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375B1 -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375B1
KR102333375B1 KR1020190155943A KR20190155943A KR102333375B1 KR 102333375 B1 KR102333375 B1 KR 102333375B1 KR 1020190155943 A KR1020190155943 A KR 1020190155943A KR 20190155943 A KR20190155943 A KR 20190155943A KR 102333375 B1 KR102333375 B1 KR 102333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patient
information
application
medic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553A (ko
Inventor
김주호
Original Assignee
김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호 filed Critical 김주호
Priority to KR102019015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3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모듈이나 위치정보제공 모듈이 내장된 응급환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이루어지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애플리케이션은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기록되는 개인정보 저장부 및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모듈이나 위치정보제공 모듈과 연동하여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가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되면 응급환자 단말기의 대기 화면상에 푸시 알림 팝업창을 생성하고, 팝업창의 실행에 의하여 개인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리 및 제휴 서비스 정보를 제공해준다.

Description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EMERGENCY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의식응급환자 또는 중증응급환자들이 응급실에 실려 왔을 때 신속한 응급처치 및 대응에 도움을 주기 위한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급성질환 환자 수는 2015년 기준 고혈압 환자 600만명, 심혈관질환 환자 10만명, 당뇨병약 환자 400만 명으로 갑작스런 의식불명에 순간에 신속한 대처가 필요한 환자는 날이 갈수록 증가 하는 추세이다.
이에 상기 급성질환 환자의 생사를 결정지을 수 있는 골든타임이 존재하며, 골든타임이란 응급 상황 발생 후 수술과 같은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는 최소한의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서, 영어로는 'golden hour'라고 한다.
통상 의식이 없는 응급환자의 경우 골든타임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1시간 내외일 것이다. 그러나 응급환자의 치료를 위한 실제응급실 체류시간은 평균 4시간으로 일반적인 골든타임의 4배에 해당한다. 이러한 응급실 체류시간 동안 환자의 상태는 점점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평균 체류시간이 긴 이유는 병원에서는 환자가 어떤 평소 어떤 질병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약을 복용하고 있는지, 어떤 것에 알레르기를 반응하는지 등 대부분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고 있으며, 우리나라 의료체계상 의료정보가 통합되어있지 않아서 관련 내용이 빠르게 조회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시스템들은 대부분 응급상황에 대한 신고나 병원위치 조회에 한정되어 있으며, 응급 시 대부분 타인의 신고를 통해 병원에 실려 가기 때문에 별다른 효과가 없었고, 응급실의 초기진료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수술 등의 조치를 취하기 전 혈액반응검사, 약물반응검사, MRI 등 많은 검사를 받아야 하며 그러는 동안 환자의 상태는 점점 악화될 수 있다. 이에 의료진에게 환자의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빠르고 신속하게 응급처치를 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9886(2007.08.08.)에서 응급 환자에 대한 이송 중 응급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특히 앰뷸런스 차량 내에 설치되고, 응급 환자로부터 각종 실시간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모니터링 장치, 상기 앰뷸런스 차량 내에 설치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앰뷸런스 단말 및 상기 앰뷸런스 단말로부터 환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함으로써 환자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응급실 단말을 이용하여 응급 환자에 대한 이송 중 응급 정보 전송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초기진료에 도움을 줄 병명, 담당주치의번호, 환자의 주치병원명 및 코드, 복용약물 등을 담고 있는 정보가 응급실 반경 일정 거리에 진입하게 되면, 환자의 단말기에서 알람과 함께 팝업창이 떠 의료진이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과 같이 실제 초기진료에 도움을 주는 구성이나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아니하다.
이와 같이,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효과적으로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의식응급환자 또는 중증응급환자들이 위급하게 실려 오는 응급상황 시, 응급환자 단말기의 GPS 모듈이나 이동 통신 네트워크 상의 위치정보(이하 '네트워크 값'이라고도 함)에 의하여 기저정된 인근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를 파악한 후 병원 또는 응급실에 대하여 응급환자 단말기가 일정 거리 접근하게 되면 응급환자 단말기 상에 응급환자의 응급조치를 위한 기본적인 의료정보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이루어지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급환자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맞춤형 보험 정보, 요양 시설 정보, 운동기구 정보, 음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GPS 모듈이나 이동 통신 네트워크 상의 위치정보(이하 '네트워크 값'이라고도 함)를 제공하는 모듈(이하 '위치정보제공 모듈'이라고도 함)이 내장된 응급환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이루어지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기록되는 개인정보 저장부 및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모듈과 연동하거나 네트워크 값에 기초하여,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가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되면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대기 화면상에 푸시 알림 팝업창을 생성하고, 상기 팝업창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것이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및 제휴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푸시 알림 팝업창은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대기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푸시 알림 팝업창의 실행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종료되고, 종료와 동시에 조회 기록 정보가 삭제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GPS 모듈이나 네트워크 값에 의하여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위치와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가 인접한 거리에 접근되면 자동적으로 푸시 알림 팝업창을 작동하는 특징이 있다. 인접한 거리는 3 내지 10m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개인정보 제공 동의 절차를 수행하고 이에 따라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개인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의 응급환자 데이터베이스에도 동시에 저장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는 이름, 나이, 병명, 담당주치의 이름 및 연락처, 담당주치의 병원명 및 병원코드, 복용약물, 보호자 연락처, 약물 알레르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와 동일한 응급환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응급환자 데이터베이스, 병원 및 외부 의료 기관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 정보 제공 모듈, 상기 응급환자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맞춤형 보험 정보, 요양 시설 정보, 운동기구 정보, 음식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하여 제공하는 응급환자 빅데이터 관리 모듈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일정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병원 및 응급실의 지도 위치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GPS 모듈이나 위치정보제공 모듈이 내장된 응급환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루어지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개인정보 저장부에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저장되는 개인 정보 저장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GPS 모듈이나 네트워크 값에 의하여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위치와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의 일정 거리 접근을 판단하는 응급환자 위치 파악 단계,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대기 화면상에 상기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 제공을 위한 알림 팝업창이 생성되는 푸시 알림 팝업창 생성 단계 및 상기 알림 팝업창을 실행하여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열람하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열람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개인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암호화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 제공 동의에 의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푸시 알림 팝업창 생성 단계 이후 상기 알림 팝업창의 실행 시, 상기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담당의사의 면허번호 또는 알림 혹은 경고 문구에 대한 사용자 동의가 입력되어야 응급환자 의료정보 열람 단계가 실행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응급환자 의료정보 열람 단계가 실행되면,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보안을 위해 전면 카메라가 자동 녹화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응급환자 의료정보 열람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종료되고, 종료와 동시에 조회 기록 정보가 삭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무의식응급환자 또는 중증응급환자들이 응급실에 실려 왔을 때 환자의 복용약물, 기존 앓고 있는 질병등 초기 응급진료에 필요한 환자정보를 의사가 바로 확인하도록 하여 신속한 응급처치 및 치료 방식이나 투여하지 말아야 할 약물에 대해 빠른 판단과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급 치료를 위한 환자의 초기 정보를 알아내는 데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골든타임을 지켜 환자의 치료 성공률을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급 상황 발생 가능한 고위험군 환자들이 자신의 병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지 않고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알림 팝업창의 예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은 응급환자 단말기와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이루어지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100)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단말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보급되는 스마트폰(smart phone)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응급환자란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동일한 개념으로, 내재적으로 응급상황이 발생 할 수 있는 사용자 또는 환자를 표현하기 위함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100)는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모듈(110)과 위치를 파악하는 GPS 모듈(120)과 개인정보 저장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는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100)와 동일하게 응급환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응급환자 데이터베이스(210), 병원 또는 응급실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의료기관 정보 제공 모듈(220) 및 상기 응급환자 데이터베이스(210)를 기반으로 맞춤형 보험 정보, 요양 시설 정보, 운동기구 정보, 음식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하여 제공하는 응급환자 빅데이터 관리 모듈(230),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100)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듈(110)을 제어하며, 주기적인 버전 관리 및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 모듈(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GPS 모듈(120)은 위치정보제공 모듈의 일례에 대응할 수 있다.
전술한 응급환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듈(110)은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와 주기적으로 연동하여 제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 상에서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지칭한다.
또한,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100)에 내장된 GPS 모듈(120)은 위성항법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과 연동하여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지도 데이터와 연동하여 특정 위치의 접근 시 이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 계산 장치이다.
또한,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100)에 내장된 메모리 장치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저장공간을 의미한다.
즉,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130)는 보안을 위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저장공간으로서, 저장된 개인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만 암호화 및 복호화될 수 있으며, 다른 단말기나 외부 저장장치로의 복사는 제한된다. 이를 통하여 응급실이나 병원에서는 응급환자 단말기에서 불러온 환자 정보를 읽을 수만 있을 뿐 따로 저장하지 못함으로서 보안성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단,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의 응급환자 데이터베이스(210)에서 환자의 개인정보 제공 동의에 의하여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와 동일한 응급환자의 개인정보를 저장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암호화 및 복호화 알고리즘을 공유하여 이를 해독할 수 있다. 암호화 및 복호화 알고리즘은 넓은 의미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보안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 저장 시, 개인정보 제공 동의 단계를 거친다.
예를 들어 응급환자는 뇌졸증, 심혈관, 뇌혈관질환을 가지고 있는 잠재적 응급환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응급환자는 "내가 의식이 없어서 명시적인 동의를 할 수 없는 응급상태라면, 의료관계자 및 긴급구호 관계자에게 내 의료 관련 정보 일체를 치료 및 구조 목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동의합니다"에 동의한 상태여야 하며, 또한,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에서 내 의료 관련 정보에 대하여 본인 서비스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에서만 제공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동의합니다"에 동의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는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100)의 개인정보 저장부(130)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의 응급환자 데이터베이스(210)에 동시에 저장되어진다.
상기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는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 사용자의 이름, 나이, 병명, 담당주치의 이름 및 연락처, 담당주치의 병원명 및 병원코드, 복용약물, 보호자 연락처, 약물 알레르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는 환자가 어떤 평소 어떤 질병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약을 복용하고 있는지, 어떤 것에 알레르기를 반응하는지 등을 알기 위한 것으로서, 수술 등 조치를 취하기 전 혈액반응검사, 약물반응검사, MRI 검사 시 필요한 항목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의 의료기관 정보 제공 모듈(220)을 통하여 응급환자 본인의 투약이력 정보를 보관하는 건강보험 심사 평가원의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Drug Utilization Review) 시스템에서 응급환자 본인의 투약이력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11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110)은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기록되는 개인정보 저장부(130) 및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모듈(120)과 연동하여 동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GPS 모듈(120)에 의하여 응급환자 단말기(100)가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에 일정 거리 이내 접근되면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100)의 대기 화면상에 푸시 알림 팝업창을 생성하고, 상기 팝업창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알림 팝업창의 예시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도시와 같이 상기 푸시 알림 팝업창은 비밀번호의 제약 없이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대기 화면상에서 바로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110)은 상기 GPS 모듈(120)에 의하여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100)의 위치와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가 일정 거리에 접근하였다고 판단될 시 자동적으로 상기 대기화면 상에 "응급상황입니다. 정보를 확인하세요."와 같은 팝업 알림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정된 병원이란 응급환자가 직접 병원의 위치를 파악 한 후 병원의 위치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저장하여 둔 것일 수 있고, 상기 응급실이란 응급상황 시 이송되는 불특정 병원의 응급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100)의 위치와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일정 거리 이내란 오차범위가 많게는 10m까지이며, 본 발명에서는 접근 거리가 최대한 근접한 상태일 때로서 3m 가시거리 이내로 접근되면 상기 팝업 알림을 실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생성된 상기 팝업창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110)은 상기 알림 팝업창의 실행에 의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 확인 시, 상기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담당의의 해당 면허번호를 입력하게하고, 이에 대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에서의 승인 하에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 상황에 의하여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100)가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여 상기 알림 팝업창이 발생한 상황이라면 사용자에 의한 종료 또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팝업창은 자동 종료된다.
또한, 상기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담당의에 의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열람되었을 때도 디스플레이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는 일정 시간 경과 후 팝업창은 종료되고, 종료와 동시에 조회 정보 기록은 삭제된다. 그리고 상기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 열람을 위한 일정 시간은 소정 시간으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의료정보 열람 시간은 5 내지 60분 중 어느 특정 시간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응급상황 시, 상기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담당의는 응급환자의 정보를 열람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의 상기 응급환자 데이터베이스(210)는 응급환자 단말기(100)와 동일하게 응급환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의료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활용한다.
상기 의료기관 정보 제공 모듈(220)은 외부 병원 및 외부 의료 기관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의료 기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110)은 의료기관 의료 스케줄 확인 및 예약, 주치의 환자 스케줄 확인, 건강보험 심사 평가원과 같은 외부 기관의 시스템에서 응급환자 본인의 투약이력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110)에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급환자 빅데이터 관리 모듈(230)은 상기 응급환자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응급환자에게 좋은 약재 리스트, 응급환자가 하면 좋은 운동 리스트와 같이 다양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면서 영양제, 응급환자에게 좋은 약재 정보, 맞춤형 보험 정보, 요양 시설 정보, 운동기구 정보, 음식 정보 등에 관한 정보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와 연동한 전자상거래에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 모듈(24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110)과 연동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병원 및 응급실의 위치를 업데이트하며 이를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GPS 모듈이 내장된 응급환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루어지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개인 정보 저장 단계(S100), 응급환자 위치 파악 단계(S200), 푸시 알림 팝업창 생성 단계(S300) 및 응급환자 의료정보 열람 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개인 정보 저장 단계(S100)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개인정보 저장부에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저장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암호화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 제공 동의에 의하여 저장된다.
이때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란 이름, 나이, 병명, 담당주치의 이름 및 연락처, 담당주치의 병원명 및 병원코드, 복용약물, 보호자 연락처, 약물 알레르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응급환자 위치 파악 단계(S2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GPS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위치와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의 일정 거리 접근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일정 거리 접근이란 상기 GPS 모듈에 의한 계산에 의하여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위치와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가 최소 3미터 내지 10미터의 거리에 위치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푸시 알림 팝업창 생성 단계(S300)는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위치와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가 최소 3미터 내지 10미터의 거리에 위치하면,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대기 화면상에 상기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 제공을 위한 알림 팝업창이 생성되는 단계이다.
그러나 일반적 상황에 의하여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여 상기 알림 팝업창이 발생한 상황이라면 사용자에 의한 종료 또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팝업창은 자동적으로 종료된다.
또한, 푸시 알림 팝업창 생성 단계(S300)는 상기 알림 팝업창의 실행 시, 상기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담당의의 해당 면허번호가 입력되어야 상기 응급환자 의료정보 열람 단계(S400)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응급환자 의료정보 열람 단계(S400)는 상기 알림 팝업창을 실행하여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열람하는 단계이고, 상기 응급환자 의료정보 열람 단계(S400)에서 디스플레이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종료되고, 종료와 동시에 조회 기록 정보가 삭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정 시간은 5 내지 10분으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응답환자 의료정보 열람 단계(S400)는, 알림 팝업창의 실행 시, 알림 혹은 경고 문구에 대한 사용자 동의가 입력되어야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응급환자 의료정보 열람 단계가 실행되면,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보안을 위해 전면 카메라가 자동 녹화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응급환자 단말기를 소지한 무의식응급환자 또는 중증응급환자는 응급상황 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으로서, 상기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담당의에게 신속하고 빠른 응급 처치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응급환자 단말기
110: 애플리케이션 모듈
120: GPS 모듈
130: 개인정보 저장부
200: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
210: 응급환자 데이터베이스
220: 의료기관 정보 제공 모듈
230: 응급환자 빅데이터 관리 모듈
240: 애플리케이션 제어 모듈

Claims (8)

  1. GPS 모듈 또는 위치정보제공 모듈이 내장된 응급환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이루어지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기록되는 개인정보 저장부 및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모듈 또는 위치정보제공 모듈과 연동하여,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가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되면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대기 화면상에 푸시 알림 팝업창을 생성하고, 상기 팝업창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및 제휴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알림 팝업창의 실행 시에 보안을 위해 전면 카메라가 자동 녹화를 실행하고,
    상기 푸시 알림 팝업창의 실행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종료되고, 종료와 동시에 조회 기록 정보가 삭제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상기 개인 의료정보에 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암호화 및 복호화 알고리즘으로서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보안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 알림 팝업창은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대기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GPS 모듈 또는 위치정보제공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위치와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가 인접한 거리에 접근되면 자동적으로 푸시 알림 팝업창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개인정보 제공 동의 절차를 수행하고 이에 따라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개인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의 응급환자 데이터베이스에도 동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는 이름, 나이, 병명, 담당주치의 이름 및 연락처, 담당주치의 병원명 및 병원코드, 복용약물, 보호자 연락처, 약물 알레르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와 동일한 응급환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응급환자 데이터베이스,
    병원 및 외부 의료 기관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 정보 제공 모듈,
    상기 응급환자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맞춤형 보험 정보, 요양 시설 정보, 운동기구 정보, 음식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하여 제공하는 응급환자 빅데이터 관리 모듈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일정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병원 및 응급실의 지도 위치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8. GPS 모듈 또는 위치정보제공 모듈이 내장된 응급환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루어지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개인정보 저장부에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가 저장되는 개인 정보 저장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GPS 모듈 또는 위치정보제공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위치와 지정된 병원 또는 응급실의 위치의 일정 거리 접근을 판단하는 응급환자 위치 파악 단계,
    상기 응급환자 단말기의 대기 화면상에 상기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 제공을 위한 알림 팝업창이 생성되는 푸시 알림 팝업창 생성 단계 및
    상기 알림 팝업창을 실행하여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를 열람하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열람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알림 팝업창 생성 단계는,
    상기 알림 팝업창의 실행 시에 보안을 위해 전면 카메라가 자동 녹화를 실행하고,
    상기 푸시 알림 팝업창의 실행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응급환자의 개인 의료정보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종료되고, 종료와 동시에 조회 기록 정보가 삭제되고,
    상기 개인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가 상기 개인 의료정보에 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암호화 및 복호화 알고리즘으로서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보안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방법.
KR1020190155943A 2019-11-28 2019-11-28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33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943A KR102333375B1 (ko) 2019-11-28 2019-11-28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943A KR102333375B1 (ko) 2019-11-28 2019-11-28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553A KR20210066553A (ko) 2021-06-07
KR102333375B1 true KR102333375B1 (ko) 2021-12-02

Family

ID=7637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943A KR102333375B1 (ko) 2019-11-28 2019-11-28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730B1 (ko) * 2021-11-23 2023-08-11 (주)엑스센싱 바이오 키 기반의 개인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CN114613478A (zh) * 2022-03-02 2022-06-10 复旦大学附属中山医院 急诊护理智能管理系统
KR102474825B1 (ko) * 2022-06-29 2022-12-06 주식회사 씨플러스 비대면 간병서비스 매칭 시스템
KR102648744B1 (ko) * 2023-08-17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지엘 응급 상황에 따른 환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949B1 (ko) * 2010-07-27 2012-06-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병원안내시스템 및 병원안내서비스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63B1 (ko) * 2006-08-04 2010-07-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환자의 의료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856638B1 (ko) * 2015-12-04 2018-05-1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962541B1 (ko) * 2017-08-17 2019-03-26 주식회사 유비케어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949B1 (ko) * 2010-07-27 2012-06-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병원안내시스템 및 병원안내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553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375B1 (ko) 응급환자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A2945143C (en) Holistic hospital patient care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risk stratification
JP2019067451A (ja) 透過的医療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90259493A1 (en) Mobile health book
US20160210434A1 (en) Health informatio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20200357495A1 (en)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providing healthcare data
US20150039341A1 (en) Invention includes the Process, Method and System for cloud-based critical Emergency and Discharge medical Information through the Capturing, Maintaining, Accessing, Integrating and Communicating said information
Alkhalifah et al. The role of the COVID-19 pandemic in expediting digital health-care transformation: Saudi Arabia's experience
US20200143920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healthcare delivery processes
US20180322248A1 (en) Mobile interoperabl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exchange with biometrics data analytics
US20190103177A1 (en) Medical personal data card and system
CN109565503A (zh) 用于基于患者情境,用户角色,当前工作流程和显示接近度来优化用户亲身参与的系统和方法
Ladner et al. Does adherence to epilepsy quality measures correlate with reduced epilepsy‐related adverse hospitalizations? A retrospective experience
US11424030B1 (en) Medical incident response and reporting system and method
KR102558521B1 (ko) 사용자 건강정보를 고려한 해결책 추천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
US20220189641A1 (en) Opioid Use Disorder Predictor
Latif et al. IoT cloud based Rx healthcare expert system
KR102283682B1 (ko)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hang et al. Medication‐related problems in chronic inflammatory conditions: A pharmacy claims and electronic health record analysis
KR20220086186A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Dutta et al. Managing IoT and cloud-based healthcare record system using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to promote integrated healthcare delivery system: A perspective from India
US20200013515A1 (en) Drug interaction checking tool
JP2021162905A (ja) 患者情報管理装置、患者情報管理方法、及び患者情報管理プログラム
Ganiat et al. Ethical issues in interoperability of electronic healthcare systems
JP6386789B2 (ja) 薬剤情報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