(200 또는 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200 또는 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computing device)로서,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CRS에 기초한 CDA 파일 생성
의료기관(20) 및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은 환자의 지속적인 치료경과를 통합하여 타병원에 제공하기 위해서 CRS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CRS 데이터는 반복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도 1의 시스템(1)에서 상기 의료기관(20) 및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은 2017년 1월 1일부로 제정된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보건복지부의 표준 고시의 지침에 따라 설계된다.
상기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보건복지부의 표준 고시는 타 기관과의 협진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표준 고시의 지침에 따른 EMR 시스템은 진료기록 요약지(CRS, Care Record Summary)를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 서식으로 데이터화한다. 즉, 도 1의 EMR 시스템은 CRS 데이터로 이루어진 CDA 파일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은 CDA 구조화 모델을 저장하고, 상기 CDA 구조화 모델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CDA 파일을 생성한다. 상기 CDA 구조화 모델은 CRS 항목에 대응하는 CDA 코드를 이용하여 CDA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CDA 파일은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구성되며, 헤더는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바디는 노인환자의 다양한 진료정보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비-진료적인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로서, 진료정보의 전송을 위한 헤더 성격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는 발송자(예컨대, 보내는 병원/진료과/의사), 수신자(예컨대, 도착지 병원/진료과/의사), 환자 ID 등의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료정보는 CRS의 항목 및 항목에 대한 결과를 포함한다.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CRS 항목을 포함한 CRS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항목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노인환자의 CDA 파일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CRS의 항목은 진단내역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항목, 처방내역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항목, 검체검사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항목, 생체신호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항목, 기타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내역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항목은 진단 일자, 상병명 및 상병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처방내역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항목은 처방일자, 처방 약품명, 처방약품코드, 처방용량, 처방횟수, 투여기간, 투여용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검체검사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항목은 검사일자, 검사 항목명, 검사결과 수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생체신호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항목은 측정일자, 키, 몸무게, 체온, 혈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기타 항목들은 병리검사 결과, 영상검사 결과, 기능검사 결과, 수술내역, 알러지 및 부작용, 예방접종 내역, 흡연상태, 음주상태, 법정전염성감염병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관련된 세부 항목들을 포함한다.
상기 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 항목들의 텍스트(예컨대, 명칭)는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정보원의 보건의료용어표준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항목들 중 다른 항목들은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문자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체검사 항목의 세부 항목인 검사명의 명칭은 문자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결과는 진료 대상, 진료 날짜, 진료 유형, 측정치, 측정단위, 항목에 대한 답변 등을 포함한다. 상기 결과의 데이터는 문자열, 수치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CDA 구조화 모델은 CRS 인터페이스 내 CRS 항목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EMR 시스템에 수신되면, EMR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CRS 항목에 대응하는 CDA 코드와 연관시켜 진료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CDA 코드는 CDA 표준을 충족하는 코드로서,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해 지정된 코드, 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코드일 수 있다. 상기 CDA 코드는 예를 들어, EDI 코드, KD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CDA 코드는 항목별로 상이한 코드 종류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DA 구조화 모델은 약처방 관련 입력에 대해서는 KD 코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CDA 구조화 모델은 검체검사 관련 입력에 대해서는 EDI 코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DA 구조화 모델은 CRS 항목과 CDA 코드 간의 CRS 항목과 CDA 코드 간의 연동 관계를 정의한 맵핑 테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맵핑 테이블에는 CRS 항목별로 CDA 코드가 각각 할당되고,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은 상기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CRS 항목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상기 CRS 항목에 대응하는 CDA 코드에 연관된 데이터로 결정하여, 진료정보를 포함한 환자의 CDA 파일을 생성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맵핑 테이블은 진료정보교류 참여 환자 진료기록에 사용되는, 제1 항목 세트 내 CRS 항목과 CDA 코드 간의 연동 관계를 포함한 제1 서브 테이블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항목 세트는 다음의 표에 포함된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20067749739-pat00001
여기서, R은 필수 항목, R2는 기관별/환자별 해당 사항이 있을 경우 필수 항목, O는 선택 항목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항목 세트에 포함되는 CRS 항목들은 종래에 의료기관에서 작성되었던 CRS 항목들이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테이블 내 CRS 항목은 혈당에 관한 항목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맵핑 테이블은 노인환자에 대한 협진서비스를 위해 추가로 사용되는, 제2 항목 세트 내 CRS 항목과 CDA 코드 간의 연동 관계를 포함한 제2 서브 테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서브 테이블은 CRS 항목이 아닌 (즉, 종래의 CRS에 포함되지 않았던) 추가 항목과 CDA 코드 간의 연동 관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항목 세트은, 글루코오스(Glucos) 반정량, 맥박(또는 심박수), 당화혈색소(HbA1c),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G, HDL, LD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서브 테이블은 글루코스(Glucos) 반정량에 대응하는 EDI 코드(D3021)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추가 항목은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CDA 코드로 나타낼 수 있는 항목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CDA 구조화 모델에 의해, 진단내역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입력 데이터로부터 진단 정보가 생성되고, 검체검사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입력 데이터로부터 검사 정보가 생성되며, 생체신호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입력 데이터로부터 생체정보가 생성된다.
시스템(1)에 연결된 기관들에서 활용되는 CRS 항목들의 명칭의 적어도 일부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CRS 항목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진료 항목을 의미하지만 명칭이 상이하거나, 또는 일부 기관들은 특정 항목(예컨대, 제2 항목 세트 내 항목들)을 포함하지만, 다른 기관들은 상기 특정 항목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혈당과 관련된 항목은 의료기관(20)의 진료기록 요약지CRS에 포함되지 않고, 요양병원(30)의 진료기록 요약지CRS에만 포함되는 것과 같이, 의료기관(20)의 진료기록 요약지CRS의 항목과 요양병원(30)의 진료기록 요약지CRS의 항목은 일부가 상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CDA 구조화 모델은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별로 동일한 CDA 코드에 대응하는 항목이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CDA 코드는 제1 기관(예컨대, 의료기관(20))의 CDA 코드가 제2 기관(예컨대, 요양병원(30))의 CDA 코드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또는 제1 기관(예컨대, 의료기관(20))의 CDA 코드의 문자열이 제2 기관(예컨대, 요양병원(30))의 CDA 코드의 문자열을 포함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 거점병원과 요양병원의 CDA 구조화 모델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CDA 구조화 모델은 다음의 표에 포함된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시스템 임상정보에 포함될 의료정보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20067749739-pat00002
Figure 112020067749739-pat00003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진료 항목(예컨대, total cholesterol)에 대해서 각 병원의 CRS 항목의 명칭이 상이하지만, CDA 코드는 동일 범주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각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은 노인환자의 진료정보를 포함한, 노인환자의 CDA 파일을 생성하여 진료정보교류 서버(10)로 전송한다.
진로정보교류 서버10에서 수신한 상기 노인환자의 CDA 파일은 진료 수가 계산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진료정보교류 서버(10)는 플랫폼 서버(100)로 노인환자의 CDA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요양병원의 환자평가표에 기초한 노인포괄평가 정보
전통적으로 요양병원(30)은 수가의 청구를 위해서 입원 시, 그리고 입원 도중 매달 환자평가표를 작성해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제출한다.
상기 시스템(1)에서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데이터 형식인 SAM(Sequential Access Method) 파일 형태로 환자평가표 데이터를 생성하고 플랫폼 서버(10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SAM파일은 플랫폼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WebAPI를 통해 요양병원(30)의 EMR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다.
환자평가표는 일반사항, 의식상태, 인지기능, 신체기능, 배설기능, 질병진단, 건강상태, 구강/영양 상태, 피부상태, 처방, 그리고 특수처치 및 전문재활 치료의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환자평가표 데이터는 각 항목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플랫폼 서버(100)로 전송된 SAM 파일의 환자평가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인포괄평가 기초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요양병원(30)의 EMR 에서 전송한 SAM 파일에 포함된 환자평가표 데이터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환자평가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플랫폼 서버(100)는 수신한 환자평가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자평가표의 항목 및 이에 대한 입력으로 이루어진 도 2a 내지 도 2e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환자평가표에 관한 정보가 도 2a 내지 도 2e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될 수도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를 요양병원(30)의 의료진에게 제공하여 노인포괄평가를 수행하게 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인포괄평가의 항목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는 요양병원(30)의 의료진이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장치(300)에서 구현되며, 의료진과 상호작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노인포괄평가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는 요양병원 명칭, 노인환자 성명, 환자 ID, 나이, 성별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a 내지 도 2e의 인터페이스는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에 일부로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는 환자평가표 확인을 위한 환자평가표 섹션 및 노인포괄평가를 위한 추가적인 평가정보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포괄평가 섹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여 포괄적 노인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환자평가표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노인포괄평가 섹션은 노인에게서 자주 발생하며, 기능감소, 질병부담,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질병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큰 질병들은, 예를 들어 심혈관 질환(예컨대, 심근경색, 관상동맥재개통술, 불완전협심증), 심방세동, 심부전, 치매, 우울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인포괄평가 섹션은, 도 3a에 도시된, 노인의 노쇠상태를 전문의료인력 또는 평가기구 없이 질문/답변으로 평가하는 “노쇠평가 설문”의 항목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노인의 일상생활을 보다 정량적인 점수로 평가하는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항목들, 그리고 도3c에 도시된, 일상생활 수행 보다 고차원 적인 기능을 평가하는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 능력”의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노인포괄평가 데이터를 생성한다.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구축
플랫폼 서버(100)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객관화된 정보로서 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임상정보는 해당 노인환자에 대하여 다수의 병원(10 또는 20)에서 획득된 다양한 의료정보를 통합한 정보로서, 기관(10 또는20) 간의 협진, 및/또는 병원(10 또는 20) 내 의료진 간의 협진을 위한 기준 정보로 활용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100)는 데이터 수집부(110) 및 데이터 처리부(130)를 포함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예컨대, 데이터 수집부(110)에 의해) 구성요소(20, 30, 200, 또는 300)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한 경우, 등록 대상 노인환자에 대한 SAM 파일 또는 CDA 파일을 획득하여 등록 대상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시스템(1)에 노인환자가 등록되면, 등록된 노인환자에 대한 정보들이 플랫폼 서버(100)에 의해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는 대량의 정형, 비정형 또는 반정형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하며, 정형 데이터는 고정된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로서, 예컨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스프레드쉬트 등이 있다. 또한, 비정형 데이터는 고정된 필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데이터로서, 예컨대, 텍스트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성 데이터 등이 있다. 또한, 반정형 데이터는 고정된 필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지만 메타데이터나 스키마를 포함하는 데이터로서, 예컨대, XML, HTML, 텍스트 등이 있다.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는 노인환자별로 그룹화된 데이터 서브 세트로 이루어진다. 각 노인환자별 데이터 서브 세트는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로 지칭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는 의료정보, 노인포괄평가정보, 및 시스템 이용정보를 포함한다. 각 노인환자별 데이터 서브 세트는 노인포괄평가 정보 데이터, 의료정보 데이터 및 시스템 이용정보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100)는 진료정보교류 서버(10)로부터 노인환자의 CDA 파일을 획득한다(S410).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100)는 진료정보교류 서버(10)에 노인환자의 CDA 파일을 요청한다. 상기 요청은 노인환자 식별정보 및 플랫폼 서버(100)의 네트워크 주소 등을 포함한다. 상기 노인환자의 식별정보는, 예를 들어, 환자의 성명, 주민번호, 차량번호, 요양기관 환자번호, 의료보험번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진료정보교류 서버(10)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노인환자를 검색하고 노인환자의 CDA 파일을 플랫폼 서버(1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100)는 CDA 코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의료정보의 항목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의료정보의 항목에 대한 진료결과를 획득한다. 상기 진료결과는 CDA 파일 내 진료정보를 포함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CDA 코드에 기초하여 해당 CDA 코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미리 저장된 의료정보 항목을 결정한다. 다시 표 2를 참조하면, 기관별로 동일한 CDA 코드에 대해서 CRS 항목 명칭이 상이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CDA 코드에 기초하여 기관별로 상이할 수 있는 CRS 항목을 미리 저장된 의료정보 항목으로 통합하여 기관별 데이터를 표준화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랫폼 서버(100)는 의료정보 항목들과 CDA 코드 사이의 관계를 포함한 협진 테이블을 이용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협진 테이블은 플랫폼 서버(100)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협진 테이블은 플랫폼 서버(100) 외부(예컨대, 데이터베이스 서버(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은 제1 서브 테이블 및 제2 서브 테이블을 포함한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CDA 파일을 생성한다. 이로 인해, 플랫폼 서버(100)는 CRS 내 진료정보 항목 중 적어도 일부를 시스템 의료정보의 항목으로 가질 수 있어, 결국 플랫폼 서버(100)가 획득하는 데이터는 종래의 개별 기관의 CRS 항목의 데이터 보다 더 많은 유형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플랫폼 서버(100)는 표준고시의CRS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의료정보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CDA IG(Implementation Guide)에 기초하여 추가할 수 있다. 다양한 진료정보교류 프로세스의 추가에 따라 표준고시에 정의되지 않은 의료정보의 항목이 요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생체정보 내 심박수는 보건복지부의 표준 고시에서 직접적으로 매칭하는 CDA 섹션 및 항목이 존재한다. 반면, 상기 환자의 혈당 정보, 예컨대, 혈당측정치 등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매칭하는 CDA 섹션이나 항목은 존재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료기관(20)의 EMR에서 생성된 CDA 파일은 혈당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혈당정보는 원래 혈액검사 결과로서, CDA의 섹션 중 검사정보의 검체에 해당하는데, 의료기관(20)의 EMR 시스템에서는 혈당정보를 검사결과로 관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의료기관(20)의 EMR은 혈당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한다.
한편, 요양병원(30)의 EMR에서 생성된 CDA 파일은 혈당 관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양병원(30)의 진료기록 요약지(CRS)는 혈당 관련 항목으로서, 당검사 항목으로 분류되는 글루코스(Gluecos) 반정량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루코스 반정량 항목은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에서 간이 측정기를 통해서 관리하는 혈당을 표시하는 수가 코드로서, 요양병원(30)의 진료기록 요약지(CRS)에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면, 요양병원(30)의 ERM 시스템이 생성한 CDA 파일은 글루코스 반정량을 나타내는 CDA 코드(예컨대, EDI 코드(D3021)) 및 해당 CDA 코드에 연관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CDA 코드에 연관된 데이터는 혈당치, 혈당치 단위, 측정일자 등을 포함한 혈당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진료정보 내 검사정보에서 글루코스(Gluecos) 반정량을 나타낸 CDA 코드 및 이에 연관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시스템 의료정보가 혈당 정보의 항목을 갖도록 결정하고, 상기 연관된 데이터를 환자의 혈당 수치로 결정한다. 이로 인해, 시스템 임상정보는 상기 혈당 수치를 갖는 의료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으로부터 노인환자의 환자평가표 데이터를 SAM 파일형태로 획득한다(S430).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은 노인환자 식별자 및 플랫폼 서버(100)의 네트워크 주소 등을 포함하여 노인환자의 SAM 파일을 플랫폼 서버(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플랫폼 서버(100)는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으로부터 SAM 파일로 이루어진 노인환자의 환자평가표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랫폼 서버(100)가 획득한 SAM 파일은 도 2의 환자평가표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자평가표 데이터는 평가 항목에 대한 노인환자의 평가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집부(110)는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SAM 파일을 수신하고, SAM 파일의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노인환자의 환자평가표 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RESTFul, HTTP, SOAP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플랫폼 서버(100)는 (예컨대, 데이터 처리부(130)에 의해) CDA 파일 및/또는 SAM 파일에 기초하여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한다.
데이터 처리부(130)는 SAM 파일로 수신한 환자평가표 데이터를 기초로 노인포괄평가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환자평가표의 기초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단명, 질병정보, 기능평가 등의 추가적인 평가를 통해 노인포괄평가를 완성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30)는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노인포괄평가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전술한 추가 평가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인포괄평가 데이터에는 노인환자에 대한 환자분류, 진단명, 기능정보, 재활 관련 평가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30)는 CDA 파일에서 진료정보를 추출한다.
데이터 처리부(130)는 노인환자의 시스템 의료정보 및/또는 노인포괄평가정보에 기초하여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노인환자가 협진서비스에 등록될 당시 최초 임상정보는 노인포괄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등록 이후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 기능평가, 약재평가, 진료이력 등은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된다.
등록 이후 사용 양태에 따라 등록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는 업데이트될 수 있고, 추가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S470).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가 데이터는 시스템 이용정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이용정보에는 중재 서비스를 처음 이용하는지, 특정 중재 서비스를 이용했는지 여부 등과 같은 내역 정보, 및/또는 자동 협진 요청의 온(on)/오프(off) 등의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S470). 상기 시스템 이용정보는 아래의 도 5 또는 도 9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장치(200 또는 300)를 통해 노인환자에 대하여 협진서비스 등이 제공될 경우, 업데이트된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환자에 대한 CDA 파일을 규칙적이거나, 또는 불규칙적인 하나 이상의 기간마다 진료정보교류 서버(10)에서 검색하여 노인환자의 임상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환자에 대한 노인포괄평가 정보를 규칙적이거나, 또는 불규칙적인 하나 이상의 기간마다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노인환자의 임상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업데이트를 위한 노인포괄평가 정보의 전송은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에 수신되는 입력에 반응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어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은 수가 산정을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매달 SAM 파일 형식의 환자평가표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러면,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은 매달 환자평가표 데이터에 기초한 SAM 파일을 생성하고, 플랫폼 서버(100)에 생성된 SAM 파일을 전송하여, 노인환자의 임상정보 중 일부,(예컨대, 노인포괄평가 정보)가 플랫폼 서버(100)에 매달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여기서, 환자평가표에 기초한 SAM 파일은 SAM 파일 형태로 이루어진 환자평가표를 포함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환자의 등록 데이터에 기초하여, 협진서비스 또는 중재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 협진 서비스 및 중재 서비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장치(200 또는 300)와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장치(200 또는 300)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한 경우, 서비스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장치(200 또는 300)의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서비스는 노인환자가 특정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노인환자가 특정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 자동으로 중재 서비스가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기관의 의사-의료인 간의 협진 솔루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의료인 중재 솔루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협진 솔루션 애플리케이션은 노인환자의 협진을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고, 중재 솔루션 애플리케이션은 노인환자의 중재를 위한 동작들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개념적인 동작 구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플랫폼 서버(100)에 저장된 요양병원(30)의 노인환자 목록에 액세스하고, 목록 내 노인환자 조회, 등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플랫폼 서버(100)는 요양병원(30)의 EMR 시스템에 등록된 노인환자 목록을 획득하여 클라이언트 장치(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장치(300)를 통해 도 3의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플랫폼 서버(100)에 의해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의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노인포괄평가 데이터가 생성된다.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환자 정보를 조회할 경우, 플랫폼 서버(100)에 저장된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에 액세스하여 기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노인환자에 대해 기 저장된 다양한 정보는 노인포괄평가 결과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예서,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플랫폼 서버(100)에 연결된 다른 외부기관(예컨대, 의료기관(20))으로 협진 요청을 전송하여 협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협진 요청은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협진 요청은 클라이언트 장치(300)가 요청한 중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상기 시스템(1)에서 클라이언트 장치(300)가 협진 요청을 전송하여 협진과 관련된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노인환자의 시스템 이용정보 내 협진내역은 업데이트된다. 업데이트된 협진내역은 협진 내역 조회를 통해 확인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생체정보 조회, 진단내역 조회, 처방내역 조회, 또는 기타 CRS 내역 조회와 같이,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 내 시스템 의료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중재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플랫폼 서버(100)로 중재서비스 제공 요청을 전송하고, 중재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한 플랫폼 서버(100)는 시스템 임상정보에 기초하여 중재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중재서비스에 사용되는 임상정보 내 데이터는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의 EMR에 의해 각각 생성된 진료정보(예컨대, CDA 파일) 또는 요양병원(30)의 EMR에 의해 생성된 환자평가표 정보(예컨대, SAM 파일의 환자평가표 정보)에 종합적으로 기초하여 수행된다.
클라이언트 장치(300)로부터 중재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플랫폼 서버(100)는 (예컨대, 데이터 처리부(130)에 의해) 중재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중재서비스를 제공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중재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구성된 중재 모델을 미리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질환별로 하나 이상의 중재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중재 모델에 적용하여 중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중재의 과정들을 표시하여 해당 과정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중재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중재 인터페이스의 항목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중재서비스의 프로세스(들)가 진행될 수 있다.
중재 모델 내 프로세스는 시스템 임상정보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의 단계들(또는 서브 단계들)은 시스템 임상정보 내 시스템 의료정보만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시스템 임상정보 내 포괄평가정보만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시스템 임상정보 내 시스템 의료정보, 포괄평가정보 또는 시스템 이용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단계들은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중재서비스는 동일한 질병인 경우에도 요청 시기, 이전 요청 여부, 이전 중재서비스 결과 등에 기초하여 상이한 과정들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재 모델은 동일 질환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우선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한 이후에 노인환자의 건강상태, 치료결과 등에 기초하여 다음 프로세스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중재 주기 도중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 프로세스는 상이한 단계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중재 프로세스는 고혈압, 당뇨, 및 심부전 중 하나 이상의 질병에 대한 중재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플랫폼 서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재 모델을 질환별로 가질 수 있다.
고혈압 중재 모델은 고혈압 관련 약제가 처방된 노인환자가 부작용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중재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고혈압 중재 모델은 하나 이상의 중재 주기별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고혈압 중재 모델에 포함된 프로세스는 시스템 임상정보로 미리 수집된 진료정보(예컨대, 약물 처방정보 등)에 기초하여 노인환자의 혈압이 목표 혈압 보다 높다고 판단하고, 노인환자의 상태가 제1 고혈압 치료 부작용 기준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혈압이 미리 지정된 고혈압 범위 보다 낮은 경우, 노인환자의 상태가 제2 고혈압 치료 부작용 기준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제1 또는 제2 고혈압 치료 부작용 기준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다른 기관(예컨대, 의료기관(20))에 협진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고혈압 중재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100)의 고혈압 중재 모델은 제1 중재 주기(예컨대, 4주) 동안의 중재 대상의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도 6a의 제1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제1 프로세스에 따른 고혈압 중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의 고혈압 중재 모델은 제1 프로세스의 진행 이후 대상의 노인환자에 대하여 제2 중재 주기(예컨대, 4주) 동안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도 6b의 제2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제2 프로세스에 따른 고혈압 중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제2 프로세스의 진행 이후 대상의 노인환자에 대하여 제3 중재 주기(예컨대, 4주) 동안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도 6c의 제3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제3 프로세스에 따른 고혈압 중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6a의 제1 프로세스는: 혈압 조절을 가이드하는 단계(S610); 고혈압 약물 처방 기록에 기초하여 약제를 권고하는 단계(S620); 및 대상의 노인환자의 혈압이 임계치 보다 낮은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30)를 포함한다.
단계(S610 내지 S630)에서 대부분의 서브 단계들은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내에 미리 저장된 시스템 임상정보(즉, 시스템 의료정보 또는 노인포괄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플랫폼 서버(100)에 의해 다음 서브 단계로 진행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포괄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포괄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노인환자가 약제를 분쇄하여 복용해야 하는 컨디션이면서 (예를들어 경관 식이중) 분쇄불가 약제가 처방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시스템 의료정보 내 처방 정보 등이 분쇄불가 약제를 포함하는 경우 “약제 변경 고려”를 클라이언트 장치(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시스템 의료정보(예컨대, 처방정보 등)에 기초하여 노인환자의 고혈압 약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진료정보로부터 획득된 시스템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노인환자가 분쇄불가 약제가 처방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시스템 의료정보 내 처방 정보 등이 분쇄불가 약제를 포함하는 경우 “약제 변경 고려”를 클라이언트 장치(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시스템 의료정보 (예컨대, 처방정보 등)에 기초하여 협진 요청을 다른 의료기관(예컨대, 의료기관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620)에서 노인부적절약제로 지정된 약제가 처방되었다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사용자에게 특정 안내를 제공하고 플랫폼 서버(100)가 다른 기관(예컨대, 의료기관(20))으로 협진을 요청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시스템 의료정보 및 시스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서브 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자동 협진 요청”이 온(on)/오프(off) 되어있는지 시스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다음 서브 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특정 서브 단계는 클라이언트 장치(300)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하여 시스템 임상정보 이외의 노인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다음 서브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단계(S620)에서 노인환자가 이전에 없는 하지부종 또는 호흡곤란을 새롭게 가지고 있는지 여부는 클라이언트 장치(300)가 해당 문진 항목을 표시하여 사용자 입력을 유도함으로써 결정된다. 하지부종 또는 호흡곤란의 발생에 동의하는 사용자 입력이 클라이언트 장치(300)에 입력되면, 플랫폼 서버(100)는 “이뇨제로 채액량 조절 고려”의 안내를 클라이언트 장치(3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S630)에서 플랫폼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측정 혈압치에 기초하여 노인환자의 혈압이 임계치 보다 낮은지 판단하고, 임계치 보다 낮은 경우 노인환자의 혈압이 지나치게 낮다고 판단하여 고혈압 치료의 부작용 여부를 확인하는 제2 프로세스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한다.
제2 프로세스는: 치료 부작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640), 약제 관련 모니터링을 진행하는 단계(S650), 생활 습관을 교정하게 하는 단계(S660)를 포함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시스템 의료정보(예컨대, 투약정보 등)에 기초하여 노인환자의 고혈압 치료 부작용 또는 약물 모니터링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640)에서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환자의 등록 시 기립성 저혈압에 대한 평가 기록의 입력을 획득하고, 기립성저혈압이 있다고 평가된 노인환자에게는 향후 피해야 하는 약제 및/또는 생활 습관 개선에 대한 안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단계(S650)에서 플랫폼 서버(100)는 시스템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노인환자가 ARB, ACEi, 또는 길항제 등을 복용하는지 판단하여 다음 서브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S640)에서 특정 서브 단계는 클라이언트 장치(300)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함으로써 다음 서브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노인환자가 기립 가능한지 여부는 클라이언트 장치(300)가 해당 문진 항목을 표시하여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여 결정된다. 기립 가능하다는 사용자 입력이 클라이언트 장치(300)에 입력되면, 플랫폼 서버(100)는 중재서비스가 처음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300)가 노인환자가 기립한 상태에서의 혈압의 측정을 유도하여 기립 혈압 측정치를 입력받으면, 플랫폼 서버(100)는 기립 상태의 혈압과 누운 상태의 혈압의 차이에 기초하여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혈압은 수축기혈압 또는 이완기 혈압일 수 있다. 시스템 내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기립성저혈압이 있다고 평가된 고령자는 향후 피해야 하는 약제 및 생활 습관 개선에 대한 안내를 제공한다.
제3 프로세스는 협진을 요청하는 단계(S67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20)의 EMR로부터 획득된, 시스템 임상정보(예컨대, 검사정보)에 포함된 상기 노인환자의 혈중 나트륨 또는 칼륨 관련 정보(예컨대, 나트륨 또는 칼륨 검사 내역 또는 수치)에 기초하여 기준치 이상 및 이하인 경우 약제 조정과 관련된 안내를 제공하고 협진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제1 내지 제3 프로세스들의 단계들(S610 내지 S670)을 표시하여 각 단계들(또는 하위 단계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중재서비스의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당뇨 중재서비스의 흐름도이다.
플랫폼 서버(100)의 당뇨 중재 모델 또한 도 6의 고혈압 중재 모델과 유사하게 복수의 중재 주기별로 복수의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100)의 당뇨 중재 모델은 제1 중재 주기(예컨대, 4주) 동안의 중재 대상의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도 7a의 제1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제1 프로세스에 따른 당뇨 중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의 당뇨 중재 모델은 제1 프로세스의 진행 이후 대상의 노인환자에 대하여 제2 중재 주기(예컨대, 4주) 동안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도 7b의 제2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제2 프로세스에 따른 당뇨 중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7a의 제1 프로세스는: 당뇨 관련 약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710); 상기 노인환자의 혈당 조절을 가이드하는 단계(S720);를 포함한다. 도7b의 제2 프로세스는: 당뇨의 합병증 또는 동반질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730) 및 생활습관 교정 지원 단계(S740)를 포함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포괄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단계(S730)에서 노인포괄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노인환자가 관삭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말초혈관질환의 환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하는 경우 동반질환 (고지혈증) 과 관련된 약제 처방 여부를 확인 하고, 약제가 처방되고 있는 경우에는 고지혈증 관련 혈액 검사를 시행 하였는지 확인하여 시행하지 않은 경우 검사 시행을 권고하는 안내를 제공 하고, 약제가 처방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고지혈증 관련 약제 처방을 권고하는 안내를 제공하며 다음 서브 단계를 진행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시스템 의료정보(예컨대, 처방정보 등)에 기초하여 서브 단계들의 진행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시스템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인슐린 사용여부를 판단하고, 인슐린 사용과 관련된 서브 단계들(예컨대, 일주일 측정 혈당치와 임계치 간의 비교 등)를 진행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환자의 당뇨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단계(S710)에서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노인환자가 약제를 분쇄하여 복용 해야하는 컨디션이면서 (예를들어 경관 식이중) 분쇄불가 약제가 처방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진료정보 내 처방 정보 등이 분쇄불가 약제를 포함하는 경우 분쇄가능 약제로 변경 하도록 권고안내를 제공하며 다음 서브 단계를 진행한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단계(S720)에서 진료정보의 계산된 사구체 여과율 값에 기초하여 다음에 수행될 서브 단계를 결정하고 중재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진료정보(예컨대, 검사정보 등)에 기초하여 협진 요청을 다른 의료기관(예컨대, 의료기관(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720)에서 플랫폼 서버(100)는 최근 3개월 이내 크레아티닌 혈액 검사가 있었는지를 진료정보(예컨대, 검사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검사 결과가 없는 경우 검사 시행을 추천하는 안내를 제공하며 다음 서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진료정보, 노인포괄평가정보 또는 시스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협진 오프(off) 여부를 판단하고 “협진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심부전 중재서비스의 흐름도이다.
플랫폼 서버(100)의 심부전 중재 모델 또한 도 6의 고혈압 중재 모델과 유사하게 복수의 중재 주기별로 복수의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100)의 심부전 중재 모델은 제1 중재 주기(예컨대, 2주) 동안의 중재 대상의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도 8a의 제1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제1 프로세스에 따른 심부전 중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의 심부전 중재 모델은 제1 프로세스의 진행 이후 대상의 노인환자에 대하여 제2 중재 주기(예컨대, 2주) 동안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도 8b의 제2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제2 프로세스에 따른 심부전 중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8a의 제1 프로세스는: 심부전 관련 증상 및 징후 확인 단계(S810); 심부전 관리를 위해 약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830)를 포함한다. 도8b의 제2 프로세스는: 상기 노인환자의 심부전 상태가 급성으로 악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가이드 단계(S85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예서, 제2 프로세스는: 가이드(S850) 이전에 협진 요청을 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포괄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단계(S820)에서 노인포괄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노인환자가 경관식이 환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음 서브 단계를 진행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진료정보(예컨대, 처방정보, 검사정보 등)에 기초하여 서브 단계들의 진행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단계(S820)에서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안지오텐신수용체 차단제(ARB,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CEi, 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혹은 베타차단제 (BB, Beta-Blocker)가 처방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처방되지 않은 경우 처방을 권고하는 안내를 제공하며 다음 서브 단계를 진행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노인환자의 당뇨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단계(S820)에서 최근 혈액 검사 내 크레아티닌 수치와 이전 크레아티닌 수치를 비교하여 소정 임계치 이상의 변화량이 발생했는지 판단하고, “탈수 확인, 약제 용량 조절, 중단 권고”의 안내를 클라이언트 장치(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진료정보(예컨대, 검사정보 등)에 기초하여 협진 요청을 다른 의료기관(예컨대, 의료기관(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820)에서 혈중 칼륨, 크레아티닌 수치 및/또는 계산된 사구체 여과율의 측정치를 각각의 정해진 임계치와 비교하여 협진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진료정보, 포괄평가정보 또는 시스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협진 오프(off) 여부를 판단하고 “협진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시스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중재서비스의 실행이 처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음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한편, 특정 서브 단계는 클라이언트 장치(300)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함으로써 다음 서브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단계(S810)에서 클라이언트 장치(300)가 NYHA (뉴욕심장학회) 분류 문진을 표시하고, 문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여 NYHA 분류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체중 및/또는 ECG 검사 결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더 유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획득되면, 플랫폼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과 입력 직전의 결과를 비교하여 노인환자의 급성 악화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플랫폼 서버(100)는 해당 노인환자의 처방 내역을 확인하여 다음 처치를 권고 (예컨대, 이뇨제가 처방된 경우 증량을 권고하고 이뇨제가 처방되지 않은 경우 추가 처방을 권고)하하는 것을 포함한 다음 서브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6 내지 도 8의 단계들(또는 서브 단계들)의 구체적인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질환별 중재서비스의 단계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각 단계들(또는 하위 단계들)의 약제, 성분 수치, 측정치, 기간 등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노인환자에게 효율적인 중재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른 약제, 성분 수치, 측정치, 기간 등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고혈압 중재 모델의 단계(S610 또는 S630)에서 “최근 측정 10개 혈압 수축기혈압 평균”은 10번과 상이한 최근 측정 횟수(예컨대, 5번 등), 및/또는 다른 대표 값(예컨대, 중간 값, 최대값, 최빈값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단계(S630)에서 “임계치 값”은 100과 상이한 수치일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협진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개념적인 동작 구조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플랫폼 서버(100)에 등록된 노인환자 목록에 액세스하고, 목록 내 노인환자 조회, 등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일한 솔루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 클라이언트 장치(200 또는 300)는 연결된 의료기관(20) 또는 요양병원(30)의 성격에 기초하여 요청 가능한 서비스의 형태가 일부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클라이언트 장치(300)와 달리, 전술한 도 3 등의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지 않아 노인포괄평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입력되지 않는다.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동작은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스템(1)은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서술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및/또는 인쇄와 같은 출력 장치, 네트워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요양병원과 의료기관 간의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시스템(1)의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제품과 함께 구현되고, 이는 기술된 임의의 또는 모든 단계, 동작, 또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폰,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고 통합될 수도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대체적이고 특별한 목적의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공간, 및 네트워킹 구성요소(무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장치다.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와 호환되는 운영 체제, 애플 OS X 또는 iOS, 리눅스 배포판(Linux distribution), 또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OS와 같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신원확인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신원확인 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시스템에 있어서,
    노인 환자의 요양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 및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와 노인환자의 진료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연결된 진료정보교류 서버;
    상기 노인환자의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플랫폼 서버; 및
    상기 플랫폼 서버에 협진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양병원의 클라이언트 장치 및 의료기관의 클라이언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CDA 코드와 임상정보의 항목 사이의 관계를 포함한 협진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노인환자의 요양 기간 동안의 환자평가표에 기초한 SAM 파일을 상기 요양병원의 EMR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진료정보교류 서버로부터 상기 요양병원 및 의료기관의 진료기록 요약지(CRS)에 기초한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파일을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CDA 파일에서 상기 협진 테이블 내 CDA 코드에 기초하여 노인환자의 진료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SAM 파일을 파싱(parsing)하여 노인환자의 환자평가표 데이터를 추출하며, 환자평가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인환자의 노인포괄평가 정보를 생성하고, 추출된 진료정보 및 생성된 노인포괄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시스템에 있어서,
    노인 환자의 요양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 및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와 노인환자의 진료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연결된 진료정보교류 서버;
    상기 노인환자의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플랫폼 서버; 및
    상기 플랫폼 서버에 협진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양병원의 클라이언트 장치 및 의료기관의 클라이언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노인환자의 요양 기간 동안의 환자평가표에 기초한 SAM 파일을 상기 요양병원의 EMR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진료정보교류 서버로부터 상기 요양병원 및 의료기관의 진료기록 요약지(CRS)에 기초한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파일을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SAM 파일 및 CDA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CRS에는 노인환자의 처방정보, 검사정보 및 생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요양병원 및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은,
    CRS 항목에 대응하는 CDA 코드를 이용하여 CDA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CDA 구조화 모델에 기초하여 노인환자의 CDA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DA 파일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수가 청구를 위해 상기 진료정보교류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평가표는, 노인환자의 의식상태, 인지기능, 배설기능, 질병진단, 구강 및 영양상태, 피부상태, 처방, 및 특수처치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는 노인포괄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노인포괄평가 인터페이스를 상기 요양병원의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제공하며,
    상기 노인포괄평가 정보는, 노인환자의 일상생활 평가, 신체기능 평가, 연하기능 평가에 관한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CDA 파일 내 검사정보에서 글루코스(Gluecos) 반정량을 나타낸 CDA 코드에 연관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글루코스 반정량을 나타낸 CRS 코드에 연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자의 혈당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AM 파일은 노인환자가 요양병원의 EMR 시스템에 등록될 경우, 또는 정액수가 청구를 위해 매월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프로세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중재 또는 협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노인환자의 요양 기간 동안의 환자평가표에 기초한 SAM 파일을 요양병원의 EMR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요양병원의 EMR 시스템 및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진료기록 요약지(CRS)에 기초한 노인환자의 CDA 파일을 진료정보교류 서버에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SAM 파일 및 CDA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SAM 파일 및 CDA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CDA 파일에서 CDA 코드에 기초하여 노인환자의 진료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SAM 파일을 파싱(parsing)하여 노인환자의 노인포괄평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진료정보 및 노인포괄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노인환자의 진료정보는 상기 CDA 코드와 임상정보의 항목 사이의 관계를 포함한 협진 테이블 내 CDA 코드에 기초하여 추출되는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DA 파일에서 CDA 코드에 기초하여 노인환자의 진료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CDA 파일 내 검사정보에서 글루코스(Gluecos) 반정량을 나타낸 CDA 코드에 연관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글루코스 반정량을 나타낸 CRS 코드에 연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자의 혈당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에 의해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제8항 또는 제10항에 따른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2. 시스템에 있어서,
    노인 환자의 요양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 및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와 노인환자의 진료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연결된 진료정보교류 서버;
    상기 노인환자의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플랫폼 서버; 및
    상기 플랫폼 서버에 협진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양병원의 클라이언트 장치 및 의료기관의 클라이언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CDA 코드와 임상정보의 항목 사이의 관계를 포함한 협진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노인환자의 요양 기간 동안의 환자평가표에 기초한 SAM 파일을 상기 요양병원의 EMR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진료정보교류 서버로부터 상기 요양병원 및 의료기관의 진료기록 요약지(CRS)에 기초한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파일을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CDA 파일에서 상기 협진 테이블 내 CDA 코드에 기초하여 노인환자의 진료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시스템에 있어서,
    노인 환자의 요양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 및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와 노인환자의 진료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연결된 진료정보교류 서버;
    상기 노인환자의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플랫폼 서버; 및
    상기 플랫폼 서버에 협진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양병원의 클라이언트 장치 및 의료기관의 클라이언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노인환자의 요양 기간 동안의 환자평가표에 기초한 SAM 파일을 상기 요양병원의 EMR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진료정보교류 서버로부터 상기 요양병원 및 의료기관의 진료기록 요약지(CRS)에 기초한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파일을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SAM 파일을 파싱(parsing)하여 노인환자의 환자평가표 데이터를 추출하며, 환자평가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인환자의 노인포괄평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노인포괄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노인환자의 시스템 임상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00080202A 2020-06-30 2020-06-30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272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202A KR102272805B1 (ko) 2020-06-30 2020-06-30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202A KR102272805B1 (ko) 2020-06-30 2020-06-30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805B1 true KR102272805B1 (ko) 2021-07-05

Family

ID=7689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202A KR102272805B1 (ko) 2020-06-30 2020-06-30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8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5991A (zh) * 2022-04-29 2022-09-09 北京神州视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动态二维码的住院患者医疗信息融合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6635A (ko) * 2003-11-06 2006-12-08 아츠시 마츠나가 의료 정보 전자화 시스템, 의료 정보 전자화 프로그램 및의료 정보 전자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독해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05642B1 (ko) 2006-09-20 2008-02-26 서울대학교병원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KR20130043698A (ko) * 2010-12-22 2013-05-0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진료의뢰 방법 및 진료되의뢰 방법
KR20190135691A (ko) * 2018-05-29 2019-12-09 (주)성민네트웍스 의료 emr 데이터를 이용한 병원 고객관리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6635A (ko) * 2003-11-06 2006-12-08 아츠시 마츠나가 의료 정보 전자화 시스템, 의료 정보 전자화 프로그램 및의료 정보 전자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독해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05642B1 (ko) 2006-09-20 2008-02-26 서울대학교병원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KR20130043698A (ko) * 2010-12-22 2013-05-0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진료의뢰 방법 및 진료되의뢰 방법
KR20190135691A (ko) * 2018-05-29 2019-12-09 (주)성민네트웍스 의료 emr 데이터를 이용한 병원 고객관리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5991A (zh) * 2022-04-29 2022-09-09 北京神州视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动态二维码的住院患者医疗信息融合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liams et al. Trends in atrial fibrillation incidence rates within an integrated health care delivery system, 2006 to 2018
Mitchell et al. Dying with advanced dementia in the nursing home
Vaccarino et al. Sex differences in mortality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hanges from 1994 to 2006
Lau et al. Hospitalization and death associated with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prescriptions among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Flaherty et al. Delirium is a serious and under-recognized problem: why assessment of mental status should be the sixth vital sign
Hartnett et al. Perceived barriers to diabetic eye care: qualitative study of patients and physicians
Gill et al. Change in disability after hospitalization or restricted activity in older persons
Zatzick et al. Associ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nd functional outcomes in adolescents followed up longitudinally after injury hospitalization
Richardson et al. Variation over time in the association between polypharmacy and mortality in the older population
Koopman et al. Continuity of care and recognition of diabetes, hypertension, and hypercholesterolemia
Califf Future of personalized cardiovascular medicine: JACC state-of-the-art review
US20150213194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Multi-Format Data Aggregation
Rantz et al. Improving nurse care coordination with technology
Gauthier et al. High prevalence of overweight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Practice Partner Research Network
Kannry et al. Personal health records: meaningful use, but for whom?
Şahin et al. Telemedicine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KR102268514B1 (ko) 중재 또는 협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Riggs et al. Home health care nursing visit intensity and heart failure patient outcomes
Adamson et al. Association between method of prescribing and primary nonadherence to dermatologic medication in an urban hospital population
Waldo et al. Outcomes among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t Veterans Affairs and community care hospitals
Oyedeji et al.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for adolescents and adults with sickle cell disease—it’sa long road
Olagbemide et al. Family support and medication adherence among adult type 2 diabetes: Any meeting point?
US93610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legacy patients clinical documents for open sharing
Shah et al. Sources of medication omissions among hospitalized older adults with polypharmacy
KR102272805B1 (ko)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