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848B1 -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848B1
KR101258848B1 KR1020110117729A KR20110117729A KR101258848B1 KR 101258848 B1 KR101258848 B1 KR 101258848B1 KR 1020110117729 A KR1020110117729 A KR 1020110117729A KR 20110117729 A KR20110117729 A KR 20110117729A KR 101258848 B1 KR101258848 B1 KR 101258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information
user
rout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호
한용철
이근형
박연희
김도훈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7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6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for VoIP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측정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의료정보를 측정하는 정보측정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상기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서버에 연결된 제1 라우터가 상기 의료정보를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Content Centric Network)를 통해 병원서버와 연결된 제2 라우터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 및 상기 병원서버가 상기 제2라우터로부터 상기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의료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서버와 병원서버에 각각 연결된 라우터가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상호 송수신함에 따라, 디바이스 간 연결을 최소화하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Medical information data management method using content centric network}
본 발명은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의료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의료정보를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통해 병원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하는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IT기술이 접목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의료분야에 있어서는 병원에 있는 의사가 내원이 어렵거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노인들의 건강상태를 직접 찾아가지 않더라도 환자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원격진료기술은 VoIP와 같은 IP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디바이스와 병원의 서버 간 즉, 호스트간에 직접적인 연결이 발생하여 디바이스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네트워크 상에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한, 환자 또는 노인들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디바이스가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동 후 IP주소 또한 별도로 저장해야함에 따라, 네트워크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방법에 대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행기술 1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963698호(2010.06.07)로서, 의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 1은 생체신호 인식센서를 통하여 생체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환자의 응급상황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환자의 응급관리에서 각 가정/병실과 중앙 관리센터의 동시적이고 통합적인 생체정보 모니터링을 위한 네트워크 구조와, 의료정보가 필요한 곳으로의 서비스 확장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선행기술 2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755974호(2007.08.30)로서,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 2는 병원서버가 인터넷을 통한 처방 요구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건강상태 및 건강이상 정보를 기초로 처방을 실시하고, 생체정보 측정센서가 적어도 하나의 생활기기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해당 종류별 생체정보를 측정하며, 홈서버가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 및 건강 이상 여부를 판별하여 전송하고 이에 대한 처방 요구시 등록된 병원서버에 접속하여 처방전을 제공받아 전송하고, 스마트 커뮤니케이터가 상기 홈 서버에서 전송된 건강상태정보 및 건강이상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처방 요구 입력시 처방 요구정보를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홈 서버로부터 전송된 처방전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보다 신속한 건강 체크 및 건강 이상의 조기발견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환자 또는 노약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측정하고,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와 병원서버에 연결된 각 라우터가 상기 의료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측정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의료정보를 측정하는 정보측정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상기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서버에 연결된 제1 라우터가 상기 의료정보를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Content Centric Network)를 통해 병원서버와 연결된 제2 라우터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 및 상기 병원서버가 상기 제2라우터로부터 상기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의료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생체정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이름정보, 측정날짜정보, 상태정보, 시퀀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단말이 상기 상태정보에 기재된 응급여부에 따라, 상기 의료정보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정보측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라우터 및 제2 라우터가 상기 의료정보를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캐싱(caching)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정보전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서버와 병원서버에 각각 연결된 라우터가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상호 송수신함에 따라, 디바이스 간 연결을 최소화하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관리서버에 연결된 라우터가 사용자의 의료정보에 기재된 응급여부별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의료정보를 캐싱하여 병원서버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급한 사용자에게 빠른 응급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정보를 송수신함에 따라,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단말이 이동하더라도 상기 측정단말의 이동 IP주소를 별도로 저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의 포워딩엔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100)은 측정단말(110), 관리서버(120), 제1라우터(122), 병원서버(130) 및 제2라우터(132)를 포함한다.
측정단말(110)은 의료정보를 측정하고자 하는 사용자 예를 들면, 환자, 노인, 장애인 등의 신체 중 적어도 한 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의료정보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혈압, 맥박, 심박수 등의 기초적인 생체정보 뿐만 아니라, 상기 생체정보의 식별을 위해 사용자에 대한 이름정보, 상기 생체정보를 측정한 측정날짜정보, 상기 생체정보 중 응급여부를 나타내는 상태정보, 연속하는 정보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측정단말(110)은 상기 생체정보의 상태가 응급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상태정보에 응급상태를 표시하고, 해당 의료정보가 다른 의료정보 보다 먼저 병원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관리서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정단말(110)이 측정한 적어도 하나의 의료정보를 모두 수신하고, 수신한 의료정보를 병원서버(130)로 전송하기 위하여, 자신과 연결된 제1 라우터(122)로 상기 의료정보를 전송한다.
제1 라우터(122)는 상기 관리서버(120)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120)로부터 상기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의료정보를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Content Centric Network)를 이용하여 병원서버(130)와 연결된 제2 라우터(132)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1 라우터(122)는 상기 측정단말(110)이 의료정보에 부여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의료정보를 캐싱하여, 상기 제2 라우터(132)로 전송한다.
제2 라우터(132)는 병원서버(130)에 연결되고, 상기 관리서버(120)가 상기 제1 라우터(122)를 통해 전송한 상기 의료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의료정보를 상기 병원서버(130)로 전달한다.
병원서버(130)는 자신과 연결된 상기 제2 라우터(132)를 통해, 측정단말(110)이 측정한 사용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의료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이상유무를 판단한다. 이러한 병원서버(130)는 상기 측정단말(110)이 의료정보에 부여한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먼저 수신한 후, 이를 분석함으로써, 상태가 위급한 사용자에게 빠른 응급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관리서버(120)에 연결된 제1 라우터(122)와, 상기 병원서버(130)에 연결된 제2 라우터(132)는 IP 네트워크가 아닌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Content Centric Network)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하여 보다 콘텐츠 중심의 전송방식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네트워크 공격에 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사용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이하, 상기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란, 기존의 IP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송수신자 대신에 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콘텐츠 소비자의 개념을 도입하여, IP주소 대신에 콘텐츠 이름을 사용하여 라우팅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데이터를 요구하는 인근의 다른 콘텐츠 소비자에게 데이터를 배포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다. 즉, 콘텐츠 소비자가 데이터를 요구하는 인터레스트 패킷(interest packet)에 콘텐츠 이름을 적어서 브로드캐스트하고, 라우터는 해당 인터레스트 패킷을 저장하며, 요청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노드가 해당 데이터를 요구하는 인터레스트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인터레스트 패킷을 전송한 노드에게 응답으로서 데이터 패킷(data packet)에 요청한 데이터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의 포워딩엔진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의 포워딩엔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의 포워딩엔진은 콘텐츠 스토어(Content Store, 210), 펜딩 인터레스트 테이블(Pending Interest Table, PIT, 220), 포워딩 인포메이션 베이스(Forwarding Information Table, FIB, 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콘텐츠 스토어(210)는 데이터 콘텐츠와 콘텐츠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다.
펜딩 인터레스트 테이블(220)은 수신한 인터레스트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하는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노드로서, 인터레스트 패킷을 전달한 후, 어느 페이스(240)를 통해 인터레스트 패킷이 입출력되고 있는지 기록하여 관리한다.
포워딩 인포메이션 베이스(230)는 인터레스트 패킷을 포워딩한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페이스(240)는 다중연결에 대한 지원여부에 따른 차이를 나타낸다.
즉, 데이터를 요청 내용을 포함하는 인터레스트 패킷이 페이스(240)를 통해 라우터에 입력되면, 상기 인터레스트 패킷이 요청하는 데이터가 콘텐츠 스토어(210)에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만약 해당하는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 스토어(210)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펜딩 인터레스트 테이블(220)을 확인하여 앞서 전송된 인터레스트 패킷이 있었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펜딩 인터레스트 테이블(220)에 이전 전송되었던 인터레스트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인터레스트 패킷은 중복된 패킷이기 때문에 삭제된다. 또는 상기 펜딩 인터레스트 테이블(220)에 이전 전송되었던 인터레스트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포워딩 인포메이션 베이스(230)를 확인한다.
이와 달리, 해당하는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 스토어(210) 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인터레스트 패킷은 동일한 라우터가 아닌 다른 라우터에서 전송된 패킷이므로, 상기 인터레스트 패킷을 상기 펜딩 인터레스트 테이블(220)에 등록한 후, 상기 포워딩 인포메이션 베이스(230)를 통해 포워딩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방법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의료정보를 측정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에 측정단말(110)이 부착됨에 따라, 상기 측정단말(110)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의료정보를 측정한다(S310). 이때, 상기 의료정보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혈압, 맥박, 심박수 등의 기초적인 생체정보 뿐만 아니라, 상기 생체정보의 식별을 위해 사용자에 대한 이름정보, 상기 생체정보를 측정한 측정날짜정보, 상기 생체정보 중 응급여부를 나타내는 상태정보, 연속하는 정보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말한다.
이때, 상기 측정단말(110)이 상기 생체정보의 상태가 응급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상태정보에 응급상태를 표시하고, 해당 의료정보가 다른 의료정보 보다 먼저 병원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이후, 관리서버(120)가 상기 측정단말(110)로부터 측정한 의료정보를 수신한다(S320). 이러한 관리서버(120)는 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 중 복수 개의 부분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측정단말(110) 또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측정하는 다수의 측정단말(110)로부터 각각의 의료정보를 모두 수신한다.
이어서, 상기 관리서버(120)에 연결된 제1 라우터(122)가 상기 관리서버(130)로부터 측정단말(110)이 측정한 상기 의료정보를 전달받아,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통해 병원서버(130)에 연결된 제2 라우터(132)로 전송한다(S330). 이때, 상기 제1 라우터(122)는 상기 측정단말(110)이 의료정보에 부여한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해당하는 의료정보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병원서버(130)에 연결되는 제2 라우터(132)가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라우터(12)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의료정보를 상기 병원서버(130)로 전달한다(S340).
결과적으로, 사용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120)와 병원서버(130) 간에 직접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관리서버(120)에 연결되는 제1 라우터(122)와 상기 병원서버(130)에 연결되는 제2 라우터(132)간에 의료정보의 송수신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트래픽이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120)에 연결되는 제1 라우터(122)는 전송하고자 하는 의료정보 중 상태정보에 기재된 응급여부에 따라 부여되는 우선순위를 기초로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에 따라 해당하는 의료정보를 순차적으로 캐싱한 후, 이를 상기 병원서버(130)에 연결되는 제2 라우터(132)로 전송하여, 응급상태의 사용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먼저 병원서버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보다 신속한 응급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병원서버(130)가 수신한 의료정보 중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건강상태를 판단한다(S350). 이에 따라, 사용자 즉, 환자가 병원에 직접 내원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건강상태를 병원 내 의사에게 전달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라우터(132)에 상기 병원서버(130)외에, 별도의 사용단말 또는 PC가 연결된 경우, 상기 사용단말 또는 PC가 상기 제2 라우터(132)를 통해 상기 측정단말(110)이 측정한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사용단말 또는 PC가 의사가 사용하는 경우, 의사와 환자간에 직접적인 의료정보의 송수신이 발생하므로, 환자에 대하여 보다 신속한 후속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서버와 병원서버에 각각 연결된 라우터가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상호 송수신함에 따라, 디바이스 간 연결을 최소화하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관리서버에 연결된 라우터가 사용자의 의료정보에 기재된 응급여부별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의료정보를 캐싱하여 병원서버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급한 사용자에게 빠른 응급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정보를 송수신함에 따라,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단말이 이동하더라도 상기 측정단말의 이동 IP주소를 별도로 저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0: 측정단말 120: 관리서버
122: 제1 라우터 130: 병원서버
130: 제2 라우터

Claims (5)

  1.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측정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의료정보를 측정하는 정보측정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상기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서버에 연결된 제1 라우터가 상기 의료정보를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Content Centric Network)를 통해 병원서버와 연결된 제2 라우터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 및
    상기 병원서버가 상기 제2라우터로부터 상기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의료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를 포함하고, 별도의 사용단말이 상기 제2 라우터로부터 캐싱(caching)되어있는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생체정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이름정보, 측정날짜정보, 상태정보, 시퀀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측정단계는
    상기 측정단말이 상기 상태정보에 기재된 응급여부에 따라, 상기 의료정보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송단계는
    상기 제1 라우터 및 제2 라우터가 상기 의료정보를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캐싱(caching)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10117729A 2011-11-11 2011-11-11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KR10125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729A KR101258848B1 (ko) 2011-11-11 2011-11-11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729A KR101258848B1 (ko) 2011-11-11 2011-11-11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848B1 true KR101258848B1 (ko) 2013-05-06

Family

ID=4866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729A KR101258848B1 (ko) 2011-11-11 2011-11-11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713A (ko) * 2014-09-25 2016-04-05 주식회사 케이티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698B1 (ko) * 2009-02-27 2010-06-14 주식회사 넷블루 의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698B1 (ko) * 2009-02-27 2010-06-14 주식회사 넷블루 의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구민경,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성장가능성 무한대, (2007.06.13 게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713A (ko) * 2014-09-25 2016-04-05 주식회사 케이티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102357901B1 (ko) * 2014-09-25 2022-02-07 주식회사 케이티 의료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0608B2 (en) System for processing data acquired from multiple medical devices
JP6093435B2 (ja) 健康情報システム
Elgazzar et al. Ubiquitous health monitoring using mobile web services
JP5735485B2 (ja) 匿名化情報共有装置および匿名化情報共有方法
JP4932861B2 (ja) 分散情報アクセスシステム、分散情報アクセ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50462B1 (ko) 병원 고객관리를 위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15532021A (ja) データおよび音声並行通信経路を用いたリモートでの受診ならびに状態評価のための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US9750031B2 (en) Coordinator switching method for medical body area networks
JP2008538426A (ja) 高性能な無線医療センサネットワークに対するアドレッシング・スキーム
KR20050036797A (ko)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4005433A1 (zh) 健康服务提供方法、呼叫中心及系统
JP4970446B2 (ja) 健康管理システム、個人化端末及び健康管理データ集約方法
KR101258848B1 (ko)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JP2005182698A (ja) 医用情報提供システム
CN110380760B (zh) 基于低功耗蓝牙的通用个人健康设备标志位数据传输方法
US20140278451A1 (en) Integration of Diagnostic Devices into a Brokerage System
JP6652267B1 (ja) 遠隔診療支援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02824B1 (ko)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 방법
JP7175911B2 (ja) ヘルスケア施設におけるモバイルデバイス管理
KR101586246B1 (ko) Ieee 11073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0087481A (ja) 遠隔診療支援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27973B2 (ja) 個人情報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608491A (zh) 電子叫號通知系統
WO2022138501A1 (ja) センシングデータ管理システム、センシング場所推定方法、センシング装置、情報通信端末、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185540B (zh) 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医疗健康护理系统及其实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