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541B1 -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541B1
KR101962541B1 KR1020170103969A KR20170103969A KR101962541B1 KR 101962541 B1 KR101962541 B1 KR 101962541B1 KR 1020170103969 A KR1020170103969 A KR 1020170103969A KR 20170103969 A KR20170103969 A KR 20170103969A KR 101962541 B1 KR101962541 B1 KR 101962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medical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290A (ko
Inventor
김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170103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5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의사 단말로부터의 정보입력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입력 요청으로부터 환자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의사 단말과 연관된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획득한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갖는 환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상기 환자 단말이 진입하는 경우,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DICAL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환자 단말을 이용하여, 의료기관 간에 개인 의료정보를 전달하거나, 응급상황 발생시 환자 단말에서 개인 의료정보를 공개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개인 의료정보는 개인에게 민감한 정보이므로, 쉽게 노출되거나 공유되어서는 안되는 정보이다. 그러나, 개인 의료정보는 필요한 시점에, 적합한 곳에 제공되는 경우, 활용도가 높은 정보이기도 하다.
예컨대, 고위험군인 환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주변의 도움이 필요로 하며, 이때 환자에 대한 개인 의료정보의 제공은 응급상황을 대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에 방문할 경우에도, 개인 의료정보를 제공하여, 환자의 과거 병력이나 상황을 전문의료진에게 알림으로써, 적절한 진료를 받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개인 의료정보를 필요한 시점에, 신뢰성 있는 곳에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특정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획득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환자 단말이 제2 의료기관 서버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 함으로써, 의료기관 간에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공유하여, 환자를 보다 정확하게 진료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환자 단말에 대한 보안해제를 요청한 보안해제 단말이, 공개허용 단말로 확인되는 경우, 환자 단말에서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에게 응급상황 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의사 단말로부터의 정보입력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입력 요청으로부터 환자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의사 단말과 연관된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획득한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갖는 환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상기 환자 단말이 진입하는 경우,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의료정보 제어 방법은 의사 단말로부터의 정보입력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입력 요청으로부터 환자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의사 단말과 연관된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갖는 환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상기 환자 단말이 진입하는 경우,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특정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획득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환자 단말이 제2 의료기관 서버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 함으로써, 의료기관 간에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공유하여, 환자를 보다 정확하게 진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단말에 대한 보안해제를 요청한 보안해제 단말이, 공개허용 단말로 확인되는 경우, 환자 단말에서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에게 응급상황 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환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에서의 개인 인식정보 입력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에 의해, 의료기관 서버에서 환자 단말로 개인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에 의해, 환자 단말에서 타 의료기관 서버로 개인 의료정보를 전달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에 의해, 환자 단말에서 타 의료기관 서버로 개인 의료정보를 전달하는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에서 환자 단말에서의 응급상황 발생시 정보를 제어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100)는 의사 단말(101), 환자 단말(103), 제1 의료기관 서버(105), 제2 의료기관 서버(107) 및 의료정보 제어 장치(109)를 포함할 수 있다.
의사 단말(101)은 예컨대,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PC 등일 수 있으며,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작성하여, 의사 단말(101)과 연관된 제1 의료기관 서버(105)에 저장하거나, 또는 제1 의료기관 서버(105) 내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의사 단말(101)은 의료정보 제어 장치(109)에 정보입력 요청을 전송 함으로써, 의료정보 제어 장치(109)의 제어에 따라, 환자 단말(103)을 통해, 제1 의료기관 서버(105) 내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제2 의료기관 서버(107)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
환자 단말(103)은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PC 등일 수 있으며, 의사 단말(101)로부터 정보입력 요청을 수신한, 의료정보 제어 장치(109)의 제어에 따라, 제1 의료기관 서버(105) 내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의료정보 제어 장치(109)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환자 단말(103)은 의료정보 제어 장치(109)의 제어에 따라, 제2 의료기관 서버(107)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진입하는 경우,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제2 의료기관 서버(107)에 전달할 수 있다.
즉, 환자 단말(103)은 의사 단말(101)에서 지정한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제1 의료기관 서버(105)에서 제2 의료기관 서버(107)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의료기관 서버(107)는 의사 단말(101) 또는 의료기관 내 접수 단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작성된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는 의사 단말(101) 또는 접수 단말에 의해, 편집될 수 있으며, 의사 단말(101)에서의 정보입력 요청에 따라, 환자 단말(103)에 전달될 수 있다.
제2 의료기관 서버(107)는 설정된 범위에, 진입하는 환자 단말(103)로부터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의료정보 제어 장치(109)는 의사 단말(101)로부터의 정보입력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입력 요청으로부터 환자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의사 단말(101)과 연관된 제1 의료기관 서버(105)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의료정보 제어 장치(109)는 상기 획득한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갖는 환자 단말(103)에 제공하고, 제2 의료기관 서버(107)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환자 단말(103)이 진입하는 경우, 환자 단말(130) 내 개인 의료정보를 제2 의료기관 서버(107)에 전달하도록 한다.
의료정보 제어 장치(109)는 의사 단말(101)에서 지정한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환자 단말(103)을 통해, 제1 의료기관 서버(105)에서 제2 의료기관 서버(107)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01), 프로세서(203) 및 데이터베이스(205)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1)는 의사 단말(또는, 환자 단말)로부터의 정보입력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입력 요청으로부터 환자 식별정보(예컨대, 환자명, 차트번호, 주민번호, 휴대폰번호 등)를 추출하고,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의사 단말과 연관된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의료정보는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연관된 환자 단말에, 환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제공될 수 있다.
의사 단말로부터의 정보입력 요청 수신시, 인터페이스부(201)는 의사 단말로부터 진료의뢰서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01)는 보안해제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 단말에 대한 보안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보안해제 요청으로부터 상기 보안해제 단말의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해제 단말은 예컨대, 구급대원, 경찰 등이 소지하는 통신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인터페이스부(201)에 의해, 상기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한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갖는 환자 단말에 제공하고, 제2 의료기관 서버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상기 환자 단말이 진입하는 경우,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하도록 한다.
즉, 프로세서(203)는 의사 단말에서 지정한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환자 단말을 통해, 제1 의료기관 서버에서 제2 의료기관 서버로 전달할 수 있게 하여, 타 병원으로의 진료 변경시, 이전 병원에서의 환자 기록지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3)는 인터페이스부(201)에 의해, 의사 단말로부터 진료의뢰서가 수신된 경우, 상기 개인 의료정보와 함께, 상기 진료의뢰서를 환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로의 개인 의료정보 전달시, 상기 진료의뢰서가 함께 전달될 수 있게 함으로써, 2차 병원에서 3차 병원으로의 진료 변경시, 2차 병원에서의 환자 기록지와 함께, 의사의 소견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3)는 제2 의료기관 서버와 연관된 의료기관이, 3차 병원임에도 불구하고, 의사 단말로부터 진료의뢰서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의사 단말로부터 진료의뢰서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의사 단말로부터 수신된 진료의뢰서를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 함으로써, 의료기관에서의 진료 요건을 갖출 수 있게 한다.
한편, 프로세서(203)는 의사 단말 또는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한 개인 의료정보에 대해, 부분적으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환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3)는 상기 의사 단말 또는 상기 환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정보 아이디별 노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 의료정보에 대한 공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3)는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공개를 불허용하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 내 비공개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비공개 정보가 포함되는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3)는 상기 환자 단말 내 암호화된 비공개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비공개 정보가 포함되는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3)는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공개를 허용하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에 대해 암호화를 제한하여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 함으로써, 응급상황 발생시 환자 단말에서 응급공개 정보를 쉽게 출력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마련하고,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로의 전달시, 복호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프로세서(203)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 중 '수술'과 관련된 수술 정보에 대해, 상기 정보 아이디별 노출 여부와 무관하게, 암호화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3)는 환자 단말에 대한 보안해제를 요청한 보안해제 단말이, 공개허용 단말로 확인되는 경우, 환자 단말에서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에게 응급상황 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3)는 인터페이스부(201)에 의해, 상기 보안해제 단말의 식별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보안해제 단말의 식별정보를 기설정된 공개허용 리스트에서 검색하고, 상기 보안해제 단말의 식별정보가 기설정된 공개허용 리스트에서 검색되면, 임시 암호키를, 상기 보안해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03)는 상기 환자 단말에 상기 임시 암호키가 입력되면,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서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3)는 상기 환자 단말에 저장된 개인 의료정보에서 응급공개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응급공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의 상태(예컨대, 잠금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환자 단말에서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3)는 상기 응급공개 정보가 출력된 상기 환자 단말을 통해 보안해제 요청이 재수신되면, 보안해제 명령을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응급공개 정보를 포함한 상기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서 출력시키거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상기 개인 의료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보안해제 단말에서 상기 개인 의료정보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환자에 대한 모든 의료정보를 제공 함으로써, 환자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프로세서(203)는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갖는 환자 단말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환자 식별정보와 연관된 보호자 식별정보를 상기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보호자 식별정보가 검출되면, 환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분자와 상기 검출된 보호자 식별정보를 합한 매칭키에, 상기 개인 의료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보호자 식별정보를 갖는 보호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상기 환자 단말에, 복수의 환자에 관한 개인 의료정보가 저장된 경우, 제2 의료기관에 관한 특성 정보(예컨대, 진료과, 진료나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환자 중에서 특정 환자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환자에 관한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하도록 한다. 즉, 프로세서(203)는 복수의 환자에 관한 개인 의료정보가, 환자 단말에 보관되는 경우,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제2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을 환자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환자에 관한 개인 의료정보를 환자 단말에서 제2 의료기관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프로세서(203)는 데이터베이스(205) 또는 제2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제2 의료기관에 관한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여러 환자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환자 리스트(대상자 후보 리스트)를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환자 리스트에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명령에 따른,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환자 단말에서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205)는 의료기관에 관한 특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환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환자 단말(300)은 개인 인식정보 관리부(301), 의료정보 입력부(303), 의료정보 저장부(305), 의료정보 제공부(307) 및 응급공개 정보 표시부(309)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의료정보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개인 인식정보 관리부(301)는 환자 단말(300)이 관리하려는 대상의 개인 인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인식정보는 환자 단말의 사용자(예컨대, 환자)만이 인식할 수 있는 개인 식별정보, 의료정보 저장부분과 매칭시킬 수 있는 의료정보 매칭키, 암호키 및 여러 개의 입력소스를 관리하는 의료정보입력에 관한 매칭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정보 매칭키는 환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관리하려는 대상자가 입력될 때,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암호키는 환자 단말(3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으며, 해쉬(Hash)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매칭 테이블은 의료정보제공자 인식번호(예컨대, 의료기관 명칭, 의사명), 개인식별번호(예컨대, 차트번호), 정보 ID(Identifier)가 한 개의 레코드(Record)로 구성될 수 있다.
의료정보 입력부(303)는 의사 단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정보입력 요청을 수신한 의료정보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제1 의료기관 서버(311)로부터 네트워크나 사물인터넷 망을 통해 개인 의료정보를 수신한 후, 환자 단말(300)이 관리하려는 대상과의 매칭작업을 통해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갱신하여 개인 인식정보 관리부(301)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정보 입력부(303)는 최초의 매칭 테이블 생성시, 제1 의료기관 서버(311)와 환자 단말(300)의 사용자 간의 매칭 승낙 부분을 필요로 하고, 이후로는 자동으로 매칭작업을 통해 의료정보 저장부분에 개인 의료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환자 단말(300)과 통신하는 제1 의료기관 서버(311)는 개인 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으며, 개인 인식정보와 함께, 내부에 저장된 개인 의료정보를 환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의료정보 저장부(305)는 매칭 과정을 통해, 환자 단말(300)에 관리되고 있는 대상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맞는 경우, 의료정보 입력부(303)에 의해, 의료정보 저장부분에 개인 의료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개인 의료정보는 [표 1]에서와 같이, 정보 ID에 따라, 공유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응급공개 정보)와 의료기관 제공을 위해 보안이 필요한 정보(예컨대, 비공개 정보)로 나뉘어 저장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01
의료정보 제공부(307)는 의료정보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환자 단말(30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의료정보를 의료기관에 제공하거나 응급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환자의 상태를 타인에게 알려주기 위한 정보제공부분이다.
의료정보 제공부(307)는 제2 의료기관 서버(313)에 개인 의료정보를 제공할 경우, 의료정보 입력부(303)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와 의료기관의 승낙하에 개인 의료정보를 제2 의료기관 서버(313)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의료기관 서버(313)는 환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개인 의료정보를 이용하여, 진료에 대한 접수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의료정보 제공부(307)는 응급상황이 발생될 경우, 사물인터넷이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통해, 보안해제 단말(315)과 접속할 수 있으며, 보안해제 단말(315)에서의 환자 단말에 대한 보안해제 요청에 따라, 의료정보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임시 암호키가 입력되면, 환자 단말(300)로의 접근권한과 상관없이,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를 응급공개 정보 표시부(309)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보안해제 단말(315)은 환자 단말(300)에서 응급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보안해제를 위한 임시 암호키를 의료정보 제어 장치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응급공개 정보 표시부(309)는 응급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를 표시하여, 환자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에서의 개인 인식정보 입력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01)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관리하고 싶은 대상자(환자)를 입력받거나, 또는 의사 단말로부터 지정된 대상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단말 또는 의사 단말로부터 대상자에 대한 정보ID의 노출(공개) 여부에 대한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노출이 허용되도록 설정된 정보ID는 응급공개 정보로서 분류되어, 응급상황 발생시 공개될 수 있다.
상기 정보ID 라이브러리는 예컨대, 바이탈 사인(Vital Sign), 환자신체정보, 알러지, 질환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 2]에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정보ID 라이브러리는 설정된 중요도에 따라 순서대로 정의될 수 있으며, 공개시 정의된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02
단계(403)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매칭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예컨대, 환자 단말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매칭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대상자에 따라 매칭키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단말의 사용자 즉, 본인일 경우와, 본인이 아닐 경우(예컨대, 자녀) 상이하게 매칭키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대상자를 구분하는 구분자(환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환자 단말의 식별번호를 합하여, 매칭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예컨대, 환자 단말의 식별번호가 '010-1234-0000'일 경우, [표 3]과 같이, 매칭키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03
단계(405)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정보ID 테이블을 구성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매칭키와 정보ID의 노출 여부에 대한 설정 결과를 매칭시켜 예컨대, [표 4]와 같이, 정보ID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04
응급상황 발생시 노출되는 정보ID는 정보ID 라이브러리 내 기본 설정값을 유지할 수 있으나, 환자 단말 또는 의사 단말에 의해, 노출여부가 변경될 수 있다.
단계(407)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단말 또는 의사 단말로부터 암호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암호키를 환자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개인 의료정보를 획득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할 때, 상기 개인 의료정보를 암호화하거나,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제공할 때, 상기 개인 의료정보를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암호키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정보ID(00000)-기록정보가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되면, 정보ID(0000)-Encrypt(기록정보)형태로 암호화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하고, 환자 단말 내 정보ID(0000)-Encrypt(기록정보)를 암호키로 복호화하여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또는 의사가 직접 입력한 암호키를 이용하여,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암호화 함으로써, 타인이 상기 개인 의료정보를 열람할 수 없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에 의해, 의료기관 서버에서 환자 단말로 개인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01)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의사 단말에 의해 지정된 특정 대상자(예컨대, 제1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완료한 환자)의 환자 단말을 인식하고, 단계(503)에서, 환자 단말로부터 의료기관 매칭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기관 매칭정보는 대상자의 매칭키에 대응하는 병원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원식별번호는 요양기관번호 + 차트번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매칭정보로 구성된 의료기관 매칭 테이블은 [표 5]와 같이 예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05
단계(505)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의료기관 매칭정보 내 병원식별번호가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검색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단말의 사용자 즉, 본인이 '12345678'의 요양기관번호를 갖는 의료기관에 방문하는 경우, 환자 단말로부터 검출한 의료기관 매칭정보에서 '12345678+00123', '12345679+A0324'의 병원식별번호를 확인한 후, 확인된 병원식별번호를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단계(507)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병원식별번호가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검색되면, 단계(509)에서, 상기 병원식별번호에 각각 대응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상기 병원식별번호(요양기관번호 + 차트번호)가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검색되지 않는 경우, 단계(511)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의료기관 매칭정보 내 매칭키(예컨대, 001012340000)를 제1 의료기관 서버에서 검색하고, 단계(513)에서, 상기 매칭키가 검색되는 경우, '23456789'의 요양기관번호를 갖는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374628'의 차트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트번호에 해당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509).
이때,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단말로 제공되는 개인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의료기관 매칭 테이블을 [표 6]에서와 같이, 갱신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06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한 개인 의료정보 중 환자 단말로 전송할 일부 정보를 준비할 수 있다.
즉,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개인 의료정보의 전체를 환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한 개인 의료정보 중 환자 단말 내 의료기관 매칭 테이블에서 최근 업데이트된 날짜 이후의 정보만을 선택하여, 환자 단말로의 전송을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애초에,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최근 업데이트된 날짜 이후의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가령, '12345678'의 요양기관번호를 갖는 의료기관에 환자가 방문할 경우, '374628'의 차트번호를 갖는 환자의 모든 개인 의료정보에 대해 전송을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최근 업데이트된 날짜 즉, 2017년 4월 1일 이후의 정보만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환자 단말로의 전송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예컨대, '23456789'의 요양기관번호를 갖는 의료기관에 환자가 방문한 경우, '374628'의 차트번호를 갖는 환자에 대해서는 과거 업데이트 날짜가 없으므로, [표 7]과 같이, 환자의 모든 개인 의료정보를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환자 단말로의 전송을 준비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07
여기서,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 중, 위암수술을 의미하는 'O001'의 정보ID는, 타 의료기관에서 수술 이후의 징후를 파악할 수 있도록, 'O001'의 정보ID와 연관된 정보ID(즉, 수술 그룹에 속하는 정보ID) 예컨대, 'H001'에서 'H004'까지의 정보ID와 함께 기록될 수 있다.
'O001', 'H001'에서 'H004'까지의 정보ID에 해당하는 개인 의료정보는 예컨대, 180일의 유효기간(예컨대, 수술 후 관찰 기간)을 가질 수 있다.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O001', 'H001'에서 'H004'까지의 정보ID에 해당하는 개인 의료정보에 대해, 유효기간이 적용되는 동안, 환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환자 단말의 사용자가 지정하지 않더라도, 보안해제 단말에서의 보안해제 요청에 따라, 자동으로 환자 단말 상에, 상기 개인 의료정보가 노출될 수 있게 하고, 이로써, 수술을 담당한 의료기관에 쉽게 연락할 수 있게 한다.
단계(515)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한 개인 의료정보를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예컨대, 요양기관번호, 차트번호, 매칭키, 정보ID, 정보구분, 진료기록 및 유효기간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요양기관번호+차트번호+매칭키는 환자 단말 내 의료기관 매칭정보로 사용되며, 정보ID+정보구분+진료기록+유효기간은 환자 단말 내 대상자의 의료정보 저장부분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 저장부분에는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정보ID 테이블의 내용만 기록될 수 있다.
예컨대,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표 8]과 같은 정보를 획득하더라도, 정보ID 테이블에 기초하여, [표 9]와 같은 정보만을 환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08
Figure 112017079174134-pat00009
여기서, <2>, <4>번 정보는 사용자가 저장을 원하지 않는 정보(사용자가 설정했던 정보)이므로, 기록되지 않으며, <5>, <6>, <7>, <8>, <9>정보는 병원에서의 의무기록이므로 강제적으로 기록되는 정보이다. 또한, <5>, <6>, <7>, <8>은 응급상황에 표시되는 응급공개 정보이다. 따라서, 응급공개 정보는 응급상황에서 복호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표시되어야 하므로 암호화를 하지 않는다.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단말에서의 정보 기록이 완료되면, 환자 단말 내 의료기관 매칭 테이블을 [표 10]과 같이, 갱신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10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에 의해, 환자 단말에서 타 의료기관 서버로 개인 의료정보를 전달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01)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단말(제2 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의 개인 단말)이 제2 의료기관 서버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진입하는 경우, 환자 단말을 인식하고, 단계(603)에서, 환자 단말로부터 의료기관 매칭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기관 매칭정보는 대상자의 매칭키에 대응하는, 병원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원식별번호는 요양기관번호 + 차트번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매칭정보로 구성된 의료기관 매칭 테이블은 [표 11]와 같이 예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11
단계(605)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의료기관 매칭정보 내 병원식별번호가 제2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검색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55555555'의 요양기관번호를 갖는 의료기관에 방문하는 경우, 환자 단말로부터 검출한 의료기관 매칭정보 내 병원식별번호 '12345678+00123', '12345679+ A0324'를 확인한 후, 확인된 병원식별번호를 제2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상기 병원식별번호가 제2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검색되지 않는 경우, 단계(611)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의료기관 매칭정보 내 매칭키(예컨대, 001012340000)를 제2 의료기관 서버에서 검색하고, 단계(613)에서, 상기 매칭키가 검색되는 경우, '55555555'의 요양기관번호를 갖는 제2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374628'의 차트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트번호에 대응시켜 개인 의료정보를 저장하도록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제2 의료기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609).
이때,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확인된 차트번호를 환자 단말에 제공하면서, 의료기관 매칭 테이블을 [표 12]와 같이,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키는 개인식별번호인 휴대폰번호와 구분정보(구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12
상기 검색 결과, 상기 병원식별번호(요양기관번호 + 차트번호)가 제2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검색되는 경우, 단계(609)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대상자 확인과정을 완료하고, 제2 의료기관 서버로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표 13]과 같이, 환자 단말에 저장된 개인 의료정보를 [표 14]와 같이, 변경(가공)하여 제2 의료기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13
Figure 112017079174134-pat00014
여기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가 '55555555'의 요양기관번호를 갖는 의료기관에, 2017년 8월 9일 이후 방문하게 되는 경우, 환자 단말에 저장된 개인 의료정보 중 유효기간이 만료된 개인 의료정보를 제외하여, [표 15]와 같이 제2 의료기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15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제2 의료기관 서버로의 개인 의료정보 전송이 완료되면, 환자 단말 내 의료기관 매칭 테이블을 [표 16]과 같이, 갱신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16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에 의해, 환자 단말에서 타 의료기관 서버로 개인 의료정보를 전달하는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단말에서, 본인 외에 다른 대상자(예컨대, 자녀)에 관한 개인 의료정보가 저장된 경우, 의료기관 방문시, 해당 의료기관 서버에 개인 의료정보를 제공할 대상자를 환자 단말 또는 의사 단말에 의해, 사전에 지정할 수 있게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701)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단말(제2 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의 개인 단말)이 제2 의료기관 서버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진입하는 경우, 환자 단말을 인식하고, 단계(703)에서, 환자 단말에 관련하여 지정된 대상자(환자)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705)에서, 상기 대상자가 식별되면, 단계(707)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식별된 대상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환자 단말에서 획득하여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705)에서, 사전에 대상자가 지정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대상자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 단계(709)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제2 의료기관과 연관된 대상자 후보 리스트(예컨대, 자녀)를 환자 단말에 제공 함으로써, 대상자를 쉽게 지정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단말이 의료기관 서버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진입하는 경우, 의료기관 서버의 특성정보(예컨대, 진료대상 나이범위, 진료과목 등)를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환자 단말에 관리하고 있는 대상자의 인적 정보 및 진료 기록과 함께, 특성정보를 고려하여, 대상자 후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단말이 '소아과'의 의료기관에 방문하는 경우, 의료기관으로부터 [표 17]과 같은 특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17
이때,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특성정보에서, 나이를 의미하는 정보ID(B003)가 '0~13'이므로, 환자 단말 내 대상자 중에서, 상기 나이에 해당하는 자녀를 대상자 후보로 선정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단말이 '산부인과'의 의료기관에 방문하는 경우, 의료기관으로부터 [표 18]과 같은 특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18
이때,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특성정보에서, 성별을 의미하는 정보ID(B001)가 'F(여성)'이므로, 환자 단말 내 대상자 중에서, 여성을 대상자 후보로 선정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711)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대상자 후보 리스트에 대한 선택명령에 따라, 최종적으로 대상자를 지정할 수 있게 하고, 지정된 대상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환자 단말에서 획득하여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707).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장치에서 환자 단말에서의 응급상황 발생시 정보를 제어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환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 함에 따라, 보안해제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 단말에 대한 보안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환자 단말에서의 보안을 해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정보 제어 장치(801)는 환자 단말(801)에 접속한 보안해제 단말(예컨대, NFC Reader)(803)로부터 환자 단말(801)에 대한 보안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보안해제 요청으로부터 보안해제 단말(803)의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의료정보 제어 장치(801)는 보안해제 단말(803)의 식별정보를 기설정된 공개허용 리스트에서 검색하고, 보안해제 단말(803)의 식별정보가 기설정된 공개허용 리스트에서 검색되면, 임시 암호키(예컨대, '12435')를, 보안해제 단말(8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보안해제 단말(803)에서 임시 암호키를 확인한 구조대원은 환자 단말(801)에서 긴급전화 버튼을 누름에 따라, 제공되는 키패드에 임시 암호키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의료정보 제어 장치(800)는 환자 단말(801)에 입력된 임시 암호키('12435')와 보안해제 단말(803)로 제공한 임시 암호키('12435')가 일치하면, 환자 단말(801)에서의 보안을 해제하고, 환자 단말(801) 내 응급공개 정보를 환자 단말(801)에서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 제어 장치(800)는 환자 단말(801)에서 보안이 해제되더라도, 환자 단말(801)에서 응급상황과 관련이 없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한할 수 있으며, 환자 단말(801)에 저장된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를, 환자 단말(801)의 상태(예컨대, 잠금 상태)와 무관하게, 환자 단말(801)에서 출력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의료정보 제어 장치(800)는 환자 단말(801)에, [표 19]와 같은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응급상황이 발생된 시점이 2017년 2월 10일부터 2017년 8월 9일 사이에 포함되는 경우, 유효기간을 만족하는 정보와 공개 허용으로 기설정한 B002정보를 선별하여, [표 20]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19
Figure 112017079174134-pat00020
의료정보 제어 장치(800)는 기정의된 정보ID 라이브러리(예컨대, H001: 연락처, H002: 의사, H003: 환자명, H004: 차트번호, B002 혈액형)에 기초하여, [표 20] 내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한 결과로서 [표 21]의 정보를 환자 단말(801)에서 출력시킬 수 있다.
Figure 112017079174134-pat00021
또한, 의료정보 제어 장치(800)는 H001∼H004의 여러 개의 기록이 존재할 경우에는 기록일자가 최신인 정보를 선별하여, 환자 단말(801)에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의료정보 제어 장치(800)는 기록일자가 20170210인 정보가 H001, H002, H003, H004가 있고, 기록일자가 20170411인 정보가 H001, H002, H004가 존재할 경우에는 기록일자를 기준으로 최신정보인 20170411에 해당되는 H001, H002, H004의 정보를 우선 표시해주고, 다음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환자 단말(801)에, 이동 버튼을 제공하여 순차적으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구조대원은 환자 단말(801)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병원의 의사에게 신속히 연락하여, 구체적인 환자 상황을 파악한 후 이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901)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의사 단말로부터의 정보입력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입력 요청으로부터 환자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903)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의사 단말과 연관된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갖는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갖는 환자 단말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환자 식별정보와 연관된 보호자 식별정보를 상기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보호자 식별정보가 검출되면, 환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분자와 상기 검출된 보호자 식별정보를 합한 매칭키에, 상기 개인 의료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보호자 식별정보를 갖는 보호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905)에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상기 환자 단말이 진입하는 경우,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하도록 한다.
이때,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의사 단말 또는 상기 환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정보 아이디별 노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 의료정보에 대한 공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공개를 불허용하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 내 비공개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암호화된 비공개 정보가 포함되는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며, 환자 단말 내 상기 암호화된 비공개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비공개 정보가 포함되는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로 전달하도록 한다.
한편,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에 대한 공개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공개를 허용하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에 대해, 암호화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가 '수술'과 관련된 경우, 상기 개인 의료정보 중 '수술'과 관련된 수술 정보에 대해, 상기 정보 아이디별 노출 여부와 무관하게, 암호화를 제한할 수 있다.
제2 의료기관 서버로의 개인 의료정보 전달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복수의 환자에 관한 개인 의료정보가 저장된 경우, 제2 의료기관에 관한 특성 정보로서, 진료과, 진료나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환자 중에서 특정 환자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환자에 관한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하도록 한다.
또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보안해제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 단말에 대한 보안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보안해제 요청으로부터 상기 보안해제 단말의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보안해제 단말의 식별정보가 기설정된 공개허용 리스트에서 검색되면, 임시 암호키를, 상기 보안해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환자 단말에 상기 임시 암호키가 입력되면,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서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의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환자 단말에서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의료정보 제어 장치는 상기 응급공개 정보가 출력된 상기 환자 단말을 통해 보안해제 요청이 재수신되면, 보안해제 명령을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응급공개 정보를 포함한 상기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서 출력시키거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상기 개인 의료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보안해제 단말에서 상기 개인 의료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저장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의료정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101: 의사 단말 103: 환자 단말
105: 제1 의료기관 서버 107: 제2 의료기관 서버
109: 의료정보 제어 장치

Claims (16)

  1. 의사 단말로부터의 정보입력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입력 요청으로부터 환자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의사 단말과 연관된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획득한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갖는 환자 단말에 제공하고, 제2 의료기관 서버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상기 환자 단말이 진입하는 경우,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하도록 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의사 단말 또는 상기 환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정보 아이디별 노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 의료정보에 대한 공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공개를 불허용하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 내 비공개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환자 단말 내 암호화된 비공개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로 전달하는
    의료정보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공개를 허용하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에 대해, 암호화를 제한하여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의료정보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의료정보가 '수술'과 관련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 중 '수술'과 관련된 수술 정보에 대해, 상기 정보 아이디별 노출 여부와 무관하게, 암호화를 제한하는
    의료정보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보안해제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 단말에 대한 보안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보안해제 요청으로부터 상기 보안해제 단말의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안해제 단말의 식별정보가 기설정된 공개허용 리스트에서 검색되면, 임시 암호키를, 상기 보안해제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환자 단말에 상기 임시 암호키가 입력되면,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서 출력시키는
    의료정보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의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환자 단말에서 출력시키는
    의료정보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공개 정보가 출력된 상기 환자 단말을 통해 보안해제 요청이 재수신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보안해제 명령을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응급공개 정보를 포함한 상기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서 출력시키거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상기 개인 의료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보안해제 단말에서 상기 개인 의료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의료정보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갖는 환자 단말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식별정보와 연관된 보호자 식별정보를 상기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보호자 식별정보가 검출되면, 환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분자와 상기 검출된 보호자 식별정보를 합한 매칭키에, 상기 개인 의료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보호자 식별정보를 갖는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의료정보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단말에, 복수의 환자에 관한 개인 의료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의료기관에 관한 특성 정보로서, 진료과 또는 진료나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환자 중에서 특정 환자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환자에 관한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하도록 하는
    의료정보 제어 장치.
  10. 의사 단말로부터의 정보입력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입력 요청으로부터 환자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의사 단말과 연관된 제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갖는 환자 단말에 제공하고, 제2 의료기관 서버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상기 환자 단말이 진입하는 경우,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의사 단말 또는 상기 환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정보 아이디별 노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 의료정보에 대한 공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공개를 불허용하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 내 비공개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환자 단말 내 암호화된 비공개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공개를 허용하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에 대해, 암호화를 제한하여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관 서버에 전달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가 '수술'과 관련된 경우,
    상기 개인 의료정보 중 '수술'과 관련된 수술 정보에 대해, 상기 정보 아이디별 노출 여부와 무관하게, 암호화를 제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제어 방법은,
    보안해제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 단말에 대한 보안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보안해제 요청으로부터 상기 보안해제 단말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보안해제 단말의 식별정보가 기설정된 공개허용 리스트에서 검색되면, 임시 암호키를, 상기 보안해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 단말에 상기 임시 암호키가 입력되면,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서 출력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단말 내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서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 중 응급공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의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환자 단말에서 출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공개 정보가 출력된 상기 환자 단말을 통해 보안해제 요청이 재수신되면,
    상기 의료정보 제어 방법은,
    보안해제 명령을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응급공개 정보를 포함한 상기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서 출력시키거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상기 개인 의료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보안해제 단말에서 상기 개인 의료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어 방법.
KR1020170103969A 2017-08-17 2017-08-17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62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969A KR101962541B1 (ko) 2017-08-17 2017-08-17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969A KR101962541B1 (ko) 2017-08-17 2017-08-17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290A KR20190019290A (ko) 2019-02-27
KR101962541B1 true KR101962541B1 (ko) 2019-03-26

Family

ID=6556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969A KR101962541B1 (ko) 2017-08-17 2017-08-17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5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850A (ko) * 2019-06-26 2021-01-06 오채수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924B1 (ko) * 2019-11-11 2020-04-07 이민우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2333375B1 (ko) * 2019-11-28 2021-12-02 김주호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44929B1 (ko) * 2021-11-30 2023-06-22 고큐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혼합 현실 기반 재활 치료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628B1 (ko) 2006-07-04 2008-04-18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시스템
JP2010067237A (ja) * 2008-09-12 2010-03-25 Hitachi Information & Control Solutions Ltd 医用情報サービス提供端末及びモバイル情報端末並びにそれらを用いてなる医用情報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101204703B1 (ko) 2011-02-15 2012-11-23 김세룡 의료정보 중계 방법
KR101490385B1 (ko) 2012-11-28 2015-02-0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
KR101701304B1 (ko) 2015-09-30 2017-02-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환경에서 속성기반 암호를 이용한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3837A (ko) * 2012-01-26 2013-08-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628B1 (ko) 2006-07-04 2008-04-18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시스템
JP2010067237A (ja) * 2008-09-12 2010-03-25 Hitachi Information & Control Solutions Ltd 医用情報サービス提供端末及びモバイル情報端末並びにそれらを用いてなる医用情報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101204703B1 (ko) 2011-02-15 2012-11-23 김세룡 의료정보 중계 방법
KR101490385B1 (ko) 2012-11-28 2015-02-0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
KR101701304B1 (ko) 2015-09-30 2017-02-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환경에서 속성기반 암호를 이용한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850A (ko) * 2019-06-26 2021-01-06 오채수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2523227B1 (ko) 2019-06-26 2023-04-21 주식회사 카카오헬스케어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290A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3124B2 (en) Method for building cloud-based medical image database for protection of patient information and reading medical image therefrom
KR101962541B1 (ko)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00401725A1 (en) Secure access to individual information
TWI784092B (zh) 分享電子醫療健康記錄的方法與系統
US20180167200A1 (en) Obtaining a medical record stored on a blockchain from a wearable device
EP2946323B1 (en) Secure real-time health record exchange
TW202013925A (zh) 控制儲存在健康照護網路上的使用者健康資訊的存取的系統和方法
EP3422221A1 (en) Electronic health data access control
JP4896054B2 (ja) 個人情報管理装置,個人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
EP3014516A1 (en) System for managing access to medical data
CN109243553A (zh) 医疗数据处理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200357495A1 (en)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providing healthcare data
KR20200016458A (ko) 블록체인 기반의 phr 플랫폼 서버 운영 방법 및 phr 플랫폼 서버 운영 시스템
CN104137129A (zh) 用于处理患者相关的数据组的方法
US10893027B2 (en) Secure access to individual information
JP6570691B1 (ja) 個人医療情報集約システム
CN107004048B (zh) 记录访问和管理
KR102279377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개인 권한 기반의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JP5142581B2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アクセス制御装置、及び医療情報管理方法
KR20200134744A (ko)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 액세스 방법 및 시스템
JP202200081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152104B2 (en) Medical data managing apparatus and medical data managing system
US20230215524A1 (en)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immunity certificate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EP4035095A1 (en) Utilizing a user&#39;s health data stored over a health care network for disease prevention
US202100052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of a user&#39;s health information to third pa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