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740A -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8740A
KR20140068740A KR1020120156265A KR20120156265A KR20140068740A KR 20140068740 A KR20140068740 A KR 20140068740A KR 1020120156265 A KR1020120156265 A KR 1020120156265A KR 20120156265 A KR20120156265 A KR 20120156265A KR 20140068740 A KR20140068740 A KR 20140068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message
server
request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0385B1 (ko
Inventor
박석천
윤성열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4006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의 의료정보 교환 방법은 의료정보 요청 단말로부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를 병원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준화된 구조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표준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요청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AND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METHOD}
본 발명은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정보 서비스는 정보통신 기술을 의료 사업에 적용하는 것으로, 의료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병원 별 또는 병원 내의 진료과 별로 독자적으로 구축되어 왔다.
한편, 원격진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병원 간 또는 병원 내의 네트워크 인프라가 발전함에 따라, 의료정보를 교환할 필요가 발생하고 있다. 환자가 병원에 기록된 자신의 의료정보를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 만성질환자가 자신의 측정 기록을 병원에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환자가 다른 병원으로 옮겨 진료를 받고자 하는 경우, 공공기관 등에서 환자의 의료 기록을 필요로 하는 경우 등이 그 예이다.
그런데, 병원마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형식이 다르다. 따라서, 서로 다른 병원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의료정보를 교환하는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의 의료정보 교환 방법은 의료정보 요청 단말로부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를 병원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준화된 구조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표준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요청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는 요청 유형에 관한 정보 및 환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 유형은 개인의료정보, 환자조회, 검사결과, 병력, 수술내역, 초진기록, 방사선 치료경과, 항암치료 내역, 가정간호방문스케줄, 의료기관 내원 기록, 예방접종 내역, 활력징후, 처치시술내역 중 하나이고,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는 상기 요청 유형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는 CCR(Continuity of Care Record)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인증 프록시 서버에게 상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프록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상기 인증 프록시 서버를 통하여 상기 요청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시지는 요청 유형 및 상기 요청 단말의 아이디를 포함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인증 프록시 서버의 정보, 상기 요청 단말의 상태 및 상기 요청 단말의 아이디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은 상기 제1 메시지, 상기 제2 메시지 및 상기 제3 메시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비밀키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인증 프록시 서버와 공개키를 교환하며, 상기 공개키를 교환하기 위한 메시지는 표준화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은 의료정보 요청 단말로부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를 병원 서버로 전달하고,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의료정보 요청 단말에게 전송하는 의료정보 교환 서버, 그리고 상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준화된 구조로 변환하며, 표준화된 데이터를 상기 의료정보 교환 서버에게 전달하는 연동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는 요청 유형에 관한 정보 및 환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는 상기 요청 유형 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병원 시스템에 의하여 서로 다른 형식으로 관리되고 있는 의료정보들을 표준화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구조로 의료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의료정보 교환 시의 보안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정보를 효율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병원 서버, 연동 서버 및 의료정보 교환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병원 서버, 연동 서버, 의료정보 교환 서버 및 의료정보 요청 단말 간의 의료정보 교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의 전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은 병원 서버(100), 연동 서버(200),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 및 의료정보 요청 단말(400)을 포함한다.
병원 서버(100)는 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한다. 병원 서버(100)는 환자가 병원에서 진료받은 기록이나 투약, 일반 정보들을 포함하는 의료정보를 제공한다.
연동 서버(200)는 병원 서버(100)와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 간을 연동하며, 병원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준화된 구조로 변환하여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로 전달한다.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는 병원 서버(100)와 의료정보 요청 단말(400)을 연결하여 환자의 의료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형태로 관리한다. 연동 서버(200)와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는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동 서버(200)는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의 일부일 수도 있다.
의료정보 요청 단말(400)은 병원 서버(100)로부터 환자의 의료정보를 수신하며, 환자의 의료정보를 열람, 편집할 수 있다. 의료정보 요청 단말(400)은 환자의 단말, 타 병원의 단말, 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공공 기관의 단말, 보험회사의 단말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의료정보 요청 단말(400)은 PC, 노트북, 휴대용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PDA폰, 스마트폰, PMP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의료정보 요청 단말은 요청 단말과 혼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병원 서버, 연동 서버 및 의료정보 교환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병원 서버, 연동 서버, 의료정보 교환 서버 및 의료정보 요청 단말 간의 의료정보 교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병원 서버(100)는 웹 서버(101) 및 의료기록 DB(103)를 포함한다. 웹 서버(101)는 의료기록 DB(103)에 저장된 환자의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을 웹을 통해 외부에 제공한다. EMR의 구조는 병원마다 상이할 수 있다. 즉, 병원마다 저장된 의료정보의 실질적인 내용은 유사하지만, 저장 형식(예, 항목, 순서, 용어)이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병원마다 상이한 EMR의 구조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연동 서버(200)를 더 구비한다.
연동 서버(200)는 송수신 모듈(201) 및 변환 모듈(203)을 포함한다. 송수신 모듈(201)은 병원 서버(100),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 요청 단말(400)과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변환 모듈(203)은 병원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준화된 구조로 변환한다.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는 송수신 모듈(301), PHR(Personal Health Record) 모듈(303) 및 암호화 모듈(305)을 포함한다. 송수신 모듈(301)은 병원 서버(100), 연동 서버(200), 요청 단말(400)과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PHR 모듈(303)은 표준화된 구조로 변환된 환자의 의료정보를 PHR 도구를 이용하여 관리한다. 암호화 모듈(305)은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암호화하거나 수신한 메시지를 복호화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요청 단말(400)은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에게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300),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는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를 병원 서버(100)에게 전달한다(S310).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면 요청 유형에 관한 정보 및 환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유형은, 예를 들면 개인의료정보, 환자조회, 검사결과, 병력, 수술내역, 초진기록, 방사선 치료경과, 항암치료 내역, 가정간호방문스케줄, 의료기관 내원 기록, 예방접종 내역, 활력징후, 처치시술내역 중 하나일 수 있다. 요청 유형은 미리 정의된 코드(code)로 식별될 수 있다.
병원 서버(100)는 의료기록 DB(103)로부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조회한다(S320). 병원 서버(100)는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유형에 관한 정보 및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정보 DB(103)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병원 서버(100)는 조회한 데이터를 연동 서버(200)에게 전송하고(S330), 연동 서버(200)는 병원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준화된 구조로 변환한다(S340). 즉, 연동 서버(200)는 병원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요청 유형 별로 미리 표준화된 구조에 삽입될 항목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항목을 이용하여 요청 유형 별로 표준화된 데이터를 생성한다. 연동 서버(200)는 CCR(Continuity of Care Record)에 따라 데이터를 표준화할 수 있다. 여기서, CCR은 클리닉 또는 개인의 간의 정보의 교환의 필요성으로 인해 개발된 임상 프레임워크(clinical framework)이다. 이러한 CCR은 구조화된 의료정보를 전자적으로 교환하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서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사용할 수 있다. CCR은 표준 문서 포맷인 XML문서 구조 헤더(Header), 바디(Body), 풋터(Foo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헤더(Header)는 환자의 이름이나 성별과 같은 환자의 식별 정보, 문서를 생성하게 된 목적, 문서를 생성한 시각과 문서의 버전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Body)는 의료정보에 관한 실질적인 데이터 즉 가족력, 질병, 알레르기, 혈압, 투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풋터(Footer)는 CCR 문서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와 관련된 개인, 기관, 시스템 등에 대한 정보, CCR 데이터에 대한 부연설명(Reference, Comments), CCR 문서에 대한 사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동 서버(200)는 표준화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에게 전송하며(S350),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는 이를 암호화한다(S360). 그리고,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는 표준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요청 단말(400)에게 전송한다(S370).
이와 같이, 연동 서버(200)는 병원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요청 유형 별로 미리 정의된 구조에 따라 표준화한다. 이에 따라, 병원 서버(100)마다 다른 형식으로 관리되는 의료정보가 효율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여기서, 연동 서버(200)가 병원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만을 표준화된 구조로 변환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동 서버(200)는 요청 단말(400)로부터 수신한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를 표준화하고, 이를 병원 서버(100)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즉, 요청 단말(400)마다 다른 형식으로 전송한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로부터 요청 유형에 관한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표준화된 구조로 변환한 후 병원 서버(100)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이하,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와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의 표준화된 구조의 예를 설명한다.
표 1은 개인의료정보에 관한 표준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유형 BasicPersonalInformation
1 HospitalID 병원아이디
1 LoginID 사용자아이디
1 PatientID 환자번호
응답 1 PersonalInformation 개인정보 레코드
2 PatientName 환자명
2 Gender 성별
2 Age 나이
2 ResidentID 주민등록번호
2 Address 주소
2 HomePhoneNumber 자택전화번호
2 OfficePhoneNumber 직장전화번호
2 CellPhoneNumber 휴대폰번호
2 Email 이메일
2 Allergy 알레르기
표 1과 같이,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가 요청 유형(Type)으로 개인의료정보(Basic Personal Information)를 포함하고, 병원 아이디(HospitalID), 사용자 아이디(LoginID), 환자번호(PatientID)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개인정보 레코드(Personal Information), 환자명(PatientName), 성별(Gender), 나이(Age), 주민등록번호(ResidentID), 주소(Address), 자택전화번호(HomePhoneNumber), 직장전화번호(OfficePhoneNumber), 휴대폰번호(CellPhoneNumber), 이메일(Email), 알레르기(Allerge)를 포함하는 표준화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표 2는 환자조회에 관한 표준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타병원의 의사, 간호사가 환자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경우 이용될 수 있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 유형 PatientSearch
1 ResidentID 주민등록번호 년도포함
ex)197404111234567
응답 1 PersonalInformation 개인정보 레코드
2 PatientName 환자명
2 Gender 성별
2 Age 나이
2 ResidentID 주민등록번호
2 Address 주소
2 HomePhoneNumber 자택전화번호
3 OfficePhoneNumber 직장전화번호
2 CellPhoneNumber 휴대폰번호
2 Email 이메일
1 Allergy 알레르기
표 2와 같이,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가 요청 유형(Type)으로 환자조회(PatientSearch)를 포함하고, 주민등록번호(ResidentID)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개인정보 레코드(Personal Information), 환자명(PatientName), 성별(Gender), 나이(Age), 주민등록번호(ResidentID), 주소(Address), 자택전화번호(HomePhoneNumber), 직장전화번호(OfficePhoneNumber), 휴대폰번호(CellPhoneNumber), 이메일(Email), 알레르기(Allerge)를 포함하는 표준화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표 3은 검사결과에 관한 표준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환자가 받은 검사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 검사 결과, 단위, 참고치, 출처 ID, 출처명 등을 조회할 경우 이용될 수 있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 유형 CHK
1 LoginID 로그인 아이디
1 PatientID 환자번호
1 StartDate 검색 시작 일시
1 EndDate 검색 종료 일시
응답 1 CheckLists 검사결과 레코드
2 CheckList 검사결과
3 TestDate 검사일
3 TestTime 검사시간
3 Sample 검체
3 TestName 검사명
3 Results 결과
3 Unit 단위
3 Standard 참고치
3 HL H / L High / Low
3 DP D / P Delta/Panic
3 NA N / A Normal/AbNormal
표 3과 같이,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가 요청 유형(Type)으로 검사결과(CHK)를 포함하고, 로그인 아이디(LoginID), 환자번호(PatientID), 검색 시작 일시(StartDate), 검색 종료 일시(EndDate)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검사결과 레코드(CheckLists), 검사결과(CheckList), 검사일(TestDate), 검사시간(TestTime), 검체(Sample), 검사명(TestName), 결과(Results), 단위(Unit), 참고치(Standard) 등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표 4는 병력에 관한 표준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환자가 진료를 받았던 내역, 의사명, 상병 내역, 투약 내역, 투약 코드, 투약명, 투약 용량, 제조사, 특수 검사 등을 조회할 경우 이용될 수 있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 유형 MedicalHistory
1 LoginID 로그인 아이디
1 PatientID 환자번호
1 StartDate 검색시작 일시
1 EndDate 검색종료 일시
응답 1 MedicalHistorys 병력 레코드
2 MedicalHistory 병력
3 Dept 부서명
3 DoctNo 의사번호
3 DoctName 의사명
3 Date 일시
3 AdmissionType 외래/입원 구분
3 Impressions 상병내역 레코드
4 Impression 상병내역
3 Medications 투약내역 레코드
4 Medication 투약내역
5 Code 투약코드
5 Text 투약명
5 Quantity 용량 ex)1일1회
5 ProductName 상품명
5 Manufacturer 제조사
3 LabChecks 랩검사 레코드
4 LabCheck 랩검사
3 Radiations 방사선 레코드
4 Radiation 방사선
3 SpecialChecks 특수검사 레코드
4 SpecialCheck 특수검사
표 4와 같이,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가 요청 유형(Type)으로 병력(MedicalHistory)을 포함하고, 로그인 아이디(LoginID), 환자번호(PatientID), 검색 시작 일시(StartDate), 검색 종료 일시(EndDate)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병력 레코드(MedicalHistorys), 병력(MedicalHistory), 부서명(Dept), 의사번호(DoctNo), 의사명(DoctName), 일시(Date), 외래/입원 구분(AdmissionType), 상병내역 레코드(Impressions), 상병내역(Impression), 투약내역 레코드(Medications), 투약내역(Medication), 투약코드(Code), 투약명(Text), 용량(Quantity), 상품명(ProductName), 제조사(Manufacturer), 랩검사 레코드(LabChecks), 랩검사(LabCheck), 방사선 레코드(Radiations), 방사선(Radiation), 특수검사 레코드(SpecialChecks), 특수검사(SpecialCheck) 등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표 5는 수술내역에 관한 표준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환자가 받은 수술내역, 수술을 진행한 의사 등을 조회할 경우 이용될 수 있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 유형 OP
1 LoginID 로그인 아이디
1 PatientID 환자번호
1 StartDate 검색시작 일시
1 EndDate 검색종료 일시
응답 1 OPList 수술내역 레코드
2 OP 수술내역
3 Date 수술일
3 Dept 수술과
3 OperationName 수술명
3 PreOPImpressions 수술전 진단명 레코드
4 PreOPImpression 수술 전 진단명
3 PostOPImpressions 수술 후 진단명 레코드
4 PostOPImpression 수술 후 진단명
3 TypeOfOP 수술 유형
3 MethodOfAnesthesia 마취 방법
3 Surgeons 집도의 레코드
4 Surgeon 집도의명
3 OtherSurgeons 타과정보 레코드
4 Other 타과정보 레코드
5 OtherSurgeon 타과 집도의명
5 OtherDept 타과 집도과명
3 Assistants Assistant 레코드
4 Assistant Assistant명
3 Finding Finding
3 Procedure Procedure
3 Recorder Recorder
표 5와 같이,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가 요청 유형(Type)으로 수술내역 (OP)을 포함하고, 로그인 아이디(LoginID), 환자번호(PatientID), 검색 시작 일시(StartDate), 검색 종료 일시(EndDate)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수술내역 레코드(OPLists), 수술내역(OP), 수술일(Date), 수술과(Dept), 수술명(OperationName), 수술전 진단명 레코드(PreOPImpressions), 수술전 진단명(PreOPImpression), 수술후 진단명 레코드(PostOPImpressions), 수술후 진단명(PostImpression), 수술 유형(TypeofOP), 마취 방법(Method of Anesthesia), 집도의 레코드(Surgens), 집도의명(Surgeon), 타과 정보 레코드(OtherSurgeons), 타과 집도의명(OtherSurgeon) 등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표 6은 초진기록에 관한 표준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환자가 병원에 처음 방문 시 작성한 내용을 조회할 경우 이용될 수 있다.
II/O D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요청 1 Type 요청 유형 First
Consultation
1 LoginID 로그인 아이디
1 PatientID 환자번호
1 StartDate 검색시작 일시
1 EndDate 검색종료 일시
응응답 1 BeginClinics 초진기록 레코드
2 BeginClinic 초진기록
3 PersonalInformation 인적사항
4 PatientID 환자등록 번호
4 PatientName 환자명
4 Gender 성별
4 Age 나이
4 DeptOfFirstConsultation 초진 진료과
4 Physician 진료교수
4 RecordDate 기록일지
3 InformationOfVisit 내원정보
4 ReferralClinic 의뢰병원
4 DetailsOfVisits 내원경위
3 PastHistorys 과거력 레코드
4 PastHistory 과거력
3 FamiliyHistorys 가족력 레코드
4 FamiliyHistory 가족력
3 SocialHistorys 사회력 레코드
4 SocialHistory 사회력
3 PhysicalMeasurement 신체 계측
4 Height
4 Weight 몸무게
표 6과 같이,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가 요청 유형(Type)으로 초진기록(FirstConsultation)을 포함하고, 로그인 아이디(LoginID), 환자번호(PatientID), 검색 시작 일시(StartDate), 검색 종료 일시(EndDate)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초진기록 레코드(BeginClinics), 초진기록(BeginClinic), 인적사항(PersonalInformation), 환자등록번호(PatientID), 환자명(PatentName), 성별(Gender), 나이(Age), 초진진료과(DeptofFirstConsultation), 진료교수(Physician), 기록일지(RecordDate), 내원정보(InformationofVisit), 의뢰병원(ReferralClinic), 내원경위(DetailsOfVisits), 과거력 레코드(PastHistorys), 과거력(PastHistory) 가족력 레코드(FamilyHistorys), 가족력(FamilyHistory), 사회력 레코드(SocialHistorys), 사회력(SocialHistory), 신체계측(Physica Measurement), 키(Height), 몸무게(Weight), 혈압(BloodPressure), 맥박(Pulse), 호흡(Respiration), 상담내역(SummaryOfConsel) 등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표 7은 방사선치료경과에 관한 표준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환자의 병리조직, 병합치료, 치료목적, 치료 시작일, 치료 종료일, 치료 부위, 치료 횟수 등을 조회할 경우 이용될 수 있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 유형 Radiation Therapy
1 LoginID 로그인 아이디
1 PatientID 환자번호
1 StartDate 검색시작 일시
1 EndDate 검색종료 일시
응답 1 RadiationTherapys 방사선치료경과 레코드
2 RadiationTherapy 방사선치료경과
3 PatientID 환자번호
3 BaseInformation 기본정보
4 RequetDept 의뢰과
4 DiagnosisName 진단
4 Stage 병기
4 Pathology 병리조직
4 PurposeOfTx 병합치료
4 CombinationTherapy 치료목적
3 Summarys 요약정보 레코드
4 Summary 요약정보
5 TreatmentStartDate 치료시작일
5 TreatmentEndtDate 치료종료일
5 TreatmentPart 치료부위
5 Energy 에너지
5 TreatmentNumber 치료횟수
5 TotalcGy 총조사량
3 ProtocolGroup ProtocolGroup
3 Operation Operation
3 ChemoTherapy ChemoTherapy
3 Comments Comments
표 7과 같이,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가 요청 유형(Type)으로 방사선치료경과(RadiationTherapy)를 포함하고, 로그인 아이디(LoginID), 환자번호(PatientID), 검색 시작 일시(StartDate), 검색 종료 일시(EndDate)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방사선치료경과 레코드(RadiationTherapys), 방사선치료경과(RadiationTherapy), 환자번호(PatientID), 기본정보(BasicInformation), 의뢰과(RequestDept), 진단(DiagnosisName), 병기(Stage), 병리조직(Pathology), 병합치료(CombinationTherapy), 치료목적(PurposeOfTx), 요약정보 레코드(Summarys), 요약정보(Summary), 치료시작일(TreatmentStartDate), 치료종료일(TreatmentEndDate), 치료부위(TreatmentPart), 에너지(Energy), 치료횟수(TreatmentNumber), 총조사량(TotaleGy), 프로토콜그룹(ProtocolGroup), 오퍼레이션(Operation), 화학적치료(ChemoTherapu), 코멘트(comments) 등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표 8은 항암치료에 관한 표준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환자의 기본 정보와 항암 요법 등을 조회할 경우 이용될 수 있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 유형 AntiCancer Therapy
1 LoginID 로그인 아이디
1 PatientID 환자번호
1 StartDate 검색시작 일시
1 EndDate 검색종료 일시
응답 1 AntiCancerTherapys 항암치료레코드
2 AntiCancerTherapy 항암치료
3 PatientInformation 환자기본정보
4 Weight 몸무게
4 Height
4 PatientName 환자명
4 GenderAge 성별/나이
3 HistoryOfPatient 환자의 병력
3 AntiCancerTherapyInformation 항암요법기본정보
4 TypeOfChemo 항암요법의 종류
4 OrderOfChemo 항암요법의 차수
4 NameOfChemo 항암요법의 명칭
4 SummaryOfChemo 항암요법의 개요
(regimen)
3 AntiCancerTherapySheets 항암요법 sheet
레코드
4 AntiCancerTherapySheet 항암요법 sheet
5 Date Date
5 Other Other
5 Cycle Cycle#
5 DrugNameDosage1 약제명 및 용량 1
5 DrugNameDosage2 약제명 및 용량 2
5 DrugNameDosage3 약제명 및 용량 3
5 DrugNameDosage4 약제명 및 용량 4
5 DrugNameDosage5 약제명 및 용량 5
5 CombinationTherapy 병용요법
5 Analgesic 진토제
5 CombinationDrug 병용약
5 Symptom 증상
5 PhysicalOpinion 이학적소견
3 Significant 기타특이사항
3 Recorder 작성자
표 8과 같이,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가 요청 유형(Type)으로 항암치료(AntiCancerTherapy)를 포함하고, 로그인 아이디(LoginID), 환자번호(PatientID), 검색 시작 일시(StartDate), 검색 종료 일시(EndDate)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항암치료 레코드(AntiCancerTherpys), 항암치료(AnticancerTherapy), 환자의 기본정보(PatientInformation), 몸무게(Weight), 키(Height), 환자명(PatientName), 성별(Gender), 나이(Age), 환자의 병력(HistoryOfPatient), 항암요법 기본정보(AnticancerTherapyInformation), 항암요법의 종류(TypeOfChemo), 항암요법의 차수(OrderOfChemo), 항암요법의 명칭(NameOfChemo), 항암요법의 개요(SummaryOfChemo) 등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표 9는 가정간호방문스케줄에 관한 표준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의사나 간호사가 환자의 건강상태나 처방 내역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경우 이용될 수 있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 유형 HomeVisit
Schedule
1 SearchType 검색유형 Date : 날짜
PtntNo : 환자번호
1 SearchValue 검색값
응답 1 HomeVisitSchedules 가정간호방문
스케줄 레코드
2 HomeVisitSchedule 가정간호방문
스케줄
3 PatientName 환자명
3 PatientID 환자아이디
3 Sex 성별
3 Age 나이
3 Addr 주소
3 PhoneNo 전화번호
3 DeptName 진료과
3 DoctName 지정의
3 NurName 간호사
3 ScheduleYmd 검사일
표 9와 같이,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가 요청 유형(Type)으로 가정간호방문스케줄(HomeVisitSchedule)을 포함하고, 검색유형(SearchType) 및 검색값(SearchValue)을 포함하는 경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가정간호방문스케줄 레코드(HomeVisitSchedules), 환자명(PatientName), 환자아이디(PatientID), 성별, 나이, 주소, 전화번호, 진료과, 지정의, 간호사, 검사일 등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표 10은 의료기관 내원기록에 관한 표준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 유형 Encounter
1 LoginID 로그인 아이디
1 PatientID 환자번호
1 StartDate 검색시작 일시
1 EndDate 검색종료 일시
응답 1 Encounters 내역기록 레코드
2 Encounter 내역기록
3 EncounterType 내원유형
3 Description 내용
3 StartDate 시작날짜
3 EndDate 종료날짜
3 Location 장소
3 ActorName 행위자명/기관명
표 10과 같이,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가 요청 유형(Type)으로 내원기록(Encounter)를 포함하고, 로그인 아이디(LoginID), 환자번호(PatientID), 검색 시작 일시(StartDate), 검색 종료 일시(EndDate)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내역기록 레코드(Encounters), 내원유형(EncounterType), 내용(Description), 시작날짜, 종료날짜, 장소, 기관명 등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표 11은 예방접종에 관한 표준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 유형 Immunization
1 RequestType 요청타입 SEARCH
1 LoginID 로그인 아이디
1 PatientID 환자번호
1 ResidentID 검색 종료 일시
응답 1 Immunizations 예방접종 레코드
2 Immunization 예방접종
3 Index 해당레코드의 인덱스
3 DeptFlag 구분플래그 병원 : H
PHR서버 : P
3 ImmunizationName 접종명
3 Date 날짜
3 Type 유형
3 ProductName 상품명
3 Manufacturer 제조사
3 Route 투여 경로
3 Site 투여 위치
3 Stage 투여 차수
3 ActorName 행위자명/기관명
표 11과 같이,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가 요청 유형(Type)으로 예방접종내역(Immunization)을 포함하고, 로그인 아이디(LoginID), 환자번호(PatientID), 검색 종료 일시(EndDate)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예방접종 레코드, 구분플래그, 접종명, 날짜 등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표 12는 활력징후에 관한 표준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 유형 VitalSign
1 LoginID 로그인 아이디
1 PatientID 환자번호
1 StartDate 검색시작 일시
1 EndDate 검색종료 일시
응답 1 Vitalsigns 활력징후 레코드
2 Vitalsign 활력징후
3 Date 날짜
3 Time 시간
3 BPDiastolic 혈압-이완기
3 BPSystolic 혈압-수축기
3 Pulse 맥박
3 BodyTemperature 체온
3 Height
3 Weight 몸무게
3 BloodSugar 혈당
표 12와 같이,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가 요청 유형(Type)으로 활력징후(VitalSign)을 포함하고, 로그인 아이디(LoginID), 환자번호(PatientID), 검색 종료 일시(EndDate)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활력징후, 날짜, 시간, 혈압, 맥박, 체온, 키, 몸무게, 혈당 등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표 13은 처치/시술에 관한 표준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 유형 Procedure
1 LoginID 로그인 아이디
1 PatientID 환자번호
1 ResidentID 주민등록번호
1 StartDate 검색시작 일시
1 EndDate 검색종료 일시
응답 1 Procedures 처치시술 레코드
2 Procedure 처치시술
3 Description 시술명
3 Date 날짜
3 Position 자세
3 PrescriptionInput 처방입력자
3 Practioners 시술자
3 SourceRecorder 출처기록자
3 SourceDept 출처기관
표 13과 같이,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가 요청 유형(Type)으로 처치시술(Procedure)을 포함하고, 로그인 아이디(LoginID), 환자번호(PatientID), 검색 종료 일시(EndDate)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처치시술 레코드, 시술명, 날짜, 자세, 처방 입력자, 시술자, 출처기록자, 출처기관 등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의료정보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관련된 것으로, 높은 보안 수준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은 인증 프록시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인증 프록시 서버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1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의 암호화 모듈(305)은 보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 및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암호화 및 복호화한다. 즉,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는 요청 단말(400)로부터 암호화된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는 연동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표준화된 구조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암호화하여 요청 단말(4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보안 알고리즘은 ECC(Elliptic Curve Cryptography) 암호화 알고리즘의 ECDH(Elliptic Curve Diffie-Hellman)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ECDH 알고리즘은 타원곡선암호(ECC)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는 2개의 장치 간에 비밀키(Private Key) 생성을 위한 공개키(Public Key)를 교환할 때 표 14와 같은 공통적인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파라미터 정의
P 타원곡선이 정의된 유한체의 크기(소수)
E(GF(p)) 유한체 GF(p) 위에서
Figure pat00001
에 의해 정의된 타원곡선
a, b 타원곡선을 결정하는 방정식의 상수
x, y 타원곡선 한 점의 좌표
c 클라이언트가 생성하는 난수
k 서버가 생성하는 난수
G 타원곡선 상의 임의의 점(좌표)
이를 위하여, 인증 프록시 서버(500)는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와 공개키를 교환함으로써 병원 별로 고유한 비밀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프록시 서버(500)는 요청 단말(400)과 공개키를 교환함으로써 요청 단말 별로 고유한 비밀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인증 프록시 서버(500)와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 간의 공개키 교환을 위한 메시지 및 인증 프록시 서버(500)와 요청 단말(400) 간의 공개키 교환을 위한 메시지도 표준화될 수 있다. 표 15는 공개키 교환을 위한 메시지의 표준화된 구조이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 유형 SendPublicKey
1 DeviceID 단말 아이디
1 Key 단말 공개키
1 Parameter ECC 곡선 파라메터값
응답 1 Server Info 인증서버 정보
2 Key 인증서버 공개키
표 15와 같이, 공개키 교환을 위한 요청 메시지는 요청 유형(SendPublicKey), 단말 아이디(DeviceID), 단말 공개키(Key) 및 ECC 곡선 파라메터(Parameter)를 포함하도록 설정되고, 공개키 교환을 위한 응답 메시지는 인증 서버 정보(SeverInfo) 및 인증서버 공개키(Key)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와 인증 프록시 서버(500) 및 요청 단말(400)과 인증 프록시 서버(500)가 공개키 교환을 통하여 비밀키를 생성한 이후,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의 전달 절차는 도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연동 서버(200)에 의하여 변환된 표준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가정한다.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병원에 대한 비밀키는 akG인 것으로 가정하고,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요청 단말에 대한 비밀키는 bkG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의료정보 교환 서버(200)는 비밀키(akG)로 암호화된 초기(Init) 메시지를 인증 프록시 서버(500)로 전송한다(S501). 이때, 초기 메시지는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병원 서버(100)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요청 단말(4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프록시 서버(500)는 초기(Init) 메시지에 포함된 병원 서버(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통해 해당하는 병원에 대하여 고유한 비밀키(akG)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초기(Init) 메시지를 복호한다(S503). 그리고 초기(Init)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단말(4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통해, 비밀키(bkG)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초기 요청(requestInit) 메시지를 생성(S505)하여 요청 단말(400)로 전송한다(S507).
그러면, 요청 단말(400)은 비밀키(bkG)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응답(Ack) 메시지를 인증 프록시 서버(500)로 전송한다(S509).
인증 프록시 서버(300)는 S509 단계에서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비밀키(bkG)로 복호한다(S511). 그리고 비밀키(akG)로 암호화(S513)한 시작(ready) 메시지를 생성하여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로 전송한다(S515).
이후, 의료정보 교환 서버(300)는 비밀키(akG)로 암호화한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인증 프록시 서버(500)로 전송한다(S517).
그러면, 인증 프록시 서버(500)는 비밀키(akG)로 S517 단계에서 수신한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복호한다(S519). 그리고 복호된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비밀키(bkG)로 암호화(S521)하여 요청 단말(400)로 전달한다(S523).
이때, 단계 S501의 초기 메시지와 단계 S515의 시작 메시지는 표준화될 수 있다. 표 16은 단계 S501의 초기 메시지(요청)와 단계 S515의 시작 메시지(응답)의 표준화된 구조이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 유형 SendInit
1 DeviceID 단말 아이디
응답 1 Server Info 인증서버 정보
1 Ready 단말 상태 Ack/NAck
1 Target DeviceID 타겟단말 아이디
표 16과 같이, 단계 S501의 초기 메시지는 요청 유형(SendInit), 단말 아이디(DeviceID)를 포함하도록 설정되고, 단계 S515의 시작 메시지는 인증서버 정보(SeverInfo), 단말 상태(Ready) 및 타겟단말 아이디(TargetDeviceID)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507의 초기 요청 메시지와 단계 S509의 응답 메시지는 표준화될 수 있다. 표 17은 단계 S507의 초기 요청 메시지와 단계 S509의 응답 메시지의 표준화된 구조이다.
I/O Depth 영 문 명 한 글 명 비 고
요청 1 Type 요청 유형 requestInit
1 DeviceID 단말 아이디
1 Server Info 인증서버 정보
응답 1 Target DeviceID 타겟단말 아이디
1 Ready 단말 상태 Ack/NAck
표 17과 같이, 단계 S507의 초기 요청 메시지는 요청 유형(requestInit), 단말 아이디(DeviceID), 인증서버 정보(Server Info)를 포함하도록 설정되고, 단계 S509의 응답 메시지는 단말 상태(Ready) 및 타겟단말 아이디(TargetDeviceID)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의 의료정보 교환 방법에 있어서,
    의료정보 요청 단말로부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를 병원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준화된 구조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표준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요청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교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는 요청 유형에 관한 정보 및 환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교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유형은 개인의료정보, 환자조회, 검사결과, 병력, 수술내역, 초진기록, 방사선 치료경과, 항암치료 내역, 가정간호방문스케줄, 의료기관 내원 기록, 예방접종 내역, 활력징후, 처치시술내역 중 하나이고,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는 상기 요청 유형 별로 설정되는 의료정보 교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는 CCR(Continuity of Care Record)에 따르는 의료정보 교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인증 프록시 서버에게 상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프록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상기 인증 프록시 서버를 통하여 상기 요청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교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요청 유형 및 상기 요청 단말의 아이디를 포함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인증 프록시 서버의 정보, 상기 요청 단말의 상태 및 상기 요청 단말의 아이디를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의료정보 교환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은 상기 제1 메시지, 상기 제2 메시지 및 상기 제3 메시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비밀키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인증 프록시 서버와 공개키를 교환하며,
    상기 공개키를 교환하기 위한 메시지는 표준화된 구조인 의료정보 교환 방법.
  8. 의료정보 요청 단말로부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를 병원 서버로 전달하고,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의료정보 요청 단말에게 전송하는 의료정보 교환 서버, 그리고
    상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준화된 구조로 변환하며, 표준화된 데이터를 상기 의료정보 교환 서버에게 전달하는 연동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정보 응답 메시지는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요청 메시지는 요청 유형에 관한 정보 및 환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는 상기 요청 유형 별로 설정되는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KR20120156265A 2012-11-28 2012-12-28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 KR101490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5934 2012-11-28
KR1020120135934 2012-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740A true KR20140068740A (ko) 2014-06-09
KR101490385B1 KR101490385B1 (ko) 2015-02-06

Family

ID=5112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6265A KR101490385B1 (ko) 2012-11-28 2012-12-28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3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713A (ko) * 2014-09-25 2016-04-05 주식회사 케이티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6510A (ko)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통합 실손의료보험 자동청구방법 및 시스템
WO2023128272A1 (ko) * 2021-12-31 2023-07-06 동은정보기술 주식회사 보안을 강화한 웹소켓 기반의 실시간 비대면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541B1 (ko) * 2017-08-17 2019-03-26 주식회사 유비케어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63B1 (ko) * 2006-08-04 2010-07-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환자의 의료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1904A (ko) * 2010-10-22 2012-05-0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환경에서 프록시 기반 의료 데이터 접근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713A (ko) * 2014-09-25 2016-04-05 주식회사 케이티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6510A (ko)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통합 실손의료보험 자동청구방법 및 시스템
WO2023128272A1 (ko) * 2021-12-31 2023-07-06 동은정보기술 주식회사 보안을 강화한 웹소켓 기반의 실시간 비대면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385B1 (ko) 2015-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7397B2 (en) Records access and management
US200701800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of remotely collected external sensor measures
US20170091392A1 (en) Biometric identification telemedicine software
KR101490385B1 (ko)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
JP2002132962A (ja) 患者誤認防止のための病院医療情報システム。
Adarsha et al. User experience, IoMT, and healthcare
US201103139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US20160180048A1 (en) Cloud-based medical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nd system thereof
US20220164473A1 (en) Charting logic decision support in electronic patient charting
KR101467636B1 (ko)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인증 프록시 서버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
Jalalabadi et al. Initiating telehealth in a complex organization
JP2018010548A (ja) 健康利活用システム
KR102371738B1 (ko)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Beale et al. What a unique nurse identifier means for the future
JP7442371B2 (ja) 患者情報管理装置、患者情報管理方法、及び患者情報管理プログラム
TW201608517A (zh) 電子病歷管理方法及系統
Paulson et al. Small bowel obstruction conservatively managed in hospital-at-home
TWI552106B (zh) 醫療平台及其整合查詢系統
JP2010257304A (ja) 診療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の診療情報取得プログラム
KR20160086123A (ko) 전자 의무기록 제공 장치
Hafer et al. What COVID-19 teaches us about conducting clinical research remotely and electronically
KR102258404B1 (ko)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lf et al. Emergency nursing, Ebola, and public policy: the contributions of nursing to the public policy conversation
JP2012221087A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
JP7173539B2 (ja) サービス提供支援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