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642B1 -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 Google Patents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642B1
KR100805642B1 KR1020060128905A KR20060128905A KR100805642B1 KR 100805642 B1 KR100805642 B1 KR 100805642B1 KR 1020060128905 A KR1020060128905 A KR 1020060128905A KR 20060128905 A KR20060128905 A KR 20060128905A KR 100805642 B1 KR100805642 B1 KR 100805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gateway
document
cda
medical instit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흥식
이철희
변남수
차지은
임희숙
안현순
류세현
최명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이지케어텍(주)
주식회사 이수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이지케어텍(주), 주식회사 이수유비케어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료정보의 추출 및 저장이 반드시 의료기관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현 의료법 준수를 전제로 한, 환자의 진료정보를 병원간 전자적으로 전달 및 교류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의료기관 및 제2의료기관 간에 CDA 문서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양쪽 의료기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게이트웨이는, 제1의료기관에서 작성된 CDA 문서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제2게이트웨이가 수신한 상기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CDA 문서가 저장되어 있는 제1의료기관의 위치를 파악하여 CDA 문서를 요청하면, 상기 요청에 의해 검색된 문서를 제2게이트웨이를 통해 제2의료기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병원, 진료정보, 게이트웨이

Description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rchanging medical data between hospit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위의료기관과 하위의료기관 간의 진료정보 교류를 위한 시스템의 개요도.
도 2와 도 3은 도 1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기본 아키텍처 모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요소간 데이터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에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성의 예시도.
도 7은 하위의료기관에서 상위의료기관에 환자를 이관할 때의 정보 전송 흐름도.
도 8은 하위의료기관으로부터 의뢰된 환자를 상위의료기관에서 진료할 때에 의뢰서를 조회하고 회신서를 작성하는 업무의 흐름도.
도 9는 게이트웨이의 구성도.
도 10~12는 진료정보 교류 프로토콜의 예시도.
도 13은 상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의 데이터베이스 예시도.
도 14와 15는 표준 CDA 항목, 코드, 값을 도출하고 본 발명의 EMR의 서식 구조와의 매핑 규칙을 정의한 명세서의 일부 예시도로서, 도 14는 헤더(Header) 부분 의 예이고, 도 15는 본문(Body) 부분의 예.
도 16은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생성된 CDA 진료 문서의 예.
도 17은 의뢰 및 회신 CDA 문서(상호진료의뢰서) 전체를 표시하는 스타일시트의 일부(좌측)와 스타일시트의 적용예(우측).
도 18은 투약오더 내역을 표시하는 스타일시트의 일부(좌측)와 스타일시트의 적용예(우측).
도 19~29는 하위의료기관의 유저인터페이스 측면에서의 발명 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내는 화면캡처.
도 30~36은 상위의료기관의 유저인터페이스 측면에서의 발명 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내는 순서도 및 화면캡처.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상위의료기관(10), 하위의료기관(20), CDA 문서(12), 게이트웨이(15, 25), RTC 서버(27), 임상문서(40), 메타정보(50), 타기관(22, 30), CDA 관리자(40), 레지스트리 관리자(50), 메타정보관리 테이블(CDAMETA_MAIN)(71), 코드매핑 테이블(72, 73), 정보조회 관리 테이블(74), 정보전송 관리 테이블(75), CDANOTE_MAIN(76), 환자 목록(80), 협진의뢰 버튼(81), 진료실 및 요양기관의 정보(82), 받는 곳(83), 불러오기 버튼(84), 입력완료 버튼(88), 소견 텍스트박스(85), 미리보기 버튼(86), 전송 버튼(87), 과거기록창(89), 온라인 협진(90), 협진조회 버튼(90'), 받은문서(91), 보낸문서(92), 상호진료의뢰서(93), 회신하기 버튼(94), 받는 곳(95), 불러오기 버튼(96), 진료내용(97)
본 발명은 진료정보의 추출 및 저장이 반드시 의료기관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현 의료법 준수를 전제로 한, 환자의 진료정보를 병원간 전자적으로 전달 및 교류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진료정보의 교류는 전통적으로 하위의료기관(가령, 개인병원이나 중소병원 등의 1, 2차 의료기관)에서 상위의료기관(가령, 대학병원, 종합병원 등)으로 환자를 진료의뢰(transfer)할 경우에 필요하다. 가령, 개인병원에 방문한 환자의 진료를 종합병원에 의뢰할 경우에 진료정보의 교류가 필요하다. 물론, 종래에는 하위의료기관원에서 받은 진료정보를 환자가 지참하여 상위의료기관으로 가져가서 제시하는 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최근에 인터넷의 보급에 따라 이러한 경우에도 진료정보를 환자가 지참하는 대신에 하위의료기관과 상위의료기관 간에 온라인으로 직접 진료정보의 교류를 수행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현행 의료법상 진료정보의 저장 및 추출 등의 행위는 반드시 의료기관 내에서만 이루어져야만 한다. 예컨대, 비의료기관인 브로커 시스템에서 특정 병·의원의 진료정보를 저장하고 있거나 이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는 행위는 의료법 위반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환자의 진료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가장 흔 한 형태는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의 홈페이지를 통해서 진료정보를 제공하거나 진료를 의뢰한 병·의원(의사)이나 환자가 접속을 통해 진료정보를 조회하는 형식으로 수행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들의 단점은 보안에 취약하며 정보교류의 개념이 아닌 정보조회의 개념에 불과하므로 정보의 전달은 불가능하고 접속에 의한 조회만이 가능하다. 또한 병원간에 사용 장비의 기종이 모두 다른 경우에 효율적으로 진료정보 교환이 이루어지기는 매우 어려우며,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비가 필요한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서로 다른 기종의 장비를 갖는 병원간에 진료정보의 교류를 중계하면서도 현행 의료법에 위반되지 않는 시스템 및 프로세스를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료의뢰시 환자가 직접 진료정보를 손으로 들고 내원할 필요없이 전자적으로 전송하여 의뢰 병원의 EMR(전자의무기록, electronic medical record)에서 직접 조회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고, 환자의 진료의뢰시 의뢰한 병원에서의 환자진료정보를 오프라인 종이차트 출력물이나 CD 등의 매체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기술과 네트웍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의 진료이력을 전송받아 진료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용어의 정의>
브로커(Broker): 제1의료기관과 제2의료기관을 중계하는 자로서 병원간의 진료정보 교류를 수행하는 게이트웨이(gateway)의 비기술적인 용어임. 본 명세서에서는 실질적으로 각 의료기관(하위 및 상위 각각)에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서버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각 의료기관은 클라이언트가 된다.
클라이언트: 정보를 공유 내지는 교류하기로 사전 약정하여 상기 각 게이트웨이를 통해 정보 교환을 하는 상위 및 하위 의료기관을 의미함.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 병원내 환자의 진료기록
EHR(Electronic Health Record): 전자건강기록; 병원내외 환자의 건강/진료 기록
RTC(Realtime Communication): 실시간 통신장치; 게이트웨이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을 한데 묶어 진료정보 전송처리를 위한 실시간 네트워킹 기능을 하기 위한 인프라.
메타데이터(Metadata): 진료정보 데이터 자체가 아닌 진료정보 전송을 위한 헤더 성격의 데이터. 보내는 병원/진료과/의사/해당 게이트웨이, 도착지 병원/진료과/의사/해당 게이트웨이, 환자ID 등의 데이터를 포함.
CDA 문서: 진료정보 데이터를 표준형식으로 구조화한 문서로서 XML로 작성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기관 솔루션대 기관 솔루션의 진료정보중계를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1게이트웨이(브로커1)는 A라는 EMR을 사용하는 제1의료기관(들)을 관장하고 제2게이트웨이(브로커2)는 B라는 EMR을 사용하는 제2의료기관(들)을 관장하는 상호 독립적인 역할과 책임 모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제1의료기관 및 제2의료기관 간에 CDA 문서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양쪽 의료기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게이트웨이는 제1의료기관에서 작성된 CDA 문서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제2게이트웨이가 수신한 상기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CDA 문서가 저장되어 있는 제1의료기관의 위치를 파악하여 CDA 문서를 요청하면, 상기 요청에 의해 검색된 문서를 제2게이트웨이를 통해 제2의료기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게이트웨이는 제1의료기관에서 작성된 CDA 문서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제2게이트웨이가 수신한 상기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CDA 문서가 저장되어 있는 제1의료기관의 위치를 파악하여 CDA 문서를 요청하면, 상기 제1게이트웨이는 상기 요청에 의해 검색된 문서를 제2게이트웨이를 통해 제2의료기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의료기관 또는 제2의료기관과 해당 게이트웨이 사이에 RTC 서버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제2의료기관에서 제2게이트웨이를 통해 CDA 문서를 요청하면, 제1게이트웨이에서는 자신에 연결되어 있는 RTC 서버에 문서요청 메시지를 보내고, RTC 서버는 해당문서를 보관 중인 제1의료기관에 문서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 제1의료기관으로 하여금 해당 CDA 문서를 제2게이트웨이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의료기관 및 제2의료기관은 응급의료 대상환자의 진료정보를 CDA 문서화해서 보관하고 있는 응급의료 프록시서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환자의 응급사태 발생시에 응급의료기관 또는 구급차에서 상기 프록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진료정보를 다운로드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의료기관과 제1 및 제2게이트웨이간의 통신은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HTTP, TCP/IP 등의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는 제1의료기관 및 제2의료기관 간에 CDA 문서 전송이 일어날 경우에 이를 환자에게 알려주는 모바일 메시지(SMS) 또는 전자우편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는, CDA 형태로 문서를 저장, 관리하고, 메타데이터의 생성 및 공유정책 및 전송에 대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CDA 관리자와, 레지스트리(registry)의 시스템 관리 및 CDA 문서의 접근에 대한 사용자 로그, 문서전송 및 레퍼런스에 대한 로깅을 위한 레지스트리 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DA 관리자는 상대 의료기관으로부터 전송된 CDA 문서를 저장, 폐기 파 일보존에 대한 정책 및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파일관리자와, 수신된 CDA 문서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DB에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타데이터관리자와, 상대 의료기관과의 CDA 문서 송수신과 관련된 동작 및 타 게이트웨이 간의 메타데이터 정보교환에 대한 SOAP 통신기법을 정의하는 프로토콜 관리자를 포함하며, 상기 레지스트리 관리자는 CDA 문서 송수신과 관련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 행위를 관리하는 사용자 로깅 관리자와, CDA 문서가 얼마나 조회되었는지를 계수하며, 메타데이터 요청 및 응답과 관련된 인덱스를 관리하는 CDA 인덱싱 관리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CDA 문서는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별로 디자인된 다수의 스타일시트로서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에 각각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는 타 게이트웨이에 대해 디자인된 스타일시트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메타데이터에는 어느 한 게이트웨이에 있는 문서의 스타일이 변경된 경우에 이 사실을 설정하여 상대편 게이트웨이로부터 스타일 파일을 강제로 다운로드받게 하도록 하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DA 문서의 스타일시트는 제1의료기관에서 제2의료기관으로 환자 진료를 의뢰하는 진료의뢰서와, 진료의뢰를 받은 제2의료기관에서 제1의료기관으로 환자의 진료 결과를 회신하는 진료회신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내지는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가능한데,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기록매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개요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위의료기관(가령, 대학병원, 종합병원 등)과 하위의료기관(가령, 개인 또는 중소의원 또는 그 연합체 등) 간의 진료정보 교류를 통한 협진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상위의료기관(10)과 하위의료기관(20) 간의 의료문서, 즉 XML 형식의 CDA 문서(12)의 전달은 양쪽 기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웨이(15, 25)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의 시스템에서 상위의료기관(10)은 그 영역 내에 전용 게이트웨이(15)를 갖는 것이 가능하므로 타기관에서 의료문서를 상위의료기관(10)에 조회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종래의 웹서비스에서 이루어지는 호출 및 반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문서전달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하위의료기관(20)의 경우에는 다수의 기관이 외부에 위치하는 하나의 게이트웨이(25)에 온라인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의원에 관련된 문서는 해당 의원에서만 보관해야만 하는 현 의료법상, 특정 기관의 문서를 타 기관에서 조회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들과 게이트웨이(25)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RTC 서버(27)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이기종 솔루션 기반의 기관 간에 진료정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즉, 수직적 진료정보 교류, 예컨대, 하위의료기관의 데이터와 상위의료기관 데이터의 전송 및 공유). 물론, 단일 솔루션 기반의 기관 간에도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여 수평적 진료정보 교류를 이룰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시스템 구현을 위한 아키텍처>
도 1과 같은 시스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된 기본 아키텍처 모델을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아키텍처 모델은, 병원1에서 작성된 임상문서(진료의뢰서 등)는 진료정보교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중간의 브로커1로 전송되고, 브로커1은 임상문서(40)의 메타정보(50)를 분석하여 수신기관인 병원2의 게이트웨이인 브로커2로 임상문서(40)를 전송한다. 추후에 병원2를 방문한 환자의 요청과 동의에 따라 병원2의 담당자는 브로커2로부터 임상문서의 검색을 요청하게 되고, 검색된 문서는 병원2(클라이언트)로 전송되어 방문한 환자의 기존 임상문서를 조회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전송방식에서는 병원1에서 환자에게 진료의뢰와 임상문서 전송에 관한 사전동의를 얻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도 3에 나타낸 아키텍처 모델에 따르면, 병원1에서는 작성된 임상문서(진료의뢰서)(40)를 의료정보교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중간의 브로커1로 전송하고, 브로커1은 임상문서의 메타정보를 분석하여 송신기관과 수신기관의 정보 등을 포함한 메타정보(50)만을 브로커2로 전송한다. 추후에 병원2를 방문한 환자의 요청과 동의에 따라 병원2의 담당자가 브로커2로부터 임상문서를 검색하면, 메타정보(50)에 의해 문서(40)가 있는 위치가 분석되고 검색된 문서(40)는 웹서비스를 통해 브로커1로부터 브로커2와 병원2에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또는, 상대 브로커에 위치한 문서를 원격 조회(브라우저로) 하는 방법으로 문서를 요청한 병원2의 의사는 방문한 환자의 임상문서를 조회할 수가 있다.
이상의 두 가지 아키텍처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병원간 진료정보 교류를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체적 설명>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서 전제한 것과 같이,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는 데이터 요청(query)시의 프로세스 흐름을, 실선 화살표는 응신(return)시의 프로세스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진료정보교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병원1(20)에서는 전송할 임상문서(진료의뢰서)(40)의 송신기관 및 수신기관 정보 등을 포함한 메타데이터(50)를 중간의 브로커1(25)에 등록하고, 브로커1(25)은 전송된 메타데이터(50)를 수신기관(병원2(10))의 게이트웨이인 브로커2(15)에 전송한다. 추후에 병원2(10)를 방문한 환자의 요청과 동의에 따라 병원2(10)의 담당자는 브로커2(15)를 통해 임상문서(40)를 검색한다. 메타데이터(50)에 의해 문서가 있는 위치가 파악되면, 웹서비스를 통해 브로커1(25)과 병원1(20)에 있는 문서저장 서버에 문서를 요청한다. 검색된 문서(40)는 브로커1(25)과 브로커2(15), 그리고 병원2(10)에 순차적으로 전송되어 문서를 요청한 병원2(10)의 의사는 방문한 환자의 임상문서를 조회할 수가 있다.
한편, 응급진료 정보교류 내지는 공유를 꾀하기 위해서 상시 온라인 진료정보 교류 프록시서버를 각 의료기관에 구축된 EMR 시스템에 별도로 두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병원의 시스템이 닫혀있어도 진료정보의 다운로드가 가능하 다. 응급의료 프록시 서버에는 응급의료 대상환자의 진료정보를 CDA 문서화해 둠으로써, 환자의 응급사태 발생시에 응급의료센터나 구급차에서 본 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의 진료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에 비교적 문서(40)의 전송 단계가 복잡하며 문서(40)가 저장되어 있는 병원1(20)의 문서저장 서버가 꺼져 있는 동안에는 문서의 공유 내지는 교류가 어려워진다는 점은 있다. 하지만 현 의료법상, 그리고 개인정보 보호에 민감한 진료정보의 교류라는 관점에서 매우 합리적인 모델이 될 것이다.
<각 구성요소의 세부적 설명>
1. 시스템상의 데이터 흐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요소간 데이터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각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4를 통해 설명했던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종합병원, 대학병원 등의 상위의료기관(10)의 의료문서를 타기관에서 조회할 때에는 단순히 해당 기관의 웹서비스를 통해 문서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러나 하위의료기관(20)의 문서를 타기관(22)에서 조회하기 위해서는 RTC 서버(27)를 이용한 문서전달이 필요하다. 다수의 하위의료기관(20)들이 하나의 게이트웨이(25)에 연결되어 정보를 교류해야 하므로 게이트웨이(25)에 문서를 저장해 둘 수 없기 때문이다.
도 5에서 하위의료기관에 관련된 문서 전달의 데이터 흐름을 순서대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타기관(22)에서 하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25)의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하위의료기관(20)에 문서요청을 한다.
② 하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25)의 웹서비스는, 하위의료기관(20)과 연결되어 있는 RTC 서버(27)에 문서요청 메시지를 보낸 후 암호화된 의료문서가 반환(응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③ RTC 서버(27)는 해당문서를 보관 중인 병·의원 클라이언트(Client)(20)에, 문서를 하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25)에 전송하도록 문서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④ RTC 서버(27)로부터 문서전달 요청 메시지를 받은 하위의료기관(22)은 하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25)의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문서를 게이트웨이(25)에 전송한다.
⑤ 대기하고 있던 하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25)의 웹메소드는 반환된 문서를, 처음에 문서 요청한 타기관(22)에 반환해 준다.
한편, 상기 각 게이트웨이(15, 25)의 관리를 위한 공인된 인증서버가 추가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국가적으로 확대 적용시에 대비하기 위한 것인데, 이 경우에 게이트웨이 중앙관리서버에는 게이트웨이 목록과 해당 게이트웨이별 진료정보 교류에 참가하고 있는 의료기관 정보를 유지해야 한다.
2. 하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도 6은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에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보여주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하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25) 내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예시하고 있다. 테이블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CooperationQueue 테이블 진료정보교류 트랜잭션 기록(메타데이터)
Client 테이블 진료정보 교류 협력병원 리스트
Gateway 테이블 진료정보 교류를 위한 게이트웨이(브로커) 리스트
DocumentType 테이블 진료문서 타입(의뢰서|회신서|…)
한편, 진료데이터(즉, 진료에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데이터, 예를 들어, 환자정보, 상병, 처방약, 검사결과, 소견서 등)는 게이트웨이에는 저장할 수 없고, 해당 의료기관의 EMR이나 EHR에서 추출된다.
3. 업무 흐름(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
도 7은 하위의료기관에서 상위의료기관에 환자 진료를 의뢰(환자 transfer)할 때의 정보 전송 흐름도를 나타낸다. 환자를 의뢰하기 위하여 하위의료기관의 진료실에서는 진료의뢰서를 작성하여 환자의 서명을 받는다(101). 실제적인 경우로서, 환자를 의뢰할 병원이 정보를 교류하기로 사전 협의되어 있지 않은 병원인 경우에는 더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절차는 종료되어(103) 환자가 해당 진료센터로 직접 방문해야 하며, 환자를 의뢰할 병원이 협의된 상위의료기관인 경우에는 전송버튼을 클릭하고 투약오더와 검사결과 등을 조회하여 CDA 문서를 생성한다(105). 생성된 CDA 문서 및 메타데이터를 상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107). 이 때의 통신은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환자는 해당 상위의료기관의 진료협력센터에 방문하여 진료를 예약한다.
상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에서는 CDA 문서와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109), 수신한 메타데이터를 하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111). 이 때에도 통신방식으로서 SOAP를 이용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의 전송은 전송성공시까지 반복시도한다(112). 재전송 시도를 위해서 메타데이터를 전송 히스토리 테이블에 저장하고 메타데이터 테이블에 전송여부를 업데이트하며 전송실패시에는 전송 히스토리 테이블에 실패사유를 기록한다. 전송이 성공하면 하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에서는 전송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환자 예약을 접수한다(113).
도 8은 하위의료기관으로부터 의뢰된 환자를 상위의료기관에서 진료할 때에 의뢰서를 조회하고 회신서를 작성하는 업무의 흐름도이다. 상위의료기관의 진료실에서 환자를 선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공유 대상 환자인지 체크한다(115). 그리고 진료정보 조회에 대해서 환자의 동의를 구한다(117). 만일 환자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진료의뢰서의 조회없이 바로 진료를 수행하여 진료회신서를 작성하고, 환자가 동의할 경우에 의뢰서 조회를 선택하고(조회아이콘 클릭)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환자정보 및 비밀번호를 상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에 전송하여 웹서비스를 호출한다(119). 상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에서는 전송된 요청 정보를 로그 테이블에 저장하고, 메타데이터 및 비밀번호를 하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에 전송한다(121). 이 경우에도 전송실패시에는 실패사유를 로그테이블에 저장하고 성공시까지 전송을 재시도한다(123). 전송이 성공하면 하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에서는 전송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이 메타데이터로 해당 환자의 CDA 문서(진료의뢰서)를 조회한다(125). 즉 상위의료기관에서 진료의뢰서를 조회하면 뷰어서비스를 이용 하여 조회가능하다(124).
이상의 업무 흐름에 부가하여,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협진 의뢰 상황(즉, 의뢰->접수->예약->진료->회신->예약 등)을 모바일 메시지(SMS)나 전자우편 등으로 환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즉, 환자에 대해 등록된 연락처정보(휴대폰번호, 전자우편 계정 등)를 이용하여 진행상황에 대해서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의뢰된 자신의 진료정보를 진료서비스 프로바이더(provider)가 확인할 때에 그 로그기록을 모바일 또는 전자메일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주민등록번호 도용확인 사이트처럼 웹사이트를 통하여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온라인 진료의뢰시에 자동예약 설정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가령, 상대편 병원의 예약시스템에서 수신된 메타데이터의 내용을 이용하여 예약 자동설정을 하고 예약설정후에 상기 메시징 기능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보내어 확인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4. 게이트웨이의 구조 (도 9)
게이트웨이는 CDA 형태로 문서를 저장, 관리하고, 메타데이터의 생성 및 공유정책 및 전송에 대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CDA 관리자(manager)(40)와, 레지스트리(registry)의 시스템 관리 및 CDA 문서에 대한 사용자 로그, 문서전송 및 레퍼런스에 대한 로깅을 위한 레지스트리 관리자(50)로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 CDA 관리자(40)는 게이트웨이를 구성하는 핵심모듈이며 구성은 다음과 같다.
① 파일관리자(File Manager): 상대 의료기관으로부터 전송된 CDA 문서를 저장, 폐기 파일보존에 대한 정책 및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② 메타데이터관리자(Metadata manager): 수신된 CDA 문서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DB에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파일관리자와 메타데이터 관리자는 데이터 저장소(data repository)를 포함하고 있다.
③ 프로토콜관리자(Protocol Manager): 상대의료기관과의 CDA 문서 송수신과 관련된 동작 및 타 게이트웨이 간의 메타데이터 정보교환에 대한 SOAP 통신기법을 정의한다.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하기 위해 암호화 알고리즘(SOAP/Encryption)을 포함하고 있다.
(2) 레지스트리 관리자(50)는 게이트웨이 내 CDA 문서관리 및 사용자정보, 시스템의 관리를 목적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① 사용자 로깅(user logging): CDA 문서 송수신과 관련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 행위를 관리한다.
② CDA 인덱싱(indexing): CDA 문서가 얼마나 조회되었는지를 계수(counting)하며, 메타데이터 요청 및 응답과 관련된 인덱스를 관리한다.
③ 기타 시스템 관리자(other system management):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관리하거나, 저장된 문서, 메타데이터, 인덱스, 사용자 관리 등을 수행한다.
(3) 진료 정보 교류 프로토콜(도 10~12 참조)
① 의료기관-게이트웨이간 통신 프로토콜: 의료기관에서 생성된 CDA 문서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기 위해 도 10 및 도 11과 같은 SOAP1.2(1.1포함)를 이용하며, 생성된 CDA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하여 SOAP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도 10은 SOAP 요청메시지의 예를, 도 11은 웹서비스를 통해 수신된 SOAP메시지의 예를 나타낸다.
② 게이트웨이간 통신 프로토콜: 게이트웨이간 통신에도 SOAP를 사용하여 메타데이터, CDA 응답페이지를 송수신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SOAP1.2를 기반으로 구현되었으며 웹서비스 메소드는 도 12의 3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NOTIFY(61)는 메타데이터의 전송행위에 관련된 메타데이터 송수신 서비스 메소드이고, QUERY(62)는 브로커(게이트웨이) 간의 CDA 문서정보 전송요청 처리서비스 메소드(질의), SEARCH(63)는 상대의료기관의 요청에 따른 CDA 문서정보의 조회 서비스를 나타낸다.
5. 데이터베이스(상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 (도 13)
도 1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메타정보관리 테이블(CDAMETA_MAIN)(71)과 코드매핑 테이블(CCCLIENT, CCDEPTMT)(72, 73)은 하위의료기관측 게이트웨이와 동일타입의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정보조회 관리 테이블(CDAVIEW_HISTORY)(74)과 정보전송 관리 테이블(CDASEND_HISTORY)(75)를 통해서는 송수신된 데이터 및 메시지의 이력이 관리된다. CDANOTE_MAIN(76)은 CDA 문서에 관한 NOTE 데이터이다.
6. CDA 설계
본 발명에는 로컬 의료기관에서 기록 항목을 CDA 헤더 및 본문(Body) 항목에 매핑하여 해당 문서데이터를 추출하는 CDA 생성기가 포함된다. 도 14와 15는 표준 CDA 항목, 코드, 값(value)을 도출하고 본 발명의 EMR의 서식 구조와의 매핑 규칙을 정의한 명세서의 일부를 예시하고 있는데, 도 14는 헤더(Header) 부분의 예이고, 도 15는 본문(Body) 부분의 예이다. 또한 도 16은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생성된 CDA 진료 문서의 예를 나타낸다.
7. CDA 스타일시트(style sheet)의 디자인
하나의 CDA 문서를 다양한 용도로 표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스타일시트를 디자인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17은 의뢰 및 회신 CDA 문서(상호진료의뢰서) 전체를 표시하는 스타일시트의 일부(좌측)와 스타일시트의 적용예(우측)를 나타내고, 도 18은 투약오더 내역을 표시하는 스타일시트의 일부(좌측)와 스타일시트의 적용예(우측)를 나타낸다. 도 18에서와 같이 동일한 CDA 문서에서 투약오더 결과(Medication) 관련 데이터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병원솔루션(게이트웨이)별 스타일(XSLT/CSS) 파일은 게이트웨이 및 로컬(병원) 단에서 업데이트 및 관리할 수 있다. 원래는 진료정보 전송시 진료정보의 모양을 결정하는 스타일까지 전송해야 한다. 앞에서 설명한 시스템의 경우에는, 전송효율상 미리 상대방의 스타일 파일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만일 자사의 진료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이 바뀐 경우에는 기존 스타일 파일을 대체하는 방법을 제공해 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메타데이터에 문서 스타일이 변경되었다는 플래그를 세팅하여 상대편 게이트웨이에서 스타일 파일을 강제로 다운로드받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스타일 파일의 변경은 기존 스타일 파일의 전체 변경 또는 특정 시점부터의 전송 건부터 한함 등의 옵션을 걸 수 있다.
8. CDA 생성에 사용한 표준 코드 체계
CDA 문서의 본문에 들어갈 서식 항목은 LOINC, SNOMED CT 용어 체계를 따른다. 아래 표는 진료의뢰서, 회신서에 사용한 항목 코드를 예시한다.
1. 상병명 LOINC : 29548-5 DIAGNOSISCDA Body 2. 소견 및 과거 병력 LOINC : 11348-0 HISTORY OF PAST ILLNESS 3. 약 처방 LOINC : 10160-0 HISTORY OF MEDICATION USE 4. 검사결과 LOINC : 11384-5 PHYSICAL EXAMINATION BY ORGAN SYSTEMS 검체 검사- SNOMED CT: 250429001 영상검사- SNOMED CT: 365853002 병리검사- SNOMED CT: 168393006 5. 수술 결과 LOINC : 10167-5 HISTORY OF SURGICAL PROCEDURES
아래 표에서 코드 마스터는 OID로 등록하여 사용한다.
1. ezCaretech: 1.2.410.200007 Root: iso(1) member-body(2) korea(410) ezcaretech(200007) Website: http://oid.elibel.tm.fr/1.2.410.200007 2. Sub-Tree 0: ez-EMR (1.2.410.200007.0) - 0: SNUBH (1.2.410.200007.0.0) - 0: 문서 ID 인증 코드 (1.2.410.200007.0.0.0) - 1: 환자 번호 인증 코드 (1.2.410.200007.0.0.1) - 2: 환자 주민등록번호 인증 코드 (1.2.410.200007.0.0.2) - 3: 의사. 직원 인증 코드 (1.2.410.200007.0.0.3) 1: ez-CDR (1.2.410.200007.1) - 0: CDA 교류 문서 인증 코드 (1.2.410.200007.1.0)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작용>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료정보교류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서 유저인터페이스 측면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자가 운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캡쳐 화면을 통해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할 것이며, 구체적 이해를 위하여 하위의료기관으로는 "개원의원"이라는 구체명을, 상위의료기관으로는 "대학병원"이라는 구체명을 사용하고, 환자이름은 "정보"라는 이름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우선, 도 19~29는 하위의료기관의 유저인터페이스 측면에서의 발명 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낸다.
1. 개원의원에서 대학병원으로 환자 진료를 의뢰하는 경우(도 19~23)
도 19의 인터페이스 캡처를 참조하면, 환자 목록(80)에서 진료의뢰를 원하는 환자를 선택하면 메뉴 및 툴바에 각종 협진의뢰 관련 정보내용이 활성화된다. 메뉴바의 협진의뢰 버튼(81)을 클릭하여 도 20의 서식과 같은 진료의뢰서를 작성한다. 진료의뢰서 작성시에는, 현재 사용중인 진료실 및 요양기관의 정보(82)가 자동으로 채워진다. 받는 곳(83)을 설정한 후, 불러오기 버튼(84)을 이용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진료내용을 개원의원의 DB로부터 가져온다. 이로써 도 21과 같은 진료내역창이 표시된다. 도 21의 진료내역창에서 원하는 진료내역 항목을 선택한다. 선택이 완료되면 하단의 입력완료 버튼(88)을 이용하여 도 20의 진료의뢰서에 내용을 추가한 다. 도 20의 진료의뢰서에서 소견 및 기타 공유내용을 소견 텍스트박스(85)에 입력한다. 소견이 입력된 진료의뢰서 화면을 도22에 나타내었다. 전송될 상태의 진료의뢰서는 미리보기 버튼(86)을 이용하여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미리보기 표시된 진료의뢰서를 도 23에 나타내었다. 도 23의 미리보기 화면은 문서를 받는 기관에서도 조회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가능하다. 도 20의 전송 버튼(87)을 클릭하면 XML(CDA 문서)로 변환된 진료의뢰서가 수신처인 대학병원으로 전송된다.
2. 대학병원으로부터 개원의원으로 회신문서(진료회신서)가 도착한 경우
도 19에 나타낸 메인 화면에서 협진대상 환자를 선택하면 과거기록창(89) 상단에 '온라인 협진'(90) 이라는 이미지가 나타난다(도 24 참조). 이 '온라인협진'(90) 이미지(또는 툴바의 '협진조회' 버튼(90'))를 누르면 해당 환자의 협진문서(진료회신서)를 조회하는 화면이 나타난다(도 25). 도 25의 조회화면에서는 기본적으로 해당환자의 가장 최근 협진문서가 보이게 되며(즉, 가장 최근 문서가 상단에 위치), 이전의 협진 내역은 좌측 테이블에 시간순으로 표시되도록 설계되었다. 좌측 테이블의 '받은문서'(91) 및 '보낸문서'(92) 항목은 수신처에서 문서를 다운로드하여 조회한 경우 파란색 이미지로 나타난다. 여기서 조회하고자 하는 항목을 더블클릭하거나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회 버튼을 누르면 오른쪽 브라우저에 관련 문서가 보이게 된다. 도 26은 좌측의 받은문서(91) 영역에 리스트된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한 결과, 상호진료의뢰서(93)라는 문서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3. 대학병원에서 개원의원으로 협진을 의뢰한 경우
도 24~26을 참조하여 설명한 회신문서 조회의 경우와 같이, 진료실 화면에서 해당 환자를 선택하면 협진환자임을 알리는 이미지(도 24의 90)가 과거기록창 상단에 보이게 된다. 이 '온라인협진' 이미지(또는 툴바의 '협진조회' 버튼)를 클릭하면, 도 27에서와 같이 상위의료기관에서 보내온 의뢰서를 조회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이미 해당환자의 진료가 저장되었다면, 도 28에서 보는 '회신하기' 버튼(94)을 클릭하여 도 30의 진료회신서를 작성할 수 있다. (조회 화면을 닫은 후에는 진료실의 협진조회 메뉴를 이용하여 다시 조회할 수 있다.) 진료회신서의 작성법은 진료의뢰서 작성하기와 동일하다. 즉, 도 29에서, 받는 곳(95)을 설정한 후, '불러오기' 버튼(96)을 이용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진료내용(97)을 개원의원 DB로부터 가져온다. 진료회신서 작성시에 현재 사용중인 진료실 및 요양기관의 정보는 자동으로 채워진다.
한편, 도 30 이하는 상위의료기관(대학병원)측의 유저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1. 개원의원에서 대학병원으로 의뢰하는 경우
도 30에서 보듯이, 대학병원의 협력센터에서는 협력병원(개원의원) 환자를 등록하고 희망진료의에게 예약을 생성한다. 가령, 대학병원에서는, 협력병원(개원의원)으로부터 유선 등으로 연락받은 후에 이 환자(협력환자)를 등록하고 외래예약을 잡는다. 도 32는 이러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학병원측에서 이루어지는 프 로세스 및 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다음에 대학병원의 진료실에서 환자 진료를 위해 예약된 환자를 선택하면 이 환자는 도 31의 화면에 표시된다(도 31의 A 참조). 화면 상단에 있는 정보공유 버튼(B)을 클릭하면 의뢰된 CDA 문서를 조회할 수 있도록 CDA 뷰어(viewer)(C)가 열려서, 의뢰한 병원의 의뢰서 및 투약결과, 검사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
진료실에서 환자를 진료한 후에 진료회신서를 작성한다(도 32 참조). 진료회신서의 작성 절차는 도 3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진료회신서를 받는 기관을 설정한 후에 교류하고자 하는 진료내용을 선택하여 서명 및 저장하고 전송버튼을 클릭한다. 협력센터에서는 작성된 진료회신서를 확인하여 전송처리를 수행한다. 만일 미전송시에는 재차 전송절차를 진행한다(도 33).
2. 대학병원에서 개원의원으로 환자진료를 의뢰하는 경우
진료실에서는 사전 약정된 상호진료의뢰서를 선택하여 의뢰하고자 하는 대상병원을 결정한 후 의뢰내역을 작성한다(도 34 참조). 작성이 완료되면 서명처리 후 전송버튼을 클릭한다. 협력센터에서는 작성된 상호진료의뢰서를 확인하여 전송처리를 하는데, 미전송시에는 재차 전송처리를 한다(도 35 참조). 또한 과거에 전송한 의뢰서 정보는 진료실에서 CDA 뷰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도 36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기능>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병원간 진료정보교류 시스템의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진료의뢰를 위한 CDA 문서 생성
기존에는 환자가 직접 진료의뢰서를 지참하여 의료기관간에 이동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온라인화하여 전자문서로서 온라인 교류되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의 진료의뢰서는 소견 정도의 내용만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해서, 처방, 검사결과 등의 진료정보가 포함가능하다.
또한, 전산화에 의해 진료의뢰 정보를 최근 진료정보를 위시하여 자동 선택 및 직접 선택이 가능하고, 기존의 DB 기반의 서식구조를 활용하여 CDA 항목의 추출 및 매핑이 가능하다. 그리고 용도와 사용자 편의에 따라 다양한 CDA 문서 스타일시트의 디자인이 가능하며, 환자의 동의 여부에 따라 문서 전송을 통제할 수 있어 개인정보 보호를 공고히 할 수 있다.
2. 환자정보 보호를 기반으로 한 진료의뢰 아키텍처
환자의 진료의뢰시 메타데이터만 자사 게이트웨이 및 도착지 게이트웨이에 전달되고, 도착지 EMR에서 의뢰된 진료정보 조회 요청시에 원 EMR시스템에서 자료를 다운로드하므로, 서버(게이트웨이)에는 진료정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현 의료법을 준수하면서, 진료정보생성, 전송, 조회 등 모든 기록을 로그로서 기록한다(audit trail).
3. 진료의 연속성 제공으로 인한 양질의 환자진료
진료의뢰를 하면 의뢰된 병원에서 진료를 하고 원 의뢰병원으로 진료회신서를 보내므로 진료의 연속성이 가능하여 양질의 환자 진료를 할 수 있다.
4. 레지스트리 관리 게이트웨이 운영
교류할 게이트웨이를 등록하고 등록된 게이트웨이에만 접근(조회)권한을 부여하고, 권한이 부여된 게이트웨이끼리 기관, 진료과 마스터를 매핑하고 공유하며, 도착지 게이트웨이에 진료 정보 전송시에 데이터 암호 및 복호화를 수행하고, 진료 정보 등록, 전송, 폐기 일자 등의 관리를 수행한다.
<변형 실시예>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변형하거나 추가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진료의뢰건이 아닌 자발적인 외래방문의 경우 등, 협력진료병원의 환자임을 인지하고 진료정보 요청을 가능케 하는 시스템과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환자의 동의하에 의사가 진료정보를 요청하면 게이트웨이에 진료정보 요청 메타데이터가 전달되고, 이 요청을 수신한 게이트웨이에서는 해당 병원 EMR에 전송을 요청하여 의사의 확인하에 진료정보 CDA 문서를 생성하고 진료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상응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의뢰서 및 회신 서 외에 '요청서'를 추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병원간 진료정보 교류 방법은 실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웍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가령, 본 발명은 PHR(Personal Health Record) 모델/모바일 헬스케어/CDSS 모델 등으로의 확장 적용이 가능하다. PHR의 집적, 즉 환자 관점에서 능동적 주체가 되어 환자가 자신의 진료정보 기록을 요청 할 수 있으데, 환자별 진료기록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일종의 개인화된 EMR 개념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진료를 받고나서 자신의 진료기록을 의사에게 요청하여, 진료정보를 게이트웨이를 통해 환자에게 전송하면, 환 자가 자신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휴대폰 등의 모바일 장치에 구현된다면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임상진료지원시스템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하위의료기관과 상위의료기관 간의 진료정보 교류에 관한 것으로, 진료의뢰시 환자 진료정보를 손으로 들고 내원할 필요 없이 전자적으로 전송받아 의뢰된 병원의 EMR에서 직접 조회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Claims (21)

  1. 제1의료기관 및 제2의료기관 간에 CDA 문서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양쪽 의료기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이트웨이는
    제1의료기관에서 작성된 CDA 문서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제2게이트웨이가 수신한 상기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CDA 문서가 저장되어 있는 제1의료기관의 위치를 파악하여 CDA 문서를 요청하면, 상기 요청에 의해 검색된 문서를 제2게이트웨이를 통해 제2의료기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료기관 또는 제2의료기관과 해당 게이트웨이 사이에 RTC 서버가 추가로 연결되어,
    제2의료기관에서 제2게이트웨이를 통해 CDA 문서를 요청하면, 제1게이트웨이에서는 자신에 연결되어 있는 RTC 서버에 문서요청 메시지를 보내고,
    RTC 서버는 해당문서를 보관 중인 제1의료기관에 문서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 제1의료기관으로 하여금 해당 CDA 문서를 제2게이트웨이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료기관 및 제2의료기관은
    응급의료 대상환자의 진료정보를 CDA 문서화해서 보관하고 있는 응급의료 프록시서버를 포함하는데,
    환자의 응급사태 발생시에 응급의료기관 또는 구급차에서 상기 프록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진료정보를 다운로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료기관과 제1 및 제2게이트웨이간의 통신은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HTTP, TCP/IP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는 제1의료기관 및 제2의료기관 간에 CDA 문서 전송이 일어날 경우에 이를 환자에게 알려주는 모바일 메시지(SMS) 또는 전자우편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는
    CDA 형태로 문서를 저장, 관리하고, 메타데이터의 생성 및 공유정책 및 전송 에 대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CDA 관리자와,
    레지스트리(registry)의 시스템 관리 및 CDA 문서에 대한 사용자 로그, 문서전송 및 레퍼런스에 대한 로깅을 위한 레지스트리 관리자를 포함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DA 관리자는
    상대 의료기관으로부터 전송된 CDA 문서를 저장, 폐기 파일보존에 대한 정책 및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파일관리자와,
    수신된 CDA 문서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DB에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타데이터관리자와,
    상대 의료기관과의 CDA 문서 송수신과 관련된 동작 및 타 게이트웨이 간의 메타데이터 정보교환에 대한 SOAP 통신기법을 정의하는 프로토콜 관리자를 포함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트리 관리자는
    CDA 문서 송수신과 관련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 행위를 관리하는 사용자 로깅 관리자와,
    CDA 문서가 얼마나 조회되었는지를 계수하며, 메타데이터 요청 및 응답과 관련된 인덱스를 관리하는 CDA 인덱싱 관리자를 포함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DA 문서는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별로 디자인된 다수의 스타일시트로서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에 각각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는 타 게이트웨이에 대해 디자인된 스타일시트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메타데이터에는
    어느 한 게이트웨이에 있는 문서의 스타일이 변경된 경우에 이 사실을 설정하여 상대편 게이트웨이로부터 스타일 파일을 강제로 다운로드받게 하도록 하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DA 문서의 스타일시트는
    제1의료기관에서 제2의료기관으로 환자 진료를 의뢰하는 진료의뢰서와,
    진료의뢰를 받은 제2의료기관에서 제1의료기관으로 환자의 진료 결과를 회신하는 진료회신서를 포함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13. 제1의료기관 및 제2의료기관 간에 CDA 문서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양쪽 의료 기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를 통해 이루어지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이트웨이는 제1의료기관에서 작성된 CDA 문서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제2게이트웨이가 수신한 상기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CDA 문서가 저장되어 있는 제1의료기관의 위치를 파악하여 CDA 문서를 요청하면,
    상기 제1게이트웨이는 상기 요청에 의해 검색된 문서를 제2게이트웨이를 통해 제2의료기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료기관 또는 제2의료기관과 해당 게이트웨이 사이에 RTC 서버를 추가로 연결하여,
    제2의료기관에서 제2게이트웨이를 통해 CDA 문서를 요청하면, 제1게이트웨이에서는 자신에 연결되어 있는 RTC 서버에 문서요청 메시지를 보내고,
    RTC 서버는 해당문서를 보관 중인 제1의료기관에 문서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 제1의료기관으로 하여금 해당 CDA 문서를 제2게이트웨이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료기관과 제1 및 제2게이트웨이간의 통신은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HTTP, TCP/IP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는 제1의료기관 및 제2의료기관 간에 CDA 문서 전송이 일어날 경우에 이를 환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DA 문서는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별로 디자인된 다수의 스타일시트로서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에 각각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는 타 게이트웨이에 대해 디자인된 스타일시트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메타데이터에는
    어느 한 게이트웨이에 있는 문서의 스타일이 변경된 경우에 이 사실을 설정하여 상대편 게이트웨이로부터 스타일 파일을 강제로 다운로드받게 하도록 하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DA 문서의 스타일시트는
    제1의료기관에서 제2의료기관으로 환자 진료를 의뢰하는 진료의뢰서와,
    진료의뢰를 받은 제2의료기관에서 제1의료기관으로 환자의 진료 결과를 회신하는 진료회신서를 포함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방법.
  21. 제13~20항 중 한 항에 기재된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기록매체.
KR1020060128905A 2006-09-20 2006-12-15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KR100805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1184 2006-09-20
KR1020060091184 2006-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642B1 true KR100805642B1 (ko) 2008-02-26

Family

ID=3938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905A KR100805642B1 (ko) 2006-09-20 2006-12-15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64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001B1 (ko) 2010-03-04 2011-06-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의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086910A1 (en) * 2010-12-22 2012-06-28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System for interchanging medical information, method for making medical treatment referral, and method for returning medical treatment referral
WO2014115995A1 (ko) * 2013-01-24 2014-07-31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514849B1 (ko) 2009-11-23 2015-04-24 (의료)길의료재단 의료기기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웹기반 원격 관리 지원을 위한 통합 의료관리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한 통합 의료관리 방법
KR101524181B1 (ko) * 2012-12-03 2015-06-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03524A (ko) 2017-03-10 2018-09-19 서울대학교병원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19153181A (ja) * 2018-03-05 2019-09-12 富士通株式会社 管理プログラム
KR102268514B1 (ko) 2020-06-30 2021-06-24 서울대학교병원 중재 또는 협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272805B1 (ko) 2020-06-30 2021-07-05 서울대학교병원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CN113806406A (zh) * 2021-09-18 2021-12-17 王剑 一种诊疗数据存储方法、查询方法及相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4165A (ja) 2004-11-08 2006-05-25 Fujitsu Ltd 医療情報アクセスシステム、アクセス管理サーバ及びアクセス管理プログラム
KR20060060162A (ko) * 2004-11-30 2006-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8142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이수유비케어 의료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4165A (ja) 2004-11-08 2006-05-25 Fujitsu Ltd 医療情報アクセスシステム、アクセス管理サーバ及びアクセス管理プログラム
KR20060060162A (ko) * 2004-11-30 2006-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8142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이수유비케어 의료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849B1 (ko) 2009-11-23 2015-04-24 (의료)길의료재단 의료기기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웹기반 원격 관리 지원을 위한 통합 의료관리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한 통합 의료관리 방법
KR101039001B1 (ko) 2010-03-04 2011-06-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의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086910A1 (en) * 2010-12-22 2012-06-28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System for interchanging medical information, method for making medical treatment referral, and method for returning medical treatment referral
KR101270514B1 (ko) * 2010-12-22 2013-06-0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KR101524181B1 (ko) * 2012-12-03 2015-06-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115995A1 (ko) * 2013-01-24 2014-07-31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80103524A (ko) 2017-03-10 2018-09-19 서울대학교병원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19153181A (ja) * 2018-03-05 2019-09-12 富士通株式会社 管理プログラム
KR102268514B1 (ko) 2020-06-30 2021-06-24 서울대학교병원 중재 또는 협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272805B1 (ko) 2020-06-30 2021-07-05 서울대학교병원 중재 또는 협진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CN113806406A (zh) * 2021-09-18 2021-12-17 王剑 一种诊疗数据存储方法、查询方法及相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642B1 (ko)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US8990834B2 (en) Managing healthcare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system
US887445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distributed digital medical data
US723406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patient authorizations relating to digital medical data
JP5377494B2 (ja) ヘルスケアセマンティック相互運用プラットフォーム
US80603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community health and administrative data
US8849718B2 (en) Medical data encryption for communication over a vulnerable system
US200302002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legacy healthcare database systems
US20080021730A1 (en) Method for Remote Review of Clinical Data
US20080021741A1 (en) System For Remote Review Of Clinical Data
JP2004518187A (ja) 健康管理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20220028506A1 (en) Data capturing and exchange method and system
US20040204963A1 (en) Healthcare payer organization and provider organization information exchange system
KR20140096044A (ko) 건강 정보의 지능형 라우팅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1422651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patient feedback
JP2023539462A (ja) 大規模感染疾患の非対面での選別診療に関する個人医療記録システム及び方法
Turcu et al. Application of RFID Technology in eHealth
Marinković et al. ELECTRONIC HEALTH RECORDS-THE CORE OF THE NATIONAL HEALTH INFORMATION SYSTEM
Katehakis et al. PICNIC Technology
Zhang An Investigation on System Interoperability in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the Web Services
KR20110083245A (ko) 네트워크 기반의 가상 종합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