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404B1 -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404B1
KR102258404B1 KR1020200125393A KR20200125393A KR102258404B1 KR 102258404 B1 KR102258404 B1 KR 102258404B1 KR 1020200125393 A KR1020200125393 A KR 1020200125393A KR 20200125393 A KR20200125393 A KR 20200125393A KR 102258404 B1 KR102258404 B1 KR 102258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patient
patient terminal
information
remote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소정
Original Assignee
이소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정 filed Critical 이소정
Priority to KR1020200125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 의료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관리 서버, 환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생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생체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비,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비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병원 서버로 전달하고, 선택된 병원 서버와 원격 진료를 수행하는 환자 단말, 상기 환자 단말과 통신하며 원격 진료를 제공하고, 원격 진료를 통해 환자에게 처방된 약품 정보인 처방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과 약국 서버에 전송하는 병원 서버,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처방 정보에 따른 의약품을 상기 환자의 주소로 배달되도록 배달업체 서버에 요청하는 약국 서버 및 상기 약국 서버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의 주소로 의약품을 배달하는 배달업체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Remote Medical Service Delivery System}
본 발명은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세계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현재 사회는 예방을 위해 사람 간의 접촉을 줄이는 '언택트(untact)'를 넘어서 '터치리스(touchless)'가 트렌드로 나타날 동향을 보인다. 서울시는 코로나 이후 감염병이 일상인‘뉴 노멀 시대'가 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바이러스 공존세대가 될 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또한, 포브스의 포스트 코로나 기사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 일어날 사회의 9가지 변화로 터치리스와 원격진료의 발전과 바이러스의 위험이 없는 AI와 로봇에 대한 기술의 성장을 이야기한다.
최근 3개월 간 우리나라 산업 분야의 변화를 살펴보면 교육 분야에서는 온라인 수업이 주류를 이루며 화상채팅이 급부상했고, 기술 분야에서는 비접촉 체온계가 제작되고 터치대신 안면 인식 등의 기술이 도입되었다. 이처럼 앞으로는 의료 분야에서도 비대면 서비스가 필요해질 것이다. 특히, 바이러스가 창궐하면 사람들의 가장 큰 니즈가 향하는 곳은 의료 서비스이다. 의료기관은 가장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하기 때문에 비대면 서비스를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내 시장에서는 원격 진료와 의약품 배달이 개척되어 있지 않은 상태지만, 미국에서는 화상회의를 통해 원격으로 환자와 의사 간 실시간 상담이 이뤄지는 것은 물론 주치의가 전문의에게 엑스레이, CT 촬영 등 대용량의 디지털 이미지를 전송하거나 전자장치를 통한 건강정보 전송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더욱 폭발적 양상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기업 'IBIS월드'에 따르면 미국의 원격의료 서비스 시장은 지난 5년간 연평균 34.7%의 폭발적 성장을 지속해 2019년 시장 규모가 24억 달러(한화 약 2조 9364억원)에 달했다고 한다.
글로벌 원격의료 시장의 규모는 1,305억 달러(약 156조 원)까지 성장할 전망을 보인다. 세계 각국의 원격의료 제도의 현황을 살펴보면 미국은 원격의료를 보험 급여로 제공하고 있으며 같은 아시아대륙인 중국은 원격의료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하였고, 일본 역시 원격의료 기본원칙과 적용대상을 최초로 제시하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에서도 의료 시스템 보완을 위해 'e-Health'를 도입하였다. 이와 같은 세계 의료 시장의 현황으로 볼 때, 다가올 바이러스 공존세대를 위해 원격의료 서비스의 국내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4969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들의 건강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24시간 수집하고,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직접 병원에 내원하지 않아도 진찰이 가능하도록 원격 진료를 제공하고,
환자의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처방정보를 가장 가까운 약국에 전송하고, 환자는 집에서 진료를 받고 약을 배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 의료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관리 서버, 환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생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생체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비,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비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병원 서버로 전달하고, 선택된 병원 서버와 원격 진료를 수행하는 환자 단말, 상기 환자 단말과 통신하며 원격 진료를 제공하고, 원격 진료를 통해 환자에게 처방된 약품 정보인 처방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과 약국 서버에 전송하는 병원 서버,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처방 정보에 따른 의약품을 상기 환자의 주소로 배달되도록 배달업체 서버에 요청하는 약국 서버 및 상기 약국 서버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의 주소로 의약품을 배달하는 배달업체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병원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을 위한 회원 코드를 발급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회원 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면, 원격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면, 원격 진료가 가능한 병원 리스트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환자들로부터 추천을 많이 받은 순서대로 나열한 병원 리스트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환자가 자주 방문한 순서대로 나열한 병원 리스트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현재 환자 단말과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한 병원 리스트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비대면, 안전 등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장애인, 노약자 등의 사회적 약자들도 의료 서비스의 이용과 정보 전달에 있어서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료 서비스의 사각지대를 해결하고, 환자가 이용하는 의료 서비스의 전 과정을 간소화하여 편리성을 제공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것 이외에 진료의 지속성과 통합의료를 제공하는데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때, 바이러스의 접촉 감염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체적·시간적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건강 보험 공단 서버에 저장된 환자 데이터를 예시한 도표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 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실시 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실시 예들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개시된 실시 예들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환자 단말(100), 웨어러블 장비(110), 병원 서버(200), 약국 서버(300), 관리 서버(400), 배달업체 서버(50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장비(110)는 환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생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생체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말에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비(110)는 환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의료 시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웨어러블 장비(110)를 통해 24시간 환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여 병원 서버(200)에 전송하며, 전송된 생체 신호는 원격 진료의 데이터로 사용된다.
환자 단말(100)은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고, 웨어러블 장비(110)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병원 서버(200)로 전달하고, 선택된 병원 서버(200)와 원격 진료를 수행한다.
병원 서버(200)는 환자 단말(100)과 통신하며 원격 진료를 제공하고, 원격 진료를 통해 환자에게 처방된 약품 정보인 처방 정보를 환자 단말(100)과 약국 서버(300)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병원 서버(200)는 웨어러블 장비(110)를 통해 검출된 생체 신호와, 환자 단말(100)과의 통신을 통해 얻은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원격 진료를 진행할 수 있다.
약국 서버(300)는 병원 서버(200)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처방 정보에 따른 의약품을 환자의 주소로 배달되도록 배달업체 서버(500)에 요청한다.
관리 서버(400)는 원격 의료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전체적으로 관리한다.
배달업체 서버(500)는 약국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따라 환자의 주소로 의약품을 배달하도록 처리한다. 예를 들어, 배달업체 서버(500)는 의약품을 의료트럭(medical-truck)을 통해 환자의 주소로 배달할 수 있다. 의료트럭은 의료 제품(진통제, 소화제 등 상비약을 비롯한 당뇨, 고혈압 치료약 등)을 배달하는 트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병원 서버(200)는 환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을 위한 회원 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400)는 환자 단말로부터 회원 코드를 입력받아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환자 단말(100)이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면, 원격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400)는 환자 단말(100)이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면, 원격 진료가 가능한 병원 리스트를 환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400)는 환자들로부터 추천을 많이 받은 순서대로 나열한 병원 리스트를 환자 단말(100)에 제공하거나, 또는 환자가 자주 방문한 순서대로 나열한 병원 리스트를 환자 단말(100)에 제공하거나, 또는 현재 환자 단말(100)과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한 병원 리스트를 환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병원 서버(200)와 관리 서버(400)는 원격 진료 결과에 따른 전자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400)는 병원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전자거래 정보에 따라 건강보험공단 서버(600)에 의료비 정산을 요청하고, 정산 결과를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400)는 배달업체 서버(500)로부터 수수료 이용료 정보를 수신하면, 수수료 이용료 정산 처리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환자 단말(100)에서 병원을 선택하면, 선택된 병원 서버(200)와 환자 단말(100) 사이에 원격 진료가 이루어진다.
병원 서버(200)는 원격 진료 과정에서 환자 단말(100)에 원격 진료를 위한 질의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병원 서버(200)는 질의 메시지에 암호 정보에 대한 복호키 정보를 포함하여 환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원격 진료가 종료되면, 병원 서버(200)는 처방 정보를 환자 단말(100)과 약국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병원 서버(200)는 약국 서버(300)로 전송하는 처방 정보에 암호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약국 서버(300)는 병원 서버(200)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환자 단말(100)에 승인을 요청한다.
환자 단말(100)은 약국 서버(300)로부터 승인 요청을 받으면, 승인 여부를 묻는 화면을 표출한다.
환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승인 메시지를 약국 서버(300)에 전송한다. 이때, 환자 단말(100)에서 전송하는 승인 메시지에는 복호키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약국 서버(300)은 환자 단말(100)로부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건강보험공단 서버(600)에 처방 정보 및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환자에 대한 환자 정보를 요청한다. 이 과정에서 약국 서버(300)로부터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로 암호정보-복호키정보 쌍이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 병원 서버(200)와 건강보험공단 서버(600)가 연동되며, 병원 서버(200)는 절대 시간 기준으로 업데이트되는 암호정보-복호키정보 쌍을 건강보험공단 서버(600)와 공유한다. 예를 들어, 병원 서버(200) 매 시각 정각마다 새롭게 업데이트되는 암호정보-복호키정보 쌍을 건강보험공단 서버(600)와 공유할 수 있다.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는 약국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암호정보-복호키정보 쌍과 병원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암호정보-복호키정보 쌍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양자가 일치하면, 건강보험공단 서버(600)는 해당 환자 정보를 약국 서버(3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환자 정보는 이름, 생년월일, 나이, 주소, 의료보험 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건강 보험 공단 서버에 저장된 환자 데이터를 예시한 도표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강보험공단 서버(600)에서는 이름, 생년월일, 나이, 주소, 의료보험 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환자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서는 처방 정보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환자 단말 110 웨어러블 장비
200 병원 서버 300 약국 서버
400 관리 서버 500 배달업체 서버
600 건강보험공단 서버

Claims (7)

  1. 원격 의료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관리 서버;
    환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생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생체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비;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비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병원 서버로 전달하고, 선택된 병원 서버와 원격 진료를 수행하는 환자 단말;
    상기 환자 단말과 통신하며 원격 진료를 제공하고, 원격 진료를 통해 환자에게 처방된 약품 정보인 처방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과 약국 서버에 전송하는 병원 서버;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처방 정보에 따른 의약품을 상기 환자의 주소로 배달되도록 배달업체 서버에 요청하는 약국 서버; 및
    상기 약국 서버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의 주소로 의약품을 배달하는 배달업체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 단말과 상기 병원 서버와의 원격 진료 과정에서, 상기 병원 서버에서 상기 환자 단말에 원격 진료를 위한 질의 메시지를 전송함에 있어서, 질의 메시지에 암호 정보에 대한 복호키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원격 진료가 종료되면, 상기 병원 서버는 처방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과 상기 약국 서버로 전송하고, 이때 상기 병원 서버는 상기 약국 서버로 전송하는 처방 정보에 암호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며,
    상기 약국 서버는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환자 단말에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환자 단말은 상기 약국 서버로부터 승인 요청을 받으면, 승인 여부를 묻는 화면을 표출하고,
    상기 환자 단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호키 정보가 포함된 승인 메시지를 상기 약국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약국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건강보험공단 서버에 처방 정보 및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환자에 대한 환자 정보를 요청하고, 이때 상기 약국 서버로부터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로 암호정보-복호키정보 쌍이 전달되고,
    상기 병원 서버와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가 연동되어, 상기 병원 서버는 절대 시간 기준으로 업데이트되는 암호정보-복호키정보 쌍을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와 공유하고,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는 상기 약국 서버로부터 수신한 암호정보-복호키정보 쌍과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수신한 암호정보-복호키정보 쌍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양자가 일치하면, 해당 환자 정보를 상기 약국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병원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을 위한 회원 코드를 발급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회원 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면, 원격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면, 원격 진료가 가능한 병원 리스트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환자들로부터 추천을 많이 받은 순서대로 나열한 병원 리스트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환자가 자주 방문한 순서대로 나열한 병원 리스트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현재 환자 단말과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한 병원 리스트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125393A 2020-09-28 2020-09-28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58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393A KR102258404B1 (ko) 2020-09-28 2020-09-28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393A KR102258404B1 (ko) 2020-09-28 2020-09-28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404B1 true KR102258404B1 (ko) 2021-05-28

Family

ID=7614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393A KR102258404B1 (ko) 2020-09-28 2020-09-28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4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184B1 (ko) * 2001-07-14 2004-11-26 주식회사 현대메드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13685A (ko) * 2008-04-28 2009-11-02 배동철 인증된 개인 회원에게 관광 상품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9697A (ko) 2010-11-0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진료장치 및 원격진료방법
KR101398383B1 (ko) * 2012-05-21 2014-05-22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정보에 기반한 병원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433570B1 (ko) * 2007-04-23 201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의료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074805B1 (ko) * 2019-07-15 2020-02-10 이노파이안 주식회사 의료관광 콘텐츠 플랫폼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184B1 (ko) * 2001-07-14 2004-11-26 주식회사 현대메드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3570B1 (ko) * 2007-04-23 201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의료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3685A (ko) * 2008-04-28 2009-11-02 배동철 인증된 개인 회원에게 관광 상품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9697A (ko) 2010-11-0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진료장치 및 원격진료방법
KR101398383B1 (ko) * 2012-05-21 2014-05-22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정보에 기반한 병원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2074805B1 (ko) * 2019-07-15 2020-02-10 이노파이안 주식회사 의료관광 콘텐츠 플랫폼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se et al. Enabl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 (AIoT) healthcare architectures and listing security issues
CA2737086C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ized medical data
US20030125017A1 (en) Healthcare personal area identification network method and system
de Oliveira Andrade et al. On the use of telemedicine in the context of COVID-19: legal aspects and a systematic review of technology
US20200357495A1 (en)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providing healthcare data
Kaushik et al. Digital cardiovascular care in COVID‐19 pandemic: A potential alternative?
Barr et al. Telemedicine, Homecare in the Era of COVID-19 & beyond
Rogers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healthcare systems, wireless connected devices, and body sensor networks in COVID-19 remote patient monitoring
KR20170087299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맞춤형 약 복용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78159B1 (ko) 식별 코드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및 전달 시스템
Kim et al. Current clinical status of telehealth in Korea: categories, scientific basis, and obstacles
KR102258404B1 (ko)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490385B1 (ko)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의료정보 교환 방법
JP2002024382A (ja) 在宅診療システム及びその在宅診療方法
CN109545314A (zh) 一种处方用药的风险控制方法、服务器及系统
BasheeruddinAsdaq et al. Wireless Networking‐Driven Healthcare Approaches in Combating COVID‐19
US20200118656A1 (en) Systems for validating healthcare transactions
US20120253842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generating aggregated health care summaries
Jeon et al. Acceptability of service targets for ICT-based healthcare
Israni et al. Human‐Machine Interaction in Leveraging the Concept of Telemedicine
Bidgoli Successful integ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healthcare: Guides for managers.
KR102371738B1 (ko)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Farley et al. Continuity of medication management in Medicaid patients with chronic comorbid conditions: An examination by mental health status
Setianingsih Perceptions Of Telehealth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In X Hospital
Sears et al. Do you hear what I hear? Communication practices about medications between physicians and clients with chronic illness in Can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