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713A -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713A
KR20160036713A KR1020140128253A KR20140128253A KR20160036713A KR 20160036713 A KR20160036713 A KR 20160036713A KR 1020140128253 A KR1020140128253 A KR 1020140128253A KR 20140128253 A KR20140128253 A KR 20140128253A KR 20160036713 A KR20160036713 A KR 20160036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ocument
medical
matching rate
medic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901B1 (ko
Inventor
권명은
양정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2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9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의료정보화 시스템 내에서 로컬 HIE(Heath Information Exchange) 시스템 간에 또는 그와 연동하는 중앙의 HIE 시스템 또는 CTS(Common Terminology Service) 서버를 통하여 의료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한 의료정보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개의 병원정보 시스템과 연동하며, 상기 복수개의 병원정보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교류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교류정보 요청에 의한 의료정보 문서 내용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의료정보 문서를 표준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네트워크 자원을 가변적으로 할당하는 CTS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heath information exchange}
본 발명은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의료정보화 시스템 내에서 로컬 HIE(Heath Information Exchange) 시스템 간에 또는 그와 연동하는 중앙의 HIE 시스템 또는 CTS(Common Terminology Service) 서버를 통하여 의료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EHR(Electronic Health Record: 전자 건강 기록)이 의료계 및 관련 IT업계의 화두가 되고 있는 바, 이는 모든 의료기관의 전자 의료 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 의무 기록)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하여 공유하는 첨단 의료 정보화, 각 의료 기관별로 개별 관리되고 있는 환자의 진료 관련 자료들의 호환성을 향상시키고, 시스템 및 서비스 표준화를 통해 중복 투자와 낭비를 줄이며, 임상 진료의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이 주 목적이다.
전자 건강 기록(EHR)은 환자에 대한 처방 및 임상 실험, 진료 의사 결정뿐만 아니라 환자의 의료 정보에 대한 장기적 관리를 가능하게 해 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화된 시스템은 진료 정보에 대한 저장뿐만 아니라 원격 진료, 치료, 처방, 건강 관리 및 분석과 기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각 의료기관에는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 처방전달시스템),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등의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데, EMR이란 환자의 의무 기록을 말하며 주로 임상의사에 의하여 활용된다. 또한, OCS란 진료의 오더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하며 주로 의사 및 원무관리를 위해 활용된다. 한편, PACS란 의료영상관리 등을 위한 시스템을 말하며 주로 방사선과 의사 등에 의해 활용된다.
상술한 EHR은 이러한 각 의료기관의 EMR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운영함으로써 환자의 의료정보에 대한 장기적 관리 및 네트워크화된 시스템을 통한 의료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효율적인 HER 시스템을 위해서는 의료정보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나, 현재는, 가령, 동일한 증상에 대해서도 Fever 또는 pyrexia 등과 같이 다른 용어들이 사용되는 등 각 의료기관별로 사용하는 용어가 각각이라 의료정보의 교환에 어려움이 초래되고 있다.
또한, 진료 항목 코드체계가 의료기관별로 상이하고, 해외 의료기관의 진료 데이터를 국내 병원에서 활용하지 못하며, 심지어 한 병원 내에서도 표준 비적용으로 협력 진료에 곤란을 초래하며, 원격진료에도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KOSTOM(KOrea Standard Terminology Of Medicine)이라는 보건의료용어 표준 고시가 준비되고 있으며, HL7 국제표준에서도 CTS(Common Terminology Service)라는 표준을 두어 공통용어의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의료정보의 교환 시에는 중앙 또는 각 의료기관의 네트워크 상에 적절히 용어변환서버(가령, Common Terminology Server: CTS)를 배치하여 의료용어의 표준화를 수행하게 되는데, 각 의료기관 내에서의 표준화 비율과 의료기관 간의 용어 유사도의 차이에 따라 용어변환비율 및 변환소요시간이 각각 상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의료기관 또는 중앙에 배치된 서버를 통한 의료정보의 교환 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가변적 할당함으로써 전체 시스템 내에서 병원 간 의료정보 교류의 정확도와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의료기관 또는 중앙에 배치된 서버를 통한 의료정보의 교환 시 응급환자의 경우를 감안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우선 할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각 의료기관 또는 중앙에 배치된 서버를 통한 의료정보의 교환 시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산출된 일치율에 기반하여 최적화된 네트워크 자원의 가변적 할당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치율의 산출에 있어 헤더 정보와 바디 정보를 구별 처리함으로써 상황에 부합하도록 보다 신속하면서도 충분한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자원의 가변적 할당을 통한 의료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의 HIE에 할당된 각 의료기관 별 정보화의 정도를 감안하여 각 의료기관별로 네트워크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함으로써 보다 신속하면서도 충분한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자원의 가변적 할당을 통한 원활한 의료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한 의료정보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개의 병원정보 시스템과 연동하며, 상기 복수개의 병원정보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교류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교류정보 요청에 의한 의료정보 문서 내용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의료정보 문서를 표준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네트워크 자원을 가변적으로 할당하는 CTS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의 교환을 위한 방법은, CTS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개의 병원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병원정보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교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교류정보 요청에 의한 의료정보 문서 내용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의료정보 문서를 표준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네트워크 자원을 가변적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자원의 가변적 할당은, 상기 교류정보 요청을 분석하여 판단된 상기 교류정보 요청의 응급도를 기반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자원의 가변적 할당은, 상기 교류정보 요청의 대상 의료정보 문서상 용어들의 표준 공통용어들에 대한 일치율에 기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치율은, 상기 의료정보 문서상의 공통용어와 일치하는 용어의 개수와 원문의 용어 개수의 비율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일치율은, 상기 의료정보 문서상의 헤더 부분과 바디 부분의 처리를 별도로 하여, 헤더 부분의 일치율을 먼저 구하고, 상기 헤더 부분의 일치율을 긴급한 의료정보 교환에 사용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치율은, 상기 의료정보 문서상의 헤더 부분과 바디 부분의 처리를 별도로 하여, 헤더 부분의 일치율을 먼저 구하고, 바디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문서의 일치율은 전체 용어 개수와 상기 헤더 부분의 일치율에 기하여 추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치율은, 과거 처리된 문서들의 일치율을 참조하여 현 문서의 헤더에 대한 일치율을 추정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일치율은, 상기 현 문서의 헤더에 대한 일치율 및 과거 통계를 기반으로 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현 문서의 전체 진료정보의 예상 일치율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자원의 가변적 할당은, 상기 복수개의 병원정보 시스템 각각의 정보화계수를 고려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각 의료기관 또는 중앙에 배치된 서버를 통한 의료정보의 교환 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가변적 할당함으로써 전체 시스템 내에서 병원 간 의료정보 교류의 정확도와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각 의료기관 또는 중앙에 배치된 서버를 통한 의료정보의 교환 시 응급환자의 경우를 감안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우선 할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각 의료기관 또는 중앙에 배치된 서버를 통한 의료정보의 교환 시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산출된 일치율에 기반하여 최적화된 네트워크 자원의 가변적 할당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치율의 산출에 있어 헤더 정보와 바디 정보를 구별 처리함으로써 상황에 부합하도록 보다 신속하면서도 충분한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자원의 가변적 할당을 통한 의료정보의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중앙의 HIE에 할당된 각 의료기관 별 정보화의 정도를 감안하여 각 의료기관별로 네트워크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함으로써 보다 신속하면서도 충분한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자원의 가변적 할당을 통한 원활한 의료정보의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흐름의 예시이다.
도 3은 텍스트 기반 진료정보를 XML 기반의 표준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치율 산정의 대상의 한 예인 CDA 문서를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가령 CDA 문서의 헤더(Header) 부분의 정보와 바디(Body) 부분의 정보를 구분하여 일치율을 구하는 예시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아래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각 의료기관에 구축된 로컬 HIE(Heath Information Exchange) 시스템(100, 200)은 EMR(130, 230), OCS(도시하지 않음), PACS(도시하지 않음) 등과 연동하며, CTS(110, 210)를 통하여 진료정보 등을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이때, 중앙의 HIE 시스템(300)이 각각의 로컬 HIE 시스템(100, 200)에서 변환되지 못한 표준용어 변환 및 매칭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흐름의 예시이다.
제1 의료기관에 구축된 로컬 HIE 시스템(100)으로부터 중앙 HIE 시스템(300)으로 교류정보 요청이 발생되면(S10), 중앙 HIE 시스템이 이를 수신하여 교류정보 데이터를 선별하고(S20), 분석 및 리소스 할당을 수행하고(S30), 로컬 영역의 해당 데이터 저장소로 접근 요청을 전송한다(S40).
로컬 HIE 시스템(100)은 교류정보를 선별하고(S50), 로컬 CTS 시스템(110)은 이에 대한 표준공통 용어로의 변환을 수행하여(S60), 중앙 CTS 시스템(300)으로 전송하는데, 중앙 HIE 시스템(300)에서는 변환되지 않은 용어들을 변환하고 매칭을 수행한다(S70). 용어 변환 및 매칭이 완료되면 중앙 CTS 시스템(300)은 의료정보를 교환할 각 로컬 HIE 시스템(100, 200)으로 결과를 전송하여 적용하게 된다(S80, S90).
여기서, 중앙 HIE 시스템(300)이 수행하는 분석 및 리소스 할당(S30) 과정에서는 네트워크 리소스의 효율적인 할당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시점 t에서의 중앙 HIE 시스템(300)의 전체 네트워크 자원을 HIE(t)라 하고, 중앙 HIE 시스템(300)이 n개 의료기관의 로컬 HIE 시스템과 연동한다고 가정하고, 이때, 위의 n개 의료기관의 로컬 HIE 시스템에 할당되어야 할 네트워크 자원을 L_HIE(t)라고 하면, 중앙 HIE 시스템(300)의 여유 네트워크 자원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Reserved HIE(t)= HIE(t) - L_HIE(t)
위 관계식과 같이 여유 네트워크 자원 Reserved HIE(t)는 현재 중앙 HIE 시스템(300)과 연동하고 있는 n개 의료기관의 로컬 HIE 시스템에 할당되어야 할 네트워크 자원이 얼마나 필요한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n개 의료기관의 로컬 HIE 시스템 각각에 할당되어야 할 네트워크 자원은, 일례로, 각 로컬 HIE 시스템 별 기본 네트워크 자원 할당량에 대하여 응급도, 일치율 및 병원 정보화계수를 고려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응급도란 현재 의료정보 교환의 대상인 환자 증세의 심각 정도에 따른 긴급한 의료조치의 필요 정도에 의하여 결정되며, 예컨대, 중앙 HIE 시스템의 교류정보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라 1 내지 3 범위의 수치가 할당되도록 하거나, 1 내지 5 범위의 수치가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정보화계수란 현재 의료정보 교환을 수행하고 있는 각 의료기관이 어느 정도 의료 정보화가 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의료정보화가 충분히 수행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를 1로 하고 의료정보화 정도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 예컨대 0.1 내지 1.0 미만 정도의 수치가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치율이란 구체적 의료정보에 포함된 용어들을 표준화된 공통용어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표준화된 공통용어와 어느 정도 일치하였는지의 정도를 나타내 주기 위한 지표를 말한다.
이상에서는 중앙 HIE 시스템(300)에 CTS 서버(310)가 배치되어 교류정보의 처리를 하는 경우를 중점적으로 예시하였으나, 시스템 구성에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CTS 서버(310) 역시 전체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가 가능하며, 물리적인 서버 또는 컴퓨터 시스템의 형태가 아닌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특정 컴퓨터 시스템의 일부 또는 저장매체에 탑재될 수도 있다.
도 3은 텍스트 기반 진료정보를 XML 기반의 표준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기반 진료정보 문서(10)는, 가령, CDA 문서, 즉, 국제표준인 HL7에서 권고하는 XML 기반의 진료정보에 관한 표준문서(20)로 변환될 수 있는데, 그 과정에서 텍스트 기반 진료정보 문서(10)의 각 항목에 기재된 내용은 표준화된 공통용어로 변환된다. 여기서, CDA 문서(20)는 헤더 부분(21)과 바디 부분(23)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표준문서는 HL7 표준의 권고안에 따른 XML CDA 문서뿐만 아니라, CCR, CCD, CCDA 등 표준이나 향후 제정 및 변경될 다양한 표준 의료정보교환 포맷들에 따른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 표준 포맷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변환 과정에서 텍스트 기반 진료정보 문서(20)의 공통용어변환 일치율은, 우선 전체 문서의 헤더(header) 부분을 메타데이터로 이용하여 기본 일치율을 산출하고, 전체 문서의 공통용어변환 시의 일치율을 유추하여 의료정보의 긴급 교류에 활용하고, 전체 문서의 바디(Body) 부분에서 전체 공통용어변환의 일치율을 산출하는 과정에 의해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한 문서변환의 최적화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표준 공통용어로의 변환에 있어서는, 진단, 수술 및 처치, 임상검사, 방사선의학, 치과, 보건, 주호소, 기타, 인체그림 등 각각의 항목에 관련된 표준공통용어 및 개념들이 정의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진단용어는 ICD-10, UMLS, 의료행위는 ICD-9-CM, UMLS 등의 표준을 따르게 되며 한국의 KOSTOM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d는 일치율 산정의 대상의 일례인 CDA 문서를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 부분을 구성하는 항목 중 XML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기본 일치율 산출에 필요한 항목을 선정할 수 있다. 각 항목들은 가령, confidentialityCode, CodeSystem, id extension, assigned person, patientPatient, birthtimeValue 등이다.
또한, 바디 항목 중 XML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일치율 산출에 필요한 항목을 선정할 수 있는데, 각 항목은 예컨대, Content id (복수 개), observation classCode 등이 될 수 있다.
일치율의 산정에 있어서는, 예컨대, 각 용어 및 개념 항목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공통용어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일치율을 산출할 수 있게 되는데, 가령, 공통용어와 일치하는 용어의 개수를 원문의 용어 개수로 나누어 이를 일치율로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헤더 부분과 바디 부분의 처리를 별도로 하여, 헤더 부분의 일치율을 먼저 구하고 바디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문서의 일치율은 전체 용어 개수에 헤더 부분의 일치율을 곱하여 추정하는 방식도 사용할 수 있다.
일치율의 계산 자체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자원 할당의 부담을 감안하여,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나, 과거 건 별 진료정보의 전체용어와 표준용어와의 일치율은 통계정보로서, 아직 일치율을 계산하지 않은 진료정보의 예상 일치율은 확률정보로서 활용하는 방식을 통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적정하게 활용할 수 있다.
가령, 헤더 부분의 일치율을 X라 하면, X= (현 문서의 일치율 X 가중치α) + (과거문서 일치율 X 가중치β)와 같은 계산 방식을 적용하고, 여기서 가중치인 α와 β는 문서 변환 양을 감안하여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또한, 바디 부분의 일치율은 바디 부분의 일치율을 헤더 부분과 마찬가지로 직접 계산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과거의 일치율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의 방법을 통해 구할 수도 있다.
가령, 바디 부분을 포함한 전체 진료정보의 예상 일치율을 Y라 하고 헤더 부분의 일치율을 X라 하면, Y= b + aX + c와 같이 가정할 수 있고, 여기서 a, b는 알려진 X값의 분포에 대하여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 등을 적용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또한, c는 오차 보정을 위한 값으로서 통계 추이에 따라 적절히 설정이 가능하다.
도 5는 CDA 문서의 헤더(Header) 부분의 정보와 바디(Body) 부분의 정보를 구분하여 일치율을 구하는 또 다른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현 문서를 이용하여 헤더 부분의 분석을 수행하는데(S102), 통상, 전체 문서에서 헤더 부분은 환자 정보, 작성자, 작성일자, 문서 타입, 제공자 등 극히 적은 정보량을 갖고 있으므로 빠른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헤더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동일 환자, 부위, 병원 등 유사한 다른 과거 문서가 충분히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S104). 여기서 충분히 존재한다는 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로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유사한 과거 문서가 충분히 존재한다면 과거 문서들의 일치율을 참조하여 현 문서의 헤더에 대한 일치율 X를 추정할 수 있게 되는데(S106), 그 방법은 X= (현문서 헤더 부분의 일치율 X 가중치α) + (과거문서 전체(헤더 + 바디)의 일치율 X 가중치β)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인 α와 β는 문서 변환 양을 감안하여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또한, 현 문서 전체에 대한 일치율 Y를 추정할 수 있게 되는데(S108), 그 과정에서는 과거 일치율에 대한 통계정보를 활용하여 현 문서의 전체 진료정보의 예상 일치율을 Y라 하고 위에서 산출된 헤더 부분의 일치율을 X라 하면, Y= b + aX + c와 같이 가정할 수 있고, 여기서 a, b는 알려진 X값의 분포에 대하여 회귀분석 내지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 등을 적용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또한, c는 오차 보정을 위한 값으로서 통계 추이에 따라 적절히 설정이 가능하다.
만일, 동일 환자, 부위, 병원 등 유사한 다른 과거 문서가 충분히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라면, 바디 부분의 일치율 비교를 위한 항목을 선정하는데(S110), 바디 부분에는 입원 세부 정보(admission details), 진단(diagnosis), 환자 세부 정보(patient details), 처방(medications), 사후관리(follow-up) 등의 정보들이 하나 또는 다수의 항목에 자유로운 텍스트 또는 코드화된 엔트리들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비교항목들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일치율을 직접 산정하는데, 전체 일치율 Y는 태그 정보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직접 산정될 수 있다(S112).
Y = (헤더 부분과, 바디 부분의 선택항목에서 공통용어와 일치하는 용어의 개수)/(헤더 부분과, 바디 부분의 선택항목의 전체 용어 개수)
이상과 같이 일치율이 추정 또는 산정되면 일치율에 기반한 네트워크 리소스 할당이 이루어지고(S114), 현 문서의 표준화가 수행되며(S116), 전송됨으로써(S118), 표준화 완료문서로써 계산된 일치율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S12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진료정보 문서
20: CDA 문서
21: 헤더 부분
23: 바디 부분
100, 200: 로컬 HIE
300: 중앙 HIE
110, 210: CTS
310: CTS 서버
130, 230: EMR
120, 220: CDA

Claims (10)

  1. 의료정보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개의 병원정보 시스템과 연동하며, 상기 복수개의 병원정보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교류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교류정보 요청에 의한 의료정보 문서 내용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의료정보 문서를 표준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네트워크 자원을 가변적으로 할당하는 CTS 서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자원의 가변적 할당은, 상기 교류정보 요청을 분석하여 판단된 상기 교류정보 요청의 응급도를 기반으로 하는 것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자원의 가변적 할당은, 상기 교류정보 요청의 대상 의료정보 문서상 용어들의 표준 공통용어들에 대한 일치율에 기반하는 것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율은, 상기 의료정보 문서상의 공통용어와 일치하는 용어의 개수와 원문의 용어 개수의 비율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것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율은, 상기 의료정보 문서상의 헤더 부분과 바디 부분의 처리를 별도로 하여, 헤더 부분의 일치율을 먼저 구하고, 상기 헤더 부분의 일치율을 긴급한 의료정보 교환에 사용하도록 하는 것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율은, 상기 의료정보 문서상의 헤더 부분과 바디 부분의 처리를 별도로 하여, 헤더 부분의 일치율을 먼저 구하고, 바디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문서의 일치율은 전체 용어 개수와 상기 헤더 부분의 일치율에 기하여 추정하는 것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율은, 과거 처리된 문서들의 일치율을 참조하여 현 문서의 헤더에 대한 일치율을 추정하는 것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율은, 상기 현 문서의 헤더에 대한 일치율 및 과거 통계를 기반으로 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현 문서의 전체 진료정보의 예상 일치율을 산출하는 것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자원의 가변적 할당은, 상기 복수개의 병원정보 시스템 각각의 정보화계수를 고려하는 것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10. 의료정보의 교환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CTS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개의 병원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병원정보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교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교류정보 요청에 의한 의료정보 문서 내용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의료정보 문서를 표준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네트워크 자원을 가변적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교환 방법.
KR1020140128253A 2014-09-25 2014-09-25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102357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253A KR102357901B1 (ko) 2014-09-25 2014-09-25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253A KR102357901B1 (ko) 2014-09-25 2014-09-25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713A true KR20160036713A (ko) 2016-04-05
KR102357901B1 KR102357901B1 (ko) 2022-02-07

Family

ID=5579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253A KR102357901B1 (ko) 2014-09-25 2014-09-25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9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224B1 (ko) 2017-03-21 2018-07-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번호 동기화를 위한 고유식별코드 생성 방법, 이를 이용한 환자번호 동기화 방법
KR20180103524A (ko) 2017-03-10 2018-09-19 서울대학교병원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457321B1 (ko) * 2022-04-07 2022-10-2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긴급도를 고려한 멀티채널에서의 ccr문서 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2457320B1 (ko) * 2022-04-07 2022-10-2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긴급도를 고려한 멀티채널에서의 ccr문서 브로드캐스팅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4025A (ko) * 2005-11-22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위한 자원 할당 방법
KR20120061781A (ko) * 2012-02-15 2012-06-13 주식회사 메타헬스 전자건강기록기반 진료패턴의 표준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2598A (ko) * 2011-01-14 2012-07-24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다중 워크플로우를 위한 비용기반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58848B1 (ko) * 2011-11-11 2013-05-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KR20140068740A (ko) * 2012-11-28 2014-06-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4025A (ko) * 2005-11-22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위한 자원 할당 방법
KR20120082598A (ko) * 2011-01-14 2012-07-24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다중 워크플로우를 위한 비용기반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58848B1 (ko) * 2011-11-11 2013-05-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KR20120061781A (ko) * 2012-02-15 2012-06-13 주식회사 메타헬스 전자건강기록기반 진료패턴의 표준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8740A (ko) * 2012-11-28 2014-06-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524A (ko) 2017-03-10 2018-09-19 서울대학교병원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883224B1 (ko) 2017-03-21 2018-07-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번호 동기화를 위한 고유식별코드 생성 방법, 이를 이용한 환자번호 동기화 방법
KR102457321B1 (ko) * 2022-04-07 2022-10-2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긴급도를 고려한 멀티채널에서의 ccr문서 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2457320B1 (ko) * 2022-04-07 2022-10-2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긴급도를 고려한 멀티채널에서의 ccr문서 브로드캐스팅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901B1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1792B2 (en) Identification, stratification, and prioritization of patients who qualify for care management services
US7664659B2 (en) Displaying clinical predicted length of stay of patients for workload balancing in a healthcare environment
US90151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enhance queries in an affinity domain
US201403585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recording, tracking, and analysis in critical results medical communication
US20140100883A1 (en) Contracts and organization management program
US201301979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health data record
US201303255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pulation health management
US200601099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medical department workflow optimization
EP1836632A2 (en) Procedural medicine workflow management
US115376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data processing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processing
US20150081332A1 (en) Method for Indexing, Searching and Retrieving Health Information
KR102357901B1 (ko)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US20150149192A1 (en) Systems and methods to optimize radiology exam distribution
US20100274589A1 (en) Method for outputting medical documents
Zillner et al. Towards a technology roadmap for big data applications in the healthcare domain
US20210090717A1 (en) Cloud-based patient data exchange
US20120173277A1 (en) Healthcare Quality Measure Management
Wang et al. Technology standards in imaging: a practical overview
AU2020101946A4 (en) HIHO- Blockchain Technology: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CARE OBSERVATION USING BLOCKCHAIN TECHNOLOGY
JP2019537121A (ja) 医療機関リソース利用を最適化する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2133444A (zh) 应用于突发卫生事件的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Otsubo et al. Evaluation of resource allocation and supply–demand balance in clinical practice with high‐cost technologies
Mudaris Electronic Health Records: Planning the Foundation for Digital Healthcare in Malaysia
US201100224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comprehensive medical records
Zulu et al. Enterprise Medical Imaging in the Global Sout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