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703B1 - 의료정보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703B1
KR101204703B1 KR1020110013198A KR20110013198A KR101204703B1 KR 101204703 B1 KR101204703 B1 KR 101204703B1 KR 1020110013198 A KR1020110013198 A KR 1020110013198A KR 20110013198 A KR20110013198 A KR 20110013198A KR 101204703 B1 KR101204703 B1 KR 101204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medical institution
server
mai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3560A (ko
Inventor
김민준
Original Assignee
김세룡
김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룡, 김민준 filed Critical 김세룡
Priority to KR1020110013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7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9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 및 의료기관 인증을 통하여 메인서버가 환자진료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제1의료기관에서 제2의료기관 또는 일반사용자단말기로 직접 환자진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중계하고, 특정 의료기관에서만 가지고 있는 의료지식정보를 검색하고 중계하고, 일반 사용자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질병 증상에 대한 의료기관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의료기관 서버, 다수의 일반 사용자 단말기 및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의료기관에 위치하여 의료정보를 송수신하는 의료기관 서버; 질병증상에 대한 의료정보를 송수신하는 일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의료기관 서버 및 일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의료기관 서버 및 일반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고, 환자정보, 의료기관정보 및 의료지식정보를 저장하는 메인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수의 의료기관 서버, 다수의 일반 사용자 단말기 및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메인서버가 환자진료정보 요청신호 및 인증정보를 제1의료기관 서버 또는 일반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b)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인증정보와 사전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전에 저장된 인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제1의료기관 서버를 인증하는 과정; (c)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a)과정을 통해 수신된 환자정보를 검색하고, 환자진료정보를 가지고 있는 제2의료기관을 판단하여 제2의료기관 서버에 환자진료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및 (d) 상기 메인서버가 제2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된 환자진료정보를 제1의료기관 서버로 중계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정보 중계 방법{METHOD FOR TRADING MEDIC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료정보의 추출 및 저장이 반드시 의료기관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현 의료법 준수를 전제로 한, 환자의 진료 정보, 의료 지식, 의료기관정보 등의 의료정보를 유무선 통신상에서 전달 및 교류하기 위한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의료기관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오프라인상에서 기존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환자의 진료 정보를 인쇄 받아 타 의료기관에 제출하는 방식으로 환자 진료 정보를 교류하였다.
최근 인터넷의 보급에 따라, 환자의 진료정보를 오프라인상에서 지참하여 제출하는 대신 온라인상에서 직접 정보 교류를 수행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고, 현행 의료법상 진료정보의 저장 및 추출 등의 행위는 반드시 의료기관 내에서만 이루어져야하며, 중계업자가 진료정보를 저장하거나 이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는 행위는 의료법 위반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서는 대한민국특허출원10-2006-0128905호(발명의 명칭 :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이하 '선행발명')외에 다수 출원 및 등록되어있다.
선행발명에 따른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은, 제1의료기관 및 제2의료기관 간에 CDA 문서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양쪽 의료기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게이트웨이 및 제2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관간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이트웨이는 제1의료기관에서 작성된 CDA 문서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제2게이트웨이가 수신한 상기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CDA 문서가 저장되어 있는 제1의료기관의 위치를 파악하여 CDA 문서를 요청하면, 상기 요청에 의해 검색된 문서를 제2게이트웨이를 통해 제2의료기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따라서, 진료의뢰시 환자 진료정보를 손으로 들고 내원할 필요 없이 전자적으로 전송받아 의뢰된 병원의 EMR에서 직접 조회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함에 장점이 있었다.
그런데, 선행발명은 각 의료기관에 설치된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진료정보가 중계되어 자발적으로 게이트웨이 서버를 설치한 의료기관사이에서만 정보 교류가 있었고, 사용자 인증과정에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선행발명은 CDA문서의 TAG정보만 사용하였으므로 사용자가 방문한 의료기관을 알 수 없었다. 즉 사용자가 어느 병원을 방문 했었는지도 알아야 검색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환자 및 의료기관 인증을 통하여 메인서버가 환자진료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제1의료기관에서 제2의료기관 또는 일반사용자단말기로 직접 환자진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중계하는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사용자 정보 인증을 공인 인증기관에 의해 수행하는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특정 의료기관에서만 가지고 있는 의료지식정보를 검색하고 중계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일반 사용자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질병 증상에 대한 의료기관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의료기관 서버, 다수의 일반 사용자 단말기 및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의료기관에 위치하여 의료정보를 송수신하는 의료기관 서버; 질병증상에 대한 의료정보를 송수신하는 일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의료기관 서버 및 일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의료기관 서버 및 일반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고, 환자정보, 의료기관정보 및 의료지식정보를 저장하는 메인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의료기관 서버 또는 일반사용자 단말기의 인증을 위하여 메인서버와 인증신호를 송수신하는 인증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의료기관 서버 및 일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의료기관 서버 및 일반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인증부; 및 환자정보, 의료기관정보 및 의료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서버는, 의료정보를 요청한 의료기관 서버에 과금하기 위한 과금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환자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의료기관의 아이디, 방문일시 및 사용자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의료기관정보는, 의료기관의 아이디, 주소, 전화번호, 병원종류, 추가정보 및 의료기관의 온라인상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다수의 의료기관 서버, 다수의 일반 사용자 단말기 및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메인서버가 환자진료정보 요청신호 및 인증정보를 제1의료기관 서버 또는 일반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b)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인증정보와 사전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전에 저장된 인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제1의료기관 서버 또는 일반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과정; (c)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a)과정을 통해 수신된 환자정보를 검색하고, 환자진료정보를 가지고 있는 제2의료기관을 판단하여 제2의료기관 서버에 환자진료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및 (d) 상기 메인서버가 제2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된 환자진료정보를 제1의료기관 서버 또는 일반사용자 단말기로 중계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b) 과정은, (b') 상기 메인서버가 인증서버에 상기 인증정보를 전송하고, 인증서버에 의해 인증여부 확인신호를 수신하여 제1의료기관 서버 또는 일반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과정;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 이전에, (a-1) 상기 메인서버가 다수의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의료기관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d) 과정 이후에, (e)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의료기관 서버와 과금처리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수의 의료기관 서버, 다수의 일반 사용자 단말기 및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메인서버가 의료정보요청신호를 제1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의료지식을 검색하여 제1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고, 제1의료기관 서버에서 선택된 사항을 수신하는 과정; (b) 상기 메인서버는 수신한 상기 제1의료기관 서버에서 선택한 결과를 검색하여 의료지식을 가지고 있는 제2의료기관 서버를 확인하고 제2의료기관 서버로 의료지식을 요청하는 과정; (c) 상기 메인서버는 제2의료기관 서버가 호출한 의료지식을 수신하는 과정; 및 (d) 상기 메인서버는 의료지식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제1의료기관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 이전에, (a-1) 상기 메인서버가 다수의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의료기관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은, (a-1) 상기 메인서버가 의료정보요청신호를 제1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a-2)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한 의료정보요청신호를 이용하여 의료지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제1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및 (a-3)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제1의료기관 서버에서 선택된 사항을 수신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d) 과정 이후에, (e)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의료기관 서버 및 제2의료기관 서버와 과금처리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수의 의료기관 서버, 다수의 일반 사용자 단말기 및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메인서버가 일반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질병 증상에 대한 의료기관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b)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수신한 질병 증상에 대한 의료기관정보를 검색하는 과정; (c) 상기 메인서버가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색된 결과를 리스트로 생성하고 상기 리스트를 일반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 이전에, (a-1) 상기 메인서버가 일반사용자 단말기로 부터 환자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 및 의료기관은 인증을 통하여 환자진료정보를 가지고 있는 의료기관으로부터 해당 의료기관에 방문할 필요없이 유무선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료기관사이에 의료지식정보를 거래하거나 교류할 수 있도록 중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일반 사용자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질병 증상에 대한 의료기관정보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의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서버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진료정보 중계를 위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지식정보 중계를 위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병 증상에 대한 의료 기관 정보 중계를 위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의료정보는 의료행위와 관련된 일체의 정보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이하, '중계시스템')(100) 및 그 방법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의 개략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시스템은 의료기관에 위치하여 의료정보를 송수신하는 의료기관 서버(10), 질병증상에 대한 의료정보를 송수신하는 일반 사용자 단말기(20) 및 상기 의료기관 서버(10) 및 일반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의료기관 서버(10) 및 일반 사용자 단말기(20)를 인증하고, 환자정보, 의료기관정보 및 의료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의료정보를 요청한 의료기관 서버(10)에 과금하는 메인서버(100)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기관 서버(10)는 당해 의료기관 환자의 진료정보 및 의료지식정보를 저장하고, 타 의료기관 환자의 진료정보 및 의료지식정보를 요청하거나 요청받고, 환자의 진료 정보 및 의료지식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환자 진료정보 및 의료지식정보를 송수신할때, 메인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인증 메커니즘에 따라서 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한다.
상기 일반사용자 단말기(20)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메인서버(100)에 자신의 진료정보를 요청하거나 환자가 질병에 감염된 경우 해달 질병의 증상에 따라 의료기관정보를 요청하고, 메인서버(100)로부터 검색결과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사용자 단말기(20)는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으로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메인서버(100)에 접속한다.
상기 인증서버(30)는 의료기관 서버 또는 일반사용자 단말기 인증을 위하여 메인서버와 인증신호를 송수신한다. 메인서버(100)에서 자체적으로 의료기관 서버 또는 일반사용자를 인증할 수 도 있지만, 외부에 공인된 인증 기관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 인증, SMS 인증, 공인 인증서를 통한 인증, 신용카드 인증, I-pin인증 등 외부 인증 기관 인증을 통해서 공적인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상기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서버(100)의 구성도로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10) 및 일반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의료기관 서버(10) 및 일반 사용자 단말기(20)를 인증하는 인증부(110), 환자정보, 의료기관정보 및 의료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120) 및 의료정보를 요청한 의료기관 서버(10)에 과금하기 위한 과금처리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부(110)는 메인서버(100)의 모든 입출력에 관련되어, 의료기관 서버(10) 또는 일반사용자 단말기(20)에서 환자진료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의료기관 서버(10)사이에서 환자진료정보를 인증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중계한다. 그리고, 의료정보 중계에 따른 중계수수료를 부가할 경우 과금 대상을 식별한다.
또한, 상기 인증부(110)은 자체적으로 의료기관 서버(10) 또는 일반사용자 단말기(20)을 데이터베이스부를 이용하여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증부(110) 이외에 메인서버 외부의 인증서버(30)에 인증신호를 송수신하여 인증여부를 확인하여 인증할 수도 있다.
상기 인증 메커니즘은 공개키/개인키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을 사용하여 의료기관서버 간의 통신시 암호화를 통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의료기관이 제2의료기관의 의료지식정보를 얻고자 할 경우, 제1의료기관은 인증부(110)에 공개키를 배포하고, 인증부(110)는 이를 저장한다. 그리고, 인증부(110)가 제2의료기관과 통신할 경우 상기 공개키를 전송하여 의료 지식을 수신하고, 복호화된 데이터를 제1의료기관에서 받은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제1의료기관은 메인서버(100)에서 전송받은 의료지식정보를 자신의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정보를 개시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20)는 환자정보 관리모듈(121), 의료기관정보 관리모듈(123) 및 의료지식정보 관리모듈(125)을 포함한다.
상기 환자정보 관리모듈(121)은 현행 의료법에 의거하여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제외한 환자정보를 관리한다. 따라서 환자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의료기관의 아이디, 방문일시 및 사용자 개인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환자정보 관리모듈(121)은 환자가 의료기관을 방문하면 업데이트 되도록 할 수 있다. 환자가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경우 의료기관 서버는 진료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의료기관 서버는 메인서버에 업데이트된 환자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의료기관 방문기록은 최신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자정보 관리모듈(121)은 환자 또는 의료기관이 진료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환자가 방문했던 의료기관의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했던 의료기관을 식별하고 해당 의료기관에 진료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의료기관정보 관리모듈(123)은 의료기관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의료기관의 아이디, 주소, 전화번호, 병원종류, 전문분야 추가정보 및 의료기관의 온라인상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료지식정보 관리모듈(125)은 의료지식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상기 의료지식정보 관리모듈(125)은 의료기관에서 새로운 의료지식정보를 의료기관 서버(10)에 등록할 때 갱신된다. 새로운 의료지식정보가 등록되면, 의료기관 서버(10)는 메인서버의 의료지식 모듈에 새로운 의료지식이 추가되었음을 통보하며, 이때, 의료지식정보 관리모듈(125)은 해당 정보를 갱신한다. 그리고, 상기 의료지식정보는 환자의 개인정보를 제외한 의사의 오더, 투약 약품 및 빈도, X-Ray, CT 등 모든 의료 행위의 부산물로서, 진료 기록뿐 아니라, 의료인이 남긴 메모, 논문 등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20)는 중계시스템에 따라 정보의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하거나 확장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금처리부(130)는 의료정보를 의료기관사이 및 일반사용자사이에서 중계할 때, 정보를 요청한 의료기관 또는 일반사용자에게 의료정보제공의 대가를 지불하고 정보를 제공한 의료기관에 대가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의료정보 중계 방법에 관하여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진료정보 중계를 위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로서, 메인서버(100)의 인증부(110)가 다수의 의료기관 서버(10) 또는 일반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의료기관정보 또는 환자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의료기관정보 관리모듈(123) 또는 환자정보 관리모듈(121)에 등록한다(S110).
이후, 상기 메인서버(100)의 인증부(110)가 환자진료정보 요청신호 및 인증정보를 제1의료기관 서버(10) 또는 일반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하고(S120), 상기 메인서버(100)의 인증부(110)가 수신된 인증정보와 사전에 데이터베이스부(120)의 환자정보 관리모듈(121)과 의료기관정보 관리모듈(123)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전에 저장된 인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제1의료기관 서버(10) 또는 일반사용자 단말기(20)를 인증한다(S130).
이어서, 상기 메인서버(100)의 환자정보 관리모듈(121)은 수신된 환자정보를 검색하고(S140), 환자진료정보를 가지고 있는 제2의료기관을 판단하여 제2의료기관 서버(10)에 환자진료정보를 요청한다(S150).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100)의 인증부(110)가 제2의료기관 서버(10)와 제1의료기관을 연결하여 중계한다(S160).
마지막으로, 상기 메인서버(100)의 과금처리부(130)가 상기 일반사용자 단말기(20) 또는 제1의료기관 서버(10)와 과금처리 신호를 송수신하여 일반사용자 또는 의료기관에게 소정의 중계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다(S170).
한편, 상기 S130과정은 메인서버의 인증부가 수신된 인증정보를 인증서버에 송수신하여 인증서버로부터 인증여부를 확인받아 제1의료기관 서버(10) 또는 일반사용자 단말기(20)를 인증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지식정보 중계를 위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로서, 의료지식정보 중계를 위한 것으로, 다수의 의료기관 서버(10), 다수의 일반 사용자 단말기(20) 및 메인서버(100)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100)의 인증부(110)가 다수의 의료기관 서버(10)로부터 의료기관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120)의 의료기관정보 관리모듈(123)에 등록한다(S210).
이후, 상기 메인서버(100)의 인증부(110)가 의료정보 요청신호를 제1의료기관 서버(10)로부터 수신하고(S220), 상기 메인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20)의 의료지식 관리모듈(125)이 수신한 의료정보 요청신호를 이용하여 의료지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제1의료기관 서버(10)에 전송한다(S230).
이어서, 제1의료기관 서버(10)는 상기 검색결과 구매하고자하는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메인서버(100)의 인증부(110)는 상기 제1의료기관 서버(10)에서 선택된 의료지식을 수신한다(S240).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100)의 인증부(110)는 수신한 상기 제1의료기관 서버(10)에서 선택된 의료지식을 데이터베이스부(120)에서 검색하여 의료지식을 가지고 있는 제2의료기관 서버(10)를 확인하고 제2의료기관 서버(10)로 의료지식을 요청한다(S250).
뒤이어, 상기 메인서버(100)의 인증부(110)는 제2의료기관 서버(10)가 호출한 해당 의료지식을 수신한다(S260).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100)의 인증부(110)는 의료지식을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하고 제1의료기관서버에 전송한다(S270).
마지막으로, 상기 메인서버(100)의 과금처리부(130)가 상기 제1의료기관 서버(10) 및 제2의료기관 서버(10)와 과금처리 신호를 송수신한다(S280). 이때, 의료지식을 제공받는 제1의료기관 서버(10)에는 소정의 금전 혹은 사이버 머니를 요청하고, 의료지식을 제공한 제2의료기관 서버(10)에는 소정의 금전 혹은 사이버 머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병 증상에 대한 의료기관정보 중계를 위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로서, 질병 증상에 따른 의료기관정보 중계를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서버(100)의 인증부(110)가 일반사용자 단말기(20)로 부터 환자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한다(S310).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100)의 인증부(110)가 일반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질병 증상에 대한 의료기관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한다(S320).
이후, 상기 메인서버(100)의 인증부(110)가 데이터베이스부(120)에서 상기 수신한 질병 증상에 대한 의료기관정보를 의료지식이나 전문분야에 따라 검색하고(S330), 상기 메인서버(100)의 인증부(110)가 데이터베이스부(120)에서 검색된 결과를 리스트로 생성하고 상기 리스트를 일반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한다(S340).
현행 의료법에 의거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진료정보를 메인서버(100)에 저장하지 않고 의료정보를 중계한다.
따라서, 환자진료정보 중계를 위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은 환자가 의료기관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진료기록부를 요청할 필요없이 변경된 의료기관에서 직접 진료기록부를 제공받거나 일반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환자 진료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지식정보 중계를 위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은 환자의 진료기록을 제외한 의료지식, 즉 의료행위시 발생하는 노하우를 의료기관사이에서 공유하거나 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의료기관이 가지고 있는 의료지식을 중계시스템을 이용하여 제공받거나,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질병 증상에 따른 의료기관정보 중계를 위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은 일반사용자가 PDA, 스마트폰, 컴퓨터를 이용해 의료지식의 양과 질을 확인하고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의료기관 서버 20 : 일반사용자 단말기
30 : 인증서버 100 : 메인서버
110 : 인증부 120 : 데이터베이스부
121 : 환자정보 관리모듈 123 : 의료기관정보 관리모듈
125 : 의료지식 관리모듈 130 : 과금처리부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다수의 의료기관 서버, 다수의 일반 사용자 단말기 및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중계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정보 중계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메인서버가 의료정보요청신호를 제1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의료지식을 검색하여 제1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고, 제1의료기관 서버에서 선택된 사항을 수신하는 과정;
    (b) 상기 메인서버는 수신한 상기 제1의료기관 서버에서 선택한 결과를 검색하여 의료지식을 가지고 있는 제2의료기관 서버를 확인하고 제2의료기관 서버로 의료지식을 요청하는 과정;
    (c) 상기 메인서버는 제2의료기관 서버가 호출한 의료지식을 수신하는 과정; 및
    (d) 상기 메인서버는 의료지식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제1의료기관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중계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 이전에,
    (a-1) 상기 메인서버가 다수의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의료기관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중계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은,
    (a-1) 상기 메인서버가 의료정보요청신호를 제1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a-2)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한 의료정보요청신호를 이용하여 의료지식을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제1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및
    (a-3)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제1의료기관 서버에서 선택된 사항을 수신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중계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 이후에,
    (e)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의료기관 서버 및 제2의료기관 서버와 과금처리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중계 방법.
  16. 삭제
  17. 삭제
KR1020110013198A 2011-02-15 2011-02-15 의료정보 중계 방법 KR101204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198A KR101204703B1 (ko) 2011-02-15 2011-02-15 의료정보 중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198A KR101204703B1 (ko) 2011-02-15 2011-02-15 의료정보 중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560A KR20120093560A (ko) 2012-08-23
KR101204703B1 true KR101204703B1 (ko) 2012-11-23

Family

ID=4688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198A KR101204703B1 (ko) 2011-02-15 2011-02-15 의료정보 중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290A (ko) *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유비케어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699B1 (ko) * 2012-11-14 2013-10-30 나인성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KR101708774B1 (ko) 2016-05-27 2017-03-0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제3자 중심의 공개인증 기반 의료기록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402145B1 (ko) * 2018-03-15 2022-05-2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M2m 시스템에서의 이벤트 기반 메시지 재전달 방법
KR102037124B1 (ko) 2019-04-11 2019-10-29 에스지에이블록체인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26292B1 (ko) * 2020-06-18 2021-03-10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방법
KR102554255B1 (ko) * 2020-12-16 2023-07-11 주식회사 에비드넷 공통 가명아이디의 교차 암호화를 이용한 트레이서블 의료데이터 제공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708B1 (ko) * 2006-02-21 2007-03-2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의료기관간 의료정보 온라인 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708B1 (ko) * 2006-02-21 2007-03-2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의료기관간 의료정보 온라인 전송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290A (ko) *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유비케어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62541B1 (ko) 2017-08-17 2019-03-26 주식회사 유비케어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560A (ko) 201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729B1 (ko)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
Daraghmi et al. MedChain: A design of blockchain-based system for medical records access and permissions management
CN111448565B (zh) 基于去中心化标识的数据授权
KR101204703B1 (ko) 의료정보 중계 방법
US202201298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secure registration
US11048690B2 (en) Contribution of multiparty data aggregation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US7905417B2 (en) Blind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KR100750071B1 (ko) 의료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10270751A1 (en)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trusted session
CN105339949A (zh) 用于管理对医学数据的访问的系统
AU20123218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EP326431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WO2021026611A1 (en) Secure information sharing systems and methods
US1132981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for changing public key, program, and method for build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329003B1 (ko) 전자처방전의 환자용, 약국용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는 환자 클라이언트 장치 및 중계 장치
CA3028753A1 (en) Wireless based methods and systems for federated key management, asset management, and financial transactions
JP2013171496A (ja) 特典付与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
JP5961228B2 (ja) 権限管理装置、権限管理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権限管理方法、及び権限管理サービス提供方法
JP2008152595A (ja) 保険金請求事務代行システム
US20170193187A1 (en)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registr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JP2019521442A (ja) 支払い主体の拡張を促進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101004038B1 (ko) 통신 단말기의 화면 터치를 이용한 전자결제 승인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311725A1 (en) Secure communication
KR20110049107A (ko) 모바일기반 의료보험 청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23069A (ja) 携帯端末間通信を用いた振込システム,方法,第1の金融機関サーバ,第2の金融機関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