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524A -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524A
KR20180103524A KR1020170030583A KR20170030583A KR20180103524A KR 20180103524 A KR20180103524 A KR 20180103524A KR 1020170030583 A KR1020170030583 A KR 1020170030583A KR 20170030583 A KR20170030583 A KR 20170030583A KR 20180103524 A KR20180103524 A KR 20180103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drug
hospital
prescrip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1738B1 (ko
Inventor
황희
이기혁
배현옥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70030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73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 정보 교류 병원에서 전송된 전자 의료 기록의 약품 코드를 원내 약품 코드로 전환하여 정확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타병원으로부터 전자 의무 기록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전자 의무 기록에서 KD 코드를 추출하는 코드 추출부; 상기 추출된 KD 코드가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비교 처리부; 및 상기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KD 코드를 신규 약품 코드로 생성하여 처리하거나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의 원내 약품 코드로 변경하는 코드 획득부를 포함하는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drug code}
본 발명은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 정보 교류 병원에서 전송된 전자 의료 기록의 약품 코드를 원내 약품 코드로 전환하여 정확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의료기관이 전자 건강 기록(EHR: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을 구축하고 있다. EHR은 환자를 위한 직접진료시스템으로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료기록)과 전자처방(CPOE: Computerized Prescriber Order Entry),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등으로 구축되어 있다. 이런 시스템들은 환자의 각종 진료 관련 자료들을 전산화 된 언어로 전환시킴으로써 기존의 의사 1인 중심으로 관리되던 환자정보가 의사 간 연계가 가능하게 됨으로 인해 환자중심의 의료정보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환자중심의 의료정보 관리는 다른 의사의 진단, 약품, 검사, 기록 등을 활용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진료를 시행할 수 있도록 했을 뿐 아니라 임상의사결정지원(CDSS: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을 통해 적절한 가이드라인 제공과 통제를 함으로써 human error 를 줄일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해 왔다.
이러한 EHR 시스템의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면서 동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집단 내 의사간 교류되던 데이터를 타 의료기관의 이종 시스템과도 교류하는 진료정보교류(HIE: Health Information Exchange)에 대한 요구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는 모든 의료기관의 전자 의료 기록(EMR : Electronic Medical Record)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하여 공유하는 첨단 의료 정보화, 각 의료 기관별로 개별 관리되고 있는 환자의 진료 관련 자료들의 호환성을 향상시키고, 시스템 및 서비스 표준화를 통해 중복 투자와 낭비를 줄이며, 임상 진료의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이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종간에 서로 다른 교류 언어와 코드체계를 가지고 있는 경우 또는 같은 코드체계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각 집단마다 코드의 사용범위가 다른 경우 이종 시스템에서 전송된 의료정보를 동종 시스템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공통으로 교류가 가능하도록 관리되고 있는 코드체계는 진단(KCD;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과 약품(KD: Korean Drug) 등인데 이중 진단은 전체코드는 모든 의료기관에서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약품은 각 의료기관마다 사용되는 약물정보만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약품정보의 교류는 불가능하다. 또한 전체 약품 정보를 가지고 있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DUR system은 중복처방과 임부금기, 소아금기, 병용 금기 등 극히 일부의 CDSS 만 check 함으로 인해서 의료기관 내 요구를 모두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HIE 교류 정보를 효율적으로 EHR 시스템 안에서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교환과정에서 별도의 정보처리 기능이 필요하다.
국내공개번호 10-2016-0036713호 국내공개번호 10-2011-0134532호 국내공개번호 10-2009-0001565호 국내등록번호 10-08056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라인 정보 교류 병원에서 전송된 전자 의료 기록의 약품 코드를 원내 약품 코드로 전환하여 정확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타병원으로부터 전자 의무 기록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전자 의무 기록에서 KD 코드를 추출하는 코드 추출부; 상기 추출된 KD 코드가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비교 처리부; 및 상기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KD 코드를 신규 약품 코드로 생성하여 처리하거나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의 원내 약품 코드로 변경하는 코드 획득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원내 약품 코드로 전환하는 코드 전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신규 약품 코드나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의 원내 약품 코드를 사용하여 처방전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처방전 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상기 처방전 생성부는 임상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DSS)으로부터 쿼리를 수신하면, 처방전에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 약품 정보를 인출하여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A)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타병원으로부터 전자 의무 기록을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상기 전자 의무 기록에서 KD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상기 추출된 KD 코드가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상기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약품 코드를 신규 약품 코드로 생성하여 처리하거나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의 원내 약품 코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E) 상기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상기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원내 약품 코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F) 상기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신규 약품 코드나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의 원내 약품 코드를 사용하여 처방전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G) 상기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임상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DSS)으로부터 쿼리를 수신하면, 처방전에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 약품 정보를 인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정보교류 환자인 경우 타병원 약품이 원내약품 정보로 자동 전환됨으로써 환자 안전과 보험삭감 등을 위해 구현한 원내 CDSS를 활용한 처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내사용약품과 상관없이 알러지(allergy) 등의 정보를 등록하고 활용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정보교류 환자의 경우에서 오더조회에 대한 재검토가 가능해 짐으로 인해 과거 처방정보의 이력을 얻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되어 초진 진료시간이 감소 될 뿐 아니라 과거 투약 정보의 확인누락 및 오류 등의 가능성이 감소된다(실제로 SAFE 보고에 따르면 타병원 투약 정보를 잘못 확인함으로써 잘못 처방된 경우가 종종 발생함).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더 복사가 가능해 짐으로 인해 원내 처방 가능한 약품을 조회하거나 약제부에 문의하는 번거로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정보교류 시스템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에 도움이 되며, 정보교류 시스템의 선도로 인해 국책 연구사업의 선정 가능성이 높으며 정보교류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투약과 관련된 연구 시 원내에서 처방된 약 뿐 아니라 타병원에서 투약된 약을 데이터로 활용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료 정보 교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코드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코드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처방전 조회 화면의 변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각 의료기관에 구축된 로컬 HIE(Heath Information Exchange) 시스템(100, 200)과 이를 중계하는 중앙 HIE(Heath Information Exchange) 시스템(300)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의료기관에 구축된 로컬 HIE(Heath Information Exchange) 시스템(100, 200)은 EMR(103, 203), OCS(도시하지 않음), PACS(도시하지 않음) 등과 연동하며, CTS(101, 201)를 통하여 전자 의료 기록(102) 등을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이때, 로컬 HIE 시스템(100, 200)은 약품 코드 생성 장치(104, 204)를 구비하여, 다른 로컬 HIE 시스템(100, 200)에서 전송된 전자 의료 기록의 약품 코드를 원내 약품 코드로 전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코드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코드 생성 방법은 먼저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타 병원의 로컬 HIE 시스템에서 전송된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 포맷으로 변환된 전자 의료 기록을 전송받아 임시 저장소에 저장한다(S100).
그리고,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전자 의료 기록에서 의약제품을 나타내는 13자리 숫자체계인 의약품 표준코드(KD: Korean drug)를 추출하여(S110), 추출된 KD 코드가 원내 약품정보에 포함된 KD 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20).
상기 약품 코드 생성 장치는 판단결과 추출된KD 코드가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면 원내약품코드로 전환하여(S130) 처방전을 생성한다(S140).
이때, 약품 코드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처방전은 금일 처방이 입력되어도 타 병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전자 의료 기록에 있는 처방 일자로 생성되도록 한다.
이후에, 약품 코드 생성 장치는 처방전에 대한 조회 요청시에 생성된 처방전을 보여준다(S150). 물론, 약품 코드 생성 장치는 임상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DSS)으로부터 쿼리를 수신하면, 처방전에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 약품 정보를 인출하여 제공한다.
한편, 상기 약품 코드 생성 장치는 판단결과 추출된 KD 코드가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지 않으면, 임시 약품코드를 생성한 후 임시 약품코드를 약무 정보팀이 사용하는 약무 정보 단말기에 제공한다(S160).
이에 따라 약무 정보팀은 타병원에 해당 임시 약품 코드에 대한 약품 정보를 요청하는 전자문서를 발송하고 타병원으로부터 원내 약품코드 생성을 위한 필수정보를 제공 받아 임시약품 코드를 신규 약품 코드로 변환 생성함으로써 이후에 사용가능 하도록 하고(S170),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이 있는 경우에는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의 원내 약품 코드를 추가로 매핑(S180) 함으로서 의사의 처방 시 투약 가인드라인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이후에, 약품 코드 생성 장치는 처방전을 생성하며(S140), 이때, 약품 코드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처방전은 금일 처방이 입력되어도 타 병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전자 의료 기록에 있는 처방 일자로 생성되도록 한다.
이후에, 약품 코드 생성 장치는 처방전에 대한 조회 요청시에 생성된 처방전을 보여준다(S150). 물론, 약품 코드 생성 장치는 임상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DSS)으로부터 쿼리를 수신하면, 처방전에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 약품 정보를 인출하여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약품 코드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코드 생성 장치는 타병원으로부터 전자 의무 기록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110)와, 상기 전자 의무 기록에서 의약제품을 나타내는 13자리 숫자체계인 의약품 표준코드(KD: Korean drug)를 추출하는 코드 추출부(120)와, 상기 추출된 KD 코드가 원내 약품 정보에 포함된 KD 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비교 처리부(130)와, 상기 원내 약품 정보에 포함된 KD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원내 약품 코드로 전환하는 코드 전환부(140)와, 추출된 KD 코드가 상기 원내 약품 정보에 포함된 KD 코드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KD 코드를 신규 약품 코드로 변환 생성하여 처리하고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이 있는 경우에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의 원내 약품 코드를 추가로 매핑하는 코드 획득부(150)와, 신규 약품 코드나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의 원내 약품 코드를 사용하여 처방전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처방전 생성부(16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데이터 수집부(110)는 타 병원의 로컬 HIE 시스템에서 전송된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 포맷으로 변환된 전자 의료 기록을 전송받아 임시 저장소(110a)에 저장한다.
그리고, 코드 추출부(120)가 전자 의료 기록에서 의약품 표준코드(KD, Korea Drug)를 추출하며, 비교 처리부(130)는 추출된 KD 코드가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코드 전환부(140)는 추출된 KD 코드가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면 원내 약품 코드로 전환하며, 처방전 생성부(160)는 처방전을 생성한다.
이때, 처방전 생성부(160)에 의해 생성되는 처방전은 금일 처방이 입력되어도 타 병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전자 의료 기록에 있는 처방 일자로 생성되도록 한다.
이후에, 처방전 생성부(160)는 처방전에 대한 조회 요청시에 생성된 처방전을 보여준다. 물론, 처방전 생성부(160)는 임상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DSS)으로부터 쿼리를 수신하면, 처방전에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 약품 정보를 인출하여 제공한다.
한편, 코드 획득부(150)는 추출된 KD 코드가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지 않으면, 임시 약품코드를 생성한 후 임시 약품코드를 약무 정보팀이 사용하는 약무 정보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약무 정보팀은 타병원에 해당 임시 약품 코드에 대한 약품 정보를 전자문서로 요청한 후 회신된 정보로 임시 약품코드를 신규 약품 코드로 변환 생성하여 이후에 사용가능하도록 하고,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이 있는 경우에는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의 원내 약품 코드로 추가로 매핑하여 의사의 처방 시 약품 코드를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의 원내 약품 코드로 변경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을 코드 획득부(150)가 지원한다.
이후에, 처방전 생성부(160)는 처방전을 생성하며, 이때, 처방전 생성부(160)에 의해 생성되는 처방전은 금일 처방이 입력되어도 타 병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전자 의료 기록에 있는 처방 일자로 생성되도록 한다.
이후에, 처방전 생성부(160)는 처방전에 대한 조회 요청시에 생성된 처방전을 보여준다. 물론, 처방전 생성부(160)는 임상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DSS)으로부터 쿼리를 수신하면, 처방전에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 약품 정보를 인출하여 제공한다.
한편, 도 4는 처방전 조회 화면의 변경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변경전이고 (b)는 변경 후를 보여준다.
도 4의 (a)와 (b)를 비교하면, 메뉴 버튼에 '타병원'이 추가되었으며, 내용 제공란에 정보 교류가 추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정보교류 환자인 경우 타병원 약품이 원내약품 정보로 자동 전환됨으로써 환자 안전과 보험삭감 등을 위해 구현한 원내 CDSS를 활용한 처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내사용약품과 상관없이 알러지(allergy) 등의 정보를 등록하고 활용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정보교류 환자의 경우에서 오더조회에 대한 재검토가 가능해 짐으로 인해 과거 처방정보의 이력을 얻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되어 초진 진료시간이 감소 될 뿐 아니라 과거 투약 정보의 확인누락 및 오류 등의 가능성이 감소된다(실제로 SAFE 보고에 따르면 타병원 투약 정보를 잘못 확인함으로써 잘못 처방된 경우가 종종 발생함).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더 복사가 가능해 짐으로 인해 원내 처방 가능한 약품을 조회하거나 약제부에 문의하는 번거로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정보교류 시스템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에 도움이 되며, 정보교류 시스템의 선도로 인해 국책 연구사업의 선정 가능성이 높으며 정보교류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투약과 관련된 연구 시 원내에서 처방된 약 뿐 아니라 타병원에서 투약된 약을 데이터로 활용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 로컬 HIE(Heath Information Exchange) 시스템
110 : 데이터 수집부
120 : 코드 추출부
130 : 비교 처리부
140 : 코드 전환부
150 : 코드 획득부
160 : 처방전 생성부
300 : 중앙 HIE(Heath Information Exchange) 시스템

Claims (8)

  1. 타병원으로부터 전자 의무 기록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전자 의무 기록에서 KD 코드를 추출하는 코드 추출부;
    상기 추출된 KD 코드가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비교 처리부; 및
    상기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KD 코드를 신규 약품 코드로 생성하여 처리하거나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의 원내 약품 코드로 변경하는 코드 획득부를 포함하는 약품 코드 생성 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원내 약품 코드로 전환하는 코드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약품 코드 생성 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신규 약품 코드나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의 원내 약품 코드를 사용하여 처방전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처방전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약품 코드 생성 장치.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생성부는 임상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DSS)으로부터 쿼리를 수신하면, 처방전에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 약품 정보를 인출하여 제공하는 약품코드 생성 장치.
  5. (A)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타병원으로부터 전자 의무 기록을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상기 전자 의무 기록에서 KD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상기 추출된 KD 코드가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상기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약품 코드를 신규 약품 코드로 생성하여 처리하거나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의 원내 약품 코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품 코드 생성 방법.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E) 상기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상기 원내 약품 정보의 KD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원내 약품 코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약품 코드 생성 방법.
  7. 청구항 5항에 있어서,
    (F) 상기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신규 약품 코드나 원내 대치 가능한 약품의 원내 약품 코드를 사용하여 처방전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약품 코드 생성 방법.
  8. 청구항 7항에 있어서,
    (G) 상기 약품 코드 생성 장치가 임상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DSS)으로부터 쿼리를 수신하면, 처방전에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 약품 정보를 인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약품코드 생성 방법.
KR1020170030583A 2017-03-10 2017-03-10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37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83A KR102371738B1 (ko) 2017-03-10 2017-03-10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83A KR102371738B1 (ko) 2017-03-10 2017-03-10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524A true KR20180103524A (ko) 2018-09-19
KR102371738B1 KR102371738B1 (ko) 2022-03-08

Family

ID=6371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583A KR102371738B1 (ko) 2017-03-10 2017-03-10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145B1 (ko) * 2021-07-14 2022-01-12 주식회사 원스글로벌 의약품 코드 매칭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410970A1 (en) * 2022-06-21 2023-12-21 Parata Systems,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categorizing drug products based on characteristics thereof to reduc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ize used in validating the drug product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703A (ko) * 2000-04-06 2001-11-01 김진태 처방 조제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060039201A (ko) * 2004-11-02 2006-05-08 박장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개인 약력 관리방법
KR100805642B1 (ko) 2006-09-20 2008-02-26 서울대학교병원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KR20090001565A (ko) 2007-04-27 2009-01-09 주식회사 밥새우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
KR101074572B1 (ko) * 2011-05-31 2011-10-1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 조제 지원 방법
KR20110134532A (ko) 2010-06-09 2011-12-15 정미희 대학 병원 실시간 통합 정보 검색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KR20160036713A (ko) 2014-09-25 2016-04-05 주식회사 케이티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9014A (ko) * 2014-09-30 2016-04-08 이은상 처방 정보를 안내하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처방 안내 시스템 및 방법, 및 이 처방 안내 방법을 실행하는 앱
KR20160048463A (ko) * 2014-10-24 2016-05-04 이정화 약국의 보유약 정보 수집 및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703A (ko) * 2000-04-06 2001-11-01 김진태 처방 조제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060039201A (ko) * 2004-11-02 2006-05-08 박장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개인 약력 관리방법
KR100805642B1 (ko) 2006-09-20 2008-02-26 서울대학교병원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KR20090001565A (ko) 2007-04-27 2009-01-09 주식회사 밥새우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
KR20110134532A (ko) 2010-06-09 2011-12-15 정미희 대학 병원 실시간 통합 정보 검색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KR101074572B1 (ko) * 2011-05-31 2011-10-1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 조제 지원 방법
KR20160036713A (ko) 2014-09-25 2016-04-05 주식회사 케이티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9014A (ko) * 2014-09-30 2016-04-08 이은상 처방 정보를 안내하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처방 안내 시스템 및 방법, 및 이 처방 안내 방법을 실행하는 앱
KR20160048463A (ko) * 2014-10-24 2016-05-04 이정화 약국의 보유약 정보 수집 및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145B1 (ko) * 2021-07-14 2022-01-12 주식회사 원스글로벌 의약품 코드 매칭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738B1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7331B2 (en) Pharmacy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with bedside real-time medical event data collection
West Improving health care through mobile medical devices and sensors
Ferorelli et al. Medical legal aspects of telemedicine in Italy: application fields, professional liability and focus on care services during the COVID-19 health emergency
US201301979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health data record
US20070083393A1 (en) Portable record in electronic form
Gillespie et al. Innovation through regulation: COVID-19 and the evolving utility of telemedicine
Jepsen IT in healthcare: progress report
Srivastava et al. Continuity of care document for hospital management systems: an implementation perspective
KR20180103524A (ko)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Cortese A health care encounter of the 21st century
Thielst The new frontier of electronic, personal, and virtual health records
Kang et al. Appropriateness of ICNP in Korean home care nursing
Brooks Standards and interoperability in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Current status, problems, and research issues
US20100042432A1 (en) Therapy discharge reconciliation
Savino et al. The hospital of the future: Evidence-Based, data-driven
JP5992234B2 (ja) レセプト分析システムおよび分析方法
Collen et al. Medical informatics: past and future
JP2021047624A (ja) 薬局連携システムおよび方法
Banta Public health triumphs at WTO Conference
JP2012221087A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
US20210174915A1 (en) Bi-directional documentation building system
Mark et al. Towards Computerization of TB Care at Kibong’oto National TB Hospital in Tanzania
Furdu et al. ICT Applications and Solutions in Healthcare: Present and Perspectives
Yamaguchi New Solutions Using ICT in Clinical Trials and Clinical Research
Khan et al. Applications of 4.0 Technologies in Health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